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805A - 망사자루 상단부의 연속적인 벤딩장치 - Google Patents

망사자루 상단부의 연속적인 벤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805A
KR20170056805A KR1020150160052A KR20150160052A KR20170056805A KR 20170056805 A KR20170056805 A KR 20170056805A KR 1020150160052 A KR1020150160052 A KR 1020150160052A KR 20150160052 A KR20150160052 A KR 20150160052A KR 20170056805 A KR20170056805 A KR 20170056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uide
bending
press
draw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화
윤주평
Original Assignee
정석화
윤주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화, 윤주평 filed Critical 정석화
Priority to KR1020150160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6805A/ko
Publication of KR20170056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9/00Sacks or like containers made of fabrics; Flexible containers of open-work, e.g. net-like construction
    • B65D29/04Net-like container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8Strings or strip-like closures, i.e. draw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입가이드(Guide)부를 통과하는 망사자루의 상단부에 대해 일정한 폭으로 여밈단이 자동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연속적인 벤딩을 시켜주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망사자루의 상단부가 벤딩 형성되는 여밈단에 조임끈인입구를 통해 끼워지는 조임끈을 인입 가이드시켜 주기 위한 조임끈가이드부; 상기 조임끈가이드부의 조임끈인입구와 조임끈인출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롤러(Guide Roller)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롤러와 압입롤러 사이에 압입되면서 상기 조임끈을 둘러싸도록 여밈단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게 벤딩시켜 주기 위해 상기 조임끈인출구 쪽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상단부를 나선형 윙의 내측으로 인입 가이드시켜 주기 위한 벤딩가이드부; 상기 벤딩가이드부를 통과하는 여밈단에 대해 이송부재에 안착되도록 노루발로 눌러주면서 재봉바늘로 박음질 처리되는 박음질부; 상기 박음질부에서 박음질 처리된 여밈단을 전방향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해 상기 이송부재에 구동캠(Cam)에서 발생된 좌우 왕복 구동력을 연결부에 연결된 구동전달부재를 통해 전달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구동캠(Cam)에서 발생된 좌우 왕복 구동력을 링크로드(Link Road)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단방향 견인롤러(Roller)와 상기 단방향 견인롤러와 압입롤러(Roller) 사이에 압입된 여밈단을 견인시켜 주기 위한 견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망사자루 상단부의 연속적인 벤딩장치{APPARATUS FOR BENDING OF MESH SACK}
본 발명은 망사자루의 상단부에 대한 연속적인 벤딩(Bending)을 시켜주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인입가이드(Guide)부를 통과하는 망사자루의 상단부에 대해 일정한 폭으로 여밈단이 자동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연속적인 벤딩을 시켜주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망사자루는 양파, 배추 등과 같은 물품의 포장과 유통 및 보관을 위해 통풍이 잘되는 망사 형태의 원단 예컨대, 폴리에틸렌 재질의 모노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이와 같은 망사자루는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2395호(2014년 04월 25일)로 공개된 '양파 운반용 대형 망사자루'(이를 '문헌 1'이라 한다.)에 의해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언급된 문헌 1에 대해 살펴보면, 원단을 적정한 길이로 재단한 다음 하단부는 봉합단(22)을 처리하고, 상단부는 조임끈(24)을 넣을 수 있도록 일정한 폭으로 접어서 여밈단(23)을 형성한 다음 재봉기로 박음 처리를 하여 상기 조임끈(24)이 당겨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여밈단(23)을 박음 처리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일일이 여밈단(23)을 손으로 접어줘야만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입가이드(Guide)부를 통과하는 망사자루의 상단부에 대해 일정한 폭으로 여밈단이 자동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연속적인 벤딩(Bending)을 시켜 주는 것에 의해 후공정인 상기 여딤단에 대한 박음질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는 망사자루의 상단부가 벤딩 형성되는 여밈단에 조임끈인입구를 통해 끼워지는 조임끈을 인입 가이드시켜 주기 위한 조임끈가이드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임끈가이드부의 조임끈인입구와 조임끈인출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롤러(Guide Roller)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롤러와 압입롤러(330) 사이에 압입되면서 상기 조임끈을 둘러싸도록 여밈단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게 벤딩시켜 주기 위해 상기 조임끈인출구 쪽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상단부를 나선형 윙의 내측으로 인입 가이드시켜 주기 위한 벤딩가이드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벤딩가이드부를 통과하는 여밈단에 대해 이송부재에 안착되도록 노루발로 눌러주면서 재봉바늘로 박음질 처리되는 박음질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박음질부에서 박음질 처리된 여밈단을 전방향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해 상기 이송부재에 구동캠(Cam)에서 발생된 좌우 왕복 구동력을 연결부에 연결된 구동전달부재를 통해 전달하는 이송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의 구동캠(Cam)에서 발생된 좌우 왕복 구동력을 링크로드(Link Road)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단방향 견인롤러(Roller)와 상기 단방향 견인롤러와 압입롤러(Roller) 사이에 압입된 여밈단을 견인시켜 주기 위한 견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대한 구성수단 및 다양한 과정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일실시사례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여 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입가이드부를 통과하는 망사자루의 상단부에 대해 일정한 폭으로 여밈단이 자동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연속적인 벤딩을 시켜 줄 수 기 때문에 망사자루 제조시 작업성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망사자루의 상단부에 대한 연속적인 벤딩이 이루지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망사자루의 상단부에 대한 연속적인 벤딩이 이루지면서 박음질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조임끈가이드부에 일체로 구비된 벤딩가이드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있어서, 조임끈인출구 쪽에서 바라본 벤딩가이드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가이드롤러에 압입롤러가 압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있어서, 망사자루의 상단부가 가이드롤러와 압입롤러 사이에 압입되어 벤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단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망사자루를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수단과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써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적인 구성수단 및 일실시 사례들이 제한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들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망사자루 상단부의 연속적인 벤딩장치에 대한 그 일실시 사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망사자루(600)는 원단을 적정한 길이로 재단한 다음 하단부(602)에 봉합단(610)을 재봉실로 박음질(611)처리하고, 상단부(601)는 조임끈(640)을 넣을 수 있도록 일정한 폭(W1)으로 벤딩(Bending)(630)시켜 여밈단(620)을 형성한 다음 박음질(621)처리를 하여 상기 조임끈(640)이 당겨질 수 있도록 제조하여 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망사자루(600)를 제조하기 위한 벤딩(Banding)장치(100)는 박음질부(200)와 인입가이드(Guide)부(300), 견인부(400), 이송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망사자루(600)의 상단부(601)가 벤딩(630) 형성되는 여밈단(620)에 조임끈인입구(351)를 통해 끼워지는 조임끈(640)을 인입 가이드(Guide)시켜 주기 위한 조임끈가이드(Guide)부(350)가 후술되는 벤딩가이드(Bending Guide)부(360)에 구비된 지지부(362)를 통해 작업대(510)에 설치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상기 조임끈가이드부(350)는 조임끈인입구(351)를 통해 조임끈(640)의 인입 작용이 용이하도록 통공된 테이퍼(Taper) 형상으로 구비되고, 이는 작업대(5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5 내지 30˚(도) 범위의 경사각(K1)으로 설치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상기 조임끈가이드부(350)에는 조임끈인출구(352) 쪽에 인접하여 벤딩가이드부(360)를 구비시켜 줌과 함께 상기 조임끈인입구(351)와 조임끈인출구(352) 사이에는 회전 가능한 가이드롤러(Guide Roller)(370)를 구비시킨 구성으로 된다.
상기 벤딩가이드부(360)는 망사자루(600)의 상단부(601)가 조임끈(640)을 둘러싸도록 가이드롤러(Guide Roller)(370)와 압입롤러(Roller)(330) 사이에 압입되면서 여밈단(620)이 일정한 폭(W1)으로 형성되게 벤딩(Bending)(630)시켜 주도록 상기 상단부(601)를 나선형으로 형성된 윙(Wing)(361)의 내측으로 인입 가이드(Guide)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망사자루(600)의 상단부(601)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대(510)를 둘러싼 상태에서 상기 상단부(601)가 조임끈가이드부(350)에 구비된 조임끈인출구(352) 부위의 외피를 감싸도록 화살표(다) 방향으로 밀어 넣어주면서 벤딩가이드부(360)의 윙(361) 내측으로 인입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벤딩가이드부(360)에서 벤딩(630) 형성되는 여밈단(620)의 폭(W1)은 상기 외피를 감싸기 시작하는 윙(361)의 오픈(Open)된 인입기점(361a)에서 윙(361)의 클로즈(Closed)된 종점(361b)까지의 거리(L1)로 산출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압입롤러(330)는 첨부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Taper) 형상으로 구비되고, 지름이 큰 쪽의 단부외주면(331)이 상기 언급된 경사각(K1) 범위로 설치된 조임끈가이드부(350)에 구비시킨 가이드롤러(370)의 외주면(371)에 접촉되어 모터(Motor) 등과 같은 구동수단(340)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프렉시블(Flexible) 구동축(341)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면서 가이드롤러(370)와 압입롤러(330) 사이에 압입된 망사자루(600)의 상단부(601)에 대해 벤딩(630)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입롤러(330)의 지름이 큰 쪽의 단부외주면(331)이 가이드롤러(370)에 접촉시켜 주는 이유는 견인부(400)에서의 여민단(620)에 대한 견인에 따른 압입롤러(330)의 압입력이 커질 경우에는 자칫 이로 인해 망사자루(600)의 원단이 찢어질 우려가 있다.
이는 결국 상기 망사자루(600)의 상단부(601)에 대한 원활한 벤딩(630) 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원단 재질의 종류에 따라 가이드롤러(370)에 접촉되는 압입롤러(330)의 위치를 변경시켜 주는 것에 의해 압입력의 적절한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압입롤러(330)는 센싱(Sensing) 수단(도시 생략함.)에 의해 망사자루(600)의 상단부(601)가 벤딩가이드부(360)의 윙(361)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이 감지되면 콘트롤러(Controller)(도시 생략함.)에 구비된 프로그램 제어에 의해 에어실린더(Air Cylinder)(310)에서 발생된 에어 구동력으로 연결부(320)를 통해 연결된 가이드롤러(370)를 눌러서 망사자루(600)의 상단부(601)를 압입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370)에 접촉되는 압입롤러(330)는 망사자루(600)의 상단부(601)에 대한 압입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 마찰력을 생성하는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구성으로 된다.
또 다른 일실시사례로 상기 압입롤러(330)는 그 표면에 미끄럼방지수단(도시 생략함.)으로 마찰력을 생성하는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코팅(Coating)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앞에 열거된 재질들로 제한 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압입롤러(330)는 여밈단(620)에 대한 재봉바늘(232)의 박음질(621) 설정 횟수(Ns1)가 카운트 횟수(Nc1)와 일치하면(Ns=Nc), 살기 상기 압입롤러(330)를 가이드롤러(370)로부터 압입 해제시켜 주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노루발(222)도 압입롤러(330)가 압입 해제되고 난 후, 이를 기점으로 조임끈(640)이 설정된 길이(L2) 만큼 단방향 견인롤러(Roller)(440)에 의해 견인되고 나면 해제시켜 주게 되고, 이어서 상기 조임끈(640)을 칼날이나 열선 등과 같은 컷팅(Cutting) 수단으로 컷팅시켜 벤딩(Banding)장치(100)로부터 망사자루(600)를 분리시켜 주게 된다.
상기 재봉바늘(232)의 박음질(621) 카운트 횟수(Nc1)는 센싱(Sensing) 수단에 의해 카운트(Count)되고, 상기 조임끈(640)의 설정된 길이(L2)는 재봉바늘(232)의 박음질(621) 카운트 횟수(Nc1) 즉, 박음질(621) 횟수를 기준으로 하는 길이를 산출하여 설정하여 주게 되는데, 이는 모두 콘트롤러(Controller)에 구비된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되어 제어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벤딩가이드부(360)를 통과하는 여밈단(620)에 대해 톱날 형상의이송날(521)이 한 방향으로 형성된 이송부재(520)에 안착시켜 준 다음 에어실린더(Air Cylinder)(210)에서 발생된 에어 구동력에 의해 노루발구동부(220)에 연결된 노루발(222)로 상기 여밈단(620)을 눌러주게 되고, 이어서 구동캠(Cam)(240)에서 발생된 상하 캠 구동력에 의해 재봉바늘구동부(230)에 연결된 재봉바늘(232)로 상기 여밈단(620)을 박음질(621) 처리하여 주는 박음질부(200)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노루발구동부(220)와 재봉바늘구동부(230)는 금속제로 구비된 바디(Body)(201)에 내장 설치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박음질부(200)에서 박음질(621) 처리된 여밈단(620)을 전(前)방향(가)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해 상기 이송부재(520)에 구동캠(Cam)(540)에서 발생된 좌우 왕복 구동력을 연결부(522, 542)에 연결된 구동전달부재(530)를 통해 전달하는 이송부(50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500)의 구동캠(Cam)(540)에서 발생된 좌우 왕복 구동력을 링크로드(Link Road)(550)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단방향 견인롤러(Roller)(440)가 구성되고, 상기 단방향 견인롤러(440)와 압입롤러(Roller)(430) 사이에 압입된 여밈단(620)을 견인시켜 주기 위한 견인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단방향 견인롤러(440)는 이송부재(520)가 전방향(가)으로 구동할 때마다 상기 링크로드(550)에 의해 회전 구동하여 여밈단(620)이 견인되고, 후(後)방향(나)으로 구동할 때는 클러치베어링(Clutch Bearing) 등과 같은 역회전 방지수단에 의해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압입롤러(430)는 연결부(420)를 통해 연결된 에어실린더(Air Cylinder)(410)에서 발생된 에어 구동력에 의해 단방향 견인롤러(440)를 압입 즉, 눌러서 여밈단(620)을 견인시켜 주게 된다.
이어서,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조임끈(640)이 컷팅(Cutting) 수단으로 컷팅되고 나면 단방향 견인롤러(440)로부터 압입 해제시켜 주게 되는데, 이 또한 콘트롤러(Controller)에 구비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 단방향 견인롤러(440)와 이에 접촉되는 압입롤러(430)는 여밈단(620)에 대한 견인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 마찰력을 생성하는 미끄럼방지수단(432, 442)을 구비시킨 구성으로 된다.
상기 미끄럼방지수단(432, 442)은 압입롤러(430)의 표면에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코팅(Coating)시켜 주거나, 또는 압입롤러(430)의 표면에 마찰력을 생성하는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 외피를 제작하여 끼워주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앞에 열거된 재질들로 제한 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입가이드부(300)를 통과하는 망사자루(600)의 상단부(601)에 대해 일정한 폭(W1)으로 여밈단(620)이 자동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연속적인 벤딩(630)을 시켜 줄 수 기 때문에 망사자루(600)의 제조시의 작업성을 향상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241, 541은 캠축이고, 332, 431, 441은 롤러축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다양한 일실시사례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100 : 벤딩(Banding)장치
200 : 박음질부
201 : 바디(Body)
210, 310, 410 : 에어실린더(Air Cylinder)
320, 420, 522, 542 : 연결부
220 : 노루발구동부
222 : 노루발
230 : 재봉바늘구동부
232 : 재봉바늘
240, 540 : 구동캠(Cam)
241, 1541 : 캠축
300 : 인입가이드(Guide)부
330, 430 : 압입롤러(Roller)
331 : 단부외주면
332, 431, 441 : 롤러축
340 : 구동수단
341 : 구동축
350 : 조임끈가이드(Guide)부
351 : 조임끈인입구
352 : 조임끈인출구
360 : 벤딩가이드(Bending Guide)부
361 : 윙(Wing)
361a : 인입기점
361b : 종점
362 : 지지부
370 : 가이드롤러(Guide Roller)
371 : 외주면
400 : 견인부
440 : 단방향 견인롤러(Roller)
432, 442 : 미끄럼방지수단
500 : 이송부
510 : 작업대
520 : 이송부재
521 : 이송날
530 : 구동전달부재
550 : 링크로드(Link Road)
600 : 망사자루
601 : 상단부
602 : 하단부
610 : 봉합단
611, 621 : 박음질
620 : 여밈단
630 : 벤딩(Bending)
640 : 조임끈

Claims (5)

  1. 망사자루(600)의 상단부(601)가 벤딩(630) 형성되는 여밈단(620)에 조임끈인입구(351)를 통해 끼워지는 조임끈(640)을 인입 가이드시켜 주기 위한 조임끈가이드부(350);
    상기 조임끈가이드부(350)의 조임끈인입구(351)와 조임끈인출구(35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롤러(Guide Roller)(37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롤러(370)와 압입롤러(330) 사이에 압입되면서 상기 조임끈(640)을 둘러싸도록 여밈단(620)이 일정한 폭(W1)으로 형성되게 벤딩(630)시켜 주기 위해 상기 조임끈인출구(352) 쪽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상단부(601)를 나선형 윙(361)의 내측으로 인입 가이드시켜 주기 위한 벤딩가이드부(360);
    상기 벤딩가이드부(360)를 통과하는 여밈단(620)에 대해 이송부재(520)에 안착되도록 노루발(222)로 눌러주면서 재봉바늘(232)로 박음질(621) 처리되는 박음질부(200);
    상기 박음질부(200)에서 박음질(621) 처리된 여밈단(620)을 전방향(가)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해 상기 이송부재(520)에 구동캠(540)에서 발생된 좌우 왕복 구동력을 연결부(522, 542)에 연결된 구동전달부재(530)를 통해 전달하는 이송부(500);
    상기 이송부(500)의 구동캠(540)에서 발생된 좌우 왕복 구동력을 링크로드(550)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단방향 견인롤러(440)와 상기 단방향 견인롤러(440)와 압입롤러(430) 사이에 압입된 여밈단(620)을 견인시켜 주기 위한 견인부(4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자루 상단부의 연속적인 벤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가이드부(360)에서 벤딩(630) 형성되는 여밈단(620)의 폭(W1)은 조임끈가이드부(350)에 구비된 조임끈인출구(352) 부위의 외피를 감싸기 시작하는 윙(361)의 오픈된 인입기점(361a)에서 윙(361)의 클로즈된 종점(361b)까지의 거리(L1)로 산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자루 상단부의 연속적인 벤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끈가이드부(350)는 통공된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어 작업대(5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5 내지 30˚(도) 범위의 경사각(K1)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자루 상단부의 연속적인 벤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롤러(330)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고, 지름이 큰 쪽의 단부외주면(331)이 가이드롤러(370)의 외주면(371)에 접촉되어 회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자루 상단부의 연속적인 벤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롤러(330)는 여밈단(620)에 대한 재봉바늘(232)의박음질(621) 설정 횟수(Ns1)가 카운터 횟수(Nc1)와 일치하면(Ns=Nc), 가이드롤러(370)로부터 압입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자루 상단부의 연속적인 벤딩장치.
KR1020150160052A 2015-11-14 2015-11-14 망사자루 상단부의 연속적인 벤딩장치 KR20170056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052A KR20170056805A (ko) 2015-11-14 2015-11-14 망사자루 상단부의 연속적인 벤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052A KR20170056805A (ko) 2015-11-14 2015-11-14 망사자루 상단부의 연속적인 벤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805A true KR20170056805A (ko) 2017-05-24

Family

ID=5905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052A KR20170056805A (ko) 2015-11-14 2015-11-14 망사자루 상단부의 연속적인 벤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68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319C (zh) 物品的捆扎方法与捆扎设备
KR101674782B1 (ko) 전선 처리 장치
CN101508356B (zh) 冷胶带封口机
CN208674578U (zh) 绞线穿套管机
KR101989623B1 (ko) 원형솔의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EP0323069A2 (en) Hosiery toe closing method and apparatus
CN109968746A (zh) 一种打扣机
AU2022202564A1 (en) Method of winding up tampon material
KR20170056805A (ko) 망사자루 상단부의 연속적인 벤딩장치
KR101346061B1 (ko) 쇼핑백용 손잡이끈의 제조장치
EP3825241A1 (en) Tying machine
JP5919453B1 (ja) 紐誘導装置
EP2444345A1 (en) Machine for winding pairs of tubes parallel to an advancing direction and independent of each other
JP2004331226A (ja) ラップ・チューブへのポーションパックの製造方法
CN106617510B (zh) 一种自动穿扣机
KR20170111298A (ko) 망사자루의 조임끈 절단장치
US11737553B2 (en) Device for producing round brushes
US4421044A (en) Automatic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a textile piece to a sewing machine
CN106136427B (zh) 一种包鞋机
CN107125065B (zh) 手持式植株套装袋自动封口打结机及其控制方法
KR20150030221A (ko) 비드링 결속사 권취 장치
KR200191910Y1 (ko) 종이밴드 밴딩시스템의 밴드당김 및 공급장치
CN106868601A (zh) 红麻黄麻剥皮机
CN111838854A (zh) 一种绳头的内塞机构及绳头内塞打结机
CN105313069B (zh) 一种拔旋钮工具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