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998A - Grating component made from metal plate, grating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grating - Google Patents

Grating component made from metal plate, grating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gra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998A
KR20170054998A KR1020160148047A KR20160148047A KR20170054998A KR 20170054998 A KR20170054998 A KR 20170054998A KR 1020160148047 A KR1020160148047 A KR 1020160148047A KR 20160148047 A KR20160148047 A KR 20160148047A KR 20170054998 A KR20170054998 A KR 20170054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drain hole
drain
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0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46358B1 (en
Inventor
김태윤
Original Assignee
김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윤 filed Critical 김태윤
Publication of KR20170054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9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3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 F16S3/08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forming framework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ating enables an edge portion of a metal plate to be perpendicularly bent to be a support unit and has a plurality of drains formed inside an edge.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are coupled through a non-welding method or a welding method, so that the grating can be easily made to have various areas and various shapes. Moreover, the grating can be manufactured through the non-welding method without having a bearing bar and a cross bar of the existing grating, so that a grating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and has improved productivity.

Description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 이를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제작 방법{Grating component made from metal plate, grating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grating}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ting component made of a metal plate, a grating formed by assembling the grating component, and a grating component made from the same,

본 발명은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금속 판재의 테두리 부분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지지부가 되고 테두리 내측에 다수 개의 배수구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수평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으로 쉽게 만들어질 수 있고, 기존 그레이팅의 베어링 바와 크로스 바를 갖지 않고 비용접 방식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므로 그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는 그레이팅에 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ting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rim of a metal plate is bent and supported vertically and a plurality of drain holes are formed inside a rim, and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are joined horizont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ting which can be easily manufactured in a wide area and a shape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cost-free manner without existing bearing bars and cross bars of a grating,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productivity can be enhanced.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그레이팅에 사용되는 그레이팅 구성품 및 그레이팅 제작 방법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grating component used in such a grating and a grating manufacturing method.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도로, 주거단지, 지하철 등에 설치되는 빗물 집배수로(集排水路)의 덮개 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대개 복수 개의 직사각형 격자를 포함한다. Generally, the grating is widely used as a cover for a rainwater drainage channel installed in a road, a residential complex, a subway, etc., and usually includes a plurality of rectangular gratings.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1)은 직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갖는 엔드 바(2)와, 엔드 바(2)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베이링 바(3) 및, 크로스 바(4)를 포함한다.1, the grating 1 includes an end bar 2 having a rectangular internal space, a plurality of bay ring bars 3 provided inside the end bar 2, and a cross bar 4 .

베이링 바(3)는 그레이팅(1)에 인가되는 하중의 대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복수 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베어링 바(3)의 양쪽 단부는 엔드 바(2)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The baying bar 3 supports most of the load applied to the grating 1, and a plurality of the baying bars 3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Both ends of the bearing bar (3) are welded to the end bar (2).

크로스 바(4)는 베어링 바(3)와 수직이 되도록 베어링 바(3)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베어링 바(3)와 엔드 바(2)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크로스 바(4)는 베어링 바(3)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cross bar 4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bearing bar 3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bearing bar 3 and is welded to the bearing bar 3 and the end bar 2. [ The cross bar (4) serves to maintain the interval of the bearing bar (3).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그레이팅(1)은 엔드 바(2), 베어링 바(3) 및, 크로스 바(4)를 각각 제조하고 이를 용접하는 데에 많은 작업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The grating 1 having such a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it requires a lot of work time and cost to manufacture and weld the end bar 2, the bearing bar 3 and the cross bar 4 respectively.

아울러, 베어링 바(3)가 용접에 의해서 엔드 바(2)에 결합되고 크로스 바(4)가 용접에 의해서 베어링 바(3)와 엔드 바(2)에 결합되므로, 그레이팅(1)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많은 용접 작업이 필요하다. 그런데, 용접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좌우되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 편차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earing bar 3 is welded to the end bar 2 and the cross bar 4 is welded to the bearing bar 3 and the end bar 2, Many welding tasks are requir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welding depends on the skill level of the worker, so that the quality of the product may deviate significantly.

또한, 그레이팅(1)은 엔드 바(2)가 형성하는 직사각형 공간의 내측에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설치된 구조이므로, 그 형상 및/또는 넓이를 쉽게 변경시킬 수가 없고, 동일한 넓이와 형상의 그레이팅을 반복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그레이팅(1)의 형상 및/또는 넓이를 변경시키려면 엔드 바(2)를 새로 제작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Since the grating 1 has the structure in which the bearing bar 3 and the cross bar 4 are provided inside the rectangular space formed by the end bar 2, the shape and / or the width thereof can not be easily chang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rating of the area and the shape must be repeatedly installed. If the shape and / or the width of the grating 1 is changed, it is necessary to newly manufacture the end bar 2, which is time-consuming and expensive.

한편, 그레이팅(1)은 크로스 바(4)와 베어링 바(3)에 의해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직사각형 구멍을 갖는데, 이러한 구멍을 통해서 악취가 올라온다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rating 1 has a plurality of rectangular holes formed by the cross bar 4 and the bearing bar 3, and the odor is raised through such holes.

그러나, 상기 직사각형 구멍은 우수(雨水)가 아래쪽, 예를 들어 집배수로(集排水路)로 이동되는 통로이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과, 악취 차단을 위해서는 직사각형 구멍을 밀폐해야 한다는 점이 서로 충돌되기 때문에 악취 차단이 용이하지 않다. However, since the rectangular hole is a passage through which rainwater is moved downward, for example, to a collecting / discharging path,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opened state and seal the rectangular hole It is not easy to block bad odors because they collide with each other.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수평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으로 쉽게 만들어질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ating which can be easily formed into various widths and shapes since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are coupled horizontal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용접 방식으로도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ting which can ensure uniformity of product quality because it can be manufactured in a non-cost mann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공정과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ting which can shorte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working time because the bearing bar 3 and the cross bar 4 are not required, and thus the productivity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그레이팅 구성품의 폭(W)과 길이(L), 지지부의 높이(H), 금속 판재의 두께를 알맞게 조절(선택)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ating capable of being form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selecting) a width W and a length L of a grating component, a height H of a support, and a thickness of a metal plate, And the lik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雨水)를 아래쪽으로 잘 배출하면서도 악취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ating capable of efficiently filtering bad odors while discharging rainwater downward wel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그레이팅에 구비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ating component provided in such a gra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그레이팅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grating.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그레이팅과, 이러한 그레이팅의 제조에 사용되는 그레이팅 구성품 및, 그 제작방법에 대한 것이다(본 발명에서는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수평으로 서로 결합되어 그레이팅을 이룬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ting capabl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grating component used for manufacturing such a grat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horizontally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grating).

상기 그레이팅 구성품은, 평평한 금속 판재(P)의 테두리 부분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만들어지는 제1,2 지지부(21)(25)와, 제1,2 지지부(21)(25)의 내측에 형성된 본체부(10)를 포함한다. 본체부(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가 지지하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기존 그레이팅의 베어링 바(3) 및, 베어링 바(3)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크로스 바(4)를 구비하지 않는다.The grating component comprises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formed by vertically bending a rim of a flat metal plate P and a second supporting portion 21 and 25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10). The load acting on the main body 10 is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and the reinforcing bar 110 and the conventional grating bearing bar 3 for supporting the load and the bearing bar 3 The cross bar 4 is not provided.

본체부(10)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제1 지지부(21)는 본체부(10)의 네 변 중 서로 마주보는 두 변(11)에 형성되며 제2 지지부(25)는 본체부(10)의 나머지 두 변(15)에 형성된다.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first support part 21 is formed on two opposite sides 11 of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part 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5 is formed on the other two sides 15 of the main body part 10.

제1 지지부(21)의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틈(29)이 형성된다. 상기 틈(29)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을 서로 연결 및 보강하는 보강 바(110)가 삽입되어 설치된 후 제1,2 지지부(21)(25)와 체결부재(115) 또는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진다. A gap 29 is formed between the both ends 23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5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gap 29 may be formed by join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21 and 25 with the coupling member 115 or by welding after the reinforcing bar 110 for connecting and reinforcing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is inserted. Spacing.

본체부(10)에는 복수 개의 배수구(17)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7)에는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 경사부(18)가 구비되고, 배수구(17)에는 배수구(17)를 덮는 배수구 마개(130)(140)(150)가 설치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drain holes (17)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10). The drain port 17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18 formed to face downward and a drain port 130, 140 or 150 covering the drain port 17 may be provided in the drain port 17.

경사부(18)는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게 되도록 형성된다. The inclined portion 18 is formed such that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8 is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drain hole 17.

상기 배수구 마개 중(130)(140)(150)에서 마개(130)는 투수 콘크리트가 배수구(17)에 타설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부(18)가 투수 콘크리트의 몰드 역할을 하여 마개(130)가 경사부(18)에 일체로 결합되고,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아서 마개(130)가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In the drain plug 140, 150, 140, 150, the plug 130 may be made by pouring water permeable concrete into the drain hole 17. In this case, since the inclined portion 18 serves as a mold for the permeable concrete, the stopper 13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inclined portion 18, and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18 is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drain hole 17, .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100)(200)(300)은 다수 개의 상기 그레이팅 구성품(30)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The gratings 100, 200, and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plurality of the grating components 30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그레이팅 제작방법은, (a) 금속 판재(P)의 테두리 부분을 수직으로 벤딩하여 직사각 형상의 본체부(10)와, 본체부(10) 둘레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1,2 지지부(21)(25)를 만들되, 제1 지지부(21)는 본체부(10)의 네 변 중 서로 마주보는 두 변(11)에 형성되고 제2 지지부(25)는 본체부(10)의 나머지 두 변(15)에 형성되며, 제1 지지부(21)의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 사이에 틈(29)이 형성되도록 하여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작하는 단계; (b)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을 수평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배치하되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제1 지지부(21)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한 후, 상기 틈(29)에 보강 바(110)를 삽입하는 단계; 및, (c) 보강 바(110)와 제1,2 지지부(21)(25)를 결합시켜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grating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bending a rim of a metal plate P vertically to form a rectangular body portion 10; The first support part 21 is formed on two sides 11 of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part 10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5 is formed on the main body part 10, And forming a gap (29) between the opposite ends (23) of the first support (21) and the second support (25) to form a grating component; (b)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110) into the gap (29) after arranging the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so that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first support portions (21) of adjacent grating components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 And (c) coupling the reinforcing bars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so that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are coupled.

상기 제작 방법은 배수구(17)를 형성하기 위해서, (a1) 상기 금속 판재(P)를 1차로 펀칭하여 본체부(10)에 다수 개의 작은 구멍(16)을 형성하는 단계; 및, (a2) 작은 구멍(16)을 2차로 펀칭하여 작은 구멍(16)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배수구(17)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A1) forming a plurality of small holes (16) in the main body (10) by first punching the metal plate (P); And (a2) punching the small holes 16 to form a drain hole 17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small holes 16. [0030]

상기 2차 펀칭은 작은 구멍(16) 보다 큰 직경의 펀치를 작은 구멍(16)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배수구(17)의 아래로 연장되는 경사부(18)가 형성되고, 경사부(18)는 그레이팅의 하중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ary punching is performed by pushing a punch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small hole 16 into the small hole 16 so that an inclined portion 18 extending downward from the drain hole 17 is formed, The portion 18 serves to increase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grating.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보강 바에 의해서 수평으로 결합되어 그레이팅을 이루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의 그레이팅을 쉽게 만들 수 있다. 1.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are joined horizontally by a reinforcing bar to form a grat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gratify various widths and shapes.

2. 비용접 방식으로도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2. Uniformity of product quality can be secured because it can be manufactured by non-woven method.

3.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공정과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3. Since the bearing bar (3) and the cross bar (4) are not required,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working time,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vity.

4.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그레이팅 구성품의 폭(W)과 길이(L), 지지부의 높이(H), 금속 판재의 두께를 알맞게 조절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4. It can be made by adjusting the width (W) and length (L) of the grating component, the height (H) of the support part and th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oad acting.

5. 우수(雨水)를 아래쪽으로 잘 배출하면서도 악취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5. Effluent can be effectively cut off while discharging rainwater downward well.

6. 위와 같은 그레이팅에 구비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공한다.6. A grating component provided in the grating as described above.

7. 위와 같은 그레이팅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7. Provide a method of making the grating as abov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그레이팅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속평판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a는 도 4의 금속평판에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V-V' 단면도.
도 6a는 도 5a의 금속평판을 벤딩하여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VI-VI' 단면도.
도 7a는 도 6a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VII-VII' 단면도.
도 7c는 도 7a의 그레이팅에 구비되는 보강 바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a는 도 7a의 그레이팅에 마개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8b는 도 8a의 VIII-VIII'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9b는 도 9a의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도 9a의 그레이팅을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b는 도 11a의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2는 도 11a의 그레이팅을 구성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금속평판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a는 도 12의 금속평판으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b는 도 13a의 XIII-XIII' 단면도.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에 설치될 수 있는 또 다른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b는 도 14a의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우측면도.
도 14c는 도 14a의 XIV-XIV' 단면도.
도 15a는 도 14a의 배수구 마개가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b는 도 15a의 배수구 마개가 개방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에 설치될 수 있는 또 다른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6b는 도 16a의 XVI-XVI' 단면도.
도 17은 도 16a의 배수구 마개가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은 도 16a의 배수구 마개를 배수구에 형성하기 위하여 몰드가 그레이팅 구성품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at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at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ating component used to make the grating of Figure 2;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metal plate used to make the grating component of Figure 3;
FIG. 5A is a plan view showing a drain hole formed in the metal plate of FIG. 4;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5A.
6A is a plan view showing a grating component made by bending the metal plate of FIG. 5A; FIG.
6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6A.
Figure 7a is a plan view showing a grating made by combining the grating components of Figure 6a;
FIG. 7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7A. FIG.
7C is a front view showing a reinforcing bar provided in the grating of FIG. 7A; FIG.
Figure 8a is a top plan view showing the closure being installed in the grating of Figure 7a;
8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I-VIII 'of FIG. 8A.
9A is a plan view showing a grat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grating of Figure 9a.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ating component used to produce the grating of FIG. 9A; FIG.
11A is a plan view showing a grating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grating of FIG.
12 is a plan view showing a metal plate used to make a grating component constituting the grating of FIG. 11A; FIG.
Figure 13a is a plan view showing a grating component made of the metal plate of Figure 12;
13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I-XIII 'of FIG. 13A;
Figure 14a is a top plan view of another drain cap that may be installed in a g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14B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the drain plug of Fig. 14A. Fig.
FIG. 14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V-XIV 'of FIG. 14A. FIG.
FIG. 15A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drain hole stopper of FIG. 14A installed in a drain hole; FIG.
FIG. 15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drain plug of FIG. 15A being opened. FIG.
16A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drain plug that may be installed in a gr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VI-XVI 'of FIG. 16A; FIG.
Fig. 1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drain hole stopper of Fig. 16a installed in a drain hole; Fig.
18 is a view showing a mold installed in a grating component to form a drain cap of the drain port of Fig. 16A.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그레이팅을 이루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at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ating component forming the grating.

도면을 참조하면, 그레이팅(100)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30)과,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서로 결합시키는 보강 바(110)를 포함한다. 그레이팅 구성품(30)과 보강 바(110)는 철판,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합금, 합성수지, 플라스틱, FRP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grating 100 includes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30 and a reinforcing bar 110 that joins the grating components 30 together. The grating component 30 and the reinforcing bar 110 may be made of steel plate, stainless steel, aluminum alloy, synthetic resin, plastic, FRP, or the like.

그레이팅 구성품(30)은 평평한 금속판재(P)가 벤딩되어 형성되는데, 금속판재(P)의 테두리 부분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제1,2 지지부(21)(25)가 되고, 제1,2 지지부(21)(25)의 내측인 직사각형 부분은 본체부(10)가 된다. The grating component 30 is formed by bending a flat metal plate P while the rim of the metal plate P is vertically bent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21 and 25, (21) (25) becomes a body portion (10).

구체적으로, 금속판재(P)의 테두리 부분이 점선(11)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벤딩되어 제1 지지부(21)가 되고, 점선(15)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벤딩되어 제2 지지부(25)가 된다. 그리고, 점선(11)(15)의 내측 부분이 본체부(10)가 된다. Specifically, the rim portion of the metal plate P is vertically bent about the dotted line 11 to be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5 is bent vertically about the dotted line 15, do. The inner portions of the dotted lines 11 and 15 are the body portion 10.

즉, 제1 지지부(21)는 본체부(10)의 4변 중 서로 마주보는 두 변(11)에 형성되고, 제2 지지부(25)는 본체부(10)의 나머지 두 변(15)에 형성된다. 제1 지지부(21)는 본체부(10)의 긴 변에 형성되고, 제2 지지부(25)는 본체부(10)의 짧은 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후, 보강 바(110)를 상기 짧은 변(15)에 설치하면 상기 긴 변(11)의 폭(S)을 갖는 그레이팅(100)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The first support portion 21 is formed on two opposite sides 11 of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10 while the second support portion 25 is formed on the other two sides 15 of the main body portion 10 .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upport part 21 is formed on a long side of the body part 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5 is formed on a short side of the body part 10. This is achieved by placing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placing the reinforcing bar 110 on the short side 15 to create a grating 100 having a width S of the long side 11 It is because.

제1 지지부(21)의 양쪽 끝단(23)은 점선(22)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벤딩되고, 직각으로 벤딩된 상기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는 서로 마주보게 되며, 상기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 사이에는 틈(29)이 형성된다. 상기 틈(29)은 보강 바(110)가 삽입되어 설치된 후, 체결부재(115)가 체결공(24)(26)(112)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서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진다. Both ends 23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are bent at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dotted line 22 and the opposite ends 23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5 bent at right angles are opposed to each other, A gap 29 is formed between the end 23 and the second support 25. The gap 29 is formed by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110 and then secur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by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115 to the fastening holes 24, And the reinforcing bars 110 can be coupled with each other.

보강 바(110)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띠 형상의 막대로서, 틈(29)에 삽입되어 두 개 이상의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서로 결합시킨다. 보강 바(110)는 만들고자 하는 그레이팅(100)의 길이(LT)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inforcing bar 110 is a band-shaped rod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inserted into the gap 29 to couple two or more grating components 30 to each other. The reinforcing bars 110 preferably have the same length as the length LT of the grating 100 to be produced.

보강 바(110)는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서로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그레이팅의 하중 지지력을 증가(보강)시키는 역할도 한다. The reinforcing bar 110 serves not only to join the grating components 30 to each other, but also to increase (reinforce)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grating.

보강 바(110)에는 다수 개의 체결공(112)이 형성된다. 체결공(112)은 체결공(24)(2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리벳,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115)가 체결공(24)(26)(112)에 설치됨으로써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가 결합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2 are formed in the reinforcing bar 110. The fastening hole 11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24 and 26. A fastening member 115 such as a rivet or a bolt is provided in the fastening holes 24, 2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and the reinforcing bar 110 can be combined.

본체부(10)는 제1,2 지지부(21)(25)의 내측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평평한 부분이다. 본체부(10)에는 다수 개의 배수구(17)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원형의 배수구(17)가 도시되어 있으나, 우수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의 배수구(17)가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is a rectangular flat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21 and 25. A plurality of drain holes (17) are formed in the main body (10). Although the circular drain port 17 is shown in the figure, the drain port 17 having various shapes can be formed within a range that can smoothly discharge the storm.

본체부(10)는 그레이팅(100) 위를 지나가는 보행자, 차량 등의 하중을 받아서 제1,2 지지부(21)(25)에 전달한다. 따라서, 도 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 구성품(30)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된 경우, 본체부(10)의 폭(W)과 길이(S)가 작을수록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즉, 지지부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음), 제1,2 지지부(21)(25)의 높이(H)가 클수록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금속판재(P)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body 10 receives a load of a pedestrian, a vehicle or the like passing over the grating 100 and transfers the loa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7A, when the grating components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support a large load as the width W and the length S of the main body 10 are small (i.e., The larger the height H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the larger the load can be support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larger th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P, the larger the load can be supported.

상기 폭(W), 길이(S), 높이(H) 및 금속판재(P)의 두께는 그레이팅(100)이 받을 하중의 크기를 고려하여 알맞게 정해질 수 있다. 상기 폭(W)은 50mm 이상 1500mm 이하이고, 상기 길이(S)는 50mm 이상 10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H)는 10mm 이상인데, 바람직하게는 30mm 이상 100mm 이하이다. The width W, the length S, the height H and th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P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agnitude of the load to which the grating 100 is subjected. The width (W) is preferably 50 mm or more and 1500 mm or less, and the length (S) is preferably 50 mm or more and 1000 mm or less. The height H is 10 mm or more, preferably 30 mm or more and 100 mm or less.

한편, 그레이팅 구성품(30)은 금속판재(P)를 펀칭 및 벤딩시켜 만들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grating component 30 is made by punching and bending the metal plate P.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판재(P)는 직사각형 판재의 4개 꼭지점 부분이 절취(제거)되어 만들어진 것으로서, 다수 개의 체결공(24)(26)과 작은 구멍(16)을 갖는다. 4, the metal plate P is made by cutting off four vertex portions of the rectangular plate material and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4 and 26 and a small hole 16 .

작은 구멍(16)은 금속판재(P)가 1차로 펀칭되어 만들어진 구멍으로서,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작은 구멍(16)이 본체부(10)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5a와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작은 구멍(16)은 2차 펀칭에 의해서 배수구(17)가 된다. The small hole 16 is a hole made by punching the metal plate P in a first order, and one or two or more small holes 16 are formed in the main body 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small hole 16 becomes a drain hole 17 by secondary punching.

상기 2차 펀칭은 작은 구멍(16) 보다 큰 직경의 펀치를 작은 구멍(16)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배수구(17)의 아래로 연장되는 경사부(18)가 형성되고, 경사부(18)는 그레이팅의 하중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ary punching is performed by pushing a punch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small hole 16 into the small hole 16 so that an inclined portion 18 extending downward from the drain hole 17 is formed, The portion 18 serves to increase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grating.

경사부(18)는 아래쪽을 향한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게 되고, 이러한 구조로 인해서 배수구 마개(도 8a, 8b의 130)가 아래쪽으로 이탈하는 것(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The inclined portion 18 is formed as a downward sloping face downwar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lower end of the drain hole 17 becomes smaller and the drain hole stopper (130 of FIGS. 8A and 8B) (Missing) is prevented.

상기 2차 펀칭이 완료되면, 금속판재(P)의 테두리를 직각으로 벤딩시켜 제1,2 지지부(21)(25)를 만든다. 한편, 1,2차 펀칭과 상기 벤딩은 순서를 변경시켜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벤딩으로 제1,2 지지부(21)(25)를 만든 후 1,2차 펀칭을 해도 되고, 1차 펀칭 후 벤딩으로 제1,2 지지부(21)(25)를 만든 다음, 2차 펀칭을 해도 된다. When the secondary punching is completed, the rim of the metal plate P is bent at right angles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On the other hand, the order of the first and second punching and the bending may be changed. For example, after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are formed by bending, first and second punching may be performed. After the first punch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are formed by bending, Secondary punching may be performed.

이와 같이 제작된 그레이팅 구성품(30)은 도금 또는 분체 도장을 실시한 후, 서로 결합된다. 물론,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서로 결합시킨 후 도금 또는 분체 도장을 실시할 수도 있다. The grating component 30 thus manufactured is subjected to plating or powder coating, and then bonded to each other. Of course,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30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hen a plating or powder coating may be performed.

도 7a는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30)이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만들어진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VII-VII' 단면도이며, 도 7c는 보강 바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FIG. 7A is a plan view showing a grating formed by joining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30 in a horizontal direction, FIG. 7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7A, and FIG. 7C is a front view showing a reinforcing bar.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30)의 제1 지지부(21)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한 후, 보강 바(110)를 상기 틈(29)에 삽입하고 체결부재(115)로 체결하면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가 결합되어 그레이팅(100)이 완성된다. 도면에서는 체결부재(115)로서 리벳이 사용되었으나, 볼트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after the first supporting portions 21 of the neighboring grating components 3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reinforcing bar 110 is inserted into the gap 29 and fastened by the fastening member 115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and the reinforcing bar 110 are combined to complete the grating 100. In the drawing, a rivet is used as the fastening member 115, but a bolt or the like may be used.

이와 같이, 그레이팅(100)은 벤딩과 체결부재(115, 리벳 또는 볼트 등)만으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용접이 필요하지 않고, 이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균일하고 신뢰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접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좌우되기 때문에 기존 그레이팅(1)은 품질 편차가 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uch, since the grating 100 can be made only of bending and fastening members 115 (rivets or bol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welding is not required and thus the quality of the product is uniform and highly reliable. 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since the quality of the product depends on the skill of the operator, the existing grating 1 has a problem that the quality deviation is large.

물론,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체결부재(115)를 대신하여 또는 체결부재(115)와 함께 용접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3 실시예는, 체결부재를 대신하여, 용접으로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를 결합시키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Of course, welding may also be used in place of or in conjunction with the fastening member 115 to join the grating components 30 together.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disclos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are joined to the reinforcing bar 110 by welding instead of the fastening member.

아울러, 그레이팅(100)은 지지부(21)(25)가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기존 그레이팅(1)의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필요하지 않다. 기존에는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의 제작 및 결합(용접)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100)은 이러한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 단가와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ortions 21 and 25 support the load, the grating 100 does not require the bearing bar 3 and the cross bar 4 of the existing grating 1. The grat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rawback that the bearing bar 3 and the cross bar 4 can be easily assembl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 cost and the manufacturing time.

한편, 배수구(17)에는 배수구 마개(13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8a는 배수구 마개(130)가 배수구(17)에 설치된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VIII-VIII' 단면도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rain hole 17 may be provided with a drain hole stopper 130. Fig. 8A is a plan view showing a grating in which the drain plug 130 is installed in the drain hole 17, and Fig. 8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III 'in Fig. 8A.

배수구 마개(130)는 경사부(18)에 형합하는 측면을 갖는다. 그리고, 배수구 마개(130)의 상면은 본체부(110)의 윗면 보다 약간 위로 돌출되는 것이 미끄럼 방지와 지압 효과 등을 위해 바람직하다. The drain cap (130) has a side surface fitting with the inclined portion (18).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cap 130 protrudes slightly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for the purpose of slip prevention and acupressure.

배수구 마개(130)는 고무, 합성 수지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배수구 마개(130)는 우수 등과 같은 물을 아래로 잘 배출하면서도 아래쪽의 악취는 올라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배수구 마개(130)는 투수 콘크리트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투수 콘크리트는 다수의 내부 공극으로 인해 물을 아래쪽으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수 콘크리트에는 야광 안료 또는 컬러 안료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야광 안료가 첨가된 투수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배수구 마개(130)는 야간에 그레이팅(100)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rain cap 130 may be made of rubber, synthetic resin, or the lik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in cap (130) is capable of discharging water such as storm water well down, but not the odor of the lower side. For this purpose, the drain cap 130 may be made of a permeable concrete. As is known, the permeable concrete can drain water downward due to the large number of internal voids. In addition, a glittering pigment or a color pigment may be added to the permeable concrete. A drain cap 130 made of a permeable concrete with a glitter pigment added thereto allows the grating 100 to be identified at night.

배수구 마개(130)는 공장에서 별도로 미리 만들어진 후 배수구(17)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경사부(18)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투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즉, 경사부(18)의 하단에 평판(도면에 미도시)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투수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경사부(18)가 몰드 역할을 하여 배수구 마개(130)가 경사부(18)에 일체로 결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The drain cap 130 may be formed in the drain port 17 after being separately manufactured in the factory, but it may be made by placing the permeable concrete in a space formed by the sloped portion 18. That is, when the permeable concrete is laid in a state in which a flat plate (not shown in the figur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8, the inclined portion 18 serves as a mold, and the drain cap 13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clined portion 18 As shown in FIG.

상기 투수 콘크리트의 타설은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제작한 후 도금 또는 분체 도장을 하기 이전에 이루어지거나,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제작하고 도금 또는 분체 도장을 한 후에 그레이팅 표면에 필름(도면에 미도시)을 부착한 다음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permeable concrete may be poured before the plating or powder coating is performed after the grating component 30 is manufactured. Alternatively, the grating component 30 may be formed, and after plating or powder coating, a film (not shown in the drawings) ) May be attached.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9b는 상기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10은 상기 그레이팅을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a ~ 도 10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 도 8b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FIG. 9A is a plan view showing a grat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grating,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ating component used for manufacturing the grating. 9A to 10,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to 8B denote the same elements.

상기 그레이팅(200)은, 상술한 그레이팅(100)과 비교하여, 용접으로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5) 및 보강 바(110)를 결합시킨다는 차이점이 있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1,2 지지부(21)(25)에는 체결공(24)(26)이 필요하지 않고 보강 바(110)에는 체결공(112)이 필요하지 않다. The grating 200 differs from the grating 100 described above in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is join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25 and the reinforcement bar 110 by welding and the remaining construction is the same.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21 and 25 do not require the fastening holes 24 and 26, and the reinforcing bar 110 does not require the fastening holes 112.

도면에서 붉은 원(○)은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접은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를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30)의 제1 지지부(21)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 등에서 이루어진다. In the drawing, a red circle (o) represents a portion where welding is performed. As shown in the figure, the welding is carried out in such a way tha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21 and 25 and the portion for joining the reinforcement bar 110,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of the neighboring grating component 30, .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11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1b는 상기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1a, 11b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 도 10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FIG. 11A is a plan view showing a grating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grating. 11A and 11B,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Figs. 1 to 10 denote the same elements.

상기 그레이팅(300)은 제1 지지부(21)의 구조가 그레이팅(200)과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그레이팅(200)의 구성과 동일하다. The grating 300 differs from the grating 200 in the structur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and the remaining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grating 200.

그레이팅 구성품(30)은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판재(P)는 직사각형 판재의 꼭지점 부분이 절취(제거)된 것이다. 금속판재(P)의 테두리가 점선(11)을 따라 직각으로 벤딩되어 제1 지지부(21)가 되고 점선(15)을 따라 직각으로 벤딩되어 제2 지지부(25)가 된다. 따라서, 본체부(10)의 네 변 중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변에 제1 지지부(21)가 형성되고 나머지 두 변에 제2 지지부(25)가 형성된다. The grating component 30 is made of a metal plate. As shown in Fig. 12, the metal plate P is cut off (removed) from the vertex portion of the rectangular plate material. The rim of the metal plate P is bent at right angles along the dashed line 11 to become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and bent at a right angle along the dashed line 15 to become the second support portion 25. [ Therefore,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5 is formed on the other two sides.

제1 지지부(21)의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 사이에는 틈(29)이 형성된다. 틈(29)에는 보강 바(110)가 삽입된다. 틈(29)에 삽입된 보강 바(110)는 용접에 의해서 제1,2 지지부(21)(25)에 결합된다. 도면에서 붉은 원(○)은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5) 및 보강 바(110)의 결합이 용접으로 이루어지므로 제1,2 지지부(21)(25)에는 체결공(24)(26)이 필요하지 않고 보강 바(110)에는 체결공(112)이 필요하지 않다. A gap 29 is formed between both ends 23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5. A reinforcing bar (110) is inserted into the gap (29). The reinforcing bar 110 inserted in the gap 29 is welded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In the drawing, a red circle (o) represents a portion where welding is performed. Since the first support part 21, the second support part 25 and the reinforcing bar 110 are welded together,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21 and 25 are provided with the fastening holes 24 and 26, The reinforcing bar 110 is not required to have the fastening hole 112.

배수구 마개의 변형예Variation of the drain plug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에 설치될 수 있는 또 다른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4b는 상기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우측면도이며, 도 14c는 도 14a의 XIV-XIV' 단면도이다. FIG. 14A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drain stopper which can be installed in the gr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B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the drain stopper, and FIG. 14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V-XIV 'of FIG.

배수구 마개(140)는 우수가 아래로 배출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악취가 위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한다. The drain plug 140 allows the storm drains downward while at the same time preventing the odor from rising upwards.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수구 마개(140)는 몸체부와, 몸체부에 대해 회동이 가능한 덮개부(145) 및, 덮개부(145)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몸체부와 덮개부(145)를 연결하고 덮개부(145)의 원위치 복귀를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연결부(147)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rain plug 140 includes a body portion, a lid 145 capable of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and a body portion 145 and a lid portion 145 so as to allow rotation of the lid portion 145 And a connecting portion 147 for providing elastic restoring force for returning the cover portion 145 to the home position.

배수구 마개(140)는 고무, 연질 플라스틱, 우레탄, 실리콘 등으로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소재에는 야광 안료가 첨가될 수도 있다. 야광 안료가 첨가된 배수구 마개(140)는 야간에 그레이팅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rain cap 140 is preferably integrally formed of rubber, soft plastic, urethane, silicone, or the like. A glitter pigment may be added to the material. The drain plug 140 to which the luminous pigment is added makes it possible to identify the grating at night.

몸체부는 상부면(141)과, 상부면(141)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측면(143)을 갖는다. The body portion has a top surface 141 and a side surface 14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op surface 141.

상부면(141)에는 관통공(141a)이 형성되어 우수가 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A through hole 141a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41 so that the rain can move downward.

측면(143)은 경사부(18)와 형합하도록 형성된 제1 부분(143a)과, 제1 부분(143a)의 아래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2 부분(143b)을 포함한다. The side surface 143 includes a first portion 143a formed to cooperate with the inclined portion 18 and a second portion 143b formed vertically below the first portion 143a.

제1 부분(143a)은 경사부(18)와 동일한 경사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배수구 마개(140)가 경사부(18)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portion 143a is formed at the same inclination as the inclined portion 18 so that the drain cap 140 can be stably installed on the inclined portion 18. [

제2 부분(143b)에는 관통공(144)이 형성된다. 관통공(144)은 측면(143)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관통공(144)을 통해서 우수 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 through hole 144 is formed in the second portion 143b. The through hole 144 is an opening that penetrates through the side surface 14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hrough hole 144 can discharge the excellent light to the outside.

그리고, 제1,2 부분(143a)(143b)의 사이에는 턱(143c)이 형성된다. 턱(143c)은 경사부(18)의 하단에 걸리도록 설치됨으로써 배수구 마개(140)가 위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A jaw 143c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143a and 143b. The jaw 143c is installed to be hooked on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8, thereby preventing the drain plug 140 from deviating upward.

덮개부(145)는 평상시에는 배수구(17)를 막고 있다(도 15a)가 그 상부에 우수(도면에 미도시)의 하중이 작용하면 아래로 회동되어 배수구(17)를 개방한다(도 15b). 그리고, 우수의 하중이 제거되면 연결부(14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하여 배수구(17)를 막는다(도 15a).The cover portion 145 normally closes the drain port 17 (Fig. 15A). When a load (not shown in the figure)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thereof, the cover portion 145 is rotated downward to open the drain port 17 (Fig. 15B) . Then, when the load of the storm is removed, 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47 to block the drain hole 17 (Fig. 15A).

덮개부(145)와 상부면(14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관통공(141a)을 통해서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 물은 관통공(144)을 통해서 측방향으로 배출되지만, 상기 배출량이 유입량 보다 작아서 상기 공간에 수용된 물의 무게가 소정치를 초과하게 되면 덮개부(145)가 아래로 회동하여 물을 아래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평상시 및 강우량이 작은 때에는 덮개부(145)가 밀폐된 상태로 있게 되어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물을 잘 배출할 수 있고, 강우량이 많은 때에는 덮개부(145)가 아래로 회동하여 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id 145 and the upper surface 141.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space through the through hole 141a is discharged laterally through the through hole 144. However, When the weight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spac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he lid 145 is rotated downward to discharge the water downward. With this configuration, water can be discharged well while preventing the odor from rising because the cover 145 is closed when the air is normal and the amount of rainfall is small, and when the amount of rainfall is large, So that water can be discharged.

도 16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에 설치될 수 있는 또 다른 배수구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XVI-XVI'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배수구 마개가 배수구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준다. 16A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drain cap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gr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VI-XVI 'of FIG. 16A. 17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drain plug is installed in a drain hole.

상기 배수구 마개(150)는 제1 부분(153)과, 제2 부분(155) 및, 마개를 관통하는 관통공(152)을 포함한다. The drain cap 150 includes a first portion 153, a second portion 155, and a through hole 152 passing through the cap.

제1 부분(153)의 외주면은 경사부(18)와 형합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부분(155)은 제1 부분(153)에서 아래로 연장된 부분이다. 제1,2 부분(153)(155)의 사이에는 턱(156)이 형성된다. 턱(156)은 경사부(18)의 하단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마개(15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153 is formed to cooperate with the inclined portion 18. The second portion 155 is a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portion 153. A jaw 156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153 and 155. The jaw 156 is provided to be hooked on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8 to prevent the stopper 150 from being detached.

배수구 마개(150)는 별도로 미리 제작한 후 배수구(17)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도 있지만, 소정의 배합물을 배수구(17)에 타설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타설시, 관통공(152)을 형성하기 위한 막대를 배수구(17)에 설치한 후 배합물을 타설하면 관통공(15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8은 배수구 마개를 배수구에 형성하기 위하여 몰드가 그레이팅 구성품에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상기 몰드(50, 빗금친 부분)는 경사부(18)의 아래에 설치되고, 관통공(152)을 형성하기 위한 막대부(52)를 포함한다. The drain stopper 150 may be separately prepared in advance and then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17, but it may be formed by placing a predetermined mixture in the drain hole 17. When a rod for forming the through hole 152 is installed in the drain hole 17 and a compound is placed, the through hole 152 can be formed. Figure 18 shows that the mold is installed in the grating component to form a drain cap in the drain. The mold 50 (hatched portion) is provided under the inclined portion 18 and includes a rod portion 52 for forming the through hole 152. [

상기 배합물 타설시, 배수구 마개(150)의 윗면이 그레이팅 상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거나 약간 위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위로 볼록하게 돌출된 구성은 보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cap 150 may have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grating or protrude slightly upward. The convexly protruding configuration can prevent the pedestrian from slipping.

한편, 상기 배합물은 직경 10mm 이하의 자갈, 바인더 및, 소정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바인더로는 시멘트, 콘크리트, 아스팔트, 투수 콘크리트, 접착용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조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mbination includes gravel, a binder and a mixture of predetermined components, each having a diameter of 10 mm or less. As the binder,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ment, concrete, asphalt, permeable concrete, adhesive resin, etc.,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above group may be used.

그리고, 상기 혼합물은 10mm 이하의 고무칩, 우레탄칩, 플라스틱칩 및, 제강 슬래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2종류 이상의 조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합물에는 야광 안료 또는 칼러 안료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The mixture may be composed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ubber chips of 10 mm or less, urethane chips, plastic chips, and steelmaking slag,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selected from the above-mentioned group. In addition, a glitter pigment or a color pigment may be added to the formulation.

상기 배합물의 타설은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제작한 후 도금 또는 분체 도장을 하기 이전에 이루어지거나,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제작하고 도금 또는 분체 도장을 한 후에 그레이팅 표면에 필름(도면에 미도시)을 부착한 다음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placement of the formulation may be accomplished prior to plating or powder coating after the grating component 30 has been fabricated, or after the grating component 30 has been fabricated and plated or powder coated, a film (not shown) May be carried out after attaching the adhesive.

1, 100, 200, 300 : 그레이팅 10 : 본체부
17 : 배수구 18 : 경사부
21 : 제1 지지부 25 : 제2 지지부
24, 26, 112 : 체결공
29 :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의 틈
30 : 그레이팅 구성품 50 : 몰드
110 : 보강용 바 115 : 체결부재
130, 140, 150 : 배수구 마개
P : 금속 판재
1, 100, 200, 300: grating 10:
17: drain hole 18: inclined portion
21: first support portion 25: second support portion
24, 26, 112: fastening holes
29: A gap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0: Grating component 50: Mold
110: reinforcing bar 115: fastening member
130, 140, 150: Drain plug
P: metal plate

Claims (13)

평평한 금속 판재(P)의 테두리 부분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만들어지는 제1,2 지지부(21)(25)와, 제1,2 지지부(21)(25)의 내측에 형성된 본체부(10)를 포함하고,
본체부(10)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 지지부(21)는 본체부(10)의 네 변 중 서로 마주보는 두 변(11)에 형성되며 제2 지지부(25)는 본체부(10)의 나머지 두 변(15)에 형성되고,
제1 지지부(21)의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틈(29)이 형성되고,
상기 틈(29)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을 서로 연결 및 보강하는 보강 바(110)가 삽입되어 설치된 후 제1,2 지지부(21)(25)와 체결부재(115) 또는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지며,
본체부(10)에는 복수 개의 배수구(17)가 형성되고,
본체부(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가 지지하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바(3) 및, 베어링 바(3)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크로스 바(4)를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구성품.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are formed by vertically bending the rim of the flat metal plate P and the main body portion 10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Includ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is formed on two sides 11 of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10 facing each other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5 is formed on the main body portion 10, On the other two sides (15)
A gap 29 having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both ends 23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5,
The gap 29 may be formed by join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21 and 25 with the coupling member 115 or by welding after the reinforcing bar 110 for connecting and reinforcing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is inserted. Spac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17) are formed in the main body (10)
A bearing bar 3 for supporting loads applied to the main body 10 b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and the reinforcing bar 110,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comprise a crossbar (4) for maintaining the spacing.
제1항에 있어서,
배수구(17)에는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 경사부(18)가 구비되고, 경사부(18)에는 배수구(17)를 덮는 마개(130)(140)(150)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구성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 hole 17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18 formed to face downward and the inclined portion 18 is provided with a stopper 130, 140 or 150 for covering the drain hole 17 Grating components.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30)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그레이팅 구성품(30)은,
평평한 금속 판재(P)의 테두리 부분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만들어지는 제1,2 지지부(21)(25)와, 제1,2 지지부(21)(25)의 내측에 형성된 본체부(10)를 포함하고,
본체부(10)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 지지부(21)는 본체부(10)의 네 변 중 서로 마주보는 두 변(11)에 형성되며 제2 지지부(25)는 본체부(10)의 나머지 두 변(15)에 형성되고,
제1 지지부(21)의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틈(29)이 형성되고,
상기 틈(29)에는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30)을 서로 결합 및 보강하는 보강 바(110)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보강 바(110)와 제1,2 지지부(21)(25)는 체결부재(115)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고,
본체부(10)에는 복수 개의 배수구(17)가 형성되며,
본체부(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1,2 지지부(21)(25)와 보강 바(110)가 지지하고,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바(3) 및, 베어링 바(3)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크로스 바(4)를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grating component (30)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are formed by vertically bending the rim of the flat metal plate P and the main body portion 10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Includ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is formed on two sides 11 of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10 facing each other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5 is formed on the main body portion 10, On the other two sides (15)
A gap 29 having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both ends 23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5,
The reinforcing bar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are installed in the gap 29 by inserting a reinforcing bar 110 for joining and reinforcing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30 to each other. (115) or welded,
A plurality of drain holes (17) are formed in the main body (10)
A bearing bar 3 for supporting loads applied to the main body 10 b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and 25 and the reinforcing bar 110 and supporting the load, And a crossbar (4) for maintaining an interval.
제3항에 있어서,
제1 지지부(21)의 길이 또는 변(11)의 길이(L1)는 제2 지지부(25)의 길이 또는 변(15)의 길이(L2)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The method of claim 3,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or the length L1 of the side 11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5 or the length L2 of the side 15.
제4항에 있어서,
배수구(17)에는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 경사부(18)가 구비되고, 배수구(17)에는 배수구(17)를 덮는 마개(130)(140)(150)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rain port 17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18 formed to face downward and the drain port 17 can be provided with a cap 130, 140 or 150 covering the drain port 17. [ .
제5항에 있어서,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게 되도록 경사부(18)가 형성되고,
마개(130)는 투수 콘크리트가 배수구(17)에 타설되어 이루어지며, 경사부(18)가 투수 콘크리트의 몰드 역할을 하여 마개(130)와 경사부(18)가 일체로 결합되고,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아서 마개(130)가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clined portion 18 is form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drain hole 17 is smaller than the upper end of the drain hole 17,
The cap 130 is formed by pouring the permeable concrete into the drain port 17. The slope part 18 serves as a mold for the permeable concrete so that the cap 130 and the slope part 18 are integrally joined and the drain port 17 Is prevented from falling down due to the small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cap 130. [
제5항에 있어서,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게 되도록 경사부(18)가 형성되고,
마개(150)는,
경사부(18)와 형합하는 제1 부분(153);
제1 부분(153)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부분(155);
제1 부분(153)과 제2 부분(155) 사이에 형성된 턱(156); 및,
우수 배출을 위해 마개(1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152);을 포함하고,
턱(156)이 경사부(18)의 하단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마개(150)의 이탈이 방지되며,
마개(150)는 소정의 배합물이 배수구(17)에 타설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배합물은,
직경 10mm 이하의 자갈;
시멘트, 콘크리트, 아스팔트, 투수 콘크리트, 접착용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 및,
10mm 이하의 고무칩, 우레탄칩, 플라스틱칩 및, 제강 슬래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포함하고,
배수구(17)에 막대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배합물이 배수구(17)에 타설되어 마개(150)에는 관통공(1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clined portion 18 is form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drain hole 17 is smaller than the upper end of the drain hole 17,
The stopper (150)
A first portion 153 which mates with the inclined portion 18;
A second portion 155 formed to extend downwardly from the first portion 153;
A jaw 156 formed between the first portion 153 and the second portion 155; And
And a through hole (152) formed to penetrate the plug (150) for good discharge,
The jaw 156 is provided to be hooked on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8 to prevent the stopper 150 from being released,
The stopper 150 is formed by placing a predetermined combination in the drain hole 17,
Preferably,
Gravels less than 10 mm in diameter;
A binder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ment, concrete, asphalt, permeable concrete and adhesive resin,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And
A rubber chip having a thickness of 10 mm or less, a urethane chip, a plastic chip, and a steelmaking slag,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And a through hole (152) is formed in the cap (150) by placing the compound in the drain hole (17) in a state where a rod is placed on the drain hole (17).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마개(130)(140)(150)에는 야광 안료 또는 컬라 안료가 포함되고,
마개(130)(140)(150)는 그레이팅의 상부표면 보다 약간 위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caps 130, 140 and 150 include a glitter pigment or a color pigment,
Wherein the stoppers 130, 140 and 150 are formed to protrude slightly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ating.
제5항에 있어서,
배수구 마개(140)는,
상부면(141)과, 상부면(141)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된 측면(143)을 갖고, 배수구(17)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몸체부;
몸체부에 대해 회동이 가능한 덮개부(145); 및,
덮개부(145)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몸체부와 덮개부(145)를 연결하고, 몸체부 및 덮개부(145)와 일체로 형성되며, 덮개부(145)의 원위치 복귀를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연결부(147);를 포함하고,
상부면(141)에는 관통공(141a)이 형성되고,
측면(143)은,
경사부(18)와 형합하는 제1 부분(143a); 및,
제1 부분(143a)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제2 부분(143b);을 포함하며,
제2 부분(143b)에는 측방향으로 측면(143)을 관통하는 관통공(144)이 형성되고, 제1,2 부분(143a)(143b) 사이에는 턱(143c)이 형성되고, 턱(143c)은 경사부(18)의 하단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마개(140)가 위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덮개부(145)는 상부 우수의 하중에 의해서 아래로 회동되어 배수구(17)를 개방하고, 상기 우수가 제거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rain plug (140)
A body portion having an upper surface 141 and a side surface 143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141 and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17;
A cover 145 which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And
The body part and the lid part 14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id part 145 can be pivoted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art and the lid part 145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returning the lid part 145 to the home position. And a connection part
A through hole 141a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41,
The side surface 143,
A first portion 143a which mates with the inclined portion 18; And
And a second portion 143b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first portion 143a,
The second portion 143b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44 passing through the side surface 143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jaw 143c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143a and 143b and a jaw 143c Is provided to be hooked on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8 to prevent the stopper 140 from being deviated upward,
The lid part 145 is rotated downward by the load of the upper storm to open the drain port 17, and when the storm is removed, the lid 145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 금속 판재(P)의 테두리 부분을 수직으로 벤딩하여 직사각 형상의 본체부(10)와, 본체부(10) 둘레에 수직으로 세워진 제1,2 지지부(21)(25)를 만들되, 제1 지지부(21)는 본체부(10)의 네 변 중 서로 마주보는 두 변(11)에 형성되고 제2 지지부(25)는 본체부(10)의 나머지 두 변(15)에 형성되며, 제1 지지부(21)의 양쪽 끝단(23)과 제2 지지부(25) 사이에 틈(29)이 형성되도록 하여 그레이팅 구성품을 제작하는 단계;
(b)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을 수평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배치하되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의 제1 지지부(21)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한 후, 상기 틈(29)에 보강 바(110)를 삽입하는 단계; 및,
(c) 보강 바(110)와 제1,2 지지부(21)(25)를 결합시켜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제작 방법.
(a) bending the rim of the metal plate P vertically to form a rectangular body 10 and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21 and 25 vertically installed around the body 10, The first support part 21 is formed on two opposite sides 11 of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part 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25 is formed on the remaining two sides 15 of the main body part 10, Making a gap (29) between both ends (23) of the first support (21) and the second support (25) to produce a grating component;
(b)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110) into the gap (29) after arranging the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so that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first support portions (21) of adjacent grating components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 And
(c) combining the reinforcing bar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21, 25) so as to couple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제10항에 있어서,
(a1) 상기 금속 판재(P)를 1차로 펀칭하여 본체부(10)에 다수 개의 작은 구멍(16)을 형성하는 단계; 및,
(a2) 작은 구멍(16)을 2차로 펀칭하여 작은 구멍(16)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배수구(17)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차 펀칭은 작은 구멍(16) 보다 큰 직경의 펀치를 작은 구멍(16)에 밀어 넣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배수구(17)의 아래로 연장되는 경사부(18)가 형성되고, 경사부(18)는 그레이팅의 하중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제작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1) forming a plurality of small holes (16) in the main body (10) by first punching the metal plate (P); And
(a2) Secondly punching the small hole (16) to form a drain hole (17)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small hole (16)
The secondary punching is performed by pushing a punch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small hole 16 into the small hole 16 so that an inclined portion 18 extending downward from the drain hole 17 is formed, (18) increases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grating.
제11항에 있어서,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게 되도록 경사부(18)가 형성되고,
배수구(17)에는 마개(130)가 설치되며,
마개(130)는 투수 콘크리트가 배수구(17)에 타설되어 만들어지며, 경사부(18)가 투수 콘크리트의 몰드 역할을 하여 마개(130)와 경사부(18)가 일체로 결합되고,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아서 마개(130)가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제작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inclined portion 18 is form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drain hole 17 is smaller than the upper end of the drain hole 17,
A plug 130 is installed in the drain hole 17,
The cap 130 is formed by pouring the permeable concrete into the drain hole 17 and the slope portion 18 serves as a mold for the permeable concrete so that the cap 130 and the slope portion 18 are integrally joined, And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130 is prevented from falling downward.
제11항에 있어서,
배수구(17)의 상단 보다 하단의 직경이 작게 되도록 경사부(18)가 형성되고,
마개(150)는 소정의 배합물이 배수구(17)에 타설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배합물은,
직경 10mm 이하의 자갈;
시멘트, 콘크리트, 아스팔트, 투수 콘크리트, 접착용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 및,
10mm 이하의 고무칩, 우레탄칩, 플라스틱칩 및, 제강 슬래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포함하고,
배수구(17)에 막대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배합물이 배수구(17)에 타설되어 마개(150)에는 관통공(1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제작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inclined portion 18 is form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drain hole 17 is smaller than the upper end of the drain hole 17,
The stopper 150 is formed by placing a predetermined combination in the drain hole 17,
Preferably,
Gravels less than 10 mm in diameter;
A binder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ment, concrete, asphalt, permeable concrete and adhesive resin,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And
A rubber chip having a thickness of 10 mm or less, a urethane chip, a plastic chip, and a steelmaking slag,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above group,
And a through hole (152) is formed in the plug (150) by placing the compound in the drain hole (17) in a state where a rod is placed on the drain hole (17).
KR1020160148047A 2015-11-10 2016-11-08 Grating component made from metal plate, grating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grating KR10194635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57036 2015-11-10
KR1020150157036 2015-11-1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790A Division KR102040488B1 (en) 2015-11-10 2019-01-07 Grating having grating component made from metal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998A true KR20170054998A (en) 2017-05-18
KR101946358B1 KR101946358B1 (en) 2019-02-11

Family

ID=590490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047A KR101946358B1 (en) 2015-11-10 2016-11-08 Grating component made from metal plate, grating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grating
KR1020190001790A KR102040488B1 (en) 2015-11-10 2019-01-07 Grating having grating component made from metal plat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790A KR102040488B1 (en) 2015-11-10 2019-01-07 Grating having grating component made from metal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94635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487B1 (en) * 2019-02-13 2019-11-05 전나래 Grating manufactured by coupling grating components made from metal plate and, grating assembly manufactured by coupling the grating
WO2021162192A1 (en) * 2020-02-12 2021-08-19 전나래 Method for manufacturing gratings having various standards by using one press mold, and grating manufactured by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7142A (en) * 1981-03-19 1983-01-04 Twb-Pressteile Gmbh Grate for drainage ducts
KR200403783Y1 (en) * 2005-09-16 2005-12-14 오웅배 Drainage way cover
KR100620969B1 (en) * 2003-10-14 2006-09-08 김진환 Cover for providing a variable opening level
KR20080016712A (en) * 2008-01-29 2008-02-21 전용태 Distributing a cap for steel grating and manhole plant
KR200446077Y1 (en) * 2009-05-19 2009-09-25 김종득 nonskid steel plate grating
KR20100000569A (en) * 2008-06-25 2010-01-06 김동현 Eco-friendly Perforated Panel Grating
KR20150000343A (en) * 2013-06-24 2015-01-02 이윤성 Steel gra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4008B2 (en) * 1991-10-29 2001-04-09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friction material
JP3143673B2 (en) * 1999-04-23 2001-03-07 工業技術院長 Unsupported nickel-tungsten sulfide tungsten catalys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hydrogenating hydrocarbons
JP3143673U (en) * 2008-05-21 2008-07-31 光明 新井 FRP grating fixtur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7142A (en) * 1981-03-19 1983-01-04 Twb-Pressteile Gmbh Grate for drainage ducts
KR100620969B1 (en) * 2003-10-14 2006-09-08 김진환 Cover for providing a variable opening level
KR200403783Y1 (en) * 2005-09-16 2005-12-14 오웅배 Drainage way cover
KR20080016712A (en) * 2008-01-29 2008-02-21 전용태 Distributing a cap for steel grating and manhole plant
KR20100000569A (en) * 2008-06-25 2010-01-06 김동현 Eco-friendly Perforated Panel Grating
KR200446077Y1 (en) * 2009-05-19 2009-09-25 김종득 nonskid steel plate grating
KR20150000343A (en) * 2013-06-24 2015-01-02 이윤성 Steel gra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154008호(2009.09.24.) 1부.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487B1 (en) * 2019-02-13 2019-11-05 전나래 Grating manufactured by coupling grating components made from metal plate and, grating assembly manufactured by coupling the grating
WO2021162192A1 (en) * 2020-02-12 2021-08-19 전나래 Method for manufacturing gratings having various standards by using one press mold, and grating manufactured by manufacturing method
KR20210102569A (en) * 2020-02-12 2021-08-20 전나래 Method for manufacturing gratings of various specifications in one press mold, and grating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488B1 (en) 2019-12-05
KR20190014001A (en) 2019-02-11
KR101946358B1 (en)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358B1 (en) Grating component made from metal plate, grating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grating
EP1165909A1 (en) Demountable modular floor for watertight raised decks
JP2006125185A (en) Structure of pavement equipped with side ditch and side ditch block
KR100731773B1 (en) The water-storage tank worthy an undercurrent a block of loss in weight structure
DE102004055843A1 (en) Drainage gutter for road surface has slot formed in road surface with U-profile gutter trough having upper bridge pieces to support cover sections
EP2816163A1 (en) Drainage gutter
DE102014119087B3 (en) Top of a drain for a surface drainage
JP2011174352A (en) Culvert side ditch with top surface slit
DE102013104405A1 (en) Drainage channel system
JP3119258U (en) Side plate cover plate block
CN209568441U (en) Foundation pit edge protection can be had enough to meet the need
JP6914175B2 (en) Masu lid
JPH01304254A (en) Eaves structure of housing
KR101188618B1 (en) A pent roof
KR101156980B1 (en) Concare surface drainage system and establishment method thereof for fine view improvement type
KR200485651Y1 (en) Steel grating
EP2505721B1 (en) Road surface
KR200167576Y1 (en) Grating structure
KR200435442Y1 (en) Decorative Cover for Drainage Trench Grating
DE202004001009U1 (en) Monolithic drain system to remove excess surface water consists of drain body of concrete with plastic lining, and permanently fixed cover of cast iron
KR102518705B1 (en) Reinforcing facilities for drainage channels for narrow spaces and methods of reinforcing drainage channels using them
JPH07300871A (en) Variable size lightweight cover
JP3760209B2 (en) Fixing structure of groove lid
CN209099820U (en) The pre-buried sub-assembly of drainage type of landscape pavilion corridor pin
JP2561953Y2 (en) Gutter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