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999A -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서버 - Google Patents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999A
KR20170049999A KR1020150150982A KR20150150982A KR20170049999A KR 20170049999 A KR20170049999 A KR 20170049999A KR 1020150150982 A KR1020150150982 A KR 1020150150982A KR 20150150982 A KR20150150982 A KR 20150150982A KR 20170049999 A KR20170049999 A KR 20170049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ood
information
store
h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0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9999A/ko
Publication of KR20170049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한 영상에서 매장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식별정보 추출부,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허기 측정부, 상기 식별정보가 추출되면 사용자의 허기 지수와 함께 상기 식별정보를 관리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매장정보 요청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섭취했던 음식 또는 식습관 정보를 서버에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바라본 매장을 서버에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매장의 음식이 이로운지 판단하고, 더하여 해당 매장의 음식이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건강에 유익한 다른 대체 음식을 취급하는 매장을 추천하고,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서버{Wearable Device and Management Server For Recommending Customized Food Via Store Recognition and Measuring Hunger}
본 발명은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한 영상에서 매장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식별정보 추출부,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허기 측정부, 상기 식별정보가 추출되면 사용자의 허기 지수와 함께 상기 식별정보를 관리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매장정보 요청부 및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및 섭취한 시간을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음식내력 송신부를 포함한다.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란 말 그대로 인간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착용 부위에 따라 안경(Glasses), 워치(Watch), 팔찌, 신발, 반지, 벨트, 밴드(Band), 목걸이, 헤드셋(Headset), 의류 등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현재 빠른 보급화 단계에 있으며, 그 중에서 인간의 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됨과 동시에 착용이 용이한 웨어러블 안경, 웨어러블 워치 그리고 웨어러블 밴드가 가장 많은 제품군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말로 스마트(Smart) 디바이스라고도 한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필요하지만, 일단 구동이 개시되면 그 이후부터는 자동으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워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자신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싶다면 사용자가 심박수 측정 입력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웨어러블 워치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게 되며, 측정한 심박수를 기초로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필요하지 않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도 많이 출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밴드의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없더라도 사용자의 심박수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앞으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필요하지 않는 방향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사용자의 입력이 필요 없는 만큼, 디바이스 구동의 편의성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추가 정보의 근원은 사용자로부터 측정한 정보들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박수, 혈압, 심리상태, 체중, 체온, 호흡량, 도보 수, 관심사, 현재위치 등과 같은 정보들이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Sensor)를 필수적으로 실장해야 하며, 실장되는 센서의 종류가 많을수록 사용자로부터 많은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심박수 측정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도보 수 측정 센서는 필수적으로 실장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제한된 디바이스 내부의 공간에 다양한 센서를 실장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실장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측정한 이후, 이를 기초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하여 혈압이 지나치게 높다면 혈압을 적정 수준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관심사에 관련된 근처 매장이나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정보의 제공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각기 다른 사용자에게 필요한 모든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최근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함께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일종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는바,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기능을 통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혈압을 적정 수준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약에 대한 정보나 사용자의 관심사에 관련된 근처 매장이나 상품들에 대한 정보의 제공 모두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될 때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추가 정보는 다양해질 수밖에 없으며,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개발과 함께 앞으로 나아가는 동반자로 볼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결제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관련 업계의 주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에 NFC(Near Frequency Communication) 기능을 포함시키고,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의 신용카드를 등록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지갑을 꺼내 결제하지 않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결제를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지갑을 대체하여 모바일 지갑(Mobile Walle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카드 결제 승인 등 보안(Security)과 관련된 문제가 다수 존재하므로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가 매우 많다.
또한 휴대가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생체신호 측정 센서의 출현으로 언제 어디서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서비스가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건강 상태를 알려주지만 그 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위험 요소를 알려 주는 서비스가 미비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9-0000643 호: 상황인식 기반 광고 쿠폰 발행시스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섭취했던 음식 또는 식습관 정보를 서버에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바라본 매장을 서버에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매장의 음식이 이로운지 판단하고, 더하여 해당 매장의 음식이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건강에 유익한 다른 대체 음식을 취급하는 매장을 추천하고,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시스템은, 영상을 촬영하고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측정하며, 상기 촬영한 영상에서 매장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추출되면 사용자의 허기 지수와 함께 상기 식별정보를 관리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및 섭취한 시간을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식별정보, 사용자의 허기 지수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 허기 지수 및 사용자의 정보를 고려해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을 추출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한 영상에서 매장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식별정보 추출부;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허기 측정부; 상기 식별정보가 추출되면 사용자의 허기 지수와 함께 상기 식별정보를 관리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매장정보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장정보 추출부는, 간판, 상호명, 상호 이미지, 바코드 및 QR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기지수 측정부는, 사용자가 음식을 섭취한 시간을 통해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허기지수 측정부는, 사용자가 기 섭취한 음식의 칼로리로부터 상기 칼로리가 소모되는 시간을 계산하여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및 섭취한 시간을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음식내력 송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식내력 송신부는, 사용자가 결제한 음식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하여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위치정보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건강정보, 몸무게, 키 등의 정보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서버는, 매장을 특정하는 식별정보, 및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섭취한 시간, 사용자의 신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식별정보 매칭부;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을 추출하는 매장 추천부;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식별정보, 사용자의 허기 지수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송신하는 서버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정보는, 간판, 상호명, 상호 이미지, 바코드 및 QR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매장 추천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및 섭취한 시간을 통해 측정한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을 추출하는 것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장 추천부는,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을 섭취하면 권장 칼로리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권장 칼로리를 초과하지 않는 음식을 제공하는 다른 매장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매장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가까운 매장 순서대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매장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가 권장 칼로리 이상의 음식을 섭취한 경우,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매장 추천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매장 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이미 권장 칼로리를 초과 섭취하였다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장 추천부는, 상기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은, (a)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b)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촬영한 영상에서 매장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단계; (d)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e) 관리서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f) 관리서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허기 지수 및 사용자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을 추출하는 단계; 및 (g) 관리서버가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서버가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해 맞춤 음식 제공하는 방법은, (a)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촬영한 영상에서 매장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d)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b) 단계는, 간판, 상호명, 상호 이미지, 바코드 및 QR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사용자가 음식을 섭취한 시간을 통해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c) 단계는, 사용자가 기 섭취한 음식의 칼로리로부터 상기 칼로리가 소모되는 시간을 계산하여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e)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및 섭취한 시간을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e) 단계는, 사용자가 결제한 음식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f)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하여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서버가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해 맞춤 음식을 제공하는 방법은, (a)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식별정보 및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수신한 사용자 허기 지수 및 사용자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정보는, 간판, 상호명, 상호 이미지, 바코드 및 QR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을 섭취하면 권장 칼로리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권장 칼로리를 초과하지 않는 음식을 제공하는 다른 매장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가까운 매장 순서대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권장 칼로리 이상의 음식을 섭취한 경우,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매장 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이미 권장 칼로리를 초과 섭취하였다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c) 단계는, 상기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섭취했던 음식 또는 식습관 정보를 서버에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바라본 매장을 서버에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매장의 음식이 이로운지 판단하고, 더하여 해당 매장의 음식이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건강에 유익한 다른 대체 음식을 취급하는 매장을 추천하고,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시스템의 구현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의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에서의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으며,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더하여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시스템의 구현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허기 지수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관리서버(200)에 제공하면서, 사용자가 바라보는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를 수신하고, 어떠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사용자의 건강에 적합한지 관리서버(200)가 추천해 줄 수 있다. 더하여 관리서버(20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매장의 간판, 상호명, 상호 이미지, 바코드 및 QR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더하여 사용자의 허기를 측정하여 이 정보를 토대로 관리서버(200)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 중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200)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섭취한 시간, 사용자의 키, 몸무게, 연령, 성별 등의 신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화하여 관리하고, 상기 정보들을 고려해 사용자의 요청에 가장 적합한 음식을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통해 바라본 매장이 ‘A 매장’인 경우 웨어러블은 촬영하는 영상에서 식별정보(도 1의 경우에는 간판의 표장)을 추출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판단한 사용자의 허기 지수가 70%라면, 추출한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관리서버(200)에 전송하고, 이를 전송받은 관리서버(200)는 A 매장에서 취급하는 음식 중 사용자의 허기 지수 70%를 채울 수 있으며, 그 이상의 칼로리를 넘지 않는 음식을 추천할 수 있고, 더하여 A 매장에서 사용가능한 할인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200)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사용자가 음식을 섭취한 시간, 사용자의 키, 몸무게, 연령, 성별 등의 신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화 해놓을 수 있어, 사용자가 매장 정보를 요청하였을 경우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이 사용자가 섭취할 수 있는 권장 칼로리를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권장 칼로리를 초과하지 않는 음식을 제공하는 다른 매장을 추천할 수 있다. 더하여 사용자가 일일 권장 칼로리를 이미 섭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하여 매장 정보를 요청하거나 음식 섭취를 한 정보를 송신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관리서버(200)에 식습관을 데이터베이스(210)화하여 사용자의 몸에 건강한 음식을 추천 받을 수 있고, 더하여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를 제공받아 효율적인 결제를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시스템은, 영상을 촬영하고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측정하며, 상기 촬영한 영상에서 매장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추출되면 사용자의 허기 지수와 함께 상기 식별정보를 관리서버(200)에 송신하여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하며,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및 섭취한 시간을 상기 관리서버(200)에 송신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식별정보, 사용자의 허기 지수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 허기 지수 및 사용자의 정보를 고려해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을 추출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송신하는 관리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말 그대로 인간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착용 부위에 따라 안경(Glasses), 워치(Watch), 팔찌, 신발, 반지, 벨트, 밴드(Band), 목걸이, 헤드셋(Headset), 의류 등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쓰이는 웨어러블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선을 촬영하여, 촬영한 피사체로부터 매장 정보를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매장의 간판, 상호명, 상호 이미지, 바코드 및 QR코드)를 추출하고,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측정하여 관리서버(20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식별정보, 사용자의 허기 지수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 허기 지수 및 사용자의 정보를 고려해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을 추출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다양한 유무선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을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300)은 휴대용 소형기기를 나타낼 수 있지만, 캠코더 또는 랩탑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지칭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관리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은 통신망에 의해 정보를 송수신함이 바람직하다.
통신망은 기지국 제어기, 기지국 전송기 및/또는 중계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지국 제어기는 지지국 전송기와 교환국간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통신망은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따라서 동기식인 경우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RTS(Radio Tranceiver Sub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CDMA 망이 아닌 GSM 망 및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통칭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통신망은 액세스포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나타낸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다. 또한 액세스포인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과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크게 고정형 액세스포인트 및 이동형 액세스포인트로 구분된다. 고정형 액세스포인트에는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동형 액세스포인트에는 예컨대 케이티(KT)의 에그와 같은 특정 제조사의 브리지 제품이 포함된다. 이러한 이동형 액세스포인트는 자유로운 이동성을 보장하면서, 송신측 정보에서 수신측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신 경로를 지정한 후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110), 상기 촬영한 영상에서 매장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식별정보 추출부(120),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허기 측정부, 상기 식별정보가 추출되면 사용자의 허기 지수와 함께 상기 식별정보를 관리서버(200)에 송신하여,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매장정보 요청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및 섭취한 시간을 상기 관리서버(200)에 송신하는 음식내력 송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10)는 영상을 촬영하며, 도 1 과 같이 사용자의 안구 근처에 착용되는 스마트 글래스에 촬영부(110)가 매장의 식별정보를 촬영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생각해볼 수 있다. 촬영부(110)가 사용자의 안구에 가까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선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게 되므로, 스마트 글래스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안구 부위에 탑재되는 스마트 글래스뿐만 아니라, 다른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도 촬영 기능이 탑재되는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안구 부위에 착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별정보 추출부(120)는 촬영한 영상에서 매장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매장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가 담긴 매개체로, 매장 간판에 개시된 표장, 상호명 또는 상호 이미지, QR(Quick Response)코드, 바코드, 로고(logo) 또는 라벨(label)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식별정보 추출부(120)는 촬영부(110)가 촬영한 정보로부터 식품명, 식품 이미지, 바코드 및 QR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식별정보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QR코드는 흑백 격자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바코드로, 기존 바코드가 용량 제한에 따라 가격과 상품명 등 한정된 정보만 담는데 비해, QR코드는 넉넉한 용량을 강점으로 긴 문장의 인터넷 주소(URL)나 사진, 상품의 성분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촬영부(110)가 촬영한 피사체에서 식별정보 추출부(120)가 식별 정보를 감지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전송할 식별 정보로 선정하여 관리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선택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식별정보 추출부(120)는 감지 영역으로 판단한 영역을 후술할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역을 선택할 경우, 식별정보 추출부(120)는 이 영역을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식별 정보로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장정보 추출부는, 촬영부(110)가 촬영한 피사체로부터 간판의 표장, 상호명, 상호 이미지, 바코드 및 QR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서버(200)에 송신하면, 관리서버(200)에서는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허기 측정부는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측정할 수 있고, 이때 측정된 허기 지수는 관리서버(200)에 전송되어 사용자가 추천 받을 음식의 칼로리를 선정하는데 반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허기지수 측정부(130)는, 사용자가 음식을 섭취했던 시간을 통해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섭취했던 음식의 칼로리를 함께 고려하여 허기 지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식을 700kcal의 햄버거를 섭취했던 시간이 오전 11시인 경우, 오전 11시에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80%로 설정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허기 지수를 80(오전 11시의 허기지수) ? 700(오전 11시 섭취한 음식의 칼로리)*0.01(허기지수감소 상수)*t(1시간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6시간 이후면 100-700*0.01*6 = 38%로 계산할 수 있다. 한편 허기지수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따라 다르며, 음식을 섭취한 시간이 경과할수록 높아지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오후 5시에 1000kcal의 닭요리를 섭취했다면 새로운 허기 지수를 38(오후 5시의 허기지수)+1000(오전 5시에 섭취한 음식의 칼로리)*0.05(허기지수증가 상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닭요리를 섭취한 이후의 허기 지수는 38+1000*0.05=88%가 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허기지수 측정부(130)는, 사용자가 기 섭취한 음식의 칼로리로부터 상기 칼로리가 소모되는 시간을 계산하여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180cm, 몸무게 80kg의 사용자가 600kcal의 음식을 섭취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고려하였을 때, 사용자가 600kcal의 에너지를 5시간 안에 소모한다면, 5시간 동안 사용자의 허기 지수가 일정 비율로 떨어지도록 하여 허기 지수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방법은 실시예일뿐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허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매장정보 요청부(140)는 식별정보 추출부(120)로부터 식별정보가 추출되면 식별정보를 사용자의 허기 지수와 함께 관리서버(200)에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여,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관리서버(20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식정보 송신부는, 사용자가 결제한 음식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식내력 송신부(15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및 섭취한 시간을 상기 관리서버(200)에 송신할 수 있다. 통신망은 유, 무선 통신이 모두 포함되며, 통신망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및 관리서버(200)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매장정보 요청부(140) 및 음식내력 송신부(150)는 외부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통해 관리서버(200)와 송수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는 무선 통신모듈 및 유선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모듈은 무선망 통신모듈, 무선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Wi-Fi, Wireless Fidelity 또는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모듈 및 무선팬(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모듈, 무선랜 통신모듈 및 무선팬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무선망 통신모듈은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망 통신모듈은 식별정보 추출부(12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여 식별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망 통신모듈은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고,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후술할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하여 관리서버(200)에 송신하는 위치정보 측정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다른 매장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음식의 칼로리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통해 관리서버(200)에 전송한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매장이 ‘A 매장’인 경우, 관리서버(200)는 ‘A 매장’이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전송하고,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정보를 입력하거나,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입력부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200)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200)는 매장을 특정하는 식별정보, 및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섭취한 시간, 사용자의 신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10),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추출하는 식별정보 매칭부(220),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을 추출하는 매장 추천부(23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식별정보, 사용자의 허기 지수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송신하는 서버 통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10)는 매장을 특정하는 식별정보, 및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섭취한 시간, 사용자의 신체 정보(사용자의 키, 몸무게, 연령, 성별 등)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신체 정보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측정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건강 정보를 입력 받아 관리서버(200)로 전송하고, 이를 후술할 서버 통신부(240)가 수신하여, 상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의 내력 및 시간은 사용자가 음식 결제한 내역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인정받아,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의 내력 및 섭취한 시간을 데이터베이스(210)화 하여 사용자의 식습관 정보 및 섭취해야 할 칼로리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서버(200)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사용자가 음식을 섭취한 시간, 사용자의 키, 몸무게, 연령, 성별 등의 신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화 할 수 있어, 사용자가 매장 정보를 요청하였을 경우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건강 유지에 적합한 음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관리서버(200)에 식습관을 데이터베이스(210)화하여 사용자의 몸에 건강한 음식을 추천 받을 수 있고, 더하여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를 제공받아 효율적인 결제를 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 매칭부(2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매장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가 담긴 매개체로 간판의 표장, 상호명, 상호 이미지, 바코드, QR(Quick Response)코드, 바코드, 로고(logo) 또는 라벨(label) 등을 포함한다.
상기 매장 추천부(230)는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허기 지수 및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 매장의 간판을 촬영하여 A 매장의 식별 정보(간판의 표장)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전송한 경우, 식별정보 매칭부(220)는 수신한 식별정보(간판의 표장)로부터 매칭되는 A 매장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에서 추출한다. 그 후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가 키 180cm, 몸무게 80kg이며 일일 권장 칼로리가 2700kcal이고, 사용자가 그날 섭취한 음식 내력이 아침 700kcal, 점심 1000kcal의 음식을 섭취하였다면, A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를 제공하면서 일일 권장 칼로리를 초과하지 않는 1000kcal 이하의 음식을 추천 음식으로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장 추천부(2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및 섭취한 시간을 통해 측정한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및 섭취한 시간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사용자의 입력 또는 음식 결제 정보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어 관리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식을 700kcal의 햄버거를 섭취했던 시간이 오전 11시인 경우, 오전 11시에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80%로 설정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허기 지수를 80(오전 11시의 허기지수) ? 700(오전 11시 섭취한 음식의 칼로리)*0.01(허기지수감소 상수)*t(1시간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6시간 이후면 100-700*0.01*6 = 38%로 계산할 수 있다. 한편 허기지수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따라 다르며, 음식을 섭취한 시간이 경과할수록 높아지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오후 5시에 1000kcal의 닭요리를 섭취했다면 새로운 허기 지수를 38(오후 5시의 허기지수)+1000(오전 5시에 섭취한 음식의 칼로리)*0.05(허기지수증가 상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닭요리를 섭취한 이후의 허기 지수는 38+1000*0.05=88%가 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매장 추천부(230)는, 사용자가 기 섭취한 음식의 칼로리로부터 상기 칼로리가 소모되는 시간을 계산하여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180cm, 몸무게 80kg의 사용자가 600kcal의 음식을 섭취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고려하였을 때, 사용자가 600kcal의 에너지를 5시간 안에 소모한다면, 5시간 동안 사용자의 허기 지수가 일정 비율로 떨어지도록 하여 허기 지수를 측정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매장 추천부(230)는,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을 섭취하면 권장 칼로리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권장 칼로리를 초과하지 않는 음식을 제공하는 다른 매장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떠한 사용자의 일일 권장 칼로리가 2700kcal이고 그날 섭취했던 칼로리가 2200kcal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정보 요청한 매장이 ‘A 매장’인데, A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들의 칼로리가 사용자가 500kcal 이상으로 A 매장의 음식을 섭취할 경우 사용자의 일일 권장 칼로리를 초과하게 된다면, 500kcal 이하의 음식을 제공하는 다른 매장을 추천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매장 추천부(23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가까운 매장을 순서대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장 추천부(2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매장 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이미 권장 칼로리를 초과 섭취하였다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가 일일 권장 칼로리 섭취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경고를 하여 사용자의 비만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일 권장 칼로리를 이미 섭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하여 매장 정보를 요청하거나 음식 섭취를 한 결제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매장 추천부(230)는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 포인트, 이벤트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상기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 통신부(240)는 통신망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은 유, 무선 통신이 모두 포함되며, 통신망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및 관리서버(200)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서버 통신부(24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서버 통신부(240)는 무선 통신모듈 및 유선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모듈은 무선망 통신모듈, 무선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Wi-Fi, Wireless Fidelity 또는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모듈 및 무선팬(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관리서버(200)가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모듈, 무선랜 통신모듈 및 무선팬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무선망 통신모듈은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망 통신모듈은 매장 추천부(230)로부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수신하면,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정보들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방법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시스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및 관리서버(200)를 설명한다. 한편 후술할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에 대한 각 단계의 구현에 대한 상세 내용은 본 발명의 장치에 관한 실시예에서 다루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은, (a)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b)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상기 촬영한 영상에서 매장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단계; (d)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상기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관리서버(200)에 송신하는 단계; (e) 관리서버(2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f) 관리서버(2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허기 지수 및 사용자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을 추출하는 단계; 및 (g) 관리서버(200)가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의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서버가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해 맞춤 음식 제공하는 방법은, (a)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촬영한 영상에서 매장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관리서버(200)에 송신하는 단계; 및 (d)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b) 단계는, 간판, 상호명, 상호 이미지, 바코드 및 QR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사용자가 음식을 섭취한 시간을 통해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c) 단계는, 사용자가 기 섭취한 음식의 칼로리로부터 상기 칼로리가 소모되는 시간을 계산하여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e)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및 섭취한 시간을 관리서버(200)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e) 단계는, 사용자가 결제한 음식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f)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하여 관리서버(200)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200)에서의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리서버(200)가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해 맞춤 음식을 제공하는 방법은, (a)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식별정보 및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한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수신한 사용자 허기 지수 및 사용자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정보는, 간판, 상호명, 상호 이미지, 바코드 및 QR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을 섭취하면 권장 칼로리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권장 칼로리를 초과하지 않는 음식을 제공하는 다른 매장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가까운 매장 순서대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권장 칼로리 이상의 음식을 섭취한 경우,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매장 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이미 권장 칼로리를 초과 섭취하였다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c) 단계는, 상기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방법은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등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 범위를 제한해놓은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들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순차적인 순서에 불과하며, 다른 추가적인 단계들이 제공되거나, 일부 단계가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과 이를 실행하는 구현물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또는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관한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장치"나 "시스템"이라 함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모두 포함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를 들어,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210) 관리 시스템, 운영 제체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모든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 등으로 알려진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 또는 선험적,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되는 것은 아니며,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를 들어,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를 들어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와 DVD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이하, 상기 기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명세서에 기술한 시스템과 MO 서비스 기반 혜택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구성들을 구현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스토리지 시스템과 관련된 서버 또는 서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 상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코드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수단을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서버,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 모바일 컴퓨팅 플랫폼, 고정 컴퓨팅 플랫폼 등과 같은 컴퓨팅 플랫폼 중 일부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명령어, 코드 등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한 종류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CD-ROM, DVD, 메모리, 하드 디스크, 플래시 드라이브, RAM, ROM, 캐시 등과 같은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접근(Access)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은 서버, 클라이언트, 게이트웨이, 허브, 라우터 또는 네트워크 하드웨어 상의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장치를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는 파일 서버, 프린트 서버, 도메인 서버, 인터넷 서버, 인트라넷 서버, 호스트 서버, 분산 서버 등과같이 다양한 종류의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서버들은 메모리, 프로세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스토리지 매체, 통신 디바이스, 포트, 클라이언트 그리고 다른 서버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등 역시 서버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디바이스들은 서버와 연관된 계층구조의 일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서버는 클라이언트, 다른 서버, 프린터,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린트 서버, 파일 서버, 통신 서버, 분산 서버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그램의 원격 실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에 연결된 디바이스 중 어느 것이라도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의 중앙 프로세서는 상이한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명령어, 코드 등을 디바이스에 제공하여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는 컴퓨팅 디바이스, 서버, 라우터, 허브, 방화벽, 클라이언트, 개인용 컴퓨터, 통신 디바이스, 라우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디바이스와 각각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별도의 모듈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디바이스와 모듈 외에 스토리 플래시 메모리, 버퍼, 스택, RAM, ROM 등과 같은 스토리지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 명령어, 코드 등 역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가 포함하는 디바이스, 모듈, 스토리지 매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실행 및 저장될 수 있으며,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디바이스 역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의 일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방법은 하드웨어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적합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드웨어는 개인용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범용 컴퓨터 디바이스와 기업형 특정 컴퓨터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하며, 컴퓨터 디바이스는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콘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집적 회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조직 등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 코드 등은 판독 가능한 디바이스에 의해 저장 또는 접근될 수 있으며, 여기서 판독 가능한 디바이스는 일정 시간 간격 동안 컴퓨팅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구비하는 컴퓨터 컴포넌트, RAM 또는 ROM과 같은 반도체 스토리지, 광디스크와 같은 영구적인 스토리지, 하드 디스크, 테이프, 드럼 등과 같은 대용량 스토리지, CD 또는 DVD와 같은 광 스토리지, 플래시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페이퍼 테이프, 독립형 RAM 디스크, 컴퓨터로부터 착탈 가능한 대용량 스토리지와 동적 메모리, 정적 메모리, 가변 스토리지, 클라우드와 같은 네트워크 접속형 스토리지 등과 같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명령어와 코드 등은 SQL, dBase 등과 같은 데이터 지향 언어, C, Objective C, C++, 어셈블리 등과 같은 시스템 언어, Java, NET 등과 같은 아키텍처 언어, PHP, Ruby, Perl, Python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언어 등과 같은 언어들을 모두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언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명령어를 프로세서로 제공하는데 기여하는 모든 매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광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매체, 동적 메모리 등과 같은 휘발성 매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축 케이블, 구리 와이어, 광섬유 등과 같은 전송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블록도와 순서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성들은 상기 구성들 사이의 논리적인 경계를 의미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된 구성들과 그 기능들은 독립형 소프트웨어 모듈, 모놀리식 소프트웨어 구조, 코드, 서비스 및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실행되며,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등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그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모든 실시 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과 그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는 하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특정 배열이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단순히 추론되어서는 안된다. 즉, 이상에서 기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 예들이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보유하면서 일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순서도의 경우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도시된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 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실시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섭취했던 음식 또는 식습관 정보를 서버에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바라본 매장을 서버에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매장의 음식이 이로운지 판단하고, 더하여 해당 매장의 음식이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건강에 유익한 다른 대체 음식을 취급하는 매장을 추천하고,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촬영부
120: 식별정보 추출부
130: 허기지수 측정부
140: 매장정보 요청부
150: 음식내력 송신부
160: 위치정보 측정부
200: 관리서버
210: 데이터베이스
220: 식별정보 매칭부
230: 매장 추천부
240: 서버 통신부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2)

  1.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한 영상에서 매장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식별정보 추출부;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허기 측정부;
    상기 식별정보가 추출되면 사용자의 허기 지수와 함께 상기 식별정보를 관리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매장정보 요청부;
    를 포함하는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정보 추출부는,
    간판의 표장, 상호명, 상호 이미지, 바코드 및 QR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기지수 측정부는,
    사용자가 음식을 섭취했던 시간을 통해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기지수 측정부는,
    사용자가 기 섭취한 음식의 칼로리로부터 상기 칼로리가 소모되는 시간을 계산하여 허기 지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및 섭취한 시간을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음식내력 송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식내력 송신부는,
    사용자가 결제한 음식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를 측정하여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위치정보 측정부;
    를 더 포함하는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7. 매장을 특정하는 식별정보, 및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섭취한 시간, 사용자의 신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매장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식별정보 매칭부;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을 추출하는 매장 추천부;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식별정보, 사용자의 허기 지수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 정보를 송신하는 서버 통신부;
    를 포함하는 관리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추천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내력 및 섭취한 시간을 통해 측정한 사용자의 허기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식을 추출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관리서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추천부는,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음식을 섭취하면 권장 칼로리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권장 칼로리를 초과하지 않는 음식을 제공하는 다른 매장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가까운 매장 순서대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서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추천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매장 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이미 권장 칼로리를 초과 섭취하였다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추천부는,
    상기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 포인트,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서버.
KR1020150150982A 2015-10-29 2015-10-29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서버 KR20170049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982A KR20170049999A (ko) 2015-10-29 2015-10-29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982A KR20170049999A (ko) 2015-10-29 2015-10-29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999A true KR20170049999A (ko) 2017-05-11

Family

ID=5874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982A KR20170049999A (ko) 2015-10-29 2015-10-29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99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527B1 (ko) 2022-12-28 2023-05-09 주식회사 로보그램인공지능로봇연구소 건강 정보 기반 식당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527B1 (ko) 2022-12-28 2023-05-09 주식회사 로보그램인공지능로봇연구소 건강 정보 기반 식당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50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gnizing faces using non-facial information
US11107368B1 (en) System for wireless devices and intelligent glasses with real-time connectivity
US202101041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targets 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JP6687707B2 (ja) 物理的な物品のユーザに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方法
US10606543B2 (en) Systems for displaying media on display devices
KR102379643B1 (ko) 데이터 메시 플랫폼
US8971861B2 (en) Relevant content delivery
US107061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ersonalized and community-specific eating and activity planning, linked to tracking system with automated multimodal item identification and size estimation system
US20170103166A1 (en)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measurement of blood alcohol level and management server therefor
US20120229624A1 (en) Real-time image analysis for providing health related information
US20120233003A1 (en) Providing retail shopping assistance
US20160165409A1 (en) Method and device for wearable display
CA2989894A1 (en) Augmented realit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urchasing
US10049598B1 (en) Passive tracking and prediction of food consumption
WO2015135066A1 (en) Methods and systems relating to biometric based electronic content delivery and advertising
KR20170048073A (ko) 사용자맞춤 식품추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서버
JP6532555B1 (ja) 販売支援装置、販売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264144A1 (en) Hyper-local targeting based on user location
KR20170049999A (ko) 매장인식 및 허기측정을 통한 맞춤 음식 제공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관리서버
US11188988B2 (en) Image generation for social media contact engagement
JP6607665B2 (ja)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携帯型記録媒体、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80022291A (ko) 광고 시스템 및 광고영상 제공방법
KR20130089771A (ko) 디지털 액자를 이용한 광고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