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721A - Method for fabricating a touch screen panel - Google Patents

Method for fabricating a touch screen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721A
KR20170052721A KR1020150153640A KR20150153640A KR20170052721A KR 20170052721 A KR20170052721 A KR 20170052721A KR 1020150153640 A KR1020150153640 A KR 1020150153640A KR 20150153640 A KR20150153640 A KR 20150153640A KR 20170052721 A KR20170052721 A KR 20170052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onductive
conductive layer
forming
photores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6214B1 (en
Inventor
김동일
조현민
이주형
김상갑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3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214B1/en
Publication of KR20170052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7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2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panel.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first conductive layer, a second conductive layer and a first photoresist layer; forming a first photoresist layer pattern corresponding to a sensing electrode and a second photoresist layer pattern corresponding to a sensing wiring by arranging a mast on an upper part of the first photoresist layer, and exposing a part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to the outside; forming a second conductive pattern by using the first photoresist layer pattern and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s an etching mask and removing the exposed second conductive layer, and exposing a part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to the outside; exposing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by removing the first photoresist layer pattern, and forming the second photoresist layer pattern into a third photoresist pattern with a thin thickness; forming a first conductive pattern by using the exposed second conductive pattern as the etching mask and removing the exposed the first conductive layer; forming the sensing electrode by using the third photoresist pattern as the etching mask and removing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placed 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forming the sensing wiring by removing the third photoresist pattern; forming an insulating pattern on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sensing wiring; and forming a bridge pattern connecting the sensing electrodes on the insulating patter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panel in which manufacturing processes are simplified.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A TOUCH SCREEN PANEL}METHOD FOR FABRICATING A TOUCH SCREEN PANEL [0002]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panel.

터치 스크린 패널은 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감지 장치이다.The touch screen panel is installed on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is a sensing device used to allow a user to select desired information while viewing the display device.

터치 스크린 패널의 종류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 방식(Electro Magnetic Typ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센싱 전극이 주변의 다른 센싱 전극 또는 접지 전극 등과 형성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따라서,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싱 전극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센싱 전극들이 교호적으로 배열된다. Types of touch screen panels can be classified into resistive type, capacitive type, and electro magnetic type. Among them, the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panel converts the contact position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formed by the conductive sensing electrode with other surrounding sensing electrodes or ground electrodes when a human hand or an object is contacted do. Accordingly, the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includes electrically connected sens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re alternately arranged.

그런데, 복수의 센싱 전극들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마스크를 이용한 패터닝 공정이 반복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form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 patterning process using a mask must be repeatedly performed, so that a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a manufacturing cost is high.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공정이 단순화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panel in which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 및 제1 감광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감광막 상부에 마스크를 배치하여 감지 전극에 대응하는 제1 감광막 패턴과 감지 배선에 대응하는 제2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층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감광막 패턴과 상기 제2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고 상기 노출된 제2 도전층을 제거하여 제2 도전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1 도전층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감광막 패턴을 제거하여 상기 제2 도전 패턴을 노출시키고, 상기 제2 감광막 패턴을 두께가 얇은 제3 감광막 패턴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제2 도전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고 상기 노출된 제1 도전층을 제거하여 제1 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3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고 상기 제1 도전 패턴 상에 위치한 상기 제2 도전 패턴을 제거하여 상기 감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3 감광막 패턴을 제거하여 상기 감지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 전극과 상기 감지 배선 상에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 패턴 상에 상기 감지전극들을 연결하는 브릿지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sequentially forming a first conductive layer, a second conductive layer, and a first photosensitive film on a substrate; Forming a first photoresist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electrode and a second photoresist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wiring by disposing a mask on the first photoresist layer and exposing a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to the outside; Forming a second conductive pattern by us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and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s an etching mask and removing the exposed second conductive layer, exposing a part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to the outside; Remov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to expose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nd forming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s a third photoresist pattern having a small thickness; Using the exposed second conductive pattern as an etch mask and removing the exposed first conductive layer to form a first conductive pattern; Forming the sensing electrode by using the third photoresist pattern as an etching mask and removing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located 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Removing the third photoresist pattern to form the sensing wiring; Forming an insulating pattern on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sensing wiring; And forming a bridge pattern connecting the sensing electrodes on the insulating patter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하프 톤 마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k may include a halftone mas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 사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n adhesive layer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감광막 패턴과 상기 제2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고 상기 노출된 제2 도전층을 제거하여 제2 도전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1 도전층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단계는, 건식 에칭 공정을 통해 상기 노출된 제2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점착층을 일괄 식각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photoresist patterns and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re used as an etching mask and the exposed second conductive layer is removed to form a second conductive pattern, The exposed second conductiv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located under the second conductive layer may be collectively etched through the dry etching proc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출된 제2 도전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고, 상기 노출된 제1 도전층을 제거하여 제1 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습식 에칭 공정을 통해 상기 노출된 제1 도전층을 제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using the exposed second conductive pattern as an etch mask and removing the exposed first conductive layer to form a first conductive pattern comprises: The first conductive layer can be rem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고 상기 제1 도전 패턴 상에 위치한 상기 제2 도전 패턴을 제거하여 상기 감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건식 에칭 공정을 통해 상기 제1 도전 패턴 상에 형성된 제2 도전 패턴을 제거하되 상기 습식 에칭 공정 시 남아있는 상기 제1 도전층의 잔막을 제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the sensing electrode by using the third photoresist pattern as an etching mask and removing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located 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may be performed through a dry etching process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is removed, and the remaining film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remaining in the wet etching process can be rem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may include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도전성 물질은 은나노와이어(AgNW),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ntimony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ZnO(Zinc Oxide), 및 SnO2(Tin Oxide), 카본나노튜브 (Carbon Nano Tube), 그래핀 (graph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may be AgNW,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AZO), Antimony Zinc Oxide (AZO), Indium Tin Zinc Oxide (Zinc Oxide), and SnO2 (Tin Oxide), a carbon nanotube (Carbon Nano Tube), and graphe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제1 도전층보다 저항값이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 resistance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항값이 낮은 물질은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알루미늄(Al)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 resistance material may includ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lybdenum (Mo), silver (Ag), titanium (Ti), aluminum (Al), and copper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 패턴은,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전극 패턴들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된 제2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전극 패턴들과 절연된 제2 전극 패턴들, 및 상기 제2 전극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pattern may include first electrode pattern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second sensing patterns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Two-electrode patterns, and connection patter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패턴은 상기 절연 패턴 상에서 상기 제1 전극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pattern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on the insulation patter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 배선은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제1 도전 패턴과 상기 제2 도전 패턴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이중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wiring may include a double layer in which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ubstr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 공정이 단순화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nufacturing method of a touch screen panel in which a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굴곡 특성이 향상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panel having improved bending properties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EA1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1의 Ⅰ ~ 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n은 도 2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1 is a simplified plan view illustrating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plan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EA1 in FIG. 1, and FIG. 2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I-I 'in FIG.
FIGS. 3A to 3N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ouch screen panel shown in FIG.
4A to 4D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ouch screen panel shown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평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EA1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의 Ⅰ ~ 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1 is a simplified plan view for explaining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EA1 of FIG. 1, and FIG. 2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감지영역(12) 및 주변영역(14)을 구비한 기판(1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2A, and 2B,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100 having a sensing region 12 and a peripheral region 14.

상기 기판(100)은 유리나 플라스틱과 같은 경성(rigid) 기판이나 가요성(flexibility)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The substrate 100 may be a rigid substrate such as glass or plastic or a flexible substrate.

상기 감지영역(12)은 손이나 물체의 접촉되는 위치를 감지하는 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영역(12)의 기판(100) 상에는 복수의 감지 전극들(20)이 형성된다. For example, the sensing region 12 may be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100, and the sensing region 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ing regions 12, The sensing electrodes 20 are formed.

상기 복수의 감지 전극들(20)은 제1 방향(예를 들어, X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 패턴들(22)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예를 들어, Y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제2 전극 패턴들(24)을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2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22 arrang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e.g., an X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22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24 arrang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Y direction, for example.

상기 제1 전극 패턴들(22)과 상기 제2 전극 패턴들(24)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도전성 물질로는 은나노와이어(AgNW),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ntimony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ZnO(Zinc Oxide), 및 SnO2(Tin Oxide),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 그래핀 (graphe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패턴들(22)과 상기 제2 전극 패턴들(24)은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물질들 중 2 이상의 물질이 적층된 다중막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22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24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Examples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include AgNW, Indium Tin Oxide (ITO), IZO (Indium Zinc Oxide), AZO (Antimony Zinc Oxide), ITZO (Indium Tin Zinc Oxide), ZnO (Zinc Oxide) Tin Oxide, Carbon Nano Tube, and graphene.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22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24 may be formed of a single film or a multilayer film. In this case, the at least two materials may include multiple films.

상기 제1 전극 패턴들(22)과 상기 제2 전극 패턴들(24) 중 어느 하나의 전극 패턴들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 독립된 패턴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브릿지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극 패턴들(24)이 연결 패턴(24a)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 전극 패턴들(22)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브릿지 역할을 하는 브릿지 패턴(22a)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electrode patterns of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22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24 are formed in separate patterns that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bridge. For example, when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2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pattern 24a,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22 ar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a bridge pattern 22a.

상기 브릿지 패턴(22a)은 상기 연결 패턴(24a)과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후술하는 절연 패턴(40)에 의해 상기 연결 패턴(24a)과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패턴(24a)은 상기 제1 전극 패턴들(22)과 상기 제2 전극 패턴들(24)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ridge pattern 22a is disposed to intersect with the connection pattern 24a and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connection pattern 24a by an insulation pattern 4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nection pattern 24a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22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24.

상기 절연 패턴(40)은 상기 감지영역(12)에서 상기 브릿지 패턴(22a) 하부에만 형성되도록 패터닝된다. 상기 브릿지 패턴(22a)은 상기 절연 패턴(40) 상에서 상기 연결 패턴(24a)과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제1 전극 패턴들(2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The insulation pattern 40 is patterned in the sensing region 12 so as to be formed only below the bridge pattern 22a. The bridge pattern 22a is disposed on the insulation pattern 40 so as to intersect with the connection pattern 24a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22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주변영역(14)은 상기 감지영역(12)의 외부 또는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주변영역(14)의 기판(100) 상에는 복수의 감지 전극들(20)과 연결되는 복수의 감지 배선(30)과, 상기 복수의 감지 배선(30)과 연결되는 패드부(P)가 형성될 수 있다. The peripheral region 14 is located outside or around the sensing region 12. A plurality of sensing wirings 3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20 are formed on the substrate 100 of the peripheral region 14, And a pad portion P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nsing wirings 30 may be formed.

상기 복수의 감지 배선(30)은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패턴들(22)과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32)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패턴들(24)과 연결되는 제2 감지 배선(34)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감지 배선(30)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이나 저항값이 낮은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투명한 도전성 물질 및 금속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 배선(30)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 및 금속의 적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sensing wires 30 may include a first sensing wire 32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 patterns 22 and a second sensing wire 32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patterns 24. [ (34). The plurality of sensing wirings 3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 metal having a low resistance value, or a laminated structur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nd a metal.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ensing wirings 30 are preferably formed of a laminate structur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nd a metal.

상기 제1 감지 배선(32)은 상기 기판(100) 상에 형성된 제1-1 감지 배선 패턴(32a)과, 상기 제1-1 감지 배선 패턴(32a) 상에 형성된 제1-2 감지 배선 패턴(32b)을 포함한다. The first sensing wiring 32 includes a first sensing wiring pattern 32a formed on the substrate 100 and a second sensing wiring pattern 32a formed on the first sensing wiring pattern 32a. (32b).

상기 제1-1 감지 배선 패턴(32a)은 상기 제1 전극 패턴들(22)과 동일한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2 감지 배선 패턴(32b)은 상기 제1-1 감지 배선 패턴(32a) 보다 저항값이 낮은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1-1 sensing wiring pattern 32a is formed of the sam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s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22 and the 1-2 sensing wiring pattern 32b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1-1 second sensing wiring pattern 32a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lower resistance value.

예컨대, 상기 제1-1 감지 배선 패턴(32a)이 ITO(Indium Tin Oxide)로 구성되고 상기 제1-2 감지 배선 패턴(32b)이 고굴곡 특성을 갖는 알루미늄(Al)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ITO와 상기 알루미늄(Al)간의 계면 반응에 의한 접착력 약화로 인해 상기 제1-1 감지 배선 패턴(32a)과 상기 제1-2 감지 배선 패턴(32b)이 박리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second sense wiring pattern 32a is made of ITO (Indium Tin Oxide) and the first-second sense wiring pattern 32b is made of aluminum (Al) having high bending property, The first-first detecting wiring pattern 32a and the first-second detecting wiring pattern 32b may be peeled off due to the weakening of adhesion due to the interface reaction between ITO and aluminum (Al).

따라서, 상기 박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1 감지 배선 패턴(32a)과 상기 제1-2 감지 배선 패턴(32b) 사이에는 점착제를 포함한 버퍼층(33)이 배치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peeling phenomenon, a buffer layer 33 including an adhesiv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1-1 wiring pattern 32a and the 1-2 wiring pattern 32b.

여기서, 상기 제1-2 감지 배선 패턴(32b)의 폭은 상기 제1-1 감지 배선 패턴(32a)의 폭 보다 좁거나 같을 수 있다. Here, the width of the 1-2 witness wiring pattern 32b may be narrow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1-1 witness wiring pattern 32a.

상기 제2 감지 배선(34)도 상기 제1 감지 배선(32)과 마찬가지로 상기 기판(10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1 감지 배선 패턴(미도시) 및 제2-2 감지 배선 패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Similarly to the first sensing wiring 32, the second sensing wiring 34 may also include a second sensing wiring pattern (not shown) and a second sensing wiring pattern (not shown)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ubstrate 100 Not show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고굴곡 특성을 갖는 알루미늄(Al)으로 복수의 감지 배선(30)을 형성하므로, 휘거나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Since the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nsing wires 30 made of aluminum (Al) having a high bending property, the touch screen panel can be applied to flexible or foldable flexible display devices.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 3a 내지 도 3n은 도 2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FIGS. 3A to 3N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ouch screen panel shown in FIG. 2. FIGS. 4A to 4D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ouch screen panel shown in FIG.

도 3a를 참고하면, 감지영역(12) 및 주변영역(14)을 포함한 기판(100)의 일면에 제1 도전층(110)과, 제2 도전층(300), 및 제1 감광막(40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3A, a first conductive layer 110, a second conductive layer 300, and a first photoresist layer 400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a substrate 100 including a sensing region 12 and a peripheral region 14, Are sequentially formed.

상기 기판(100)은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진 절연성 기판일 수 있으며,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유기물을 포함하는 절연성 기판 재료로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riacetate cellulos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등이 있다. The substrate 100 may be an insulating substrate made of a polymer organic material, and may have flexibility. Examples of the insulating substrate material containing the polymer organic material include polystyrene, polyvinyl alcohol, polymethyl methacrylate, polyethersulfone, polyacrylate, Polyetherimid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phenylene sulfide, polyarylate, polyimide, polycarbonate, tri (meth) acrylate, Triacetate cellulos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and the like.

그러나, 상기 기판(100)을 이루는 재료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은 유리나 플라스틱과 같은 경성(rigid) 기판일 수 있다. However,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100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ubstrate 100 may be a rigid substrate such as glass or plastic.

상기 제1 도전층(110)은 상기 기판(100) 상에 제공되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110)은 금속이나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금속으로는 금(Au),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 백금(Pt)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110)은 단일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금속들 및 상기 합금들 중 2 이상 물질이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0 is provided on the substrate 100, and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0 may be formed of a metal or an alloy thereof. The met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u, Ag, Al, Mo, Cr, Ti, Ni, Ne, (Pt), and the like.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0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0 may be formed of multiple layers of two or more materials of the metals and the alloy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110)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투명 도전성 물질로는 은나노와이어(AgNW),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ntimony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ZnO(Zinc Oxide), 및 SnO2(Tin Oxide), 카본나노튜브 (Carbon Nano Tube), 그래핀 (graphe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110)은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물질들 중 2 이상의 물질이 적층된 다중막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Examples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include AgNW, Indium Tin Oxide (ITO), IZO (Indium Zinc Oxide), AZO (Antimony Zinc Oxide), ITZO (Indium Tin Zinc Oxide), ZnO (Zinc Oxide) Tin Oxide, Carbon Nano Tube, and graphene.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0 may be formed of a single film or a multi-layer film, and in this case, two or more of the materials may include a multi-layer film.

상기 제2 도전층(300)은 상기 제1 도전층(110) 보다 저항값이 낮은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알루미늄(Al)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sistance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0.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00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molybdenum (Mo), silver (Ag), titanium (Ti) Copper (Cu), or the like.

상기 제1 도전층(110)과 상기 제2 도전층(300) 사이에는 상기 제1 도전층(110)과 상기 제2 도전층(300)의 점착(adhesion)을 위한 점착층(200)이 형성될 수 있다. An adhesive layer 200 for adhesion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0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00 .

상기 제1 감광막(400)은 액상의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하거나, 드라이 필름 포토레지스트(DFR)를 사용할 수 있으며, 노광된 부분이 현상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네가티브 형(negative type)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photoresist layer 400 may be formed by coating a liquid photoresist material or may be a dry film photoresist (DFR). The first photoresist layer 400 may be a negative type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3b를 참고하면, 광 차단부(A), 광 투과부(B) 및 광 반투과부(C)를 포함한 제1 마스크(500a)를 상기 제1 감광막(400) 상부에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마스크(500a)는 하프 톤 마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B, a first mask 500a including a light blocking portion A,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B, and a light transflecting portion C is disposed on the first photoresist layer 400. Here, the first mask 500a may include a halftone mask.

도 3c 및 도 4a를 참고하면, 노광 등의 일련의 단위 공정을 진행하여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제1 감광막 패턴(400a)과 제2 감광막 패턴(400b)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S. 3C and 4A, a first photoresist pattern 400a and a second photoresist pattern 400b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re formed through a series of unit processes such as exposure.

상기 제1 감광막 패턴(400a)은 상기 제1 마스크(500a)의 광 반투과부(C)에 대응되어 형성되고 제1 두께(d1)를 갖는다. 상기 제2 감광막 패턴(400b)은 상기 제1 마스크(500a)의 광 차단부(A)에 대응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두께(d1) 보다 두꺼운 제2 두께(d2)를 갖는다.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400a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ight transflective portion C of the first mask 500a and has a first thickness d1.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400b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ight shielding portion A of the first mask 500a and has a second thickness d2 that is thicker than the first thickness d1.

또한, 상기 기판(100) 상에서 상기 제1 마스크(500a)의 광 투과부(B)에 대응되는 감광막(도 3b의 400)이 제거되어 그 하부에 위치한 제2 도전층(300)이 외부로 노출된다. 3B) corresponding to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B of the first mask 500a is removed on the substrate 10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00 located below the photosensitive film 400 is exposed to the outside .

도 3d를 참고하면, 상기 제1 감광막 패턴(400a)과 상기 제2 감광막 패턴(400b)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건식 에칭 공정을 진행한다. Referring to FIG. 3D, the dry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400a and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400b as an etch mask.

상기 건식 에칭 공정에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제2 도전층(300)과, 그 하부에 위치한 점착층(200)은 제거되고, 상기 제1 감광막 패턴(400a)과 제2 감광막 패턴(400b) 하부에는 각각 제2 도전 패턴(300')과 점착 패턴(200')이 형성된다. In the dry etching process,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00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adhesive layer 200 located below the second conductive layer 300 are removed, and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400a and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400b A second conductive pattern 300 'and an adhesive pattern 200' are formed.

도 3e 및 도 4b를 참고하면, 산소 플라즈마 등을 이용한 애슁(ashing) 공정을 진행하여, 제1 전극 패턴(도 2b의 22)이 형성될 영역에 잔류하는 상기 제1 감광막 패턴(400a)을 제거하여 상기 제2 도전 패턴(300')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3E and 4B, an ashing process using an oxygen plasma or the like is performed to remove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400a remaining in a region where the first electrode pattern 22 is to be formed Thereby exposing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300 'to the outside.

이와 동시에, 복수의 감지 배선(도 1의 30)이 형성될 영역에서 상기 제2 감광막 패턴(400b)의 두께(d2) 보다 얇아진 제3 감광막 패턴(400c)이 형성된다. At the same time, a third photoresist pattern 400c having a thickness d2 smaller than the thickness d2 of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400b is formed in a region where a plurality of sense wirings (30 of FIG. 1) are to be formed.

도 3f를 참고하면, 상기 외부로 노출된 제2 도전 패턴(300')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습식 에칭 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습식 에칭 공정에서, 상기 제2 도전 패턴(300')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한 상기 제1 도전층(도 3e의 110)은 제거되고, 상기 제2 도전 패턴(300') 하부에는 제1 도전 패턴(110')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3F, the wet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300 'exposed to the outside as an etching mask. In the wet etching process,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0 (FIG. 3E) located in a region where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300 'is not formed is removed,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300' A conductive pattern 110 'is formed.

도 3g를 참고하면, 상기 제3 감광막 패턴(도 3f의 400c)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건식 에칭 공정을 진행한다. Referring to FIG. 3G, the dry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third photoresist pattern (400c in FIG. 3F) as an etching mask.

상기 건식 에칭 공정에서, 상기 제3 감광막 패턴(400c)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한 상기 제2 도전 패턴(도 3f의 300')이 제거되고, 그 하부에 위치한 점착 패턴(도 3f의 200')도 제거된다. In the dry etching process,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300 'in FIG. 3F) located in a region where the third photosensitive film pattern 400c is not formed is removed, and the adhesion pattern 200' Lt; / RTI >

결국, 상기 감지영역(12)에는 제1 전극 패턴(22)과, 제2 전극 패턴(도 1의 24), 및 상기 제2 전극 패턴(24)을 연결하는 연결 패턴(24a)이 최종적으로 형성된다. As a result, the connection pattern 24a connecting the first electrode pattern 22,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24, and the second electrode pattern 24 is finally formed in the sensing region 12 do.

이어, 상기 제3 감광막 패턴(400c)을 제거하여 그 하부에 위치한 제2 도전 패턴(도 3f의 300')을 외부로 노출하여 상기 주변영역(14)에서 제1 감지배선(32)이 최종적으로 형성된다. Next, the third photoresist pattern 400c is removed to expose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300 '(FIG. 3F) located below the third photoresist pattern 400c to the outside so that the first sensing wiring 32 in the peripheral region 14 is finally .

여기서, 상기 제1 감지배선(32)은 상기 기판(100) 상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1 감지 배선 패턴(32a) 및 제1-2 감지 배선 패턴(32b)을 포함한다. 상기 제1-1 감지 배선 패턴(32a)과 제1-2 감지 배선 패턴(32b) 사이에는 버퍼층(33)이 위치한다. The first sensing wiring 32 includes a first sensing wiring pattern 32a and a first sensing wiring pattern 32b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ubstrate 100. A buffer layer 33 is located between the first-second sense wiring pattern 32a and the first-second sense wiring pattern 32b.

도 3h를 참고하면, 상기 제1 감지 배선(32)과, 상기 제1 전극 패턴(22), 및 상기 연결 패턴(24a)이 형성된 기판(100) 상에 절연물질층(40') 및 제2 감광막(60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3H, an insulating material layer 40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40' are formed on the substrate 100 on which the first sensing wiring 32, the first electrode pattern 22, and the connecting pattern 24a are formed, A photosensitive film 600 is sequentially formed.

상기 절연물질층(40')은 질화 규소(SiNx), 산화 규소(SiOx), 질산화 규소(SiOxNy)로부터 선택된 1종의 막으로 구성되는 단층막, 또는 질화 규소(SiNx), 산화 규소(SiOx), 질산화 규소(SiOxNy)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막으로 구성된 적층막으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sulating material layer 40 'may be a single layer film composed of one film selected from silicon nitride (SiNx), silicon oxide (SiOx), silicon oxynitride (SiOxNy), silicon nitride (SiNx) , Silicon oxynitride (SiOxNy), and the like.

상기 제2 감광막(600)은 액상의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하거나, 드라이 필름 포토레지스트(DFR)를 사용할 수 있으며, 노광된 부분이 현상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네가티브 형(negative type)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photoresist layer 600 may be formed by coating a liquid photoresist material or may be a dry film photoresist (DFR). The exposed portion may be a negative type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어, 광 차단부(A) 및 광 투과부(B)를 포함한 제2 마스크(500b)를 상기 제2 감광막(600) 상부에 배치한다. Next, a second mask 500b including a light shielding portion A and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B is disposed on the second photoresist layer 600.

도 3i 및 도 4c를 참고하면, 노광 등의 일련의 단위 공정을 진행하여 감광막 패턴(600')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S. 3I and 4C, a series of unit processes such as exposure are performed to form a photoresist pattern 600 '.

상기 감광막 패턴(600')은 상기 제2 마스크(500b)의 광 차단부(A)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판(100) 상에서 상기 제2 마스크(500b)의 광 투과부(B)에 대응되는 제2 감광막(도 3h의 600)은 제거되어 그 하부에 위치한 절연물질층(40')이 외부로 노출된다.The photoresist pattern 600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ight shielding portion A of the second mask 500b. 3H) corresponding to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B of the second mask 500b is removed on the substrate 100 so that the insulating material layer 40 'located below the second photosensitive film is exposed to the outside Exposed.

도 3j를 참고하면, 상기 감광막 패턴(도 3i의 600')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에칭 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에칭 공정을 통해, 상기 주변영역(14)과 상기 감지영역(12)의 일부에는 각각 절연 패턴(40)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J, the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photoresist pattern (600 'in FIG. 3I) as an etching mask. Through the etching process, an insulating pattern 40 is formed in the peripheral region 14 and a part of the sensing region 12, respectively.

상기 절연 패턴(40)은 상기 주변영역(14)에서 상기 제1 감지 배선(32)과 대응되고, 상기 감지영역(12)에서 후술할 브릿지 패턴(도 2b의 22a)이 형성될 영역에 대응된다. The insulation pattern 40 corresponds to the first sensing wiring 32 in the peripheral region 14 and corresponds to a region in the sensing region 12 where a bridge pattern (22a in FIG. 2B) .

이어, 상기 감광막 패턴(도 3i의 600')이 제거된다.Next, the photoresist pattern (600 'in FIG. 3I) is removed.

도 3k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 패턴(40)이 형성된 기판(100) 상에 제 3 도전층(220) 및 제3 감광막(70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3K, a third conductive layer 220 and a third photosensitive film 700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substrate 100 on which the insulation pattern 40 is formed.

상기 제3 도전층(220)은 상기 절연 패턴(40) 상에 형성되며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투명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ITO(Indium Tin Oxide)의 경우 경도가 매우 높아 터치 스크린 패널에 표시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후속 공정 등에서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므로 양호한 품질의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현될 수 있다. The third conductive layer 220 is formed on the insulation pattern 40 and may include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Since ITO (Indium Tin Oxide) has a very high hardness, scratches are minimized in a subsequent process for forming a display device on a touch screen panel, so that a touch screen panel of good quality can be realized.

상기 제3 감광막(700)은 액상의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하거나, 드라이 필름 포토레지스트(DFR)를 사용할 수 있으며, 노광된 부분이 현상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네가티브 형(negative type)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hird photoresist layer 700 may be formed by coating a liquid photoresist material or may be a dry film photoresist (DFR). The third photoresist layer 700 may be a negative type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어, 광 차단부(A) 및 광 투과부(B)를 포함한 제3 마스크(500c)를 상기 제3 감광막(700) 상부에 배치한다.Next, a third mask 500c including the light shielding portion A an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B is disposed on the third photosensitive film 700. Next,

도 3l을 참고하면, 노광 등의 일련의 단위 공정을 진행하여 감광막 패턴(700')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31, a photoresist pattern 700 'is formed by performing a series of unit processes such as exposure.

상기 감광막 패턴(700')은 상기 제3 마스크(500c)의 광 차단부(A)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판(100) 상에서 상기 제3 마스크(500c)의 광 투과부(B)에 대응되는 제3 감광막(도 3k의 700)이 제거되어 그 하부에 위치한 제3 도전층(220)이 외부로 노출된다. The photoresist pattern 700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ight shielding portion A of the third mask 500c. The third photoresist layer 700 corresponding to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B of the third mask 500c is removed on the substrate 100 and the third conductive layer 220 located below the third photoresist layer Exposed.

도 3m를 참고하면, 상기 감광막 패턴(700')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에칭 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에칭 공정을 통해, 상기 외부로 노출된 제3 도전층(도 3l의 220)이 제거되어 상기 감광막 패턴(700') 하부에 제3 도전 패턴(220')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3M, the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photoresist pattern 700 'as an etching mask. Through the etching process, the third conductive layer (220 in FIG. 31) exposed to the outside is removed, and a third conductive pattern 220 'is formed under the photoresist pattern 700'.

도 3n 및 도 4d를 참고하면, 상기 감광막 패턴(도 3m의 700')을 제거하고, 상기 기판(100)의 감지영역(12)에 브릿지 패턴(22a)이 최종적으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S. 3N and 4D, the photoresist pattern (700 'in FIG. 3M) is removed and a bridge pattern 22a is finally formed in the sensing region 12 of the substrate 100.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하프 톤 마스크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이중 구조의 감지 배선과 단층 구조의 감지 패턴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며, 이를 통해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uble-structure sensing wiring and a single-layer sensing pattern can be simultaneously formed on a substrate using a halftone mask. 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ouch screen panel is simplified,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2: 감지 영역 14: 주변 영역
20: 감지전극 22: 제1 전극 패턴
22a: 브릿지 패턴 24: 제2 전극 패턴
24a: 연결 패턴 30: 감지 배선
32: 제1 감지 배선 33: 버퍼층
34: 제2 감지 배선 40: 절연 패턴
100: 기판 110: 제1 도전층
200: 접착층 220: 제3 도전층
300: 제2 도전층 400/600/700: 제1 내지 제3 감광막
500a/500b/500c: 제1 내지 제3 마스크
12: detection area 14: peripheral area
20: sensing electrode 22: first electrode pattern
22a: Bridge pattern 24: Second electrode pattern
24a: Connection pattern 30: Detection wiring
32: first sensing wiring 33: buffer layer
34: second sensing wiring 40: insulation pattern
100: substrate 110: first conductive layer
200: adhesive layer 220: third conductive layer
300: second conductive layer 400/600/700: first to third photosensitive films
500a / 500b / 500c: first to third masks

Claims (13)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 및 제1 감광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감광막 상부에 마스크를 배치하여 감지 전극에 대응하는 제1 감광막 패턴과 감지 배선에 대응하는 제2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층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감광막 패턴과 상기 제2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고, 상기 노출된 제2 도전층을 제거하여 제2 도전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1 도전층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감광막 패턴을 제거하여 상기 제2 도전 패턴을 노출시키고, 상기 제2 감광막 패턴을 두께가 얇은 제3 감광막 패턴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제2 도전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고, 상기 노출된 제1 도전층을 제거하여 제1 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3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고, 상기 제1 도전 패턴 상에 위치한 상기 제2 도전 패턴을 제거하여 상기 감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3 감광막 패턴을 제거하여 상기 감지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감지 전극과 상기 감지 배선 상에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 패턴 상에 상기 감지전극들을 연결하는 브릿지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Forming a first conductive layer, a second conductive layer, and a first photosensitive film sequentially on a substrate;
Forming a first photoresist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electrode and a second photoresist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wiring by disposing a mask on the first photoresist layer and exposing a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layer to the outside;
Exposing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to the outside by us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and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s an etching mask and removing the exposed second conductive layer to form a second conductive pattern;
Remov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to expose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nd forming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s a third photoresist pattern having a small thickness;
Using the exposed second conductive pattern as an etch mask and removing the exposed first conductive layer to form a first conductive pattern;
Forming the sensing electrode by using the third photoresist pattern as an etching mask and removing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located 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Removing the third photoresist pattern to form the sensing wiring;
Forming an insulating pattern on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sensing wiring; And
And forming a bridge pattern connecting the sensing electrodes on the insulation patter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하프 톤 마스크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sk comprises a halftone mas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 사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forming an adhesive layer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광막 패턴과 상기 제2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고, 상기 노출된 제2 도전층을 제거하여 제2 도전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1 도전층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단계는,
건식 에칭 공정을 통해 상기 노출된 제2 도전층과 상기 제2 도전층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점착층을 일괄 식각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3,
Forming a second conductive pattern by using the first photoresist pattern and the second photoresist pattern as an etching mask and removing the exposed second conductive layer and exposing a part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to the outside, ,
Wherein the exposed second conductiv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located below the second conductive layer are etched in a batch by a dry etching proces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된 제2 도전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고, 상기 노출된 제1 도전층을 제거하여 제1 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습식 에칭 공정을 통해 상기 노출된 제1 도전층을 제거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orming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by using the exposed second conductive pattern as an etching mask and removing the exposed first conductive layer,
And removing the exposed first conductive layer through a wet etching proces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고, 상기 제1 도전 패턴 상에 위치한 상기 제2 도전 패턴을 제거하여 상기 감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건식 에칭 공정을 통해 상기 제1 도전 패턴 상에 형성된 제2 도전 패턴을 제거하되, 상기 습식 에칭 공정 시 남아있는 상기 제1 도전층의 잔막을 제거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Forming the sensing electrode by using the third photoresist pattern as an etching mask and removing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located 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Removing a second conductive pattern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through a dry etching process and removing a remaining film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remaining in the wet etching proces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layer comprises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도전성 물질은 은나노와이어(AgNW),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ntimony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ZnO(Zinc Oxide), 및 SnO2(Tin Oxide), 카본나노튜브 (Carbon Nano Tube), 그래핀 (graph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nano wire (AgNW),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antimony zinc oxide (AZO), indium tin zinc oxide (ITZO), zinc oxide A carbon nanotube, a carbon nanotube, and a graphe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제1 도전층보다 저항값이 낮은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comprises a material having a resistance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값이 낮은 물질은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알루미늄(Al)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ow resistance material include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lybdenum (Mo), silver (Ag), titanium (Ti), aluminum (Al), and copper (Cu).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패턴은,
제1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전극 패턴들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된 제2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전극 패턴들과 절연된 제2 전극 패턴들, 및
상기 제2 전극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패턴들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pattern may include:
First electrode pattern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Second electrode patterns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and insulated from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And connecting patterns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electrode patterns.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패턴은, 상기 절연 패턴 상에서 상기 제1 전극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ridge pattern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electrode patterns on the insulation patter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배선은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제1 도전 패턴과 상기 제2 도전 패턴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이중 레이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wiring includes a double layer in which the first conductive pattern and the second conductive pattern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ubstrate.
KR1020150153640A 2015-11-03 2015-11-03 Method for fabricating a touch screen panel KR1024762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640A KR102476214B1 (en) 2015-11-03 2015-11-03 Method for fabricating a touch screen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640A KR102476214B1 (en) 2015-11-03 2015-11-03 Method for fabricating a touch screen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721A true KR20170052721A (en) 2017-05-15
KR102476214B1 KR102476214B1 (en) 2022-12-13

Family

ID=5873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640A KR102476214B1 (en) 2015-11-03 2015-11-03 Method for fabricating a touch screen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21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238A (en) * 2013-10-18 2015-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JP2015153400A (en) * 2014-02-19 2015-08-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238A (en) * 2013-10-18 2015-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JP2015153400A (en) * 2014-02-19 2015-08-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214B1 (en) 202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7390B1 (en) Capacitive touch pane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11863B1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panel
KR10205216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panel
KR20140092683A (en)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942454B2 (en) Touch panel sensor,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ouch panel sensor
US20140152588A1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TWI446417B (en) Touch panel fabricating method
TWI459269B (en)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panel
KR20140112894A (en) Touch Screen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20180321763A1 (en) Touch substrat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140143645A (en) Touch sensor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42844B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US9058083B2 (en) Touch sens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160060882A (en)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426895B2 (en) Method of fabricating touch screen panel
JP2013149196A (en) Touch panel sensor,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ouch panel sensor
US20140218638A1 (en)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112892A (en) Touch Screen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TW201636792A (en) Touch panels and fabrication methods thereof
KR102476214B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touch screen panel
KR20140070107A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1496254B1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160066637A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137858A (en) Touch Screen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81749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