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113A -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 - Google Patents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113A
KR20170051113A KR1020160004442A KR20160004442A KR20170051113A KR 20170051113 A KR20170051113 A KR 20170051113A KR 1020160004442 A KR1020160004442 A KR 1020160004442A KR 20160004442 A KR20160004442 A KR 20160004442A KR 20170051113 A KR20170051113 A KR 20170051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k
turntable
bread
bread crumb
crum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영
Original Assignee
이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영 filed Critical 이근영
Priority to PCT/KR2016/01249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78382A1/ko
Priority to US15/771,741 priority patent/US10743577B2/en
Publication of KR2017005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4Apparatus f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or sweeping or coating the surfaces of, pieces or sheets of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8Depositing, arrang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handling pieces, e.g. sheets of dough
    • A21C9/083Manipulating tins, pans etc., e.g. charging or discharging conveyors, trolleys or ov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48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rain Derivative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에 관한 것으로, 돈육의 표면과 이면에 빵가루를 묻혀 고착시키는 빵가루 코팅유닛과; 상기 돈육에 계란물을 입혀 빵가루 코팅유닛 쪽으로 투입시키는 투입유닛과; 상기 빵가루 코팅유닛을 통해 빵가루가 코팅된 돈육을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빵가루 코팅기로서, 상기 빵가루 코팅유닛은, 표면에 빵가루가 분산되어 있고, 베이스의 상면에서 회전되게 구비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 표면에 분산된 빵가루를 긁어 모은 후 퍼올려 돈육의 상면에 뿌려주는 스캐터; 상기 스캐터와 시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돈육의 상면을 누르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제1누름롤; 상기 제1누름롤과 시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자체 동력으로 회전되면서 돈육의 상면을 마무리 가압하는 제2누름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Turntable-type bread crumb coating equipment}
본 발명은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돈까스 또는 고로께 제조를 위해 계란물이 입힌 상태로 펼쳐진 고기(돈육)에 빵가루를 고르게 자동으로 입힐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높인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돈까스는 소정크기의 돼지고기를 얇게 저미어 준비하고, 이 돼지고기를 밀가루반죽, 빵가루 및 양념류 등을 순차적으로 입힌 후 기름에 튀겨 각종 소스와 함께 취식하도록 하는 요리이다.
이러한, 돈까스는 어린이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음식 중 하나로서 최근 돈까스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음식점들이 많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돈까스의 생산량을 대폭 늘리기 위해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자동화 설비의 경우 대단위 면적을 요구하거나 각종 부대 시설들이 연계되어야 하는 등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들며, 충분한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공산품화 시킬 수 있도록 적합한 규모의 공장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한편, 소규모의 돈까스 전문점에 경우, 망치를 사용해 일일이 돼지고기를 두드려서 연육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빵가루를 입히는 과정 역시 수작업으로 수행하므로 숙련도의 차이에 따라 빵가루의 밀착 정도의 차이로 인해 품질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돈육 절편을 얇고 균일하게 편육시키기도 어려웠고, 또 빵가루 등을 묻힐 때 이들이 돈육 절편과 밀착성이 떨어져 부스러기가 많이 떨어져 품질이 좋지 못하다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편육된 고기에 밀착되지 못한 빵가루 전량을 회수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직접 회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번거로움으로 인해 회수하지 못하고 폐기하는 경우가 많이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는 비단 돈까스 제조시 뿐만 아니라, 고로께 제조시에도 마찬가지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585969호(2006.05.25.) '편육기'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28617호(2012.03.23.) '돈까스 편육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턴테이블을 이용하여 돈까스 또는 고로께 제조를 위해 저민 상태로 펼쳐진 돈까스 제조용 고기의 양면에 계란물을 입힌 상태에서 고르고 균일하게 빵가루가 자동으로 입혀지게 함으로써 대단위 설비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저렴하고 신속하며 간단하게 빵가루를 입힐 수 있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돈까지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돈육의 표면과 이면에 빵가루를 묻혀 고착시키는 빵가루 코팅유닛과; 상기 돈육에 계란물을 입혀 빵가루 코팅유닛 쪽으로 투입시키는 투입유닛과; 상기 빵가루 코팅유닛을 통해 빵가루가 코팅된 돈육을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빵가루 코팅기로서, 상기 빵가루 코팅유닛은, 표면에 빵가루가 분산되어 있고, 베이스의 상면에서 회전되게 구비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 표면에 분산된 빵가루를 긁어 모은 후 퍼올려 돈육의 상면에 뿌려주는 스캐터; 상기 스캐터와 시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돈육의 상면을 누르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제1누름롤; 상기 제1누름롤과 시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자체 동력으로 회전되면서 돈육의 상면을 마무리 가압하면서 빵가루가 입혀진 돈육을 배출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제2누름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스캐터는 스캐터하우징에 내장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류 피더의 일종이고, 상기 스캐터하우징의 하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스캐터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스캐터하우징의 일측면에는 분산되어 있는 빵가루를 스캐터 쪽으로 몰아오도록 턴테이블의 바닥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채 턴테이블의 둘레 내벽을 향해 연장된 빵가루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1,2누름롤은 상기 턴테이블의 중심을 향해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제2누름롤과 시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돈육을 반송시키는 배출트레이; 상기 배출트레이의 단부에서 배출되는 돈육을 포장박스 쪽으로 이송하는 배출컨베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배출트레이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구동바퀴와, 한 쌍의 바 형 테이블프레임과, 상기 테이블프레임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의 바퀴축과, 상기 바퀴축에 간격을 두고 끼워져 고정되며 둘레에는 요철이 형성된 구동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빵가루가이드의 안쪽에는 턴테이블에 흩어져 있는 빵가루를 스캐터 쪽으로 모으는 피딩스크류 형태의 컬렉터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컬렉터를 회전시키는 컬렉터모터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돈까스 또는 고로께 제조를 위해 계란물이 입힌 상태로 펼쳐진 고기에 빵가루를 고르게 자동으로 입힐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빵가루가 입혀진 고기를 배출하는 배출유닛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펼쳐진 고기에 계란물을 입혀 빵가루 코팅유닛으로 보내는 투입유닛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의 바닥면 형상을 보인 예시적인 샘플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캐터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후술되는 실시예는 돈까스 제조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고로께 제조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는 베이스(1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0)는 사각 블럭 형상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 일측에는 턴테이블(210)을 포함하는 빵가루 코팅유닛(200)이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210)을 향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투입유닛(300)과 배출유닛(400)이 나란히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빵가루 코팅유닛(200)은 회전되는 턴테이블(210), 빵가루를 흩뿌려 돈육(1) 상면에 입히는 스캐터(220), 빵가루가 입혀진 돈육(1) 상면을 가압하여 눌러주는 제1,2누름롤(230,24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턴테이블(210)은 상기 베이스(100)의 하측에 구비된 별도의 구동원(예. 모터)을 통해 회전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둘레를 따라 일정두께를 갖고 돌출된 벽을 갖는 일종의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표면, 즉 턴테이블(210)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빵가루가 턴테이블(210) 외부로 비산되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턴테이블(210)은 저속회전하기 때문에 빵가루가 크게 비산될 일은 없지만, 그래도 원심력을 받아 빵가루가 비산될 수 있으므로 이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일종의 턱이 형성되어 있다고 보면 된다.
아울러, 상기 턴테이블(210)의 중심에는 턴테이블(21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턴테이블(210)의 바닥면 중심, 즉 원중심에 구비된 테이블축(212)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테이블축(212)에 끼워지고 턴테이블(2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고정편(21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편(214)은 형상에 크게 구애를 받지 않으며, 상기 고정편(214)의 일측에는 스캐터하우징(222)의 일단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스캐터하우징(222)도 상기 턴테이블(2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채 배치되며, 구체적인 형상은 도 6의 예시와 같다.
도 1,2 및 도 6에 따르면, 상기 스캐터하우징(222)의 내부에는 스크류피더 형태의 스캐터(Scatter)(220)가 설치되며, 상기 스캐터(220)는 스캐터모터(224)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스캐터모터(224)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고정된다.
특히, 상기 스캐터하우징(222)의 하부는 절개된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캐터(220)가 회전되면서 퍼 날라온 빵가루가 하방향으로 낙하되면서 흩뿌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스캐터하우징(222)의 하측은 하부에 형성된 개방부를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면 스캐터(220)가 피딩해 온 빵가루가 낙하 비산될 때 더욱 더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캐터하우징(222)의 일측에는 경사 연장된 빵가루가이드(226)가 더 설치되는데, 상기 빵가루가이드(226)는 턴테이블(210)의 바닥면 상에서 반경방향으로 퍼져 있는 빵가루들을 스캐터(220)가 퍼올리기 쉽도록 모으는 역할을 담당한다.
때문에, 상기 빵가루가이드(226)는 최대한 연장되어 투입안내컨베어(330)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스캐터(220)와 스캐터모터(224)와의 동력연결은 상기 스캐터(220)의 축(SF)이 상기 스캐터모터(224)의 모터축(미도시)과 커플링 방식으로 결속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스캐터(220)는 폭방향으로 볼 때 중앙부가 오목하게 요입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턴테이블(210)의 중앙로 모여드는 빵가루에 스캐터(220)의 끝이 살짝 파묻힌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빵가루가 자연스럽게 스캐터(220)의 오목한 홈을 타고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러다가, 스캐터하우징(222)의 단부에 돌출된 걸림편(TR)에 걸려 일부는 낙하되고, 나머지 일부는 그대로 통과하며, 최종적으로는 스캐터하우징(222) 내에서 낙하하여 회전이동되고 있는 돈육(1) 상부로 떨어지게 된다.
정리하자면, 상기 스캐터(220)는 상기 빵가루가이드(226)에 의해 모여드는 빵가루를 퍼 담은 후 턴테이블(210)의 둘레쪽으로 이송시키면서 자연스럽게 돈육(1) 상부로 흩뿌려 돈육(1) 상면이 빵가루로 덮이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턴테이블(210)의 표면에는 당연히 빵가루 일부가 펼쳐져 있는 상태이며, 펼쳐진 고기인 돈육(1)은 그 위에 떨어진 후 턴테이블(210)과 함께 회전하는 것이므로 돈육(1)의 하면은 빵가루가 입혀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스캐터(220)를 이용하여 돈육(1)의 상면에 빵가루를 입히는 작업을 자동으로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빵가루가이드(226)는 하단이 턴테이블(210)의 바닥면으로부터 약간 들뜬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빵가루가 빵가루가이드(226)에 걸려 평탄화되면서 일부는 스캐터(220) 쪽으로 이동하고, 일부는 빵가루가이드(226)의 하단을 통과하여 레벨링 및 펼침되면서 고르게 깔리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스캐터(220)를 회전시키는 스캐터모터(224)는 최소한 상기 턴테이블(210)의 회전속도보다 빨라야 원활한 빵가루 입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빵가루가이드(226)의 내측에 컬렉터(CT)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컬렉터(CT)는 상기 스캐터(220)와 동일한 스크류피더 형태이며, 상기 스캐터(220)와 반대로 턴테이블(210)의 바닥에 흩어져 있는 빵가루들을 상기 스캐터(220) 쪽으로 모으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컬렉터(CT)의 축에는 상기 턴테이블(210)의 바깥쪽에서 베이스(100)의 상면에 고정된 컬렉터모터(CM)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컬렉터모터(CM)가 구동되면서 상기 컬렉터(CT)를 회전시켜 빵가루를 상기 스캐터(220) 쪽으로 모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캐터하우징(222)과 시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1누름롤(230)이 설치되고, 상기 제1누름롤(230)과 시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2누름롤(240)이 더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누름롤(230)은 돈육(1) 상면에 입혀진 빵가루를 일정압으로 눌러 잘 붙어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압력을 가져야 하므로 양단이 대략 '∩'형상을 갖는 롤브라켓(2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롤브라켓(232)은 가압로드(234)에 고정되며, 상기 가압로드(234)는 가압수단고정대(236) 상에 구비된 스프링 혹은 실린더에 의해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압수단고정대(236)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수직하게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고정편(214)의 일측에 연결 고정된다.
따라서, 빵가루가 입혀진 돈육(1)의 상면, 즉 빵가루를 누르는 힘을 조절할 수 있어 빵가루를 완전히 입혔을 때 빵가루 부스러기가 많이 생기지 않도록 작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누름롤(240)은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하면서 마무리 누름작업을 수행하면서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배출트레이(420)로 돈육(1)을 원활하게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즉, 빵가루가 입혀진 돈육(1)이 배출트레이(420)를 타고 이송될 때 배출트레이(420)에 부딪히면서 뒤로 밀리게 되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이것은 돈육(1) 뿐만 아니라 빵가루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상기 돈육(1)을 밀어 올릴 수 있는 힘이 필요하므로 상기 제2누름롤(240)은 반드시 구동원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누름모터(242)가 베이스(100) 상면에 고정되고, 누름모터(242)의 모터축(도면번호 생략)이 상기 제2누름롤(240)의 일단에 축 고정된다.
덧붙여,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제2누름롤(240)이 일정위치에 고정된 것으로 예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하로 자연스럽게 높이조절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이것은 누름모터(242)가 고정되는 부분을 유동가능하게 구성하면 되는 것이며, 누름모터(242)와 제2누름롤(240)의 자체 무게에 의해 항상 하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돈육(1)이 통과할 때는 올라갔다가 돈육(1)이 통과하고 나면 내려가는 형태로 동작되게 하여 입혀진 빵가루의 두께에 연동되게 함으로써 돈육(1)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누름모터(242)가 고정되는 모터베이스를 구비하고, 누름모터(242)의 일측단을 상기 모터베이스에 힌지 고정하면 쉽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2누름롤(230,240)은 앞서 설명하였듯이, 돈육(1)의 상면에 빵가루가 입혀진 상태에서 빵가루들이 잘 붙도록 눌러주기 위한 것으로, 턴테이블(210)의 표면과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턴테이블(210)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누름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1누름롤(230)은 자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2누름롤(240)은 동력으로 구동되게 하여 1차 다진 후 2차 마무리 다짐이 일어나게 하여 완전하고 정확한 빵가루 입힘 작업을 완성케 하며, 나아가 상기 제1,2누름롤(230,240)은 턴테이블(210)의 원중심을 향해 원추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데, 이것은 돈육(1)이 턴테이블(210)의 표면에 놓여 졌을 때 턴테이블(210)의 원중심에서 돈육(1)의 안쪽단에 이르는 거리와, 바깥쪽단에 이르는 거리 사이에는 편차가 생기므로 동일 각도를 회전하더라도 안쪽단이 그리는 호의 길이와 바깥쪽단이 그리는 호의 길이가 다를 수 밖에 없어 단순히 동일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누름롤을 사용할 경우 펼친 고기의 안쪽단과 바깥쪽단의 눌림 정도가 달라 결국 고기의 전체면을 균일하게 누를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고기가 연속적으로 회전이동하면서 눌리기 때문에 눌리지 않은 면은 없을 것이지만, 원추형상을 가질 때 동일거리를 더 균일하게 누를 수 있다는 의미이다.
다른 한편, 상기 턴테이블(210)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누름롤(240)과 간격을 두고 배출트레이(420)가 설치된다.
따라서, 빵가루가 입혀진 돈육(1)이 제1누름롤(240)에 의해 배출트레이(420)로 밀려 올라가고, 배출트레이(420)로 올라오면 다수의 구동바퀴(422)에 의해 원활하게 이송되며, 배출트레이(420)의 단부에 연결된 배출컨베어(430)를 타고 최종 배출되게 되어 포장박스로 이송된다.
이때, 이러한 배출트레이(420), 배출컨베어(430)가 배출유닛(400)을 이루게 된다.
덧붙여, 상기 턴테이블(210)의 바닥면은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울퉁불퉁하게, 다시 말해 완만한 요철이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요(凹)부 상에 상기 배출가이드(410)가 직경방향으로 하나씩 대응되게 배치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특히, 턴테이블(210)의 바닥면을 도시된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돈육의 하면에 빵가루 입힘이 더 수월하고 눌렀을 때도 평평해지지 않아 튀겼을 때 먹음직스럽게 바뀌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배출트레이(420)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부(DR)와, 상기 구동부(DR)의 회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구동바퀴(422)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구동바퀴(4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면에 요철이 형성된 형태를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돈육(1)이 잘 이송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구동바퀴(422)는 하나의 바퀴축(424)에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끼워진 채 고정되며, 이런 구조의 바퀴축(424) 다수개가 테이블프레임(426) 상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어 하나의 배출트레이(420)를 구성하게 된다.
특히, 구동바퀴(422)의 폭은 2mm로 유지하고, 간격은 30mm로 유지하면 여분의 빵가루가 쉽게 통과하여 아래로 떨어지므로 효율적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바퀴(422)들의 개별 구동은 각 바퀴축(424)에 기어(G)를 설치하고, 각 기어(G)들이 서로 맞물리게 하여 최종적으로 구동부(DR)의 축에 고정된 기어와 맞물리게 하면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하기 위해서는 기어(G)를 적절히 배치하도록 설계해야 함은 당연하다 하겠다. 이와 같은 기어(G)는 바퀴축(424)의 일단에 고정될 수도 있고, 구동바퀴(422)들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바퀴(422)들의 개별 구동은 반드시 기어(G)로 연결 구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트레이(420)와 배출컨베어(430)의 경계에는 돈육(1) 표면에 붙지 않은 잔여 빵가루를 털어주기 위한 블로어(4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블로어(440)는 측방으로 도입한 공기를 하방으로 불어 주어 돈육(1)의 표면에서 완전히 달라 붙지 못하고 잔류된 빵가루를 다시 턴테이블(210) 내부로 불어서 떨어뜨림으로써 빵가루의 낭비도 막고, 돈육(1) 제품의 품질도 향상시키게 된다.
나아가, 상기 배출유닛(400)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투입유닛(300)이 설치된다.
상기 투입유닛(300)은 돈육(1)에 계란물을 입히는 기능까지 포함한 유닛으로서, 계란물이 입혀진 상태로 펼쳐 턴테이블(210) 상으로 투입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투입유닛(300)은 일종의 수액기로서 도 4의 도시와 같이, 이송컨베어(310)를 타고 이동한 돈육(1)이 계란물통(320)을 통과하면서 계란물이 입혀지도록 하고, 계란물이 입혀진 상태에서 투입안내컨베어(330)를 통해 펼쳐진 상태로 턴테이블(210)로 투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계란물통(320)을 통과할 때에는 돈육이 상부철망컨베어(C1)과 하부철망컨베어(C2)를 통해 안내됨으로써 고기의 이송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계란물이 철망 사이의 공극을 통해 고기의 양면에 입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철망컨베어를 상,하부에 모두 두는 이유는 돈육이 하부철망컨베어(C2)를 타고 이동하다가 계란물에 잠겼을 때 들뜨게 되는데 상부철망컨베어(C1)가 들뜨지 못하도록 붙잡기 위함이며, 두 개의 철망컨베어 사이를 통과하면서 돈육의 상,하부면 전체에 계란물이 잘 입혀지게 된다.
또한, 배출유닛(400)을 통해 턴테이블(210)로부터 분리 상승된 돈육은 이후 이송컨베어를 타고 배출된 다음 후가공 혹은 튀김공정으로 이송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투입유닛(300)의 투입안내컨베어(330)의 진입단 상부에는 송풍유닛(BLU)을 더 설치하여 돈육(1) 표면에 남은 계란물을 불어 떨어뜨림으로써 돈육(1)의 품질을 높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투입안내컨베어(330)의 하단은 상기 스캐터(220)와 빵가루가이드(226) 사이의 공간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돈육(1)이 투입유닛(300)을 타고 이동하면서 고기의 양면에 계란물이 입혀진다.
그 상태에서, 턴테이블(210)로 투하되면, 계란물이 입혀진 돈육(1)의 하면이 턴테이블(210) 바닥면에 깔려 있는 빵가루와 접촉하면서 하면에 빵가루가 자동적으로 입혀진다.
이어, 턴테이블(210)이 회전하고, 고기는 펼쳐진 채 턴테이블(210)과 함께 회전된다.
그러다가, 고기가 스캐터(220)에 이르면 스캐터(220)가 회전하면서 모여 있던 빵가루를 스크류식으로 퍼 담아와 고기의 상면에 흩뿌리면서 덮어 줌으로써 고기의 상면에도 빵가루가 자연스럽게 자동적으로 입혀지게 된다.
물론, 이 상태에서 빵가루가 느슨하게 단지 고기의 표면에 얹혀진 형태이다.
이 상태로 계속 회전하게 되면, 빵가루가 묻혀진 돈육(1)은 제1,2누름롤(230,240)에 의해 눌리게 되므로 결국 돈육(1)의 상면 및 하면에 입혀져 있던 빵가루가 좀 더 견고하면서 균일하게 붙게 된다.
이렇게 하여, 빵가루가 완전히 입혀진 상태로 더 회전하면 배출트레이(420)에 다다르고, 배출트레이(420)를 타고 빵가루가 입혀진 고기는 배출유닛(400)을 통해 배출된 후 포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으로 계란물 및 빵가루를 입히고, 일정압으로 눌러 견고하게 붙도록 하되, 소규모의 설비로도 자동처리가 가능하여 생산성, 품질 균일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100: 베이스 200: 빵가루 코팅유닛
300: 투입유닛 400: 배출유닛

Claims (7)

  1. 돈육의 표면과 이면에 빵가루를 묻혀 고착시키는 빵가루 코팅유닛과; 상기 돈육에 계란물을 입혀 빵가루 코팅유닛 쪽으로 투입시키는 투입유닛과; 상기 빵가루 코팅유닛을 통해 빵가루가 코팅된 돈육을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빵가루 코팅기로서,
    상기 빵가루 코팅유닛은, 표면에 빵가루가 분산되어 있고, 베이스의 상면에서 회전되게 구비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 표면에 분산된 빵가루를 긁어 모은 후 퍼올려 돈육의 상면에 뿌려주는 스캐터;
    상기 스캐터와 시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돈육의 상면을 누르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제1누름롤;
    상기 제1누름롤과 시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자체 동력으로 회전되면서 돈육의 상면을 마무리 가압하면서 빵가루가 입혀진 돈육을 배출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제2누름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캐터는 스캐터하우징에 내장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류 피더의 일종이고, 상기 스캐터하우징의 하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스캐터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캐터하우징의 일측면에는 분산되어 있는 빵가루를 스캐터 쪽으로 몰아오도록 턴테이블의 바닥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채 턴테이블의 둘레 내벽을 향해 연장된 빵가루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누름롤은 상기 턴테이블의 중심을 향해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제2누름롤과 시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돈육을 반송시키는 배출트레이; 상기 배출트레이의 단부에서 배출되는 돈육을 포장박스 쪽으로 이송하는 배출컨베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출트레이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구동바퀴와, 한 쌍의 바 형 테이블프레임과, 상기 테이블프레임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의 바퀴축과, 상기 바퀴축에 간격을 두고 끼워져 고정되며 둘레에는 요철이 형성된 구동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빵가루가이드의 안쪽에는 턴테이블에 흩어져 있는 빵가루를 스캐터 쪽으로 모으는 피딩스크류 형태의 컬렉터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컬렉터를 회전시키는 컬렉터모터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
KR1020160004442A 2015-11-02 2016-01-13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 KR20170051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2492 WO2017078382A1 (ko) 2015-11-02 2016-11-02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
US15/771,741 US10743577B2 (en) 2015-11-02 2016-11-02 Turntable-type breadcrumb coa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53300 2015-11-02
KR1020150153300 2015-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113A true KR20170051113A (ko) 2017-05-11

Family

ID=587419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442A KR20170051113A (ko) 2015-11-02 2016-01-13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
KR1020160046515A KR101874172B1 (ko) 2015-11-02 2016-04-15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515A KR101874172B1 (ko) 2015-11-02 2016-04-15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0511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4338A (zh) * 2020-10-23 2021-01-22 宿州国恩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糍粑裹糠的机加工方法
WO2022231207A1 (ko) * 2021-04-30 2022-11-03 이근영 식품 입체 빵가루 코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1191B (zh) * 2020-10-13 2022-09-27 华南智能机器人创新研究院 一种蛋液储存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007Y1 (ko) * 2013-03-26 2014-06-03 이근영 돈까스 가공용 두께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한 돈까스 가공장치
JP7087769B2 (ja) * 2018-07-23 2022-06-21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パッ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4338A (zh) * 2020-10-23 2021-01-22 宿州国恩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糍粑裹糠的机加工方法
WO2022231207A1 (ko) * 2021-04-30 2022-11-03 이근영 식품 입체 빵가루 코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150A (ko) 2017-05-11
KR101874172B1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015B1 (ko) 누룽지 제조장치
KR101832885B1 (ko) 대형 전류 제조장치
KR20170051113A (ko)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
CN104904770B (zh) 全自动仿手工面筋卷机
CN107173711B (zh) 一种腊肉自动腌制系统
KR101981383B1 (ko) 빵가루 코팅기
EP0061545A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waffles
US3433181A (en) Piemaking machine
DK1695632T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baked goods, especially biscuits, with edible particulate materials
US7451675B1 (en) Power-operated cutting board
CN206603187U (zh) 一种圆饼状土豆串的加工装置
CN210960166U (zh) 一种自动压面机
US6777013B2 (en) Method and device of making dough mixed with cooking oil, fruit and vegetable filling
KR20200015130A (ko) 또띠아용 반죽볼 성형기의 롤링 유니트
US10743577B2 (en) Turntable-type breadcrumb coating machine
KR101874175B1 (ko) 턴테이블형 빵가루 코팅기
KR101444797B1 (ko) 냉떡국 제조방법
KR101959984B1 (ko) 빵 반죽 굴림 성형장치
KR101473584B1 (ko) 돈까스 가공장치
US20190191720A1 (en) Dough processing machine
US5558007A (en) Apparatus for making thin and continuous wrapping sheets
CN107897245A (zh) 一种馒头成型机的刮刀装置
KR101444796B1 (ko) 냉떡국 제조장치
AU2015100867A4 (en) A small noodle making machine
CN204742406U (zh) 全自动仿手工面筋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