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241A - 가습청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습청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1241A KR20170051241A KR1020160129320A KR20160129320A KR20170051241A KR 20170051241 A KR20170051241 A KR 20170051241A KR 1020160129320 A KR1020160129320 A KR 1020160129320A KR 20160129320 A KR20160129320 A KR 20160129320A KR 20170051241 A KR20170051241 A KR 201700512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ousing
- water ring
- air
- wate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24F3/1603—
-
- F24F3/1607—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 F24F2003/1617—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using a decorative founta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하여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 상기 수조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흡입한 후 상측으로 양수하고, 상기 양수된 물을 분사하는 워터링하우징; 상기 워터링하우징을 회전시키는 워터링모터; 상기 워터링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워터링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상기 워터링날개는 회전 반경 내의 액적을 쳐서 비산시킨다.
본 발명은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워터링날개가 회전반경 내에 위치된 물과 부딪혀 레인뷰 연출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워터링날개가 회전반경 내에 위치된 물과 부딪혀 레인뷰 연출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습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에어컨디셔너,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도를 유지시키는 공기청정기, 공기 중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 등이 있다.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무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자연식 증발식 가습기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공기 중의 디스크 표면에서 물이 자연증발되는 디스크식 가습기와, 물이 적셔진 가습매체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되는 가습필터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종래 가습기는 가습과정에서 유동되는 공기 중 일부가 필터에서 여과되었다.
그러나 종래 가습기는 습도가 낮은 계절에만 사용되고, 공기청정기는 가습기능이 없기 때문에, 2개의 제품을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가습기는 가습 기능이 주 기능이고,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능은 부가적인 기능이기 때문에, 공기청정기능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가습기 또는 공기청정기는 가습 또는 공기청정을 구분하여 별도로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가습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습유로에 맺힌 물방울을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하고, 가습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레인뷰를 연출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워터링날개에 부딪힌 액적을 통해 레인뷰를 연출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워터링을 위해 공급되는 물 중 일부가 워터링날개에 부딪혀 레인뷰를 연출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급수된 물 중 일부가 워터링날개에 부딪혀 레인뷰를 연출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워터링날개에 액적이 부딪혀 레인뷰를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상부급수된 물을 이용해 레인뷰를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워터링유닛에서 분사된 물을 이용해 레인뷰를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하여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 상기 수조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흡입한 후 상측으로 양수하고, 상기 양수된 물을 분사하는 워터링하우징; 상기 워터링하우징을 회전시키는 워터링모터; 상기 워터링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워터링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상기 워터링날개는 회전 반경 내의 액적을 쳐서 비산시킨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은 양수된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상기 워터링날개는 상기 분사구에서 분사된 물과 부딪히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구에서 분사된 물의 궤적 중 일부는 상기 워터링날개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분사구는 상기 워터링날개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구는 상기 워터링날개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구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각 분사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구는 상기 비주얼바디를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유로가 배치된 탑커버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 상기 수조로 낙하되는 물 중 일부는 상기 워터링날개와 부딪혀 비산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 공급된 물은 상기 워터링하우징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상기 워터링하우징에 낙하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 내측면으로 비산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은 상기 수조의 내측 저면과 흡입간격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 1 워터링하우징;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의 상단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 내부와 연통되는 제 2 워터링하우징;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의 상면을 커버하는 워터링하우징커버;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 제 2 워터링하우징 또는 워터링하우징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워터링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부;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 또는 제 2 워터링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양수된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날개는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상기 워터링날개는 상기 분사구에서 분사된 물과 부딪히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구는 상기 워터링날개 및 워터링하우징커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구는 상기 비주얼바디를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는 상기 분사구의 일부와 오버랩되고, 상기 분사구를 통해 분사되는 물과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분사구에서 분사된 물의 궤적 중 일부는 상기 워터링날개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구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각 분사구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는 상기 분사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오버랩되고, 상기 오버랩된 분사구를 통해 분사되는 물과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의 직경이 제 2 워터링하우징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에서 비산되는 물의 궤적이 상기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물의 궤적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다양한 방법으로 레인뷰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워터링을 위해 분사구에서 분사된 물 중 일부가 워터링날개에 부딪혀 레인뷰 연출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상부급수 시 공급된 물이 워터링날개에 부딪혀 레인뷰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분사구에서 분사된 물의 궤적 중 일부가 워터링날개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되기 때문에, 워터링을 위해 분사된 물 중 일부만을 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워터링하우징커버가 분사구의 일부와 오버랩되기 때문에, 분사구에서 분사된 물을 효과적으로 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상기 오버랩을 통해 비산된 물이 회전되는 워터링날개와 다시 부딪혀 비산되기 때문에, 액적을 더욱 미세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비주얼바디 내부에 레인뷰를 연출하고, 상기 레인뷰 연출과정에서 다량의 음이온이 생성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공기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에서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탑커버어셈블리 및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G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워터링하우징의 설치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M-M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워터링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는 도 14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N-N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7에 도시된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9은 도 18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B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23은 도 18의 C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24는 도 18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E-E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4의 D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F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30은 상부급수 시, 에어워시모듈 내부에서의 물의 유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1은 제 2-1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물의 궤적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32는 제 2-2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물의 궤적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공기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에서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탑커버어셈블리 및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G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워터링하우징의 설치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M-M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워터링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는 도 14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N-N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7에 도시된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9은 도 18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B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23은 도 18의 C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24는 도 18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E-E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4의 D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F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30은 상부급수 시, 에어워시모듈 내부에서의 물의 유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1은 제 2-1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물의 궤적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32는 제 2-2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물의 궤적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공기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에어에어클린모듈(100) 및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 상측에 거치되는 에어워시모듈(200)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은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공기를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여과공기를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물이 저장되는 수조(3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300)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될 때,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가능하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에어에어클린모듈(100) 위에 거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을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에어워시모듈(200)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에어에어클린모듈(100) 내부를 청소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경우,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의 상면이 사용자에게 개방된다.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은 후술하는 필터어셈블리(10)를 포함하고, 베이스바디(110)에서 필터어셈블리(10)를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는 외부에서 상기 수조(3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유로(109)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와 분리되어 구성된다. 상기 급수유로(109)는 어느 때나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작동 중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될 상태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연결유로(103)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유로(103)는 에어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에어워시모듈(200)의 유로와 에어에어클린모듈(100)의 유로가 연결유로(103)를 통해 서로 연통된다.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클린연결유로(104)라 정의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가습연결유로(105)라 정의한다.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은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다.
이하, 에어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은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어셈블리(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유닛(20)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고,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수조(300)와, 상기 수조(300)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분사하는 워터링유닛(400)과, 상기 워터링유닛(40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적셔지고, 유동되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매체(50)와, 상기 수조(300)에 결합되고, 내부를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21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 및 물이 공급되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는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송풍유로(108), 클린연결유로(104)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여과유로(102), 송풍유로(108)를 거쳐 클린유로(104)로 유동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연결유로(105), 가습유로(106),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의 클린연결유로(104) 및 에어워시모듈(200)의 가습연결유로(105)는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가습연결유로(105)를 통해 공급된 여과공기는, 가습유로(106) 및 토출유로(107)를 거쳐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급수유로(109)는 가습유로(106)와 연통되지만, 공기는 토출시키지 않고, 물만 급수받을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먼저, 에어에어클린모듈(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로 구성된다.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상기 어퍼바디(120)가 적층되고, 상기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는 조립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공기가 유동된다.
상기 로어바디(130)에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및 송풍유로(108)가 배치되고, 상기 흡입유로(101), 여과유로(102) 및 송풍유로(108)를 형성시키는 구조물들이 배치된다.
상기 어퍼바디(120)에 연결유로(103)의 일부가 배치되고, 여과된 공기를 상기 에어워시모듈(200)로 안내하기 위한 구조물들 및 에어워시모듈(200)을 거치하기 위한 구조물들이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면에 흡입구(111)가 형성된 로어바디(130)와,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결합되는 어퍼바디(12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서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여과유로(102)를 제공하고, 외부 공기에 대해 필터링을 실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탈착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직방향을 거슬러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수직방향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여과유로(102)를 형성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로어바디(130) 내부에 배치되고, 여과유로(102)를 형성하는 필터하우징(11)과, 상기 필터하우징(1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14)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은 하측이 흡입유로(101)와 연통되고, 상측이 송풍유로(108)와 연통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여과유로(102)를 거쳐 송풍유로(108)로 유동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은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측이 개구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개구면을 통해 상기 필터(14)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개구면은 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개구면은 로어바디(130)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필터(14)는 상기 로어바디(130)의 측면을 통해 삽입되고, 필터하우징(12)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필터(14)는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한다.
상기 필터(14)는 인가된 전원을 대전시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전기집진필터일 수 있다. 상기 필터(14)는 여과재를 통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14)는 다양한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14)의 여과방식 또는 필터의 여과재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여과유로(102)는 가습청정장치의 주된 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여과유로(102)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중력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즉, 상기 가습청정장치의 주된 유동방향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게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2)의 상측에 송풍유닛(20)이 배치된다.
상기 필터항우징(12)의 상측면은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송풍유닛(20)으로 유동된다.
상기 송풍유닛(20)은 공기의 유동을 생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송풍하우징(150),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가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팬(24)이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의 모터축을 아래를 향해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24)과 조립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에 상기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어셈블리(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바디(120)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내부에 송풍유로(108)을 형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로(108)에 상기 송풍팬(24)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유로(108)는 여과유로(102) 및 클린연결유로(104)를 연결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원심팬으로서,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반경방향 바깥쪽 및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외측단이 반경방향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유동되는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송풍팬(24)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팬(24)에 의해 감싸져 설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상기 송풍팬(24)에 의한 공기 유로 상에 위치되지 않고, 송풍팬(24)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베이스바디(110)의 외형을 형성하고, 로어바디(130)와 결합되는 어퍼아우터바디(128)와,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가 삽입되고, 연결유로(103)를 제공하는 어퍼이너바디(140)와,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아우터바디(128)를 결합시키고, 공기를 상기 수조(300)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70)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연결유로 및 수조삽입공간을 분리하여 배치하기 때문에, 수조(300)의 물이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어퍼이너바디를 통해 구획되어 연결유로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의 바깥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이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조(300)가 삽입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여과공기가 유입되는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에어워시유입구(31)와 대응되는 어퍼유입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유입구(121)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어퍼바디(120)가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연결유로(103)에 노출시키는 형상이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어퍼유입구(121)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베이스바디(110)의 바깥쪽을 따라 상승된 공기를 안쪽으로 모아준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킨다. 다만,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되, 그 각도를 최소화시켜 공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이너바디(140)의 외측을 360도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360도 전 방향에 대해 공기를 상기 수조(300)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로어바디(130)의 바깥쪽을 따라 안내된 공기를 안쪽으로 모아 수조(300)에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수조(300)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부(172)와, 상기 안내부(172)와 연결되고, 안내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전환부(174)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연결유로(103)를 형성한다.
상기 안내부(172)는 여과유로(102)와 대략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174)는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174)는 에어가이드(170)의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172)는 안내부(172)와 곡면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환부(174)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도, 상기 연결유로(103)를 통과하는 공기는 대략 경사진 상측 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연결유로(103) 및 여과유로(102)의 연결각을 직진방향과 유사하게 형성하여 공기의 유동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72)의 하단이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에 고정된다. 상기 전환부(174)의 상측단이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에 고정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바깥쪽에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가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를 통과한 공기는 어퍼유입구(121) 및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 수조(30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전체적으로 바스켓 형상이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는 360도 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여과공기를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고, 실시예에 따라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이너바디(140) 또는 어퍼아우터바디(128)를 결합시킨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유입구(121)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어퍼유입구(121)로 여과공기를 안내한다. 평면에서 볼때,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도넛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단은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단에 밀착된다.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측면과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측면이 일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단에는 상기 에어가이드(170)와 결합 또는 밀착되는 어퍼이너바디링(126)이 형성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이너바디링(126)을 연결하는 이너바디연장부(148)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들 및 어퍼이너바디링(126) 사이에 어퍼유입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는 수조바디연장부(380)와 대응된다. 상기 수조(300)의 거치 시,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의 내측에 수조바디연장부(380)가 위치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 및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안밖으로 겹쳐진다.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단은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과 밀착 또는 결합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하단은 어퍼아우터바디(128)와 밀착 또는 결합된다.
그래서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아우터바디(128) 사이의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는 어퍼유입구(121)로 안내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의 직경과 상기 에어가이드(170) 상단의 직경이 일치하거나 유사하다. 상기 에어가이드(170) 및 어퍼이너바디링(126)이 밀착되어 여과공기의 누출을 방지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은 에어가이드(170)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에 손잡이(1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바디(120)에 에어워시모듈(200)이 거치되는 바, 상기 손잡이(129)를 통해 가습청장장치 전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수조(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조삽입공간(125)이 형성된다.
상기 어퍼유입구(121)를 기준으로 외측에 클린연결유로(104)가 배치되고, 내측에 수조삽입공간(125)이 배치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를 따라 유동된 공기는 어퍼유입구(121)를 통과한다. 상기 수조(300)가 수조삽입공간(125)에 거치된 경우, 상기 어퍼유입구(121)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수조(300)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어퍼바디(120)의 상측에 아우터비주얼바디(214)가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비주얼바디(210)의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에어워시모듈(200)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은 삭제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아우터바디(128)에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아우터바디(128)의 외측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 또는 에어워시모듈(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가습청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설치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 내측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평면에서 볼때, 도넛형상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으로 상기 수조(300)가 삽입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 가장자리는 어퍼이너바디링(126)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에어가이드(17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커넥터(26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에어가이드(17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사용자가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를 볼 수 없도록 커버한다. 특히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 및 외측은 실링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은 어퍼이너바디(140)에 지지되고, 외측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8)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링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의 표면은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된다.
그래서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물이 맺힐 경우, 비주얼바디(210) 맺힌 물이 디스플레이(160) 표면에 투영되거나 반사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맺힌 물이 흘러내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60)에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효과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주고, 가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에 투영된 물방울 이미지는 사용자에게 청량감을 주는 감성적 효과뿐만 아니라 가습 상태를 알 수 있는 기능적 효과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의 상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은 사용자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에어워시모듈(2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유로(106)에서 레인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0은 수조(300)의 물을 분사하고, 이를 순환시킨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물을 작은 크기의 액적으로 변환시키고, 비산된 액적을 통해 여과공기를 다시 한번 씻어낸다. 비산된 물방을 통해 여과공기를 워싱(washing)할 때, 가습 및 여과가 다시 한번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연결유로(105), 가습유로(106),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수조(300), 워터링유닛(400), 가습매체(50), 비주얼바디(210),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핸들(180)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180)은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회전되며,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수납된다. 상기 핸들(180)을 통해 에어워시모듈(200)만을 간편하게 들어올릴 수 있고,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수조(30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비주얼바디(2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배치되고,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비주얼바디(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외측 가장자리에 토출유로(107)가 형성되고,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의 내측 중앙에 급수유로(109)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 대해 분리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는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어퍼바디(120)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어퍼바디(120)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전원을 제공하는 커넥터(260)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전원을 필요로하는 조작부 및 디스플레이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는 상기 커넥터(260)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는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 또는 수조(300)의 내측면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내측에 급수유로(109)가 형성되고, 비주얼바디(210)와의 사이에 토출유로(107)를 형성시킨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될 때, 탑커넥터(270)가 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탑커넥터(270)를 통해 상기 커넥터(26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급수유로(109) 주변에는 상기 수조(300)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표시부(미도시)가 배치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물을 급수할 때, 안 보이는 수조(300)의 수위가 얼만큼 찼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물을 급수하는 동선 상에 수위표시부를 배치함으로서, 사용자가 물을 과도하게 공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조(300)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위표시부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 및 커넥터(260)의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는 상부급수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조(300)는 상기 어퍼바디(12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서 회전된다.
상기 수조(30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바디(320)와, 상기 수조바디(320)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워시유입구(31)와, 상기 수조바디(3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는 수조바디연장부(3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바디(320)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조바디(3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수조(30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킨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 사이에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바디(32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바디(320)에 대하여 360도 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가습연결유로(105)와 연통된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상기 수조(300) 내부로 안내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안내함으로써 낙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비주얼바디(210)의 하단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조바디(320)의 구성을 통해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수조바디연장부(380)를 배치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복수개의 수조바디연장부(380) 중 일부는 수조(300)에 배치하고, 복수개의 수조바디연장부(380) 중 나머지는 비주얼바디(210)에 배치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비주얼바디(210) 및 수조(300)과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에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비주얼바디(210)에 개구면을 형성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키고, 수조(300)에도 개구면을 형성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와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에 배치한 후, 이를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상기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에어워시모듈(200)의 측부에 배치되고, 가습유로(106)와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가습연결유로(105)와 연통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가습매체(50)에 물을 공급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가습과정을 시각화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에어워시모듈(200) 내부에 레인뷰를 구현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켜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반경방향 바깥으로 분사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사시키는 워터링하우징(8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을 분사시키기 위해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대신 노즐을 사용하여 물을 분사하여도 무방하다.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여 가습매체(50)에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레인뷰도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고, 노즐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이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신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 또는 가습매체(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레인뷰를 구현할 수 있다. 가습매체(50)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여과공기를 가습하는데 이용된다.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 레인뷰를 구현한 후,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이 가습매체(50)를 적시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링하우징(800)에 높이가 다른 복수개의 분사구를 배치한다. 어느 하나의 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액적을 형성하여 레인뷰를 구현하고, 나머지 하나의 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가습매체(50)를 적셔 가습에 이용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린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는 물방울 형태로 맺힌 액적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상기 액적을 볼 수 있다.
특히,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은 가습매체(50)를 적셔 가습에 이용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 및 비주얼바디에서 흘러내린 물에 의해 적셔질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수조(300)와 결합되고, 상기 수조(3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바깥쪽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비주얼바디(210) 또는 어퍼바디(1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레인뷰를 관찰할 수 있는 시선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상기 어퍼바디(120)에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거치될 때,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외측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에 밀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는 빛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맺힌 액적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에도 투영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 및 디스플레이모듈(160) 2군데에서 액적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수조(300)는 공기가 소통되는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 및 가습유로(106)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의 출구이고, 가습유로(106)의 입구이다.
상기 에어에어클린모듈(100)에서 공급된 여과공기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가습유로(106) 입구에 배치되는 수조가습매체(51) 및 가습유로(106) 출구에 배치되는 토출가습매체(55)를 포함한다. 상기 가습유로(106)의 출구와 토출유로(107)의 입구는 서로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토출가습매체(55)가 토출유로(107)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연결유로(103), 가습유로(106) 및 토출유로(107)는 덕트 등과 같은 구조물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다만, 가습이 이루어지는 가습유로(106)를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 사이로 정의할 경우, 연결유로(103) 및 토출유로(107)가 자연스럽게 정의된다.
상기 연결유로(103)는 송풍하우징(150) 및 수조가습매체(51) 사이로 정의된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토출가습매체(55) 이후로 정의된다.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수조(300)의 에어워시유입구(31)에 배치된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에어워시유입구(31)와 동일 평면상, 바깥쪽, 또는 안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가습을 위해 물이 적셔지기 때문에,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의 안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적신 후 흘러내린 물은 상기 수조(300)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적신 후 흘러내린 물이 상기 수조(300) 외부로 흘러내지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과하는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한다.
상기 가습매체(50)에서 자연증발된 물에 의해 여과공기가 가습된다. 상기 자연증발은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이 증발되는 것을 말한다. 공기와의 접촉이 증가할수록, 공기의 유속이 빨라질수록, 공기 중의 압력이 낮아질수록 자연증발이 촉진된다. 상기 자연증발을 자연기화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의 자연증발을 촉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에 적셔지지만, 수조(300)에 잠기지는 않는다.
상기 수조(300)에 저장된 물과 이격되고, 분리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수조(300)에 저장된 물이 있어도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는 항상 적셔진 상태가 아니다. 즉, 가습모드로 작동될 때에만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가 적셔진 상태이고, 공기청정모드로 작동될 때에는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가습매체(55)가 건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커버하고, 공기는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관통하여 상기 수조(30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가습유로(106)의 출구 또는 토출유로(107) 입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토출가습매체(55)는 탑커버어셈블리(23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상기 토출유로(107)를 커버하고, 가습공기는 상기 토출가습매체(55)를 관통한 후, 토출유로(107)로 유동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에서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탑커버어셈블리 및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유로(107)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급수를 위한 급수유로(109)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가습매체(55)의 상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가습매체(55)가 배치된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이 배치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 상부에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는 비주얼바디(230)의 상부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의 상부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과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이 각각 제작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되어 지지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에는 하중을 가하지 않는다.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는 토출가습매체(55)가 내부에 배치되고, 비주얼바디(210)의 상부를 커버한다. 급수유로(109)는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토출유로(107)는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를 형성하는 탑커버그릴(232)과, 상기 탑커버그릴(232)에 설치되는 조작모듈(240)과, 상기 조작모듈(240)에 전원 또는 신호를 제공하는 탑커넥터(270)를 포함한다.
상기 탑커버그릴(232)은 토출유로(107)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토출구(231)와 급수유로(109)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급수구(233)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토출구(231) 및 그릴급수구(233)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그릴급수구(233)는 탑커버그릴(232)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그릴토출구(231)는 상기 그릴급수구(233)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탑커버그릴(232)은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그릴(232)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에 거치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은 탑커버그릴(232)에 결합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은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은 사용자에게 수위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조작모듈(240)에 급수유로(109)가 배치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은 탑커넥터(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탑커넥터(27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다.
상기 조작모듈(240, operation module)은 토출그릴(232)과 결합되고 내측에 급수유로(109)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된 조작하우징(250)과, 상기 조작하우징(250)에 배치된 입력부(245)와, 상기 조작하우징(250)에 배치된 수위표시부(247)와, 상기 입력부(245) 및 수위표시부(247)를 제어하는 조작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하우징(250)은 상부조작하우징(242) 및 하부조작하우징(244)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모듈(240)에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급수유로(109)의 일부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에는 급수유로(109)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조작급수구(2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급수구(241)는 조작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은 상부급수가이드(23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급수가이드(236)는 상부급수된 물을 상기 조작급수구(241)로 안내한다. 상기 조작하우징(250) 중 일부 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상부급수가이드(236)를 형성한다.
상부 급수 시, 사용자는 수조(300) 내부의 수위를 볼 수 없지만, 조작급수구(241) 주변에 배치된 수위표시부(247)를 통해 상승된 수위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부 급수 중에 수위표시부(247)를 통해 수위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급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부급수된 물은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을 통과하여 가습유로(106)로 낙하된다. 특히, 상부급수된 물은 수조(300)의 수면으로 바로 낙하되지 않고, 워터링하우징(800) 상부로 낙하된다.
상부급수 시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 중인 경우, 상부급수된 물이 워터링하우징(800) 상부에 비산되고, 이를 통해 별도의 레인뷰를 형성시킨다.
즉, 워터링유닛(400)에서 분사된 물을 통해 레인뷰를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급수된 물을 통해서도 레인뷰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G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워터링하우징의 설치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M-M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워터링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6는 도 14의 정면도이고, 도 17은 도 14의 N-N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분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효율적으로 양수하기 위한 구조가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워터링모터(4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회전 시, 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흡입한 후, 상측으로 양수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내부로 양수된 물은 분사구(410)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는 양수수단이 배치된다. 상기 양수수단은 상기 수조(300)의 물을 상측으로 양수(揚水, pumping)한다. 수조의 물을 양수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양수펌프를 통해 물을 양수한 후, 분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터링하우징을 회전시키고, 회전 시 물과 마찰 또는 상호 간섭을 형성시켜 물을 양수할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는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을 통해 물을 양수하는 구조가 제안된다. 본 실시예에서 양수수단은 물과의 마찰 또는 상호 간섭을 통해 물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양수그루브(810)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내측면에 양수수단인 양수그루브(810)가 형성된다. 상기 양수그루브(810)는 양수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양수그루브(810)는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양수그루브(8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양수그루브(810)는 워터링모터축(43) 또는 동력전달축(640)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하단은 수조(300)의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흡입간격(801)을 형성한다. 상기 흡입간격(801)을 통해 수조(300)의 물이 워터링하우징(80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하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컵 형상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컵을 거꾸로 놓은 형상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내부에는 하우징공간(805)이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내부에 수조(300)의 컬럼(35)이 위치되고, 상기 컬럼(35) 내부에 동력전달모듈(600)이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컬럼(35)을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상측으로 갈수록 평단면이 확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컬럼(35)은 상측으로 갈수록 평단면이 축소되게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및 컬럼(35)의 형상은 물을 효과적으로 양수하기 위한 형상이다. 상기 하우징공간(805)의 용적은 상측으로 갈수록 증가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될 때, 내부로 흡입된 물은 원심력에 의해 워터링하우징(800) 내주면에 밀착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내주면에 형성된 양수그루브(810)는 내부로 흡입된 물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는 흡입된 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분사구(41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구(410)는 수평방향으로 물을 토출시키게 배치된다. 상기 분사구(410)를 통해 양수된 물이 외부로 토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구(410)에서 토출된 물은 비주얼바디(210)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분사구(410)는 설계조건에 따라 그 개수가 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구(410)는 높이차를 두고 워터링하우징(800)에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상측에 배치된 분사구를 제 2 분사구로 정의하고, 워터링하우징의 중간에 배치된 분사구를 제 1 분사구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분사구에서 분사된 물은 가습에 이용된다. 상기 제 2 분사구에서 분사된 물은 가습, 워터링 및 레인뷰에 이용된다.
상기 제 2 분사구에서 분사된 물이 흘러내려 수조가습매체를 적실 수 있다.
상기 제 2 분사구에서 분사된 물이 비주얼바디에 부딪힌 후, 비산되어 레인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분사구에서 분사된 물이 비주얼바디에 부딪힌 후, 미세한 액적으로 변환되고, 이 액적들이 여과공기를 씻어내는 워터링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제 1 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 1 분사구에서 물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제 2 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 2 분사구에서 물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속도는 상기 제 1 회전속도에 비해 고속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고속으로 회전될 때에만, 상기 제 2 분사구에서 물이 토출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통상적으로 회전되는 속도에는 상기 제 2 분사구를 통해 물이 토출되지 않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분사구는 워터링하우징이 일상적으로 작동되는 모든 단계에서 물을 토출한다.
상기 제 2 분사구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분사구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워터링하우징(800)이 통상 회전속도로 회전되면, 양수된 물은 최소 제 1 분사구 보다 높게 상승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고속으로 회전되면, 양수된 물은 제 2 분사구의 높이 이상으로 상승된다.
상기 제 2 분사구는 워터링하우징(80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분사구 또한 워터링하우징(80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되지 않으면, 분사구(410)를 통해 물이 토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청정모드(에어클린모듈은 작동되고, 에어워시모듈은 정지되는 모드)로만 작동시키면, 워터링유닛(40)이 작동되지 않고, 송풍유닛(20)만 작동된다. 사용자가 가습모드로만 작동시킬 때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되고, 상기 분사구(410)를 통해 물이 토출된다. 사용자가 청정모드 및 가습모드를 동시 작동시킬 때, 상기 분사구(410)에서 토출되는 물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분사될 수 있다.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분사구(410)에서 토출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타격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된다.
사용자는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물이 분사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분사는 가습모드로 작동 중인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물의 분사를 통해 가습모드가 작동 중인 것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는 분사된 물에 의해 액적이 맺히고, 상기 액적은 아래로 흘러내리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3개의 파트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1개 또는 2개의 부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하단은 수조(300)의 저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제 1 워터링하우징(820), 제 2 워터링하우징(840), 워터링하우징커버(860) 및 워터링동력전달부(880)을 포함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동력전달축(640)과 조립되고, 상기 동력전달축(64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조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워터링동력전달부(880) 및 워터링하우징커버(860)가 동력전달축(640)과 조립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동력전달축(640)과 2개소에서 결합되고, 2개소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동력전달축(640)과 1개소에서 결합되고, 결합된 1개소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동력전달축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풀리 방식으로 워터링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치합 방식으로 워터링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인 방식으로 워터링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치 방식으로 워터링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나사산(643)이 형성된다.
상단 나사산(643)은 워터링하우징커버(860)와 조립된다. 하단 나사산는 제 2 커플러(620)와 조립된다. 상기 어퍼바디(120)에는 상기 제 2 커플러(620)와 결합되는 제 1 커플러(610)가 배치된다.
상기 어퍼바디(120)에는 워터링모터(42)가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워터링하우징(80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배치되고, 상기 워터링모터(42)에 결합된 커플러를 제 1 커플러(610)로 정의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커플러(6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플러를 제 2 커플러(620)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커플러(610) 또는 제 2 커플러(620) 중 어느 하나는 수 형상이고, 다른 하나는 암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커플러(610)가 수 형상이고, 제 2 커플러(620)가 암 형상으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커플러(610)가 제 2 커플러(620)에 삽입되는 형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커플러(620)가 상기 제 1 커플러(610)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어퍼바디(120)에 설치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상기 송풍모터(22)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송풍모터(22)와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어퍼바디(120) 내부에 상기 수조(300)가 거치된다. 상기 수조(300)가 어퍼바디(120)에 거치될 때, 상기 제 1, 2 커플러(610)(620)가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의 워터링모터축(43)은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모터축(43)의 상단에 제 1 커플러(610)가 설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은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되어 형성되고, 내측면에 양수그루브(810)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하단이 수조(300)의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흡입간격(801)을 형성한다.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은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상단에 조립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상면을 커버한다.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 또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동력전달모듈(60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 및 워터링하우징커버(860)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상측 단면이 하측 단면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은 상하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은 하측 단면이 좁은 원추형태 일 수 있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 내부에 양수그루브(810)가 형성된다. 상기 양수그루부(810)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양수그루브(810)는 워터링모터축(4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양수그루브(81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축 중심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하단은 수조(300)의 내부 저면과 이격되어 흡입간격(801)을 형성한다.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상단은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하단과 결합된다.
상기 1 워터링하우징(82)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은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은 나사결합을 통해 조립된다.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상측 외주면에 나사산(822)이 형성되고,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하측 내주면에 나사산(84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에 형성된 나사산(822)을 제 1 나사산(822)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에 형성된 나사산(842)을 제 2 나사산(842)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나사산(822)의 하측에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배리어(823)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배리어(823)은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배리어(823)은 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1 워터링하우징(820)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조립 시, 상기 제 1 배리어(823)은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하단에 밀착된다. 상기 제 1 배리어(823)은 상기 제 1 나사산(822) 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나사산(822) 및 제 1 배리어(823) 사이에 제 1 패킹(825)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패킹(825)은 제 1 워터링하우징(820)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 사이로 물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 1 패킹(825)은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패킹(825)은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패킹(825)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패킹설치리브(824)가 배치된다. 상기 패킹설치리브(824)는 제 1 나사산(822)의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킹설치리브(824)는 제 1 나사산(822)의 일부 일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 1 나사산(822)은 복수개로 형성되고, 불연속하게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고, 그 중 하나가 상기 패킹설치리브(824) 일 수 있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에는 제 1 분사구(411)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분사구(411)는 2개가 배치된다. 2개의 제 1 분사구(411)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분사구(411)는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내외측을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분사구(411)의 내측 개구면적이 외측 개구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분사구(411)는 수조가습매체(51)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적신다. 상기 제 1 분사구(411)는 수조가습매체(51)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외주면에는 워터링날개(850)가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날개(850)는 가습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 시, 상기 워터링날개(850)는 주변의 공기를 끌어들일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기능 뿐만 아니라 액적을 미세화시키는 레인뷰연출수단으로서의 기능도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배치된 가습유로(106)의 공기는 송풍팬(24)의 유동에 의해 대부분 토출유로(107) 측으로 유동되지만, 상기 워터링날개(850) 주변의 공기는 이와 반대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는 국소적으로 송풍팬(24)에 의한 공기유동과 반대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의 형상에 따라 송풍팬(24)에 의한 유동과 같은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에도 워터링날개(850)의 회전에 의해 워터링하우징(800) 주변의 공기가 워터링하우징(800) 표면으로 모이게 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에 의한 공기 유동은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주변의 물입자를 수조(300)로 유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의 회전은 풍량을 생성하고, 워터링하우징(800) 주변의 물 입자를 끌어들이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상기 워터링날개(850)에 의한 공기 유동은 급수유로(109)에서 워터링하우징(800)의 상부로 물이 낙하될 때, 낙하되는 물을 워터링하우징(800) 측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될 때, 급수유로(109)를 통해 물이 공급되는 경우, 물이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표면에 맞아 불규칙하게 비산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에 의한 공기 유동은 급수 시 비산되는 물입자를 워터링하우징(800) 표면 쪽으로 모을 수 있다.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은 제 2 분사구(412)(413)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분사구(412)(413)는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물을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분사구(412)(413)는 2개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분사구 중 하나를 제 2-1 분사구(412)라 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 2-2 분사구(413)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2-1 분사구(412) 및 제 2-2 분사구(413)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1 분사구(412) 및 제 2-2 분사구(413)는 동력전달축(640)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1 분사구(412) 및 제 2-2 분사구(413)는 소정의 높낮이차를 형성한다. 상기 제 2-1 분사구(412) 및 제 2-2 분사구(413)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제 2-1 분사구(412) 및 제 2-2 분사구(413)가 높낮이차를 형성시킴으로서, 비주얼바디(210)에 부딪히는 물 위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될 때, 제 2-1 분사구(412)에서 분산된 물과 제 2-2 분사구(413)에서 분사된 물이 서로 다른 경로로 지나가게 된다.
상기 제 2 분사구(412)(413)에서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부딪히는 물의 궤적(S3)을 분사라인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2-1 분사구(412)가 형성하는 분사라인을 제 1 분사라인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 2-2 분사구(413)가 형성되는 분사라인을 제 2 분사라인으로 정의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형성되는 상기 분사라인은 직선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상기 분사라인은 상기
분사구에서
토출되는
각도에 따라 곡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사라인의 두께는
분사구의
직경에
따라 각기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분사구의
직경이
크면 분사라인이 두껍게 형성되고
직경이
작으면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어느 한 곳을 기준으로 제 2-1 분사구(412)에서 분산된 물이 지나가고 난 후, 소정 시간 후에 다른 높이에 제 2-2 분사구(413)에서 분사된 물이 지나가게 된다. 즉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는 2개의 분사라인이 형성되고, 이러한 시각적 연출을 통해 물이 분사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다.
일정한 높이에 배치된 2개의 제 2 분사구에서 물이 토출되는 경우, 1개의 분사라인만이 형성된다. 워터링하우징(800)이 고속으로 회전되면, 제 1, 2 제 2 분사구(142)(143)가 반대방향에 위치되더라도 위상차가 극히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1개의 분사라인에서 물이 흘러내리는 것으로 착시를 일으킬 수 있다.
한편, 2개의 분사라인을 형성하는 경우, 물이 부딪히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부딪혀 발생되는 소리도 다르게 형성된다. 즉, 제 1 분사라인에서 발생되는 소리와 제 2 분사라인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다르게 형성된다. 이러한 음향차이를 통해 사용자는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되고 있음을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1개의 분사라인만이 형성되는 경우, 동일한 소리가 지속적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단순 소음으로 오인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 분사라인들을 통한 음향차이는 저시력자 또는 청각장애인들에게 작동상황을 효과적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빛이 없는 상황에서도 가습청정장치가 작동중인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분사구(412)(413) 중 적어도 하나는 워터링하우징커버(860)에 일부가 가려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1 분사구(412)는 완전 개방된 상태로 배치되고, 제 2-2 분사구(413)는 워터링하우징커버(860)에 일부가 오버랩되어 가려진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상기 제 2-2 분사구(413) 앞에 위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상기 제 2-2 분사구(413) 상측을 일부 가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링하우징커버(860)가 제 2 워터링하우징(840)과 결합될 때, 제 2-2 분사구(143) 일부와 오버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가 확산부재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물을 넓게 확산시키는 별도의 확산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워터링하우징을 사출할 때, 의도적으로 버(burr)를 형성시키고, 상기 버를 통해 분사되는 물을 확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2 분사구(413)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확산부재와 간섭되어, 분사각 및 폭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확산부재와 간섭된 물은 표면장력에 의해 확산부재 측으로 당겨진다.
확산부재와의 오버랩이 형성되지 않은 제 2-1 분사구(412)에서는 분사구의 직경과 토출된 물의 직경이 유사하게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와 오버랩이 형성된 제 2-2 분사구(413)에서는 분사구의 직경보다 더 넓은 범위로 물이 분사된다.
상기 제 2-1 분사구(412)에서 분사되는 물의 궤적을 S3라 정의하고, 상기 제 2-2 분사구(413)에서 분사되는 물의 궤적을 S4라 정의한다.
상기 제 2-2 분사구(413)는 상기 2-1 분사구(412)보다 약간 높게 위치된다. 상기 제 2-2 분사구(413)는 확산부재인 워터링하우징커버(860)의 커버바디보더(863)와 일부가 오버랩된다.
상기 제 2-2 분사구(413)를 통해 분사된 물은 상기 커버바디보더(863)와 간섭되면서 분사되기 때문에, 분사되는 물이 보다 미세화되어 분사된다.
상기 제 2-2 분사구(413)에서 분사된 액적은 제 2-1 분사구(412)에서 분사된 액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 2-2 분사구(413)에서 분사된 액적의 궤적(S4)은 제 2-1 분사구(412)에서 분사된 궤적(S3)보다 상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2 분사구(413)에서 분사된 액적은 제 2-1 분사구(412)에서 분사된 액적보다 넓게 분사된다.
한편, 상기 워터링날개(850)는 워터링하우징(800) 주변의 공기를 유동시킬 뿐만 분사구(410)에서 분사된 물을 미세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된 물이 워터링날개(850)와 부딪혀 미세화된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은 물을 미스트 형태로 미세화시킬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는 상기 제 2 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되는 모든 물을 미세화시키지는 않는다. 상기 제 2 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된 물 중 일부가 상기 워터링날개(850)와 부딪힌다.
상기 2 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된 물은 소정의 궤적(S3)을 형성하고, 회전되는 워터링날개(850)가 상기 궤적(S3) 상의 물과 부딪힌다. 즉, 상기 제 2 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된 물 중에서, 일부는 워터링날개(850)와 부딪혀 비산되고, 나머지는 워터링날개(850)와 부딪히지 않고 비주얼바디(210) 바디의 내측면에 부딪힌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에 부딪힌 물은 특정 방향이 아닌 가습유로(106)에서 넓게 비산된다. 예를 들어 워터링날개(850)에서 비산된 물은 토출가습매체(55)를 적실 수 있다. 워터링날개(850)에서 비산된 물은 비주얼바디(210)에 맺힐 수 있다. 워터링날개(850)에서 비산된 물은 가습유로(106) 상에서 부유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에 의해 미세화된 물은 레인뷰를 연출하는데 효과적이다. 미세화된 액적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작은 액적 형태로 맺힌다.
상기 워터링날개(850) 대신 워터링하우징(800)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레인뷰연출수단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분사구(410)에서 분사된 물이 레인뷰연출수단에 부딪혀 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주얼바디(210) 및 워터링하우징(800) 사이에 레인뷰연출수단으로서 메쉬(mesh)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원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이 메쉬를 통과하면서 보다 작은 액적으로 분쇄된 후 비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습유로(106)에서 발생되는 레인뷰는 레너드 효과(Lenard effect)에 의해 음이온을 생성시킬 수 있다.
레너드 효과는 물이 큰 외력을 받아 분쇄될 때, 다량의 음이온이 발생되는 현상이다.
레인뷰를 연출하는 과정에서 액적들이 비산되고, 부딪히고, 이 과정에서 다량의 음이온이 생성된다.
제 1 분사구(411)에서 분사된 물이 구조물과 부딪힐 때, 레너드 효과에 의해 음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된 물이 비주얼바디(210)에 부딪힐 때, 레너드 효과에 의해 음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된 물이 워터링날개(850)와 부딪힐 때, 레너드 효과에 의해 음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급수 시, 워터링하우징커버(860)에서 비산된 액적이 다양한 구조물에 부딪힐 때, 레너드 효과에 의해 음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레인뷰를 연출하기 위한 다양한 크기의 액적들은 생성과정에서 음이온을 생성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생성된 음이온들은 토출유로(107)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내부에는 수막회전유동을 억제하는 수막억제리브(870)가 형성된다. 상기 수막회전유동은 워터링하우징(800)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되는 유동을 의미한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양수그루브(810)은 상기 수막회전유동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수막억제리브(870)는 상기 수막회전유동을 억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에서는 물을 양수해서 제 2 워터링하우징(840)까지 상승시켜야 하기 때문에, 수막회전유동을 적극적으로 발생시키지만,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까지 상승된 물은 수막회전유동이 형성되지 않을수록 제 2 분사구(412)(413)를 통한 분사가 용이하다.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 내부에서 고속의 수막회전유동이 형성되는 경우, 물이 제 2 분사구를 통해 토출되지 않고 내부를 따라 유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에 많은 양의 물이 머무를수록 워터링하우징(800)의 진동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까지 양수된 물이 제 2 분사구(412)(413)를 통해 신속히 분사되어야 워터링하우징(800)의 편심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진동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수막억제리브(870)는 수막회전유동을 최소화시키고, 이를 통해 워터링하우징(800)의 편심 및 진동을 최소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막억제리브(870)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막억제리브(870)는 동력전달축(640)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막억제리브(870)는 수막회전유동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막회전유동은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 또는 원형으로 유동되는 바, 상기 수막억제리브(870)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막억제리브(870)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막억제리브(870)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막억제리브(870)는 3개가 배치된다. 복수개의 상기 수막억제리브(870)는 워터링하우징 내주면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막억제리브(870)의 돌출길이는 5mm이다. 상기 수막억제리브(870)의 돌출길이는 수막회전유동의 두께와 연관된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막억제리브(870)는 워터링동력전달부(880)와 연결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다릴 수막억제리브(870) 및 워터링동력전달부(880)를 분리하여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막억제리브(870)를 워터링동력전달부(880)와 연결되게 제작함으로써, 금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동력전달축(640)의 회전력을 워터링하우징(80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제 1 워터링하우징(820)과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과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별도로 제작된 후, 제 2 워터링하우징(840)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워터링하우징(800)의 축중심에 위치되는 부싱설치부(882)와, 상기 부싱설치부(882) 및 워터링하우징(800)을 연결하는 워터링연결부(88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싱설치부(882), 워터링연결부(884)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20)은 사출되어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워터링연결부(884)는 리브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워터링연결부(884)는 축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복수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연결부(884)는 수막억제리브(870)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워터링연결부(884) 및 수막억제리브(870)는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상기 부싱설치부(882)를 관통하게 설치된다.
상기 부싱설치부(882)의 하측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부싱설치부(882)의 개구된 하측을 통해 부싱(90)이 삽입된다.
상기 부싱설치부(882) 및 부싱(90)은 상하 방향으로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부싱설치부(882) 및 부싱(90)은 회전방향으로는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부싱설치부(882) 또는 부싱(90) 중 어느 하나에 부싱걸림부(93)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부싱걸림홈(88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싱(90)에 부싱걸림부(93)가 형성되고, 부싱설치부(882)에 부싱걸림홈(883)이 형성된다.
상기 부싱걸림홈(883)은 부싱설치부(882)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오목한 형상이다. 상기 부싱걸림부(93)는 부싱(90)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볼록한 형상이다.
상기 부싱걸림부(93)는 부싱걸림홈(882)에 삽입되어 끼워진다.
본 실시예와 달리 부싱설치부(882) 및 부싱(90)을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부싱(90)이 금속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을 제작할 때, 금형 내에 부싱(90)을 배치한 후 제 2 워터링하우징 재질을 사출하여 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부싱(90)은 동력전달모듈(600)의 동력전달축(640)과 결합된다.
상기 부싱(90)은 상기 동력전달축(640)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부싱(9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단한 금속재질이 아닐 경우, 마모가 발생될 수 있고, 이는 진동의 원인이 된다.
상기 부싱(90)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부싱축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부싱축중공에 상기 동력전달축(640)이 삽입된다.
상기 부싱(90)은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될 때, 진동을 저감시킨다. 상기 부싱(90)은 동력전달축(640) 상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싱(90)은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무게중심에 위치된다. 상기 부싱(90)이 워터링하우징(800)의 무게중심이 위치되기 때문에, 회전 시 워터링하우징(800)의 진동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부싱(90)과 동력전달축(640)은 끼워 맞춤으로 조립된다. 상기 부싱(90)은 상기 동력전달축(640)에 지지된다.
상기 부싱(90)을 지지하기 위해 동력전달축(640)은 축지지단(642)이 형성된다. 상기 축지지단(642)을 기준으로 상측의 직경이 작고 하측의 직경이 크다.
상기 부싱(90)은 상기 동력전달축(640)의 상측단을 통해 삽입된다.
상기 축지지단(642)는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테이퍼, 챔퍼 또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지지단(642)을 직각으로 형성할 경우, 조립과정 또는 작동과정에서 마모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축지지단(642)이 마모될 경우, 부싱(90)이 움직이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축지지단(642)이 마모될 경우, 부싱(90)이 기울어지거나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동력전달축(640)과 정렬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부싱(90) 및 동력전달축(640)의 정렬불량이 발생될 경우, 회전 시 편심이 발생되고, 이로 인한 진동이 발생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6)의 상측을 밀폐시킨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과 나사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동력전달모듈(600)과 조립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동력전달모듈(600)과 분리된 상태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이 동력전달축(640)과 결합되는 경우, 워터링하우징(800)의 편심 및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상측 개구부를 커버하는 커버바디(862)와, 상기 커버바디(86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상단을 감싸는 커버바디보더(863)와, 상기 커버바디(862)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바디보더(863)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패킹설치리브(864)와, 상기 동력전달축(640)에 고정되는 축고정부(866)와, 상기 축고정부(866) 및 패킹설치리브(864)를 연결하는 보강리브(868)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바디(862)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바디(862)의 직경은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커버바디(862)의 평면 형상은 원형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평면 형상 또한 특정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커버바디보더(863)는 상기 커버바디(862)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상기 커버바디보더(863)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바디(862)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커버바디보더(863)는 외측면에 복수개의 돌기(861)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861)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360도 형성된다. 상기 돌기(861)는 워터링하우징커버(860)를 분리할 때, 사용자에게 그립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기(861)는 상부급수 시 낙하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비산시킬 수 있다. 상부급수를 통해 낙하되는 물은 워터링하우징커버(860)로 낙하되고,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커버바디보더(863)로 유동된다. 이후 상기 돌기(861)에서 물방울 형태로 분리된 후, 비주얼바디(210) 내측면에 뿌려진다. 상기 돌기(861)는 상부급수된 물을 효과적으로 비산시킬 수 있다.
상기 팽킹설치리브(864)는 상기 커버바디보더(863)의 안쪽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바디보더(863)와 소정거리 이격된다. 상기 커버바디보더(863) 및 패킹설치리브(864) 사이에 제 2 패킹(865)이 설치된다.
상기 제 2 패킹(865)를 통해 워터링하우징커버(860)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패킹(825) 및 제 2 패킹(865)를 통해 하우징공간(805)의 물의 누수를 차단하기 때문에, 분사구(410)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 사이에서 물이 누수되거나, 또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 및 워터링하우징커버(860) 사이에서 물이 누수되는 경우, 분사구(410)에서 토출되는 물의 압력을 일정하기 유지하기 어렵다.
즉,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물의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켜도 분사구(410)에서 물이 분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커버바디보더(863)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은 억지끼움되어 조립된다.
상기 축고정부(866)은 동력전달축(640)과 조립되고, 상기 동력전달축(64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축고정부(866) 및 동력전달축(640)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동력전달축(640)의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643)이 형성된다.
상기 축고정부(866)에는 상기 동력전달축(640)과 조립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축고정부(866)에 축고정부재(867)가 배치되고, 상기 축고정부재(867)는 상기 축고정부(866)에 이중사출되어 일체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축고정부재(867)는 너트가 사용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와 달리 상기 축고정부재(867)는 금속재질이 사용된다. 동력전달축(640)이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바, 상기 동력전달축(640)과 나사결합되는 부분도 금속재질로 형성되어야 체결 시 마모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 전체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또는 상기 축고정부(866)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축고정부(866) 자체에 나사산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만 노출되고, 제 2 워터링하우징(840) 및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은 노출되지 않는다.
그래서 상기 급수유로(109)에 공급된 물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로 낙하된 물은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 표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분사된다.
회전되는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급수된 물을 회전방향을 따라 분사사키고, 우산에서 물이 떨어지는 것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돌기(861)에서 물방울이 박리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에서 회전방향으로 분사되는 물들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부딪히고, 레인뷰를 연출할 수 있다.
상기 레인뷰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맺힌 액적들이 빗방울이 흘러내리는 것처럼 나타나는 상황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그루브(810)는 수조(300)의 물을 효과적으로 양수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그루브(810)는 분사구(410)보다 낮게 위치된다. 특히 상기 워터링그루브(810)는 제 1 분사구(411) 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그루브(810)는 물에 대하여 수평방향 회전력을 수직방향으로 전환시킨다. 상기 워터링그루브(810)가 형성될 경우, 수직방향으로 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양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그루브(810)은 워터링하우징(800)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내측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워터링그루브(8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그루브(810)는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워터링하우징(82)을 사출로 제작하기 때문에, 상기 워터링그루브(810)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하여 금형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도 18은 도 7에 도시된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19은 도 18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8의 정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B가 도시된 확대도이고, 도 23은 도 18의 C가 도시된 확대도이고, 도 24는 도 18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4의 정면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E-E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28은 도 24의 D가 도시된 확대도이고, 도 29는 도 27의 F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토출가습매체하우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매체(50) 중에서 토출가습매체(55)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은 토출유로(107) 상에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은 탑커버어셈블리(23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은 탑커버어셈블리(23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은 탑커버어셈블리(230)와 별개의 구조물로 제작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은 탑커버어셈블리(230)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은 탑커버어셈블리(230)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은 비주얼바디(210)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급수유로(109) 중 일부를 형성하고, 후술하는 급수캡(1430)을 사용자에게 노출시킨다.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은 바깥쪽으로 공기가 통과되고, 안쪽으로는 물이 통과될 수 있다. 공기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되고 물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는 바깥쪽에 공기가 통과되는 토출유로(107)를 제공하고, 안쪽에 물이 통과되는 급수유로(109)를 제공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은 어퍼하우징(1410), 로어하우징(1420) 및 급수캡(1430)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하우징(1410) 및 로어하우징(1420) 사이에 상기 토출가습매체(55)가 배치된다.
상기 어퍼하우징(1410) 및 로어하우징(1420)은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된다.
상기 어퍼하우징(1410)은 전체적으로 도넛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어퍼하우징(1410)은 중앙에 배치된 어퍼이너프레임(1412)과, 상기 어퍼이너프레임(1412)의 중앙에 형성되고, 급수유로(109)를 제공하는 어퍼하우징개구부(1415)와, 상기 어퍼이너프레임(1412)과 이격되고, 외곽에 배치되는 어퍼아우터프레임(1414)과, 상기 어퍼이너프레임(1412) 및 어퍼아우터프레임(1414)을 연결시키는 어퍼메쉬프레임(1416)을 포함한다.
상기 로어하우징(1420)은 전체적으로 도넛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로어하우징(1420)은 중앙에 배치된 로어이너프레임(1422), 상기 로어이너프레임(1422)의 중앙에 형성되고, 급수유로(109)를 제공하는 로어하우징개구부(1425)와, 상기 로어이너프레임(1422)과 이격되고, 외곽에 배치되는 로어아우터프레임(1424)과, 상기 로어이너프레임(1422) 및 로어아우터프레임(1424)을 연결시키는 로어메쉬프레임(1426)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하우징(1410) 및 로어하우징(1420)의 형상은 서로 대응된다.
상기 어퍼하우징개구부(1415) 및 로어하우징개구부(1425)는 서로 연통된다.
상기 어퍼하우징(1410) 및 로어하우징(1420)은 서로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하우징(1410) 및 로어하우징(1420)은 끼움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어퍼하우징(1410) 또는 로어하우징(1420)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돌기(1411)(1413)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끼움홈(1421)(142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끼움돌기(1411)(1413)는 어퍼하우징(1410)에 형성되고, 끼움홈(1421)은 로어하우징(1420)에 형성된다. 상기 끼움돌기는 어퍼이너프레임(1412) 및 어퍼아우터프레임(1414)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은 로어이너프레임(1422) 및 로어아우터프레임(1424)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급수캡(1430)은 상기 어퍼하우징(1410) 또는 로어하우징(1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캡(1430)은 로어하우징(1420)과 분리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급수캡(1430)은 어퍼하우징(141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급수캡(1430) 및 로어하우징(1420)의 분리가능한 결합을 위해 결합돌기(1437) 및 결합홈(1427)이 형성된다.
상기 급수캡(1430) 또는 로어하우징(1420)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1437)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결합홈(1427)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캡(1430)에 결합돌기(1437)가 형성되고, 로어하우징(1420)에 결합홈(1427)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437) 및 결합홈(1427)은 수평방향에 대해 끼움결합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돌기(1437)는 급수캡(1430)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427)은 로어하우징(1420)의 중앙쪽으로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437)는 3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결합홈(1427)은 이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1427)에는 상기 결합돌기(1437)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결합돌기걸림부(1428)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걸림부(1428)는 로어하우징(1420)의 반경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제공한다.
상기 결합돌기걸림부(1428)는 로어하우징(1420)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급수캡(1430)을 로어하우징개구부(1425)에 삽입한 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결합돌기(1437) 및 결합홈(1427)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1437)가 상기 결합홈(1427)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돌기(1437)가 상기 결합돌기걸림부(1428)을 타고 넘어가면서 "딸깍"하는 조작음 및 조작감을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에는 급수되는 물을 일시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하측으로 배수하는 급수구조(1440)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조(1440)는 상기 급수유로(109) 상에 배치되고, 물이 일시 저장되는 레저버(1441, reservoir)와, 상기 급수레저버(1441)에서 상기 수조(300)로 물을 배수시키는 급수구(1445)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저(1441)는 어느 하나의 구조물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 구조물의 결합을 통해 상기 급수레저버(1441)를 형성시킨다.
상기 급수레저버(1441)는 급수유로(109) 상에 배치된 어퍼하우징(1410), 로어하우징(1420), 급수캡(1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저(1441)는 급수유로(109) 상에 배치된 어퍼하우징(1410), 로어하우징(1420), 급수캡(1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어하우징(1420) 및 급수캡(1430)의 결합을 통해 상기 급수레저버(1441)가 형성된다.
상기 로어하우징(1420)은 레저버베이스(1442) 및 레저버월(1444)를 포함한다.
상기 레저버베이스(1442) 및 레저버월(1444)은 로어이너프레임(1422)에 형성된다.
상기 레저버베이스(1442)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토출가습매체(55)는 상기 레저버베이스(1442)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레저버베이스(1442)와 로어메쉬프레임(1426)이 연결된다.
상기 레저버월(1444)은 상기 레저버베이스(144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레저버월(1444)의 안쪽에 상기 로어하우징개구부(1425)가 배치되고, 바깥쪽에 토출가습매체(55)가 배치된다. 상기 급수캡(1430)은 상기 레저버월(1444)의 안쪽에 위치된다.
상기 급수레저버(1441)는 레저버월(1444)의 안쪽, 레저버베이스(1442)의 상측 및 급수캡(1430) 바깥쪽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레저버베이스(1442)에는 급수구(1445), 끼움홈(1423), 결합홈(1427)이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1445) 및 끼움홈(1423)은 레저버월(1444) 안쪽에 배치되고, 결합홈(1427)은 레저버월(1444)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급수구(1445)는 슬릿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1445)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1445)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1445)는 상기 레저버월(1444)의 안쪽 경계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1445)를 형성하는 슬릿의 폭은 0.7 내지 0.8mm로 형성되고, 길이는 제한이 없다.
상기 급수구(1445)는 상하 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측 단면이 넓고 하측 단면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1445)의 단면은 상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아래가 뾰족한 호퍼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1445)는 이러한 단면형상을 통해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고, 물은 하측으로 배수되게 할 수 있다.
가습청정장치가 작동될 때, 공기는 가습유로(106)에서 토출유로(107)로 유동되는 바, 상기 급수구(1445)를 통해서도 일부 토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급수레저버(1441)에 물이 저장되면, 상기 급수구(1445)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지 않는다. 상기 급수레저버(1441)에 저장된 물의 자중이 공기의 압력보다 크기 때문이다.
상기 급수구(1445) 단면을 넓게 형성하는 경우, 공기가 토출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급수레저버(1441)에 저장된 물이 상측으로 흩날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급수구조(1440)는 가습청정장치가 작동될 때, 급수를 하더라도 급수레저버(1441)에서 물이 급수 반대방향으로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급수레저버(1441)의 용량을 조절하여 급수구(1445)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구(1445)를 통해 토출 가능한 풍압보다 급수레저버(1441)에 저장된 물의 자중에 의한 압력이 더 크도록 제작할 수 있다.
더불어, 슬릿형태로 제작된 상기 급수구(1445)의 폭을 좁게 형성하는 경우, 저항에 의해 공기가 상기 토출가습매체(55)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이 공극이 급수구(1445)의 단면적보다 큰 경우, 공기는 저항이 작은 토출가습매체(55) 쪽으로 유동된다. 반면에 상기 급수레저버(1441)에 물이 저장되는 경우, 자중에 의해 물은 급수구(1445)를 통해 배수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급수구(1445)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급수캡(1430) 위로 물을 공급하면, 공급된 물은 급수레저버(1441)에 일시 저장된다. 상기 급수레저버(1441)에 저장된 물은 급수구(1445)를 통해 하측으로 배수된다. 상기 급수레저버(1441)의 물은 레저버베이스(1442)에 형성된 결합홈(1427)을 통해서도 배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레저버(1441)의 물은 로어하우징개구부(1425)를 통해서도 배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레저버(1441)의 용량보다 많은 물이 공급되는 경우, 레저버월(1444)을 넘어 밖으로 넘칠 수 있다. 상기 레저버월(1444) 밖으로 물이 넘치더라도 급수된 물은 비주얼바디(210)로 낙하되거나 흘러내린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따라 흘러내린 물도 상기 수조(300)의 내부로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작동과 무관하게 수조(3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 하측에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이 배치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탑커버어셈블리(230)의 구성 없이도 가습청정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즉, 급수캡(1430)이 배치된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급수캡(1430)에 물을 부어 상부급수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상부 급수 시, 물의 유동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부급수된 물은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통과해서 아래로 낙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서 낙하된 물은 수조(300)의 수면으로 바로 낙하되지 않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상부로 낙하된다.
상기 가습청정장치가 가습모드로 작동 중인 경우(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되는 경우), 상부급수된 물은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 떨어진 후 비산되면서 레인뷰를 형성한다.
상기 가습청정장치가 정지 중인 경우 또는 청정모드로 작동 중인 경우(워터링하우징이 정지된 경우) 상부급수된 물은 워터링하우징(800)을 타고 수조(300)로 유동된다.
즉, 가습청정장치의 작동과 관계없이, 상부 급수된 물이 수조(300)의 수면으로 직접 낙하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낙수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물의 특성 상, 상부 급수된 물 중에서,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의 저면을 따라 흐르는 물은 수면으로 직접 낙하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소량이기 때문에 전체 소음에 비해 일부만을 형성한다. 특히,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의 저면에 맺힌 물이 어느 정도 물이 낙하된 후에는 가습유로(106)의 공기 유동에 의해 토출가습매체(55)로 흡수될 수 있다.
상기 상부급수된 물은 워터링하우징(800)의 워터링하우징커버(860)로 낙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로 상부급수된 물이 낙하될 수 있도록, 급수구(1445)들이 형성하는 직경에 비해 워터링하우징커버(860)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급수구(1445)의 하측에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어퍼하우징개구부(1415) 및 로어하우징개구부(1425)의 하측에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가 배치된다.
즉, 상부급수를 통해 공급되는 대부분의 물은 워터링하우징커버(860)로 낙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 중인 경우, 상부급수된 물은 워터링하우징커버(860)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비산된다. 상부 급수된 물을 효과적으로 비산시키기 위해 워터링하우징커버(860)에 돌기(861)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861)는 워터링하우징커버(86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돌기(861)는 워터링하우징커버(86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 시, 상부급수된 물을 상기 돌기(861)에서 액적으로 분리된다.
상기 돌기(861)에서 분리된 액적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부딪힌다. 이를 위해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산되는 액적이 중력에 의해 낙하되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중간높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861)는 제 2 분사구(412)(413)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돌기(861)에서 비산된 액적에 의해 레인뷰가 연출된다. 상부급수 시 형성되는 레인뷰를 통해 사용자는 급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부급수는 레인뷰와 같은 시각적인 효과 뿐만 아니라 비산된 액적이 비주얼바디(210)에 부딪혀 발생되는 소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상부급수 시 발생되는 레인뷰 사운드는 분사구(410)를 통한 사운드와는 차이가 있다. 상부급수 시 발생된 레인뷰 사운드는 양수를 통해 발생된 레인뷰 사운드보다 크게 형성되고, 불규칙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부급수 시,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액적들이 비산된다.
큰 액적의 경우, 자중에 의해 돌기(861)에서 비주얼바디(210)의 내측으로 날라간다. 큰 액적의 경우, 자중에 의해 비교적 일정한 궤적(S1)을 형성한다.
상기 궤적(S1)은 분사구(410)에서 분사되는 물의 궤적(S3)과 상이하다.
상기 제 2 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된 물의 궤적(S3)은 돌기(861)에서 비산된 궤적(S1)과 상이하다. 상기 S1 궤적이 S3 궤적보다 높게 형성된다.
작은 액적의 경우, 자중에 의한 영향보다는 가습유로(106)에 형성된 공기유동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작은 액적의 경우, 가습유로(106) 내에서 부유될 수 있다. 송풍팬(24)의 풍압 및 중력의 영향을 동시에 받기 때문에, 궤적이 불규칙할 수 있다.
작은 액적의 경우, 가습유로(106)에서 부유되다가 워터링하우징(800) 근처에서 끌어당겨지는 현상을 연출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워터링날개(850)는 부유되는 액적을 끌어당길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에 의한 공기유동은 부유 또는 비산된 액적들을 워터링하우징(800) 표면 측으로 끌어 당긴다.
상기 워터링날개(850)는 워터링하우징커버(860)에서 비산되는 액적들을 끌어당겨 수막(S2)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부급수 시, 워터링하우징(800) 주변에서 발생되는 수막은 상부급수되는 물의 양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다만, 상기 수막은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도 30은 상부급수 시, 에어워시모듈 내부에서의 물의 유동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1은 제 2-1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물의 궤적이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32는 제 2-2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물의 궤적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서 연출되는 레인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레인뷰는 창 밖으로 비가 내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의미한다. 레인뷰는 빗물이 맺힌 효과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주얼바디(210) 내부에 비가 내리는 것과 같은 효과 또는 비가 맺힌 효과가 연출된다.
상기 레인뷰가 연출될 때, 다양한 크기의 액적들이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날개(850), 제 1 분사구(411), 제 2-1 분사구(412), 제 2-2 분사구(413), 워터링하우징커버(860), 돌기(861) 및 송풍팬(24)의 공기유동은 액적들을 생성하기 위한 레인뷰연출수단이다.
상기 제 1 분사구(411), 제 2-1 분사구(412) 및 제 2-2 분사구(413)는 워터링유닛(400)에서 양수된 물을 분사할 때 사용된다. 상기 제 1 분사구(411), 제 2-1 분사구(412), 제 2-2 분사구(413)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레인뷰가 연출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 또는 돌기(861)는 상부급수 시 낙하되는 물을 비산시켜 레인뷰를 연출한다.
상기 송풍팬(24)에 의한 풍압 또는 풍량은 분사 또는 비산된 액적을 더욱 작은 크기로 분쇄할 수 있다. 송풍유닛(20)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수조가습매체(51)를 통과하면서 액적들을 더욱 미세화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20)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가습유로(106)에서 낙하되는 공기를 미세화시킬 수 있다. 송풍유닛(20)에 의한 공기는 중력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공기와 낙하되는 액적이 부딪혀 미세화될 수 있다.
상술한 레인뷰연출수단에 의해 생성된 액적들은 가습유로(106)에서 유동되거나 부유될 수 있다. 상기 가습유로(106)의 액적들은 유동되는 공기를 가습할 수 있고,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물방울 형태로 맺힐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맺힌 물방울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 경사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수조(300)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게 형성된다. 그래서 비주얼바디(210)를 따라 흐르는 액적의 체류시간을 연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레인뷰 연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비주얼바디(210)의 경사를 통해 맺힌 액적이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액적의 표면장력에 의해 액적은 비주얼바디(210)에 맺힌 상태로유지될 수 있다. 또한, 송풍유닛(20)이 공기 유동은 액적이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발수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수코팅이 형성되는 경우, 액적이 넓게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액적의 모양을 더 동그랗게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물이 맺힐 경우, 비주얼바디(210) 맺힌 물이 디스플레이(160) 표면에 투영되거나 반사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맺힌 물이 흘러내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60)에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실제 액적은 경사를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60) 표면에서 반사된 액적은 디스플레이 경사와 반대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이동된다.
그래서 비주얼바디(210) 및 디스플레이(160)가 만나는 경계에서 실제 액적과 반사된 액적이 합쳐지는 현상이 연출된다. 이러한 연출은 사용자에게 레인뷰를 보다 효과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필터어셈블리
20 : 송풍유닛
300 : 수조 400 : 워터링유닛
51 : 수조가습매체 55 : 토출가습매체
100 : 에어에어클린모듈 110 : 베이스바디
120 : 어퍼바디 125 : 수조삽입공간
130 : 로어바디 140 : 어퍼이너바디
150 : 송풍하우징 160 : 디스플레이모듈
170 : 에어가이드 200 : 에어워시모듈
210 : 비주얼바디 230 : 탑커버어셈블리
101 : 흡입유로 102 : 여과유로
103 : 연결유로 104 : 클린연결유로
105 : 가습연결유로 106 : 가습유로
107 : 토출유로 108 : 송풍유로
109 : 급수유로
300 : 수조 400 : 워터링유닛
51 : 수조가습매체 55 : 토출가습매체
100 : 에어에어클린모듈 110 : 베이스바디
120 : 어퍼바디 125 : 수조삽입공간
130 : 로어바디 140 : 어퍼이너바디
150 : 송풍하우징 160 : 디스플레이모듈
170 : 에어가이드 200 : 에어워시모듈
210 : 비주얼바디 230 : 탑커버어셈블리
101 : 흡입유로 102 : 여과유로
103 : 연결유로 104 : 클린연결유로
105 : 가습연결유로 106 : 가습유로
107 : 토출유로 108 : 송풍유로
109 : 급수유로
Claims (20)
-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하여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
상기 수조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흡입한 후 상측으로 양수하고, 상기 양수된 물을 분사하는 워터링하우징;
상기 워터링하우징을 회전시키는 워터링모터;
상기 워터링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워터링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상기 워터링날개는 회전 반경 내의 액적을 쳐서 비산시키는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은 양수된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상기 워터링날개는 상기 분사구에서 분사된 물과 부딪히게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에서 분사된 물의 궤적 중 일부는 상기 워터링날개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되는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워터링날개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분사구는 상기 워터링날개들 사이에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워터링날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상기 워터링날개보다 높게 위치되는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각 분사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게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상기 비주얼바디를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유로가 배치된 탑커버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 상기 수조로 낙하되는 물 중 일부는 상기 워터링날개와 부딪혀 비산되는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 공급된 물은 상기 워터링하우징으로 낙하되는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상기 워터링하우징에 낙하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 내측면으로 비산되는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은
상기 수조의 내측 저면과 흡입간격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 1 워터링하우징;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의 상단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 내부와 연통되는 제 2 워터링하우징;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의 상면을 커버하는 워터링하우징커버;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 제 2 워터링하우징 또는 워터링하우징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워터링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부;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 또는 제 2 워터링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양수된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날개는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에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상기 워터링날개는 상기 분사구에서 분사된 물과 부딪히게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상기 워터링날개 및 워터링하우징커버 사이에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상기 비주얼바디를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는 상기 분사구의 일부와 오버랩되고, 상기 분사구를 통해 분사되는 물과 간섭을 발생시키는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에서 분사된 물의 궤적 중 일부는 상기 워터링날개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되는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각 분사구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는 상기 분사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오버랩되고, 상기 오버랩된 분사구를 통해 분사되는 물과 간섭을 발생시키는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12 있어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의 직경이 제 2 워터링하우징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가습청정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에서 비산되는 물의 궤적이 상기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물의 궤적 보다 높게 위치되는 가습청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6196380.6A EP3163196B1 (en) | 2015-10-30 | 2016-10-28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US15/338,136 US10247433B2 (en) | 2015-10-30 | 2016-10-28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EP22171186.4A EP4095452A1 (en) | 2015-10-30 | 2016-10-28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PCT/KR2016/012324 WO2017074139A1 (ko) | 2015-10-30 | 2016-10-29 | 가습청정장치 |
CN201610997224.3A CN106958902B (zh) | 2015-10-30 | 2016-10-31 | 加湿净化装置 |
US15/339,568 US10267528B2 (en) | 2015-10-30 | 2016-10-31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562248463P | 2015-10-30 | 2015-10-30 | |
US62/248,463 | 2015-10-30 | ||
KR20150156254 | 2015-11-07 | ||
KR1020150156254 | 2015-11-07 | ||
KR20150185876 | 2015-12-24 | ||
KR1020150185876 | 2015-12-24 | ||
KR20150185854 | 2015-12-24 | ||
KR1020150185854 | 2015-12-24 | ||
KR1020160037235A KR20170051142A (ko) | 2015-10-30 | 2016-03-28 | 가습청정장치 |
KR1020160037235 | 2016-03-28 | ||
US201662355118P | 2016-06-27 | 2016-06-27 | |
US62/355,118 | 2016-06-27 | ||
KR1020160083066 | 2016-06-30 | ||
KR20160083071 | 2016-06-30 | ||
KR1020160083071 | 2016-06-30 | ||
KR20160083066 | 2016-06-30 | ||
KR1020160083061 | 2016-06-30 | ||
KR1020160083061A KR20170051175A (ko) | 2015-10-30 | 2016-06-30 | 가습청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1241A true KR20170051241A (ko) | 2017-05-11 |
KR101942524B1 KR101942524B1 (ko) | 2019-01-25 |
Family
ID=5874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9320A KR101942524B1 (ko) | 2015-10-30 | 2016-10-06 | 가습청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252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36427A (zh) * | 2017-12-27 | 2018-05-15 | 郑州游爱网络技术有限公司 | 一种具有充分吸附功能的室内空气净化设备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13595A (en) * | 1991-07-27 | 1993-05-25 | Kim Nam Sub | Combined indoor fountain-air cleaner |
JPH1124759A (ja) * | 1997-06-30 | 1999-01-29 | Aiwa Co Ltd | 異常検出装置、空気清浄装置、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及び加湿器 |
JP2005274041A (ja) * | 2004-03-25 | 2005-10-06 | Seiichi Futaboshi | 加湿装置 |
JP2008082683A (ja) * | 2006-09-29 | 2008-04-10 | Mitsubishi Heavy Ind Ltd | 加湿器 |
-
2016
- 2016-10-06 KR KR1020160129320A patent/KR10194252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13595A (en) * | 1991-07-27 | 1993-05-25 | Kim Nam Sub | Combined indoor fountain-air cleaner |
JPH1124759A (ja) * | 1997-06-30 | 1999-01-29 | Aiwa Co Ltd | 異常検出装置、空気清浄装置、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及び加湿器 |
JP2005274041A (ja) * | 2004-03-25 | 2005-10-06 | Seiichi Futaboshi | 加湿装置 |
JP2008082683A (ja) * | 2006-09-29 | 2008-04-10 | Mitsubishi Heavy Ind Ltd | 加湿器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36427A (zh) * | 2017-12-27 | 2018-05-15 | 郑州游爱网络技术有限公司 | 一种具有充分吸附功能的室内空气净化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2524B1 (ko) | 2019-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9035B1 (ko) | 가습청정장치 | |
EP3179174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1951325B1 (ko) | 가습청정장치 | |
EP3163191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JP7408718B2 (ja) | 加湿清浄装置 | |
EP3163199B1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CN113028543B (zh) | 加湿净化装置 | |
US10072858B2 (en) |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 |
KR102385460B1 (ko) | 가습청정장치 | |
KR101942524B1 (ko) | 가습청정장치 | |
KR101992180B1 (ko) | 가습청정장치 | |
KR101957163B1 (ko) | 가습청정장치 | |
CN107062447B (zh) | 加湿净化装置 | |
CN111306666A (zh) | 加湿净化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