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932A -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 Google Patents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932A
KR20170051932A KR1020150153659A KR20150153659A KR20170051932A KR 20170051932 A KR20170051932 A KR 20170051932A KR 1020150153659 A KR1020150153659 A KR 1020150153659A KR 20150153659 A KR20150153659 A KR 20150153659A KR 20170051932 A KR20170051932 A KR 20170051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assage
moving
passage
heat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열
Original Assignee
전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창열 filed Critical 전창열
Priority to KR102015015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1932A/ko
Publication of KR20170051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2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6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the heating medium being the resistiv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는 본체, 히팅부 및 송풍기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히팅부는 상기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기는 상기 이동통로에 위치하며, 상기 히팅부 하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히팅부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히팅부케이스, 상기 히팅부케이스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열전달매체 및 상기 열전달매체에 적어도 일부가 침지되는 발열체를 포함한다. 상기 발열체는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열을 생성한다. 상기 열전달매체는 상기 발열체가 생성한 상기 열을 상기 히팅부케이스에 전달한다. 상기 송풍기는 외부로부터 상기 공기를 상기 이동통로로 유입하고, 상기 이동통로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상기 이동통로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히팅부케이스에 전달된 상기 열에 의하여 가열되며, 상기 송풍기는 가열된 상기 공기를 상기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외부에 온풍을 공급한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는 본체, 히팅부, 추가적인 히팅부, 복수의 연결관들 및 송풍기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내부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히팅부는 상기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된다.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는 상기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히팅부와 이격되게 상기 히팅부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은 상기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히팅부와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를 연결한다. 상기 송풍기는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기는 상기 히팅부와 이격되게 상기 히팅부의 상기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히팅부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히팅부케이스, 상기 히팅부케이스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열전달매체 및 상기 열전달매체에 적어도 일부가 침지되는 발열체를 포함한다.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추가적인 열전달매체 및 상기 추가적인 열전달매체에 적어도 일부가 침지되는 추가적인 발열체를 포함한다. 상기 열전달매체 및 상기 추가적인 열전달매체는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을 통하여 서로 순환된다. 이 경우,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추가적인 발열체는 각각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열을 생성한다.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추가적인 발열체가 각각 생성한 상기 열은 상기 히팅부케이스,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 및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에 전달된다. 상기 송풍기는 외부로부터 상기 공기를 상기 이동통로로 유입하고, 상기 이동통로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상기 이동통로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히팅부케이스,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 및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에 전달된 상기 열에 의하여 가열되며, 상기 송풍기는 가열된 상기 공기를 상기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외부에 온풍을 공급한다.

Description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hot air generator combined with roaster using heat transfer medium}
본 명세서에서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소에는 내부 공기를 순환하여 온풍을 제공하며, 불판 등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울 경우에 구이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열된 연기를 정화하여 내부에 온풍을 제공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식당과 같은 갇힌 공간 이외에 야외나 도심 어느 곳에서나 숯불구이 또는 직화구이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캠핑 같은 여가 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많아지면서 야외에서 직접 야외용 숯 등을 점화해 고기를 조리해 먹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는 경향이다.
이렇게 숯불구이를 이용할 때, 숯과 성형탄 자체로부터 유해물질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이 탄화되거나 양념, 육즙 등이 숯불에 떨어져 불완전 연소가 일어날 경우에도 유해물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들이 공기와 음식물을 오염시켜 대기오염과 인체에 유해함을 입힌다.
종래에 '흡입구를 가지는 흡기 덕트'와 '배출구가 형성된 숯불 장치'가 시중에 많이 나와 있지만 이들 제품들의 경우에 흡입관을 통해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유분, 냄새, 연기를 강제 흡입하여 외부로 일괄 배출시킴으로써 대기오염 발생과 에너지 낭비라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로 한국등록특허 KR 제10-1314265호 "구이기용 공기 정화장치"가 있으며, 선행기술에서는 흡입구 덕트에 정화필터를 달아 공기를 정화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은 흡입한 연기를 단순히 정화만 하고 그대로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여전히 에너지 낭비라는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선행기술에서는 직화방식을 취하므로 구이대상물에 가해지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힘들어 과도한 열이 구이대상물에 가해질 경우에 구이대상물이 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는 온도의 제어가 가능한 열전달매체를 사용하고, 열을 순환시켜 재활용할 수 있어 대기오염 문제 해소, 에너지 절감 및 구이대상물이 타는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 연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지 아니하고 이들을 정화하여 내부에 온풍을 제공함으로써 낭비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구이겸용 온풍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는 본체, 히팅부 및 송풍기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히팅부는 상기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기는 상기 이동통로에 위치하며, 상기 히팅부 하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히팅부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히팅부케이스, 상기 히팅부케이스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열전달매체 및 상기 열전달매체에 적어도 일부가 침지되는 발열체를 포함한다. 상기 발열체는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열을 생성한다. 상기 열전달매체는 상기 발열체가 생성한 상기 열을 상기 히팅부케이스에 전달한다. 상기 송풍기는 외부로부터 상기 공기를 상기 이동통로로 유입하고, 상기 이동통로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상기 이동통로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히팅부케이스에 전달된 상기 열에 의하여 가열되며, 상기 송풍기는 가열된 상기 공기를 상기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외부에 온풍을 공급한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가 개시된다. 상기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는 본체, 히팅부, 추가적인 히팅부, 복수의 연결관들 및 송풍기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내부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히팅부는 상기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된다.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는 상기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히팅부와 이격되게 상기 히팅부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은 상기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히팅부와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를 연결한다. 상기 송풍기는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기는 상기 히팅부와 이격되게 상기 히팅부의 상기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히팅부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히팅부케이스, 상기 히팅부케이스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열전달매체 및 상기 열전달매체에 적어도 일부가 침지되는 발열체를 포함한다.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추가적인 열전달매체 및 상기 추가적인 열전달매체에 적어도 일부가 침지되는 추가적인 발열체를 포함한다. 상기 열전달매체 및 상기 추가적인 열전달매체는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을 통하여 서로 순환된다. 이 경우,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추가적인 발열체는 각각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열을 생성한다.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추가적인 발열체가 각각 생성한 상기 열은 상기 히팅부케이스,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 및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에 전달된다. 상기 송풍기는 외부로부터 상기 공기를 상기 이동통로로 유입하고, 상기 이동통로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상기 이동통로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히팅부케이스,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 및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에 전달된 상기 열에 의하여 가열되며, 상기 송풍기는 가열된 상기 공기를 상기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외부에 온풍을 공급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는 직화방식이 아닌 열전달매체를 통한 열전달방식을 사용한다. 열전달매체에 전달되는 열은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발열하는 발열체에 의하여 생성되므로 히팅부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이겸용 온풍기는 화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기로 제어되는 히팅부를 활용하여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과도한 열에 의하여 고기가 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는 이동통로가 형성된 본체와 이동통로에 배치되는 송풍기를 포함한다. 송풍기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이동통로를 통하여 흐를 수 있고, 이동통로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는 히팅부에 의하여 데워질 수 있다. 히팅부에 의하여 데워진 공기는 구이겸용 온풍기가 배치된 공간에 제공될 수 있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 공간에 온풍을 제공하는 온풍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로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는 이동통로에 배치되는 필터에 의하여 정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종래에는 히팅부를 통하여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버림으로써 열에너지가 낭비되었으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이겸용 온풍기는 필터를 통하여 연기를 정화하고, 정화된 따뜻한 연기를 구이겸용 온풍기가 배치된 공간에 제공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의 일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배치"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하는”이라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의 일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의 일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에 적용되는 밸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Gap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이동통로의 측벽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에 거치된 히팅부를 포함하는 구이겸용 온풍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이동통로의 측벽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에 각각 거치된 히팅부 및 추가적인 히팅부를 포함하는 구이겸용 온풍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100)는 본체(110), 히팅부(120) 및 송풍기(13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지지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100)는 선택적으로 흡입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100)는 선택적으로 필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100)는 선택적으로 밸브(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 내부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112)가 형성된다.
히팅부(120)는 이동통로(112)와 이격되게 이동통로(112)에 배치된다. 히팅부(120)는 히팅부케이스(122), 열전달매체(124, heat transfer medium) 및 발열체(126)를 포함한다. 발열체(126)는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열을 생성하며, 열전달매체(124)는 발열체(126)가 생성한 상기 열을 히팅부케이스(122)에 전달한다. 히팅부(120)의 발열체(126)에 전달되는 상기 전기에너지는 히팅부(120)와 본체(110)가 접하는 면 또는 히팅부(120)와 지지대(140)가 접하는 면까지 외부 전원으로부터 연장된 전원공급라인을 통하여 발열체(126)에 전달될 수 있다. 발열체(126)에 전달되는 상기 외부 전원은 제어부(18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히팅부케이스(122)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열전달매체(124)는 히팅부케이스(122)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며, 발열체(126)는 열전달매체(124)의 적어도 일부에 침지된다. 히팅부케이스(122)로는 다양한 종류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금속 등과 같이 열전도도가 좋은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달매체(124)로는 다양한 유체가 사용될 수 있다. 열전달매체(124)로서 정제된 광유(Mineral oil), 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 등과 같은 글리콜 수용액, 다일릴알칸(Diarylalkane)/폴리페닐유도체(Polyphenyl derivative)/아릴에테르(Aryl ether)/디메틸실록산폴리머(Dimethyl siloxane polymer)계 등과 같은 고온용 열매체 등이 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열전달매체(124)의 선정 시에 일반적인 고려 사항으로는 1) 비열, 열전도도 및 잠열이 클 것, 2) 점도 및 유동점이 낮을 것, 3) 증기압이 낮고 비점이 높을 것, 4) 인화점 및 자연발화점이 높을 것, 5) 화학적 및 열적으로 안정하고 부식성이 없을 것, 6) 가열 및 냉각의 온도범위가 광범위할 것, 7) 공기 및 물과 접촉시 산화하지 않을 것, 8) 독성이 없고 환경오염성이 적을 것, 10) 가격이 저렴할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할 때,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이겸용 온풍기(100)에 사용되는 열전달매체(124)는 고온에서 사용할 경우에 분해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산소 등과 접촉시 열화되지 않으며, 인화성이 낮고, 인체와 접촉시 눈/피부/호흡장애 등의 유발가능성이 낮은 성질을 가지는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체(126)로는 다양한 종류의 발열체가 사용될 수 있다. 발열체(126)는 전기저항 방식의 발열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전기저항 방식의 발열체는 예로서 선형발열체, 면상발열체 등일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제공받아서 발열할 수 있는 한 발열체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발열체(126)는 제어부(180)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발열체(126)는 제어부(180)의 동작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발열할 수 있다. 일례로, 발열체(126)의 동작은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제어부(180)에 내장된 중앙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발열체(126)의 동작은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입력 명령은 본체(110)에 배치된 입력부(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표시창(미도시)을 통하여 입력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열체(126)는 가열될 수 있으며, 발열체(126)에서 생성되는 열은 열전달매체(124)를 통하여 히팅부케이스(122)에 전달될 수 있다.
송풍기(130)는 이동통로(112)에 위치하며, 히팅부(120) 하부에 배치된다. 송풍기(130)는 외부로부터 상기 공기를 이동통로(112)로 유입한다. 점선은 상기 공기의 흐름을 예로서 표시한 부분이다. 이동통로(112)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이동통로(112)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히팅부케이스(122)에 전달된 상기 열에 의하여 가열된다. 송풍기(130)는 가열된 상기 공기를 상기 외부로 배출하며,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100)는 상기 외부에 온풍을 공급한다.
송풍기(130)는 팬 블레이드(130)와 구동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는 제어부(180)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송풍기(130)의 동작은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제어부(180)에 내장된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송풍기(130)의 동작은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입력 명령은 본체(110)에 배치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표시창을 통하여 입력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송풍기(130)는 동작할 수 있으며, 송풍기(13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이동통로(112)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이동통로(112)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히팅부케이스(122)에 전달된 상기 열에 의하여 가열된 후 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지지대(140)는 히팅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지지대(140)에는 이동통로(112)로 유입된 상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제1구멍들(142)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대(140)는 도 1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관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체(110)의 이동통로(112)는 본체(110)의 상부에서 본체(110)의 하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본체(110)의 내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이동통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통로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를 형성하는 연속된 2개의 이동통로들-이하 상기 본체의 상기 상부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하부 방향을 기준으로 제1이동통로(112a) 및 제2이동통로(112b)라 함-은 제1이동통로(112a)의 타단과 제2이동통로(112b)의 일단이 서로 접하여 상기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이동통로(112a)의 상기 타단의 단면적은 제2이동통로(112b)의 상기 일단의 단면적 보다 넓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히팅부(120)는 제1이동통로(112a)와 이격되게 제1이동통로(112a)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팅부(120)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제1이동통로(112a)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히팅부(120)는 히팅부(120)의 하부면이 상기 단차와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이동통로(11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는 지지대(140)를 포함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10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와 같이 지지대(14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히팅부(120)는 히팅부(120)의 상기 하부면이 상기 단차와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이동통로(11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송풍기(130)에 의하여 이동통로(112)로 유입되어 흐르는 상기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부(120)의 상기 하부면과 제2이동통로(112b) 사이에는 공간(gap)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송풍기(130)에 의하여 이동통로(112)로 유입된 공기는 제1이동통로(112a)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히팅부(120)에 의하여 데워진다. 히팅부(120)에 의하여 데워진 상기 공기는 상기 공간(gap)을 통하여 제2이동통로(112b)를 거쳐 상기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100)는 상기 외부에 온풍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40)의 타단은 상기 단차와 접하며, 히팅부(120)는 히팅부(120)의 하부면이 지지대(140)의 일단과 접하여 지지대(140)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이동통로(112)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대(140)가 상기 단차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상기 단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깎인 형상(142a)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송풍기(130)에 의하여 이동통로(112)로 유입되어 흐르는 상기 공기는 지지대(140)에 형성된 복수의 제1구멍들(142)를 통하여 흐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송풍기(130)에 의하여 이동통로(112)로 유입된 공기는 제1이동통로(112a)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히팅부(120)에 의하여 데워진다. 히팅부(120)에 의하여 데워진 상기 공기는 지지대(140)에 형성된 복수의 제1구멍들(142)을 통하여 제2이동통로(112b)를 거쳐 상기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100)는 상기 외부에 온풍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는 지지대(140)에 형성된 복수의 제1구멍들(142)을 통하여 제2이동통로(112b)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히팅부(120)의 상기 하부면과 제2이동통로(112b) 사이에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간(gap)은 없어도 무방하다.
흡입부(150)는 히팅부(1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주면 중에서 적어도 일부가 본체(110)의 상부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150)는 상기 외주면 또는 상기 외주면에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히팅부(120)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150)에는 복수의 제3구멍들(152)이 형성되며, 복수의 제3구멍들(152)은 송풍기(130)에 의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이동통로(112)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송풍기(13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이동통로(112)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히팅부(120)의 상기 상부에 복수의 제3구멍들(152)이 형성된 흡입부(150)을 배치함으로써 베르누이 원리(Principle of Bernoulli)에 의하여 흡입부(150)에 형성된 복수의 제3구멍들(152)에서 상기 공기의 흐름이 빨라진다. 이를 통하여 히팅부(120)의 상기 외부로부터 이동통로(112)로 외부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히팅부(120)의 상부에 직접 배치되거나 히팅부(120)의 상기 상부에 배치되는 불판(미도시)을 통하여 히팅부(120)의 상기 상부에 배치되어 발열체(126)로부터 히팅부케이스(122)에 전달된 열에 의하여 가열되어 구워지는 구이대상물(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유분, 냄새, 연기, 재, 먼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통로(112)로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필터(160)는 이동통로(112)에 적어도 하나 배치될 수 있다. 필터(160)는 이동통로(112)를 통하여 이동하는 상기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화할 수 있다. 다르게는, 필터(160)는 히팅부(120) 상부면에 직접 배치되거나 불판(미도시)을 통하여 히팅부(120)의 상기 상부면에 배치되어 히팅부케이스(122)에 전달된 상기 열에 의하여 가열되어 구워지는 구이대상물(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유분, 냄새, 연기, 재, 먼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정화할 수 있다. 도면에는 송풍기(130)와 이격되어 이동통로(112)의 하부에 배치된 하나의 필터(16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필터(160)는 복수개가 이동통로(11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동통로(112)를 통하여 이동하는 상기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한 필터(160)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필터(160)는 송풍기(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필터(160)로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필터(160)로서 굵은 먼지, 동물의 털, 머리카락 등을 여과하기 위한 망 또는 부직포 형태의 프리필터, 항균과 항바이러스 등의 기능을 갖는 기능성 필터, 유해가스, 곰팡이 냄새, 담배 냄새, 음식 냄새 등을 제거하는 활성탄, 촉매 등을 포함하는 탈취 필터 등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단독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원하는 기능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 선택되어 이동통로(112)에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밸브(170)는 히팅부(120)의 상부 또는 상부 측면에 배치되어 히팅부케이스(122)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밸브(170)는 히팅부케이스(122)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열전달매체(124)가 발열체(126)에 의하여 가열되어 부피가 팽창하는 과정에서 히팅부케이스(122)의 상기 내부 압력이 임계압력에 이를 경우에 개방되어 히팅부케이스(122)의 상기 내부의 증기를 배출함으로써 히팅부케이스(122)의 상기 내부 압력이 상기 임계압력 이하가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밸브(170)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이겸용 온풍기(100)의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동작하거나,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임계압력을 기준으로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임계압력은 히팅부케이스(122)가 파손되지 아니하고 견딜 수 있는 압력일 수 있다.
한편, 히팅부케이스(122)의 상기 내부 압력이 증가할 경우에 히팅부케이스(122)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열전달매체(124)는 낮은 온도에서 끓을 수 있다. 이 경우, 히팅부케이스(122)에 전달되는 열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에 미달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예로, 상기 임계압력은 히팅부케이스(122)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열전달매체(124)가 끓지는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이겸용 온풍기(100)의 동작에 적절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압력일 수 있다.
도 2의 (b)에는 밸브 몸체(172), 증기 배출구(174), 밸브 마개(176) 및 탄성부(178)를 포함하는 밸브(17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증기 배출구(174)는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172)에 관통홀을 뚫어 형성할 수 있다. 밸브 마개(176)는 히팅부(120)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결관을 막을 수 있는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178)는 밸브 마개(176)의 상기 돌기 형상이 상기 연결관을 막을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는 탄성부(178)로서 코일 스프링 타입의 탄성부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밸브 마개(176)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탄성부(178)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도면에는 히팅부케이스(122)와 상기 연결관을 통하여 결합된 밸브(17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 경우, 밸브(170)는 히팅부케이스(122)에 형성된 결합구와 나사결합 또는 끼움결합을 통하여 히팅부케이스(122)와 결합될 수 있다. 히팅부케이스(122)에 형성된 상기 결합구는 열전달매체(124)를 주입하는 주입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여, 밸브(17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밸브 마개(176)는 초기에 탄성부(178)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연결관을 막고 있게 된다. 이후 히팅부(120)가 가열되어 히팅부케이스(122)의 상기 내부 압력이 임계압력에 이를 경우 상기 임계압력에 의한 증기압이 탄성부(178)의 상기 탄성력의 한 압력보다 크게 되어 밸브 마개(176)가 탄성부(178)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연결관이 개방된다. 이후, 히팅부케이스(122)의 상기 내부의 증기가 증기 배출구(174)로 배출됨으로써 히팅부케이스(122)의 상기 내부 압력은 상기 임계압력 이하로 또는 상기 임계압력으로 유지되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탄성부(178)를 이용한 기계적인 방식의 밸브(17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밸브(170)는 제어부(180)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기식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기식 밸브는 예로서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솔밸브 또는 숄밸브로 호칭되기도 한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전기신호로부터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력을 활용하여 플런저(plunger)를 움직여 솔레노이드 밸브 내를 흐르는 유체 또는 기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를 말한다. 이 경우, 외부에서 가해지는 상기 전기신호는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제어부(180)에 의해 제공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는 본체(210), 히팅부(120), 추가적인 히팅부(220), 복수의 연결관들(290) 및 송풍기(13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는 선택적으로 지지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는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지지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는 선택적으로 흡입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는 선택적으로 필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는 선택적으로 밸브(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팅부(120), 송풍기(130), 지지대(140), 흡입부(150), 필터(160) 및 밸브(17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및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의 일 실시 예(100)와 변형 예에서 사용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본체(210) 내부에는 내부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212)가 형성된다.
히팅부(120)는 이동통로(212)와 이격되게 이동통로(212)에 배치된다.
추가적인 히팅부(220)는 이동통로(212)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히팅부(120)와 이격되게 히팅부(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추가적인 히팅부(220)는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222), 추가적인 열전달매체(224) 및 추가적인 발열체(226)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발열체(226)는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열을 생성하며, 추가적인 열전달매체(224)는 추가적인 발열체(226)가 생성한 상기 열을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222)에 전달한다. 추가적인 히팅부(220)의 추가적인 발열체(226)에 전달되는 상기 전기에너지는 추가적인 히팅부(220)와 본체(210)가 접하는 면 또는 추가적인 히팅부(220)와 추가적인 지지대(240)가 접하는 면까지 외부 전원으로부터 연장된 전원공급라인을 통하여 발열체(226)에 전달될 수 있다. 발열체(226)에 전달되는 상기 외부 전원은 제어부(18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222)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추가적인 열전달매체(224)는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222)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며, 추가적인 발열체(226)는 추가적인 열전달매체(224)의 적어도 일부에 침지된다.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222), 추가적인 열전달매체(224) 및 추가적인 발열체(226)의 소재, 동작 등은 각각 도 1 및 2와 관련하여 상술한 히팅부케이스(122), 열전달매체(124) 및 발열체(126)의 소재, 동작 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추가적인 발열체(226)는 제어부(180)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추가적인 발열체(226)는 제어부(180)의 동작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발열할 수 있다. 일례로, 추가적인 발열체(226)의 동작은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제어부(180)에 내장된 중앙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추가적인 발열체(226)의 동작은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입력 명령은 본체(110)에 배치된 입력부(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표시창(미도시)을 통하여 입력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가적인 발열체(226)는 가열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발열체(226)에서 생성되는 열은 추가적인 열전달매체(224)를 통하여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222)에 전달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관들(290)은 이동통로(212)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히팅부(120)와 추가적인 히팅부(220)를 연결한다. 발열체(126) 및 추가적인 발열체(226)가 각각 생성한 상기 열은 히팅부케이스(122),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222) 및 복수의 연결관들(290)에 전달된다. 열전달매체(124) 및 추가적인 열전달매체(224)는 복수의 연결관들(290)을 통하여 서로 순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열전달매체(124) 및 추가적인 열전달매체(224)는 순환펌프(296)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순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복수의 연결관들(290)로서 사행(蛇行, meander)의 형상을 가지는 연결관(292)과 선형의 형상을 가지는 연결관(294)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선형의 형상을 가지는 연결관(294)에 배치된 하나의 순환펌프(296)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복수의 연결관들(290)로서 나선(spiral) 형상을 가지는 연결관(292)과 선형의 형상을 가지는 연결관(294)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와 달리 연결관(292) 및 연결관(294)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순환펌프(296)는 연결관(292)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순환펌프(296)는 하나가 아닌 복수 개로 구성되어 연결관(292), 연결관(294)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3에 도시된 연결관(292), 연결관(294) 및 순환펌프(296)를 활용하여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의 권리범위를 도 3에 도시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에 한정할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송풍기(130)는 이동통로(212)에 배치되며, 히팅부(120)와 이격되게 히팅부(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송풍기(130)는 외부로부터 상기 공기를 이동통로(212)로 유입한다. 이동통로(212)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이동통로(212)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히팅부케이스(122),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222) 및 복수의 연결관들(290)에 전달된 상기 열에 의하여 가열된다. 송풍기(130)는 가열된 상기 공기를 상기 외부로 배출하며,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는 상기 외부에 온풍을 공급한다.
송풍기(130)의 동작은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제어부(180)에 내장된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송풍기(130)의 동작은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입력 명령은 본체(110)에 배치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표시창을 통하여 입력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송풍기(130)는 동작할 수 있으며, 송풍기(13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이동통로(212)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이동통로(212)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히팅부케이스(122),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222) 및 복수의 연결관들(290)에 전달된 상기 열에 의하여 가열된 후 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관(292)의 형상을 사행(蛇行, meander)의 형상을 가지게 함으로써 상기 외부로부터 이동통로(212)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연결관(292)과 접하는 면적이 늘어나게 되어 보다 더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지지대(140)는 히팅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지지대(140)에는 이동통로(112)로 유입된 상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제1구멍들(142)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대(140)는 도 1 및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관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체(210)의 이동통로(212)는 본체(210)의 상부에서 본체(210)의 하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본체(210)의 내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이동통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통로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를 형성하는 연속된 2개의 이동통로들-이하 상기 본체의 상기 상부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하부 방향을 기준으로 제1이동통로(212a) 및 제2이동통로(212b)라 함-은 제1이동통로(212a)의 타단과 제2이동통로(212b)의 일단이 서로 접하여 상기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이동통로(212a)의 상기 타단의 단면적은 제2이동통로(212b)의 상기 일단의 단면적 보다 넓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히팅부(120)는 제1이동통로(212a)와 이격되게 제1이동통로(212a)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인 히팅부(220)는 제2이동통로(212b)와 이격되게 제2이동통로(212b)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팅부(120)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제1이동통로(212a)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히팅부(120)는 히팅부(120)의 하부면이 상기 단차와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이동통로(21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지지대(140)를 포함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지지대(14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히팅부(120)는 히팅부(120)의 상기 하부면이 상기 단차와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이동통로(21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송풍기(130)에 의하여 이동통로(212)로 유입되어 흐르는 상기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히팅부(120)의 상기 하부면과 제2이동통로(212b) 사이에는 공간(gap)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송풍기(130)에 의하여 이동통로(212)로 유입된 공기는 제1이동통로(212a)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히팅부(120)에 의하여 데워진다. 히팅부(120)에 의하여 데워진 상기 공기는 상기 공간(gap)을 통하여 제2이동통로(212b)를 거쳐 상기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는 상기 외부에 온풍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히팅부(120)에 의하여 데워진 상기 공기는 복수의 연결관들(290) 및 추가적인 히팅부(220)에 의하여 한번 더 데워짐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는 보다 더 효과적으로 상기 외부에 온풍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40)의 타단은 상기 단차와 접하며, 히팅부(120)는 히팅부(120)의 하부면이 지지대(140)의 일단과 접하여 지지대(140)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이동통로(112)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대(140)가 상기 단차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상기 단차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깎인 형상(142a)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송풍기(130)에 의하여 이동통로(212)로 유입되어 흐르는 상기 공기는 지지대(140)에 형성된 복수의 제1구멍들(142)을 통하여 흐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송풍기(130)에 의하여 이동통로(212)로 유입된 공기는 제1이동통로(212a)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히팅부(120)에 의하여 데워진다. 히팅부(120)에 의하여 데워진 상기 공기는 지지대(140)에 형성된 복수의 제1구멍들(142)을 통하여 제2이동통로(212b)를 거쳐 상기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는 상기 외부에 온풍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히팅부(120)에 의하여 데워진 상기 공기는 복수의 연결관들(290) 및 추가적인 히팅부(220)에 의하여 한번 더 데워짐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는 보다 더 효과적으로 상기 외부에 온풍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는 지지대(140)에 형성된 복수의 제1구멍들(142)을 통하여 제2이동통로(112b)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히팅부(120)의 상기 하부면과 제2이동통로(212b) 사이에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간(gap)은 없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예시들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의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복수의 연결관들(290) 및 추가적인 히팅부(220)는 히팅부(120)가 상술한 방법으로 지지됨으로써 별도의 지지 수단 없이 제2이동통로(212b)와 이격되게 제2이동통로(212b)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연결관들(290) 및 추가적인 히팅부(22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추가적인 단차에 의하여 제2이동통로(212b)와 이격되게 제2이동통로(212b)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인 지지대(240)는 추가적인 히팅부(2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추가적인 지지대(240)에는 이동통로(212)로 유입된 상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제2구멍들(242)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추가적인 지지대(240)는 도 3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관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체(210)의 이동통로(212)는 제2이동통로(212b)와 접하여 연속되는 제3이동통로(21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이동통로(212c)의 일단은 제2이동통로(212b)의 타단과 접하여 추가적인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이동통로(212b)의 상기 타단의 단면적은 제3이동통로(212c)의 상기 일단의 단면적 보다 넓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추가적인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히팅부(120)는 앞서 상술한 방식에 의하여 제1이동통로(212a)와 이격되게 제1이동통로(212a)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인 히팅부(220)는 제2이동통로(212b)와 이격되게 제2이동통로(212b)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적인 히팅부(220)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제2이동통로(212b)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추가적인 히팅부(220)는 추가적인 히팅부(220)의 하부면이 상기 추가적인 단차와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추가적인 히팅부(220)가 이동통로(21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추가적인 지지대(240)를 포함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추가적인 지지대(24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추가적인 히팅부(220)는 추가적인 히팅부(220)의 상기 하부면이 상기 추가적인 단차와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이동통로(212), 즉 제2이동통로(212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송풍기(130)에 의하여 이동통로(212)로 유입되어 흐르는 상기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추가적인 히팅부(220)의 상기 하부면과 제3이동통로(212c) 사이에는 공간(gap)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송풍기(130)에 의하여 이동통로(212)로 유입된 공기는 제1이동통로(212a)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히팅부(120)에 의하여 데워진다. 히팅부(120)에 의하여 데워진 상기 공기는 제2이동통로(212b)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연결관들(290) 및 추가적인 히팅부(220)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데워진다. 이후 복수의 연결관들(290) 및 추가적인 히팅부(220)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데워진 상기 공기는 추가적인 히팅부(220)의 상기 하부면과 제3이동통로(212b) 사이의 상기 공간(gap)을 경유하여 제3이동통로(212c)를 거쳐 상기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는 상기 외부에 온풍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히팅부(120)에 의하여 데워진 상기 공기는 복수의 연결관들(290) 및 추가적인 히팅부(220)에 의하여 한번 더 데워짐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는 보다 더 효과적으로 상기 외부에 온풍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지지대(240)의 타단은 상기 추가적인 단차와 접하며, 추가적인 히팅부(220)는 추가적인 히팅부(220)의 하부면이 추가적인 지지대(240)의 일단과 접하여 추가적인 지지대(240)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이동통로(212)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추가적인 지지대(240)가 상기 추가적인 단차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상기 추가적인 단차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깎인 형상(242a)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송풍기(130)에 의하여 이동통로(212)로 유입되어 흐르는 상기 공기는 추가적인 지지대(240)에 형성된 복수의 제2구멍들(242)을 통하여 흐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송풍기(130)에 의하여 이동통로(212)로 유입된 공기는 제1이동통로(212a)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히팅부(120)에 의하여 데워진다. 히팅부(120)에 의하여 데워진 상기 공기는 제2이동통로(212b)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연결관들(290) 및 추가적인 히팅부(220)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데워진다. 이후 복수의 연결관들(290) 및 추가적인 히팅부(220)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데워진 상기 공기는 추가적인 지지대(240)에 형성된 복수의 제2구멍들(242)을 통하여 제3이동통로(212c)를 거쳐 상기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는 상기 외부에 온풍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히팅부(120)에 의하여 데워진 상기 공기는 복수의 연결관들(290) 및 추가적인 히팅부(220)에 의하여 한번 더 데워짐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는 보다 더 효과적으로 상기 외부에 온풍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는 추가적인 지지대(240)에 형성된 복수의 제2구멍들(242)을 통하여 제3이동통로(212c)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히팅부(220)의 상기 하부면과 제3이동통로(212c) 사이에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간(gap)은 없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예시들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200)의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결관들(290) 및 추가적인 히팅부(220)는 추가적인 히팅부(120)가 상술한 방법으로 추가적인 단차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제2이동통로(212b)와 이격되게 제2이동통로(212b)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300a)는 본체(310), 히팅부(120) 및 송풍기(13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300a)는 선택적으로 흡입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300a)는 선택적으로 필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300a)는 선택적으로 밸브(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300b)는 본체(310), 히팅부(120), 추가적인 히팅부(220), 복수의 연결관들(290) 및 송풍기(13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300b)는 선택적으로 흡입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300b)는 선택적으로 필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300b)는 선택적으로 밸브(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팅부(120), 추가적인 히팅부(220), 송풍기(130), 흡입부(150), 필터(160) 및 밸브(17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의 일 실시 예(100)와 변형 예, 다른 실시 예(200)에서 사용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본체(310) 내부에는 내부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312)가 형성된다.
히팅부(120)는 이동통로(312)와 이격되게 이동통로(312)에 배치된다. 히팅부(120) 외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히팅부 지지부(314)가 배치될 수 있다. 히팅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히팅부 지지부(314)가 본체(310)의 이동통로(312)의 측벽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미도시)에 거치됨으로써 이동통로(312)와 이격되게 이동통로(312)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부는 본체(310)의 이동통로(312)의 상기 측벽에 제1관통홀(314a)을 뚫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팅부 지지부(314)는 제1관통홀(314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된 히팅부 지지부(314)의 일단을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히팅부(120)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1걸림부는 본체(310)의 이동통로(312)의 상기 측벽에 본체(120)의 상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함몰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팅부(120)는 히팅부 지지부(314)가 상기 함몰부의 일단에서 고정됨으로써 이동통로(312)와 이격되게 이동통로(31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 히팅부(120)를 이동통로(312)와 이격되게 이동통로(312)에 배치할 수 있는 한 상기 제1걸림부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추가적인 히팅부(220)는 이동통로(312)와 이격되게 이동통로(312)에 배치된다. 추가적인 히팅부(220) 외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히팅부 지지부(316)가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인 히팅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히팅부 지지부(316)가 본체(310)의 이동통로(312)의 측벽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미도시)에 거치됨으로써 이동통로(312)와 이격되게 이동통로(312)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걸림부는 본체(310)의 이동통로(312)의 상기 측벽에 제2관통홀(316a)을 뚫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적인 히팅부 지지부(316)는 제2관통홀(316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된 추가적인 히팅부 지지부(316)의 일단을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추가적인 히팅부(220)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2걸림부는 본체(310)의 이동통로(312)의 상기 측벽에 본체(120)의 상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추가적인 함몰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적인 히팅부(220)는 추가적인 히팅부 지지부(316)가 상기 추가적인 함몰부의 일단에서 고정됨으로써 이동통로(312)와 이격되게 이동통로(31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 추가적인 히팅부(220)를 이동통로(312)와 이격되게 이동통로(312)에 배치할 수 있는 한 상기 제2걸림부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도 4에 도시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300a, 300b)의 동작은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100, 200)의 동작으로부터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다시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100, 200, 300a, 300b)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100, 200, 300a, 300b)는 직화방식이 아닌 열전달매체를 통한 열전달방식을 사용한다. 열전달매체에 전달되는 열은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발열하는 발열체에 의하여 생성되므로 히팅부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이겸용 온풍기 온풍기(100, 200, 300a, 300b)는 화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기로 제어되는 히팅부(120), 추가적인 히팅부(220)를 활용하여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과도한 열에 의하여 고기가 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100, 200, 300a, 300b)는 이동통로(112, 212, 312)가 형성된 본체(110, 210, 310)와 이동통로(112, 212, 312)에 배치되는 송풍기(130)를 포함한다. 송풍기(13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이동통로(112, 212, 312)를 통하여 흐를 수 있고, 이동통로(112, 212, 312)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는 히팅부(120) 또는 히팅부(120) 및 추가적인 히팅부(220)에 의하여 데워질 수 있다. 히팅부(120) 또는 히팅부(120) 및 추가적인 히팅부(220)에 의하여 데워진 공기는 구이겸용 온풍기(100, 200, 300a, 300b)가 배치된 공간에 제공될 수 있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이겸용 온풍기 온풍기(100, 200, 300a, 300b)는 상기 공간에 온풍을 제공하는 온풍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이겸용 온풍기(100, 200, 300a, 300b)는 식당이나 가정 등에서 온풍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구이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식당 등에서 손님이 뜸한 한가한 시간에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이겸용 온풍기(100, 200, 300a, 300b)를 온풍기로 사용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미리 예열될 수 있으므로 갑자기 손님이 방문하는 바쁜 점심시간이나 저녁 시간에 큰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구이용도로 전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동통로(112, 212, 312)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는 이동통로(112, 212, 312)에 배치되는 필터(160)에 의하여 정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종래에는 화로를 통하여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버림으로써 열에너지가 낭비되었으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이겸용 온풍기(100, 200, 300a, 300b)는 필터(160)를 통하여 연기를 정화하고, 정화된 따뜻한 연기를 구이겸용 온풍기(100, 200, 300a, 300b)가 배치된 공간에 제공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한편, 도면에는 송풍기(130)에 의하여 외부공기가 상부에서 유입되어 하부로 배출되는 구이겸용 온풍기(100, 200, 300a, 300b)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송풍기(130)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온풍기(100, 200, 300a, 300b)의 측면으로 배출될 수도 있다. 이는 이동통로(112, 212)의 일단을 온풍기(100, 200, 300a, 300b)의 상기 측면으로 연장하면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누구나 상술한 내용에서 유추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구이겸용 온풍기(100, 200, 300a, 300b)의 상부에는 덮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불판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덮개는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의 홈들을 가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이용도가 아닌 온풍기 용도로 구이겸용 온풍기(100, 200, 300a, 300b)를 사용할 경우에 상기 덮개의 상기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기 홈들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이동통로(112, 212, 312)로 쉽게 유입될 수 있다.
한편, 히팅부(120) 또는 히팅부(120) 및 추가적인 히팅부(220)에는 온도센서(미도시), 압력센서(미도시)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들 센서는 제어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히팅부(120) 또는 히팅부(120) 및 추가적인 히팅부(220)의 온도, 내부압력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어부(180)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0 :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110 : 본체
112 : 이동통로
112a : 제1이동통로
112b : 제2이동통로
120 : 히팅부
122 : 히팅부케이스
124 : 열전달매체
126 : 발열체
130 : 송풍기
140 : 지지대
142 : 복수의 제1구멍들
142a : 단차의 깎인 형상
150 : 흡입부
152 : 복수의 제3구멍들
160 : 필터
170 : 밸브
172 : 밸브 몸체
174 : 증기 배출구
176 : 밸브 마개
178 : 탄성부
180 : 제어부
200 :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210 : 본체
212 : 이동통로
212a : 제1이동통로
212b : 제2이동통로
212c : 제3이동통로
220 : 추가적인 히팅부
222 :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
224 : 추가적인 열전달매체
226 : 추가적인 발열체
240 : 추가적인 지지대
242 : 복수의 제2구멍들
242a : 추가적인 단차의 깎인 형상
290, 292, 294 : 복수의 연결관들
296 : 순환펌프
310 : 본체
312 : 이동통로
314 : 히팅부 지지부
314a : 제1관통홀
316 : 추가적인 히팅부 지지부
316a : 제2관통홀

Claims (13)

  1. 내부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되는 히팅부; 및
    상기 이동통로에 위치하며, 상기 히팅부 하부에 배치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되,
    상기 히팅부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히팅부케이스;
    상기 히팅부케이스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열전달매체; 및
    상기 열전달매체에 적어도 일부가 침지되는 발열체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체는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열을 생성하며,
    상기 열전달매체는 상기 발열체가 생성한 상기 열을 상기 히팅부케이스에 전달하며,
    상기 송풍기는 외부로부터 상기 공기를 상기 이동통로로 유입하고, 상기 이동통로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상기 이동통로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히팅부케이스에 전달된 상기 열에 의하여 가열되며, 상기 송풍기는 가열된 상기 공기를 상기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외부에 온풍을 공급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이동통로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이동통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통로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를 형성하는 연속된 2개의 이동통로들-이하 상기 본체의 상기 상부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하부 방향을 기준으로 제1이동통로 및 제2이동통로라 함-은 상기 제1이동통로의 타단과 상기 제2이동통로의 일단이 서로 접하여 상기 단차를 형성하되,
    상기 제1이동통로의 상기 타단의 단면적은 상기 제2이동통로의 상기 일단의 단면적 보다 넓으며,
    상기 히팅부는 상기 제1이동통로와 이격되게 상기 제1이동통로에 배치되되,
    상기 히팅부는 상기 히팅부의 하부면이 상기 단차와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통로로 유입된 상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제1구멍들이 형성된 관형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상기 이동통로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이동통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통로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를 형성하는 연속된 2개의 이동통로들-이하 상기 본체의 상기 상부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하부 방향을 기준으로 제1이동통로 및 제2이동통로라 함-은 상기 제1이동통로의 타단과 상기 제2이동통로의 일단이 서로 접하여 상기 단차를 형성하되,
    상기 제1이동통로의 상기 타단의 단면적은 상기 제2이동통로의 상기 일단의 단면적 보다 넓으며,
    상기 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단차와 접하며,
    상기 히팅부는 상기 제1이동통로와 이격되게 상기 제1이동통로에 배치되되,
    상기 히팅부는 상기 히팅부의 하부면이 상기 지지대의 일단과 접하여 상기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 외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히팅부 지지부가 배치되며,
    상기 히팅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히팅부 지지부가 상기 본체의 상기 이동통로의 측벽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5. 내부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되는 히팅부;
    상기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히팅부와 이격되게 상기 히팅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추가적인 히팅부;
    상기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히팅부와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들; 및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되,
    상기 송풍기는 상기 히팅부와 이격되게 상기 히팅부의 상기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히팅부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히팅부케이스;
    상기 히팅부케이스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열전달매체; 및
    상기 열전달매체에 적어도 일부가 침지되는 발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추가적인 열전달매체; 및
    상기 추가적인 열전달매체에 적어도 일부가 침지되는 추가적인 발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매체 및 상기 추가적인 열전달매체는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을 통하여 서로 순환되되,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추가적인 발열체는 각각 외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전달받아 열을 생성하며,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추가적인 발열체가 각각 생성한 상기 열은 상기 히팅부케이스,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 및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에 전달되며,
    상기 송풍기는 외부로부터 상기 공기를 상기 이동통로로 유입하고, 상기 이동통로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상기 이동통로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히팅부케이스,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케이스 및 상기 복수의 연결관들에 전달된 상기 열에 의하여 가열되며, 상기 송풍기는 가열된 상기 공기를 상기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외부에 온풍을 공급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 외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히팅부 지지부가 배치되며,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 외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히팅부 지지부가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상기 이동통로의 측벽에는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히팅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히팅부 지지부가 상기 제1걸림부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되며,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히팅부 지지부가 상기 제2걸림부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이동통로와 이격되게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이동통로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이동통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통로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를 형성하는 연속된 2개의 이동통로들-이하 상기 본체의 상기 상부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하부 방향을 기준으로 제1이동통로 및 제2이동통로라 함-은 상기 제1이동통로의 타단과 상기 제2이동통로의 일단이 서로 접하여 상기 단차를 형성하되,
    상기 제1이동통로의 상기 타단의 단면적은 상기 제2이동통로의 상기 일단의 단면적 보다 넓으며,
    상기 히팅부는 상기 제1이동통로와 이격되게 상기 제1이동통로에 배치되며,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는 상기 제2이동통로와 이격되게 상기 제2이동통로에 배치되되,
    상기 히팅부는 상기 히팅부의 하부면이 상기 단차와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히팅부가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통로로 유입된 상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제1구멍들이 형성된 관형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상기 이동통로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이동통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통로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를 형성하는 연속된 2개의 이동통로들-이하 상기 본체의 상기 상부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하부 방향을 기준으로 제1이동통로 및 제2이동통로라 함-은 상기 제1이동통로의 타단과 상기 제2이동통로의 일단이 서로 접하여 상기 단차를 형성하되,
    상기 제1이동통로의 상기 타단의 단면적은 상기 제2이동통로의 상기 일단의 단면적 보다 넓으며,
    상기 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단차와 접하며,
    상기 히팅부는 상기 제1이동통로와 이격되게 상기 제1이동통로에 배치되며,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는 상기 제2이동통로와 이격되게 상기 제2이동통로에 배치되되,
    상기 히팅부는 상기 히팅부의 하부면이 상기 지지대의 일단과 접하여 상기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히팅부가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이동통로는 상기 제2이동통로와 접하여 연속되는 제3이동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3이동통로의 일단은 상기 제2이동통로의 타단과 접하여 추가적인 단차를 형성하되,
    상기 제2이동통로의 상기 타단의 단면적은 상기 제3이동통로의 상기 일단의 단면적 보다 넓으며,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는 상기 제2이동통로와 이격되게 상기 제2이동통로에 배치되되,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는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의 하부면이 상기 추가적인 단차와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가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통로로 유입된 상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제2구멍들이 형성된 관형의 추가적인 지지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상기 이동통로는 상기 제2이동통로와 접하여 연속되는 제3이동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3이동통로의 일단은 상기 제2이동통로의 타단과 접하여 추가적인 단차를 형성하되,
    상기 제2이동통로의 상기 타단의 단면적은 상기 제3이동통로의 상기 일단의 단면적 보다 넓으며,
    상기 추가적인 지지대의 타단은 상기 추가적인 단차와 접하며,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는 상기 제2이동통로와 이격되게 상기 제2이동통로에 배치되되,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는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의 하부면이 상기 추가적인 지지대의 일단과 접하여 상기 추가적인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추가적인 히팅부가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11.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주면 중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걸려 지지되는 흡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입부는 상기 외주면 또는 상기 외주면에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히팅부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에는 복수의 제3구멍들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3구멍들은 상기 송풍기에 의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이동통로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12.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필터는 상기 이동통로를 통하여 이동하는 상기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화하거나, 상기 히팅부 상부면에 직접 배치되거나 불판을 통하여 상기 히팅부의 상기 상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히팅부케이스에 전달된 상기 열에 의하여 가열되어 구워지는 구이대상물로부터 발생되는 유분, 냄새, 연기, 재, 먼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정화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13.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의 상부 또는 상부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히팅부케이스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밸브는 상기 히팅부케이스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열전달매체가 상기 발열체에 의하여 가열되어 부피가 팽창하는 과정에서 상기 히팅부케이스의 상기 내부 압력이 임계압력에 이를 경우에 개방되어 상기 히팅부케이스의 상기 내부의 증기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히팅부케이스의 상기 내부 압력이 상기 임계압력 이하가 되도록 하는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KR1020150153659A 2015-11-03 2015-11-03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KR20170051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659A KR20170051932A (ko) 2015-11-03 2015-11-03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659A KR20170051932A (ko) 2015-11-03 2015-11-03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932A true KR20170051932A (ko) 2017-05-12

Family

ID=58740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659A KR20170051932A (ko) 2015-11-03 2015-11-03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19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291B1 (ko) * 2022-06-30 2022-12-02 삼금공업(주) 공기순환식 로스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291B1 (ko) * 2022-06-30 2022-12-02 삼금공업(주) 공기순환식 로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4972B1 (en) Smokeless grill
KR101478038B1 (ko) 무연 그릴
CN100484452C (zh) 无烟烤炉
JP2007017033A (ja) 誘導加熱調理器
CN102913967A (zh) 用于火锅或烧烤的自循环油烟净化无烟设备
CN104807051A (zh) 余热回收利用炒炉
JP2016031202A (ja) 加熱調理器
CN205458178U (zh) 一种具有烧烤功能的集成灶
CN103930006B (zh) 具有热解功能的烹调设备
CA2875460A1 (en) Oven having pyrolysis function
CN204268540U (zh) 一种整体无油烟火锅设备
KR101114290B1 (ko) 전기 로스터
KR20170051932A (ko) 열전달매체를 이용한 구이겸용 온풍기
JP5940903B2 (ja) 加熱調理器
US11684213B2 (en) Ventless hood for cooking unit
JP6198888B2 (ja) 加熱調理器
CN103620311B (zh) 高效炉灶
KR101952842B1 (ko) 실내용 숯불구이의 유체불순물 제거장치
CN106580125A (zh) 一种下排烟净化烧烤车
CN203586344U (zh) 一种无油烟火锅设备
CN203290765U (zh) 一种电热引炭无油烟烧烤炉
CN206166690U (zh) 一种无烟烧烤车
KR101542240B1 (ko) 튀김장치
KR102408819B1 (ko) 전기구이기의 보조 보온판.
KR101387401B1 (ko) 음식물이 타지 않는 그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