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004A -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004A
KR20170054004A KR1020150156650A KR20150156650A KR20170054004A KR 20170054004 A KR20170054004 A KR 20170054004A KR 1020150156650 A KR1020150156650 A KR 1020150156650A KR 20150156650 A KR20150156650 A KR 20150156650A KR 20170054004 A KR20170054004 A KR 20170054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eel grating
rainwater
prevent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3801B1 (ko
Inventor
조광식
Original Assignee
조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식 filed Critical 조광식
Priority to KR1020150156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8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만 우수받이 내부로 통과시키고 오물의 우수받이 내부로의 유입은 방지시키는 수단이 구비되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틸그레이팅보다 면적이 더 크고 스틸그레이팅 상부에 배치되는 판체로서, 하나 이상의 우수유입공이 형성되는 오물유입차단 판과, 상기 스틸그레이팅의 격자에 삽입되면서 상기 집수정의 단차 상면에 안착되고, 흡수팽창재가 내장되며, 흡수팽창재의 수분 흡수로 흡수팽창재가 팽창됨에 따라 상부를 향하여 부피가 증가됨으로써 상기 오물유입차단 판을 상승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오물유입차단 판의 저면과 상기 단차 사이를 연결하여 오물유입차단 판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부재로 이루어지되, 이탈방지부재는 단차 상면과 스틸그레이팅 상단과의 거리보다 더 길게 신장 가능한 링크부로 구성됨으로써, 물만 우수받이 내부로 유입 가능하여 우수받이 내부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별도의 작업을 요하지 않아 막대한 비용과 시간 및 노력의 투입이 필요 없고, 강수량에 따라서 우수받이의 개방 정도가 조절 가능하므로 원활하고 즉각적인 배수가 가능하며, 오물유입 방지장치 자체를 인출하지 않고서도 내부 구성의 간단한 인출이 가능하여 유지 보수에 들어가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Rubbish inlet protection device of drainage well}
본 발명은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분만 우수받이 내부로 통과시키고 오물이 우수받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수단이 구비되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수받이는 노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배수시설로서 상부가 개방되는 통체 형상의 집수정이 개방된 상부가 노출되게 지면에 매립되고 개방된 상부는 스틸그레이팅으로 차단시켜 물외의 쓰레기 등 이물질은 걸리게 되며, 집수정 하부에는 하수관으로 연결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시설이다.
이때 스틸그레이팅의 격자 사이를 통과하는 모래 등의 오물은 집수정 바닥으로 가라않고 물은 배수구를 통하여 하수관으로 흘러가게 된다.
그런데 스틸그레이팅은 격자 사이 간격으로 인하여 설치 위치에 따라서는 상당량의 오물이 집수정 하부에 축적되므로 정기적으로 집수정 내부를 청소 해 주어야 한다. 집수정 내부의 청소는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 무거운 스틸그레이팅을 들어 낸 다음 일일이 청소 해 주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우수받이의 관리는 현재로서는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따라서 이러한 비용과 시간 및 인력이 소요되지 않도록 배수는 원활하게 하면서 오물은 우수받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기술이 요청된다.
이러한 우수받이 내부로의 오물유입을 차단시키기 위한 종래기술 중 대표적인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109호(등록일자: 2006. 11. 07)에 개시된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유입되는 낙엽, 자갈, 토사,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여 하수관을 통해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가 유입되는 양측 선후단부에 걸이홈(12)이 형성되며, 걸이홈(12)에 거름장치(20)(30)(40)(50)가 장탈착되게 이루어져서, 이물질은 덮개에서 일차적으로 걸러지고, 덮개를 통과한 이물질은 덮개 하부의 거름장치로 단계적으로 걸러지고, 거름장치가 안착되게 설치되므로 탈착이 쉬우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비가 한번 온 후 마다 다음번의 우천시 배수를 위하여 거름장치를 탈거시켜 내부의 오물을 비워줘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은 우수받이의 방대한 설치 개수를 고려할 때 통상의 일반 우수받이 보다는 덜하지만 여전히 상당한 인력과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통상의 공공 미화 청소 작업 외의 이러한 오물제거를 위한 별도의 작업을 일체 요하지 않으면서도 우수받이 내부로 오물유입이 방지되는 한편, 빗물은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빗물의 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배수 양이 조절될 수 있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 기술이 요청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109호(등록일자: 2006. 11. 07)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공공 미화 청소 작업 외의 이러한 오물제거를 위한 별도의 작업을 일체 요하지 않으면서도 우수받이 내부로 오물유입이 방지되는 한편, 빗물은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빗물의 양에 따라 처리 가능한 배수 양이 조절될 수 있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는 상부가 개구부로 형성되는 통체로서 개구부 내주면을 따라 통체 내부를 향하여 단차가 형성되고 개구부가 노출되게 노면에 매립되며 하수관과 연결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집수정과, 집수정의 상기 단차에 테두리가 안착되는 격자형상의 스틸그레이팅으로 이루어지는 우수받이의 내부로 우수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로서, 상기 스틸그레이팅보다 면적이 더 크고 스틸그레이팅 상부에 배치되는 판체로서, 하나 이상의 우수유입공이 형성되는 오물유입차단 판과, 상기 스틸그레이팅의 격자에 삽입되면서 상기 집수정의 단차 상면에 안착되고, 흡수팽창재가 내장되며, 흡수팽창재의 수분 흡수로 상승됨으로써 상기 오물유입차단 판을 상승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오물유입차단 판의 저면과 상기 단차 사이를 연결하여 오물유입차단 판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부재로 이루어지되, 이탈방지부재는 단차 상면과 스틸그레이팅 상단과의 거리보다 더 길게 신장 가능한 링크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물유입차단 판은 승강부가 인출 가능한 인출구가 형성되고, 인출구에 개폐 가능한 인출구 덮개가 구비되며, 상기 우수유입공은 인출구 덮개에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출구 덮개는 오물유입차단 판과 힌지 결합되고, 인출구 덮개 잠금 수단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는 흡수팽창재가 내장되는 박스로서, 박스의 상부판은 흡수팽창재의 팽창에 따라 측면 벽으로 안내되면서 승강 가능하며, 상기 링크부는 바람직하게는 상부판의 상면과 상기 인출구 덮개 저면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판은 바람직하게는 수분이 통과되는 다공성 재질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인출구 덮개 저면과 상기 집수정의 단차 상면을 연결시키는 인장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는 압축스프링의 외주면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관체로서, 압축스프링보다 높이가 낮은 외부관을 더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외부관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걸림부의 외주면 직경은 스틸그레이팅의 격자를 이루는 베어링바의 중심의 간격보다 작고 베어링바의 상부와 하부의 간격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집수정의 단차와 승강부 사이에 배치되는 판체가 우수가 체류되는 통과 연결되어 상기 통의 하중에 따라 승강부를 상하로 가변시키는 제2승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승강부는 상기 집수정의 단차 상면에 앵커볼트로 고정 부착되며 단차의 단부에 배치되는 경첩과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판과, 고정판 상면에 배치되는 승강판과, 상기 경첩으로 승강판과 힌지 결합되며 경첩으로부터 집수정 내측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우수안내판과, 우수안내판의 하단에 결합되는 통체로서 바닥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우수체류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체는 승강판이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수공의 총 단면적은 상기 우수유입공의 총 단면적 보다 작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수체류통의 저면은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은 우수체류통 저면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수체류통의 경사는 우수체류통의 길이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틸그레이팅의 격자 사이로 통과 가능한 이물질들조차도 우수받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물만 우수받이 내부로 유입 가능하여 우수받이 내부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별도의 작업을 요하지 않으므로 막대한 비용과 시간 및 노력의 투입이 필요 없다.
둘째, 강수량에 따라서 우수받이의 개방 정도가 조절 가능하므로 원활하고 즉각적인 배수가 가능하다.
셋째, 오물유입차단 판에 인출구 덮개가 형성되므로 오물유입 방지장치 자체를 인출하지 않고서도 내부 구성의 간단한 인출이 가능하여 유지 보수에 들어가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109호(등록일자: 2006. 11. 07)에 개시된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통상의 스틸그레이팅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스틸그레이팅과 오물유입차단 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물유입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물유입 방지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5 상태에서 유입되는 우수량의 증가에 따라 단계적으로 오물유입차단 판의 개방 정도가 조절됨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우수체류통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9는 우수체류통의 내부 바닥 경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걸림부로 인한 승강부의 승강 한계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의 전체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 다음, 첨부된 도면을 하나씩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서 각 구성간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와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우수받이에 설치되는 오물유입차단 판(10)과, 승강부(30)와, 링크부(20)로 이루어진다.
통상의 우수받이는 상부가 개구부로 형성되는 통체로서 개구부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단차(T)가 형성되고 개구부가 노출되게 노면에 매립되며 하수관과 연결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집수정과, 집수정의 단차(T)에 테두리가 안착되는 격자형상의 스틸그레이팅(S)으로 이루어진다.
오물유입차단 판(10)은 스틸그레이팅(S) 상부에 배치되는 판체로서 오물유입차단 판(10)이 스틸그레이팅(S)의 상부를 막음으로써 각종 오물의 집수정 내부로의 유입이 방지된다. 그리고 우수가 통과 가능한 하나 이상의 우수유입공(12)이 형성된다.
그런데 비가 오는 양에 따라서 우수유입공(12) 만으로는 배수작용이 원활하지 못하다. 따라서 비가 올 때 오물유입차단 판(10)은 개방될 필요가 있다. 이처럼 비가 오는 경우에만 오물유입차단 판(10)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구성이 바로 승강부(30)이다.
승강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흡수팽창재(32)가 내장되는 통체로서 흡수팽창재(32)가 수분을 흡수함에 따라 상부를 향하여 팽창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승강부(30)는 박스 형상의 통으로 이루어지되 상부판(33)이 측벽을 따라 가변가능한 피스톤 식 거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의 흡수팽창재(32)에 빗물이 유입되어 흡수팽창재(32)가 팽창되면 상부판(33)이 상승되면서 오물유입차단 판(10)도 함께 상승되어 우수가 원활하게 우수받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링크부(20)는 우수유입차단 판이 우수받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우수받이 내부와 오물유입차단 판(10)을 연결시키는 이탈방지부재로 구성된다. 이때 오물유입차단 판(10)이 상승되어 우수가 원활하게 우수받이 내부로 유입되려면 이탈방지부재는 오물유입차단 판(10)이 상승될 수 있게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탈방지부재는 구체적으로 집수정의 단차(T) 상면과 오물유입차단 판(10)의 저면을 연결시킨다. 이때 오물유입차단 판(10)의 저면은 비가 오지 않을 때에는 스틸그레이팅(S)의 상면과 접촉 되므로 이탈방지부재의 길이는 적어도 집수정의 단차 상면과 스틸그레이팅(S)의 상단 간의 길이 보다 길게 신장 가능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각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고, 각 구성간의 유기적 작용 관계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를 이루는 승강부(30)가 설치되는 위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스틸그레이팅(S)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그레이팅(S)은 단면이 레일 형상과 유사하게 상부와 하부가 두껍고 상부와 하부의 중간은 얇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베어링 바(3)가 서로 평행하게 병렬로 배치되고, 베어링 바(3)의 양단은 엔드 바(4)로 연결되며, 두 개의 엔드 바(4) 사이에는 엔드 바(4)와 평행하면서 베어링 바(3)와 직각으로 배치되는 크로스바(5)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베어링 바(3)를 연결시킨다. 여기서 크로스바(5)는 베어링 바(3)와 용접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부(30)의 설치 위치는 도 3을 참조하면, 엔드 바(4)와 엔드 바(4)에 가장 근접하는 크로스 바(5) 사이에서 엔드 바(4), 크로스 바(5), 베어링 바(3)로 형성되는 각 격자 공간이다. 바람직하게는 각 격자마다 설치될 수 있다. 엔드 바(4)와 엔드 바(4)에 가장 근접하는 크로스 바(5) 사이 공간은 또한 스틸그레이팅(S)이 집수정 내에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되는 집수정의 단차가 위치하는 부위이다. 따라서 승강부(30)는 단차 상면에 설치된다.
도 3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오물유입차단 판(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스틸그레이팅(S)이 노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처럼 오물유입차단 판(10)은 바람직하게는 각 승강부(30) 상부마다 승강부(30)의 인출을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고 인출구의 개폐를 위한 인출구 덮개(1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우수유입공(12)은 인출구 덮개(13)에 형성되어 우수유입공(12)으로 유입되는 물이 승강부(30) 내부의 흡수팽창재(32)를 용이하게 팽창시킬 수 있다.
한편, 오물유입차단 판(10)과 집수정 내부의 단차 상면을 연결시키는 이탈방지부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23)일 수 있다. 따라서 오물유입차단 판(10)이 상승되더라도 인장스프링(23)이 신장이 가능하므로 오물유입차단 판(10)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 경우 승강부(30)와 오물유입차단 판(10) 사이에는 압축스프링(24)과 압축스프링(24)을 둘러싸는 외부관(21)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부(30) 내부의 흡수팽창재(32)가 팽창하게 되면 승강부(30)의 상부판(33)이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는 상부판(33)은 압축스프링(24)의 아래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압박하게 됨으로써 압축스프링(24)이 오물유입차단 판(10)의 저면을 압박하여 오물유입차단 판(10)이 상승하게 된다.
압축스프링(24)을 둘러싸는 외부관(21)은 압축스프링(24)의 이탈이나 횡방향으로의 과도한 휨 변형을 방지시키는 한편, 외부관(21)의 외주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스틸그레이팅(S)의 크로스 바 하향 단차(3-1)에 걸림으로써 그 이상으로 승강부(30)가 상승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오물유입차단 판(10)이 과도하게 상승되지 못하도록 한다.
압축스프링(24)의 하단은 승강부(30)의 상부판(33) 상면에 고정결합 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30) 내부의 흡수팽창재(32)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나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처럼 섬유 비결정영역이 확대되어 수분 침투가 용이한 조직을 가지는 부재일 수도 있고, 친수성 물질을 폴리에스테르 방사 원액과 혼합, 분산시켜 방사됨으로써 제조되는 폴리아미드계 물질일 수도 있으며, 아크릴산이나 메타아크릴산과 같이 섬유 고분자의 분자쇄에 라디칼을 형성시킨 다음 친수성 모노머를 그래프트 공중합시켜 친수성이 부여된 물질일 수도 있으며, 또는 섬유에 친수성 화학물을 코팅시켜 흡수 능력을 갖는 부재일 수도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에서는 기타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부피가 팽창되는 소재라면 어떤 것이든 흡수팽창재(32)로 사용될 수 있다.
흡수팽창재(32)는 우천시 빗물을 흡수하여 팽창되더라도 비가 그치고 건조됨과 함께 차량의 통과로 인한 압력을 오물유입차단 판(10)으로부터 압축스프링(24)을 통하여 전달받게 되면 내포하고 있던 수분이 빠져나가게 되어 다시 원래의 크기로 돌아오게 된다.
또한 흡수팽창재(32)의 반복 사용으로 인하여 흡수성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흡수팽창재(32)의 교체가 필요한데 이 경우 오물유입차단 판(10)에서 승강부(30) 상부마다 설치된 인출구 덮개(13)를 개방하여 승강부(30)만을 간편하게 인출함으로써 흡수팽창재(32)의 교체가 가능하다.
이 경우 참고로 승강부(30)와 오물유입차단 판(10)의 저면 사이에 압축스프링(24)이 설치됨으로써 오물유입차단 판(10) 상부로 사람이나 차량 등이 지나가면서 큰 하중이 전달되더라도 압축스프링(24) 하부의 승강부(30)에 직접적인 충격이 바로 전달되지는 않게 되어 파손이나 위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30)의 상부판(33)은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공성 또는 망사조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혹은 상부판(33)에 빗물 유입이 가능한 상부판(33) 우수공(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30)의 하부에는 제2승강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승강부(40)는 집수정의 단차 상면에 앵커볼트(46)로 고정 부착되며 단차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2경첩(43)과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판(45)과, 고정판(45) 상면에 배치되는 승강판(41)과, 제2경첩(43)으로 승강판(41)과 힌지 결합되며 제2경첩(43)으로부터 집수정 내측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우수안내판(42)과, 우수안내판(42)의 하단에 결합되는 통체로서 바닥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공(441)이 형성되는 우수체류통(4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우수체류통(44)은 보이지 않으나 도 8에는 우수체류통(44)이 제2경첩(43)으로부터 연결되는 우수안내판(42)의 하단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우수체류통(44) 내에 수집되는 빗물은 단위시간당 강수량이 일정 크기 이상이 되기 전까지는 우수체류통(44) 바닥의 배수공(441)으로 빠져나가다가 배수공(441)으로 배출되는 빗물의 양 보다 우수체류통(44)으로 유입되는 빗물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 우수체류통(44)에는 빗물이 점점 채워지게 된다.
우수체류통(44)에 빗물이 채워지면서 우수체류통(44)의 무게가 증가되면 우수체류통(44)과 연결되는 우수안내판(42)이 제2경첩(43)을 중심으로 도 5 내지 도 8을 기준으로 할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우수안내판(42)과 함께 승강판(41)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결국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판(41)의 끝단이 승강부(30)의 저면을 상부로 밀게 됨으로써 승강부(30)는 더욱 상부로 상승되고, 따라서 오물유입차단 판(10)도 더욱 상부로 밀려 올라가게 됨으로써 우수받이로 단위시간당 유입되는 빗물의 양은 더욱 많아져서 증가되는 강수량에 맞게 우수받이의 배수량도 증가된다.
여기서 참고로 제2경첩(43)은 앞서의 오물유입차단 판(10)에서 인출구 덮개(13)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1경첩(14)과 구분짓기 위해서 제2경첩(43)이라고 명명된다. 제2경첩(43)은 고정판(45)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승강판(41)과 우수안내판(42)은 제2경첩(43)에서 서로 결합되나, 승강판(41)과 우수안내판(42)은 서로 독자적으로 가변되지는 않고 연동되어 함께 가변된다. 도 5 내지 8을 기준으로 할 때에는 강수량 증가에 따라 승강판(41)과 우수안내판(4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비가 그쳐서 우수체류통(44)의 빗물이 빠져나가면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7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로 복귀 된다.
또한 이 경우 도 10a와 도 10b의 정단면도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관(2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부(22)가 스틸그레이팅(S)의 베어링 바(3) 상부의 베어링 바(3) 하향 단차에 걸림으로써 승강부(30)의 승강이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우수체류통(44)에 형성되는 배수공(441)으로 빗물이 모두 배수되려면 배수공(441)은 우수체류통(44) 바닥의 가장 하부에 위치되어야 하므로 우수체류통(44)의 바닥은 경사가 형성되고 경사면의 가장 낮은 위치에 배수공(44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우수체류통(44)과, 우수안내판(42)과, 제2경첩(43)은 도 4를 참조하면, 집수정의 한 면에 대하여 하나씩 구비되는 반면, 고정판(45), 앵커볼트(46), 승강판(41)은 각 승강부(30)마다 하나씩 구비되므로 모든 승강부(30)고 고르게 연동되어 오물유입차단 판(10)을 승강시키려면 우수체류통(44) 내부에 빗물이 채워질 때 우수체류통(44)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균형이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체류통(44) 바닥의 경사는 양 측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8과 도 9에서는 우수체류통(44) 바닥의 중앙이 가장 높게 형성되고 중앙을 기준으로 양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경사가 형성되며 가장 낮은 지점에 배수공(441)이 배치된다. 다만 양 측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대칭되면 되므로 중앙이 가장 낮고 양 측이 높게 경사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중앙에 배수공(4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11a와 도 11b에는 제2승강부의 두 번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a와 도 11b에 도시된 제2승강부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는 제2승강부가 스틸그레이팅(S)의 격자 각각에 하나씩 구비되어 오물유입차단 판(10)의 인출구로 인출이 가능하여 제2승강부 자체의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간편하게 인출 가능하다.
제2승강부는 구체적으로 스틸그레이팅(S)의 격자를 이루는 베어링 바(3) 양측 내면에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밀착되는 판스프링(56)과, 판스프링(56) 하단을 지지하며 판스프링(56)으로 고정되는 판스프링 지지판(55)과, 판스프링 지지판(55) 사이에 배치되는 제2승강판(51)과, 제2승강판(51)을 가변 가능하게 지지하며 단차(T) 끝단에 배치되는 제2경첩(53)과, 제2승강판(51)과 제2경첩(53)으로 힌지 결합되어 제2승강판(51)과 함께 일체로 가변되는 제2우수안내판(52)과, 제2우수안내판(52)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우수체류통(54)으로 이루어지되, 판스프링 지지판(55)은 제2경첩(53)에 고정 연결된다.
도 11a와 도 11b는 제2승강부의 가변이 연속되는 작동 상태로 표현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 지지판(55)은 판스프링(56)과 함께 고정되어 가변되지 않으며, 제2우수체류통(54)에 빗물이 채워지게 되면 제2우수체류통(54)에 연결된 제2우수안내판(52)이 제2경첩(53)을 중심으로 도면상에서 시계방향으로 가변되며, 역시 제2경첩(53)을 중심으로 제2승강판(51)이 제2우수안내판(52)과 연동되어 일체로 시계방향으로 가변됨으로써 외부관(21)을 포함하는 승강부(30) 및 링크부(20) 전체가 상승된다.
여기서 도 11a와 도 11b에 도시된 것처럼 제2경첩(43)은 가변되지 않는 고정축(532)과, 가변되는 가변축(531)으로 이루어져서 고정축(532)은 판스프링(56)을 지지하는 판스프링 지지판(55)과 고정연결되며, 가변축(531)은 제2우수안내판(52) 및 제2승강판(51)이 함께 가변될 수 있게 회전된다.
특히 판스프링(56)은 스틸그레이팅(S)의 베어링바(3)를 탄성력으로 압착시킴으로써 제2승강부 전체가 고정될 수 있게 됨으로써, 앞서의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2승강부의 첫 번째 실시예에서 제2승강부를 고정시키던 앵커볼트(46)가 필요없게 됨과 동시에 제2승강부 전체가 인출구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제2승강부 자체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 간단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승강부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도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것처럼 제2우수체류통(54)에 제2배수공(541)이 형성되며, 각각의 제2우수체류통(54)에 형성되는 제2배수공(541)의 총 단면적은 오물유입차단 판(10)에 형성되는 우수유입공(12)의 총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어 우천시에 강수량에 따라 승강부(30)와 링크부(20) 전체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S: 스틸그레이팅 T: 단차
3: 베어링 바 3-1: 베어링 바 하향 단차
4: 엔드 바 5: 크로스 바
10: 오물유입차단 판 11: 판체
12: 우수유입공 13: 인출구 덮개
14: 제1경첩 15: 고정 나사
20: 링크부 21: 외부관
22: 걸림부 23: 인장스프링
24: 압축스프링 30: 승강부
31: 박스 32: 흡수팽창재
33: 상부판 40: 제2승강부
41: 승강판 42: 우수안내판
43: 제2경첩 44: 우수체류통
45: 고정판 46: 앵커볼트
51: 제2승강판 52: 제2우수안내판
53: 제2경첩 54: 제2우수체류통
55: 판스프링 지지판 56: 판스프링
441: 배수공 531: 가변축
532: 고정축 541: 제2배수공

Claims (15)

  1. 상부가 개구부로 형성되는 통체로서 개구부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단차가 형성되고 개구부가 노출되게 노면에 매립되며 하수관과 연결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집수정과, 집수정의 상기 단차에 테두리가 안착되는 격자형상의 스틸그레이팅으로 이루어지는 우수받이의 내부로 우수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로서,
    상기 스틸그레이팅보다 면적이 더 크고 스틸그레이팅 상부에 배치되는 판체로서, 하나 이상의 우수유입공이 형성되는 오물유입차단 판;
    상기 스틸그레이팅의 격자에 삽입되면서 상기 집수정의 단차 상면에 안착되고, 흡수팽창재가 내장되며, 흡수팽창재의 수분 흡수로 흡수팽창재가 팽창됨에 따라 상부를 향하여 부피가 증가됨으로써 상기 오물유입차단 판을 상승시키는 승강부;
    상기 오물유입차단 판의 저면과 상기 단차 사이를 연결하여 오물유입차단 판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부재로 이루어지되, 이탈방지부재는 단차 상면과 스틸그레이팅 상단과의 거리보다 더 길게 신장 가능한 링크부를 포함하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유입차단 판은 승강부가 인출 가능한 인출구가 형성되고, 인출구에 개폐 가능한 인출구 덮개가 구비되며, 상기 우수유입공은 인출구 덮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 덮개는 오물유입차단 판과 힌지 결합되고, 인출구 덮개 잠금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흡수팽창재가 내장되는 박스로서, 박스의 상부판은 흡수팽창재의 팽창에 따라 측면 벽으로 안내되면서 승강 가능하며,
    상기 링크부는 상부판의 상면과 상기 인출구 덮개 저면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수분이 통과되는 다공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인출구 덮개 저면과 상기 집수정의 단차 상면을 연결시키는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압축스프링의 외주면을 이격되게 둘러싸는 관체로서, 압축스프링보다 높이가 낮은 외부관을 더 포함하고, 외부관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걸림부의 외주면 직경은 스틸그레이팅의 격자를 이루는 베어링바의 중심의 간격보다 작고 베어링바의 상부와 하부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의 단차와 승강부 사이에 배치되는 판체가 우수가 체류되는 통과 연결되어 상기 통의 하중에 따라 승강부를 상하로 가변시키는 제2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부는 상기 집수정의 단차 상면에 앵커볼트로 고정 부착되며 단차의 단부에 배치되는 경첩과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판과, 고정판 상면에 배치되는 승강판과, 상기 경첩으로 승강판과 힌지 결합되며 경첩으로부터 집수정 내측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우수안내판과, 우수안내판의 하단에 결합되는 통체로서 바닥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우수체류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판체는 승강판이며, 승강판은 각 승강부 마다 하나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수공의 총 단면적은 상기 우수유입공의 총 단면적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체류통의 저면은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은 우수체류통 저면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체류통의 경사는 우수체류통의 길이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부는 스틸그레이팅의 격자 양측 내면에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밀착되는 판스프링과, 판스프링 하단을 지지하며 판스프링으로 고정되는 판스프링 지지판과, 판스프링 지지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2승강판과, 제2승강판을 가변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단차 끝단에 배치되는 제2경첩과, 제2승강판과 제2경첩으로 힌지 결합되어 승강판과 함께 일체로 가변되는 제2우수안내판과, 제2우수안내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우수체류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 지지판은 제2경첩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부는 스틸그레이팅의 하나의 격자 내부 마다 하나씩 배치되며, 승강부와, 제2승강부와, 링크부는 상기 인출구로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우수체류통에는 제2배수공이 형성되며, 각각의 제2우수체류통에 형성되는 제2배수공의 총 단면적은 상기 우수유입공의 총 단면적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KR1020150156650A 2015-11-09 2015-11-09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KR101773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650A KR101773801B1 (ko) 2015-11-09 2015-11-09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650A KR101773801B1 (ko) 2015-11-09 2015-11-09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004A true KR20170054004A (ko) 2017-05-17
KR101773801B1 KR101773801B1 (ko) 2017-09-01

Family

ID=59048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650A KR101773801B1 (ko) 2015-11-09 2015-11-09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8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8133A (zh) * 2018-06-25 2018-10-19 东宁晟(北京)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地面地下两用智能地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983B1 (ko) * 2018-11-12 2019-11-0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개폐식 빗물받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8133A (zh) * 2018-06-25 2018-10-19 东宁晟(北京)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地面地下两用智能地漏
CN108678133B (zh) * 2018-06-25 2020-06-16 东宁晟(北京)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地面地下两用智能地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801B1 (ko)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516B1 (ko) 조정식 표면 세정 메카니즘을 가진 필터 카트리지
US8034236B1 (en) Storm water filter system having a floating skimmer apparatus
US20130186811A1 (en) Filter
US8512555B1 (en)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CN108612174A (zh) 一种市政道路排水结构
CN110206118B (zh) 一种有利于雨天市政雨水分流装置
KR101666864B1 (ko) 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023537B1 (ko)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JP5677939B2 (ja) 雨水排出ます
KR101737268B1 (ko) 낙수 소음 방지장치
KR101773801B1 (ko)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JP2011520049A5 (ko)
KR20120006734A (ko)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
KR102492768B1 (ko) 부유식 압착여과를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WO2008099182A1 (en) Surface water drainage
US20210285203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maintenance of stormwater management systems
DK2428259T3 (en)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with such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KR101772474B1 (ko) 하수구 맨홀 장치
WO2021086461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maintenance of stormwater management systems
KR100898839B1 (ko) 초기 강우 유출 조절장치
KR101158632B1 (ko)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101218770B1 (ko) 쓰레기 자동분리기능을 가진 스크린
KR20110077134A (ko) 도로용 빗물받이
KR100987178B1 (ko) 우수처리장치
KR20210026717A (ko)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