KR20170057113A - Multi input power manager - Google Patents

Multi input power mana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113A
KR20170057113A KR1020160063679A KR20160063679A KR20170057113A KR 20170057113 A KR20170057113 A KR 20170057113A KR 1020160063679 A KR1020160063679 A KR 1020160063679A KR 20160063679 A KR20160063679 A KR 20160063679A KR 20170057113 A KR20170057113 A KR 20170057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oltage
transfer switch
switching signal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6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9137B1 (en
Inventor
임종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5/339,56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424934B2/en
Publication of KR2017005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1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1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05F1/67Regulating electric power to the maximum power available from a generator, e.g. from solar c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input power manager comprises: a first to an n^th (n is a natural number larger than one) maximum power tracking circuit to receive first to n^th power from the outside, and control voltages of a first to an n^th voltage by a first to an n^th reference voltage based on the first to the n^th power; a first to an n^th capacitor configured to store the first to the n^th power by control of the first to the n^th maximum power tracking circuit, and connected to the first to the n^th node; a first to an n^th transmission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to the n^th node, and configured to output power stored in the first to the n^th capacitor as output power in response to a first to an n^th switching signal; and a transmission switch control circuit to activate the first switching signal to turn on a first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node if the first reference voltage of the first node is reached.

Description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MULTI INPUT POWER MANAGER}[0001] MULTI INPUT POWER MANAGER [

본 발명은 전력 하베스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harves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최근 전자 장치가 소형화됨에 따라, 전자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 수명 또는 배터리 용량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에너지 하베스팅 전력 변환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 전력 변환 시스템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양한 소형 또는 저전력 응용 환경에서, 배터리 사용 시간 증가 또는 배터리-리스(battery-less)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에너지 하베스팅 전력 변환 시스템에서, 최대 출력 전력은 가장 큰 이슈이다. 즉, 부하에서 요구되는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에너지 저장 장치에 최대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하여, 공급 가능한 에너지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최대 전력 추종(MPPT) 기술이 사용된다.BACKGROUND ART [0002] With the recent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battery life or battery capacity included in electronic devices has become a problem.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recently, an energy harvesting power conversion system is being developed. Energy harvesting power conversion systems are used to implement increased battery life or battery-less systems in a variety of small or low power application environments, such as wireless sensor networks. In an energy harvesting power conversion system, the maximum output power is the biggest issue. That is, a maximum power follow-up (MPPT) technique is used to maximize the available energy capacity to continuously deliver the energy required by the load or to store the maximum energy in the energy storage.

특히, 다중 입력 소스 구조는 복수의 에너지 소스원으로부터 에너지를 수신하기 때문에, 복수의 에너지 소스원들 각각으로부터의 에너지를 합할 경우, 큰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에너지 소스원으로부터 수신되는 에너지를 동시에 출력할 경우, 각 에너지 소스원마다 별도의 전력 변환 장치가 요구된다. 별도의 전력 변환 장치들은 큰 면적이 요구되기 때문에, 다중 입력 소스 구조가 소형 장치에 적용되기 어렵다. In particular, since multiple input source structures receive energy from a plurality of energy source sources, they can output large power when summing the energy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energy source sources. However, when simultaneously outputting the energy received from each energy source source, a separate power conversion device is required for each energy source source. Since separate power conversion devices require a large area, multiple input source structures are difficult to apply to small devices.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입력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for efficiently using multiple input pow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는 외부로부터 제1 내지 제n (단, n은 1보다 큰 자연수) 전력들 각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전력들을 기반으로 제1 내지 제n 노드들의 전압들을 각각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로 제어하는 제1 내지 제n 최대 전력 추종 회로들, 상기 제1 내지 제n 최대 전력 추종 회로들 각각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n 전력들 각각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n 노드들 각각과 연결되는 제1 내지 제n 입력 캐패시터들, 상기 제1 내지 제n 노드들 각각과 연결되고, 제1 내지 제n 전송 스위칭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캐패시터들 각각에 저장된 전력을 출력 전력으로써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1 내지 제n 전송 스위치들, 및 상기 제1 노드의 제1 기준 전압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1 노드와 연결된 상기 제1 스위치가 턴-온되도록 상기 제1 전송 스위칭 신호를 활성화하는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A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first to n-th (where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powers from the outside, and generates first to n-th powers based on the first to n- n th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s for controlling the voltages of the n nodes to the first through the n th reference voltages, respectively, the first through the n th maximum power follow- N-th input capacitors connected to the first to the n-th nodes, respectively, and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to the n-th nodes, wherein the first to n- N-th transfer capacitors configured to output power stored in each of the first to n < th > input capacitors as output power in response to the first to n-th input capacitors whe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of the first node , The first node And a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for activating the first transfer switching signal so that the first switch is turned on.

실시 예로서, 상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칭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2 내지 제n 전송 스위치들이 턴-오프되도록 상기 제2 내지 제n 스위칭 신호들을 비활성화한다.In an embodiment,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deactivates the second to the n-th switching signals so that the second to the n-th transfer switches are turned off when the first switching signal is activated.

실시 예로서, 상기 턴-온된 제1 전송 스위치와 연결된 상기 제1 노드의 전압이 제1 최소 전압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전송 스위치가 턴-오프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비활성화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voltage at the first node coupled to the first turn-on transfer switch reaches a first minimum voltage,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switches the first transfer switch such that the first transfer switch is turned off, Deactivates the signal.

실시 예로서, 상기 제1 전송 스위치가 턴-오프된 이후에, 상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내지 제n 노드들 중 대응하는 기준 전압에 도달한 전압을 갖는 노드와 연결된 전송 스위치가 턴-온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n 스위칭 신호들을 생성한다. As an embodiment, after the first transfer switch is turned off,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transfer switch connected to the node having a voltage that reaches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second to the n < th & The first to n < th > switching signals are generated.

실시 예로서, 상기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는 상기 제1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전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결정하는 제1 전압 비율 제어기, 상기 제1 전압 비율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전력을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제1 내부 캐패시터, 상기 제1 내부 캐패시터 및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내부 스위치, 상기 제1 기준 전압 및 상기 제1 내부 캐패시터의 전압을 비교하도록 구성되는 제1 비교기, 및 상기 제1 비교기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내부 스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maximum power follower circuit includes a first voltage ratio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first power and determining the first reference voltage based on the received first power, A first internal capacitor configured to charge the first power according to a control, a first internal switch coupled between the first internal capacitor and the first node, a first internal capacitor coupled betwee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the first internal capacitor, And a first control circuit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internal switch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the first comparator.

실시 예로서, 상기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 각각은 서로 다르다.In an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to the n-th reference voltage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실시 예로서, 상기 제1 내지 제n 전력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동일한 전력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이고, 상기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서로 동일하다.In an embodiment, at least two of the first to n-th powers are power provided from the same power source, and at least two of the first to the n-th reference voltages are equal to each other.

실시 예로서, 상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활성화하고, 소정의 시간의 경과한 이후에,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비활성화한다.In an embodiment,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activates the first switching signal and deactivates the first switching signal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실시 예로서, 상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 내지 제n 노드 중 어느 하나가 대응하는 기준 전압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비활성화한다.In an embodiment,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activates the first switching signal and deactivates the first switching signal when any one of the second to the n-th nodes reaches a corresponding reference voltage.

실시 예로서, 상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비활성화한 이 후에, 상기 어느 하나의 노드와 연결된 전송 스위치가 턴-온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n 스위칭 신호들을 생성한다.As an embodiment,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generates the first to the n-th switching signals so that the transfer switch connected to any one of the nodes is turned on after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deactivates the first switching signal.

실시 예로서, 상기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n 전력들 각각이 최대 전력이 되는 전압을 가리킨다.In an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to the n-th reference voltages indicates a voltage at which the first to n-th powers become the maximum pow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는 제1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전력의 최대 전력을 추종하는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 상기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전력을 저장하는 제1 입력 캐패시터, 제1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상기 제1 입력 캐패시터 및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1 전송 스위치, 제2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2 전력의 최대 전력을 추종하는 제2 최대 전력 추종 회로, 상기 제2 최대 전력 추종 회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전력을 저장하는 제2 입력 캐패시터, 제2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상기 제2 입력 캐패시터 및 상기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전송 스위치, 및 상기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로부터의 제1 기준 전압 및 상기 제1 입력 캐패시터의 전압의 비교 결과 및 상기 제2 최대 전력 추종 회로로부터의 제2 기준 전압 및 상기 제2 입력 캐패시터의 전압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신호들을 생성하는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캐패시터들의 전압들 중 어느 하나가 대응하는 기준 전압에 도달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입력 캐패시터와 연결된 전송 스위치가 턴-온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신호를 활성화한다.A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aximum power follower circuit for receiving a first power and following a maximum power of the first power, A first transfer switch operative in response to a first switching signal and coupled between the first input capacitor and the output node, a second transfer switch coupled between the first input capacitor and the output node for receiving a second power to follow the maximum power of the second power A second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a second input capacitor for storing the second power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second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and a second switching circuit operating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signal between the second input capacitor and the output node And a comparison result of a first reference voltage from the first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and a voltage of the first input capacitor, and a second comparison result of the second maximum voltage follow- And a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signals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a second reference voltage from the power follower circuit and a voltage of the second input capacitor, 1 and the voltages of the second input capacitors reach a corresponding reference voltage,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signals are activated so that the transfer switch connected to any one of the input capacitors is turned on.

실시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전압들은 서로 다르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oltag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실시 예로서, 상기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는 상기 제1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전력이 최대 전력이 되는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결정하는 제1 전압 비율 제어기, 상기 제1 전압 비율 제어기로부터의 전력을 충전하는 제1 내부 캐패시터, 상기 제1 내부 캐패시터 및 상기 제1 입력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1 스위치, 상기 제1 기준 전압 및 상기 제1 내부 캐패시터의 전압을 비교하는 제1 비교기, 및 상기 제1 비교기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includes a first voltage ratio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first power and determining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t which the first power received is at maximum power, A first switch coupled between the first internal capacitor and the first input capacitor, a first comparator comparing the voltages of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the first internal capacitor, and a second internal capacitor coupled between the first internal capacitor and the first internal capacitor, And a first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first switch based on a result of the first comparator.

실시 예로서, 상기 제2 최대 전력 추종 회로는 상기 제2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2 전력이 최대 전력이 되는 상기 제2 기준 전압을 결정하는 제2 전압 비율 제어기, 상기 제2 전압 비율 제어기로부터의 전력을 충전하는 제2 내부 캐패시터, 상기 제2 내부 캐패시터 및 상기 제2 입력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2 스위치, 상기 제2 기준 전압 및 상기 제2 내부 캐패시터의 전압을 비교하는 제2 비교기, 및 상기 제2 비교기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2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As an embodiment, the second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includes a second voltage ratio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second power and determining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at which the received second power is at maximum power, A second switch coupled between the second internal capacitor and the second input capacitor, a second comparator comparing the voltages of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and the second internal capacitor, and a second comparator coupled between the first internal capacitor and the second internal capacitor, And a second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switch based on the result of the second comparator.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는 다중 입력 전력들을 타임 인터리빙 방식으로 출력함으로써, 다중 전력 소스들 각각으로부터 전력을 낭비 없이 사용할 수 있고, 하나의 전력 변환기를 사용하여 복수의 전력 소스들 각각으로부터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향상된 효율 및 감소된 비용을 갖는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outputs the multiple input powers in a time interleaved manner, so that power can be used without waste from each of the multiple power sources, and the power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power sources Power can be efficiently used. Thus, a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with improved efficiency and reduced cost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다중 입력 전력 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전력 전송 회로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2의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는 도 2의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1의 전력 변환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multiple input power management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view of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of FIG. 1. FIG.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of FIG. 2. FIG.
FIG. 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of FIG. 2. FIG.
5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of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of FIG.
6 is an exemplary graph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of FIG.
FIG. 7 is a graph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of FIG. 2. FIG.
FIG. 8 is a graph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of FIG. 2. FIG.
FIG. 9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power converter of FIG. 1;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한 구성들 및 구조들과 같은 세부적인 사항들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의 벗어남 없이 본문에 기재된 실시 예들의 변형들은 당업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잘 알려진 기능들 및 구조들에 대한 설명들은 명확성 및 간결성을 위하여 생략된다. 본문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능들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며, 특정 기능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들의 정의는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사항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tails such as detailed configurations and structures are provided merely to assist in an overall understanding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Moreover,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structures are omitted for clarity and brevity.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limited to specific functions. Definitions of terms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description in the detailed description.

이하의 도면들 또는 상세한 설명에서의 모듈들은 도면에 도시되거나 또는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구성 요소 이외에 다른 것들과 연결될 수 있다. 모듈들 또는 구성 요소들 사이의 연결은 각각 직접적 또는 비직접적일 수 있다. 모듈들 또는 구성 요소들 사이의 연결은 각각 통신에 의한 연결이거나 또는 물리적인 접속일 수 있다.Modules in the following figures or detailed description may be shown in the drawings or may be connected to others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connections between the modules or components may be direct or non-direct, respectively. The connections between the modules or components may be a communication connection or a physical connection, respect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다중 입력 전력 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중 입력 전력 관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전력 소스들(101~10n),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110), 전력 변환기(120), 및 전력 저장소(13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multiple input power management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a multiple input power management system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101-10n, a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110, a power converter 120, and a power store 130 have.

복수의 전력 소스들(101~10n)은 각각 제1 내지 제n 전력들(PWR1~PWRn)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력 소스들(101~10n) 각각은 태양광, 진동, 회전력, 열 등과 같은 물리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제1 내지 제n 전력들(PWR1~PWRn)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력 소스들(101~10n) 각각은 서로 동일한 에너지원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에너지원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전력 소스들(101~10n) 각각은 태양광 셀, 압전 소자, 태양열 전지, 소형 발전기 등과 같은 전원 생성기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power sources 101 to 10n may output the first to the n-th powers PWR1 to PWRn, respectively. Fo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power sources 101 to 10n can convert physical energy such as sunlight, vibration, rotational power, heat, etc. into electrical energy to output the first to n-th powers PWR1 to PWRn have. 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power sources 101 to 10n may be the same energy source or different energy sources. Illustratively, each of the plurality of power sources 101-10n may be a power generator such as a solar cell, a piezoelectric element, a solar cell, a small generator, and the like.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110)(Multi-Input Power Manager)는 제1 내지 제N 전력 소스들(101~10n)로부터 제1 내지 제n 전력들(PWR1~PWRn)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1 내지 제n 전력들(PWR1~PWRn)을 관리하여, 전력 변환기(120)로 출력 전력(PWR_out)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110)는 제1 내지 제n 전력들(PWR1~PWRn) 각각을 서로 다른 에너지 저장소들(예를 들어, 캐패시터)에 각각 저장하고, 타임 인터리빙 방식으로 제1 내지 제 전력들(PWR1~PWRn)을 출력 전력(PWR_out)으로써 출력할 수 있다.The multi-input power manager 110 receives the first to n-th powers PWR1 to PWRn from the first to Nth power sources 101 to 10n, And can provide the output power PWR_out to the power converter 120 by managing the n-th powers PWR1 to PWRn. For example,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110 may store each of the first through n-th powers PWR1 through PWRn in different energy reservoirs (e.g., capacitors),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electric powers PWR1 to PWRn as the output electric power PWR_out.

좀 더 상세한 예로서,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110)는 제1 내지 제n 전력들(PWR1~PWRn) 각각을 서로 다른 에너지 저장소들(예를 들어, 캐패시터)에 각각 저장하고, 각 에너지 저장소의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는 순서대로 제1 내지 제n 전력들(PWR1~PWRn)을 출력 전력(PWR_out)으로써 출력할 수 있다. 즉,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110)는 복수의 전력 소스들(101~10n)로부터의 전력들(PWR1~PWRn)을 낭비하지 않고, 출력 전력(PWR_out)을 제공할 수 있다.As a more detailed example,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110 stores each of the first through n-th powers PWR1 through PWRn in different energy reservoirs (e.g., capacitors), respectively, The first to n-th powers PWR1 to PWRn may be output as the output power PWR_out in the order that they reach the reference voltage. That is,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110 can provide the output power PWR_out without wasting the powers PWR1 to PWRn from the plurality of power sources 101 to 10n.

전력 변환기(120)는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110)로부터 출력 전력(PWR_out)을 수신하고, 수신된 출력 전력(PWR_out)을 변환하여 변환 전력(PWR_con)을 출력할 수 있다. 전력 변환기(120)는 DC-to-DC 컨버터, AC-to-DC 컨버터, DC-to-AC 컨터버 등과 같은 다양한 전력 변환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converter 120 may receive the output power PWR_out from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110 and convert the received output power PWR_out to output the converted power PWR_con. The power converter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ariety of power conversion devices such as a DC-to-DC converter, an AC-to-DC converter, a DC-to-AC converter,

전력 저장소(130)는 변환 전력(PWR_con)을 수신하고, 수신된 변환 전력(PWR_con)을 저장할 수 있다. 전력 저장소(130)는 배터리, 캐패시터 등과 같은 전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tore 130 may receive the converted power PWR_con and store the received converted power PWR_con. The power storage 130 may include a power storage medium such as a battery, a capacitor, and the like.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110)는 복수의 입력 전력들을 타임 인터리빙 방식으로 출력함으로써, 복수의 전력 소스들 각각으로부터 전력을 낭비 없이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plurality of input powers in a time-interleaved manner, so that power can be used without waste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power sources.

도 2는 도 1의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110)는 제1 내지 제n 최대 전력 추종 회로들(MPPT1~MPPTn), 제1 내지 제n 입력 캐패시터들(CIN1~CINn), 및 전력 전송 회로(111)를 포함한다.FIG. 2 is a detailed view of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of FIG. 1. FIG. 1 and 2,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110 includes first to nth maximum power followers MPPT1 to MPPTn, first to nth input capacitors CIN1 to CINn, Circuit < / RTI >

제1 내지 제n 최대 전력 추종 회로들(MPPT1~MPPTn)(Maximum Power Point Tracking) 각각은 제1 내지 제n 전력 소스들(101~10n)로부터 제1 내지 제n 전력들(PWR1~PWRn)을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들이 각각 최대가 되도록 제1 내지 제n 노드들(N1~Nn)의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내지 제n 최대 전력 추종 회로들(MPPT1~MPPTn)은 제1 내지 제n 노드들(N1~Nn)의 전압들이 각각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VR1~VRn)이 되도록 제1 내지 제n 입력 캐패시터들(CIN1~CINn)로 제1 내지 제N 전력들(PWR1~PWRn)을 저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VR1~VRn) 각각은 제1 내지 제n 전력들(PWR1~PWRn) 각각이 최대 전력으로 제공될 수 있는 전압 레벨을 가리킬 수 있다.Each of the first to nth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s MPPT1 to MPPTn receives the first to n-th powers PWR1 to PWRn from the first to nth power sources 101 to 10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voltages of the first to n < th > nodes N1 to Nn such that the received and received powers are respectively maximum. For example, the first to n-th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s MPPT1 to MPPT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voltages of the first to the n-th nodes N1 to Nn are the first to the n-th reference voltages VR1 to VRn, The first to n-th input capacitors CIN1 to CINn may store the first to Nth powers PWR1 to PWRn. Illustratively, each of the first to n-th reference voltages VR1 to VRn may indicate a voltage level at which each of the first to n-th powers PWR1 to PWRn can be supplied with the maximum power.

전력 전송 회로(111)는 제1 내지 제n 최대 전력 추종 회로들(MPPT1~MPPTn)로부터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VR1~VRn)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VR1~VRn) 및 제1 내지 제n 노드들(N1~Nn)의 전압을 기반으로, 제1 내지 제n 입력 캐패시터들(CIN1~CINn)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된 전력을 출력 전력(PWR_out)으로써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력 전송 회로(111)는 타임 인터리빙 방식을 기반으로 제1 내지 제n 입력 캐패시터들(CIN1~CINn)에 저장된 전력들을 연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The power transfer circuit 111 receives the first to the n-th reference voltages VR1 to VRn from the first to the n-th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s MPPT1 to MPPTn, The power stored in any one of the first to n-th input capacitors CIN1 to CINn is output as the output power PWR_out based on the voltages of the first to n-th nodes N1 to Nn, Can be output. Illustratively, the power transfer circuit 111 may successively output the powers stored in the first to n-th input capacitors CIN1 to CINn based on the time interleaving scheme.

도 3은 도 2의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MPPT1)가 설명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내지 제n 최대 전력 추종 회로들(MPPT2~MPPTn) 또한, 도 3에 도시된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MPPT1)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of FIG. 2. FIG. Illustratively,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MPPT1 is describ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to nth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s MPPT2 to MPPTn may also have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MPPT1 shown in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MPPT1)는 제1 전압 비율 제어기(VRC1), 제1 비교기(COMP1), 제1 제어 회로(CC1), 및 제1 내부 캐패시터(CS1)를 포함한다.2 and 3, the first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MPPT1 includes a first voltage ratio controller VRC1, a first comparator COMP1, a first control circuit CC1, and a first internal capacitor CS1 ).

제1 전압 비율 제어기(VRC1; Voltage Ratio Controller)는 제1 전원 소스(101)와 대응되는 제1 기준 전압(VR1)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원 소스(101)의 종류, 또는 제1 전원 소스(101)와 제1 전압 비율 제어기(VRC) 사이의 임피던스와 같은 요인에 의해, 제1 전력(PWR1)을 최대로 제공할 수 있는 전압 레벨이 바뀔 수 있다. 제1 전압 비율 제어기(VRC)는 제1 전력(PWR1)이 최대로 제공될 수 있는 제1 기준 전압(VR1)을 결정할 수 있다.The first voltage ratio controller VRC1 may generate a first reference voltage VR1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wer source 101. [ The first power PWR1 is maximally provided by a factor such as a type of the first power source 101 or an impedance between the first power source 101 and the first voltage ratio controller VRC The possible voltage levels can be changed. The first voltage ratio controller VRC may determine a first reference voltage VR1 at which the first power PWR1 may be maximally provided.

제1 비교기(COMP1)는 제1 전압 비율 제어기(VRC1)로부터 제1 기준 전압(VR1)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1 기준 전압(VR1) 및 제1 내부 캐패시터(CS1)의 전압(VS1)을 비교할 수 있다. 제1 비교기(COMP1)는 비교 결과를 제1 제어 회로(CC1)로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comparator COMP1 receives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from the first voltage ratio controller VRC1 and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and the voltage VS1 of the first internal capacitor CS1 Can be compared. The first comparator COMP1 may provide the comparison result to the first control circuit CC1.

제1 제어 회로(CC1)는 제1 비교기(COMP1)로부터의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제1 내부 스위치(SSW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부 캐패시터(SC1)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VR1)보다 높은 경우, 제1 제어 회로(CC1)는 제1 내부 스위치(SSW1)를 턴-오프시키고, 제1 내부 캐패시터(SC1)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VR1)보다 낮은 경우, 제1 제어 회로(CC1)는 제1 내부 스위치(SSW1)를 턴-온시킬 수 있다. 제1 제어 회로(CC1)의 스위칭 제어 동작에 의해 제1 노드(N1)의 전압(즉, 제1 입력 캐패시터(CIN1)의 충전 전압)은 제1 기준 전압(VR1)까지 상승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circuit (CC1) can control the first internal switch (SSW1) in response to the comparison result from the first comparator (COMP1). For example, when the voltage of the first internal capacitor SC1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the first control circuit CC1 turns off the first internal switch SSW1, When the voltage of the first switch SC1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the first control circuit CC1 can turn on the first internal switch SSW1.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that is, the charging voltage of the first input capacitor CIN1) can be raised to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by the switching control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circuit CC1.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MPPT1)는 입력된 제1 전력(PWR1)이 최대 전력으로써 공급될 수 있도록, 제1 입력 캐패시터(CIN1)의 충전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MPPT1)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MPPT1)는 잘 알려진 다양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MPPT1 can adjust the charge voltage of the first input capacitor CIN1 so that the input first power PWR1 can be supplied as maximum power. Illustratively, the first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MPPT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s exemplary and the first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MPPT1 may be implemented based on various well known algorithms.

도 4는 도 2의 전력 전송 회로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력 전송 회로(111)는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 및 제1 내지 제N 전송 스위치들(TSW1~TSWn)을 포함한다.FIG. 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of FIG. 2. FIG. 2 and 4, the power transfer circuit 111 includes a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and first to Nth transfer switches TSW1 to TSWn.

제1 내지 제N 전송 스위치들(TSW1~TSWn) 각각은 제1 내지 제N 노드들(N1~Nn)과 연결된다. 제1 내지 제N 전송 스위치들(TSW1~TSWn) 각각은 스위치 제어 회로(TSCC)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to Nth transfer switches TSW1 to TSWn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Nth nodes N1 to Nn. Each of the first to Nth transfer switches TSW1 to TSWn ma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switch control circuit TSCC.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CSS)는 제1 내지 제N 최대 전력 추종 회로들(MPPT1~MPPTn)로부터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VR1~VRn)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VR1~VRn) 및 제1 내지 제N 노드들(N1~Nn)의 전압들을 각각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제1 내지 제N 전송 스위치들(TSW1~TSWn)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내지 제n 스위칭 신호들(SS1~SSn)을 출력할 수 있다.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CSS receives the first to Nth reference voltages VR1 to VRn from the first to Nth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s MPPT1 to MPPTn, The first to Nth transfer switches TSW1 to TSWn are controll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by comparing the voltages of the first to Nth nodes N1 to Nn and the voltages VR1 to VRn of the first to Nth nodes N1 to Nn, 1 to nth switching signals SS1 to SSn.

예를 들어, 제1 노드(N1)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VR1)에 먼저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제1 입력 캐패시터(CIN1)에 저장된 전력이 출력 전력(PWR_out)으로써 출력되도록 제1 전송 스위치(TSW1)를 턴-온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may first reac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In this case, the switch control circuit TSCC can turn on the first transfer switch TSW1 so that the power stored in the first input capacitor CIN1 is output as the output power PWR_out.

예시적으로, 제1 전송 스위치(TSW1)가 턴-온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다른 전송 스위치들(예를 들어, 제2 내지 제n 전송 스위치들(TSW2~TSWn))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llustratively, while the first transfer switch TSW1 remains in the turn-on state, the other transfer switches (e.g., second through n th transfer switches TSW2 through TSWn) .

예시적으로,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제1 노드(N1)의 전력이 일정 레벨로 떨어진 경우,(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최소 레벨로 떨어진 경우) 제1 전송 스위치(TSW1)를 턴-오프할 수 있다. 이후,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대응하는 기준 전압에 도달한 노드와 대응되는 전송 스위치를 턴-온시킬 수 있다. Illustratively,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turns on the first transfer switch TSW1 when the power of the first node N1 has dropped to a certain level (for example, to a predetermined minimum level) Off. Then,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can turn on the transfer switch corresponding to the node that has reached the corresponding reference voltage.

좀 더 상세한 예로서, 제1 내지 제n 최대 전력 추종 회로들(MPPT1~MPPTn) 각각은 제1 내지 제n 전력들(PWR1~PWRn)이 최대가 되도록 제1 내지 제n 노드들(N1~Nn)의 전압들을 제어할 것이다. 이 때, 전력 소스의 종류 또는 특성 및 제1 내지 제n 입력 캐패시터들(CIN1~CINn)의 용량에 따라, 제1 내지 제n 노드들(N1~Nn) 각각의 전압이 기준 전압이 도달하는 시간이 다를 수 있다.As a more detailed example, each of the first to n-th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s MPPT1 to MPPTn includes first to n-th nodes N1 to Nn so that the first to n-th powers PWR1 to PWRn are maximized, ≪ / RTI >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type or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source and the capacitances of the first to n-th input capacitors CIN1 to CINn, the voltage of each of the first to the n-th nodes N1 to Nn reaches the time Can be different.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제1 내지 제N 노드들(N1~Nn)의 전압들 및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VR1~VRn) 각각에 대한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가장 먼저 기준 전압에 도달한 노드와 연결된 입력 캐패시터의 전력이 전력 변환기(120)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n 스위칭 신호들(SS1~SSn)을 제어할 수 있다.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firstly sets the reference voltage VR1 to VR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s of the voltages of the first to Nth nodes N1 to Nn and the first to Nth reference voltages VR1 to VRn, The first to n-th switching signals SS1 to SSn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power of the input capacitor connected to the reached node can be output to the power converter 120. [

이 때, 하나의 스위치가 턴-온된 경우, 나머지 스위치들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노드(N1)의 전압이 목표 전압(즉, 제1 기준 전압(VR1))에 먼저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제1 스위칭 신호(SS1)를 '로직 하이'로 출력할 수 있다. 로직 하이의 제1 스위칭 신호(SS1)에 응답하여, 제1 전송 스위치(TSW1)는 턴-온되고, 제1 캐패시터(C1)에 저장된 전력은 제1 전송 스위치(SW1)를 통해 전력 변환기(120)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전송 스위치(TSW1)가 턴-온 상태인 동안, 제2 노드(N2)의 전압이 제2 기준 전압(VR2)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송 스위치(TSW1)가 턴-온 상태이므로, 제2 전송 스위치(TSW2)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이 후, 제1 전송 스위치(TSW1)가 턴-오프된 이후에, 제2 전송 스위치(TSW2)가 턴-온될 수 있다.At this time, if one switch is turned on, the remaining switches will remain in the turn-off state. For example,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may first reach the target voltage (i.e.,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In this case,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can output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at a logic high level. The first transfer switch TSW1 is turned on and the power stored in the first capacitor C1 is supplied to the power converter 120 via the first transfer switch SW1 in response to the logic high first switching signal SS1, ). ≪ / RTI > At this time, the voltage of the second node N2 may reach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VR2 while the first transfer switch TSW1 is in the turn-on state.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transfer switch TSW1 is in the turn-on state, the second transfer switch TSW2 will remain in the turn-off state. Thereafter, after the first transfer switch TSW1 is turned off, the second transfer switch TSW2 may be turned on.

예시적으로, 제1 노드(N1)의 전압이 최소 전압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또는 제1 전송 스위치(TSW1)가 턴-온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predetermined time)이 경과한 경우, 또는 다른 노드들 중 어느 하나의 노드가 대응하는 기준 전압에 도달한 경우에 제1 전송 스위치(TSW1)가 턴-오프될 수 있다.Illustratively, when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drops below the minimum voltage, or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first transfer switch TSW1 was turned on, The first transfer switch TSW1 may be turned off when any one of the nodes has reached the corresponding reference voltage.

예시적으로,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턴-온되는 동안 어느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제공되는 전력량은 대응하는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력량보다 많을 수 있다. 즉, 대응하는 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속도보다 전력이 전력 변환기(120)로 제공되는 속도가 빠를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amount of power provided through any one switch while the one of the switches is turned on may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power charged into the corresponding capacitor. That is, the speed at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converter 120 may be fast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corresponding capacitor is charged.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110)는 별도의 최대 전력 추종 회로를 통해 복수의 전력들 각각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의 전압 레벨이 대응하는 기준 전압에 도달하는 순서를 기반으로 전력 변환기(12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다중 입력 전력 시스템에서, 하나의 전력 변환기를 사용하여, 복수의 전력들에 대한 낭비 없이 복수의 전력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향상된 효율을 갖는 전력 시스템이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d stores each of a plurality of powers through a separate maximum power follower circuit, and the voltage level of the stored power is set to a corresponding reference voltage To the power converter 120 based on the arriving order. Thus, in a multiple input power system, using a single power converter, multiple powers can be used without waste of multiple powers. Thus, a power system with improved efficiency is provided.

도 5는 도 4의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제1 내지 제N 비교기들(CP1~CPn) 및 타임-인터리브 제어기(TIC)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N 비교기들(CP1~CPn) 각각은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VR1~VRn) 및 제1 내지 제N 노드들(N1~Nn)의 전압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압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5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of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of FIG.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includes first to Nth comparators CP1 to CPn and a time-interleave controller TIC. Each of the first to Nth comparators CP1 to CPn receives the voltages of the first to Nth reference voltages VR1 to VRn and the first to Nth nodes N1 to Nn, And the comparison result can be outputted.

타임-인터리브 제어기(TIC)는 제1 내지 제N 비교기들(CP1~CPn) 각각으로부터 비교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제1 내지 제N 스위치 신호들(SS1~SSn)을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타임-인터리브 제어기(TIC)는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내지 제N 스위치 신호들(SS1~SSn)을 출력할 수 있다. The time-interleave controller TIC receives the comparison result from each of the first to Nth comparators CP1 to CPn and outputs the first to Nth switch signals SS1 to SSn based on the received comparison result. can do. Illustratively, the time-interleave controller TIC may output the first to Nth switch signals SS1 to SS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예시적으로, 제1 내지 제N 비교기들(CP1~CPn)은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교기(CP1)는 제1 노드(N1)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VR1)보다 높은 경우, 로직 하이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비교기(CP1)는 로직 하이의 신호를 출력한 이후에, 제1 노드(N1)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VR1)보다 낮은 제1 최소 전압이 될 때, 로직 로우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 비교기(CP1~CPn)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내지 제N 비교기들(CP2~CPn) 또한, 제1 비교기(CP1)와 유사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first to Nth comparators CP1 to CPn may have a hysteresis characteristic. For example, the first comparator CP1 may output a signal of logic high when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The first comparator CP1 outputs a logic low signal when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becomes the first minimum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after outputting the signal of logic high . That is, the first comparators CP1 to CPn may have a hysteresis characteristic. The second to Nth comparators CP2 to CPn may also have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e first comparator CP1.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110)는 별도의 최대 전력 추종 회로를 통해 복수의 전력들 각각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의 전압 레벨이 대응하는 기준 전압에 도달하는 순서를 기반으로 전력 변환기(12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다중 입력 전력 시스템에서, 하나의 전력 변환기를 사용하여, 복수의 전력들에 대한 낭비 없이 복수의 전력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향상된 효율을 갖는 전력 시스템이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d stores each of a plurality of powers through a separate maximum power follower circuit, and the voltage level of the stored power is set to a corresponding reference voltage To the power converter 120 based on the arriving order. Thus, in a multiple input power system, using a single power converter, multiple powers can be used without waste of multiple powers. Thus, a power system with improved efficiency is provided.

도 6은 도 2의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그래프이다. 예시적으로, 도면의 간결성을 위하여, 각 그래프들은 도식화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그래프는 도식적인 것이며, 실제 전압 또는 신호의 파형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다를 수 있다. 6 is an exemplary graph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of FIG. Illustratively, for the sake of brevity of the drawing, each graph is depicted. That is, the graph shown in FIG. 6 is schematic, and the actual voltage or waveform of the signal may be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도 6에 도시된 그래프들의 X축들은 시간을 가리키고, Y축들은 각각 제1 노드(N1)의 전압, 제2 노드(N2)의 전압, 제3 노드(N3)의 전압 및 제1 내지 제3 스위칭 신호들(SS1, SS2, SS3)의 레벨을 가리킨다.The X-axes of the graphs shown in FIG. 6 indicate time, the Y-axes respectively indicate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the voltage of the second node N2,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And indicates the level of the switching signals SS1, SS2, and SS3.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최대 전력 추종 회로들(MPPT1~MPPT3)은 제1 내지 제3 전력들(PWR1~PWR3)이 최대가 되도록 제1 내지 제3 노드들(N1~N3)의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MPPT1)는 제1 전력(PWR1)을 수신하여, 제1 노드(N1)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VR1)이 되도록 제1 입력 캐패시터(CIN1)를 충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및 제3 최대 전력 추종 회로들(MPPT2, MPPT3)은 각각 제2 및 제3 전력들(PWR2, PWR3)을 수신하여, 제2 및 제3 노드들(N2, N3)의 전압들이 제2 및 제3 기준 전압들(VR2, VR2)이 되도록 제2 및 제3 입력 캐패시터들(CIN2, CIN3)를 충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기준 전압들(VR1~VR3)은 전력 소스의 종류 또는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6, the first to third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s MPPT1 to MPPT3 are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nodes N1 to N3 so that the first to third powers PWR1 to PWR3 are maximized. To N3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first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MPPT1 receives the first power PWR1 so that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becomes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The first input capacitor CIN1 can be charged. Similarly, the second and third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s MPPT2 and MPPT3 receive the second and third powers PWR2 and PWR3, respectively, and the voltages of the second and third nodes N2 and N3 The second and third input capacitors CIN2 and CIN3 to be the second and third reference voltages VR2 and VR2. Illustra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third reference voltages VR1 to VR3 may be different values depending on the type or characteristic of the power source.

제1 시점(t1)에서, 제1 노드(N1)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VR1)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제1 입력 캐패시터(C1)로부터 제1 전송 스위치(TSW1)를 통해 전력이 전력 변환기(120)로 제공될 수 있도록, 제1 스위칭 신호(SS1)를 활성화할 수 있다. 활성화된 제1 스위칭 신호(SS1)에 응답하여, 제1 전송 스위치(TSW1)는 턴-온되고, 턴-온된 제1 전송 스위치(TSW1)를 통해 제1 입력 캐패시터(C1)의 전력이 전력 변환기(120)로 제공될 수 있다.At the first time point t1,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may reac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controls the first switching capacitor (TSCC)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power converter (120) from the first input capacitor The signal SS1 can be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activated first switching signal SS1, the first transfer switch TSW1 is turned on and the power of the first input capacitor C1 is turned on via the first transfer switch TSW1 turned on, (Not shown).

예시적으로, 제1 전송 스위치(TSW1)가 턴-온 상태인 동안,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MPPT1)에 의해 제1 입력 캐패시터(CIN1)에 충전되는 전력량보다 제1 전송 스위치(TSW1)를 통해 전력 변환기(120)로 제공되는 전력량이 더 많을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송 스위치(TSW1)가 턴-온 상태인 동안, 제1 노드(N1)의 전압은 낮아질 수 있다.Illustratively, while the first transfer switch TSW1 is in the turn-on state, the first transfer switch TSW1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capacitor CIN1 by the first maximum power follower circuit MPPT1,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power converter 120 may be greater. That is, as shown in FIG. 6, while the first transfer switch TSW1 is in the turn-on state,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may be lowered.

제2 시점(t2)에서, 제1 노드(N1)의 전압이 제1 최소 전압(VM1)까지 낮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제1 스위칭 신호(SS1)를 비활성화하고, 비활성화된 제1 스위칭 신호(SS1)에 응답하여, 제1 전송 스위치(TSW1)는 턴-오프된다. 예시적으로, 제1 최소 전압(VM1)은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MPPT1)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전압일 수 있다.At the second time point t2,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may be lowered to the first minimum voltage VM1. In this case,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deactivates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and in response to the deactivated first switching signal SS1, the first transfer switch TSW1 is turned off. Illustratively, the first minimum voltage VM1 may be a predetermined voltage by the first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MPPT1.

예시적으로,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제1 내지 제n 전송 스위치들(TSW1~TSWn)이 서로 중복되어 턴-온되지 않도록 제1 내지 제n 스위칭 신호들(SS1~SSn)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점(t1)으로부터 제2 시점(t2)까지의 시간 동안 제3 노드(N3)의 전압이 제3 기준 전압(VR3)에 도달할 수 있다. 제1 시점(t1)으로부터 제2 시점(t2)까지의 시간 동안 제1 전송 스위치(TSW1)가 턴-온 상태이므로,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제3 전송 스위치(TSW3)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3 스위칭 신호(SS3)를 활성화하지 않을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controls the first to n th switching signals SS1 to SSn so that the first to nth transfer switches TSW1 to TSWn do not overlap each other and turn on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may reach the third reference voltage VR3 during the time from the first time point t1 to the second time point t2 . Since the first transfer switch TSW1 is in the turned-on state during the period from the first time point t1 to the second time point t2,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controls the third transfer switch TSW3 to turn- The third switching signal SS3 may not be activated.

제2 시점(t2)에서,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제1 스위칭 신호(SS1)가 턴-오프되었으므로, 제3 전송 스위치(TSW3)가 턴-온되도록 제3 스위칭 신호(SS3)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3 스위칭 신호(SS3)는 제2 시점(t2)으로부터 제3 시점(t3)까지 활성화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제3 시점(t3)에서, 제3 노드(N3)의 전압은 제3 최소 전압(VM3)까지 낮아지고, 이에 응답하여,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제3 스위칭 신호(SS3)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3 최소 전압(VM3)은 제3 최대 전력 추종 회로(MPPT3)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전압일 수 있다.At the second time point t2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activates the third switching signal SS3 so that the third transfer switch TSW3 is turned on since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has been turned off, can do. The third switching signal SS3 may be activated from the second time point t2 to the third time point t3. The voltage at the third node N3 is lowered to the third minimum voltage VM3 and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is responsive to the third switching voltage V3 at the third point of time t3, The signal SS3 can be deactivated. Illustratively, the third minimum voltage VM3 may be a predetermined voltage by the third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MPPT3.

이 후의 동작들은 앞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예를 들어, 제2 시점(t2)으로부터 제3 시점(t3)까지의 시간 동안 제1 노드(N1)가 제1 기준 전압(VR1)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구간에서 제3 스위칭 신호(SS3)가 활성화 상태이므로, 제3 시점(t3)에서, 제3 스위칭 신호(SS3)가 비활성화되고, 제1 스위칭 신호(SS1)가 활성화된다.Subsequent operations operate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first node N1 may reac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for a time from the second time point t2 to the third time point t3. Since the third switching signal SS3 is active in this period, the third switching signal SS3 is deactivated and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is activated at the third time point t3.

제1 스위칭 신호(SS1)는 제3 시점(t3)으로부터 제4 시점(t4)까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이 구간에서, 제2 노드(N2)의 전압이 제2 기준 전압(VR2)에 도달할 수 있고, 제3 노드(N3)의 전압이 제3 기준 전압(VR3)에 도달할 수 있다. 제4 시점(t4)에서, 제어 로직 회로(112)는 제1 스위칭 신호(SS1)를 비활성화하고, 먼저 대응하는 기준 전압에 도달한 노드(즉, 제2 노드(N2))와 대응되는 스위칭 신호(즉, 제2 스위칭 신호(SS2))를 활성화할 것이다.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maintains the active state from the third time point t3 to the fourth time point t4. In this section, the voltage of the second node N2 can reach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VR2, and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can reach the third reference voltage VR3. At a fourth point in time t4, the control logic circuit 112 deactivates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and supplies the switching signal SS1 corresponding to the node (i.e., the second node N2) (I.e., the second switching signal SS2).

앞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제4 시점(t4)으로부터 제5 시점(t5)까지의 시간동안 제2 스위칭 신호(SS2)가 활성화되고, 제5 시점(t5)으로부터 제6 시점(t6)까지의 시간동안 제3 스위칭 신호(SS3)가 활성화되고, 제6 시점(t6)으로부터 제7 시점(t7)까지의 시간동안 제1 스위칭 신호(SS1)가 활성화되고, 제7 시점(t7)으로부터 제8 시점(t8)까지의 시간동안 제2 스위칭 신호(SS2)가 활성화된다.The second switching signal SS2 is activated for the time from the fourth time point t4 to the fifth time point t5 and the second switching signal SS2 is activated for the time period from the fifth time point t5 to the sixth time point t6 The third switching signal SS3 is activat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seventh time t7 to the seventh time t7 and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is activated during the time from the sixth time t6 to the seventh time t7, The second switching signal SS2 is activated for a time period up to the time point t8.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110)는 복수의 최대 전력 추종 회로들을 통해 복수의 전력 소스들로부터 복수의 전력들을 수신하고, 각 전력을 저장하는 캐패시터의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는 순서를 기반으로, 출력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에 대한 낭비 없이 복수의 전력들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향상된 효율을 갖는 다중 입력 전력 시스템이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plurality of powers from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through a plurality of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s, and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storing each power is supplied to the reference voltage Based on the order of arrival, the output power can be output. Thus, multiple powers can be used without wasting power, thus providing a multiple input power system with improved efficiency.

도 7은 도 2의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는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달리,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스위치를 턴-온하는 실시 예이다.FIG. 7 is a graph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of FIG. 2. FIG. For the sake of brevity,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is omitted.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differs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in that the switch is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1 시점(t11)에, 제1 노드(N1)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VR1)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제1 스위칭 신호(SS1)를 활성화한다. 이 때, 도 6의 실시 예와 달리, 도 7의 실시 예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제1 스위칭 신호(SS1)를 활성화한다. 즉, 도 6의 실시 예에서는 노드 전압이 최소 전압에 도달하는 경우 활성화된 스위칭 신호를 비활성화하는 반면에, 도 7의 실시 예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스위칭 신호를 활성화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to FIG. 7, at the eleventh time point t11,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may reac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In this case,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activates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At this time,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6, the embodiment of FIG. 7 activates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for a predetermined time.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FIG. 6, when the node voltage reaches the minimum voltage, the activated switching signal is deactivated, while in the embodiment of FIG. 7, the switching signal is activ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제3 노드(N3)의 전압은 제11 시점(t11)으로부터 제12 시점(t12)까지의 시간 사이에 제3 기준 전압(VR3)에 도달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제12 시점(t12)에서, 제1 스위칭 신호(SS1)가 비활성화되고, 제3 스위칭 신호(SS3)가 활성화된다. 마찬가지로, 제3 스위칭 신호(SS3)는 제12 시점(t12)으로부터 제13 시점(t13)까지의 시간(즉,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활성화된다.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may reach the third reference voltage VR3 between the eleventh time point t11 and the twelfth time point t12. Similarly to the above description, at the twelfth time point t12,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is inactivated and the third switching signal SS3 is activated. Likewise, the third switching signal SS3 is activated for the time from the twelfth viewpoint t12 to the thirteenth viewpoint t13 (i.e., a predetermined time).

이 후, 동작은 앞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수행된다. 예를 들어, 제13 시점(t13)으로부터 제14 시점(t14)까지의 시간(즉,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제1 스위칭 신호(SS1)가 활성화되고, 제14 시점(t14)으로부터 제15 시점(t15)까지의 시간(즉,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제3 스위칭 신호(SS3)가 활성화되고, 제15 시점(t15)으로부터 제16 시점(t16)까지의 시간(즉,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제2 스위칭 신호(SS2)가 활성화되고, 제16 시점(t16)으로부터 제17 시점(t17)까지의 시간(즉,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제1 스위칭 신호(SS1)가 활성화되고, 제17 시점(t17)으로부터 제18 시점(t18)까지의 시간(즉,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제3 스위칭 신호(SS3)가 활성화되고, 제18 시점(t18)으로부터 제19 시점(t19)까지의 시간(즉,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제1 스위칭 신호(SS1)가 활성화되고, 제19 시점(t19)으로부터 제20 시점(t20)까지의 시간(즉,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제2 스위칭 신호(SS2)가 활성화된다.Thereafter, the operation is performed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is activated during the time from the 13th time point t13 to the 14th time point t14 (i.e., the predetermined time), and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is activated from the 14th time point t14 to the 15th time point the third switching signal SS3 is activated during the time from the fifteenth time point t15 to the tenth time point t15 (i.e., the predetermined time) The switching signal SS2 is activated and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is activated for the time from the 16th time point t16 to the 17th time point t17 (i.e., the predetermined time) The third switching signal SS3 is activated during the time from the 18th viewpoint t18 to the 18th viewpoint t18 (i.e., the predetermined time), and the time from the 18th viewpoint t18 to the 19th viewpoint t19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is activat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nineteenth time point t19 to the twentieth time point t20 (i.e., the predetermined time) 2 switching signal SS2 is activated.

상술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110)는 복수의 최대 전력 추종 회로들을 통해 복수의 전력 소스들로부터 복수의 전력들을 수신하고, 각 전력을 저장하는 캐패시터의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는 순서를 기반으로, 출력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110)는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하나의 전력을 출력 전력으로써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에 대한 낭비 없이 복수의 전력들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향상된 효율을 갖는 다중 입력 전력 시스템이 제공된다.4,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plurality of powers from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through a plurality of maximum power follower circuits, The output power can be output based on the order in which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storing the voltage reaches the reference voltage. At this time,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110 can output one power as output p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Thus, multiple powers can be used without wasting power, thus providing a multiple input power system with improved efficiency.

도 8는 도 2의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간결한 설명을 위하여,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들과 달리, 복수의 노드들 중 어느 하나의 노드가 대응하는 기준 전압에 도달한 경우, 어느 하나의 노드와 대응되는 스위칭 신호를 활성화하는 실시 예이다.FIG. 8 is a graph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of FIG. 2. FIG. For the sake of brevity,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is omitted.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differs from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6 and 7 in that when any one of a plurality of nodes reaches a corresponding reference voltage, the switching signal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nodes .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31 시점(t31)에서, 제1 노드(N1)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VR1)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제1 스위칭 신호(SS1)를 활성화한다. 이후 제32 시점(t32)에서, 제3 노드(N3)의 전압이 제3 기준 전압(VR3)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달리, 미리 정해진 시간 또는 최소 전압과 무관하게, 제1 스위칭 신호(SS1)를 비활성화하고, 제3 스위칭 신호(SS3)를 활성화한다. 제33 시점(t33)에서, 제1 노드(N1)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VR1)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제어 로직 회로(112)는 제3 스위칭 신호(SS3)를 비활성화하고, 제1 스위칭 신호(SS1)를 활성화한다. 이 후 동작은 유사하게 진행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2 to 8, at the 31st time point t31,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may reac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In this case,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activates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Thereafter, at the 32nd time point t32,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may reach the third reference voltage VR3. In this case,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deactivates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regardless of the predetermined time or the minimum voltage, unlike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and the third switching signal SS3). At the thirty-third time point t33,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reaches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and accordingly, the control logic circuit 112 deactivates the third switching signal SS3, Thereby activating the switching signal SS1. After this, the operation proceeds similarly.

예를 들어, 제34 시점(t34)에서, 제3 노드(N3)의 전압이 제3 기준 전압(VR3)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제1 스위칭 신호(SS1)를 비활성화하고, 제3 스위칭 신호(SS3)를 활성화한다. 제35 시점(t35)에서, 제1 노드(N1)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VR1)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제3 스위칭 신호(SS3)를 비활성화하고, 제1 스위칭 신호(SS1)를 활성화한다. 제36 시점(t36)에서, 제2 노드(N2)의 전압이 제2 기준 전압(VR2)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제 스위칭 신호(SS1)를 비활성화하고, 제2 스위칭 신호(SS2)를 활성화한다. 제37 시점(t37)에서, 제3 노드(N3)의 전압이 제3 기준 전압(VR3)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제2 스위칭 신호(SS2)를 비활성화하고, 제3 스위칭 신호(SS3)를 활성화한다. 제38 시점(t38)에서, 제1 노드(N1)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VR1)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는 제3 스위칭 신호(SS3)를 비활성화하고, 제1 스위칭 신호(SS1)를 활성화한다.For example, at the 34th time point t34,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reaches the third reference voltage VR3, so that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outputs the first switching signal SS1 And activates the third switching signal SS3. At the 35th time point t35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reaches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and accordingly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deactivates the third switching signal SS3, 1 switching signal SS1. At the tenth time t36, the voltage of the second node N2 reaches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VR2, so that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deactivates the switching signal SS1, Thereby activating the switching signal SS2. At the 37th time point t37,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reaches the third reference voltage VR3, so that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deactivates the second switching signal SS2, 3 Activates the switching signal (SS3). At time t38,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reaches the first reference voltage VR1, so that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deactivates the third switching signal SS3, 1 switching signal SS1.

상술된 바와 같이, 도 5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110)는 복수의 최대 전력 추종 회로들을 통해 복수의 전력 소스들로부터 복수의 전력들을 수신하고, 각 전력을 저장하는 캐패시터의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는 순서를 기반으로, 출력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에 대한 낭비 없이 복수의 전력들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향상된 효율을 갖는 다중 입력 전력 시스템이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plurality of powers from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through a plurality of maximum power follower circuits, The output voltage can be output based on the order in which the voltage of the capacitor reaching the reference voltage. Thus, multiple powers can be used without wasting power, thus providing a multiple input power system with improved efficiency.

예시적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그래프들은 도식화된 그래프들이며, 실제 전원 소스, 전력 환경, 시스템 구성에 따라, 그래프의 기울기, 형태, 파형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Illustratively,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are illustrative for clear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graphs shown in FIGS. 3 to 5 are graphical graphs. Depending on the actual power source, the power environment, and the system configuration, the slope, shape, and waveform of the graph may be variously modified.

도 9는 도 1의 전력 변환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전력 변환기(120)는 인덕터(L), 제1 트랜지스터(TR1), 제2 트랜지스터(TR2), 및 제어 회로(121)를 포함할 수 있다.FIG. 9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power converter of FIG. 1; Referring to FIGS. 1 and 9, the power converter 120 may include an inductor L, a first transistor TR1, a second transistor TR2, and a control circuit 121.

인덕터(L1)의 일단은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110)로부터 출력 전력(PWR_out)을 수신하고, 타단은 제2 노드(N2)와 연결된다. 제1 트랜지스터(TR1)의 일단은 제2 노드(N2)와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 단자와 연결되고, 게이트 전극은 제어 회로(121)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제2 트랜지스터(TR2)의 일단은 제2 노드(N2)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력 저장소(130)와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는 제어 회로(121)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One end of the inductor L1 receives the output power PWR_out from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1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One end of the first transistor TR1 is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and the gate electrode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circuit 121. [ One end of the second transistor TR2 is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storage 130. The gate terminal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circuit 121. [

전력 변환기(120)는 벅-컨버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121)는 제1 트랜지스터(TR1)를 턴-온시킬 수 있다. 이 때, 제2 트랜지스터(TR2)는 턴-오프 상태이다. 제1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된 경우,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110)로부터의 출력 전력(PWR_out)은 인덕터(L)에 축적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제어 회로(121)는 제1 트랜지스터(TR1)를 턴-오프시키고, 제2 트랜지스터(TR2)를 턴-온 시킬 수 있다. 이 때, 인덕터(L)에 저장된 전력은 제2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변환 전력(PWR_con)으로써 전력 저장소(130)로 제공된다. The power converter 120 may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the buck-converter. For example, the control circuit 121 may turn on the first transistor TR1. At this time, the second transistor TR2 is in a turn-off state. When the first transistor TR1 is turned on, the output power PWR_out from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110 can be accumulated in the inductor L. [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control circuit 121 may turn off the first transistor TR1 and turn on the second transistor TR2. At this time, the power stored in the inductor L is supplied to the power storage 130 as the converted power PWR_con through the second transistor TR2.

예시적으로, 제2 노드(N2) 및 전력 저장소(130) 사이에 제2 트랜지스터(TR2) 대신 다이오드(D)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트랜지스터(TR1)가 턴-오프될 때, 인덕터(L)에 저장된 전력에 의해 제2 노드(N2) 전압이 상승하고, 이로 인하여, 다이오드(D)가 턴-온된다. 이 때, 인덕터(L)에 저장된 전력은 다이오드(D)를 통해 전력 저장소(130)로 제공될 수 있다.Illustratively, a diode D may be coupled between the second node N2 and the power storage 130 instead of the second transistor TR2. That is, when the first transistor TR1 is turned off, the voltage stored in the inductor L increases the voltage of the second node N2. As a result, the diode D is turned on. At this time, the power stored in the inductor L may be supplied to the power storage 130 via the diode D.

예시적으로, 제어 회로(121)는 도 2에 도시된 제어 로직 회로(112)에 포함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control circuit 121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logic circuit 112 shown in FIG.

예시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전력 변환기(120)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ㄷ르어, 도 6에 도시된 전력 변환기(120)는 벅-컨버터(buck-converter)의 구조를 가지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변환기(120)는 벅 컨버터, 부스트 컨버터, 벅-부스트 컨버터, DC 쵸퍼 등과 같은 다양한 컨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power converter 120 shown in FIG. 6 is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so limited. For example, the power converter 120 shown in FIG. 6 has a buck-converter structur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wer convert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uck converter, a boost converter, a buck-boost converter, a DC chopper, and the like.

예시적으로,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110) 및 전력 변환기(120)는 별도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110) 및 전력 변환기(120)는 하나의 장치, 하나의 모듈, 또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110 and the power converter 120 are illustrated as separate block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110 and the power converter 120 One device, one module, or one package.

예시적으로, 도 3의 제1 제어 회로(CC1)(또는 다른 최대 전력 추종 회로들에 포함된 제어 회로들), 도 4의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TSCC), 또는 도 5의 타임-인터리브 제어기(TIC)는 하나의 제어 로직 회로 또는 하나의 제어 로직 모듈로써 구현될 수 있다. Illustratively, the first control circuit CC1 of FIG. 3 (or the control circuits included in other maximum power follower circuits),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TSCC) of FIG. 4, or the time-interleave controller TIC) may be implemented as one control logic circuit or one control logic module.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타임 인터리빙 방식을 사용하여 복수의 전력 소스들로부터의 전력을 전력 저장소로 제공함으로써, 전력의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복수의 전력 소스들로부터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컨버터만 사용되기 때문에, 전력 하베스팅 시스템의 소형화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time interleaving scheme to provide power from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to the power storage, power can be efficiently used from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without waste of power .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one converter is used, miniaturization of the power harvesting system is possibl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equivalent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claims.

100: 다중 입력 전력 관리 시스템
101~10n: 제1 내지 제N 전력 소스들
110: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
MPPT1~MPPTn: 제1 내지 제n 최대 전력 추종 회로들
COMP1~COMPn: 제1 내지 제n 비교기들
TSW1~TSWn: 제1 내지 제n 전송 스위치들
TSCC: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
100: Multiple input power management system
101 to 10n: first to Nth power sources
110: Multiple input power manager
MPPT1 to MPPTn: First to n < th > maximum power followers
COMP1 to COMPn: The first to n < th >
TSW1 to TSWn: First to nth transfer switches
TSCC: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Claims (15)

외부로부터 제1 내지 제n (단, n은 1보다 큰 자연수) 전력들 각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전력들을 기반으로 제1 내지 제n 노드들의 전압들을 각각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로 제어하는 제1 내지 제n 최대 전력 추종 회로들;
상기 제1 내지 제n 최대 전력 추종 회로들 각각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n 전력들 각각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n 노드들 각각과 연결되는 제1 내지 제n 입력 캐패시터들;
상기 제1 내지 제n 노드들 각각과 연결되고, 제1 내지 제n 전송 스위칭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n 입력 캐패시터들 각각에 저장된 전력을 출력 전력으로써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1 내지 제n 전송 스위치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 각각 및 상기 제1 내지 제n 노드들 각각의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n 스위칭 신호들을 생성하되, 상기 제1 노드의 제1 기준 전압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1 노드와 연결된 상기 제1 스위치가 턴-온되도록 상기 제1 전송 스위칭 신호를 활성화하는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powers from the outside, and applying voltages of the first to the n-th nodes based on the first to the n-th powers to first to n-th First to n < th >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s for controlling with voltages;
N-th input capacitors connected to the first to the n-th nodes, respectively, and the first to the n-th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s, respectively, field;
N) input capacitors connected to the first to the n-th nodes and outputting, as output power, the power stored in each of the first to the n-th input capacitors in response to the first to the n-th transfer switching signals, N th transfer switches; And
The first to the n-th reference voltages, and the first to the n-th nodes, and generates the first to the n-th switching signal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a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for activating the first transfer switching signal so that when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reached, the first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node is turned 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칭 신호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2 내지 제n 전송 스위치들이 턴-오프되도록 상기 제2 내지 제n 스위칭 신호들을 비활성화하는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deactivates the second to the n-th switching signals so that the second to the n-th transfer switches are turned off when the first switching signal is activ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턴-온된 제1 전송 스위치와 연결된 상기 제1 노드의 전압이 제1 최소 전압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전송 스위치가 턴-오프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비활성화하는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connected to the turned-on first transfer switch reaches a first minimum voltage,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deactivates the first switching signal so that the first transfer switch is turned off Multiple Input Power Manageme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스위치가 턴-오프된 이후에, 상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내지 제n 노드들 중 대응하는 기준 전압에 도달한 전압을 갖는 노드와 연결된 전송 스위치가 턴-온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n 스위칭 신호들을 생성하는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3,
After the first transfer switch is turned off,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controls the transfer switch so that the transfer switch connected to the node having the voltage which has reached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second to the n-th nodes is turned on, 1 to n < th > switching sign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는
상기 제1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전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결정하는 제1 전압 비율 제어기;
상기 제1 전압 비율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전력을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제1 내부 캐패시터;
상기 제1 내부 캐패시터 및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내부 스위치;
상기 제1 기준 전압 및 상기 제1 내부 캐패시터의 전압을 비교하도록 구성되는 제1 비교기; 및
상기 제1 비교기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내부 스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A first voltage ratio controller receiving the first power and determining the first reference voltage based on the received first power;
A first internal capacitor configured to charge the first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voltage ratio controller;
A first internal switch coupled between the first internal capacitor and the first node;
A first comparator configured to compare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the voltage of the first internal capacitor; And
And a first control circuit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internal switch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the first compar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 각각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to n < th > reference voltages is differ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전력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동일한 전력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이고, 상기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서로 동일한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two of said first through n-th powers are powers provided from the same power source, and at least two of said first through n-th reference voltages are identical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활성화하고, 소정의 시간의 경과한 이후에,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비활성화하는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activates the first switching signal and deactivates the first switching signal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 내지 제n 노드 중 어느 하나가 대응하는 기준 전압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비활성화하는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activates the first switching signal and deactivates the first switching signal when any one of the second to the nth nodes reaches a corresponding reference voltag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비활성화한 이 후에, 상기 어느 하나의 노드와 연결된 전송 스위치가 턴-온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n 스위칭 신호들을 생성하는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generates the first to the n-th switching signals such that after the first switching signal is deactivated, the transfer switch connected to any one of the nodes is turned 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n 전력들 각각이 최대 전력이 되는 전압을 가리키는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to n < th > reference voltages indicates a voltage at which each of the first to n < th >
제1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1 전력의 최대 전력을 추종하는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
상기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전력을 저장하는 제1 입력 캐패시터;
제1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상기 제1 입력 캐패시터 및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1 전송 스위치;
제2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2 전력의 최대 전력을 추종하는 제2 최대 전력 추종 회로;
상기 제2 최대 전력 추종 회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전력을 저장하는 제2 입력 캐패시터;
제2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상기 제2 입력 캐패시터 및 상기 출력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전송 스위치; 및
상기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로부터의 제1 기준 전압 및 상기 제1 입력 캐패시터의 전압의 비교 결과 및 상기 제2 최대 전력 추종 회로로부터의 제2 기준 전압 및 상기 제2 입력 캐패시터의 전압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신호들을 생성하는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전송 스위치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캐패시터들의 전압들 중 어느 하나가 대응하는 기준 전압에 도달한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입력 캐패시터와 연결된 전송 스위치가 턴-온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신호를 활성화하는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
A first maximum power follower circuit receiving the first power and following the maximum power of the first power;
A first input capacitor for storing the first pow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first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A first transfer switch operating in response to a first switching signal, the first transfer switch coupled between the first input capacitor and the output node;
A second maximum power follower circuit for receiving the second power and following the maximum power of the second power;
A second input capacitor for storing the second pow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econd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A second transfer switch operating in response to a second switching signal and coupled between the second input capacitor and the output node; And
A comparison result of a first reference voltage from the first maximum power follow-up circuit and a voltage of the first input capacitor and a comparison result of a second reference voltage and a voltage of the second input capacitor from the second maximum power follow- And a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for generating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signals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signals,
The transfer switch control circuit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input capacitors so that when any one of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input capacitors reaches a corresponding reference voltage, the transfer switch connected to any one of the input capacitors is turned- 2 multi-input power manager activating a switching signa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전압들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oltages are differen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최대 전력 추종 회로는,
상기 제1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전력이 최대 전력이 되는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결정하는 제1 전압 비율 제어기;
상기 제1 전압 비율 제어기로부터의 전력을 충전하는 제1 내부 캐패시터;
상기 제1 내부 캐패시터 및 상기 제1 입력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1 스위치;
상기 제1 기준 전압 및 상기 제1 내부 캐패시터의 전압을 비교하는 제1 비교기; 및
상기 제1 비교기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maximum power follow-
A first voltage ratio controller receiving the first power and determining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t which the received first power is at maximum power;
A first internal capacitor charging the power from the first voltage ratio controller;
A first switch coupled between the first internal capacitor and the first input capacitor;
A first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the voltage of the first internal capacitor; And
And a first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first switch based on a result of the first comparato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최대 전력 추종 회로는,
상기 제2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2 전력이 최대 전력이 되는 상기 제2 기준 전압을 결정하는 제2 전압 비율 제어기;
상기 제2 전압 비율 제어기로부터의 전력을 충전하는 제2 내부 캐패시터;
상기 제2 내부 캐패시터 및 상기 제2 입력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2 스위치;
상기 제2 기준 전압 및 상기 제2 내부 캐패시터의 전압을 비교하는 제2 비교기; 및
상기 제2 비교기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2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다중 입력 전력 관리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cond maximum power follow-
A second voltage ratio controller receiving the second power and determining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at which the received second power is at maximum power;
A second internal capacitor charging electric power from the second voltage ratio controller;
A second switch coupled between the second internal capacitor and the second input capacitor;
A second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voltage of the second reference capacitor and the voltage of the second internal capacitor; And
And a second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switch based on a result of the second comparator.

KR1020160063679A 2015-11-13 2016-05-24 Multi input power manager KR1022591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39,567 US10424934B2 (en) 2015-11-13 2016-10-31 Multi-input power mana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59875 2015-11-13
KR1020150159875 2015-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113A true KR20170057113A (en) 2017-05-24
KR102259137B1 KR102259137B1 (en) 2021-06-03

Family

ID=59051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679A KR102259137B1 (en) 2015-11-13 2016-05-24 Multi input power mana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13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097A (en) * 2017-08-25 2019-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Energy harvesting apparatus
KR20190031648A (en) * 2017-09-18 2019-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Energy harvesting apparatus
WO2019098515A1 (en) * 2017-11-16 2019-05-23 전자부품연구원 Energy harvesting system using two or more types of ambient energy
KR20200035685A (en) * 2018-09-27 2020-04-06 전자부품연구원 Energy harvesting system using multiple ambient energy sour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75963A1 (en) * 2006-12-06 2012-07-12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20140103891A1 (en) * 2012-10-16 2014-04-17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lers
WO2015056171A1 (en) * 2013-10-15 2015-04-23 Università Degli Studi Di Palermo Method and system for renewable energy sources management
JP2015139367A (en) * 2014-01-23 2015-07-3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Power conversion apparatus, photovoltaic module, communication device and photovoltaic system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75963A1 (en) * 2006-12-06 2012-07-12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20140103891A1 (en) * 2012-10-16 2014-04-17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lers
WO2015056171A1 (en) * 2013-10-15 2015-04-23 Università Degli Studi Di Palermo Method and system for renewable energy sources management
JP2015139367A (en) * 2014-01-23 2015-07-3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Power conversion apparatus, photovoltaic module, communication device and photovoltaic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097A (en) * 2017-08-25 2019-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Energy harvesting apparatus
KR20190031648A (en) * 2017-09-18 2019-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Energy harvesting apparatus
WO2019098515A1 (en) * 2017-11-16 2019-05-23 전자부품연구원 Energy harvesting system using two or more types of ambient energy
KR20190055915A (en) * 2017-11-16 2019-05-24 전자부품연구원 Energy harvesting system using more than two kinds of ambient energy
KR20210136955A (en) * 2017-11-16 2021-11-1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Energy harvesting system using more than two kinds of ambient energy
KR20200035685A (en) * 2018-09-27 2020-04-06 전자부품연구원 Energy harvesting system using multiple ambient energy sour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137B1 (en)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8918B2 (en) Electrical energy supply system
US9906059B2 (en) Charge and discharge management system and movable power source using the same
JP6018980B2 (en) Free standing power system
KR20170057113A (en) Multi input power manager
TW201904180A (en) Soft-charging of switched capacitors in power converter circuits
EP1919058A2 (en) Power management system with charger and boost converter
US20170179715A1 (en) Power architecture and management scheme for iot applications
KR20160105606A (en) Dc-dc converter, charging integrated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nd battery charging method thereof
US10164532B2 (en) Switched power converter with multiple outputs
CN113741261B (en) Power-on and power-off control circuit and signal output device
JP6990271B2 (en) Charg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s
US9350167B2 (en) Electronic device, power supply control chip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JP6053280B2 (en) Charg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6142024B1 (en) Power storage system and power storage method
JP7297937B2 (en) Step-down circuit, electronic device, and step-down method
CN103246209A (en) Power management system
US10424934B2 (en) Multi-input power manager
CN113746178A (en) Battery charging device, method and controller
CN116388350B (en) Charging control method, energy storage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0601528B (en) Charge pump and storage device
US11362534B2 (en) Battery with switched accumulators
CN107181402B (en) Apparatus for charge recycling
CN115237192A (en) Voltage regulation circuit, method, chip, module, power supply syste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2703653B (en) Charging system and method
KR102308429B1 (en)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heterogeneous energy storag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