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016A - Device for cultivating plants - Google Patents

Device for cultivating pl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016A
KR20170050016A KR1020150151016A KR20150151016A KR20170050016A KR 20170050016 A KR20170050016 A KR 20170050016A KR 1020150151016 A KR1020150151016 A KR 1020150151016A KR 20150151016 A KR20150151016 A KR 20150151016A KR 20170050016 A KR20170050016 A KR 20170050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plate
water
stepped seating
plate
ste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5431B1 (en
Inventor
설오열
Original Assignee
설오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오열 filed Critical 설오열
Priority to KR1020150151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431B1/en
Publication of KR20170050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0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4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A device for cultivating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ollowing: a water collecting well having a space for storing water on the inside by being formed of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extended from the edges of the bottom surface to the upper direction; a terraced mounting plate having a wall surface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in a separated position toward the inner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edges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and a bottom surface continuously extended from the upper end of the wall surface toward a direc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moves upward, wherein the wall surface except for the bottommost wall surface among the continuously formed wall surface has a hole type supplying opening; and a supplying unit selectively pump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collecting well or air, and supplying the pumped water or air from the inside of the terraced mounting plate through the supplying opening.

Description

식물 재배기{DEVICE FOR CULTIVATING PLANTS}{DEVICE FOR CULTIVATING PLANTS}

본 발명은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공간이 계단식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식물을 층별로 관리하는 것은 물론, 계단식 구조로 이루어진 각 층에서 식물이 식재된 위치로 물이나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동시에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식물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growing machine, in which a space in which plants can be planted is constituted by a stepwise structure to manage plants in layers, and in addition, water or air is introduced into a plant- To a plant grower capable of selectively purifying the air while promoting the growth of the plant.

최근 한정된 실내 공간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들은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컴퓨터나 디지털 TV 등의 전자장치 또는 난방장치를 장시간 사용하면서, 건조한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고 그로 인한 안구건조증 등의 질환뿐만 아니라 예전부터 계속 논란이 되고 있는 유해한 건축자재에서 발산되는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된 실내공기 속에서 장시간 생활하면서 아토피 등 각종 질환을 유발하기도 하였다.Modern people who spend most of their time in the recently limited indoor space have been using the electronic devices or heating devices such as computers and digital TV for a long time in a closed indoor space and have been exposed to the dry environment for a long time, They have been living in indoor air polluted by harmful substances emitted from controversial harmful building materials, and they have caused various diseases such as atopy.

밀폐된 실내 공간의 공기와 습도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시간 마다 실내 공기를 자주 환기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지만, 겨울철에는 너무 추워서 환기를 게을리하기 쉬우며, 봄에는 황사 등에 대한 염려 및 차량의 배기가스 등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환기를 자주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In order to keep the air and humidity of the enclosed indoor space comfortable, it is necessary to frequently ventilate the indoor air every certain time. However, it is too cold in the winter and it is easy to neglect the ventilation. In spring, I am not able to ventilate frequently because of anxiety about my back.

그에 따라,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공기정화장치가 많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공기정화장치는 실내에 있는 공기를 필터링한 후 다시 실내로 배출시키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 효과가 미미한 수준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어 사용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염되는 필터의 청소 및 교체의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그 이용이 크게 확대되지 못하고 있다.Accordingly, it has been recently proposed that various types of air purification apparatuses are proposed, but it is generally said that such air purification apparatuses filter the air in the room and then discharge the air to the room again, And the use of the filter is not greatly expanded due to the troubles of cleaning and replacing the filter which is contaminated with time.

따라서, 공기정화와 함께 실내의 습도조절기능까지 동시에 구현하여 쾌적한 실내환경 유지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기정화와 습도조절에 더하여 심미적인 효과까지 이룰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실내 화분이 요청되고 있다.
Accordingly, a new means of contributing to the maintenance of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by simultaneously realizing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humidity of the room together with the air purification is required. In addition to the air purification and the humidity control, a new concept of indoor flower pot This is being requested.

한국등록특허 제10-0943824호 (등록, 2010. 02. 16.)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43824 (registered, Feb. 16, 2010)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는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계단식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식재된 식물을 층별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각 층에 형성된 공급구를 통해 식물이 식재된 위치로 물이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식물의 생장 촉진, 실내공기 및 실내 적정습도로 유지할 수 있으며, 식재된 식물을 층별로 관리 및 각 층에 식재된 식물로의 햇빛의 조사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식물 재배기를 제공한다.The plant gr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epwise structure in which the plants are planted, so that the planted plants can be managed by layers, and water or air can be supplied to the pla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grower capable of promoting plant growth, maintaining indoor air and indoor proper humidity, managing planted plants by layers, and increasing the amount of sunlight irradiated to plants planted in each layer.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는 하면과 상기 하면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집수정; 상기 집수정의 하면 테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벽면과, 상기 벽면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이 상향하는 방향으로 연속 형성되되, 연속 형성된 벽면 중 최하층에 위치한 벽면을 제외한 나머지 벽면에는 홀 형태의 공급구가 형성되는 계단식 안착판; 및 공기 또는 상기 집수정에 수용된 물을 선택적으로 압송하여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내부에서 상기 공급구를 통해 압송한 공기 또는 물을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포함한다.The plant gr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extended upward from the rim of the bottom surface, and a space for receiving water therein is formed. A wall surface provided along a periphery of a position spaced apart in an inward direction from a rim of the collecting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extending in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wall surface are continuously formed in an upward direction, A stepped seating plate on which a hole in the form of a hole is formed in a wall surface other than a wall surface; And a supply unit for selectively pressurizing the air or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collecting fixture to supply air or water pumped through the supply port in the stepped seat plate.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벽면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은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벽면의 둘레보다 넓은 둘레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상단에 위치한 바닥면으로 공급된 물이 상기 공급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ttom surfac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wall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is formed to have a wider circumference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wall surfac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so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bottom surface locat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flows into the inlet .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바닥면 상에 배치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내부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수용되며, 흙, 조경이끼, 코코넛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식생매트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ra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and a vegetation mat accommodated in the tray so as to be planted therein and made of at least one of earth soil moss moss and coconut fiber .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 중 어느 한 면은 상기 집수정의 측면에 맞닿고,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 중 어느 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상기 집수정의 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one surfac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is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collecting plat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except the one surfac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is inwardl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 중 상기 집수정의 측면과 맞닿아 있는 한 면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펜스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ence plate extending up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one surfac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llecting surface.

상기 펜스 플레이트에는 울타리식물이 줄기를 뻗어 자라기 용이하도록 그물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enc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a netting network is provided so that the fence plants can easily grow on the stem.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계단식 안착판 내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메인배관; 상기 메인 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벽면에 형성된 공급구를 연통하는 분기배관; 및 상기 메인배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의 하부을 관통되는 상기 집수정의 내부와 연통되는 물 공급배관과,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의 상부를 관통하되 상기 집수정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관통되는 공기 공급배관으로 분기되어 이루어지는 공급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upply unit comprises: a main pipe installed in a height direction inside the stepped seating plate; A branch pipe branched from the main pipe and communicating with a supply port formed on a wall surfac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pipe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terior of the collecting compartment through a lower portion of a wall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and a water supply pipe penetrating an upper portion of a wall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And a supply pipe branched into an air supply pipe penetrating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ight of water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collection well.

상기 메인배관에는 압력작용에 의하여 액체나 기체를 수송할 수 있도록 압력작용을 가하는 펌프; 상기 메인배관에서 분기되는 상기 물 공급배관과 상기 공기 공급배관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상기 펌프의 온/오프 동작 및 상기 개폐밸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ump for applying a pressure action to the main pipe so as to transport liquid or gas by pressure action; An opening / closing valve for opening / closing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air supply pipe which are branched from the main pip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n / off operation of the pump and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 / close valve.

본 발명은 계단식 구조로 이루어진 각 층에 형성된 공급구를 통해 물이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식재된 식물에 생장을 촉진 및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것은 물론, 실내 적정습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or air through a supply port formed in each layer formed of a stepwise structure, thereby promoting growth of the planted plant, purifying the indoor air, and maintaining the indoor humidity at an appropriate level have.

그리고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계단식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각 층에 식재된 식물로의 햇빛 조사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pace in which the plants are planted is constituted by a stepwise structure, so that the amount of sunlight irradiated to plants planted in each layer can be increased.

또한, 계단식 구조로 이루어진 각 층에 공급되는 물이나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식재된 식물을 각 층별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pply amount of water or air supplied to each layer made of the stepwise structure can be adjusted, the planted plant can be managed for each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계단식 안착판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계단식 안착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계단식 안착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lant gr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stepped seating plate of a plant gr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epped seating plate of a plant gr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epped seating plate of a plant grow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계단식 안착판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nt gro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stepping type placing plate of a plant gro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는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을 계단식 구조로 구성한 것으로서,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집수정(100)과, 상기 집수정(100)의 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에 계단식 구조로 형성된 계단식 안착판(200)과,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210) 형성된 공급구(210a)를 통하여 압송된 공기나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닛(3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lant gr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epped structur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nd has a space in which water can be received, A stepped seating plate 200 formed in a stepped structure in an internal space in which water of the cooking chamber 100 is accommodated and a pressurized air or water selected through a feed port 210a formed on a wall surface 210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And a supply unit 300 for supplying the supply unit 300 with the heat.

상기 집수정(10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 판 형상의 하면(110)과, 상기 하면(110)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120)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 공간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The water collecting unit 100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water therein. The water collecting unit 100 preferably includes a plate-shaped lower surface 110 and a side surface 120 extending upward from the rim of the lower surface 110, Thereby forming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water in the internal spac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계단식 안착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의 계단식 안착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epped seating plate of a plant gr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epped seating plate of a plant grow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는 상기 집수정(100) 및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바라볼 때, 사각 판 형상, 원 판 형상 및 반원 판 형상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3 and 4, the plant rem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collecting unit 100 and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a circular plate shape, and a semicircular plate Shape,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집수정(100)은 그 내부 공간에 수용할 물의 양과,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크기에 따라 상기 하면(110)과, 상기 측면(120)의 크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110 and the side surface 120 are form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to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nd the siz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은 상기 집수정(100)의 하면 테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벽면(210)과 상기 벽면(210)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220)이 상향하는 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계단식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includes a wall 210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wardly spaced apart position from the bottom edge of the collector 100 and a bottom 210 extending inwardly from the top of the wall 210. [ And a stepped structure in which the surface 220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upward direction.

즉, 하나의 벽면(210)과 하나의 바닥면(220)이 하나의 층을 이루며 최하층에서 상층으로 갈수록 하나의 층을 이루는 벽면(210)과 바닥면(220)은 둘레 및 폭이 점점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at is, one wall 210 and one bottom 220 form one layer, and the wall 210 and the bottom 220, which form one layer from the lowest layer to the upper layer, .

특히,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210) 중 최하층에 위치하는 벽면을 제외한 나머지 벽면에는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홀 형태의 공급구(210a)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외부에서 상기 공급구(210a)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은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이 이루는 테두리 둘레보다 넓은 둘레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급구(210a)는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in the wall surface 210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except for the wall surface located at the lowermost layer, a hole (not shown) for supplying water or air introduced into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210a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wall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so as to prevent the inflow of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through the supply port 210a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to have a wider circumference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rim formed by the wall surfac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and the supply port 210a is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그리고 상기 집수정(100) 내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으로 넘쳐 흐르지 않도록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최하단 층을 이루는 벽면의 높이는 상기 집수정(100)의 측면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of the wall forming the lowest layer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is set so that the height of the side face of the water collecting plate 100 is less than the height of the side wall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It is preferable to form it higher.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에는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220) 상에 배치되는 트레이(221)와, 상기 트레이(221)의 내부에 식재될 수 있도록 수용되며, 흙, 조경이끼, 코코넛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식생매트가 더 포함된다.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is provided with a tray 221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220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and a tray 221 accommodated in the tray 221 for soil cultivation, Coconut fiber, and the like.

상기 트레이(221)는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220) 상에 식물을 식재하지 않고, 사전에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221)를 단순히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 상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의 용이성을 도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식물을 심어 가꾸는 화분과 그 기능 및 형태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트레이(221)의 높이는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21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221)의 상면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공급구(210a)를 통해 상기 트레이(221)에 식재된 식물로 물이나 공기가 공급될 수 있어야 한다.The tray 221 may be formed by simply placing the tray 221 on which the plants are planted on the bottom surface 220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without planting the plants on the bottom surface 220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So that the function and shape of the pots for cultivating the plants and the functions thereof are greatly reduced, so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height of the tray 221 is lower than that of the wall 210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221 is open. Water or air can be supplied to the planted plants in the tray 221.

또한, 상기 트레이(221)는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220) 상에서 배치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스토퍼에 의해 고정되거나 상기 트레이(221)가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220) 상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tray 221 is fixed by a stopper so that the tray 221 does not move in a state where it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220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or the tray 221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Or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base 220.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는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최하층에 벽면 중 어느 한 면이 상기 집수정의 어느 한 측면에 맞닿고,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210) 중 상기 집수정(100)의 어느 한 측면과 맞닿은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상기 집수정(100)의 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220)이 상기 벽면(210)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1 to 3, a plant gr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wall surfaces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ollecting fin, The other surface of the wall 210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seating plate 200 except for the side contacting the one side of the corrugation 100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inward from the side of the corrugation 100 And the bottom surface 220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wall surface 210.

이때,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210) 중 상기 집수정(100)의 측면(120)과 맞닿아 있는 한 면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펜스 플레이트(400)가 설치되고, 상기 펜스 플레이트(400)에 그물망(500)이 구비된다면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220) 상에 배치되는 상기 트레이(221)에 울타리식물을 생육할 수도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a fence plate 400 extending upward from an upper end of one surface contacting the side surface 120 of the collecting unit 100 among the wall surfaces 210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is installed And a fence plant may be grown on the tray 221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220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if the mesh 500 is provided in the fence plate 400.

즉, 상기 트레이(221)에 담이나 벼랑 등 경사진 곳에서 길게 줄기를 뻗어 자라나는 울타리식물이 상기 펜스 플레이트(400)에 구비된 그물망(500)에 줄기를 뻗어 자라기 용이할 것이다.That is, a hedge plant extending along a long stem at a slope such as a wall or a cliff on the tray 221 may easily grow on a net 500 provided in the fence plate 400.

또한, 상기 펜스 플레이트(400)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펜스 플레이트(40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고, 상기 집수정(100)의 측면 중 상기 펜스 플레이트(400)가 위치한 측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측면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600)과, 상기 펜스 플레이트(400)의 상단과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600)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집수정(100)의 하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천장 플레이트(7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The fence plate 400 may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fence plate 400 so that the fence plate 400 can be firmly fixed. A pair of support frames 600 installed on opposite sides of the side surface of the fence plate 400 and a pair of support frames 60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ence plate 400, A ceiling plate 700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plate 70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기는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최하층을 이루는 벽면은 상기 집수정(100)의 하면(110) 테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220)이 상기 벽면(210)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4, in the plant reappl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st wall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is spaced inward from the rim of the lower surface 110 of the water collecting 100, And the bottom surface 22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wall surface 21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유닛(300)은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 내부에서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210)에 형성된 공급구(210a)를 통해 공기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외부의 공기나 상기 집수정(100) 내부에 수용된 물을 선택적으로 압송하여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210)에 형성된 공급구(210a)를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 내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메인배관(310)과, 상기 메인배관(310)에서 분기되어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210)에 형성된 공급구(210a)와 연통되는 분기배관(320)과, 상기 메인배관(3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되 분기되어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집수정(100)의 물이 수용된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물 공급배관(331) 및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의 상부를 관통하되 상기 집수정(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연통되는 공기 공급배관(332)으로 이루어지는 공급배관(330)을 포함한다.1 and 2, the supply unit 300 includes a supply port 210a formed in a wall surface 210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inside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As a structure for supplying water, external air or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collecting body 100 may be selectively fed and supplied through a supply port 210a formed in the wall surface 210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A supply port 210a formed in the wall 210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and branched from the main pipe 310. The main pipe 310 is installed in a height direction inside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And a branch piping 320 communicated with the main piping 310 a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piping 310. The branched piping 320 is branched and passes through a lower portion of a wall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A water supply pipe 331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ed inner space, And an air supply pipe 332 passing through an upper portion of a wall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deposition plate 200 and communicating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ight of water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condensate 100 do.

특히, 상기 공급유닛(300)을 통해 물이나 공기를 압송하고, 압송된 물이나 공기를 선택적으로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210)에 형성된 공급구(210a)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메인배관(310)에는 압력작용에 의하여 액체나 기체를 수송할 수 있도록 압력작용을 하는 펌프(311)와, 상기 메인배관(310)에서 분기되는 상기 물 공급배관(331)과 상기 공기 공급배관(332)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밸브(312)와, 상기 펌프(311)의 온/오프 동작 및 상기 개폐밸브(312)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상기 펌프(311)과 상기 개폐밸브(312)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된다.Particularly, in order to supply water or air through the supply unit 300 and selectively supply the pressurized water or air to the supply port 210a formed on the wall surface 210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The water supply pipe 331 branched from the main pipe 310 and the air supply pipe 332 branching from the main pipe 310 are connected to the pipe 310 through a pressur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n / off operations of the pump 311 and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on / off valves 312 is provided between the pump 311 and the on / off valves 312, And electrically connected.

특히, 상기 개폐밸브(312)는 상기 메인배관(310)과 상기 물 공급배관(331)을 연통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메인배관(310)과 상기 공기 공급배관(332)을 연통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며, 이때, 개폐밸브(312)는 예를 들어 전기가 통하면 플랜지가 올라가 밸브가 개방되고 전기가 차단되면 플랜지 무게에 의하여 자동으로 밸브를 폐쇄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on-off valve 312 is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main pipe 310 and the water supply pipe 331, and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pipe 310 and the air supply pipe 332 Closing valve 312 is opened and closed by a solenoid which automatically closes the valve due to the weight of the flange when the flange is raised and the valve is opened and the electricity is interrupted, Valves can be applied.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메인배관(310)과 상기 공기 공급배관(332)을 연통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는 폐쇄하고, 상기 메인배관(310)과 상기 물 공급배관(331)을 연통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는 개방한 후, 상기 펌프(311)를 온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물 공급배관(331) → 상기 메인배관(310) → 상기 분기배관(320) → 상기 공급구(210a)를 통해 상기 집수정(1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압송되어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220) 상에 배치된 상기 트레이(221)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closes the opening / closing valve that opens / closes the passage that communicates the main pipe 310 and the air supply pipe 332, and connects the main pipe 310 and the water supply pipe 331 After the opening / closing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is opened, the pump 311 is controlled to be turned on.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collection tube 100 is f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331, the main pipe 310, the branch pipe 320, and the supply port 210a, Water can be supplied to plants planted on the tray 221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220 of the tray 200.

반대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메인배관(310)과 상기 물 공급배관(331)을 연통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는 폐쇄하고, 상기 메인배관(310)과 상기 공기 공급배관(332)을 연통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는 개방한 후, 상기 펌프(311)를 온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공급배관(332) → 상기 메인배관(310) → 상기 분기배관(320) → 상기 공급구(210a)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압송되어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바닥면 상에 배치된 상기 트레이(221)에 식재된 식물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loses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that opens and closes the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main pipe 310 and the water supply pipe 331 and opens the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main pipe 310 and the air supply pipe 332 After the opening / closing valve is opened, the pump 311 is controlled to be turned on. The external air is fed through the air supply pipe 332, the main pipe 310, the branch pipe 320, and the supply port 210a to be su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Air can be supplied to the plants planted in the arranged tray 221.

또한, 상기 분기배관(32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추가적으로 설치된다면,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각 층에 공급되는 물이나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각 층에 배치된 상기 트레이에 다른 종류의 식물이 식재된다 하더라도 해당 식물의 생육 조건에 맞춰 물이나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f an opening / closing valve for opening / closing the branch pipe 320 is additionally provided, the amount of water or air supplied to each layer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may be adjusted. Accordingly, even if different kinds of plants are planted in the tray disposed in each layer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water or air can be supplied according to the growth conditions of the plant.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공기 공급배관(331)의 내부에서 압송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공기 공급배관의 내부에는 필터, 거름망, 메쉬망 등과 같이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수단이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If necessary, means for filtering out foreign matter such as a filter, a filtering net, a mesh net, etc. may be installed in the air supply pipe so as to filter out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to be pumped in the air supply pipe 331 .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상기 물 공급배관(331)의 내부에서 압송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물 공급배관(331)의 내부에는 필터, 거름망, 메쉬망 등과 같이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수단이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If necessary, the water supply pipe 331 may filter foreign matter such as a filter, a filtering net, a mesh net, etc. so that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water to be pumped out from the water supply pipe 331 can be filtered out Means may be install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는 계단식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벽면(210)에 형성된 공급구(210a)를 통해 물이나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촉진 및 실내공기를 정화는 물론, 실내 적정습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각 층에 형성된 공급구(210a)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나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어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각 층에 마다 종류의 식물이 식재된 트레이(221)가 배치되더라도 상기 계단식 안착판(200)의 각 층을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재된 식물로의 햇빛의 조사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lant gr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electively supplies water or air through a supply port 210a formed in a wall surface 210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having a stepp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upply amount of water or ai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ort 210a formed in each layer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The respective layers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200 can be individually managed as well as the amount of sunlight irradiated to the planted plants can be increased The effect can be expected.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limited by the following claims.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00: 집수정 110: 하면
120: 측면 200: 계단식 안착판
210: 벽면 210a: 공급구
220: 바닥면 221: 트레이
300: 공급유닛 310: 메인배관
311: 펌프 312: 개폐밸브
320: 분기배관 330: 공급배관
331: 물 공급배관 332: 공기 공급배관
400: 펜스 플레이트 500: 그물망
600: 지지 프레임 700: 천장 플레이트
100: House fix 110: When
120: side 200: stepped seating plate
210: wall surface 210a:
220: bottom surface 221: tray
300: supply unit 310: main piping
311: pump 312: opening / closing valve
320: branch piping 330: supply piping
331: water supply pipe 332: air supply pipe
400: fence plate 500: mesh
600: Support frame 700: Ceiling plate

Claims (8)

하면과 상기 하면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집수정;
상기 집수정의 하면 테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벽면과, 상기 벽면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이 상향하는 방향으로 연속 형성되되, 연속 형성된 벽면 중 최하층에 위치한 벽면을 제외한 나머지 벽면에는 홀 형태의 공급구가 형성되는 계단식 안착판; 및
공기 또는 상기 집수정에 수용된 물을 선택적으로 압송하여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내부에서 상기 공급구를 통해 압송한 공기 또는 물을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포함하는 식물 재배기.
And a side surface extending upward from an edge of the lower surface and having a space in which water can be received therein;
A wall surface provided along a periphery of a position spaced apart in an inward direction from a rim of the collecting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extending in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wall surface are continuously formed in an upward direction, A stepped seating plate on which a hole in the form of a hole is formed in a wall surface other than a wall surface; And
And a supply unit for selectively feeding the air or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collection to supply air or water pumped through the supply port in the stepped seating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벽면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은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벽면의 둘레보다 넓은 둘레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상단에 위치한 바닥면으로 공급된 물이 상기 공급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surfac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wall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is formed to have a wider circumference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wall surfac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so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bottom surface locat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flows into the inlet Wherein the plant is cultivated in a pla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바닥면 상에 배치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내부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수용되며, 흙, 조경이끼, 코코넛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식생매트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ra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and a vegetation mat accommodated in the tray so as to be planted therein and made of at least one of earth soil moss moss and coconut fiber As a plant grow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 중 어느 한 면은 상기 집수정의 측면에 맞닿고,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 중 어느 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상기 집수정의 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surfac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is in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collecting plat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except the one surfac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is inwardly Wherein the plant seedling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 중 상기 집수정의 측면과 맞닿아 있는 한 면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펜스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The method of claim 4,
And a fence plate extending up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one surfac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gathering crystal among the wall surfaces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펜스 플레이트에는 울타리식물이 줄기를 뻗어 자라기 용이하도록 그물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ence plate is provided with a mesh network so that the fence plant can be easily extended to the stem.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계단식 안착판 내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메인배관;
상기 메인 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벽면에 형성된 공급구를 연통하는 분기배관; 및
상기 메인배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의 하부을 관통되는 상기 집수정의 내부와 연통되는 물 공급배관과, 상기 계단식 안착판의 최하단에 위치한 벽면의 상부를 관통하되 상기 집수정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관통되는 공기 공급배관으로 분기되어 이루어지는 공급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7.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supply unit
A main pipe installed in a height direction inside the stepped seating plate;
A branch pipe branched from the main pipe and communicating with a supply port formed on a wall surface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pipe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collecting compartment through a lower portion of a wall positioned at a lowermost end of the stepped seating plate; And a supply piping branched from an air supply pipe penetrating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ight of water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e collecto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인배관에는
압력작용에 의하여 액체나 기체를 수송할 수 있도록 압력작용을 가하는 펌프;
상기 메인배관에서 분기되는 상기 물 공급배관과 상기 공기 공급배관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상기 펌프의 온/오프 동작 및 상기 개폐밸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8. 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7,
A pump that applies a pressure action to transport liquid or gas by pressure action;
An opening / closing valve for opening / closing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air supply pipe which are branched from the main pipe;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n / off operation of the pump and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on / off valve.
KR1020150151016A 2015-10-29 2015-10-29 Device for cultivating plants KR1018554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016A KR101855431B1 (en) 2015-10-29 2015-10-29 Device for cultivating pl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016A KR101855431B1 (en) 2015-10-29 2015-10-29 Device for cultivating pl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016A true KR20170050016A (en) 2017-05-11
KR101855431B1 KR101855431B1 (en) 2018-05-04

Family

ID=5874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016A KR101855431B1 (en) 2015-10-29 2015-10-29 Device for cultivating pl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43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508A (en) * 2020-08-21 2022-03-02 주식회사 지앤아이솔루션 Device for moss pla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508A (en) * 2020-08-21 2022-03-02 주식회사 지앤아이솔루션 Device for moss 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431B1 (en)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486B1 (en) Planter assembly structure
KR101650057B1 (en) Fish tank and LED lighting using plant cultivation device
US9113606B2 (en) Growing system for hydroponics and/or aeroponics
CN105104158A (en) Intelligent hydroponic vegetable cultivating cabinet
KR101429678B1 (en) All-in-one indoor environmental improvement devices
KR20120007420A (en) Multi-stage type plant cultivating device
KR200476709Y1 (en) Water culture apparatus
KR20130009505A (en) Plant cultivation device with growing bed of double plate structure
KR101652488B1 (en) Body of indoor landscaping hydroponic equipment
KR101882196B1 (en) Hydroponics System Using Fog
KR20190044766A (en) A water purifier by using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for indoor
KR20190140796A (en) Wall greening system and air purification system
KR101510463B1 (en) Multi layer flowerpot
KR101755100B1 (en) Hydroponic culture apparatus and water fog supply method using thereby
KR102271415B1 (en) Indoor air purifying device using green plants
KR20150141308A (en) Humidifier-type air cleaner
KR101043699B1 (en) Plant cultivating device
KR101855431B1 (en) Device for cultivating plants
RU2402200C1 (en) Phytowall with polychromatic stimulators of plant growth
KR101658191B1 (en) Air washer for hydroponic cultivation
KR102202733B1 (en) Apparatus of growing vegetation
KR101702445B1 (en) Water culture apparatus
KR20100097326A (en) Next generation aquarium
KR20140025986A (en) Plant cultivation system which can recycle the culturing water
KR102421134B1 (en) Hydroponics device combined fishbow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