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225A -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225A
KR20170052225A KR1020150154426A KR20150154426A KR20170052225A KR 20170052225 A KR20170052225 A KR 20170052225A KR 1020150154426 A KR1020150154426 A KR 1020150154426A KR 20150154426 A KR20150154426 A KR 20150154426A KR 20170052225 A KR20170052225 A KR 20170052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adhesive
drying
applicat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호
Original Assignee
(주)이노알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알앤씨 filed Critical (주)이노알앤씨
Priority to KR1020150154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2225A/ko
Publication of KR20170052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64Overhead conveying means, i.e. the object or other work being suspended from the conveying means; Details thereof, e.g. hanging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39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ntrol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3/0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2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1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dipping

Landscapes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투입된 상기 제품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부와, 상기 제품에 도포된 접착제를 건조하는 건조부와, 접착제가 건조된 상기 제품이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제품이 상기 각 부를 자동으로 경유하도록 상기 제품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도포장치는 자동화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형상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도포와 건조가 가능하므로 품질 향상 및 불량률이 저하되고, 도포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제거가 가능하므로 작업 환경이 쾌적해지며, 제품의 이동 경로를 상하로 배열하여 중복되는 공간 활용이 가능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포장치{CO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제 도포가 자동으로 진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다수의 제품이 사용되고 있는데, 현가장치 및 조향장치 등에 주로 사용이 되고 있다. 이러한 부품은 외부에 직접 노출되기 때문에 가혹한 자동차 운전조건과 장시간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내식성과 내마모성을 확보해야 한다.
이러한 제품은 적용 위치에 따라 큰 하중을 받기 때문에 내부의 금속 파이프 부분과 고무의 접착 불량이 발생할 경우 파손 및 이탈로 인하여 성능 및 안전상의 중대한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제품의 내부 파이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은 제품의 품질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공정이다.
종래의 접착제 도포 공정은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접착제를 도포하고 있어 비정량의 접착제 도포와 도막 두께의 불균일, 방진구의 형상문제로 인하여 원통형 금속 파이프 내부에 접착제 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등 불량이 다수 발생하고 있어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작업자가 제품을 투입하고 접착제를 도포하는 반복 작업을 진행함으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고, 도포되는 접착제로 인해 피부질환과 호흡기 장애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 1과 같은 반자동 방식의 도포장치가 사용된다. 파이프(1) 내부에 노즐(2)을 삽입해서 접착제를 도포하고 있으며, 노즐(2)에 연결된 호스(3)와 분사 펌프(4)를 통해 접착제를 공급한다. 파이프(2)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해 콤프레서(5)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반자동 방식의 도포장치의 경우에도 주요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불량률이 높고, 생산성은 낮으며, 유해물질로 인한 열악한 작업환경은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문헌 1) 한국 실용공개 20-1988-0004276호 (1988년 05월 07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자동화 가능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품의 형상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도포가 가능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포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제거가 가능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품의 도포 상태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건조가 가능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품의 이동 경로를 상하로 배열하여 중복되는 공간 활용이 가능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장치는 제품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투입된 상기 제품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부와, 상기 제품에 도포된 접착제를 건조하는 건조부와, 접착제가 건조된 상기 제품이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제품이 상기 각 부를 자동으로 경유하도록 상기 제품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포부는 상기 제품을 접착제에 담그는 방식(딥 타입)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 도포영역과, 상기 제품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방식(스프레이 타입)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 도포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포영역에는 상기 제품에 도포된 후 흘러내리는 접착체를 수용하는 액받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포영역에는 접착제를 분사하는 분사 스프레이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공압실린더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포영역에는 상기 제품의 상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도포영역에는 접착제 분사 시 상기 제품이 회전하도록 랙과 피니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포영역을 둘러싸는 집진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진부는 상기 제2 도포영역에서 접착제 분사 시 발생하는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외부 집진기로 배출하는 건식 집진부재와, 상기 제2 도포영역에서 접착제 도포가 완료되어 이동하는 상기 제품 외부에 부착된 분진을 물을 분사하여 제거하는 습식 집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품은 상기 제1 도포영역과 상기 제2 도포영역에서 순차적으로 도포되거나,상기 제1 도포영역 또는 상기 제2 도포영역 중 어느 하나의 도포영역만 도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부는 상기 제품이 경유하는 영역이 형성된 하우징과, 고온의 열원을 제공하는 스팀보일러와, 공기가 상기 스팀보일러와 열 교환하도록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팬과, 상기 스팀보일러 내부에서 생성된 고온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덕트와, 상기 제품을 건조시킨 공기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품을 건조시킨 후 공기에 남아있는 잔열을 다시 이용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덕트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스팀보일러 내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 도포영역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제품을 건조하는 제1 건조영역과, 상기 제2 도포영역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제품을 건조하는 제2 건조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품이 상기 제1 도포영역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제품을 예열하는 예열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예열 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건조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도포영역을 경유한 상기 제품의 상하 높이를 상승시킨 후 상기 제1 건조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도포장치는 자동화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의 형상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도포와 건조가 가능하므로 품질 향상 및 불량률이 저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포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제거가 가능하므로 작업 환경이 쾌적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의 이동 경로를 상하로 배열하여 중복되는 공간 활용이 가능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도포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포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도포영역(딥 타입)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도포영역(스프레이 타입)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도포영역(스프레이 타입)의 랙과 피니언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집진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부의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도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도포영역(딥 타입)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도포영역(스프레이 타입)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도포영역(스프레이 타입)의 랙과 피니언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집진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부의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도포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10)이 투입되는 투입부(100)와, 투입된 상기 제품(10)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부(200)와, 상기 제품(10)에 도포된 접착제를 건조하는 건조부(300)와, 접착제가 건조된 상기 제품(10)이 배출되는 배출부(400)와, 상기 제품(10)이 상기 각 부를 자동으로 경유하도록 상기 제품을 이동시키는 이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부(100)를 통해 상기 제품(10)이 투입되면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제품(10)이 상기 도포부(200), 건조부(300) 및 배출부(4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자동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도포장치를 자동화하면 종래 수작업 또는 반자동으로 작업하는 경우 대비하여 각각의 공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투입되는 제품(10)의 형상은 다양하기 마련인데, 이러한 다양한 형상의 제품(10)에 효과적으로 도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도포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품(10)을 접착제에 담그는 방식(딥 타입)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 도포영역(210)과, 상기 제품(10)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방식(스프레이 타입)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 도포영역(220)으로 도포한다.
즉, 상기 제1 도포영역(210)에서는 상기 제품(10)을 접착제가 저장된 저장용기에 담그는 방식(딥 타입)으로 도포하므로 상기 제품(10)의 내부와 외부에 접착제가 고르게 도포된다.
상기 제2 도포영역(220)에서는 상기 제품(10)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방식(스프레이 타입)으로 접착제를 도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도포영역에서 도포한 후 후술할 건조부를 거치게 되기 때문에 접착제의 흘러내림이나 미도포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품(1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제1 도포영역(2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10)에 도포된 후 흘러내리는 접착체를 수용하는 액받침(211)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액받침(211)이 구비되면 상기 제1 도포영역(210)을 경유한 상기 제품(10)에서 흘러내리는 접착제가 수용되며, 이를 통해 청결한 작업환경 조성과 고가의 접착제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도포영역(220)에는 접착제를 분사하는 분사 스프레이(2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공압실린더(2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품(10)의 형상이 다양한 경우에도 접착제 도포 정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분사 스프레이(20)의 상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2 도포영역(220)에는 상기 제품(10)의 상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사 스프레이(20)는 상하 높이 뿐만 아니라 분사각이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접착제 도포 두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접착제 비산으로 인한 손실이나 유해한 환경이 조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도포영역(220)에는 접착제 분사 시 상기 제품(10)이 회전하도록 랙(223)과 피니언(2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224)이 상기 랙(223)을 경유하면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품(1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접착제를 도포하면 균일한 도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제품(10)의 형상 및 조건에 따라 상기 제1 도포영역(210)과 상기 제2 도포영역(22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모두 도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도포영역(210)이나 상기 제2 도포영역(220) 중 어느 하나의 도포영역만 도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도포영역(220)을 둘러싸는 집진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부(600)는 상기 제2 도포영역(220)에서 접착제 분사 시 발생하는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외부 집진기로 배출하는 건식 집진부재(610)와, 상기 제2 도포영역(220)에서 접착제 도포가 완료되어 이동하는 상기 제품(10) 외부에 부착된 분진을 물을 분사하여 제거하는 습식 집진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식 집진부재(610)는 상기 제2 도포영역(220) 내부의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외부 집진기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공기 흐름이 연속해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공기 흐름이 안정화되고, 결국 상기 제2 도포영역(220) 내부에서 난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접착제 부착률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품(10)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고가의 접착제가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습식 집진부재(620)는 상기 제2 도포영역(220)에서 도포가 완료된 후 이동하는 상기 제품(10) 외부에 직접 물을 분사(습식용 커튼)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제품(10) 외부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습식 집진부재(6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물 저장장치와 펌프가 구비된다. 펌프는 물 저장장치에 저장된 물이 상기 습식 집진부재(620)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제품(10) 외부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고, 다시 별도의 물 저장장치로 배출되도록 물을 순환시킨다. 물 저장장치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물에 포함된 분진이 침전되는데, 침전된 분진은 별도로 제거되고 물은 재사용되어 상기 습식 집진부재(62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건식 집진부재(610)와 상기 습식 집진부재(620)를 동시에 적용하면 집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부(300)는 상기 제품(10)이 경유하는 영역이 형성된 하우징(310)과, 고온의 열원을 제공하는 스팀보일러(320)와, 공기가 상기 스팀보일러(320)와 열 교환하도록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팬(330)과, 상기 스팀보일러(320) 내부에서 생성된 고온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310)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덕트(340)와, 상기 제품(10)을 건조시킨 공기를 상기 하우징(310)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덕트(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포부(200)에서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건조부(300)에서는 열풍으로 상기 제품(10)을 건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품(10)을 건조시킨 후 공기에 남아있는 잔열을 다시 이용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덕트(350)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스팀보일러(320) 내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기가 연속적으로 순환하도록 구성하면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스팀보일러(320)에는 자동 온도제어기가 구비되어 가동 중 온도편차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여 건조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310)에는 상기 제1 도포영역(210)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제품(10)을 건조하는 제1 건조영역(311)과, 상기 제2 도포영역(220)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제품(10)을 건조하는 제2 건조영역(3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접착제 도포 이후 건조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접착제 흘러내림이나 미도포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10)에는 상기 제품(10)이 상기 제1 도포영역(210)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제품(10)을 예열하는 예열 영역(3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포부(200)에서 도포되기 전에 상기 제품(10)을 예열하게 되면 도포도가 향상하게 되어 상기 제품(10)의 품질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품(10)은 예열 시, 제1 도포 이후, 제2 도포 이후 상기 건조부(300)의 하우징(310)을 경유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경로를 동일 평면상에 배치하게 되면 상기 하우징(310)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열 영역(313)은 상기 하우징(310)의 하부에 배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도포영역(311, 312)은 상기 하우징(310)의 상부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영역을 상하로 배치하면 중복되는 공간 활용이 가능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제1 도포영역(210)을 경유한 상기 제품(10)의 상하 높이를 상승(H1 → H2)시킨 후 상기 제1 건조영역(311)으로 이동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제품 20 : 분사 스프레이
100 : 투입부 200 : 도포부
210 : 제1 도포영역 211 : 액받침
220 : 제2 도포영역 221 : 공압실린더
223 : 랙 224 : 피니언
300 : 건조부 310 : 하우징
311 : 제1 건조영역 312 : 제2 건조영역
313 : 예열 영역
320 : 스팀보일러 330 : 팬
340 : 공급덕트 350 : 배출덕트
400 : 배출부 500 : 이동부
600 : 집진부 610 : 건식 집진부재
620 : 습식 집진부재

Claims (14)

  1. 제품(10)이 투입되는 투입부(100);
    투입된 상기 제품(10)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부(200);
    상기 제품(10)에 도포된 접착제를 건조하는 건조부(300);
    접착제가 건조된 상기 제품(10)이 배출되는 배출부(400);
    상기 제품(10)이 상기 각 부를 자동으로 경유하도록 상기 제품을 이동시키는 이동부(500);
    를 포함하는 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200)는
    상기 제품(10)을 접착제에 담그는 방식(딥 타입)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 도포영역(210)과,
    상기 제품(10)에 접착제를 분사하는 방식(스프레이 타입)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 도포영역(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포영역(210)에는 상기 제품(10)에 도포된 후 흘러내리는 접착체를 수용하는 액받침(21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포영역(220)에는 접착제를 분사하는 분사 스프레이(2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공압실린더(2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포영역(220)에는 상기 제품(10)의 상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포영역(220)에는 접착제 분사 시 상기 제품(10)이 회전하도록 랙(223)과 피니언(22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포영역(220)을 둘러싸는 집진부(6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600)는
    상기 제2 도포영역(220)에서 접착제 분사 시 발생하는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외부 집진기로 배출하는 건식 집진부재(610)와,
    상기 제2 도포영역(220)에서 접착제 도포가 완료되어 이동하는 상기 제품(10) 외부에 부착된 분진을 물을 분사하여 제거하는 습식 집진부재(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10)은
    상기 제1 도포영역(210)과 상기 제2 도포영역(22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도포되거나,
    상기 제1 도포영역(210) 또는 상기 제2 도포영역(220) 중 어느 하나의 도포영역만 도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300)는
    상기 제품(10)이 경유하는 영역이 형성된 하우징(310)과, 고온의 열원을 제공하는 스팀보일러(320)와, 공기가 상기 스팀보일러(320)와 열 교환하도록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팬(330)과, 상기 스팀보일러(320) 내부에서 생성된 고온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310)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덕트(340)와, 상기 제품(10)을 건조시킨 공기를 상기 하우징(310)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덕트(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10)을 건조시킨 후 공기에 남아있는 잔열을 다시 이용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덕트(350)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스팀보일러(320)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0)에는
    상기 제1 도포영역(210)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제품(10)을 건조하는 제1 건조영역(311)과,
    상기 제2 도포영역(220)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제품(10)을 건조하는 제2 건조영역(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0)에는 상기 제품(10)이 상기 제1 도포영역(210)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제품(10)을 예열하는 예열 영역(3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 영역(313)은 상기 하우징(3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건조영역(311, 312)은 상기 하우징(3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제1 도포영역(210)을 경유한 상기 제품(10)의 상하 높이를 상승시킨 후 상기 제1 건조영역(311)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장치.
KR1020150154426A 2015-11-04 2015-11-04 도포장치 KR20170052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426A KR20170052225A (ko) 2015-11-04 2015-11-04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426A KR20170052225A (ko) 2015-11-04 2015-11-04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225A true KR20170052225A (ko) 2017-05-12

Family

ID=5874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426A KR20170052225A (ko) 2015-11-04 2015-11-04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22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8426B2 (ja) 吹付け塗装方法及びその装置
CN105080750A (zh) 用于给物体涂装的涂装系统
JP6432982B2 (ja) 再塗装装置
KR20200101366A (ko) 유도된 원자화 및 반원자화 유체를 사용한 서포트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1826738B1 (ko) 스프레이건 및 이를 이용한 도장 시스템
CN105457820B (zh) 一种分段变速及柔性对接喷涂智能流水线
KR101282287B1 (ko) 도장로봇을 이용한 자동 도장 시스템 및 도료 비산 방지를 위한 도장기
US9956567B2 (en) System for coating, in particular for painting, articles, in particular vehicle bodies
ITVI20080282A1 (it) Apparecchiatura perfezionata per la lavorazione di superfici laminari flessibili, quali, in particolare, pelli di conceria e relativo metodo di lavorazione.
US20160121372A1 (en) Cleaning process and cleaning device for one or more parts of an application system
CN103658099A (zh) 全自动水剂超声波清洗机
CN110694846A (zh) 一种便于对不同形状的物体进行喷涂的涂装装置
KR20170111530A (ko) 자동차 진동감쇠용 부품의 자동정밀도포장치
CN104841596A (zh) 粉末喷涂固化系统
CN204412519U (zh) 一种自动涂装生产线装置
KR20220139555A (ko) 파이프 도장 집진 장치 및 파이프 도장 자동화 시스템
KR20160033972A (ko) 균일한 도막 두께 형성이 가능한 도료 분사 장치
KR20170052225A (ko) 도포장치
WO2004073883A1 (ja) 保護層形成材の塗布システム
CN205797847U (zh) 自动模盖清洗机
CN107085446A (zh) 一种有孔包衣机的自动控制系统
CN209393490U (zh) 一种涂料烘干装置
CN211190672U (zh) 一种钣金配件表面的涂装装置
KR102161589B1 (ko) 이형관내부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형관 분말 에폭시 라이닝 공정
CN205966285U (zh) 一种滚筒式自动喷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