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920A -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 Google Patents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920A
KR20170056920A KR1020150160358A KR20150160358A KR20170056920A KR 20170056920 A KR20170056920 A KR 20170056920A KR 1020150160358 A KR1020150160358 A KR 1020150160358A KR 20150160358 A KR20150160358 A KR 20150160358A KR 20170056920 A KR20170056920 A KR 20170056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terminal
facial expression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믹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믹스
Priority to KR1020150160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6920A/ko
Publication of KR20170056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6K9/00335
    • G06K9/20
    • H04N5/225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고객의 표정을 인식하고, 그 인식정보를 점주 단말기로 전송하여, 현재 제품 광고의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인식정보를 토대로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각 제품의 대한 피드백을 진행하여 소비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며, 광고장치를 통해 소비자들로 하여금 능동적으로 이벤트를 참여하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상을 제공토록 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점주 단말기와, 광고 단말기를 마련되게 하여 달성한다.
아울러, 이와 같이, 마련된 상기 광고 단말기는, 표정 인식부와, 광고 저장부와, 인쇄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이미지 변환부와, 송신부와, 인쇄부를 마련되게 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ADVERTISING SYSTEM USING FACE RECOGNITION}
본 발명은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매 매장, 백화점, 음식매장 등 판매가 이루어지는 매장에 구비되어, 행인 또는 구매자들의 표정을 수집하고, 그 수집된 표정 데이터를 통해 제품에 대한 인식정보를 수집하여 그 표정정보를 통해 제품의 만족도 및 불만족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피드백을 가능토록 하는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일반적인 제품판매 매장을 비롯하여, 슈퍼, 마트를 포함하고, 소비자의 표정을 통해 데이터를 습득하고, 이를 광고의 목적으로 사용하려는 매장등의 업체에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근래에 들어, 은퇴 후 자영업을 하는 사람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대형 체인점이 우후죽순으로 증가하는 현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다양한 제품들의 대한 정보를 TV광고 또는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접하더라도, 너무나도 다양한 제품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글로벌화 되는 음식문화에 의해 일식, 양식 등 다양한 식당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사라지기 때문에 음식 제품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경우가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현대를 살아가는 자영업자, 또는 대형업체 등 제품을 판매하는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광고를 통해 제품의 정보를 인식시키고, 제품의 편리성, 맛, 제품의 효과를 간/직접적으로 제공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허나, 대형업체의 제품은 TV광고, 라디오, 팜플렛, 행사 이벤트, 대형업체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이벤트, 할인, 신제품 광고를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반면에, 자영업자들은, 단순한 팜플렛 전달 또는 전광판을 통해 광고를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상기와 같은 전광판을 이용한 광고방법은, 통신망, 내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컨텐츠, 예컨대, 제품광고, 안내메시지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공공장소의 사람들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소비자가 그 광고를 통해 시선을 끌었는지, 그 광고를 통해 고객이 어떠한 느낌을 받았는지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7883호 (2010. 03. 11.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내용을 토대로 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의 표정을 인식하고, 그 인식정보를 점주 단말기로 전송하여, 현재 제품 광고의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인식정보를 토대로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각 제품의 대한 피드백을 진행하여 소비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며, 광고장치를 통해 소비자들로 하여금 능동적으로 이벤트를 참여하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할인쿠폰 및 경품을 제공토록 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은,
각각의 제품이미지를 전송하고, 표정인식 정보를 전달받아 광고별, 시간별, 제품별로 각각 취합하여 저장하는 점주 단말기와;
상기 점주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소비자의 표정을 각 광고별, 시간별, 제품별에 따라 표정을 인식하여 표정인식정보를 상기 점주 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점주 단말기를 통해 전달받은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광고단말기로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은, 고객의 표정을 인식하고, 그 인식정보를 점주 단말기로 전송하여, 현재 제품 광고의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인식정보를 토대로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각 제품의 대한 피드백을 진행하여 소비율을 증진시키며, 광고단말기를 통해 소비자들로 하여금 능동적으로 이벤트를 참여하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상시스템을 제공토록 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의 개략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의 실시 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첨부도면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점주 단말기(100)와, 광고 단말기(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에 있어, 상기 점주 단말기(100)는, 스마트 단말, 넷북, 컴퓨터 등과 같이, 실시간 온라인 접속이 가능하며, 자체 촬영기능 내지 저장된 촬영이미지를 온라인 또는 유선을 통해 후술하는 광고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품 이미지와 같이 가격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에 있어, 상기 광고 단말기(200)는, 매장 내/외, 전광판, 각각에 제품 코너 등 복수로 구비되어, 카메라와 다수의 센서를 통해 입수되는 표정을 희/비, 예컨대, 광고 중의 제품을 보고 찡그리는 영상의 표정을 인식하게 되면 불만족의 표시가 되고, 무표정일 경우는 중립, 웃는 표정일 경우 긍정의 표시로 인식하게되고, 디스플레이중인 광고 및 각 제품에 구비되어 각 제품 및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정보를 전달받아 각 제품 및 광고에 대한 피드백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본 발명의 메인 구성으로써, 이에, 이와 같은, 메인 구성으로서의 광고 단말기(200)는, 표정 인식부(1)와, 광고 저장부(2)와, 제어부(3)와, 디스플레이부(4)로 형성되며, 여기에, 이미지 변환부(5)와, 송신부(6), 인쇄부(7)를 더 마련되게 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광고 단말기(200)에 있어, 상기 표정 인식부(1)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중,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고 그 표정을 얼굴의 형태를 통해 표정을 인식하는 것으로,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장치는 어느 것이든 적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정 인식부(1)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4)와 연계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와 연계되지 않는 형태로 각각의 제품별, 구역별, 각층별, 매장 진입 시, 매장 퇴장 시 등 다양한 형태의 소비자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정 인식부(1)는, 일별, 월별, 분기별, 년도별로 소비자들의 인식정보를 기간별로 취합하여, 상기 점주 단말기(1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점주 단말기(100)로 전달된 인식정보는, 그래프, 도표 등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일별, 월별, 분기별, 년도별로 소비자들의 인식정보를 기간별로 취합하여 제공함에 따라, 상기 각 기간별 인식정보가 좋았던 제품 및 이벤트와, 그에 따른 소비성향의 변화, 트렌드의 변화를 직관적,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소비성향에 맞추어 제품을 준비, 출시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제품판매 및 고객유치 등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표정 인식부(1)의 얼굴 인식 방법의 경우, 종래의 얼굴인식장치와 특별한 차이점이 없으며, 그로 인한 자세한 설명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광고 단말기(200)에 있어, 상기 광고 저장부(2)는, 상기 점주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광고를 저장하고, 각각의 광고를 판매물품광고, 매장광고, 체인점광고, 일반광고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4)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광고의 출력 시간을 동시에 카운트함으로써, 광고 노출시간을 결합된 형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고 단말기(200)에 있어, 상기 제어부(3)는, 상기 점주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각각의 구성요소로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고 단말기(200)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부(4)는, 상기 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의해 영상 출력 할 수 있는 것으로, 제품 판매 매장의 내/외, 길, 가판대 등 모두 적용이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4)는, 광고 중 노출되어 보상을 제공하는 QR코드와, 이벤트 참여 및 보상제공을 위한 소비자의 휴대폰 단말기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전면부가 터치패드모듈로 구비되거나 또 다른 터치패드모듈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부(4)를 통해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보상을 제공할 때, 소비자들이 집중되고, 이를 지나가는 행인들로 하여금 장사가 잘되는 집, 또는 맛집 등과 같은 인식을 심어줄 수 있고, 제공되는 보상으로 하여금 소비자들이 구매 욕구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소비촉진을 자극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공되는 보상으로는, 쿠폰, 할인쿠폰, 구매쿠폰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단말기(200)에 있어, 상기 이미지 변환부(5)는, 상기 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점주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광고 이미지를 상기 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4)의 출력구역에 맞춰 자동변환 되도록 하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점주 단말기(100)를 통해 전달된 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를 통해 출력될 때, 제품 이미지와 함께 가격, 할인율, 행사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텍스트 구역을 제외한 나머지 구역에 상기 전달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고 단말기(200)에 있어, 상기 송신부(6)는, 상기 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4)를 통해 수집된 소비자 휴대폰번호를 통해 통신망을 통해 소비자 휴대폰 단말기로 보상정보를 발송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송신부(6)는 통신망을 통해 보상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어떤 수단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또한, 상기 광고 단말기(200)에 있어, 상기 인쇄부(7)는, 상기 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4)의 조작을 통해 획득한 보상정보를 인쇄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인 바, 이는, 근래의 들어 개인정보가 중요해짐에 따라, 소비자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반감을 갖는 소비자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인쇄한 뒤 제공토록 하는 것으로, 이는 각각의 소비자들에게 적합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시스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그 구축된 시스템을 통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일반적인 식품 매장, 예컨대, 스타벅스의 경우, 매장 전면부 외벽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점주 단말기(100)를 통해, 오늘의 커피(라떼), 생과일 음료(토마토)를 디스플레이 하고, 가장 신선하고, 보편적인 점심시간 12~14시에 30%할인 한다는 광고를 디스플레이 하게된다.
이때, 상기 광고는, 스타벅스 전반적인 체인점에서 제공하는 광고일 수 있고, 지점의 점주가 선정한 광고 일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매장내의 구비된 생과일, 원두, 머그잔, 텀블러, 빵 각각의 코너마다 광고 단말기(200)에 구비된 표정 인식부(1)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표정을 수집한다.
이때, 가격이 높게 측정된 텀블러를 볼 때의 소비자 표정이 전반적으로 불만족 데이터가 수집될 경우, 점주 또는 스타벅스의 전반적인 텀블러의 가격을 하락 시키거나, 텀블러 할인 이벤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표정데이터를 통한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인식정보를 점주 단말기로 전송하여, 현재 제품 광고의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일별, 월별, 분기별, 년도별로 소비자들의 인식정보를 기간별로 취합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기간별 인식정보를 토대로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실시예 2>
일반적인 식품 매장, 예컨대, 스타벅스의 경우, 매장 전면부 외벽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점주 단말기(100)를 통해, 오늘의 커피(라떼), 생과일 음료(토마토)를 디스플레이 하고, 가장 신선하고, 보편적인 점심시간 12~14시에 30%할인 한다는 광고를 디스플레이 하게된다.
이때, 상기 광고는 매장내의 점주 단말기(100)를 통해 전달된 이미지와 함께 할인정보를 제공토록 하며, 디스플레이부(4) 일측에 스타벅스의 "할인데이" 또는 "제품명" 과 같은 퀴즈를 제공하고, 정답을 맞춘 소비자에게 할인쿠폰, 무료쿠폰, 경품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이부(4)에 마련된 터치패드 또는 입력장치를 통해 소비자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게 되어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고,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실시간 인쇄를 선택할 경우, 상기 인쇄부(7)를 통해 보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매장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광고 단말기를 통해 소비자들로 하여금 능동적으로 이벤트를 참여하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할인쿠폰 및 경품을 제공토록 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점주 단말기
200 : 광고 단말기
1 : 표정 인식부
2 : 광고 저장부
3 : 제어부
4 : 디스플레이부
5 : 이미지 변환부
6 : 송신부
7 : 인쇄부

Claims (8)

  1. 각각의 제품이미지를 전송하고, 표정인식 정보를 전달받아 광고별, 시간별, 제품별로 각각 취합하여 저장하는 점주 단말기(100)와;
    상기 점주 단말기(10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소비자의 표정을 각 광고별, 시간별, 제품별에 따라 표정을 인식하여 표정인식정보를 상기 점주 단말기(100)로 전달하고, 상기 점주 단말기(100)를 통해 전달받은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광고단말기(200)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단말기(200)는, 소비자의 표정을 카메라를 통해 입수되는 영상과, 다수의 센서를 통해 소비자의 표정을 인식하고, 만족도를 판단하여 저장하는 표정 인식부(1)와;
    상기 점주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광고를 저장하는 광고 저장부(2)와;
    상기 점주 단말기(100)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구성요소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3)와;
    상기 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따라 광고이미지 또는 광고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정인식부(1)는, 일별, 월별, 분기별, 년도별로 소비자들의 인식정보를 기간별로 취합하여, 상기 점주 단말기(100)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저장부(2)는, 각각의 광고를 판매물품광고, 매장광고, 체인점광고, 일반광고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4)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광고의 출력 시간을 동시에 카운트함으로써, 광고 노출시간을 결합된 형태로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는, 광고 중 노출되는 이벤트 참여를 위해 소비자의 휴대폰 단말기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4)가 터치패드모듈로 구비되거나 또 다른 터치패드모듈장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단말기(200)는, 상기 점주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광고 이미지를 상기 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4)의 출력구역에 맞도록 자동변환 되도록 하는 이미지 변환부(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단말기(200)는, 소비자에게 보상을 제공토록 하기 위한 인쇄부(7)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단말기(2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를 통해 입력된 소비자의 휴대폰 단말기 번호로 보상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송신부(6)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KR1020150160358A 2015-11-16 2015-11-16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KR20170056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358A KR20170056920A (ko) 2015-11-16 2015-11-16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358A KR20170056920A (ko) 2015-11-16 2015-11-16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920A true KR20170056920A (ko) 2017-05-24

Family

ID=5905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358A KR20170056920A (ko) 2015-11-16 2015-11-16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69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ein et al. Towards the identification of customer experience touch point elements
Husić-Mehmedović et al. Seeing is not necessarily liking: Advancing research on package design with eye-tracking
US95755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assisting a customer at a product retail location
US20100191631A1 (en) Quantitative media valu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CN107705432A (zh) 一种自动售货机、信息展示的方法及信息展示的系统
KR20140027486A (ko) 관련 콘텐츠 전달
Yim et al. In-store video advertising effectiveness: three new studies provide in-market field data
US20080230604A1 (en) System for optimizing on-premises advertisements
van de Sanden et al. How do consumers process digital display ads in-store? The effect of location, content, and goal relevance
Ekiyor et al. Marketing communication and promotion in health services
AU2010257332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effectiveness of marketing
Carter New frontier, new power: the retail environment in Australia’s dark market
Van De Sanden et al. Digital signage in the store atmosphere: balancing gains and pains
CN104050581A (zh) 一种基于移动终端软件的媒体广告即时购买及展示方式
JP2012098730A (ja) デジタル情報ディスプレイ装置
AU2016299550A1 (en) On-line advertisement method using advertisement website
KR20170056920A (ko) 표정인식 기능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DE202012000066U1 (de) Vorrichtung 1 zur Ausgabe kostenfreier Muster und/oder Werbeartikel unterschiedlicher Produkte, wie sie im Original für gewöhnlich gegen Bezahlung im Supermarkt, Kaufhaus oder Drogeriefachgeschäft erhältlich sind
JP2017520874A (ja) 飲料購入環境用コンテンツ配給プラットフォーム
CN112163914A (zh) 一种智能化电梯广告管理系统
Bercik et al. Advanced mapping and evaluation of consumer perception and preferences on the car market based on eye-tracking
KR20140024684A (ko) 소울 패키지상의 qr코드를 이용한 리서치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210705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irect advertising information to an augmented reality device
JP2004326746A (ja) 試供品配布管理方法及び試供品配布補助装置
Pretorius et al. The Contribution of Eye Tracking to Brand Awareness Stu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