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380A - 콘텐츠 공유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공유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380A
KR20170055380A KR1020150158467A KR20150158467A KR20170055380A KR 20170055380 A KR20170055380 A KR 20170055380A KR 1020150158467 A KR1020150158467 A KR 1020150158467A KR 20150158467 A KR20150158467 A KR 20150158467A KR 20170055380 A KR20170055380 A KR 20170055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ent
sharing
request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7252B1 (ko
Inventor
최준균
양진홍
전규영
박효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58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2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공유하기 위한 콘텐츠가 입력 또는 선택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로 상기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요청이 시도됨에 따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요청이 수락됨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제어권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공유 및 제어 방법{METHOD FOR SHARING AND CONTROLLING CONTENTS}
아래의 설명은 콘텐츠를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공유된 콘텐츠를 동시에 재생 및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이 등장하였다. 도 1을 참고하면,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은 웹 페이지에 글을 게시하는 방법부터 최근에는 소셜 서비스(Social Service) 환경에서 타임라인(Timeline) 또는 피드(Feed) 방식들을 통한 친구/사용자들의 관심 콘텐츠들을 글과 함께 게시하는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또한, 모바일 메신저 등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경우, 콘텐츠를 첨부함으로써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통하여 콘텐츠가 공유될 수 있다.
공유자는 자신이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이용하여 공유를 받는 소비자 와 콘텐츠에 대한 소비 경험을 함께하고자 한다. 이때, 기존의 사용자 각각은 개별적으로 느끼는 콘텐츠 소비 경험이 아닌, 동시간에 상호 연결된 매개체를 통해 함께 소비함으로써 느끼는 경험을 공유하고 싶어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20991호는 SNS 연동모듈 및 이를 이용한 브러우저 데이터의 SNS 연동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게시글 방식은 예를 들면, 포털 사이트 또는 SNS에서 게시 글 방식의 콘텐츠를 공유할 때, 게시(Publish)의 특성상 공유자와 공유를 받은 소비자의 소비 경험이 분리되며, 동영상의 경우, '함께' 시청한다는 동시성에 대한 소비 경험을 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게시글 방식의 콘텐츠 공유 방법은 공유자와 소비자 간의 단절된 소비 경험을 가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콘텐츠를 직접 전달하는 형태의 모바일 메시징, MMS 에서 MMS 또는 모바일 메신저의 경우 콘텐츠 전달의 기능을 제공하나, 사용자 간의 연결된 상태가 아닌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이루어진 소비 경험을 공유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들 사이에 콘텐츠의 소비 경험을 공유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들 사이의 콘텐츠의 공유가 이루어짐에 따라 콘텐츠를 공유하는 공유자가 공유받은 소비자의 콘텐츠에 대한 접근 및 콘텐츠에 대한 소비 환경을 제어하는 제어권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공유하기 위한 콘텐츠가 입력 또는 선택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로 상기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요청이 시도됨에 따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요청이 수락됨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제어권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공유 방법은,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사이의 콘텐츠 공유가 메신저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이루어지고, 각각의 단말의 메신저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타임라인 및 채팅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메시지 큐(Message Queue)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메시지 인터페이스(APIs)를 통하여 메시지가 송수신되고, 실시간 통신 인터페이스(일례로 RTC APIs 또는 Web Socket 또는 Socket등)를 통하여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콘텐츠가 전달되어 스트리밍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공유하기 위한 콘텐츠가 입력 또는 선택됨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콘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외부 콘텐츠에 따른 URL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콘텐츠일 경우, 외부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외부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콘텐츠일 경우, 상기 스트리밍의 제어를 위한 프록시 클라이언트(Proxy Client)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콘텐츠가 재생됨에 따라 상기 제어권이 부여된 단말에서 상기 콘텐츠의 재생 및 정지를 수행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명령(Instruction)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은, 제1 단말로부터 공유하기 위한 콘텐츠가 입력 또는 선택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로 상기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요청이 시도됨에 따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요청이 수락됨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제어권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를 공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단말로부터 공유하기 위한 콘텐츠가 입력 또는 선택됨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로 상기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요청이 시도됨에 따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요청이 수락됨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제어권을 부여하는 설정부; 및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하도록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사이의 콘텐츠 공유가 메신저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이루어지고, 각각의 단말의 메신저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타임라인 및 채팅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메시지 큐(Message Queue)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메시지 인터페이스(APIs)를 통하여 메시지가 송수신되고, 실시간 통신 인터페이스(RTC APIs)를 통하여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콘텐츠가 전달되어 스트리밍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콘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외부 콘텐츠에 따른 URL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콘텐츠일 경우, 외부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외부 콘텐츠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콘텐츠일 경우, 상기 스트리밍의 제어를 위한 프록시 클라이언트(Proxy Client)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콘텐츠가 재생됨에 따라 상기 제어권이 부여된 단말에서 상기 콘텐츠의 재생 및 정지를 수행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콘텐츠를 공유하는 공유자와 콘텐츠를 수신하는 소비자 사이에 콘텐츠가 동시에 재생되어 콘텐츠에 대한 의견 및 경험을 동시간에 함께 공유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기존의 SNS 또는 메신저 상에서 콘텐츠 공유 기능 추가를 통한 신규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콘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외부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동작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수신부(210), 제2 수신부(220), 설정부(230) 및 제공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부(210)는 제1 단말로부터 공유하기 위한 콘텐츠가 입력 또는 선택됨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수신부(210)는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외부 콘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단말에서 외부 콘텐츠에 따른 URL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제2 수신부(220)는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로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요청이 시도됨에 따라 제2 단말로부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설정부(230)는 제2 단말로부터 제1 단말의 요청이 수락됨에 따라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에 콘텐츠에 대한 제어권을 부여할 수 있다.
제공부(240)는 콘텐츠를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제공부(240)는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서 메시지 인터페이스를(예를 들면, 메시지 APIs)를 통하여 메시지가 수신되고, 실시간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RTC APIs, Web Socket, Socket)를 통하여 제1 단말 및 제2 단말로 콘텐츠가 전달되어 스트리밍될 수 있다.
제공부(240)는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않은 외부 콘텐츠일 경우, 외부 콘텐츠 서버로부터 외부 콘텐츠를 수신하고, 제1 단말 및 제2 단말로 외부 콘텐츠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제공부(240)는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않은 외부 콘텐츠일 경우, 스트리밍의 제어를 위한 프록시 클라이언트(Proxy Client)를 생성할 수 있다.
제공부(240)는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콘텐츠가 재생됨에 따라 제어권이 부여된 단말에서 콘텐츠의 재생 및 정지를 수행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콘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 콘텐츠를 동시에 재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단말을 콘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자의 단말, 제2 단말을 콘텐츠를 공유받은 소비자의 단말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공유자의 단말은 공유자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단말은 소비자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공유자와 소비자 사이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공유자(300)로부터 공유자의 단말을 통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대상 콘텐츠가 확인되고, 공유하고자 하는 대상 콘텐츠가 선택에 따라 소비자(301)와의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다(310). 이때, 공유자의 단말을 통하여 공유 대상 콘텐츠가 선택됨에 따라 소비자(301)는 실시간으로 콘텐츠에 대한 소비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소비자(301)는 공유 대상 콘텐츠에 대한 시청 여부를 공유자(3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비자(301)는 공유 대상 콘텐츠에 대하여 함께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공유자(300)에게 콘텐츠에 대한 소비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소비자(301)는 공유자(300)에게 공유 대산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요청할 수 있다. 공유자(300)는 소비자(301)로부터 공유 대상 콘텐츠에 대한 소비 가능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공유자(300)에게 공유 제어권을 설정하고 공유 대상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요청할 수 있다(320). 공유자(300)는 소비자(301)에게 콘텐츠에 대한 재생 정보 및 제어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공유자(300)는 공유자의 단말을 통하여 콘텐츠를 재생시킴에 따라 공유자(300)의 단말과 소비자(301)의 단말에 동일한 콘텐츠가 함께 시간을 맞춰 동시에 재생될 수 있다(330). 이때, 공유자(300) 및 소비자(301)는 각각의 단말에서 예를 들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메시지를 주고받는 채팅 환경을 통하여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이때, 공유자(300)는 공유자의 단말을 통하여 재생되는 콘텐츠에 대한 정지(Pause) 또는 재생(Play)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공유자(300)는 음성 데이터 및 소비 경험에 대한 데이터(Voice &Consuming Experience Data)를 전달하여 공유할 수도 있다.
소비자(301)는 공유자(300)에게 콘텐츠에 대한 저장을 요청할 수 있다. 공유자(300)는 콘텐츠에 대한 저장 요청을 수락함에 따라 소비자(301)의 단말에 콘텐츠가 저장될 수 있다(340).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예를 들면, 메신저, SNS 상에서 공유 기능 추가를 통한 신규 서비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메신저 서버(Messenger Server)(400)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으며, User Device #A와 User Device #B에서 콘텐츠 공유가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User Device #A 및 User Device #B 사이의 콘텐츠 공유가 메신저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메신저 인터페이스 환경인 Mobile Messenger User A(420)와 Mobile Messenger User B(430)에서 콘텐츠 공유가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메신저 서버(400)는 Stream Controller, 메시지 큐(Message Queue) 및 API Server를 포함할 수 있다.
Stream Controller는 외부 콘텐츠 서버(410)로부터 스트리밍할 경우, 양방향 콘텐츠의 스트리밍의 제어 기능을 담당하고, 프록시 클라이언트(Proxy Client)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메시지 큐는 사용자의 타임라인 및 채팅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공유받은 소비자의 대기 응답 유지 등을 위한 메시지 큐로 사용될 수도 있다.
API Server는 사용자 메신저간의 메시지 전달용 API를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Signaling 메시지도 인바운드(In-Bound) 형태로 내부 메시지로 정의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인바운드 형태로 내부 메시지로 정의하여 처리함으로써 보안 및 확장성이 용이해질 수 있다.
외부 콘텐츠 서버(410)는 자사의 콘텐츠를 스트리밍하기 위한 API 또는 Streamer하는 Media Streamer를 포함할 수 있다.
User Device #A와 User Device #B는 Message APIs, RTC APIs 및 Content Storage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인터페이스는 메신저 등에서 채팅을 위해 사용되는 통신 채널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Message APIs를 통하여 메시지가 송수신될 수 있다. Message APIs는 모바일 메신저의 메시지 전달용 APIs이다. Mobile Messenger User A(420)와 Mobile Messenger User B(430)는 Message APIs를 통하여 메시지가 송수신될 수 있으며,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해 필요한 Signaling을 전달하기 위하여 확장될 수도 있다.
실시간 통신 인터페이스는 동영상이 동시에 시청됨에 따라 영상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시그널이 이용하는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간 통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RTC APIs, Web Socket, Soket 등이 이용될 수 있다. RTC API는 콘텐츠가 공유되어 전달됨에 따라 사용되는 media stream control APIs이다. Mobile Messenger User A(420)와 Mobile Messenger User B(430)는 RTC APIs를 통하여 콘텐츠가 전달되어 스트리밍될 수 있다.
Content Storage는 Mobile Messenger User A(420)와 Mobile Messenger User B(430) 사이에 공유되는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콘텐츠 소비 시접의 경험을 동시간에 함께 나눔으로써 콘텐츠 소비에 따른 상호 공유할 수 있는 경험의 극대화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함께보기의 형태로 콘텐츠에 대하여 동시 소비를 유도하는 형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2명 이상의 사용자가 함께 참여함에 따라 보다 높은 광고 노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외부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공유자는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를 소비자와 공유하기 위하여 단말을 통하여 URL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유자의 단말에 입력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Mobile Messenger User A(510)의 RTC APIs에서 콘텐츠 URL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Mobile Messenger User A(510)는 메신저 서버의 Stream Controller(520)로 URL 정보에 따른 콘텐츠를 공유하여 Mobile Messenger User B(540)와 함께 보기를 요청할 수 있다. Stream Controller(520)는 프록시 클라이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Stream Controller(520)는 URL 정보에 대한 IP 주소 및 Port를 할당한 후, 외부 콘텐츠 서버(530)로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외부 콘텐츠 서버(530)는 Stream Controller(520)로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을 시작할 수 있다. Stream Controller(520)는 Progressive Download용 Buffer를 생성하고 유지할 수 있다. Stream Controller(520)는 외부 콘텐츠 서버(530)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콘텐츠를 Mobile Messenger User A(510) 및 Mobile Messenger User B(540)로 RTC APIs를 통하여 전달할 수 있다.
Mobile Messenger User A(510) 및 Mobile Messenger User B(540)에서 스트리밍되는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으며, User A에 의하여 콘텐츠에 대한 정지 및 재생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ser A가 스트리밍되어 재생되는 콘텐츠를 정지한다면, Mobile Messenger User A(510) 및 Mobile Messenger User B(540)에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User A가 정지된 콘텐츠에 대하여 재생시킨다면, Stream Controller(520)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이 전달되어 Mobile Messenger User A(510) 및 Mobile Messenger User B(540)에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Stream Controller(520)는 Mobile Messenger User A(510) 및 Mobile Messenger User B(540)로 콘텐츠의 스트리밍이 완료됨에 따라 프록시 클라이언트를 종료할 수 있다. Stream Controller(520)는 콘텐츠에 대한 IP 주소, Port 및 Buffer를 해제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동작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에서는 제1 단말(610, 710, 810, 910) 및 제2 단말(620, 820, 920) 사이에 콘텐츠의 공유가 메신저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자. 제1 단말(610)을 콘텐츠를 공유하는 공유자 단말, 제2 단말(620)을 공유된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자 단말이라고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예를 들면, 공유자와 수신자는 각각의 단말들을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단말들의 메신저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채팅을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콘텐츠를 공유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공유자의 단말(710)을 나타낸 것으로, 공유자와 수신자가 콘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공유자는 콘텐츠를 공유함에 있어서, 공유자의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고, 공유자의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를 공유할 수도 있다.
공유자는 공유자의 단말(71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선택함으로써 수신자와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공유자는 공유자의 단말(7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하여, 공유할 URL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유자의 단말(71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공유자의 단말(710)에 저장된 보관함으로부터 사진, 문서, 동영상 등을 선택할 수 있다. 공유자의 단말(7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유자는 공유자의 메신저 인터페이스 창에 공유하고자 하는 URL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공유자는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URL 정보를 입력한 후, 함께보기 인터페이스(720)를 선택할 수 있다.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공유자로부터 함께보기 인터페이스(720)가 선택됨에 따라 수신자에게 선택된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외부 콘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공유자로부터 공유자의 단말(810)을 통하여 URL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콘텐츠의 공유가 요청될 수 있다. 공유자의 단말(810)에는 수신자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는 중에 '응답 대기중'이라는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820).
수신자의 단말(820)은 공유자로부터 '함께보기' 기능을 통하여 요청된 콘텐츠에 대하여 수락여부를 응답할 수 있는 응답 인터페이스(830)가 출력될 수 있다. 수신자는 수신자의 단말(820)에 출력된 응답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콘텐츠의 재생여부를 응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자는 응답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공유자로부터 공유 요청된 콘텐츠를 수락함에 따라 콘텐츠 공유 시스템으로부터 콘텐츠가 스트리밍되어 공유자의 단말 및 수신자의 단말에 동시에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수신자가 응답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공유자로부터 공유 요청된 콘텐츠를 거절함에 따라 콘텐츠의 재생을 불허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공유자의 단말(910) 및 수신자의 단말(920)에 콘텐츠가 동시에 재생되어 '함께보기' 기능이 적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수신자가 수신자의 단말(920)을 통하여 공유자로부터 공유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공유를 수락할 수 있고,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공유자와 수신자 사이에 콘텐츠의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의 공유가 이루어짐에 따라 공유자의 단말(910) 및 수신자의 단말(920)로 동시에 콘텐츠가 스트리밍되어 출력될 수 있다. 공유자와 수신자는 각각의 단말을 통하여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메시지(940)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유자의 단말(910)과 수신자의 단말(920)에 콘텐츠가 동시에 재생될 수 있으며, 콘텐츠가 동시에 재생되면서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수신자의 단말로부터 콘텐츠의 공유가 수락됨에 따라 공유자의 단말 또는 수신자의 단말에 콘텐츠에 대한 제어권을 부여할 수 있다.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콘텐츠에 대한 공유를 요청한 공유자에게 제어권을 부여할 수 있으나, 공유자의 단말(910)에 제어권을 넘길 수 있는 제어권 넘기기 인터페이스(931)를 제공할 수 있다. 공유자는 공유자의 단말(910)에 출력된 제어권 넘기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콘텐츠에 대한 제어권을 소비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제어권이란, 콘텐츠에 대한 조작, 예를 들면, 콘텐츠의 재생 및 정지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어권을 소유하고 있는 단말뿐만 아니라 공유하고 있는 단말의 콘텐츠의 제어까지 가능하게 한다. 이때, 공유자로부터 외부 콘텐츠가 공유될 경우, 콘텐츠의 제어권은 공유자가 소유할 수 있다. 소비자는 콘텐츠의 제어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콘텐츠를 제어할 수 없다.
공유자의 단말(910)과 소비자의 단말(920)에 콘텐츠가 재생됨과 동시에 음성을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음성 연결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유자가 마이크 인터페이스(950)를 선택함에 따라 음성 연결 기능이 제공되어 수신자에게 음성을 통하여 동시에 재생되는 콘텐츠에 대한 의견 및 경험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은 두 명 이상의 사용자의 접속 상황 정보를 공유하여 동일한 콘텐츠(예를 들면, 문서, 이미지, 동영상, 게시 글 등)를 함께 보거나 재생하여 의견 및 경험을 공유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간 접속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여 이미지의 경우 동일한 이미지를, 동영상의 경우 동일한 재생 시간, 동일한 볼륨, 동일한 보기모드(예를 들면, Vertical, Horizontal, Full-Size)를 함께 보거나 재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로부터 공유하기 위한 콘텐츠가 입력 또는 선택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로 상기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요청이 시도됨에 따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요청이 수락됨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제어권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하도록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사이의 콘텐츠 공유가 메신저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이루어지고, 각각의 단말의 메신저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타임라인 및 채팅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메시지 큐(Message Queue)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메시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메시지가 송수신되고, 실시간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콘텐츠가 전달되어 스트리밍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공유하기 위한 콘텐츠가 입력 또는 선택됨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콘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외부 콘텐츠에 따른 URL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콘텐츠일 경우, 외부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외부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콘텐츠일 경우, 상기 스트리밍의 제어를 위한 프록시 클라이언트(Proxy Client)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콘텐츠가 재생됨에 따라 상기 제어권이 부여된 단말에서 상기 콘텐츠의 재생 및 정지를 수행하도록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8. 컴퓨터 시스템이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명령(Instruction)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은,
    제1 단말로부터 공유하기 위한 콘텐츠가 입력 또는 선택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로 상기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요청이 시도됨에 따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요청이 수락됨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제어권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하도록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9. 콘텐츠를 공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단말로부터 공유하기 위한 콘텐츠가 입력 또는 선택됨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로 상기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요청이 시도됨에 따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요청이 수락됨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또는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제어권을 부여하는 설정부; 및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재생하도록 제공하는 제공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사이의 콘텐츠 공유가 메신저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이루어지고, 각각의 단말의 메신저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타임라인 및 채팅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메시지 큐(Message Queue)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메시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메시지가 송수신되고, 실시간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콘텐츠가 전달되어 스트리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콘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외부 콘텐츠에 따른 URL 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콘텐츠일 경우, 외부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외부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제1 단말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콘텐츠일 경우, 상기 스트리밍의 제어를 위한 프록시 클라이언트(Proxy Client)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동시에 콘텐츠가 재생됨에 따라 상기 제어권이 부여된 단말에서 상기 콘텐츠의 재생 및 정지를 수행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공유 시스템.
KR1020150158467A 2015-11-11 2015-11-11 콘텐츠 공유 및 제어 방법 KR101837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467A KR101837252B1 (ko) 2015-11-11 2015-11-11 콘텐츠 공유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467A KR101837252B1 (ko) 2015-11-11 2015-11-11 콘텐츠 공유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380A true KR20170055380A (ko) 2017-05-19
KR101837252B1 KR101837252B1 (ko) 2018-03-09

Family

ID=5904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467A KR101837252B1 (ko) 2015-11-11 2015-11-11 콘텐츠 공유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2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258A (ko) * 2020-12-18 2022-06-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인터랙션을 위한 실시간 동영상 공유 시스템 및 방법
WO2023058832A1 (ko) * 2021-10-09 2023-04-13 (주) 바우디움 안내 문서, 행위 문서 및 제안 문서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279B1 (ko) * 2018-05-28 2020-03-02 주식회사 오제이월드 데이터 블록체인 기반의 메신저 데이터 처리 시스템, 그리고 메신저 데이터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560B1 (ko) * 2011-03-29 2013-01-25 (주)티아이스퀘어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수행 도중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09037B1 (ko) * 2011-05-25 2012-12-06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콘텐츠 동시 재생 단말, 그 시스템 및 동시 재생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258A (ko) * 2020-12-18 2022-06-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인터랙션을 위한 실시간 동영상 공유 시스템 및 방법
WO2023058832A1 (ko) * 2021-10-09 2023-04-13 (주) 바우디움 안내 문서, 행위 문서 및 제안 문서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252B1 (ko)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48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interactive content
US9113216B2 (en) Methods,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virtual servers for a virtual collaborative environment
US201803523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r digital interactive experience
WO2022049466A1 (en) Devices, systems and processes for facilitating live and recorded content watch parties
JP2008022552A (ja) 会議方法および会議システム
US118891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r digital interactive experience
US10863246B2 (en) Network services platform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KR20170047293A (ko) 콘텐츠 공유
US20230035243A1 (en) Interaction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based on live streaming application
US20220156030A1 (en) Interactive display synchronisation
JP6280644B2 (ja) ビデオ再生を制御する方法、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US11374992B2 (en) Seamless social multimedia
JP7490124B2 (ja) 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837252B1 (ko) 콘텐츠 공유 및 제어 방법
US202303883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virtual shared experience for media playback
US20230051868A1 (en) Livestreaming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10069141A1 (en) Communication Between Scheduled And In Progress Event Attendees
KR20230006495A (ko) 몰입형 원격 회의 및 텔레프레즌스를 위한 다중 그룹화
CN109818999B (zh) 数据传输方法和装置
KR20170085781A (ko)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및 이를 위한 예매 시스템
CN112291573A (zh) 直播流推送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1644689B1 (ko) 브로드캐스팅 채팅 수행 방법 및 장치
US119242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a communication programmable services
US20240039971A1 (en) Sharing virtual whiteboard content
WO2023035256A1 (en) Integrating software application content into video confere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