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252A -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252A
KR20170053252A KR1020150155502A KR20150155502A KR20170053252A KR 20170053252 A KR20170053252 A KR 20170053252A KR 1020150155502 A KR1020150155502 A KR 1020150155502A KR 20150155502 A KR20150155502 A KR 20150155502A KR 20170053252 A KR20170053252 A KR 20170053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und quality
frequency band
noise
virtual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6992B1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5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9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앰프(amplifier)에서 음질을 개선하는 방법은,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소음 정보, 헤드유닛(head unit)으로부터 볼륨(volume) 상태 정보 및 가상 엔진음 생성기로부터 가상 엔진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음 정보, 상기 볼륨 상태 정보 및 상기 가상 엔진음 정보를 기반으로 잡음 주파수 대역의 이득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득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상기 잡음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제1대역을 산출하고, 멀티미디어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대역에 해당하는 제2대역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앰프(amplifier)에서 음질을 개선하는 방법에 따라 자동차 내 멀티미디어 음향의 품질 열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sound quality during driving.}
본 발명은 자동차 주행 중 자동차 내부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음향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본래의 기능인 이동 수단으로써의 기능 이외에 엔터테인먼트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그 일 예로 자동차 내부에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장치, 예를 들어 카오디오(car audio), DMB방송 또는 DVD 재생 장치 등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장치들에서는 음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직접 버튼을 누르는 등 운전자의 수동 조작을 요구한다.
최근 들어 자동차의 속도 변화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음량을 조절하는 방식을 채용한 자동차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자동차의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음량을 증가시키고 자동차의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음량을 감소시키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속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음량을 조절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는 운전자의 수동 조작을 요구하지 않아 운전 중의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운전자는 전방 주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교통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자동차의 속도만을 고려하여 음량을 조절하는 장치는 멀티미디어 음향의 현재 볼륨 상태는 고려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차량 내부의 소음을 고려하지 않는다. 그리고 소음에 대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분석 없어 음량 조절만으로 멀티미디어 음향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속도를 기초로 하여 음량을 조절하면서, 주파수 영역에서 차량 내부의 소음 및 현재 멀티미디어 음향의 볼륨 상태를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음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주행 중 자동차 내부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음향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 음향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고려할 요소로서 자동차의 속도뿐만 아니라, 자동차 내부의 소음, 자동차의 엔진음 및 멀티미디어 음향의 현재 볼륨 상태를 추가적으로 고려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멀티미디어 음향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고려 요소에 대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분석을 통해 품질 개선의 효율을 높이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 앰프(amplifier)에서 음질을 개선하는 방법은,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소음 정보, 헤드유닛(head unit)으로부터 볼륨(volume) 상태 정보 및 가상 엔진음 생성기로부터 가상 엔진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음 정보, 상기 볼륨 상태 정보 및 상기 가상 엔진음 정보를 기반으로 잡음 주파수 대역의 이득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득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상기 잡음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제1대역을 산출하고, 멀티미디어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대역에 해당하는 제2대역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일정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상 엔진음 정보는 EMS(Engine Management System)로부터 수집된 속도 정보와 RPM(Revolution Per Minute) 정보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마이크를 이용하는 핸즈프리(hands-free) 기능 또는 음성인식 기능이 수행될 때, 상기 앰프가 출력을 중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득값이 특정 기준값 이상인 상기 잡음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주파수 대역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레벨(level)에 따라 증폭량을 달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레벨(level) 정보는 헤드유닛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질 개선 앰프(amplifier)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소음 정보, 헤드유닛(head unit)으로부터 볼륨(volume) 상태 정보 및 가상 엔진음 생성기로부터 가상 엔진음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소음 정보, 상기 볼륨 상태 정보 및 상기 가상 엔진음 정보를 기반으로 잡음 주파수 대역의 이득값을 산출하는 이득값 산출부; 상기 이득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상기 잡음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제1대역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멀티미디어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대역에 해당하는 제2대역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상 엔진음 정보는 EMS(Engine Management System)로부터 수집된 속도 정보와 RPM(Revolution Per Minute) 정보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이용하는 핸즈프리(hands-free) 기능 또는 음성인식 기능이 수행될 때,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출력부는, 미리 설정된 레벨(level)에 따라 증폭량을 달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레벨(level) 정보는 헤드유닛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자동차 주행 중에 자동으로 멀티미디어 장치의 음량을 조절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전방 주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교통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멀티미디어 장치의 음량만을 조절하는 것뿐만 아니라 주행 중 소음 정보, 볼륨 상태 정보 및 가상 엔진음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적응적으로 주파수 대역을 증폭하여 출력함으로써, 잡음에 대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보상으로 멀티미디어 음향에 대해서 고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음량 조절 및 주파수 영역에서의 보상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주행 환경에 적응적으로 멀티미디어 음향에 대한 고품질을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서 증폭할 주파수 영역을 산출하기 위한 잡음 주파수 영역에 대한 그래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앰프(AMP, Amplifier)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잡음 주파수는 재생하려는 멀티미디어 음향에 대해 주파수 간섭을 발생시켜, 본래 멀티미디어 음을 훼손한다. 훼손된 음은 멀티미디어 음향의 품질을 떨어트린다. 즉, 잡음에 의한 멀티미디어 음향의 음질 열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앰프가 주파수 간섭에 대한 보상을 위해, 멀티미디어 주파수 대역을 증폭하여 출력함으로써, 음질의 품질이 개선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앰프는 주행 중 소음 정보, 볼륨 상태 정보 및 가상 엔진음 정보를 기반으로 잡음 주파수 대역을 분석하고, 잡음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성질에 따라 실시간 적응적으로 주파수 대역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 앰프(Amplifier)는 전체 잡음의 주파수 대역을 분석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한다.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소음 정보를, 헤드유닛(Head Unit)으로부터 볼륨 상태 정보를, 가상 엔진음 생성기로부터 가상 엔진음 정보를 수신한다(S110).
앰프는 수집된 소음 정보, 볼륨 상태 정보, 가상 엔진음 정보를 기반으로 잡음의 주파수 대역 전체 이득값(Overall Gain)을 산출한다(S120).
앰프는 잡음의 주파수 대역 전체 이득값을 분석하여, 이득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상기 잡음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제1대역을 산출하고, 멀티미디어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대역에 해당하는 제2대역을 증폭하여 출력한다(S130).
잡음의 주파수 대역 중 이득값이 특정 기준값 이상 제1대역에서는 재생하려는 멀티미디어 음향의 주파수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주파수 대역에서 제1대역에 해당하는 제2대역을 증폭하여 출력함으로써, 잡음에 대한 간섭에 대한 보상이 가능하다.
이득값에 대한 특정 기준값은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서 증폭할 주파수 영역을 산출하기 위한 잡음 주파수 영역에 대한 그래프다.
X축은 주파수(Hz), Y축은 이득값(decibel,dB)에 해당한다. 그리고 복수의 곡선은 현재 볼륨 상태에 따른 이득값을 의미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잡음의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이득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득값이 높은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멀티미디어 음향의 주파수 대역을 증폭하여 출력해주어야 잡음에 대한 보상이 가능하다.
앰프는 Q값을 조정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음향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증폭시킬 수 있다. Q값은 일반적으로, 회로 또는 시스템의 품질에 대한 척도를 의미하며, 공진회로에 있어서, Q값은 공진주파수를 대역폭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증폭할 주파수 영역을 산출하기 위한 잡음 주파수 영역에서, 최대 이득값을 가지는 주파수를 공진주파수로 하여, Q값을 조절함으로써, 증폭할 주파수 대역을 제어할 수 있다. 즉, Q값이 증가시키면 증폭할 주파수 범위가 작아져 원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좁고 정확하게 증폭시킬 수 있고, Q값을 감소시키면 증폭할 주파수 범위가 커져 넓은 범위의 주파수 영역을 증폭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앰프는Q값을 조절함으로써, 이득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잡음 주파수 대역에 대한 보상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Mic(100)는 차량 실내의 소음 정보를 AMP(200)로 전달한다. 소음 정보는 차량에서 발생되는 엔진음뿐만 아니라 차량 외부에서 내부로 전달되는 소리까지 Mic(100)를 통해 수집되는 모든 소리로서 바람소리, 빗소리 등에 제한되지 않는다.
Mic(100)는 기존의 핸즈프리(hand-free) 마이크일 수 있으며, 입력 장치로서 추가적인 장치를 추가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경제적 측면에서 효과가 있다.
한편, Mic(100)의 본래 기능은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단거리 통신을 이용한 음성 통화 또는 음성 인식 기능이다. 따라서 Mic(100)가 음성 통화 또는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하고 있을 경우, AMP(200)가 멀티미디어 주파수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것이 중단된다.
AMP(200)는 음량 및 음색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고, H/U(300)으로부터 인가되는 멀티미디어 음원 신호를 증폭/제어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AMP(200)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증폭량을 조절함으로써 이퀄라이저(equalizer,EQ)기능을 갖는다. AMP(200)는 이퀄라이저 기능을 활용하여 감쇠된 주파수 영역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저음역대 또는 고음역대의 주파수 영역을 증폭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잡음에 의해 멀티미디어 음향의 주파수 특성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AMP(200)는 감쇠된 부분에 대해서 이퀄라이저를 이용하여 감쇠된 주파수 영역에 더 많은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H/U(300)은 자동차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자동차 내부의 각종 유닛들 예를 들어, 엔진부, 구동부 또는 자동차내 오디오 장치 등의 각종 전자장치 등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자동차의 성능을 점검하며, 운전자로부터의 제어 입력을 수신하여 해당 장치를 제어하는 등으로 전자적인 장비 점검 및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H/U(300)은 운전자로부터 입력 받은 증폭량을 달리하는 레벨(level) 정보를 AMP(200)로 전달한다. 종래, 자동차의 속도 변화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음량을 조절하는 기능(SDVC, Speed Dependent Volume Control)은 ON/OFF으로 제어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운전자가 증폭량을 달리하는 레벨을 조정 또는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객 취향에 따른 이득값 보상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DVC 는 멀티미디어 음향의 증폭량에 따라 활성 정도를 OFF/LOW/MID/HIGH 의 4단계로 나뉠 수 있다. 자동차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운전자가 SDVC 레벨을 LOW로 선택한 경우에는 AMP(200)는 멀티미디어 음향의 주파수 대역을 3dB 증폭되도록 할 수 있고, MID로 선택한 경우 AMP(200)는 멀티미디어 음향의 주파수 대역을 6dB 증폭되도록 할 수 있고, HIGH로 선택한 경우에는 AMP(200)는 멀티미디어 음향의 주파수 대역을 9dB 증폭되도록 할 수 있다.
EMS(400, Engine Management System)는 각종 센서(Sensor) 및 구동장치(Actuator) 등을 직접 제어 할 수 있고 이를 엔진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엔진 상태를 구현하여 엔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EMS(400)는 자동차의 속도 정보와 RPM(Revolution Per Minute) 정보를 가상 엔진음 생성기로 전달한다.
가상 엔진음 생성기는 EMS(400)로부터 전달 받은 속도 정보와 RPM(Revolution Per Minute)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엔진음을 생성하고, 가상 엔진음 정보를 AMP(200)로 전달한다.
가상 엔진음 생성기는 가상 엔진음을 실내 오디오로 출력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가상 엔진음 생성기는 ASD(Active Sound Design) 모듈로 칭할 수 있다.
CGW(500, Central GateWay)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사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용 프로토콜(protocol)을 갖춘 장치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상 엔진음 생성기로부터 전달 받은 가상 엔진음 신호를 AMP(200)으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가상 엔진음 생성기로부터 발생한 가상 엔진음은 H/U(300)으로 전달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EMS(400)이 가상 엔진음을H/U(300)를 거치지 않고AMP(200)로 직접 전달함으로써 연산 및 신호 전달에서 발생하는 지연을 방지하여, 주행 중 음질 개선이 실시간으로 이뤄지기 위한 효율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앰프(AMP, Amplifier)의 구성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앰프(200, AMP, Amplifier)는 통신부(210), 이득값 산출부(220), 출력부(230), 메모리(240) 및 제어부(2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앰프(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통신부(110)은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모듈과 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통신부(110)는 Mic(100)로부터 차량의 실내 소음 정보를 수신하고, H/U(300)으로부터 기본적인 멀티미디어 음향 신호를 수신하며, 증폭량을 달리하는 레벨 정보 및 볼륨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EMS(400)으로부터 가상 엔진음을 수신한다.
이득값 산출부(220)는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소음 정보, 볼륨 상태 정보 및 가상 엔진음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실내 잡음에 대한 주파수 전체 이득값을 산출한다.
출력부(230)는 제어부(250)를 통해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해 보완된 각종 정보 및/또는 신호를 스피커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한다.
메모리(240)는 주행 중 음질을 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앰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공간 및/또는 저장 영역의 총칭으로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등의 형태로 제공된다.
제어부(250)는 앰프(200)가 주행 중 음질을 개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각 모듈과 데이터를 주고 받음으로써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어부(250)는 이득값 산출부(220)에 의해 산출된 잡음에 대한 주파수 전체 이득값을 바탕으로 이득값이 가장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산출하고, H/U(300)로부터 수신한 증폭량을 달리하는 레벨 정보를 고려하여, 증폭할 멀티미디어 음향의 주파수 대역을 산출한다.
100 : 마이크(Mic)
200 : 앰프(Amplifier)
300 : H/U(헤드유닛)
400 : EMS(Engine Management System)
500 : CGW(Central GateWay)
210 : 통신부
220 : 이득값 산출부
230 : 출력부
240 : 메모리
250 : 제어부

Claims (11)

  1. 앰프(amplifier)에서 음질을 개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소음 정보, 헤드유닛(head unit)으로부터 볼륨(volume) 상태 정보 및 가상 엔진음 생성기로부터 가상 엔진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음 정보, 상기 볼륨 상태 정보 및 상기 가상 엔진음 정보를 기반으로 잡음 주파수 대역의 이득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득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상기 잡음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제1대역을 산출하고,
    멀티미디어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대역에 해당하는 제2대역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질 개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일정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음질 개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엔진음 정보는
    EMS(Engine Management System)로부터 수집된 속도 정보와 RPM(Revolution Per Minute) 정보에 의해 산출되는,
    음질 개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이용하는 핸즈프리(hands-free) 기능 또는 음성인식 기능이 수행될 때, 상기 앰프가 출력을 중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음질 개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값이 특정 기준값 이상인 상기 잡음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주파수 대역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레벨(level)에 따라 증폭량을 달리하는,
    음질 개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레벨(level) 정보는 헤드유닛으로부터 수신하는,
    음질 개선 방법.
  7.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소음 정보, 헤드유닛(head unit)으로부터 볼륨(volume) 상태 정보 및 가상 엔진음 생성기로부터 가상 엔진음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소음 정보, 상기 볼륨 상태 정보 및 상기 가상 엔진음 정보를 기반으로 잡음 주파수 대역의 이득값을 산출하는 이득값 산출부;
    상기 이득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상기 잡음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제1대역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멀티미디어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대역에 해당하는 제2대역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음질 개선 앰프(amplifier).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엔진음 정보는
    EMS(Engine Management System)로부터 수집된 속도 정보와 RPM(Revolution Per Minute) 정보에 의해 산출되는,
    음질 개선 앰프(amplifier).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이용하는 핸즈프리(hands-free) 기능 또는 음성인식 기능이 수행될 때, 출력을 중단하는,
    음질 개선 앰프(amplifier).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미리 설정된 레벨(level)에 따라 증폭량을 달리하는,
    음질 개선 앰프(amplifier).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레벨(level) 정보는 헤드유닛으로부터 수신하는,
    음질 개선 앰프(amplifier).
KR1020150155502A 2015-11-06 2015-11-06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36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502A KR101736992B1 (ko) 2015-11-06 2015-11-06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502A KR101736992B1 (ko) 2015-11-06 2015-11-06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252A true KR20170053252A (ko) 2017-05-16
KR101736992B1 KR101736992B1 (ko) 2017-05-17

Family

ID=5903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502A KR101736992B1 (ko) 2015-11-06 2015-11-06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9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7976A (zh) * 2018-11-05 2020-05-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调节音响音量平衡度的方法及装置、终端、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6160A (ja) 2010-12-27 2012-07-19 Honda Motor Co Ltd 能動型音響制御システム
US9179237B2 (en) 2011-12-16 2015-11-03 Bose Corporation Virtual audio system tun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7976A (zh) * 2018-11-05 2020-05-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调节音响音量平衡度的方法及装置、终端、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992B1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9979B2 (en) Selective suppression of audio emitted from an audio source
EP201803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sound signals in a vehicle multimedia system
US8116465B2 (en)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8081776B2 (en) Indoor communication system for a vehicular cabin
US8155328B2 (en) Sound reproducing apparatus
JP2016506640A (ja) オーディオラウドネス制御システム
CN104685563A (zh) 用于嘈杂环境噪里的回放的音频信号整形
JP2012525049A (ja) マルチチャンネル・スピーカーの駆動
US20160295325A1 (en) Method and device
US20160192071A1 (en) Acoustic device, acoustic processing method, and acoustic processing program
EP2375408B1 (en) A method of adapting noice reduction and a system for providing audio with noise reduction
JPH09186540A (ja) 騒音感応自動音量調整装置
KR101736992B1 (ko)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10268298A1 (en) Sound field correcting device
KR102645743B1 (ko) 볼륨 종속 오디오 보상
JP4355112B2 (ja) 音響特性調整装置、及び、音響特性調整プログラム
KR101405847B1 (ko)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음질 향상을 위한 신호처리 구조
JP2019186764A (ja) 電子装置および音響システム
JP2541062B2 (ja) 音響再生装置
CN114915879A (zh) 在扬声器广播之前自动设置信号的数字处理参数的方法和实施该方法的设备
KR102497425B1 (ko)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JP3200498B2 (ja) ネットワークゲイン自動設定装置
EP3032741A1 (en)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a vehicl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a sound system
WO2023220918A1 (zh) 一种音频信号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和车辆
JPH05110362A (ja) 車載音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