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837A -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 - Google Patents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837A
KR20170049837A KR1020150150654A KR20150150654A KR20170049837A KR 20170049837 A KR20170049837 A KR 20170049837A KR 1020150150654 A KR1020150150654 A KR 1020150150654A KR 20150150654 A KR20150150654 A KR 20150150654A KR 20170049837 A KR20170049837 A KR 20170049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ow
wave
hull
ship
flo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3757B1 (ko
Inventor
임정욱
Original Assignee
(주)보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고 filed Critical (주)보고
Priority to KR1020150150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757B1/ko
Priority to PCT/KR2015/012720 priority patent/WO2017073831A1/ko
Publication of KR20170049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8Shape of aft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02T70/1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흘수선 상에 유체흐름부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유체흐름부를 통해 수면상의 항주파가 선체의 후면 중앙 부분으로 유도되도록 하여 수면상에 발생하는 항주파를 줄일 수 있는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단동식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단동식 선박은, 선체의 흘수선(吃水線:draft line) 상의 측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선체의 측면을 따라 흐르는 수면상의 항주파를 상기 선체의 후면 중앙 부분으로 유도하는 유체흐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HIGH-SPEED PLANNING MONO HULL HAVING FLUID FLOW PART FOR REDUCING SHIP WAVE}
본 발명은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흘수선 상에 유체흐름부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유체흐름부를 통해 수면상의 항주파가 선체의 후면 중앙 부분으로 유도되도록 하여 수면상에 발생하는 항주파를 줄일 수 있는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수상에서 이동하는 운송수단임에 따라 선박 운항시 선박을 이루는 선체는 유체의 유동저항을 받게 된다.
선체에 작용하는 유동저항에는 마찰저항과 압력저항이 있으며, 마찰저항은 선체에 작용하는 유동저항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저항요소임에 따라 마찰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제10-1104881호에는 '유동저항저감형으로 형상설계된 선체를 가진 선박'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흘수선(吃水線:draft line) 하측의 선수(船首)와 선미(船尾) 사이 측면부에 유동제어홈이나 유동제어돌기를 형성하여 수중에서의 유체의 저항을 줄여 추진 효율을 증가시킬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항주파(ship wave, 航走波)는 선박이 이동할 때 발생한 파랑으로서, 파향을 선박의 좌우로 전파하는 종파(diverging wave)와 선박의 뒤에서 항적중심선을 가로 지르는 형태로 전파하는 횡파(transverse wave)로 구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박이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항주파로 인하여 항적이 형성됨에 따라 전투적인 목적을 위한 전투용 선박의 경우에 항적 추적 레이더에 노출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항구 또는 좁은 수로 등에서는 선박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항주파가 항구 내 정박한 소형선박이나 수중 구조물에 영향을 주어 손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바닥과 선미가 둥근 형태의 선체를 갖는 저속형의 소형범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에서 발생된 파도와 선미에서 발생된 파도가 각각 분리된 형태로 퍼져나가게 된다.
한편, 선미가 직사각 형태의 선체를 갖는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에서 발생된 파도와 선미에서 발생된 파도가 합쳐져 커다란 항주파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속도를 높이기 위한 가속 시 선수가 들리고 일자형의 선저 바닥의 선미가 물을 위에서 누르게 됨에 따라 바닥과 선미가 둥근 저속형의 소형범선보다 많은 항주파를 발생시키게 된다.
즉, 선수에서 발생되는 항주파는 소형범선이나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에서 유사한 형태로 발생되지만,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은 선미의 사각 형상으로 인해 많은 항주파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측표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직사각형의 선미 끝단에 이르면서 유체의 흐름이 끊어지거나 물결이 휘몰아치는 와류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와류 현상으로 이해 선박의 추진력이 저해되고, 뚜렷한 항주파와 항적을 남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등록특허 제10-1104881호의 경우에는, 수중에서의 유체 저항을 감소하는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항주파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하였으며, 이러한 항주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항주파를 많이 발생하는 단동형 선체로 이뤄진 선박보다 항주파의 발생이 적은 다동형 선체로 이뤄진 선박으로 항주파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단동형 선체로 이뤄진 선박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항주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104881호(등록일자 2012년01월04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흘수선 상에 유체흐름부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유체흐름부를 통해 수면상의 항주파가 선체의 후면 중앙 부분으로 유도되도록 하여 수면상에 발생하는 항주파를 줄일 수 있는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은, 선체의 흘수선(吃水線:draft line) 상의 측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선체의 측면을 따라 흐르는 수면상의 항주파를 상기 선체의 후면 중앙 부분으로 유도하는 유체흐름부;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흐름부는, 상기 선박의 선수부 측에 대응하는 시작부에서 상기 선박의 선미부 측에 대응하는 마감부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흐름부는, 상기 선박의 선수부 측에 대응하는 시작부에서 상기 선박의 선미부 측에 대응하는 마감부를 향할수록 점차 선미의 중앙부를 향하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흐름부의 폭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유체흐름부의 상부면은 외측보다 내측의 높이 낮게 형성되고, 상기 유체흐름부의 측부면은 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체흐름부의 하부면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체의 선미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선미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상기 유체흐름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기둥부가 구비되며, 상기 기둥부의 내측면은 상기 유체흐름부의 측부면과 동일한 경사 또는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흐름부를 통과한 항주파가 상기 선체의 후면 중앙 부분으로 더욱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유체흐름부의 후방에 인접한 선미부 위치에 돌출형성된 연장흐름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주파가 상기 선체의 후면 중앙 부분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항주파와 접하는 상기 유체흐름부의 측부면 및 상기 유체흐름부를 통과한 항주파가 상기 선체의 후면 중앙 부분으로 더욱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항주파와 접하는 상기 연장흐름부의 측부면은 동일한 경사 또는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장흐름부는 평면상을 기준으로 후방을 향할수록 폭 두께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체의 선미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선박의 흘수선 상에 유체흐름부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유체흐름부를 통해 수면상의 항주파가 선체의 후면 중앙 부분으로 유도되도록 하여 수면상에 발생하는 항주파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항주파를 줄여줌에 따라 항적추적 레이더의 추적을 피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항주파에 의한 항 내에 정박중인 타 선박과 수중구조물의 피해와 생태계의 교란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체흐름부의 시작부 높이가 마감부의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됨에 따라 선박의 추진시 선수가 들리고 선미가 가라앉게 되는 선미 트림이 발생 시에 대응하여 항주파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체흐름부와 연장흐름부가 호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항주파의 유도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체흐름부의 폭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유체흐름부의 상부면은 외측보다 내측의 높이 낮게 형성되고, 상기 유체흐름부의 측부면은 호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유체흐름부로 유도된 항주파의 상쇄작용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소형 범선에 의해 발생된 항주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에 의해 발생된 항주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에 의해 발생된 선미 와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미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의해 발생된 항주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미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의해 발생된 항주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유체흐름부의 구체적인 단면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미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미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미의 평면 형상이 직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100)은 수면상에 발생하는 항주파(kelvin wave)를 줄이기 위하여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100)의 흘수선 상에 유체흐름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유체흐름부(110)를 통해 해수면 상에 발생하는 항주파의 일부가 상기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100)의 선체 후면 중앙 부분으로 유도되도록 함과 함께 선미에서 발생되는 와류현상을 해소하여 항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유체흐름부(11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박(100)의 흘수선(吃水線:draft line) 상의 측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며, 이와 같이, 홈 형태의 유체흐름부(110)를 통해 상기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100)의 선체 측면을 따라 흐르는 수면상의 항주파가 상기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100)의 선체 후면 중앙 부분으로 유도될 수 있다.
특히, 상시 유체흐름부는(110)는 선미의 평면 형상이 직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된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100)의 중저속 추진 시 발생하는 항주파를 선체의 후면 중앙 부분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선미의 평면 형상이 직사각의 형상인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100)의 경우에는, 중저속 추진 시 선수가 들리고 선미가 가라앉게 되는 선미트림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유체흐름부(110)에 의한 항주파의 유도작용으로 저항력을 낮춰줌에 따라 추가적인 가속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체흐름부(110)는 해수면 상의 항주파와 접촉되어 항주파를 상기 선체의 후면 중앙 부분으로 유도하는 측부면(110a), 상기 측부면(110a)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선체의 측면과 후면에 연결된 하부면(110b), 상기 측부면(110a)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선체의 측면과 후면에 연결된 상부면(110c)으로 이뤄질 수 있다.
즉, 상기 측부면(110a), 하부면(110b), 상부면(110c)으로 형성된 홈 형상의 공간이 유체흐름부(110)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체흐름부(110)는, 상기 선박(100)의 선수부 측에 대응하는 시작부에서 상기 선박(100)의 선미부 측에 대응하는 마감부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점차 커짐과 함께 선미 중앙측을 향하도록 만곡된 곡선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형상을 통해 해수면 상의 항주파가 상기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100)의 선체 후면 중앙 부분으로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흐름부(110)의 폭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유체흐름부(110)의 상부면은 외측보다 내측의 높이 낮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유체흐름부(110)의 측부면은 호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유체흐름부(110)의 폭방향 단면(A-A단면, B-B단면, C-C단면, D-D단면)을 보면, A-A단면 부분에서 D-D단면 부분을 향할수록 유체흐름부(110)의 단면적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부면은 외측보다 내측의 높이 낮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유체흐름부(110)의 측부면은 호형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이 대략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유체흐름부(110)의 형상에 따르면, 해수면 상의 항주파가 유체흐름부(110)를 따라 흐르는 동안에 상기 유체흐름부(110)의 상부면과 측부면의 완만한 곡면 형상을 통해 와류가 방지되면서 상기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100)의 선체 후면 중앙 부분으로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항주파가 형태가 형성되어 항적의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에서 발생된 파도와 선미에서 발생된 파도가 합쳐져 커다란 항주파를 형성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에서 발생된 파도와 선미에서 발생된 파도가 각각 분리된 형태로 퍼져나가게 되어 항적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100)은, 상기에서 설명한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100)과 동일 내지 유사한 유체흐름부(110)를 구비하면서도, 상기 유체흐름부(110)를 통과한 항주파가 상기 선체의 후면 중앙에서 먼 측 부분으로 더욱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유체흐름부(110)의 후방에 인접한 선미부 위치에 돌출형성된 연장흐름부(12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연장흐름부(120)는 상기 유체흐름부(1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유체흐름부(110)를 통과한 항주파 및 이러한 항주파에 의한 와류 현상을 더욱 감소시켜 항적의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기능한다.
즉, 상기 항주파가 상기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100)의 선체 후면 중앙 부분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항주파와 접하는 상기 유체흐름부(110)의 측부면(110a) 및 상기 유체흐름부(110)를 통과한 항주파가 상기 선체의 후면 중앙 부분으로 더욱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항주파와 접하는 상기 연장흐름부(120)의 측부면(120a)은 동일한 경사 또는 동일한 곡률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항주파가 자연스럽게 에너지를 소모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의 후면 중앙에서 먼 측 부분으로 항주파를 더 유도하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흐름부(120)는 후방을 향할수록 폭 두께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상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평면상을 기준으로 하는 두께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미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미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미가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선체에 형성된 유체흐름부(110)를 구성하는 하부면(110b)과 상부면(110c)을 연결하는 기둥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30)는 상기 선체의 선미 코너부에 대응하는 상기 유체흐름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며, 상기 기둥부(130)의 내측면은 상기 유체흐름부의 측부면과 동일한 경사 또는 동일한 곡률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체흐름부(110)는 측부면(110a), 하부면(110b), 상부면(110c) 및 상기 기둥부(130)의 내측면에 의해 통로 형태(또는, 터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30)는 상기 유체흐름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선체의 선미 부분(갑판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선박
110:유체흐름부
120:연장흐름부
130:기둥부

Claims (9)

  1. 선체의 흘수선(吃水線:draft line) 상의 측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선체의 측면을 따라 흐르는 수면상의 항주파를 상기 선체의 후면 중앙 부분으로 유도하는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흐름부는,
    상기 선박의 선수부 측에 대응하는 시작부에서 상기 선박의 선미부 측에 대응하는 마감부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흐름부는,
    상기 선박의 선수부 측에 대응하는 시작부에서 상기 선박의 선미부 측에 대응하는 마감부를 향할수록 점차 선미의 중앙부를 향하는 곡선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흐름부의 폭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유체흐름부의 상부면은 외측보다 내측의 높이 낮게 형성되고, 상기 유체흐름부의 측부면은 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체흐름부의 하부면은 수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
  5. 제4항 있어서,
    상기 선체의 선미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선미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상기 유체흐름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기둥부가 구비되며, 상기 기둥부의 내측면은 상기 유체흐름부의 측부면과 동일한 경사 또는 동일한 곡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흐름부를 통과한 항주파가 상기 선체의 후면 중앙 부분으로 더욱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유체흐름부의 후방에 인접한 선미부 위치에 돌출형성된 연장흐름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주파가 상기 선체의 후면 중앙 부분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항주파와 접하는 상기 유체흐름부의 측부면 및 상기 유체흐름부를 통과한 항주파가 상기 선체의 후면 중앙 부분으로 더욱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항주파와 접하는 상기 연장흐름부의 측부면은 동일한 경사 또는 동일한 곡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
  8. 제6항 있어서,
    상기 연장흐름부는 평면상을 기준으로 후방을 향할수록 폭 두께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
  9. 제1항 있어서,
    상기 선체의 선미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
KR1020150150654A 2015-10-29 2015-10-29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 KR101763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654A KR101763757B1 (ko) 2015-10-29 2015-10-29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
PCT/KR2015/012720 WO2017073831A1 (ko) 2015-10-29 2015-11-25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654A KR101763757B1 (ko) 2015-10-29 2015-10-29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837A true KR20170049837A (ko) 2017-05-11
KR101763757B1 KR101763757B1 (ko) 2017-08-02

Family

ID=5863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654A KR101763757B1 (ko) 2015-10-29 2015-10-29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3757B1 (ko)
WO (1) WO2017073831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96670A (en) * 1973-12-29 1977-12-30 Yamaha Motor Co Ltd Planing hulls
JPH0711496U (ja) * 1993-07-30 1995-02-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尾波整流装置
KR200440082Y1 (ko) * 2006-11-29 2008-05-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조파저항 감소를 위한 선박의 트랜섬 선미구조
KR200440081Y1 (ko) * 2006-12-14 2008-05-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저항저감장치
KR101104881B1 (ko) * 2009-08-11 2012-01-1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동저항저감형으로 형상설계된 선체를 가진 선박
JP5268999B2 (ja) * 2010-06-07 2013-08-21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船舶
KR101511559B1 (ko) * 2013-12-02 2015-04-13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세일요트 직진 및 태킹시 횡류력을 전진력으로 전환하기 위한 선미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757B1 (ko) 2017-08-02
WO2017073831A1 (ko)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15266A (ja) 滑走型船体
Ma et al. Test research on the resistance performance of high-speed trimaran planing hull
CN103661791B (zh) 具有恒定浸湿长度的尖舭滑行艇艇型
KR101763757B1 (ko) 항주파 감소용 유체흐름부가 구비된 고속 활주형 단동식 선박
US9038559B2 (en) Keel pad, boat hull with a keel pad and retrofit kit
JP2008528375A (ja) 船首
US8567332B1 (en) Advanced bilge keel design
Yoo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aneuvering characteristics of a twin propeller/twin rudder ship during berthing and unberthing
US2555307A (en) Fishtailed hull
CA2964797C (en) Minimum wave bow
KR101966162B1 (ko) 중소형선박 주행성능 개선 구조물
JP4116986B2 (ja) 高速船における船尾構造
JP2007253697A (ja) 船舶
CN107089297A (zh)
JP7225462B1 (ja) 船舶用省エネ装置
US9238501B1 (en) Bilge keel with porous leading edge
RU208484U1 (ru) Глиссирующее судно
JP3668947B2 (ja) 船尾端部整流装置
JP2023130867A (ja) 船舶
JP2016159714A (ja) 小型船舶
Biancardi et al. Test Series Results of Varying Yaw and Roll Angles of Trimaran Amas
Wei et al. CFD and EFD based studies of hull wetness of fast Mono-WPC
JP2022119343A (ja) 船舶
JP2023082737A (ja) 船舶の曳波低減システム、船舶、船舶の曳波低減方法、及び、船舶の造波抵抗低減方法
Royce et al. Facility comparison on model calm water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a trimar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