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980A - Agricultural automatic and manual watering control - Google Patents

Agricultural automatic and manual watering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980A
KR20170051980A KR1020150153775A KR20150153775A KR20170051980A KR 20170051980 A KR20170051980 A KR 20170051980A KR 1020150153775 A KR1020150153775 A KR 1020150153775A KR 20150153775 A KR20150153775 A KR 20150153775A KR 20170051980 A KR20170051980 A KR 20170051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water level
fixed plat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7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96648B1 (en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김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식 filed Critical 김성식
Priority to KR102015015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648B1/en
Publication of KR2017005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9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6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automatic and manual watering control device, which can automatically lift and move a watering control plate opening and closing an inlet of a fixing plate unit fixated in a state of adhering to an internal surface of a wall of a waterway through a lifting drive unit. Therefore, it is unnecessary for a manager to onerously go out or go on a business trip to a place in which the fixing plate unit is installed at a working place to manually lift and move the watering control plate.

Description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Agricultural automatic and manual watering control}[0001] Agricultural automatic and manual watering control [0002]

본 발명은 수로의 벽체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판부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급수조절판을 승강구동부를 통해 자동으로 승강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근무지에서 상기 고정판부가 설치된 장소까지 번거롭게 외출 또는 출장을 나와 상기 급수조절판을 수동으로 승강운동시킬 필요가 없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Since the water supply control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port of the fixed plate portion fixed in the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of the channel can be automatically lifted and lowered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mouth portion, And an automatic and manual water supply controller for agricultural water which does not need to manually move up and down the water supply controller.

일반적으로, 급수 개폐기라 함은 상하수처리장, 정수장, 배수펌프장, 농업용 관개수로 및 기타 하천과 접하는 관계용수로나 기타 배수구 등에 설치되는 수리시설로서, 이와 같은 급수 개폐기는 선택적인 개폐기 단속에 의해 유량을 조절하고 수심이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홍수 등으로 인한 물의 역류를 방지되게 하는 기능들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Generally, a water supply switch is a repair facility installed in water supply and sewage treatment plants, water purification plants, drainage pumping stations, irrigation waterways for agricultural use, and related water supply pipes or other drainage pipes that contact with rivers. The water depth is controlled and the function of preventing water backflow due to flood is performed.

종래에는 농업용수를 수로에서 경작지로 급수할 때 경작지에 설치한 뚝막이를 해치고 농업용수를 유입시키는 것이 보통이며, 농업용수의 조절은 해어진 뚝막이를 조절하여 사용되어 왔었다.Conventionally, when feeding agricultural water from an aqueduct to a cultivated land, it is common to infiltrate the agricultural water into the agricultural land and to control the agricultural water.

그러나, 뚝막이의 흙이 물살에 씻겨나가는 경우에는 그 농업용수의 조절을 제대로 할 수 없어 가마니나 비닐지 등을 바닥에 깔아놓는 예가 빈번하게 발생되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농업용수의 유입량을 바라는 대로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soil of the tundra is washed out in the water,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water of the agricultural water. Thus, the case of spreading the bamboo or vinyl paper on the floor frequently occurs.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don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폐판이 설치된 농수로 개폐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84608호 등으로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 agricultural water channel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having an open / close plate has been proposed in,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84608.

그러나, 이러한 농수로 개폐장치는 개폐판을 수동으로 개폐하는 방식이기에 관리자가 근무지에서 번거롭게 상기 농수로 개폐장치가 설치된 장소까지 직접 외출하여 상기 개폐판을 수동으로 개폐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과, 관리자의 근무지가 농수로 개폐장치가 설치된 장소와 거리가 먼 외지인 경우, 외지에서 상기 농수로 개폐장치가 설치된 장소까지 출장나오기가 여의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agricultural water channel manually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t is inconvenient for the administrator to manually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manually from the workplace to the place where the agricultural water channel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is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come out from the outside to the place where the waterway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installed when the working place is far from the place where the waterway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installed.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8460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8460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로의 벽체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판부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급수조절판을 승강구동부를 통해 자동으로 승강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근무지에서 상기 고정판부가 설치된 장소까지 번거롭게 외출 또는 출장을 나와 상기 급수조절판을 수동으로 승강운동시킬 필요가 없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a water supply control method for a water supply system, which can automatically move up and down a water supply control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an inlet port of a fixed plat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and manual water supply device for agricultural water which does not need to manually move up and down the water supply control pl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에 배수구가 형성된 수로에 설치되는 농업용수 급수조절장치에 있어서, 중간부에 상기 수로를 통해 공급되는 농업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로의 배수구에 삽입되는 용수배출관이 구비되고, 상기 수로의 벽체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의 전면에 상기 고정판부의 유입구를 개폐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면에 수직방향의 랙기어부가 형성되는 급수조절판과; 상기 급수조절판의 랙기어부와 치합되도록 상기 고정판부에 배치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급수조절판을 승강시키는 구동부재로 구성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gricultural water supply control apparatus for a water supply line provided with a drain port on a wall, wherein an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agricultural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channel is formed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And a water discharge pipe inserted into a drain port of the water channel, the fixing plate being fix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of the water channel; A water supply regulating plat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to open and close an inlet port of the fixing plate and having a rack gear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A pinion gear disposed in the fixed plate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control plate and a drive member configured to move the pinion gear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 raise and lower the water supply control plate, And an automatic water supply control device for the water supply.

여기서, 상기 고정판부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seat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portion and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hannel is provided.

또는, 상기 고정판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로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hat a seat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portion and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annel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안착부에 고정설치되는 수력발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력발전부에 의해 발전된 전원이 축전되고 상기 구동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부가 상기 고정판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hydrostatic power generating unit fixed to the seating unit is provided, and a power storage unit for storing power generated by the hydrostatic power generating unit and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fixing plate unit.

또한, 상기 안착부에 수력발전부와; 상기 수력발전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수로내의 농업용수가 상기 고정판부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판부의 타측방향으로 흐르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부의 타측방향에 상기 수력발전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at portion may include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ng portion; Wherein the hydraulic water in the water channel flows from the one side of the fixed plate to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late, and the supporting unit supports the hydraulic power generator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fixed plate, .

그리고, 상기 고정판부의 타측에 상기 고정판부의 유입구내로 농업용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가 상기 고정판부의 타측에서 상기 고정판부의 일측방향으로 만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agricultural water into the inlet of the fixing plate may be curved at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at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late at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late.

또는, 상기 안착부에 고정설치되는 태양발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태양발전부에 의해 발전된 전원이 축전되고, 상기 구동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부가 상기 고정판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hat a solar power generation unit fixedly installed on the seat portion is provided, and a power storage unit for storing power generated by the solar power generation unit and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fixed plate.

그리고, 상기 안착부에 태양발전부와; 상기 태양발전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수로내의 농업용수가 상기 고정판부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판부의 타측방향으로 흐르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부의 타측방향에 상기 태양발전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lar battery module includes: a solar battery; A support table for supporting the solar generator part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fixed plate part in a state where the agricultural water in the water channel flows from one side of the fixed plate part to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late part, .

나아가, 상기 고정판부의 유입구로 유입된 농업용수가 논으로 공급되고, 상기 논으로 공급된 농업용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검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gricultural water supplied to the inlet of the fixed plate portion is supplied to the rice paddies, and a water level detecting portion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ied to the rice paddies.

더불어, 상기 수위검출부의 수위검출값을 근거로 상기 승강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ion driving unit based on the water level detection value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is provided.

아울러, 농업용수의 기준수위값을 설정하는 수위설정부와; 상기 수위검출부의 수위검출값과 상기 수위설정부의 기준수위값을 근거로 상기 승강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water level setting unit for setting a reference water level value of the agricultural wat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ion driving unit based on the water level detection value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and the reference water level value of the water level setting unit.

그리고, 상기 수위검출부와 상기 제어부는 무선통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preferabl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상기 수위검출부에 태양발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위검출부에 구비된 태양발전부에 의해 발생된 전원이 축전되는 축전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is provided with a solar power generation unit and a power storage unit in which the power generated by the solar power generation unit provided in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is stored.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의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하고, 관리자의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승강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of the manager,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levation driving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anager terminal.

그리고, 상기 안착부에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camera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camera at a predetermined height.

또한, 상기 안착부에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light emitting unit at a predetermined height.

또한, 상기 안착부에 섬광출력부와; 상기 섬광출력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 portion has a flash output portion;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flash output unit at a predetermined height.

본 발명은 수로의 벽체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판부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급수조절판을 승강구동부를 통해 자동으로 승강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근무지에서 상기 고정판부가 설치된 장소까지 번거롭게 외출 또는 출장을 나와 상기 급수조절판을 수동으로 승강운동시킬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water supply control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port of the fixed plate portion fixed in the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of the channel can be automatically lifted and lowered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mouth portion,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manually raise and lower the water supply control plat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고정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수로의 바닥면에 안착부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급수조절판이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고정판부의 타측에 가이드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수로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에 수력발전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수력발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수로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에 태양발전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태양발전부가 수로내의 농업용수에 침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논둑에 수위검출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5는 수로의 상부에 안착부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논으로 공급된 농업용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tomatic and manual water supply device for agricultural water, which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ixing plate por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t is seated on a bottom surface of a waterway,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supply control plate is raised,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membe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late portion,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s provided in a seating part that is seated on a bottom surface of a waterway,
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8 and 9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olar power generating unit is provided on a seat portion that is seated on a bottom surface of a waterway,
10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olar power generator is immersed in agricultural water in a waterway,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level detector is provided in a pond,
1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tate of the control unit,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tomatic and manual water supply device for agricultural water, which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3,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t is seated on an upper part of a channel,
16 and 17 are enlarged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water level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ied to the rice paddy.
1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tomatic and manual water supply device for agricultural water, which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고정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tomatic and manual water supply device for agricultural water, which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xing plate portion.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는 벽체(도 3의 31)에 배수구(도 3의 32)가 형성된 수로(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판부(10), 급수조절판(20) 및 승강구동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automatic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water suppl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water channel 3 having a drain (32 in FIG. 3) formed in a wall (31 in FIG. 3) And includes a fixed plate portion 10, a water supply regulating plate 20, and an elevation driving portion 30 as much as possible.

먼저, 상기 고정판부(10)의 전면 일측과 상기 고정판부(10)의 전면 타측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부(1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고정판부(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급수조절판(20)이 상기 고정판부(1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측돌출판(111) 및 타측돌출판(112)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ixing plate 10 and the fixing plate 10 protrude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10, A side projection plate 111 and another side projection plate 112 for preventing the water supply control plate 20 from being deviated toward the out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fixing plate 10 are formed .

상기 일측돌출판(111)의 전측은 상기 타측돌출판(112)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one side projection 111 may be horizontally bent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other side side projection 112.

상기 타측돌출판(112)의 전측은 상기 일측연장판(111)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other side dowel 112 may be horizontally bent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one side plate 111.

상기 일측연장판(111)의 후측과 상기 타측연장판(112)의 후측 사이에는 상기 고정판부(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제 1가이드공간(113)이 형성될 수 있다.A first guide space 113 may be formed between the rear side of the one extension plate 111 and the rear side of the other side edge plate 112 and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unit 10.

상기 고정판부(10)의 전면 중간부에는 상기 제 1가이드공간(113)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고정판부(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제 2가이드공간(114)이 상기 고정판부(10)의 전측에서 상기 고정판부(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A second guide space 114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fixed plate 10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communicated with the first guide space 113 is formed in the front middle portion of the fixed plate 10, And may be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10 from the front side of the fixing plate 10.

상기 제 2가이드공간(114)의 좌우폭은 상기 제 1가이드공간(113)의 좌우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second guide space 114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guide space 113.

상기 고정판부(10)의 중간부 하측에는 상기 수로(3)를 통해 공급되는 농업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도 1의 120)가 형성될 수 있다.An inlet (120 in FIG. 1) through which the agricultural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channel (3) flows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fixed plate part (10).

상기 고정판부(10)의 배면에는 상기 유입구(120)와 연통되는 용수배출관(120)이 상기 고정판부(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된다.A water discharge pipe 120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120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0 to extend longitudinally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10.

상기 용수배출관(120)이 상기 수로(3)의 배수구(32)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고정판부(10)는 상기 수로(3)의 벽체(31)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The fixing plate portion 10 is fixed in a state of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31 of the water channel 3 in a state where the water discharge pipe 120 is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32 of the water channel 3.

다음으로, 상기 급수조절판(20)은 상기 고정판부(10)의 유입구(120)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고정판부(10)의 전면에 상기 고정판부(1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The water supply regulating plate 2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10 to open and close the inlet 120 of the fixing plate 10.

상기 급수조절판(20)의 내측면 중심부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급수조절판(20)의 상하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되는 랙기어부(21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 a rack gear portion 210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regulating plate 20 so as to extend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regulating plate 20.

상기 급수조절판(20)은 상기 고정판부(10)의 제 1가이드공간(113)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고, 상기 랙기어부(210)는 고정판부(10)의 제 2가이드공간(114)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regulating plate 20 can be received in the first guide space 113 of the fixed plate 1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the rack gear portion 210 can be received in the second guide space 114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급수조절판(20)의 상부와 상기 랙기어부(210)의 상부는 상기 고정판부(10)의 상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판부(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water supply regulating plate 20 and the upper part of the rack gear part 210 may be exten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part 10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fixing plate part 10.

다음으로, 상기 승강구동부(3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피니언기어(310)와 구동부재(320)로 구성된다.1, the elevation driving unit 30 is composed of a pinion gear 310 and a driving member 320. [

상기 피니언기어(310)는 상기 랙기어부(210)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판부(10)의 상부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The pinion gear 310 may be dispos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fixed plate portion 10 in a state where the pinion gear 310 is engaged with the rack gear portion 210.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구동부재(320)는 상기 피니언기어(310)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판부(10)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기어(31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급수조절판(20)을 승강운동시키게 된다.The driving member 320 may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plate 10 in a state of being axially coupled with the pinion gear 310. The pinion gear 310 To rotate the water supply regulating plate 20 upward or downward.

다음으로, 상기 고정판부(10)의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판부(10)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판부(10)의 타측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판상의 안착부(4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 plate-like seating part 40 extending horizontally from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part 10 to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late part 10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part 10.

상기 고정판부(10)의 하단부는 상기 안착부(40)의 일측, 타측, 전측, 후측 중 상기 안착부(40)의 후측 중심부에 볼트고정 또는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10 may be fixed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or welding fixing to one side, the other side,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40 to the rear side cent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40.

도 3은 수로의 바닥면에 안착부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급수조절판이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t is seated on a bottom surface of a water channel,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supply control plate is raised.

상기 안착부(4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로(3)의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다.The seat 40 may be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hannel 3 as shown in FIG.

상기 안착부(40)는 상기 수로(3)의 바닥면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부(40)가 상기 수로(3)의 바닥면에 유동되지 않게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40)는 상기 수로(3)의 바닥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되는 것이 좋다.The seat 40 may be removably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hannel 3 but preferably the seat 40 is stab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hannel 3. [ The seat 40 may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hannel 3 in various manners such as bolt-fixing.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부(30)에 의해 상기 급수조절판(20)이 상승하여 상기 고정판부(10)의 유입구(110)를 개방한 경우, 상기 수로(3)내의 농업용수는 상기 고정판부(10)의 용수배출관(120) 및 상기 용수배출관(120)과 연통되는 논둑(71)의 하부를 순차적으로 지나 논(7)으로 공급될 수 있다.3 and 4, when the water supply regulating plate 20 is rais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30 to open the inlet 110 of the fixing plate unit 10, Can be supplied to the drum 7 sequentially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120 of the fixing plate 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71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discharge pipe 120.

상기 승강구동부(30)에 의해 상기 급수조절판(20)이 하강하여 상기 고정판부(10)의 유입구(110)를 폐쇄한 경우, 상기 수로(3)내의 농업용수는 상기 논(7)으로 공급될 수 없게 된다.When the water supply regulating plate 20 is lower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30 to close the inlet 110 of the fixing plate 10, the agricultural water in the water channel 3 is supplied to the rice 7 Can not.

도 5는 고정판부의 타측에 가이드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guide membe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late portion.

다음으로, 상기 고정판부(10)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판부(10)의 타측방향으로 흐르는 수로(3)의 농업용수 중 일부(도 5의 점선화살표 참조.)가 상기 고정판부(10)의 유입구(110)내로 보다 더욱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5) of the water channel 3 flowing from one side of the fixed plate portion 10 to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late portion 10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fixed plate portion 10, In order to be able to flow more smoothly into the housing 110,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부(10)의 타측돌출판(112)의 전면에는 상기 고정판부(10)의 유입구(110)내로 농업용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15)가 상기 고정판부(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5, a guide member 115 for guiding agricultural water into the inlet 110 of the fixing plate 1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ther side door 112 of the fixing plate 10, 10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가이드부재(115)는 상기 고정판부(10)의 타측에서 상기 고정판부(10)의 일측방향으로 호형상 등으로 만곡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member 115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in the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10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late 10.

도 6은 수로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에 수력발전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수력발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s provided in a seating portion that is seated on a bottom surface of a waterway, and Fig. 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다음으로, 일예로, 상기 안착부(40)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력발전부(5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seating portion 40 may be provided with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50.

상기 수력발전부(5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전기(510)와 회전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6 and 7, the hydraulic power generating unit 50 may include a generator 510 and a rotary member 520. [

상기 발전기(510)의 전측에 상기 회전부재(520)가 축결합될 수 있다.The rotary member 520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generator 510. [

상기 회전부재(520)는 회전축(521)과 복수의 회전블레이드(522)로 구성될 수 있다.The rotating member 520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521 and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522.

상기 회전축(521)은 상기 발전기(510)의 전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로(3)의 전측에서 상기 수로(3)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521 may be formed to extend longitudinally from a front side of the water channel 3 to a rear side of the water channel 3 while being coupled to a front side of the generator 510.

복수의 상기 회전블레이드(522)는 상기 회전축(521)을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521)의 외면에 등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rotating blades 522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521 while extending longitudinally along the rotating shaft 521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회전축(521)이 상기 수로(3)내의 농업용수에 침지되지 않고, 복수의 상기 회전블레이드(522) 중 상기 회전축(521)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회전블레이드(522)가 상기 수로(3)내의 농업용수에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수로(3)의 일측에서 상기 수로(3)의 타측방향으로 흐르는 농업용수의 흐름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520)가 정역회전하여 상기 발전기(510)가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rotary shaft 521 is not immersed in the agricultural water in the water channel 3 and the rotary blade 522 of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522, which is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521, The rotary member 520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the flow of agricultural water flowing from one side of the waterway 3 to the other side of the waterway 3 in a state immersed in the agricultural water in the waterway 3, Can be generated.

상기 발전기(510)가 발생시킨 전기는 축전부(60)에 축전될 수 있고, 상기 축전부(60)는 상기 고정판부(10)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축전부(60)에 축전된 전기는 상기 승강구동부(30)의 구동부재(320)로 공급될 수 있다.Th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generator 510 can be stored in the power storage unit 60 and the power storage unit 60 can be fixed to the fixed plate unit 10 in various manners such as bolts. 60 may be supplied to the driving member 320 of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30.

상기 축전부(60)가 반드시 상기 고정판부(10)에 고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착부(40) 등에 고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The power storage unit 60 is not necessarily fixed to the fixed plate unit 10 but may be fix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being fixed to the seating unit 40 or the like.

상기 안착부(40)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력발전부(5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410)가 1개 또는 1개 이상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eating part 40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supporting rods 410 for supporting the hydro-power generating part 50 at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지지대(410)는 상기 안착부(4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상기 지지대(410)는 상기 고정판부(10)의 타측과 접한 상태로 상기 고정판부(10)의 타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착부(40)의 후측 상부면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base 410 may be vertically extended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seating part 40 and one of the support base 410 may be fixed to the fixed plate part 10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late part 10, And may be vertically formed on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seat 40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seat 10.

어느 하나의 상기 지지대(410)의 상부 전측에 상기 발전기(510)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generator 510 may be fixed to the upper front side of any one of the supports 410 in various ways such as bolts.

다른 하나의 상기 지지대(410)는 상기 고정판부(10)의 일측 전방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착부(40)의 전측 상부면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And the other support 410 may be vertically formed on a front upper surface of the seat 40 so as to be positioned in a front side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10.

특히, 어느 하나의 상기 지지대(410)가 상기 고정판부(10)의 타측과 접한 상태로 상기 고정판부(10)의 타측방향에 위치한 경우, 상기 고정판부(10)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판부(10)의 타측방향으로 흐르는 상기 수로(3)내의 농업용수 중 일부(도 6의 점선화살표 참조.)가 어느 하나의 상기 지지대(410)와 부딪치면서 저항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고정판부(10)의 유입구(110)내로 농업용수가 보다 더욱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when one of the supports 410 is position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fixed plate 10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late 10, the fixing plate 10 (See the dotted arrow in FIG. 6) in the water channel 3 flowing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fixed plate portion 10 receives a resistance against one of the supports 410, The flow of the agricultural water can be mor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inlet 110 of the water tank 110. [

도 8 및 도 9는 수로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에 태양발전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태양발전부가 수로내의 농업용수에 침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S. 8 and 9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olar power generating unit is mounted on a seating portion that is seated on a bottom surface of a waterway, and FIG. 10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olar power generating unit is immersed in agricultural water in a waterway.

다음으로, 다른예로, 상기 안착부(40)에는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태양발전부(7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another example, the seat 40 may be provided with a solar power generator 70 as shown in FIGS.

상기 태양발전부(70)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거나 태양열을 집열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태양발전부(70)가 발생시킨 전기는 상기 축전부(60)에 축전될 수 있다.The solar generator 70 may be a solar cell module that generates electricity by collecting solar light or generates electricity by collecting solar heat. Th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solar generator 70 is supplied to the power storage unit 60. < / RTI >

가령, 2개의 복수의 상기 태양발전부(7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상기 지지대(410)와 다른 하나의 상기 지지대(410)의 상부에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solar power generation units 70 may be horizontally fixed to one of the support members 410 and the other support member 410 in various ways .

또는, 1개의 상기 태양발전부(70)의 타측 하부와 일측 하부는 각각 어느 하나의 상기 지지대(410)의 상부 및 다른 하나의 상기 지지대(410)의 상부에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고정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other lower portion and one lower portion of one solar power generating portion 70 may be horizontally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one of the supports 4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one of the supports 410, .

특히, 상기 태양발전부(70)의 냉각효율을 향상시켜 상기 태양발전부(70)의 전기발생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태양발전부(7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로(3)내의 농업용수에 침지되는 것이 좋으며, 이때 상기 지지대(410)의 상하길이는 상기 태양발전부(70)가 상기 수로(3)내의 농업용수에 침지될 수 있을 정도의 상하길이면 족하다.Particularly, in order to improv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unit 70 so that the electricity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unit 70 can be greatly improved, as shown in FIG. 10,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supports 410 are sufficient to be vertically long enough for the solar power generator 70 to be immersed in the agricultural water in the water channel 3 .

상기 수력발전부(50)와 상기 태양발전부(70)로 인해 상기 승강구동부(30)가 주간은 물론 특히 야간에도 상기 급수조절판(20)을 승강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hydraulic power generation unit 50 and the solar power generation unit 70 enable the elevation driving unit 30 to move up and down the water supply control plate 20 during the daytime as well as during nighttime.

도 11은 논둑에 수위검출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is provided in a pond.

다음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부(10)의 유입구(110)로 유입된 농업용수가 논(7)으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논(7)의 논둑(71) 주변 지면에는 상기 논(7)으로 공급된 농업용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수위검출부(80)가 구비될 수 있다.11, the agricultural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110 of the fixed plate 10 is supplied to the rice paddy 7, and the rice paddy 7 of the rice paddy 7 is padded with the rice paddy 7 using an ultrasonic wave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agricultural water.

그리고, 상기 수위검출부(80)의 수위검출값을 근거로 상기 승강구동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도 12의 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A control unit (90 of FIG. 12) for controlling the elevation driving unit 30 based on the water level detection value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80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고정판부(10)에 구비되거나 상기 수위검출부(80)에 구비되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90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the fixed plate unit 10 or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80.

특히, 상기 제어부(90)에는 상기 논(7)으로 공급되는 농업용수의 기준수위값을 설정하는 수위설정부(도 12의 100)가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Particularly, the control unit 9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tting unit (100 of FIG. 12) for setting a reference water level value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ied to the rice paddle 7 in various ways such as a push button or a dial button.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수위검출부(80)의 수위검출값과 상기 수위설정부(100)에 설정된 기준수위값을 근거로 상기 승강구동부(3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90 may control the elevation driving unit 30 based on the water level detection value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80 and the reference water level value set in the water level setting unit 100. [

상기 수위검출부(80)의 수위검출값이 상기 수위설정부(100)에 설정된 기준수위값 초과인 경우,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승강구동부(30)는 상기 급수조절판(20)은 하강시켜 상기 고정판부(10)의 유입구(110)를 폐쇄할 수 있다.When the water level detection value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80 exceeds the reference water level value set in the water level setting unit 100, the elevation driving unit 30 controls the water level control plate 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0 The inlet 110 of the fixing plate 10 can be closed.

상기 수위검출부(80)의 수위검출값이 상기 수위설정부(100)에 설정된 기준수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승강구동부(30)는 상기 급수조절판(20)은 상승시켜 상기 고정판부(10)의 유입구(110)를 개방할 수 있다.When the water level detection value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80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reference water level value set in the water level setting unit 100, the elevation driving unit 30 controls the water level control plate 20 to rise So that the inlet 110 of the fixing plate 10 can be opened.

상기 수위검출부(80)와 상기 제어부(90)는 전선 등으로 연결된 상태로 유선통신을 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번거로운 전선설치작업을 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위검출부(80)와 상기 제어부(90)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는 것이 좋으며, 이를 위해, 상기 수위검출부(80)와 상기 제어부(90)에는 각각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80 and the control unit 9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 or the like so that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80 and the control unit 90 May be equipped wit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80 and the control unit 90, respectively.

그리고,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상기 수위검출부(80)가 논(7)으로 공급된 농업용수의 수위를 보다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위검출부(80)의 상부에는 별도의 태양발전부(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enable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80 to more easily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ied to the rice paddies 7 during the daytime as well as during the daytime, (200)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수위검출부(8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논(7)의 논둑(71) 주변 지면에 상기 수위검출부(80)에 구비된 태양발전부(200)에 의해 발생된 전원이 축전되는 축전부(도 12의 30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축전부(300)에 축전된 전기는 상기 수위검출부(80)로 공급될 수 있다.The power generated by the solar power generation unit 200 provided in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80 is accumulated on the ground around the disc 71 of the rice paddle 7 so as to be located at a distance adjacent to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80 The power storage unit 300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e electricity stored in the power storage unit 300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80.

별도의 상기 태양발전부(200)의 냉각효율을 향상시켜 별도의 상기 태양발전부(200)의 전기발생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상기 태양발전부(200) 또한 논(7)으로 공급된 농업용수에 침지되는 것이 좋다.In order to improv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separate solar power generation unit 200 so that the electricity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separate solar power generation unit 200 can be greatly improved, It is preferable to immerse the agricultural water in the agricultural water.

도 12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rol state of the control unit.

다음으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90)는 관리자의 소지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단말기(9)와 무선통신을 할 수 있고, 관리자는 근무지에서 외출 또는 출장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9)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승강구동부(30)를 제어할 수도 있다.Next, as shown in FIG. 12, the controller 90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9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possessed by the manager, and the manager can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9, The elevator driving unit 30 may be controlled by execut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9. [

일예로, 관리자는 근무지에서 외출 또는 출장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창에 표시된 수동/자동설정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승강구동부(30)를 수동상태 또는 자동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dministrator may set an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driving unit 30 to a manual state or an automatic state by operat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and operating a manual / automatic setting button displayed in an execution window of the application, .

관리자가 근무지에서 외출 또는 출장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관리자는 상기 승강구동부(30)를 수동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단말기(9)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창에 표시된 상승/하강버튼을 직접 조작함으로서 상기 승강구동부(30)의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90)로 전송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단말기(9)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구동부(30)를 제어할 수 있다.The manager sets the elevation driving unit 30 to the manual state and directly operates the up / down button displayed in the execution window of the application of the terminal 9, so that the elevation driving unit 30 The control unit 90 can control the elevation driving unit 30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terminal 9. [

관리자가 근무지에서 외출 또는 출장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관리자가 상기 승강구동부(30)를 자동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수위검출부(80)의 수위검출값과 상기 수위설정부(100)의 기준수위값을 근거로 상기 승강구동부(30)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manager sets the elevation driving unit 30 to the automatic state in the state where the manager is not out of business or out of business, the controller 90 controls the water level detection value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80 and the water level setting unit 100 ) Based on the reference water level value of the elevation drive unit 30.

다음으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메라(400), 발광부(500) 및 섬광출력부(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2, the camera 400, the light emitting unit 500, and the flash output unit 600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카메라(400)는 복수의 상기 지지대(410) 중 상기 수력발전부(50) 또는 상기 태양발전부(70)가 설치된 지지대(410)를 제외한 나머지 어느 하나의 상기 지지대(4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논(7)을 촬영할 수 있다.The camera 4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any one of the supporting posts 410 except for the hydrostatic power generating unit 50 or the supporting rods 410 on which the solar generating unit 70 is installed among the plurality of supporting rods 410 (7) can be photographed.

관리자는 상기 카메라(400)가 촬영한 영상을 상기 단말기(9)를 통해 논(7)으로 공급된 농업용수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승강구동부(30)를 제어할 수 있음과 더불어 논(7)의 작물에 병충해가 발생되었는지의 여부 또한 육안으로 확인하여 이를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The administrator can visually check the water level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ied to the rice paddies 7 through the terminal 9 to control the rais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30, 7) can be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to promptly cope with the occurrence of insect pests.

상기 발광부(500)는 또 다른 하나의 상기 지지대(4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500 may be provided on another support 410.

상기 발광부(500)는 가령, 병충해를 유인함과 더불어 고압전류에 의해 병충해를 감전시켜 태워버리는 고압전열선이 설치된 유인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500 may include an induction furnace, for example, which is provided with a high-pressure heating wire for inducing sickness damage and burning and burning the insect pests by a high-voltage current.

상기 발광부(500)는 상기 발광부(500)가 구비된 또 다른 하나의 상기 지지대(410)에 구비되는 조도센서(7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낮에 작동정지되고, 밤에 작동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500 is operated in the day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illuminance sensor 700 provided in the other support 410 having the light emitting unit 500 It can be stopped and operated at night.

상기 섬광출력부(600)는 또 다른 하나의 상기 지지대(4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논(7)의 작물로 접근하는 오리 등의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플래쉬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cintillation output unit 600 may include a flash lamp or the like which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upport member 410 to remove algae such as ducks approaching the crop of the rice paddy 7.

상기 섬광출력부(600)가 구비된 또 다른 하나의 상기 지지대(410)에는 오리 등의 조류를 감지하기 위한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레이더센서 및 열감지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감지센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감지센서부(미도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섬광을 조류로 출력할 수 있다.The support unit 410 provided with the flash output unit 600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unit (not shown) that can be formed of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a radar sensor, The control unit 90 can output the flash to the tidal current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unit (not shown).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tomatic and manual water supply device for agricultural wa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 - A of FIG.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농업용수 급수조절장치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급수조절판(20)의 상하폭은 상기 고정판부(10)의 상하폭보다 작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고정판부(10)의 전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13 and 14,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water supply regulating plate 2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fixed plate portion 10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0 can be raised and lowered.

그리고, 상기 급수조절판(20)의 랙기어부(210)의 상하폭이 상기 고정판부(10)의 상하폭보다 길도록 상기 랙기어부(210)는 상기 급수조절판(2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rack gear portion 210 is fix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regulating plate 20 so that the vertical width of the rack gear portion 210 of the water supply regulating plate 20 is longer than the vertical width of the fixed plate portion 10, And may b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5는 수로의 상부에 안착부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t is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a waterway.

그리고, 도 13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40)는 상기 고정판부(10)의 상부에 형성된 상태로 상기 수로(7)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되거나 상기 수로(7)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안착고정될 수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13 and 15, the seating part 4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channel 7 in a state of being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ed plate part 10,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at can be horizontally fixed and fixed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상기 고정판부(10)의 상부는 상기 안착부(40)를 이룰 수 있는 사각틀의 내면 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10 may be fixed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to the inn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quare frame which can form the seating portion 40.

상기 안착부(40)의 상부 각 모서리에 상기 지지대(410)가 각각 수직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s 410 may be vertically formed on the upper corners of the seating portion 40,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상기 고정판부(10)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논(7)의 전측방향과 논(7)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논둑(71) 중 논(7)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논둑(71)에도 설치되어 논(7)으로 공급된 농업용수를 논(7)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논둑(71)에 설치된 다른 수로(3)로 배출하여 논(7)으로 공급된 농업용수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15, the fixing plate portion 10 of the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paddy 7 among the paddles 71 locat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paddy 7 and the rear direction of the paddy 7 The agricultural water supplied to the rice paddies 7 is also supplied to the rice paddies 71 and discharged to the other water channels 3 provided in the rice paddies 71 located in the rearward direction of the rice paddies 7, The water level can be adjusted.

도 16 및 도 17은 논으로 공급된 농업용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16 and 17 are enlarged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water level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ied to the rice paddy.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급수조절판(20)은 상기 고정판부(10)의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고정판부(10)의 유입구(110)를 부분개폐하거나 완전개폐할 수 있고, 이로서 논(7)으로 공급된 농업용수의 수위가 조절될 수 있다.16 and 17, the water supply regulating plate 20 may be lowered downwardly of the fixed plate portion 10 to partially open or close the inlet 110 of the fixed plate portion 10, The water level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ied to the paddy 7 can be adjusted.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tomatic and manual water supply device for agricultural water, which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는 제 2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부(10)의 상부는 상기 안착부(4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될 수 있다.18, the upper part of the fixing plate 10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ating part 40 in the direction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고정판부(10)의 상부 중심부에 가이드슬릿(130)이 상기 고정판부(1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A guide slit 130 may be formed in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fixed plate portion 10 so as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xed plate portion 10.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부(30)의 구동부재(320)는 상기 안착부(4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판부(10)의 배면 상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승강구동부(30)의 피니언기어(310)는 상기 고정판부(10)의 가이드슬릿(130)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랙기어부(210)와 치합될 수 있다.The driving member 320 of the elevation driving unit 30 may be fixed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on the back side of the fixing plate unit 10 so as to be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eating unit 40, The pinion gear 310 of the idle portion 30 can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portion 210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guide slit 130 of the fixed plate portion 10.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수로(3)의 벽체(31)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상기 고정판부(10)의 유입구(110)를 개폐하는 상기 급수조절판(20)을 상기 승강구동부(30)를 통해 자동으로 승강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근무지에서 상기 고정판부가 설치된 장소까지 번거롭게 외출 또는 출장을 나와 상기 급수조절판(20)을 수동으로 승강운동시킬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regulating plate 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110 of the fixing plate 10 fixed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31 of the water channel 3, It is not necessary for the manager to manually move the water supply control plate 20 out of the outgoing or departing state from the workplace to the place where the fixed plate is installed.

10; 고정판부, 20; 급수조절판,
30; 승강구동부.
10; A stationary plate portion, 20; Water supply control panel,
30; East of lift.

Claims (17)

벽체에 배수구가 형성된 수로에 설치되는 농업용수 급수조절장치에 있어서,
중간부에 상기 수로를 통해 공급되는 농업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로의 배수구에 삽입되는 용수배출관이 구비되고, 상기 수로의 벽체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의 전면에 상기 고정판부의 유입구를 개폐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면에 수직방향의 랙기어부가 형성되는 급수조절판과;
상기 급수조절판의 랙기어부와 치합되도록 상기 고정판부에 배치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급수조절판을 승강시키는 구동부재로 구성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
A water supply system for agricultural water supply which is installed in a water channel in which a drain is formed in a wall,
And a water discharge pipe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inlet and inserted into the water discharge port of the water channel, and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of the water channel A fixing plate portion fixed to the base plate;
A water supply regulating plat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to open and close an inlet port of the fixing plate and having a rack gear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A pinion gear disposed in the fixed plate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control plate and a drive member configured to move the pinion gear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 raise and lower the water supply control plate, Automatic water supply control system for agricultural wa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로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at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fixed plate portion and being sea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hanne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로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at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portion and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channel.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고정설치되는 수력발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력발전부에 의해 발전된 전원이 축전되고 상기 구동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부가 상기 고정판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d a power storage unit for storing power generated by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fixed plate unit. Regulating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수력발전부와; 상기 수력발전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수로내의 농업용수가 상기 고정판부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판부의 타측방향으로 흐르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부의 타측방향에 상기 수력발전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hydro-power unit at a predetermined height,
Wherein a support base for supporting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at a predetermined height is locat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while the agricultural water in the water channel flows from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to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late.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의 타측에 상기 고정판부의 유입구내로 농업용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가 상기 고정판부의 타측에서 상기 고정판부의 일측방향으로 만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uide member for guiding agricultural water into the inflow port of the fixed plate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late portion in a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fixed plate port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late portion.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고정설치되는 태양발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태양발전부에 의해 발전된 전원이 축전되고, 상기 구동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부가 상기 고정판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generating unit is provided with a solar power generating unit fixedly mounted on the seating unit and a power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ower by the solar generating unit is stored and a power storage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fixed plate unit. Water supply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태양발전부와; 상기 태양발전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수로내의 농업용수가 상기 고정판부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판부의 타측방향으로 흐르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부의 타측방향에 상기 태양발전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solar power generating unit in the seating unit;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olar generator at a predetermined height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stand for supporting the solar power generator at a predetermined height is locat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fixed plate part in a state where the agricultural water in the water channel flows from one side of the fixed plate part to the other side of the fixed plate part.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의 유입구로 유입된 농업용수가 논으로 공급되고,
상기 논으로 공급된 농업용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검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gricultural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of the fixed plate portion is supplied to the rice paddies,
And a water level detect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agricultural water supplied to the rice paddie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검출부의 수위검출값을 근거로 상기 승강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ion driving unit based on the water level detection value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제 9항에 있어서,
농업용수의 기준수위값을 설정하는 수위설정부와;
상기 수위검출부의 수위검출값과 상기 수위설정부의 기준수위값을 근거로 상기 승강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 water level setting unit for setting a reference water level value of the agricultural wat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ion driving unit based on the water level detection value of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and the reference water level value of the water level setting unit.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검출부와 상기 제어부는 무선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Wherein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communicate wirelessly.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검출부에 태양발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위검출부에 구비된 태양발전부에 의해 발생된 전원이 축전되는 축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Wherein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is provided with a solar power generation unit and a power storage unit in which the power generated by the solar power generation unit provided in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is stored is provided.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의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하고, 관리자의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승강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Wherein the control uni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of the manager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levation driving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anager's terminal.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 camera on the seat portion;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camera at a predetermined height.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 light emitting portion in the seating portion;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light emitting unit at a predetermined height.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섬광출력부와; 상기 섬광출력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자동 및 수동급수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 scintillator output section on the seating section;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cintillation output unit at a predetermined height.
KR1020150153775A 2015-11-03 2015-11-03 Agricultural automatic and manual watering control KR1017966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775A KR101796648B1 (en) 2015-11-03 2015-11-03 Agricultural automatic and manual watering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775A KR101796648B1 (en) 2015-11-03 2015-11-03 Agricultural automatic and manual watering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980A true KR20170051980A (en) 2017-05-12
KR101796648B1 KR101796648B1 (en) 2017-11-10

Family

ID=5874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775A KR101796648B1 (en) 2015-11-03 2015-11-03 Agricultural automatic and manual watering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64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2227A (en) * 2020-07-30 2020-10-23 山东工业职业学院 Water-saving agricultural irrigation device with circulation watering function
CN112119882A (en) * 2020-09-29 2020-12-25 重庆知遨科技有限公司 Agricultural irrigation equipment
KR102351646B1 (en) * 2021-07-30 2022-01-14 유한회사 동방이노베이션 Auto flood-gate system for water supply of farm produ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802B1 (en) * 2018-01-25 2018-07-18 임헌정 Water gate opening and closing traction machine
KR102442307B1 (en) 2022-07-11 2022-09-13 이용권 Agricultural water supply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672B2 (en) * 1994-04-27 2001-06-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Motor speed control device
KR100624538B1 (en) * 2006-02-13 2006-09-15 한국농촌공사 Water supply system for water deman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2227A (en) * 2020-07-30 2020-10-23 山东工业职业学院 Water-saving agricultural irrigation device with circulation watering function
CN112119882A (en) * 2020-09-29 2020-12-25 重庆知遨科技有限公司 Agricultural irrigation equipment
KR102351646B1 (en) * 2021-07-30 2022-01-14 유한회사 동방이노베이션 Auto flood-gate system for water supply of farm produ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648B1 (en) 201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648B1 (en) Agricultural automatic and manual watering control
KR101189783B1 (en) Apparatus for improving water quality of lake
KR101328873B1 (en) Awning for fish farm with solar energy
CN104735974B (en) Animal drinking device
KR101855591B1 (en) water bloom apparatus
US9587619B2 (en) 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hafts and connecting channel
KR102117236B1 (en) Efficient complex algae removal system using sunlight, ultrasound, biodegradability and adherent microalgae
KR101522515B1 (en) Friendly eco-friendly eco-friendly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is equipped to purify contaminated river water from point pollution sources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and to produce electricity by utilizing river ecosystem
CN111837713A (en) Automatic irrigation system of hydrocone type planting equipment cultivated in a pot
KR101117325B1 (en) Photovoltaic water circulator
CN205444139U (en) Irrigation and water conservancy is with automatic floodgate that drains and irrigates in field
KR101219732B1 (en) Apparatus for improving water quality of lak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1472331A (en) Water level management equipment and farmland irrigation drainage system
KR20090038402A (en) Fish way water maintain volume or water speed slow down intermittent move open close installation siphon fish way and installation method
KR20210079706A (en) Plant Grower
CN204350866U (en) Tide simulation fluctuation rule enters the mud snail indoor culture device of draining automatically
KR200462295Y1 (en) device for opening and shutting water supply forirrigation
KR200474989Y1 (en) Laminating-type plant grow humidification apparatus
CN110668662B (en) Solar rotary tillage silt aeration devic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CN205611203U (en) Wheat is digged pit and is planted integration machine
CN214657625U (en) Emergency drainage device for municipal roads
KR102379540B1 (en) the solar electric power plant constructed on the water
KR20210144324A (en) Water supply apparatus for drought in reservoir
CN111713375A (en) Irrigation equipment for farming
CN206192464U (en) Irrigation and water conservancy is with irrigating alarm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