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803A -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 - Google Patents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803A
KR20170052803A KR1020150154585A KR20150154585A KR20170052803A KR 20170052803 A KR20170052803 A KR 20170052803A KR 1020150154585 A KR1020150154585 A KR 1020150154585A KR 20150154585 A KR20150154585 A KR 20150154585A KR 20170052803 A KR20170052803 A KR 20170052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unit
temperature
us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5319B1 (ko
Inventor
이찬서
박원엽
박호열
백승엽
정정민
Original Assignee
이찬서
박원엽
정정민
박호열
백승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서, 박원엽, 정정민, 박호열, 백승엽 filed Critical 이찬서
Priority to KR1020150154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3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A41D19/0027Measuring instruments, e.g. watch, thermomet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2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ontrolling or indicating the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1Hair straightening applia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02Rotary gyroscopes
    • G01C19/04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04M1/7253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Glov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발열 미용 장갑은 발열체로 이루어진 발열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이는 사용자입력부; 및 상기 발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얻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발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Hair styling glove}
본 발명은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동작 인식 등에 의한 제어가 가능한 미용을 위한 헤어 스타일링용 발열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스타일링을 위한 미용기구에는 가위, 헤어 트리머(Hair trimmer), 매직기, 고데기 등 다양한 기구들이 있다. 이 중 매직기, 고데기 등은 열을 이용하여 모발을 펴거나(Straightening), 웨이브(Wave), 컬(Curl) 등의 모양을 만들어 모발을 성형하는 데 이용되는 기구이다.
이러한 미용기구들은 그 형태의 특이성이나 화상의 위험 때문에 주로 미용실에서 숙련된 미용사들에 의해 사용되므로 일반인들은 자주 접하지 못하는 이러한 미용기구들에 익숙해지기 어렵고 쉽게 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헤어 스타일링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구인 매직기나 고데기 등은 발열부위가 정해져 있고, 형태 또한 전문적인 미용사들이 사용하는 형태로 되어 있어 사용 경험이 없는 일반인들은 사용하기가 곤란하고, 필요한 부위를 원하는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물론 미용사들도 기기의 세밀한 조작이나 설정이 불가능하고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자유자재로 만들어 내기도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매직기나 고데기 등은 고열을 이용하여 모발을 성형하기 때문에 이들의 사용에 익숙하지 못한 일반인들이 사용할 경우 손이나 피부에 화상을 입거나 모발이 손상되는 위험이 있을 수도 있고, 이러한 위험 때문에 기구들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므로 자신이 원하는 모발 형태를 만들어 내는데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온/오프 스위치나 온도조절 버튼 등으로 제어하던 미용기구들을 좀 더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편리하면서도 세밀한 설정을 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발열체가 장착된 헤어 스타일링용 미용 장갑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여 일반적인 사용자들도 특별한 훈련 없이 미용 장갑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제스처 인식을 통하여 발열을 제어함으로써 장갑의 특정 부위에만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설정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스타일링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불필요한 부위의 발열을 제한함으로써 전력 낭비를 줄이면서도 사용자를 화상의 위험으부터 보호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발열 미용 장갑은 발열체로 이루어진 발열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이는 사용자입력부; 사용자의 손의 위치나 움직임을 인식하는 동작인식부; 및 상기 사용자입력부 또는 상기 동작인식부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발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용 장갑을 제어함에 있어 버튼이나 터치센서 같은 입력수단뿐 아니라 동작에 의해서 미용 장갑을 제어함으로써 양손에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손쉽게 장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손에 밀착된 장갑을 이용하여 스타일링을 함으로써 초보자들도 장갑을 쉽게 다룰 수 있고 원하는 스타일을 쉽게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익숙한 손동작을 사용하므로 화상의 위험도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작 제어에 의해 필요한 부위에만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소모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도 있고, 그에 따라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배터리 용량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장갑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장갑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장갑의 굽힘인식센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장갑을 이용하여 컬을 만드는 모습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장갑의 표시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장갑을 이용하여 모발을 펴는 모습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장갑을 이용하여 컬을 만드는 모습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장갑을 이용하여 모발을 눌러주는 모습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장갑을 제어하기 위한 손가락의 모양을 나타내는 상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 미용 장갑(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사용자입력부(110), 동작인식부(120), 제어부(130), 표시부(140) 및 발열부(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입력부(110)는 압전소자,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인다. 예컨대 사용자입력부(110)는 전원 켜짐/꺼짐 버튼, 온도 상승/하강 버튼으로 구성되고, 제어부(130)는 그 입력에 따라 발열부(150)의 최고온도를 조절하거나, 발열위치의 선택 또는 발열부(15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버튼이 아니라 압전소자나 터치스크린으로 사용자입력부(110)가 구성되는 경우에도 같은 제어방법을 가질 수 있고, 터치스크린으로 사용자입력부(110)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LCD화면에 장갑의 구성을 표시하고 각 부위별 전원조절 및 온도조절 등 보다 세밀한 조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추가로 가진다.
그런데 사용자가 장갑을 양손에 착용한 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손등에 위치한 버튼 등 전술한 사용자입력부(110)를 자유로이 사용할 수 없을 때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의 손의 모양을 인식하거나 손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인식하여 장갑을 제어하면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해 장갑은 동작인식부(120)를 포함한다.
동작인식부(120)는 자이로센서나 가속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손의 위치, 방향 또는 움직임을 인식하거나 굽힘인식센서(310, Bend Detection Sensor)를 이용하여 손가락 구부림을 인식한다.
예컨대, 도 2와 같이 손끝이 위로 향하고 있는지 혹은 아래로 향하는지 또는 손을 흔드는 동작이 있는지 등을 인식하거나, 도 9와 같이 손가락이 몇 개가 굽혀져 있는지 등의 굽힘 상태를 인식할 수 있고, 제어부(130)에서는 이를 인식하여 적절한 제어를 수행한다. 동작 인식을 위한 센서는 상기 예시된 센서들로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30)는 전술한 동작인식부(120)를 통해 얻은 손의 동작 등과 장갑의 손등부분 등에 위치한 입력장치 등을 통해 얻은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발열부(150)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주먹을 쥐었다가 펴는 동작을 미용장갑의 전원을 켜는 동작으로 설정할 수 있고, 도 2의 (a)와 같이 손가락 끝이 위로 향하고 손목 부분이 아래로 향하는 경우 이를 준비동작으로 인식하고 발열부(150)를 저온으로 예열하기 시작한다. 예열을 마치고 손가락 끝과 손목 부분의 방향이 도 2의 (b)와 같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을 향하게 되면 본격적인 장갑의 사용을 위한 발열을 시작한다. 예열 동작과는 반대로 도 2의 (c)와 같이 손가락 끝이 아래를 향하는 경우에는 장갑의 사용을 끝내고 쉬는 것으로 인식하여 발열부(150)의 전원을 차단하여 발열부(150)를 냉각시키게 된다.
발열부(150)를 제어하는 또 하나의 방법으로 굽힘인식센서(310)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도 3은 굽힘인식센서(310)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각 손가락 별로 장착된 굽힘인식센서(310)를 통해 펴져있는 손가락이 어느 것인지를 인식한 후 펴져있는 손가락 부위에만 전원을 공급하여 발열이 되게 제어하고, 이를 이용하여 모발에 컬을 형성하거나 두 손가락 사이에 모발을 넣어서 펴는 등의 스타일링을 수행한다. 또한, 모든 손가락이 구부러져 주먹을 쥔 모양을 하는 경우에는 미용장갑의 사용을 끝내는 것으로 인식하여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도 9는 손가락이 펴져 있는 개수에 따른 손의 모양을 나타낸다. 손가락이 한 개 내지 네 개가 펴져 있는 경우에는 펴져 있는 손가락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굽혀져 있는 손가락과 손바닥 부위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전원 절약 효과는 물론이고 사용하지 않는 부분의 열에 의해 사용자가 불의의 화상을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함께 가진다. 도 4는 이렇게 굽힘센서를 이용하여 한 손가락만 발열이 일어나게 한 경우에 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모발에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컬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다섯 손가락을 모두 편 경우에는 손가락과 손가락이 맞닿는 부위와 손등 부분을 제외한 모든 손바닥 부위에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도 6과 도 8은 이를 이용하여 모발을 스타일링 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양 손바닥을 맞대어 그 사이에 모발을 위치시키고 눌러주면서 손을 이동하여 모발을 펴는 스타일링을 하는 모습이며, 도 8은 손바닥으로 옆머리를 눌러서 옆머리가 들뜨지 않도록 머리를 가라앉히는 스타일링을 하는 모습이다.
손가락을 완전히 굽히는 경우와는 달리 다섯 손가락을 모두 살짝 만 굽히는 경우에는 모든 발열부(150)에 전원을 공급하되 온도를 낮게 설정하여 모발 전체를 다듬을 수 있게 하는 등 다양한 손 모양에 따른 제어가 추가로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도 7은 손가락을 살짝 굽여 낮은 온도를 이용하여 앞머리를 스타일링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제어부(130)는 이러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각 발열부(150), 즉, 각 손가락과 손바닥의 발열부(150)에 대해 독립적으로 전원의 공급, 차단이나 온도조절이 가능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부(110)나 동작인식부(120)에 의한 입력 외에 최근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블루투스 리모콘 등의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제어부(130)에 신호를 전달하여 장갑 외부에서 장갑을 제어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장갑의 제어부(130)는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에 장갑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한 후 장갑의 발열부위와 온도, 발열시간 등을 개인별로 저장해놓고 필요한 경우에 이러한 설정을 불러내어 간편하게 장갑을 사용하는 것 등도 가능하다.
또한, 마이크를 장갑에 추가로 설치하거나, 장갑과 연결된 스마트폰의 마이크를 이용하면 음성인식을 통해 장갑을 제어하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한 장갑의 제어와는 별도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자동으로 장갑을 제어하는 것도 필요하다. 예컨대, 장갑의 내피 부분, 즉,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부위에 설치된 온도센서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발열부(150)의 발열 시간이 미리 지정된 시간을 넘긴 경우에는 제어부(130)가 발열부(150)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등의 구성이 그것이다.
또한, 장갑 내부에 접촉센서 등을 두어 사용자가 장갑을 벗은 경우 접촉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130)에 전달하면 제어부(130)가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여 발열에 의한 화상이나 화재의 위험 등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장갑의 표시부(140)는 LCD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장갑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간단한 LED로 구성되어 장갑의 온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도 5는 장갑의 표시부(510, 520)가 위치하는 한 예를 나타낸다.
LCD 스크린으로 표시부(14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장갑의 손등부분 등 발열부(150)가 위치하지 않는 곳에 위치하여 장갑의 온도 나 배터리 충전상태 또는 스마트폰 등의 외부기기와의 연결관계 등을 더 자세히 표시할 수 있다. 장갑의 손가락 끝 즉, 손톱부분에 LED로 표시부(14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LED의 색상변화나 밝기 정도 등으로 현재온도의 표시가 가능한데 이 경우는 LCD 스크린의 경우보다는 표시할 수 있는 정보의 수가 제한되나 LCD 스크린보다 구성이 단순하고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장갑이 동작하는 동안은 물론이고 전원이 차단된 후에도 발열부(150)에 남아있는 잔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를 잔열에 의한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전술한 표시부(140)는 LCD스크린과 LED 표시장치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최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소자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OLED나 도트 매트릭스(Dot Matrix) 등을 이용하여 장갑의 특정 위치에 형태에 구애 받지 않고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등가의 다른 소재나 장치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발열부(150)는 손바닥 부분과 손가락 둘레 부분 등 머리카락과 접촉하는 모든 부위에 발열체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손가락 부위와 같이 관절이 있는 부위는, 손가락을 구부렸다 폈다 하는 동작이 반복되는 경우에 발열체의 스트레스가 심하여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손가락 마디의 관절단위로 발열체를 분리하여 부착함이 바람직하다.
발열체는 탄성 기반 세라믹 소재 또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 코팅 원단(Fabric), 면상발열체 또는 발열사를 이용한 히터(Heater)로 구성할 수 있다.
발열부(150)를 구성하는 발열체는 손바닥과 손가락에 각각 구분되어 위치하므로 전원인가와 온도조절도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며, 발열체 자체의 열량이 크지 않으므로 발열과 냉각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 때 발열부(150)의 온도는 제어부(130)를 통해 설정이 가능한데, 안전을 위해 최대 섭씨 230도 이하로 제한되도록 설계가 가능하다. 이러한 제한은 인종별, 개인별 특성에 따른 모발의 특성과 모발의 건강상태에 따라 최고 온도 설정을 달리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30)에 메모리소자가 포함되는 경우 이러한 인종 별, 개인별 특성에 따른 설정들을 미리 저장해두거나 사용자가 설정을 저장하여 두면 필요 시 불러내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할 때마다 일일이 온도와 발열시간 등을 설정해야 하는 불편을 덜 수 있다.
또한, 발열부(150)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사용시 필요한 부분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신속하게 발열을 하고, 헤어 스타일링이 종료되거나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이를 통해 손가락 또는 손바닥 부분 중 필요한 부분만 전원 공급을 할 수 있으므로, 손가락 크기 별 혹은 손가락 개수 별로 컬의 굵기를 달리하는 등 다양한 헤어 스타일링이 가능하다.
발열부(1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미도시)는 가정용 전원이나 차량용 전원 소켓인 시거잭(Cigar Jack)등을 사용할 수 있고, 휴대성을 위해 팔찌형태나 허리에 차는 형태의 배터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동작인식을 기반으로 발열부(150)의 온도를 제어하면 필요한 경우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따라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를 사용하여 동작하는 경우에 사용시간과 배터리 용량을 최적화 하는 설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버튼이나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이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경우에도 손의 움직임을 통해 온도조절이나 장갑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양 손에 장갑을 착용하고도 장갑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발열 미용 장갑 110: 사용자입력부
120: 동작인식부 130: 제어부
140: 표시부 150: 발열부
310: 굽힘 인식 센서
510, 520: 표시부

Claims (10)

  1. 발열체로 이루어진 발열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이는 사용자입력부;
    사용자의 손의 위치나 움직임을 인식하는 동작인식부; 및
    상기 사용자입력부 또는 상기 동작인식부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발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발열 미용 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인식부는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또는 굽힘인식센서를 포함하는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인식부는 굽힘인식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굽힘인식센서에 의해 기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굽혀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손가락 부위의 발열부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발열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미용 장갑은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거나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발열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미용 장갑은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 받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발열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미용 장갑은
    상기 발열 미용 장갑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접촉식 터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식 터치센서에 의해 상기 미용 장갑이 사용자의 손에서 분리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전원을 차단하는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소자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따른 온도, 발열부위 및 발열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메모리소자에 저장하는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미용 장갑은
    상기 발열부의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발열 미용 장갑의 사용이 종료된 후에도 상기 발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잔열이 있음을 표시하는 것
    인 발열 미용 장갑.
KR1020150154585A 2015-11-04 2015-11-04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 KR101755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585A KR101755319B1 (ko) 2015-11-04 2015-11-04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585A KR101755319B1 (ko) 2015-11-04 2015-11-04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803A true KR20170052803A (ko) 2017-05-15
KR101755319B1 KR101755319B1 (ko) 2017-07-13

Family

ID=5873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585A KR101755319B1 (ko) 2015-11-04 2015-11-04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3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174A (ko) * 2019-12-17 2021-06-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전원 오프 기능을 갖춘 헤어 고데기
GB2597678A (en) * 2020-07-29 2022-02-09 Dyson Technology Ltd Hairstyling device
GB2597685A (en) * 2020-07-29 2022-02-09 Dyson Technology Ltd Hairstyl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552B1 (ko) * 2018-12-07 2020-05-21 김재현 발열 스마트 직물 의류
KR102214270B1 (ko) * 2019-04-05 2021-02-10 주식회사 터보이온코리아 음성 제어가 가능한 헤어 스타일링 기기
KR102279057B1 (ko) * 2019-12-30 2021-07-20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헤드레스트형 헤어드라이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962B1 (ko) 2010-12-29 2011-06-16 박정만 다기능 장갑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174A (ko) * 2019-12-17 2021-06-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전원 오프 기능을 갖춘 헤어 고데기
GB2597678A (en) * 2020-07-29 2022-02-09 Dyson Technology Ltd Hairstyling device
GB2597685A (en) * 2020-07-29 2022-02-09 Dyson Technology Ltd Hairstyling device
GB2597678B (en) * 2020-07-29 2022-11-30 Dyson Technology Ltd Hairstyling device
GB2597685B (en) * 2020-07-29 2023-03-01 Dyson Technology Ltd Hairstyl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319B1 (ko)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319B1 (ko)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
KR101478162B1 (ko) 휴대형 피부미용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20130240498A1 (en) Hair curler
US20170366653A1 (en) Ergonomic accessory for smartphones and other hand-hel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WD191520S (zh) Warm plastic perm machine
US20110079237A1 (en) Hairstyling apparatus
KR101569850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물리적 지압 마사지 장치
TWM315732U (en) Glove-shaped iron
KR101801950B1 (ko) 헤어 스타일링용 장갑
WO2018127870A2 (en) Portable glove for hair styling
EP2698687A1 (en) Computer mouse integrated with massager
KR20190119318A (ko) 히터 밴드
CN205121419U (zh) 一种穿戴式电子设备
KR20170073884A (ko) 다리미 겸용 고데기
KR20140145354A (ko) 압력 감지 기능을 갖는 헤어아이론
US20180093095A1 (en) User interface for use with an electrostimulation system
JP6698311B2 (ja) コントローラー
CN103321029A (zh) 一种熨烫假发的电熨斗
US20040087881A1 (en) Electrical heat and massage vibrating glove
KR102070498B1 (ko) 휴대용 전동 마사지 장치
JP2019146677A (ja) 頭皮ケア装置
JP3123139U (ja) セラミックヘアアイロン
CN204105156U (zh) 一种多功能烫护发机
CN208591302U (zh) 视觉艾灸理疗仪
DE202017102553U1 (de) Beheizbare Computerma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