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548A -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548A
KR20170051548A KR1020177012182A KR20177012182A KR20170051548A KR 20170051548 A KR20170051548 A KR 20170051548A KR 1020177012182 A KR1020177012182 A KR 1020177012182A KR 20177012182 A KR20177012182 A KR 20177012182A KR 20170051548 A KR20170051548 A KR 20170051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reactor
digested sludge
biogas
nutrient
nutr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르겐 이젤러슨
Original Assignee
스캔디나비안 바이오개스 퓨얼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캔디나비안 바이오개스 퓨얼스 에이비 filed Critical 스캔디나비안 바이오개스 퓨얼스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7005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using drying or composting be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8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thermal conditioning
    • C02F11/18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thermal conditioning by pasteu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33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using fluidized bed 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6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including two or more ste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or halogenated hydrocarbons
    • C12P5/02Preparation of hydrocarbons or halogenated hydrocarbons acyclic
    • C12P5/023Meth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02F11/14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using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8Multistage treatments, e.g. repetition of the same process step under different con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06Nutrients for stimula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Y02W30/4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물(organic matter)의 혐기성 소화(anaerobic digestion)에 의해 바이오가스(biogas)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바이오가스 생산에 적절한 유기물을 제1탱크반응기(first tank reactor)(41)에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제1탱크반응기 내에서 상기 유기물을 혐기성 조건들 하에서 소화를 위한 바이오가스 생산 미생물(biogas producing microorganisms)들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탱크반응기(41) 내에서 상기 유기물을 소화하는 한편으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혐기성 소화 공정(anaerobic digestion process)으로부터 소화된 슬러지(sludge)를 상기 제1탱크반응기(41)와는 다른 제2탱크반응기(36, 41) 내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소화된 슬러지는 소정의 영양물(nutriments)들의 조성물을 포함하고; 및 상기 영양물들을 상기 제1탱크반응기(41) 내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 {Biogas producing system}
본 발명은 초기의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으로부터 수확되는 영양물들을 후속하는 시스템에서 재사용하도록 하여 미생물 효율을 개선시키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개된 유럽특허출원 제EP 1914205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 있어서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 내의 공정으로부터의 슬러지(sludge)를 탈수하고(dewatered) 그리고 동일한 공정 내에서 부분적으로 재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코발트, 셀렌, 텅스텐, 니켈 등과 같이 상기 슬러지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영양물들이 또한 동일한 공정 내에서 재사용되어 영양물들로서의 원소상 물질(elementary substances)들을 상기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 내의 상기 미생물들에게로 공급할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다.
공개된 국제특허출원 제WO 2007/114787호의 [0023] 내지 [0025]절들 내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데 요구되는 미생물들의 지속적인 공급은 또한 인입구(inlet)에서의 소화된 슬러지의 일부와 유기물을 혼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의 탱크반응기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문헌 VATTEN 62:335-340, Lund 2006에서 공개된 아사 데이비슨(Åsa Davidsson)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 내로의 및 제 라 꾸르 얀센(Jes La Cour Jansen) 저의 "혐기성 소화-위생화, 초음파처리 및 효소 정량투여 이전의 폐수 슬러지의 전처리(Pre-treatment of wastewater sludge before anaerobic digestion-hygienisation, ultrasonic treatment and enzyme dosing)"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도입 이전에서의 유기물의 전처리(pre-treatment)가 또한 선행 기술에서 공지되어 있다. 전처리된 유기물이 상기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의 상기 탱크반응기 내의 상기 미생물들에 보다 더 접근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열처리에 의한 위생화와 같은 전처리는 생물학적 슬러지(biological sludge)에서의 메탄 생산 포텐셜(methane potential)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독일특허 제DE 102007005786호는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으로부터 소화된 슬러지가 탈수되고 그리고 건조공정에서 펠릿(pellets)들이 생성되는 건조기(dryer)를 기술하고 있다. 그 후, 상기 펠릿들은 비료(fertilizer)로 사용될 수 있다.
혐기성 바이오가스 생산 공정에서 영양물들로서 재사용되기 이전에의 소화된 슬러지의 처리가 또한 제안되었다. 기술된 상기 처리에는 10분간의 열가스화(thermal gasification)(미합중국 특허 제4,289,625호), 가수분해(hydrolyzing)(미합중국 특허 제5,141,646호) 및 산화(미합중국 특허 제5,492,624호)들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선행 기술에 비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경우에 바이오가스 반응기(biogas reactor) 내의 미생물들에 원소상 물질들의 화학적 화합물들의 형태의 영양물들을 덜 요구하는 바이오가스의 생산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혐기성 조건들 하에서의 소화를 위한 바이오가스 생성 미생물들을 포함하는 제1탱크반응기 내로 유기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제2탱크반응기 내의 소정의 영양물들의 조성물을 갖는, 혐기성 소화 공정으로부터의 소화된 슬러지가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영양물들이 상기 제1탱크반응기 내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대한 하나의 잇점은 선행 기술에 비하여 원소상 물질들의 화학적 화합물들의 형태의 어떠한 영양물들을 첨가함이 없이도 저농도의 필요 영양물(necessary nutriments), 예를 들면, 에탄올 생산 공장, 도축 폐수(slaughter waste), 곡물(crops), 슈가 비트(sugar beats), 사일리지(silage), 전분(starch), 낙농폐기물(dairy waste) 등에 기초하는 소화 공정들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잇점 및 관점은 선행 기술의 시스템들에 비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혐기성 소화 공정에서 증가된 양의 바이오가스가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된 슬러지는 위생화 처리되어 영양물 첨가제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영양물 첨가제가 상기 제1탱크반응기 내의 바이오가스 생성 미생물들에 공급된다.
상기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한 하나의 잇점은 선행 기술의 시스템들에 비하여 하나의 바이오가스 생산 설비(biogas producing facility)로부터의 위생화된 슬러지 내에 포함된 영양물들이 다른 원격위치된(remote located) 바이오가스 생산 설비에로 보다 용이하게 수송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목적들 및 잇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숙련된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소화된 슬러지의 탈수를 포함하는 유기물로부터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선행 기술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유기물의 전처리를 포함하는 유기물로부터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선행 기술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유기물로부터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1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유기물로부터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2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탱크인입구(tank inlet)(12)를 경유하여 탱크반응기(11) 내로 도입된 유기물로부터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제1의 선행 기술의 시스템(10)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입된 유기물은 혐기성 조건 하에서 소화를 위한 바이오가스 생산 미생물들과 접촉하게 되고, 그리고 참조번호 13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기물은 소화되는 한편으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게 된다.
상기 탱크반응기(11) 내에서 상기 혐기성 소화 공정의 결과로서 소화된 슬러지가 또한 생성되며, 이는 탱크인출구(tank outlet)(14)에서 획득가능하다. 상기 소화된 슬러지는 탈수기구(dewatering device)(15) 내에서 탈수되어 탈수된 슬러지와 배출수(reject water)를 생성한다.
상기 배출수는 선택적인 공급파이프(feeding pipe)(16)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인입구(12)를 경유하여 도입되는 상기 유기물에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소화된 슬러지는 비료로서 적절하기는 하나, 그러나 또한 선택적인 피드백파이프(feedback pipe)(17)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반응기 내에서 상기 혐기성 소화 공정 내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화된 슬러지를 건조기(18) 내에서 건조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비료를 펠릿들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탱크반응기 내의 상기 바이오가스 생성 미생물들은 참조 번호 19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절하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영양물들 즉, 원소상 물질들의 화학적 화합물들이 공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탱크인입구(22)를 경유하여 상기 탱크반응기(21) 내로 도입된 유기물로부터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제2의 선행 기술의 시스템(20)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입된 유기물은 혐기성 조건 하에서 소화를 위한 바이오가스 생성 미생물들과 접촉하게 되고, 참조 번호 2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기물들이 소화되는 한편으로 바이오가스가 생성된다. 상기 탱크반응기(21) 내에서의 혐기성 소화 공정의 결과로서 또한 소화된 슬러지가 생성되고 이는 탱크인출구(24)에서 획득가능하다.
상기 유기물은 폐수처리공장(waste water treatment plant)(25)으로부터 유래되며, 폐수는 상기 탱크인입구(22)을 경유하여 상기 탱크반응기(21) 내로 도입되기 이전에 전처리유닛(pre-treatment unit)(26) 내에서 전처리공정(pre-treatment process ; 예를 들면, 초음파처리(ultrasonic treatment), 위생화(hygiennsation), 효소 투여(enzyme dosing) 등)에 적용된다. 참조 번호 29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오가스 생산 미생물들에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영양물들, 즉 원소상 물질들의 화학적 화합물들이 또한 첨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도 1 및 도 2들과 연관되어 기술된 상기 선행 기술의 시스템들은 소화에 앞선 상기 유기물의 처리 및 소화 후의 상기 소화된 슬러지의 처리를 기술하고 있다. 상기 선행 기술의 시스템의 목적은 그러한 유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산 포텐셜(biogas potential)을 증가시키는 것이기는 하나, 그러나 두 시스템들 모두 상기 탱크반응기(11, 21)들 내에 적절한 바이오가스 생산 환경을 얻기 위하여 상기 바이오가스 생산 미생물들에 원소상 물질들의 화학적 화합물들의 형태의 영양물들을 첨가하는 것이 요구된다.
코발트(Co), 셀렌(Se), 텅스텐(W) 및 니켈(Ni) 등과 같은 원소상 물질들의 화학적 화합물들의 형태의 영양물들은 고가이고 그리고 이들 물질들의 사용에 대한 제한들이 현재 유럽연합 내에서 논의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본적인 목적은 혐기성 공정으로부터 소화된 슬러지 내의 획득가능한 영양물들을 수득하고; 상기 소화된 슬러지를 위생화 공정에 적용시켜 병원체(pathogens)들을 사멸시키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탈수공정에서 상기 소화된 슬러지의 용적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상기 수확된 영양물들을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혐기성 공정에서 재사용하여 원소상 물질들(즉, 원소상 물질들 또는 이온 형태의 원소상 물질들)의 화학적 화합물들의 형태들의 영양물들을 첨가할 필요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상기 탱크반응기 내의 환경은 일차적으로는 상기 탱크반응기 내로 도입되는 유기물의 형태에 의존적이며, 적절한 바이오가스 생산 환경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미생물들이 적절하게 기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영양물들이 첨가될 것이 요구된다. 영양물들로서 화학적 화합물들 내에서 사용되는 원소상 물질들의 예들로는 질소(N), 인(P), 칼슘(Ca), 황(S), 철(Fe), 코발트(Co), 셀렌(Se), 텅스텐(W) 및 니켈(Ni)들이 있다. 슈가 비트 등과 같은 특정의 형태의 유기물들이 사용되는 경우, 염기성 증가 효과(alkaline increasing effect)를 갖는, 즉 상기 탱크반응기 내의 pH를 증가시키는 영양물들을 도입하는 것이 또한 필수적이다.
도 3은 유기물로부터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30)의 제1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시스템은 제1탱크반응기(41) 및 제2탱크반응기(31)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본 구체예에서는 동일한 위치 "A"(일점쇄선(dash dotted lines)들로 나타낸 바와 같음)에 배열된다. 상기 유기물은 탱크인입구(32)를 경유하여 상기 제2탱크반응기(31) 내로 도입된다. 상기 도입된 유기물은 혐기성 조건 하에서 소화를 위한 바이오가스 생산 미생물들과 접촉하게 되고, 그리고 참조 번호 3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기물들이 소화되는 한편으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탱크반응기(31) 내에서의 상기 혐기성 소화 공정의 결과로서 소화된 슬러지가 생성되며, 이는 탱크인출구(34)에서 획득가능하다.
상기 제2탱크반응기(31) 내로 도입된 상기 유기물은 본 구체예에 있어서는 폐수처리공장(35)으로부터 유래된 것이며, 어떠한 전처리도 없이 상기 제2탱크반응기 내로 도입된다. 자연적으로 도 2와 연관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전처리 기구(pre-treatment device)를 포함하여 상기 유기물에서의 바이오가스 생산 포텐셜을 더욱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처리유닛(36)이 상기 탱크인출구(34)로부터 소화된 슬러지를 수용하고, 그리고 상기 소화된 슬러지를 영양물 첨가제(nutriment additive)로 변형시킨다. 상기 처리유닛(36)은 위생화기구(hygienisation device)(37) 및 선택적으로 탈수기구(38)(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된 슬러지의 위생화에 더해, 상기 위생화기구(37)는 또한 상기 소화된 슬러지 내의 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선택된 위생화 공정에 따라 상기 소화된 슬러지을 안정화(이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시킬 수 있다.
유기물은 탱크인입구(42)에 부착된 공급기(feeder)를 경유하여 상기 제1탱크반응기(41) 내로 도입된다. 상기 도입된 유기물은 혐기성 조건 하에서 소화를 위한 바이오가스 생산 미생물들과 접촉하게 되고, 그리고 참조 번호 4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기물이 소화되는 한편으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게 된다. 상기 제1탱크반응기(41) 내에서의 상기 혐기성 소화 공정의 결과로서 소화된 슬러지가 생산되고, 이는 탱크인출구(44)에서 획득가능하다.
하나의 처리유닛(treatment unit)(54)가 상기 탱크인출구(44)로부터 소화된 슬러지를 수용하고, 그리고 상기 소화된 슬러지를 영양물 첨가제로 변형시킨다. 상기 처리유닛(54)은 본 구체예에 있어서는 상기 공정에서 재사용될 수 있는 배출수를 생성하는 탈수기구(48), 위생화기구(49) 및 로(furnace)(51)를 포함한다. 위생화에 앞서 탈수공정이 수행되기 때문에, 상기 위생화기구(49)는 본 구체예에 있어서는 건조기 또는 석회(lime)/소석회(slaked lime)를 첨가하도록 배치된 화학약품분산유닛(chemical dispensing unit)에 의해 실현된다. 상기 위생화로부터의 상기 영양물 첨가제는 제1영양물인입구(first nutriment inlet)(50)를 경유하여 상기 제1탱크반응기(41) 내로 도입될 수 있거나(점선) 및/또는 비료 등과 같은 다른 용도들을 위하여 펠릿들로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위생화기구(49)로부터의 상기 건조된 슬러지(또는 영양물 첨가제)의 일부는 상기 로(51)에로 진행되어 영양물 풍부 회(nutriment rich ash)를 생성하고 제2영양물인입구를 경유하여 도입된다. 상기 영양물 풍부 회는 또한 상기 제1탱크반응기 내에서 상기 유기물에 대하여 pH 증가 효과를 가지며, 이는 상기 탱크인입구(42)에서 도입된 상기 유기물이 낮은 pH를 갖는 경우에 필수적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영양물 풍부 회와 영양물 첨가제의 조합(combination), 예를 들면 70%의 영양물 풍부 회와 30%의 영양물 첨가제가 상기 상기 제1탱크반응기(41) 내로 도입되어 적절한 pH 환경 및 상기 소화된 슬러지 내에 존재하는 영양물들의 재사용을 얻을 수 있다.
사일리지, 슈가 비트, 전분, 조리용 기름(cocking oil), 식물 기반 오일(vegetable based oil), 펄프공업에서의 섬유(fibres)들, 셀룰로오스 기반 에탄올 생산에서의 폐수(effluent ; 즉, 셀룰로오스 및 헤미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상기 탱크인입구(42) 내로 도입된 상기 유기물은 본 구체예에 있어서는 낮은 농도의 영양물들 및 낮은 농도의 단백질을 갖는다.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영양물들은 상기 바이오가스 생산 미생물들에 대한 적절한 환경을 생성하기 위하여 요구되며, 별도의 영양물인입구(45)를 통하여 제공된다. 영양물들은 본 구체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2탱크반응기(31)의 인출구(34)로부터의 미처리된 소화된 슬러지로서 제공된다.
위생화 공정들
위생화 공정의 첫 번째의 구체예는 건조기 내에서 상기 소화된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것이다. 70℃의 온도에서의 1시간 동안의 건조가 상기 소화된 슬러지의 위생화 및 마찬가지로 물의 양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상기 소화된 슬러지를 안정화시키는 데 충분할 수 있다.
위생화 공정의 두 번째의 구체예는 상기 소화된 슬러지 내로 과산화수소(H2O2)를 첨가하도록 배치된 화학약품분산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화학적 공정이다. 상기 과산화수소는 화학적 산화 반응 동안에 상기 소화된 슬러지를 위생화시킬 수 있다. 다음을 참조하면, 상기 산화 반응은 후속하는 탈수공정 동안에 상기 위생화된 소화된 슬러지 내의 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소화된 슬러지를 안정화시키고 그리고 물의 양을 감소시킨다.
위생화 공정의 세 번째의 구체예는 상기 소화된 슬러지 내로 석회(CaO) 및/또는 소석회(Ca(OH)2)를 첨가하도록 배치된 다른 화학약품분산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다른 화학적 공정이다.상기 석회/소석회는 상기 소화된 슬러지 내의 어떠한 병원체들도 사멸시키는 높은 pH를 생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소화된 슬러지를 위생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탈수공정이 상기 소화된 슬러지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영양물 첨가제, 즉 처리된 소화된 슬러지 내의 물의 양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리유닛(36) 내에 탈수기구(38)가 설치된다. 상기 위생화기구(37)가 건조기로 설치되는 경우(이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소화된 슬러지는 가장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위생화에 앞서 상기 탈수기구(38) 내에서 탈수되어야 한다. 반면에, 상기 위생화기구(37)가 과산화수소를 첨가하도록 배치된 화학약품분산유닛인 경우, 상기 소화된 슬러지 내의 물질들의 결합으로 인하여 상기 탈수기구가 보다 깨끗한 배출수를 생성하도록 과산화수소의 첨가가 보조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탈수공정은 위생화 이후에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위생화기구(37)가 석회/소석회를 첨가하도록 배치된 화학약품분산유닛인 경우, 상기 탈수공정은 상기 위생화 이전 또는 이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위생화가 건조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위생화 이전에 소화된 슬러지의 일정한 비율(percentage)로 풀(grass) 등과 같은 유기물이 혼합될 수 있으며, 적절한 비율, 예를 들면 90%의 풀 및 10%의 소화된 슬러지의 비율의 유기물과 필요한 영양물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펠릿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펠릿들은 원소상 물질들의 형태의 별도의 유기물 또는 임의의 영양물들의 첨가하여야 할 필요 없이 후속의 바이오가스 생산 공정에 공급될 수 있다.
도 4는 유기물로부터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40)의 제2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제1위치(first location) "A"에 배열되는 제1탱크반응기(41) 및 제2위치 "B"에 배열되는 제2탱크반응기(46)를 포함한다. 상기 제1탱크반응기(41)는 도 3과 연관되어 기술되었으나, 상기 영양물인입구(45)에로 제공되는 영양물들은 제2위치 "B"로부터 수송된다. 영양물들은, 본 구체예에 있어서는, 도 3의 상기 처리기구(36)로부터 수득가능한 영양물 첨가제들 또는 도 1과 연관되어 기술된 상기 시스템과 유사한 제2탱크반응기를 포함하고, 또한 탈수기구(47')와 위생화기구(47")를 포함하는 처리유닛(46")을 포함하는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 등과 같은 이전의 혐기성 공정으로부터의 건조된 슬러지들 등이 펠릿들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들이다. 선택적으로, 식별번호 5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코발트가 상기 펠릿들에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펠릿들은 상기 제1탱크반응기(41)의 별도의 영양물인입구(45)에로 수송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펠릿들(코발트가 첨가되거나 또는 첨가되지 않은)은 상기 영양물인입구(45)에로 수송되기 전에 로(55) 내에서 더욱 처리된다.
대개 상기 제1탱크반응기(41)와 상기 제2탱크반응기 사이의 거리는 매우 길고 그리고 상기 영양물 첨가제/영양물 풍부 회를 수송하기 위한 비용은 중량과 용적에 의존적이다. 상기 처리유닛(46")은 중량을 96 내지 98%로, 즉 2 내지 4%의 총고형물(TS ; total solids) 및 60%의 휘발성고형물(VS ; volatile solids)의 소화된 슬러지 100톤을 70 내지 90%의 총고형물 및 65%의 휘발성고형물의 영양물 첨가제(건조된 슬러지) 2 내지 4톤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중량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선택적인 로(55)가 상기 처리유닛(46") 내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탱크반응기(46')의 위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로(55)는 상기 건조된 슬러지의 중량을 대략 65%로, 즉 2 내지 4%의 총고형물(TS) 및 60%의 휘발성고형물(VS)의 소화된 슬러지 100톤을 700 내지 1400㎏의 영양물 풍부 회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들과 연관하여 기술된 상기 두 구체예들은 초기의 바이오가스 생산 탱크반응기로부터의 상기 소화된 슬러지 내에서 획득가능한 영양물들을 후속하는 바이오가스 생산 탱크반응기 내에서 재사용하는 본 발명의 개념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소화된 슬러지의 상기 후속하는 바이오가스 생산 탱크반응기에로의 수송은 파이프라인(pipeline)을 통한 상기 소화된 슬러지의 펌핑(pumping)에 의하거나(상기 탱크반응기들 사이의 거리가 아주 멀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거리가 매우 먼 경우, 노면 교통(surface transport ; 트럭, 철도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상기 소화된 슬러지를 펌핑하는 경우, 펌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소화된 슬러지가 미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러나 노면 교통을 사용하는 경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몇몇 종류의 처리를 필요로 하는 중량 및 용적이 보다 중요하다.
동일한 위치에 위치된 탱크반응기들 사이에서의 다른 형태의 수송이 미처리되거나, 처리된, 소화된 슬러지의 수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10 : 선행 기술의 시스템 11 : 탱크반응기
12 : 탱크인입구 14 : 탱크인출구
15 : 탈수기구 16 : 공급파이프
17 : 피드백파이프 18 : 건조기
20 : 선행 기술의 시스템 21 : 탱크반응기
22 : 탱크인입구 24 : 탱크인출구
25 : 폐수처리공장 26 : 전처리유닛
30 : 시스템 31 : 제2탱크반응기
32 : 탱크인입구 34 : 탱크인출구
35 : 폐수처리공장 36 : 처리유닛
37 : 위생화기구 38 : 탈수기구
41 : 제1탱크반응기 42 : 탱크인입구
44 : 탱크인출구 45 : 영양물인입구
46 : 제2탱크반응기 46' : 제2탱크반응기
46" : 처리유닛 47' : 탈수기구
47" : 위생화기구 48 : 탈수기구
49 : 위생화기구 50 : 제1영양물인입구
51 : 로 54 : 처리유닛
55 : 로 56 : 탱크인출구

Claims (6)

  1.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유기물의 혐기성 소화에서의 소화된 슬러지로부터 수확되는 영양물을 재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a) 바이오가스 생산에 적절한 유기물을 제1탱크반응기(41)에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제1탱크반응기 내에서, 혐기성 조건들 하에서 소화를 위하여 상기 유기물을 바이오가스 생산 미생물들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제1탱크반응기(41) 내에서 상기 유기물을 소화시키는 한편으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단계;
    c) 상기 제1탱크반응기(41)와는 다른 제2탱크반응기(31; 46) 내에서의 혐기성 소화 공정으로부터 소화된 슬러지를 제공하는 단계, 여기에서 상기 소화된 슬러지가 소정의 영양물들의 조성을 포함함; 및
    d) 상기 영양물들을 상기 제1탱크반응기(41) 내로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법이
    c1) 상기 단계 c) 이후에 상기 소화된 슬러지의 제1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처리는,
    c1.1) 상기 소화된 슬러지를 위생화 기구(47'')에서 위생화시켜 영양물 첨가제를 형성하는 단계; 및
    c1.2) 상기 단계 c1.1) 이전에 탈수 기구(47') 내에서 상기 소화된 슬러지를 탈수시켜 영양물 첨가제를 형성하는 상기 단계c1.1)에서 위생화될 탈수된 소화 슬러지를 형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상기 단계 c1.1) 이후 탈수 기구(47') 내에서 상기 소화된 슬러지를 탈수시켜 탈수된 영양물 첨가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처리는, 상기 혐기성 소화에서 재사용 되도록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제1 탱크 반응기(41) 내의 상기 바이오가스 생산 미생물들에 상기 탈수된 영양물 첨가제를 공급하기 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의 혐기성 소화에 의하여 영양물을 재사용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1.1)가 상기 소화된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행되어 상기 영양물 첨가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의 혐기성 소화에 의하여 영양물을 재사용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c1.1)가 상기 소화된 슬러지에 과산화수소를 첨가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되어 상기 영양물 첨가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의 혐기성 소화에 의하여 영양물을 재사용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c1.1)이 상기 소화된 슬러지에 석회(CaO) 및/또는 소석회(Ca(OH)2)를 첨가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되어 상기 영양물 첨가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의 혐기성 소화에 의하여 영양물을 재사용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C2) 영양물 풍부 회의 적어도 일부를 단계 d)에서의 상기 제1탱크반응기(41) 내의 상기 바이오가스 생산 미생물들에 공급하기 전에 단계 c1) 이후에 로(55) 내에서 상기 영양물 첨가제의 적어도 일부를 연소시켜 상기 영양물 풍부 회를 생성하도록 하는 제2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의 혐기성 소화에 의하여 영양물을 재사용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된 영양물 첨가제는 단계 d)에서 상기 혐기성 소화에서 재사용 되도록 상기 제1탱크반응기(41)에서 ph 환경에 의해 한정되는 비율의 상기 생산 영양물 풍부 회와 함께 제1탱크반응기(41) 내의 상기 바이오가스 생산 미생물들에 공급되는 영양물을 재사용하기 위한 방법.



KR1020177012182A 2009-03-25 2009-12-21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 KR201700515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900376A SE0900376A1 (sv) 2009-03-25 2009-03-25 Biogasproducerande system
SE0900376-5 2009-03-25
PCT/EP2009/067643 WO2010108558A1 (en) 2009-03-25 2009-12-21 Biogas producing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7025121A Division KR20120016065A (ko) 2009-03-25 2009-12-21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548A true KR20170051548A (ko) 2017-05-11

Family

ID=420462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182A KR20170051548A (ko) 2009-03-25 2009-12-21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
KR20117025121A KR20120016065A (ko) 2009-03-25 2009-12-21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7025121A KR20120016065A (ko) 2009-03-25 2009-12-21 바이오가스 생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20021500A1 (ko)
EP (1) EP2411338B1 (ko)
KR (2) KR20170051548A (ko)
DK (1) DK2411338T3 (ko)
SE (1) SE0900376A1 (ko)
WO (1) WO2010108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78295A1 (en) 2011-02-25 2014-01-01 Telge Nät AB Method and system for sanitization of pathogen containing liquid waste in composting applications
EP2628711B1 (en) 2012-02-20 2017-09-27 Kemira Oyj Method of treatment of a slurry comprising digested organic material
CN105026321B (zh) 2012-11-16 2018-11-16 布雷高有限公司 谷物加工
CN103387286A (zh) * 2013-07-31 2013-11-13 秦家运 一种staic高效厌氧反应器
RU2655795C1 (ru) * 2017-11-17 2018-05-29 Михаил Иванович Голубенко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биогаза и удобрений из отходов свиноводческих стоков
SE543955C2 (en) * 2019-05-28 2021-10-05 Tekniska Verken I Linkoeping Ab Publ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bioga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17690A1 (de) * 1963-09-24 1969-07-31 Metallgesellschaft Ag Verfahren zum Filtrieren von Abwasserschlaemmen und/oder Zentrifugenueberlaeufen
US3847803A (en) * 1973-03-22 1974-11-12 P Fisk Process for separating and converting waste into useable products
HU176864B (en) * 1977-08-25 1981-05-28 Richter Gedeon Vegyeszet Process and equipment for the utilization of sludges forming as by-products of the purification of waste waters containing organic contamination,mainly of communal wastes
US4289625A (en) 1980-01-18 1981-09-15 Institute Of Gas Technology Hybrid bio-thermal gasification
JPS56150494A (en) * 1980-04-24 1981-11-20 Ebara Infilco Co Ltd Disposal of organic waste water
US5141646A (en) 1991-03-12 1992-08-25 Environmental Resources Management, Inc. Process for sludge and/or organic waste reduction
CA2098807C (en) 1993-02-17 1999-08-31 Alan F. Rozich Waste treatment process employing oxidation
US6464875B1 (en) * 1999-04-23 2002-10-15 Gold Kist, Inc. Food, animal, vegetable and food preparation byproduct treatment apparatus and process
SK287581B6 (sk) * 2000-08-22 2011-03-04 Gfe Patent A/S Spôsob znižovania počtu životaschopných mikrobiálnych organizmov a/alebo priónov prítomných v organickom materiáli, jednotka na výrobu bioplynu a jej použitie
JP3931221B2 (ja) * 2001-07-19 2007-06-13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有害化学物質の処理法
SE522262C2 (sv) * 2002-08-14 2004-01-27 Tekniska Verken Linkoeping Ab Sätt och anordning för framställning av biogas
SE526875C2 (sv) * 2002-08-14 2005-11-15 Tekniska Verken Linkoeping Ab Sätt och anordning för att framställa biogas ur ett organiskt material
GB2407088A (en) * 2003-10-17 2005-04-20 Christopher Paul Reynell Anaerobic waste treatment process and apparatus
US20050257909A1 (en) * 2004-05-18 2005-11-24 Erik Lindgren Board, packaging material and package as well as production and uses thereof
US20070039362A1 (en) * 2005-08-17 2007-02-22 Macura Dragan M Progressive digestion process for producing fertilizer
DE102007005786A1 (de) 2007-02-06 2008-08-14 Enthal Gmbh Rotations-Kondensations-Trocknungsanlage
DE102008002812A1 (de) * 2008-03-26 2009-10-01 Bilfinger Berger Umwelttechnik Gmbh Verfahren zum Aufbereiten von in Haushalten anfallendem häuslichen Abwas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21500A1 (en) 2012-01-26
KR20120016065A (ko) 2012-02-22
EP2411338A1 (en) 2012-02-01
WO2010108558A1 (en) 2010-09-30
DK2411338T3 (en) 2016-03-14
US20140349364A1 (en) 2014-11-27
SE533193C2 (sv) 2010-07-20
EP2411338B1 (en) 2015-12-16
SE0900376A1 (sv) 201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 et al. Nutrient recovery technologies integrated with energy recovery by waste biomass anaerobic digestion
EP1809578B1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producing biogas with anaerobic hydrolysis
Zupančič et al. Anaerobic treatment and biogas production from organic waste
Sheets et al. Beyond land application: Emerging technologies for the treatment and reuse of anaerobically digested agricultural and food waste
EP2794482B1 (en) Organics and nutrient recovery from anaerobic digester residues
EP2675770B1 (en) Organics and nutrient recovery from anaerobic digester residues
Arvanitoyannis et al. Wine waste treatment methodology
US8444861B2 (en) Method and apparatus using hydrogen peroxide and microwave system for slurries treatment
US20140349364A1 (en) Biogas producing system
Luste et al. Co-digestion of dairy cattle slurry and industrial meat-processing by-products–effect of ultrasound and hygienization pre-treatments
GB2066231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processing of organic materials containing nitrogen compounds
Luste et al. Enhanced methane production from ultrasound pre-treated and hygienized dairy cattle slurry
JP2009502455A (ja) 細胞材料含有廃棄物の嫌気性処理方法および装置
WO2005000748A1 (en) A biogas producing facility with anaerobic hydrolysis
KR20120130167A (ko) 폐수 바이오솔리드의 개선된 소화방법
JP2007001778A (ja) 生ゴミ等の肥料化方法及び肥料化装置
WO2010098343A1 (ja) メタン発酵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肥料製造装置
KR101183744B1 (ko) 원통형 또는 다각형 밀폐형 발효조에 축사 깔짚을 포함한 축사폐기물을 수분조절제로 가축분뇨 폐수 무 방류, 속성발효로 퇴, 액비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CN117136176A (zh) 用于处理家禽垫料的方法和设备
JP4248865B2 (ja) 乾式メタン発酵用有機性廃棄物の前処理方法
KR20160033967A (ko) 유기성 폐기물 감량처리 및 에너지생산 시스템
KR102315195B1 (ko) 소화슬러지로부터 탈수된 폐수의 화학적 처리를 통한 암모늄 제거 장치 및 방법
Sudalyandi et al. Enhancement of Hydrolysis
KR20220010930A (ko) 유기 폐기물 처리를 위한 플랜트 및 방법
CA2860031C (en) Organics and nutrient recovery from anaerobic digester resid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