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363A - 부유식 해상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상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363A
KR20170053363A KR1020150155778A KR20150155778A KR20170053363A KR 20170053363 A KR20170053363 A KR 20170053363A KR 1020150155778 A KR1020150155778 A KR 1020150155778A KR 20150155778 A KR20150155778 A KR 20150155778A KR 20170053363 A KR20170053363 A KR 20170053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seawater
hull
pump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5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3363A/ko
Publication of KR20170053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02/005Intakes for coolant medium other than sea chests, e.g. for ambient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해수 펌프의 설치 구조를 간소화하고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펌프 고장에 따른 해수 유입을 방지하는 한편 유지보수 내지 손상 복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바닥부(12)와 상갑판(14)을 가지는 선체(10); 상기 선체(10) 내부의 바닥부(12)에 밀봉된 상태로 탑재되어 외부 측 밀폐 방벽을 형성하는 밀폐 외함(100); 상기 밀폐 외함(100)의 내부에 밀폐 외함(100)과 정비 공간을 띄우고 밀봉 상태로 설치되어 내부 측 밀폐 방벽을 형성하며, 하단부가 선체(10)의 바닥부(12)를 통해 해양과 통하여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 흡입통(200); 상기 해수 흡입통(200)의 측면에 접속되고 상기 밀폐 외함(100)의 측벽을 통과하여 선체(10)의 내부로 연장되는 도출관(400); 상기 도출관(400)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통(200)의 해수를 흡인하는 펌프(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케이슨 내장형 수중펌프 방식이 아니라, 펌프를 케이슨으로부터 독립하여 선체 내부에 설치하는 한편, 취수부를 이루는 밀폐 외함과 해수 흡입통을 선체 내부에 설치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펌프 및 취수부에 대한 접근성과 정비성이 우수하고 유펌프 장치의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취수부가 밀폐 외함과 해수 흡입통으로 이루어지는 이중의 방벽에 의해 침수를 방지한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상 구조물{SEA WATER PUMP SYSTEM OF OFFSHORE 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해수 펌프의 설치 구조를 간소화하고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펌프 고장에 따른 해수 유입을 방지하는 한편 유지보수 내지 손상 복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해상에 정박한 채 해저 유전에서 원유를 채굴하여 저장하고 운반선으로 하역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이른바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unit)'라고 하는 부유식 원유 생산 저장 하역설비, 해상에 정박한 채 해저 유전으로부터 천연가스를 채굴하여 전처리, 액화 및 저장하고,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천연가스 운반선에 하역할 수도 있도록 만들어진 이른바 'FLNG(LNG-FPSO)'라고 하는 부유식 천연가스 생산 저장 하역설비, 해상에서 직접 액화가스를 재기화 하여 육상의 가스 터미널에 제공하여 수요처에 분배하도록 하는 이른바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라고 하는 부유식 액화가스 재기화 설비, 또는 액화가스 재기화 설비를 갖춘 선박(RV; Regasification Vessel)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들은, 원유 또는 천연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공정 설비의 냉각수나 액화가스에 기화열을 제공하기 위한 열원 등의 공정용수로 사용될 대량의 해수를 취수하거나 밸러스트 등에 사용될 해수를 취수하기 위한 해수 펌프 장치들을 갖추고 있다.
해수 펌프 장치로서는, 주로 해저 수백 미터(예; 200~300미터)에서 심해수를 취수하기 위한 케이슨(Cassion) 내장형(또는 매립형) 수중펌프(submersible type pump)를 사용한다.
케이슨 내장형 수중펌프는, 펌프와 전동기가 일체화한 펌프 유닛을 케이슨 파이프 하단부에 내장하고, 케이슨 파이프를 선체부(Hull side)로부터 내려 수중으로 투입하여 양수하는 형태이다. 필요 시, 케이슨 파이프의 하단부에 라이저(riser)를 연장설치하여 소망하는 수심에서 해수를 취수한다(특허문헌 1 내지 6 참조).
부유식 해양구조물은 20년 이상 해상에서 계속하여 부유한 채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케이슨 내장형 수중펌프에 의한 펌프장치는, 펌프 유닛이 케이슨 파이프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구동 부품이나 펌프 고장 시에 수중에 잠긴 케이슨 파이프로부터 펌프 유닛 전체를 분리해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케이슨 파이프나 해수 흡입 통로의 부식 등의 손상 시에도 잠수부를 동원해야 하는 등, 고장 부위에 대한 접근과 복구가 어렵다.
또한, 케이슨 파이프나 흡입관에 부식이나 손상이 발생하면, 기계실(machinery space)로 해수가 유입될 위험이 있고, 케이슨 파이프가 침수되어 교체나 정비 작업도 어렵게 된다.
또한, 종래의 케이슨 내장형 수중펌프는, 펌프 유닛이 케이슨 파이프 하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선체 하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안벽에서의 충분치 못한 흘수(Sea Draft)에 기인하는 해저와의 간섭문제가 발생하여 선체 건조 시 시운전 등을 위한 해수 펌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12506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3853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6187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11719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11969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6333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수 펌프의 설치 구조를 간소화하고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펌프 고장에 따른 해수 유입을 방지하는 한편 유지보수 내지 손상 복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바닥부(12)와 상갑판(14)을 가지는 선체(10); 상기 선체(10) 내부의 바닥부(12)에 밀봉된 상태로 탑재되어 외부 측 밀폐 방벽을 형성하는 밀폐 외함(100); 상기 밀폐 외함(100)의 내부에 밀폐 외함(100)과 정비 공간을 띄우고 밀봉 상태로 설치되어 내부 측 밀폐 방벽을 형성하며, 하단부가 선체(10)의 바닥부(12)를 통해 해양과 통하여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 흡입통(200); 상기 해수 흡입통(200)의 측면에 접속되고 상기 밀폐 외함(100)의 측벽을 통과하여 선체(10)의 내부로 연장되는 도출관(400); 상기 도출관(400)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통(200)의 해수를 흡인하는 펌프(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바닥부(12)와 상갑판(14)을 가지는 선체(10); 상기 선체(10) 내부의 바닥부(12)에 밀봉된 상태로 탑재되어 외부 측 밀폐 방벽을 형성하는 하나의 밀폐 외함(100); 상기 밀폐 외함(100)의 내부에 밀폐 외함(100)과 정비 공간을 띄우고 각자 밀봉 상태로 복수 지점에 설치되어 각각 내부 측 밀폐 방벽을 형성하며, 각각의 하단부가 선체(10)의 바닥부(12)를 통해 해양과 통하여 해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해수 흡입통(200); 상기 복수의 해수 흡입통(200)마다 측면에 접속되고 상기 밀폐 외함(100)의 측벽을 통과하여 선체(10)의 내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도출관(400); 상기 밀폐 외함(100)의 바깥쪽에서 상기 복수의 도출관(400)마다 설치되어 상기 해수 흡입통(200) 내의 해수를 흡인하는 복수의 펌프(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도출관(400)에는, 상기 밀폐 외함(100)을 기준으로 내부 측과 외부 측에 차단 밸브(500)와 차단밸브(6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펌프(300) 상류 측의 상기 도출관(400)에는 여과기(7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해수 흡입통(200)의 상단의 높이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설계 흘수선(SD) 위에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밀폐 외함(100)의 위쪽으로는, 선체 건조 시 또는 정비 시 상기 해수 흡입통(200)을 오르내리거나 정비용 통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상갑판(14)까지 격벽을 둘러 연장형성한 수직통로(1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밀폐 외함(100)의 주변에는 밀폐 외함(100)의 상면과 일치하는 중간 갑판(18a)이 설치되고, 상기 통로(16)를 이루는 격벽에는 상기 중간 갑판(18a)으로부터 상기 밀폐 외함(100)의 상면으로 출입하기 위한 에어락 출입문(18b)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밀폐 외함(100)의 상면에는, 밀폐 외함(100) 내부로 통하는 분리형 밀봉 덮개(10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밀폐 외함(100)의 상면에는, 밀폐 외함(100) 내부로 통하는 분리형 밀봉 덮개(102)를 해수 흡입통(200)마다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해수 흡입통(200)의 상면에는 분리형 밀봉 덮개(20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해수 펌프 장치에 의하면, 수중펌프를 케이슨의 하단부에 내장하고 심해로 내려 취수하는 종래의 케이슨 내장형 수중펌프 방식이 아니라, 펌프를 케이슨으로부터 독립하여 선체 내부에 설치하는 한편, 취수부를 이루는 밀폐 외함과 해수 흡입통을 선체 내부에 설치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펌프, 취수부(즉, 밀폐 외함, 해수 흡입통)에 대한 접근성이 우수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펌프 장치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취수부가 밀폐 외함과 해수 흡입통으로 이루어지는 이중의 방벽에 의해 침수를 방지하는 한편, 해수 흡입통의 정비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차단 밸브를 밀폐 외함의 내, 외에 이중으로 구비하여 밸브 자체의 손상에 대비하고 교체도 쉽게 할 수 있으며, 해수 흡입통과 펌프를 서로 격리한 채 편리하게 정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중간 갑판을 통해 기계실로부터 밀폐 외함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폐 외함 및 해수 흡입통에 대한 접근성과 정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취수부와 펌프가 선체 내부에 구비되고 해수 흡입통을 통해 해저와 연통하는 구조에 의해, 안벽 등과 같이 일정한 수심을 확보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해수 흡입통에 굴절 연장관을 연결하면 되므로, 굴절 연장관을 미리 준비해 두기만 한다면 안벽과 같은 낮은 수심에서의 취수 방안이 쉽게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해수 펌프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해수 펌프 장치의 구조를 보인 선체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해수 펌프 장치의 구조를 보인 주요부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해수 펌프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해수 펌프 장치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선미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하나의 예이지 해수 펌프 장치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당연히, 해수 펌프 장치는 선미부, 선수부 또는 선체 중간 부분 등,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설계 상황에 따라 그 위치를 정하게 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선체(10) 내부에 밀폐 외함(100)을 구비하고, 그 밀폐 외함(100)의 내부에 해수 흡입통(200)을 구비하고, 해수 흡입통(200)에 펌프(300)를 연결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수중펌프를 케이슨의 하단부에 내장하고 심해로 내려 취수하는 종래의 케이슨 내장형 수중펌프 방식이 아니라, 취수부와 펌프(300)를 모두 선체(10) 내부에 설치하고, 밀폐 외함(100)과 해수 흡입통(200)이라고 하는 이중의 방벽(barrier) 구조에 의해 침수를 방지함과 함께 해수 흡입통(200) 및 펌프(300)에 대한 접근성과 정비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펌프(300)를 고가의 수중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저가의 일반적인 육상용 펌프(예; 원심 펌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선체(10)는 배 밑바닥인 바닥부(12)와 상갑판(14)을 구비한다. 선체(10) 쪽, 즉, 'Hull side'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액화가스 등의 생산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와 기계실(machinery space)(18) 등으로 구획된다. 상갑판(14) 위쪽, 즉, 'Top side'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채굴한 오일을 처리하고 가공하기 위한 공정 설비, 거주구 등이 탑재된다.
밀폐 외함(100)은, 선체(10) 내부의 바닥부(12)에 밀봉된 상태로 탑재되어 취수부의 외부 측 밀폐 방벽을 형성한다.
해수 흡입통(200)은, 밀폐 외함(100)의 내부에 밀폐 외함(100)과 정비 공간을 띄우고 밀봉 상태로 설치되어 취수부의 내부 측 밀폐 방벽을 형성한다. 해수 흡입통(200)의 하단부는 선체(10)의 바닥부(12)를 통해 해양과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해수가 유입되게 된다.
해수 흡입통(200)의 측면에는 도출관(400)이 접속된다, 도출관(400)은 해수 흡입통(200)으로부터 바닥부(12)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어 밀폐 외함(100)의 측벽을 통과하여 선체(10)의 내부, 예를 들어 기계실(18)로 연장된다.
밀폐 외함(100)의 바깥쪽의 도출관(400)에는 펌프(300)가 설치된다. 펌프(300)의 출구 측에는 분배관(450)이 연결되어 해수 흡입통(200)으로부터 흡인한 해수를 공정 설비 등의 수요처로 분배한다.
해수 흡입통(200)은 상기 밀폐 외함(100)의 내부에 복수 개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해수 흡입통(200)은 각각 밀폐 외함(100)과 정비 공간, 즉 작업자가 출입하고 정비장비를 이동하기 위한 간격을 띄우고 각자 밀봉 상태로 설치된다. 복수의 해수 흡입통(200)은 선체(10) 내부로 해수의 침입(누출)을 차단하기 위한 1차 방벽의 역할을 한다. 그렇더라도 해수 흡입통(200)이 손상되어 해수가 누출되는 경우, 밀폐 외함(100)이 2차 방벽의 역할을 하여 선체(10)로 해수가 침투하는 것을 재차 차단한다. 즉, 밀폐 외함(100)은 해수 흡입통(200)의 정비 공간을 제공하면서 이중의 방벽을 형성하여 해수가 선체(1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한다.
도출관(400)은 복수의 해수 흡입통(200)마다 접속되고, 펌프(300)도 각 도출관(400)마다 설치된다.
도출관(400)에는, 밀폐 외함(100)을 기준으로 내부 측과 외부 측에 차단 밸브(500)와 차단밸브(600)가 설치된다. 밀폐 외함(100)의 내, 외측에 이중으로 설치되는 차단밸브(500)(600)에 의해 어느 하나의 밸브의 고장에 대비하고 서로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차단 밸브(600)나 펌프(300)의 교체 또는 정비 시, 차단 밸브(500)를 닫아 도출관(400)을 차단하여 해수의 유입을 막은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이중의 차단 밸브(500)(600)는 해수 흡입통(200) 보수 시 닫아 두어 펌프(300)와 분배관(450) 쪽에서 흘러나오는 해수를 막아 정비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펌프(300) 상류 측의 도출관(400)에는 여과기(700)가 설치된다. 여과기(700)는 스트레이너(strainer)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밀폐 외함(100)의 위쪽으로는, 선체 건조 시 또는 운용 중의 정비 시 상기 해수 흡입통(200)을 오르내리거나 정비용 통로를 제공하는 수직통로(1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통로(16)는 밀폐 외함(100)의 위쪽으로 상갑판(14)까지 격벽을 둘러 연장형성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수직통로(16)를 이루는 격벽을 밀폐 외함(100)의 측벽과 단일의 격벽으로 구성하거나, 수직통로(16)의 내측에 밀폐 외함(100)을 넣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밀폐 외함(100)의 상면에는, 밀폐 외함(100) 내부로 통하는 분리형 밀봉 덮개(102)를 구비할 수 있다. 밀폐 외함(100)의 내부 정비 시에는 체결구를 풀어 밀봉 덮개(102)를 열고 해수 흡입통(200)으로 접근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밀폐 외함(100)의 내벽이나 해수 흡입통(200)의 내, 외벽에는 작업자가 오르내리기 위한 사다리 구조물을 부착해 둘 수 있다.
해수 흡입통(200)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원통 모양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사각통 또는 다각통 모양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해수 흡입통(200)이 복수 개로 설치될 때, 밀봉 덮개(102)는 각각의 해수 흡입통(200) 상부에 하나씩 구비할 수 있다(도 3 참조).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와는 다르게, 복수의 해수 흡입통(200) 상부 전체를 덮는 형태 또는 밀폐 외함(100)의 중앙에 작은 하나의 밀봉 덮개(102)만 구비할 수도 있다.
복수의 해수 흡입통(200)의 상면에도 각각 분리형 밀봉 덮개(202)가 구비된다. 해수 흡입통(200)의 내부 정비나 청소 시 체결구를 풀어 밀봉 덮개(202)를 열고 해수 흡입통(20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해수 흡입통(200)의 상단의 높이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설계 흘수선(SD) 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해수 흡입통(200)의 상단을 설계 흘수선(SD)보다 거리(L1)만큼 높은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해수 흡입통(200) 상단부를 통한 해수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밀폐 외함(100)의 주변에, 밀폐 외함(100)의 상면과 일치하는 중간 갑판(18a)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수직통로(16)를 이루는 격벽에는 중간 갑판(18a)으로부터 밀폐 외함(100)의 상면으로 출입하기 위한 에어락(air-lock) 출입문(18b)을 설치할 수 있다.
중간 갑판(18a)은 기계실(18)의 갑판을 겸할 수 있다. 기계실(18)은 여러 층의 갑판(18a, 18c)을 가질 수 있는데, 그 중 적정한 높이의 중간 갑판(18a)을 이용하고, 밀폐 외함(100)의 상단부의 높이를 중간 갑판(18a)의 높이 맞추어 설계할 수 있다.
에어락 출입문(18b)을 통해 기계실(18)에서 직접 밀폐 외함(100)으로 장비와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므로 접근성이 극대화된다. 즉, 밀폐 외함(100)과 해수 흡입통(200)을 선체(10) 내부에 설치하여 접근성과 정비성을 높인 효과에 더하여 추가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수직통로(16)의 상단, 즉, 상갑판(14)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평상시에 덮개를 덮어 밀봉해 두고, 필요시에 해체하여 수직통로(16)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수직통로(16) 상부의 선체 상부(즉, top side)에는 인상장치(2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유식 해상 구조물 건조 시(예; 선각 공사 시), 인상장치(20)를 이용하여 해수 흡입통(200)을 내려 탑재할 수 있다.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운용 중에 해수 흡입통(200)을 교체하거나 분리하여 정비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인상장치(20)를 이용하여 해수 흡입통(200)을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밀봉 덮개(102)를 설치하거나 들어올릴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필요 시, 해수 흡입통(200)의 하단에 연장 라이저(250)를 연결하여 취수할 수도 있다.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해상에서 운용하는 중에 심해수를 취수할 때에는 연장 라이저(250)를 연결하여 심해수를 취수한다. 연장 라이저(250)는 가요성(flexible) 호스나 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건조기간 동안 안벽에 계류한 상태에서, 또는 운용 중 안벽에 접안한 상태에서, 해수를 취수하는 경우에는, 임시로 굴절 연장관(260)을 연결함으로써 안벽의 낮은 수심에서도 취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굴절 연장관(260)은 가요성 호스나 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펌프(300)가 케이슨으로부터 독립하여 선체(10) 내부에 설치하는 한편, 취수부를 이루는 밀폐 외함(100)과 해수 흡입통(200)을 선체(10) 내부에 설치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펌프(300), 밀폐 외함(100) 및 해수 흡입통(200)으로의 접근성이 우수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펌프 장치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취수부가 밀폐 외함(100)과 해수 흡입통(200)으로 이루어지는 이중의 방벽에 의해 침수를 방지하는 한편, 해수 흡입통(200)의 정비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차단 밸브(500)를 밀폐 외함(100)의 내, 외에 이중으로 구비하여 밸브 자체의 손상에 대비하고 교체도 쉽게 할 수 있으며, 해수 흡입통(200)과 펌프(300)를 서로 격리한 채 편리하게 정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중간 갑판(18a)을 통해 기계실(18)로부터 밀폐 외함(100)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폐 외함(100) 및 해수 흡입통(200)에 대한 접근성과 정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취수부와 펌프(300)가 선체(10) 내부에 구비되고 해수 흡입통(200)을 통해 해저와 연통하는 구조에 의해, 안벽 등과 같이 일정한 수심을 확보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해수 흡입통(200)에 굴절 연장관(260)을 연결하면 되므로, 굴절 연장관(260)을 미리 준비해 두기만 한다면 안벽과 같은 낮은 수심에서의 취수 방안이 확보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선체
12: 바닥부
14: 상갑판
16: 수직통로
18: 기계실
18a, 18c: 중간 갑판
18b: 에어락 출입문
20: 인상장치
100: 밀폐 외함
102: 밀봉 덮개
200: 해수 흡입통
202: 밀봉 덮개
250: 연장 라이저
260: 굴절 연장관
300: 펌프
400: 도출관
450: 분배관
500, 600: 차단 밸브
700: 여과기

Claims (10)

  1. 바닥부(12)와 상갑판(14)을 가지는 선체(10);
    상기 선체(10) 내부의 바닥부(12)에 밀봉된 상태로 탑재되어 외부 측 밀폐 방벽을 형성하는 밀폐 외함(100);
    상기 밀폐 외함(100)의 내부에 밀폐 외함(100)과 정비 공간을 띄우고 밀봉 상태로 설치되어 내부 측 밀폐 방벽을 형성하며, 하단부가 선체(10)의 바닥부(12)를 통해 해양과 통하여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 흡입통(200);
    상기 해수 흡입통(200)의 측면에 접속되고 상기 밀폐 외함(100)의 측벽을 통과하여 선체(10)의 내부로 연장되는 도출관(400);
    상기 도출관(400)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통(200)의 해수를 흡인하는 펌프(300); 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2. 바닥부(12)와 상갑판(14)을 가지는 선체(10);
    상기 선체(10) 내부의 바닥부(12)에 밀봉된 상태로 탑재되어 외부 측 밀폐 방벽을 형성하는 하나의 밀폐 외함(100);
    상기 밀폐 외함(100)의 내부에 밀폐 외함(100)과 정비 공간을 띄우고 각자 밀봉 상태로 복수 지점에 설치되어 각각 내부 측 밀폐 방벽을 형성하며, 각각의 하단부가 선체(10)의 바닥부(12)를 통해 해양과 통하여 해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해수 흡입통(200);
    상기 복수의 해수 흡입통(200)마다 측면에 접속되고 상기 밀폐 외함(100)의 측벽을 통과하여 선체(10)의 내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도출관(400);
    상기 밀폐 외함(100)의 바깥쪽에서 상기 복수의 도출관(400)마다 설치되어 상기 해수 흡입통(200) 내의 해수를 흡인하는 복수의 펌프(300); 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관(400)에는, 상기 밀폐 외함(100)을 기준으로 내부 측과 외부 측에 차단 밸브(500)와 차단밸브(600)가 설치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300) 상류 측의 상기 도출관(400)에는 여과기(700)가 설치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흡입통(200)의 상단의 높이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설계 흘수선(SD) 위에 형성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외함(100)의 위쪽으로는, 선체 건조 시 또는 정비 시 상기 해수 흡입통(200)을 오르내리거나 정비용 통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상갑판(14)까지 격벽을 둘러 연장형성한 수직통로(16)가 구비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외함(100)의 주변에는 밀폐 외함(100)의 상면과 일치하는 중간 갑판(18a)이 설치되고, 상기 통로(16)를 이루는 격벽에는 상기 중간 갑판(18a)으로부터 상기 밀폐 외함(100)의 상면으로 출입하기 위한 에어락 출입문(18b)이 설치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외함(100)의 상면에는, 밀폐 외함(100) 내부로 통하는 분리형 밀봉 덮개(102)가 구비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외함(100)의 상면에는, 밀폐 외함(100) 내부로 통하는 분리형 밀봉 덮개(102)가 해수 흡입통(200)마다 구비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흡입통(200)의 상면에는 분리형 밀봉 덮개(202)가 구비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20150155778A 2015-11-06 2015-11-06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70053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778A KR20170053363A (ko) 2015-11-06 2015-11-06 부유식 해상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778A KR20170053363A (ko) 2015-11-06 2015-11-06 부유식 해상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363A true KR20170053363A (ko) 2017-05-16

Family

ID=5903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778A KR20170053363A (ko) 2015-11-06 2015-11-06 부유식 해상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33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910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CN1877181B (zh) 水下干式维修工作舱
EP3640158B1 (en) High-performance flexible submarine oil storage system
US20100180810A1 (en) Sea Water System and Floating Vessel Comprising Such System
KR101579867B1 (ko) 해저에 인접한 한 위치로부터 해수면에 인접한 한 위치로 슬러리를 운송하기 위한 라이저 시스템
US82676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seawater into a compressor module during lowering to or retrieval from the seabed
CN2900987Y (zh) 水下干式维修工作舱
US10189553B2 (en) Water intake system and floating vessel equipped with such a system
KR20170053363A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
CN105539751A (zh) 一种半潜式钻井平台和压缩空气调压载系统及方法
CN111232145A (zh) 一种深水半潜式生产平台的总体布局
KR101190557B1 (ko) 액체 저장용 탱크 장치
RU2503800C2 (ru) Подводная эксплуатационн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добычи нефти и газа
KR101606691B1 (ko) 잭업식 발전플랜트 시스템
KR101611040B1 (ko) 펌프 탱크
CA1238198A (en) Offshore structure for deepsea production
KR20170004175A (ko) 선박의 해수 유입 및 배출 구조와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80003126A (ko) 선박
RU274355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мыва донных отложений жидких углеводородов в вертикальном стальном резервуаре
KR200489759Y1 (ko) 선박용 빌지해트
KR101374172B1 (ko) 해양 구조물의 해수 배출 장치
KR200483928Y1 (ko)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
WO2020055264A1 (en) Cooling water for an offshore platform
WO2020251363A1 (en) Underwater production system protection and storage tank
KR100824497B1 (ko) 선박의 해수 유입구멍 막음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