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854A -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854A
KR20170054854A KR1020150157519A KR20150157519A KR20170054854A KR 20170054854 A KR20170054854 A KR 20170054854A KR 1020150157519 A KR1020150157519 A KR 1020150157519A KR 20150157519 A KR20150157519 A KR 20150157519A KR 20170054854 A KR20170054854 A KR 20170054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ation
coin
truck
inform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2072B1 (ko
Inventor
김갑환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7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07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터미널에서 반출입 피크타임(Peak Time)에 교통혼잡을 줄일 수 있는 트럭예약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가상화폐의 하나인 예약코인의 운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송업체 서버로부터 웹페이지를 통해 유입 트럭수를 제공받아 혼잡도에 따른 혼잡료를 산출하여 운송업체로 제공한 예약코인을 관리하고, 복수의 운송 업체에게 대기 트럭수 및 회귀 트럭수에 따른 예약정보를 생성하는 예약서버와, 상기 예약서버에서 생성된 예약정보를 기반으로 터미널에 도착하는 모든 트럭에게 터미널 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터미널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및 방법{Ope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Appointment Coins for Truck Appointment System in Container Terminals}
본 발명은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테이너터미널에서 반출입 피크타임(Peak Time)에 교통혼잡을 줄일 수 있는 트럭예약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가상화폐의 하나인 예약코인의 운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 화물들의 90%이상은 선박에 의해 운송되어진다. 그 결과, 최근 몇 년 동안 항만의 교통량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많은 나라들에서, 항만의 트럭 정체는 심각한 환경적 문제와 교통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정체의 주된 원인 중 하나는, 피크타임에 트럭들이 집중적으로 도착하는 것이다. 특히, 컨테이너의 반출ㅇ입 과정을 보면 이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조금 더 이해할 수 있다.
먼저, 하송인이나 하수인이 수출ㅇ입 컨테이너를 받거나 배달하기를 원할 때, 그들은 트럭운송회사에 컨테이너 터미널로 트럭을 보낼 것을 요청한다. 만약 모든 트럭운송회사가 그들의 모든 트럭을 동시간에 터미널로 보낸다면, 그 터미널은 과부하가 될 것이다. 게다가 터미널의 해당 저장 야드 역시 혼잡해질 것이며, 그로인해 트럭들은 긴 시간동안 컨테이너 저장 블록이나, 입구에서 기다려야만 할 것이다.
터미널의 관점에서, 반출ㅇ입 작업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는 본선 양ㅇ적하 작업을 포함하는 선상작업에 주어진다.
임의의 선상작업을 위한 스케쥴이 주어졌을 때, 야드 크레인들의 남아있는 처리 가능 용량은 서로 각각 다를 것이고, 그것들은 시간에 따라 변할 것이다. 만약 트럭 운송회사가 트럭을 보내기 전에 해당 블록의 처리 가능 용량에 대해 터미널 작업자와 소통한다면, 트럭 운송회사는 그들의 트럭을 터미널로 보내는 시간을 결정함에 있어, 그 정보를 이용할 것이다.
반대로, 만약 그 터미널 작업자가 모든 트럭 운송회사의 트럭 도착시간을 알고 있다면, 동시간대에 높은 정체현상을 없애기 위해, 그들의 도착 시간을 조절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들을 감안한 새로운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의 운용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1717호 (공개일자 2008.01.04) 등록특허공보 제10-1438739호 (등록일자 2014.09.0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컨테이너터미널에서 반출입 피크타임(Peak Time)에 교통혼잡을 줄일 수 있는 트럭예약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가상화폐의 하나인 예약코인의 운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약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예약방식과 협상방식을 제시하고 있어, 예약을 위해서는 대기시간에 비례하는 예약료를 지불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어나 그 예약료 지불의 수단이 되는 예약코인의 운용방식은 제시되어 있지 않아, 이러한 예약코인의 운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의 특징은 운송업체 서버로부터 웹페이지를 통해 유입 트럭수를 제공받아 혼잡도에 따른 혼잡료를 산출하여 운송업체로 제공한 예약코인을 관리하고, 복수의 운송 업체에게 대기 트럭수 및 회귀 트럭수에 따른 예약정보를 생성하는 예약서버와, 상기 예약서버에서 생성된 예약정보를 기반으로 터미널에 도착하는 모든 트럭에게 터미널 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터미널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약서버는 운송업체 서버로부터 신청되는 예약접수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예약정보와 본선작업계획을 반영하여 예약접수되는 시간대의 평균대기 트럭수 및 회귀 트럭수를 산출하여 예약접수된 시간의 부하정보를 검출하는 부하관리모듈과, 상기 부하관리모듈에서 검출된 부하정보를 기반으로 운송업체 서버로부터 신청되는 예약접수정보에 해당되는 시간에 따른 혼잡도 또는 트럭 예상대기시간을 산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운송사의 예약을 조정하는 예약협상모듈과, 상기 예약협상모듈에서 생성된 혼잡도 또는 트럭예상대기시간에 비례하는 예약코인을 책정하여 예약료로 운용하는 예약관리모듈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하관리모듈은 운송업체 서버로부터 신청되는 예약접수정보를 수집하는 부하 수집부와, 상기 부하 수집부에서 수집되는 예약접수정보를 생성된 예약정보와 본선작업계획을 고려하여 예약접수되는 시간대의 트럭예상대기시간을 산출하여 예약접수된 시간의 부하정보를 검출하는 시간 예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하정보는 배후지에 수용 가능한 트럭수를 기반으로 본선작업계획과 반출입트럭 예약정보를 이용하여 추정된 트럭의 평균대기 시간별로 다수의 단계로 부하정도가 분류되어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약협상모듈은 운송업체 서버로부터 신청되는 예약을 접수받는 예약 협상부와, 접수되는 예약접수정보에 해당되는 시간에 따른 혼잡도에 기초한 예약코인으로 표시된 혼잡료를 계산하여 이를 바탕으로 트럭운송사의 예약을 반복적으로 갱신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트럭운송사가 예약시간을 수정하게 하는 혼잡료 예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선작업계획은 시간대별 단위로 분리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계치를 기준으로 다수의 혼잡정도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약관리모듈은 예약시점, 횟수 및 반출입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누적기록을 기반으로 예약접수되는 트럭의 반출입 기록을 검출하는 반출입 예약정보 관리부와, 상기 반출입 예약정보 관리부에서 검출된 트럭별 반출입 기록 및 예약협상모듈에서 생성된 혼잡도에 비례하는 예약코인의 예약료를 책정하는 코인운용 관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약료는 터미널내부 작업으로 혼잡한 시간대에 예약접수하는 경우에 한가한 시간대에 예약접수하는 경우보다 많은 양의 예약코인을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인운용 관리부는 예약코인 중앙은행에서 항만 물동량을 기초로 관리되는 코인의 총 발행량을 기반으로 운송업체에서 유통되는 예약코인의 발행 및 폐기를 관리하는 발행 및 폐기 관리부와, 운송업체로부터 지불되는 예약신청에 필요한 예약코인을 트럭운송사나 선사에 분배하는 분배 관리부와, 예약접수를 통해 회수되는 예약코인을 관리하는 회수 관리부와, 예약시스템을 이용하는 우수하거나 불성실한 반출입 예약신청자에 대한 예약코인을 통한 보상 및 벌금징수를 관리하는 보상 및 벌금 관리부와, 터미널 운영사에서 제시한 대기시간을 초과한 경우, 예약코인 환불규정에 따라 운송업체에 보상을 제공하는 환불 수수료 관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방법의 특징은 (A) 운송업체 서버로부터 웹페이지를 통해 컨테이너의 물량정보, 유입 트럭수 및 컨테이너터미널 예약시간과 함께 예약신청이 입력되는 단계와, (B) 운송업체 서버로부터 신청되는 예약접수정보를 수집하고 본선작업 계획정보를 추가로 고려하여 예약접수되는 시간대의 평균대기 트럭수 및 회귀 트럭수를 기반으로 대기시간 또는 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C) 예약관리모듈을 통해 생성된 대기시간 또는 혼잡도에 비례하는 예약코인을 책정하여 예약료를 책정하고, 책정된 예약료에 따른 예약코인을 회수하여 예약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반출입 예약정보 관리부를 통해 예약시점, 횟수, 반출입 정보 등 예약 누적기록을 기반으로 예약접수되는 트럭의 반출입 기록을 검출하는 단계와, 코인운용 관리부를 통해 상기 검출된 트럭별 반출입 기록 및 예약협상모듈에서 생성된 대기시간 또는 혼잡도에 비례하는 예약코인의 예약료를 책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예약시스템을 이용하는 우수하거나 불성실한 반출입 예약신청자에 대한 예약코인을 통한 보상 및 벌금을 징수하는 단계와, 터미널 운영사 또한 제시한 대기시간을 초과한 경우, 예약코인 환불규정에 따라 운송업체에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트럭 운송사가 효율적으로 예약코인을 운영하기 위해, 피크타임을 피해 트럭을 터미널에 보냄으로써, 자동적으로 트럭의 집중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서 언급한 트럭 정체에 의한 환경적 문제와 항만 지역 교통 혼잡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둘째, 터미널 운영사는 트럭의 도착예정시간을 알게 됨으로써, 컨테이너의 리핸들링 횟수를 최소화 할 수 있고, 또한, 장비의 가동률과 효율성을 동시에 향상시킴으로써, 본선 작업에 더욱 집중하여 서비스를 할 수 있다.
셋째, 트럭운송사는 서비스 종료시간을 예측함으로써, 효율적인 배차를 통해 회사 매출을 상승시킬 수 있다.
넷째, 예약 코인 운영으로써 서로가 긴장하고 노력하여 서비스 시간을 줄여 나감으로써, 터미널 운영사의 서비스 능력 향상에 따른 경쟁력 제고와 동시에, 트럭 운송사 입장에서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줄여 트럭 회전율을 높일 수 있다. 이는 두 회사 간의 협업으로 일어나는 매출 향상에 끝나지 않고, 국가적 차원의 물류경쟁력이 될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터미널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 은 도 2의 부하관리모듈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도 2의 예약협상모듈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 는 도 2의 예약관리모듈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 은 도 5의 코인운용 관리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를 설명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터미널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테이너 터미널은 안벽(50), 장치장(10) 및 배후지(30)를 포함한다.
상기 안벽(20)은 선박(40)이 정박하는 부분이고, 컨테이너 크레인(cc)에 의해 컨테이너(12)가 선박(40)에서 하역될 수 있다. 하역된 컨테이너(12)는 내부 이송 차량(AGV)에 의해 장치장(10)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장치장(10)에 적재된 컨테이너(12)는 안벽(20)에서 컨테이너 크레인(CC)에 의해 선박에 선적될 수 있다.
상기 장치장(10)은 임시적으로 컨테이너(12)가 적재될 수 있다. 내부 이송 차량(AGV)에 의해 안벽(20)에서 하역된 컨테이너(12)가 장치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장치장(10)에는 장치장 크레인(ASC)에 의해 각각의 컨테이너(12)를 적재할 수 있다. 컨테이너(12)는 다시 선적되거나 배후지(3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2)는 도시되었듯이 선박(40)이 정착하는 방향에 수직하게 배열된 복수의 블록으로 적재될 수 있다. 각 블록은 복수의 장치장 크레인(ASC)에 의해 컨테이너(12)가 적재되고, 각각의 블록 사이로 내부 이송 차량(AGV)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2)는 도시된 바와 달리 선박(40)이 정착하는 방법에 수평하게 배열된 복수의 블록으로 적재될 수 있다. 각 블록은 복수의 장치장 크레인(ASC)에 의해 컨테이너(12)가 적재되고, 각각의 블록 사이로 내부 이송 차량(AGV)이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장(10)의 안벽(20)과 이어지는 부분은 해(海) 측 핸드오버 포인트(handover point : HP)라 한다. 장치장(10)의 배후지(30)와 이어지는 부분은 육(陸) 측 핸드오버 포인트라고 한다. 각각의 핸드오버 포인트는 컨테이너(12)가 들어오고 나갈 수 있다. 육 측 핸드오버 포인트에서 배후지(30)로는 외부 트럭(ET)이 이동할 수 있다.
배후지(30)는 장치장(10)의 육 측 핸드오버 포인트에서 연결되는 부분이다. 배후지(30)에서는 외부 트럭(ET)이 이동할 수 있다. 배후지는 외부 트럭(ET)이 육 측의 다른 장소로 컨테이너(12)를 이송하기 위해 거치는 장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트럭 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는 상기 외부 트럭(ET)의 대기 트럭수를 줄이고, 교통혼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운송업체 서버(100)로부터 웹페이지를 통해 유입 트럭수를 제공받아 혼잡도에 따른 혼잡료를 산출하여 운송업체로 제공한 예약코인을 관리하고, 복수의 운송 업체에게 대기 트럭수 및 회귀 트럭수에 따른 예약정보를 생성하는 예약서버(200)와, 상기 예약서버(200)에서 생성된 예약정보를 기반으로 터미널에 도착하는 모든 트럭에게 터미널 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터미널 서버(3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운송업체 서버(100)는 복수의 트럭을 보유하고 있는 운송업체들을 포함하는 서버로서, 운송업체는 화주 또는 수탁인이 수출 컨테이너를 딜리버리 하기를 원할 때, 상기 컨테이너를 실은 트럭을 컨테이너 터미널로 보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운송업체는 화수 또는 수탁인이 수입 컨테이너를 픽업(pick up)하기를 원할 때, 상기 컨테이너를 싣기 위해 트럭을 컨테이너 터미널로 보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약서버(200)는 운송업체 서버(100)로부터 신청되는 예약접수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예약정보와 비교하여 예약접수되는 시간대의 평균대기 트럭수 및 회귀 트럭수를 산출하여 예약접수된 시간의 부하정보를 검출하는 부하관리모듈(210)과, 상기 부하관리모듈(210)에서 검출된 부하정보를 기반으로 운송업체 서버(100)로부터 신청되는 예약접수정보에 해당되는 시간에 따른 대기시간 또는 혼잡도를 산출하여 혼잡도를 생성하는 예약협상모듈(220)과, 상기 예약협상모듈(220)에서 생성된 대기시간 또는 혼잡도에 비례하는 예약코인을 책정하여 예약료로 운용하는 예약관리모듈(2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터미널에 도착하는 모든 트럭은 터미널 내에서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사전에 예약을 필요로 하고 예약을 위해서는 일정한 양의 예약코인을 트럭 운송업체가 컨테이너 터미널에 지불하여야 하는 예약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터미널내부 작업으로 혼잡한 시간대에는 많은 양의 예약코인을 받기 때문에 트럭 도착시간을 한가한 시간대에 이동시켜 트럭 도착시간을 평활화하는데 특징이 있다.
한편, 예약코인은 예약시스템의 운용과 반출입 예약에 꼭 필요한 가상의 화폐이다. 또한 예약코인은 터미널별 예약시스템에 개별적으로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정 지역 내의 모든 터미널에 동일한 예약코인을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진다. 예약코인은 실제거래가 허용되며 교환가치는 시장경제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약서버(20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약서버(200) 내의 부하관리모듈(210)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운송업체 서버(100)로부터 신청되는 예약접수정보를 수집하는 부하 수집부(211)와, 상기 부하 수집부(211)에서 수집되는 예약접수정보를 생성된 예약정보와 본선작업계획을 고려하여 예약접수되는 시간대의 평균대기 트럭수 및 회귀 트럭수를 기반으로 대기시간을 산출하여 예약접수된 시간의 부하정보를 검출하는 시간 예측부(2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예약서버(200) 내의 예약협상모듈(220)은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운송업체 서버(100)로부터 신청되는 예약을 접수받는 예약 협상부(221)와, 접수되는 예약접수정보에 해당되는 시간에 따른 대기시간 또는 혼잡도를 산출하여 대기시간 또는 혼잡도를 생성하는 혼잡료 예측부(2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예약서버(200) 내의 예약관리모듈(230)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예약시점, 횟수, 반출입 정보 등 예약 누적기록을 기반으로 예약접수되는 트럭의 반출입 기록을 검출하는 반출입 예약정보 관리부(231)와, 상기 반출입 예약정보 관리부(231)에서 검출된 트럭별 반출입 기록 및 예약협상모듈(220)에서 생성된 혼잡도에 비례하는 예약코인의 예약료를 책정하는 코인운용 관리부(23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예약료는 터미널내부 작업으로 혼잡한 시간대에 예약접수하는 경우에는 많은 양의 예약코인을 책정하고, 한가한 시간대에 예약접수하는 경우에는 보다 적은 양의 예약코인을 책정한다.
한편, 상기 코인운용 관리부(232)는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다시 발행 및 폐기 관리부(232a)와, 분배 관리부(232b)와, 회수 관리부(232c)와, 보상 및 벌금 관리부(232d)와, 환불 수수료 관리부(232e)로 구성된다.
상기 발행 및 폐기 관리부(232a)는 예약코인 중앙은행에서 항만 물동량을 기초로 관리되는 코인의 총 발행량을 기반으로 운송업체에서 유통되는 예약코인의 발행 및 폐기를 관리한다. 이는 물량이 증가하면 코인의 발행량도 증가한다. 이때, 예약코인 중앙은행은 예약시스템 운영협의회(운영사, 운송사, 정부 등)에 의해서 정해진 규칙에 따라 운영되고 중앙은행의 실질적인 운영은 예약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된다. 그리고 중앙은행의 주요기능은 코인의 발행과 폐기, 발행과 폐기에 따른 총량 관리, 코인 대출과 예금관리, 코인 계좌관리, 코인 이자(대출 및 예금)관리 등이다.
상기 분배 관리부(232b)는 운송업체로부터 지불되는 예약신청에 필요한 예약코인을 선사나 트럭운송사에 배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지불되는 예약코인의 양은 반출입되는 예약물량에 비례한다.
상기 회수 관리부(232c)는 예약접수를 통해 회수되는 예약코인을 관리한다. 이때, 예약코인의 기본적인 회수량은 터미널별 운영사에서 트럭 서비스 시간과 터미널의 적정 코인 보유량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반출입 예약에 대한 예약코인의 회수량이 결정된다. 이때, 예약시스템 운영협회의회를 통해 컨테이너별 회수량을 일괄 공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트럭도착 예약시간을 기준으로 실제 도착 시간의 오차가 적은 경우 예약코인의 회수량을 감면할 수 있다. 이는 예약시스템 운용규칙에 따라 코인의 회수량이 달라질 수 있다는 뜻이다. 한편, 최종 예약코인의 회수량은 보상과 벌금산정을 고려해서 즉시 결과가 반영될 수도 있고, 정기적(주별, 월별, 분시별 등)으로 일괄 산정해서 반출입 예약건별 회수량과는 별개로 부과할 수 있다.
상기 보상 및 벌금 관리부(232d)는 예약시스템을 이용하는 우수하거나 불성실한 반출입 예약신청자에 대한 예약코인을 통한 보상 및 벌금징수를 관리한다. 이때, 반출입 예약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자유로우나 예약의 취소시는 수수료가 부과된다. 특히 확정된 예약에 대한 변경은 일정의 수수료를 부과함으로써 신중한 반출입 예약신청을 유도한다.
상기 환불 수수료 관리부(232e)는 터미널 운영사에서 제시한 대기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한해서 예약코인 환불규정에 따라 운송업체에 적절한 보상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운송업체 서버(100)로부터 웹페이지를 통해 컨테이너의 물량정보, 유입 트럭수 및 컨테이너터미널 예약시간과 함께 예약신청이 입력된다(S10).
이어, 예약서버(200)는 부하관리모듈(210)을 통해 운송업체 서버(100)로부터 신청되는 예약접수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되는 예약접수정보와 본선작업계획을 고려하여 예약접수되는 시간대의 평균대기 트럭수 및 회귀 트럭수를 기반으로 대기시간을 산출하여 예약접수된 시간의 부하정보를 검출한다(S20). 이때 본선작업계획의 부하는 임계치를 다수 개로 설정하여 매우혼잡, 혼잡, 평균, 한가, 매우한가 등으로 분류하여 입력케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예약관리모듈(230)을 통해 생성된 혼잡도에 비례하는 예약코인을 책정하여 예약료를 책정하고, 책정된 예약료에 따른 예약코인을 회수하여 예약을 확인한다(S30).
이때, 상기 S30 단계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반출입 예약정보 관리부(231)를 통해 예약시점, 횟수, 반출입 정보 등 예약 누적기록을 기반으로 예약접수되는 트럭의 반출입 기록을 검출한다.
이어 코인운용 관리부(232)를 통해 상기 검출된 트럭별 반출입 기록 및 예약협상모듈(220)에서 생성된 혼잡도에 비례하는 예약코인의 예약료를 책정한다.
이때, 책정된 예약코인의 예약료는 혼잡도뿐만 아니라 반출입되는 예약물량에 비례하여 증가된다.
또한, 예약시스템을 이용하는 우수하거나 불성실한 반출입 예약신청자에 대한 예약코인을 통한 보상 및 벌금을 징수한다. 즉, 반출입 예약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자유로우나 예약의 취소시는 수수료가 부과된다. 그리고 터미널 운영사 또한 제시한 대기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한해서 예약코인 환불규정에 따라 운송업체에 적절한 보상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운송업체 서버로부터 웹페이지를 통해 유입 트럭수를 제공받아 혼잡도에 따른 혼잡료를 산출하여 운송업체로 제공한 예약코인을 관리하고, 복수의 운송 업체에게 대기 트럭수 및 회귀 트럭수에 따른 예약정보를 생성하는 예약서버와,
    상기 예약서버에서 생성된 예약정보를 기반으로 터미널에 도착하는 모든 트럭에게 터미널 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터미널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서버는
    운송업체 서버로부터 신청되는 예약접수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예약정보와 본선작업계획을 반영하여 예약접수되는 시간대의 평균대기 트럭수 및 회귀 트럭수를 산출하여 예약접수된 시간의 부하정보를 검출하는 부하관리모듈과,
    상기 부하관리모듈에서 검출된 부하정보를 기반으로 운송업체 서버로부터 신청되는 예약접수정보에 해당되는 시간에 따른 혼잡도 또는 트럭 예상대기시간을 산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운송사의 예약을 조정하는 예약협상모듈과,
    상기 예약협상모듈에서 생성된 혼잡도 또는 트럭예상대기시간에 비례하는 예약코인을 책정하여 예약료로 운용하는 예약관리모듈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관리모듈은
    운송업체 서버로부터 신청되는 예약접수정보를 수집하는 부하 수집부와,
    상기 부하 수집부에서 수집되는 예약접수정보를 생성된 예약정보와 본선작업계획을 고려하여 예약접수되는 시간대의 트럭예상대기시간을 산출하여 예약접수된 시간의 부하정보를 검출하는 시간 예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정보는 배후지에 수용 가능한 트럭수를 기반으로 본선작업계획과 반출입트럭 예약정보를 이용하여 추정된 트럭의 평균대기 시간별로 다수의 단계로 부하정도가 분류되어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협상모듈은
    운송업체 서버로부터 신청되는 예약을 접수받는 예약 협상부와,
    접수되는 예약접수정보에 해당되는 시간에 따른 혼잡도에 기초한 예약코인으로 표시된 혼잡료를 계산하여 이를 바탕으로 트럭운송사의 예약을 반복적으로 갱신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트럭운송사가 예약시간을 수정하게 하는 혼잡료 예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선작업계획은 시간대별 단위로 분리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계치를 기준으로 다수의 혼잡정도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관리모듈은
    예약시점, 횟수 및 반출입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누적기록을 기반으로 예약접수되는 트럭의 반출입 기록을 검출하는 반출입 예약정보 관리부와,
    상기 반출입 예약정보 관리부에서 검출된 트럭별 반출입 기록 및 예약협상모듈에서 생성된 혼잡도에 비례하는 예약코인의 예약료를 책정하는 코인운용 관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료는 터미널내부 작업으로 혼잡한 시간대에 예약접수하는 경우에 한가한 시간대에 예약접수하는 경우보다 많은 양의 예약코인을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운용 관리부는
    예약코인 중앙은행에서 항만 물동량을 기초로 관리되는 코인의 총 발행량을 기반으로 운송업체에서 유통되는 예약코인의 발행 및 폐기를 관리하는 발행 및 폐기 관리부와,
    운송업체로부터 지불되는 예약신청에 필요한 예약코인을 트럭운송사나 선사에 분배하는 분배 관리부와,
    예약접수를 통해 회수되는 예약코인을 관리하는 회수 관리부와,
    예약시스템을 이용하는 우수하거나 불성실한 반출입 예약신청자에 대한 예약코인을 통한 보상 및 벌금징수를 관리하는 보상 및 벌금 관리부와,
    터미널 운영사에서 제시한 대기시간을 초과한 경우, 예약코인 환불규정에 따라 운송업체에 보상을 제공하는 환불 수수료 관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10. (A) 운송업체 서버로부터 웹페이지를 통해 컨테이너의 물량정보, 유입 트럭수 및 컨테이너터미널 예약시간과 함께 예약신청이 입력되는 단계와,
    (B) 부하관리모듈을 통해 운송업체 서버로부터 신청되는 예약접수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되는 예약접수정보를 앞서 생성된 예약정보와 본선작업계획을 이용하여 예약접수되는 시간대의 평균대기 트럭수 및 회귀 트럭수를 기반으로 트럭대기시간을 산출하여 예약접수된 시간의 부하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C) 예약관리모듈을 통해 생성된 혼잡도에 비례하는 예약코인을 책정하여 예약료를 책정하고, 책정된 예약료에 따른 예약코인을 회수하여 예약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배후지에 수용 가능한 트럭수를 기반으로 평균대기 트럭수 및 회귀 트럭수를 시간단위로 분류하여 트럭의 평균대기 시간별로 다수의 단계로 부하정도가 분류되어 저장된 부하정보를 검색하여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본선작업계획은 시간대별 단위로 분리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계치를 기준으로 다수의 혼잡정도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입력하는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를 다수 개로 설정하여 매우혼잡, 혼잡, 평균, 한가, 매우한가로 혼잡도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반출입 예약정보 관리부를 통해 예약시점, 횟수, 반출입 정보 등 예약 누적기록을 기반으로 예약접수되는 트럭의 반출입 기록을 검출하는 단계와,
    코인운용 관리부를 통해 상기 검출된 트럭별 반출입 기록 및 예약협상모듈에서 생성된 혼잡도에 비례하는 예약코인의 예약료를 책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예약시스템을 이용하는 우수하거나 불성실한 반출입 예약신청자에 대한 예약코인을 통한 보상 및 벌금을 징수하는 단계와,
    터미널 운영사 또한 제시한 대기시간을 초과한 경우, 예약코인 환불규정에 따라 운송업체에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방법.
KR1020150157519A 2015-11-10 2015-11-10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및 방법 KR101772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519A KR101772072B1 (ko) 2015-11-10 2015-11-10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519A KR101772072B1 (ko) 2015-11-10 2015-11-10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854A true KR20170054854A (ko) 2017-05-18
KR101772072B1 KR101772072B1 (ko) 2017-08-28

Family

ID=59049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519A KR101772072B1 (ko) 2015-11-10 2015-11-10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0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5889A (zh) * 2017-05-31 2017-08-18 湖北精功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中转站车辆引导控制方法及车辆引导系统
CN111951556A (zh) * 2020-08-20 2020-11-17 重庆大学 一种基于rfid数据考虑货车混入率的公交行程时间预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756A (ja) 2001-08-17 2003-02-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テナの管理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5889A (zh) * 2017-05-31 2017-08-18 湖北精功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中转站车辆引导控制方法及车辆引导系统
CN111951556A (zh) * 2020-08-20 2020-11-17 重庆大学 一种基于rfid数据考虑货车混入率的公交行程时间预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072B1 (ko) 2017-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o et al. Fleet sizing and vehicle routing for container transportation in a static environment
JP7077162B2 (ja) 配送計画装置、配送計画システムおよび配送計画方法
US11392886B2 (en) Real-time detention avoidance system
Duinkerken et al. Comparing transportation systems for inter-terminal transport at the maasvlakte container terminals
US201902870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and Dynamic Coordination of Transportation of Shipping Containers
CN110363396B (zh) 物流资源配置方法及装置
CN110348613A (zh) 分拨中心智能物流管理方法及系统
CN111815231B (zh) 一种物流平台智能拼车方法及系统
CN108549978A (zh) 一种调配安全货运车辆的方法及系统
Won et al. Workload-based yard-planning system in container terminals
CN114881564A (zh) 多深货位分配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1772072B1 (ko) 컨테이너터미널에서의 트럭예약 시스템을 위한 예약코인 운용 장치 및 방법
Feng et al. Optimal slot allocation with empty container reposition problem for Asia ocean carriers
KR101053200B1 (ko) 컨테이너 자원의 최적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331075A (zh) 堆场拖车调度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eong et al. A simulation study on a workload-based operation planning method in container terminals
US20220335368A1 (en) Method for Evaluating a Freight Order by Means of a Freight Order Evaluation System, and Freight Order Evaluation System
Wang et al. Storage space allocation of inbound container in railway container terminal
Klerides et al. Modelling and solution approaches to the multi-load AGV dispatching problem in container terminals
Guo et al. A global intermodal shipment matching problem under travel time uncertainty
CN115730807A (zh) 运输车辆调度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6468340A (zh) 专线运输车辆中途半仓带货的预反应调度方法、介质及终端
KR101754681B1 (ko) 수입 컨테이너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수입 컨테이너 인보이스 관리 서비스 방법
CA2964889C (en) Equipment staging method and system
KR20020005516A (ko) 화물운송 자동배차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