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452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452A
KR20170048452A KR1020177008312A KR20177008312A KR20170048452A KR 20170048452 A KR20170048452 A KR 20170048452A KR 1020177008312 A KR1020177008312 A KR 1020177008312A KR 20177008312 A KR20177008312 A KR 20177008312A KR 20170048452 A KR20170048452 A KR 20170048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trp
bitmap
subframes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3511B1 (ko
Inventor
채혁진
서한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48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1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using bit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3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each allocating device acting autonomously, i.e. without negotiation with other alloc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D2D(Device to Device)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에 적용할 비트맵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에 상기 비트맵을 사용하여, D2D 데이터를 전송할 서브프레임의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프레임 세트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에서 D2D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에서 1의 개수인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상기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어떤 UL/DL 구성 집합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D2D 데이터 전송 방법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 대 장치 통신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장치 대 장치(Device-to-Device; D2D) 통신이란 단말(User Equipment; 단말)들 간에 직접적인 링크를 설정하여, 기지국(evolved NodeB; eNB)을 거치지 않고 단말 간에 음성, 데이터 등을 직접 주고 받는 통신 방식을 말한다. D2D 통신은 단말-대-단말(단말-to-단말) 통신, 피어-대-피어(Peer-to-Peer) 통신 등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2D 통신 방식은 M2M(Machine-to-Machine) 통신,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에 응용될 수 있다.
D2D 통신은 급속도로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따른 기지국의 부담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D2D 통신에 의하면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과 달리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장치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D2D 통신을 도입함으로써, 기지국의 절차 감소, D2D에 참여하는 장치들의 소비 전력 감소, 데이터 전송 속도 증가, 네트워크의 수용 능력 증가, 부하 분산, 셀 커버리지 확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에서 1의 개수로써 가능한 값의 집합을 정의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D2D(Device to Device)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에 적용할 비트맵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에 상기 비트맵을 사용하여, D2D 데이터를 전송할 서브프레임의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프레임 세트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에서 D2D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에서 1의 개수인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상기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어떤 UL/DL 구성 집합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D2D 데이터 전송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D2D(Device to Device)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송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에 적용할 비트맵을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에 상기 비트맵을 사용하여, D2D 데이터를 전송할 서브프레임의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세트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에서 D2D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에서 1의 개수인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상기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어떤 UL/DL 구성 집합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단말 장치이다.
상기 k 값으로 가능한 집합의 크기는, 가장 많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갖는 UL/DL 구성에서 가장 클 수 있다.
상기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UL/DL 구성 1, 2, 4, 5 중 하나인 경우,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1, 2, 4, 8}일 수 있다.
상기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UL/DL 구성 0인 경우,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1, 2, 3, 4, 5, 6, 7}일 수 있다.
상기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UL/DL 구성 3, 6 중 하나인 경우,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1, 2, 3, 4, 5, 6}일 수 있다.
상기 D2D 데이터 전송은 전송 모드 1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크기는,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 {1, 2, 4, 8}, {1, 2, 3, 4, 5, 6, 7}, {1, 2, 3, 4, 5, 6}일 때, 각각 8, 7, 6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시간 리소스 패턴을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하는 딜레이, 하프 듀플렉스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동기 신호의 릴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시간 리소스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중계기는 Relay Node(RN), Relay Station(RS)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기지국이라 함은 스케줄링 수행 노드, 클러스터 헤더(cluster header) 등을 장치를 지칭하는 의미로써도 사용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이나 릴레이도 단말이 전송하는 신호를 전송한다면, 일종의 단말로 간주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셀의 명칭은 기지국(base station, eNB), 섹터(sector), 리모트라디오헤드(remote radio head, RRH), 릴레이(relay)등의 송수신 포인트에 적용되며, 또한 특정 송수신 포인트에서 구성 반송파(component carrier)를 구분하기 위한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WiMAX는 IEEE 802.16e 규격(WirelessMAN-OFDMA Reference System) 및 발전된 IEEE 802.16m 규격(WirelessMAN-OFDMA Advanced system)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LTE/LTE-A 자원 구조/채널
도 1을 참조하여 무선 프레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셀룰라 OFDM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 패킷 전송은 서브프레임 (subframe) 단위로 이루어지며, 한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구간으로 정의된다. 3GPP LTE 표준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와 TDD(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도 1(a)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3GPP LTE/LTE-A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서 OFDMA 를 사용하므로, OFDM 심볼이 하나의 심볼 구간을 나타낸다. OFDM 심볼은 또한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으로 칭하여질 수도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이고, 하나의 블록에서 복수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CP(Cyclic Prefix)의 구성(configuration)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P에는 확장된 CP(extended CP)와 일반 CP(normal CP)가 있다. 예를 들어, OFDM 심볼이 일반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7개일 수 있다. OFDM 심볼이 확장된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한 OFDM 심볼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일반 CP인 경우보다 적다. 확장된 CP의 경우에,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6개일 수 있다. 단말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등의 경우와 같이 채널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심볼간 간섭을 더욱 줄이기 위해 확장된 CP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므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이때, 각 서브프레임의 처음 2개 또는 3개의 OFDM 심볼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할당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b)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개의 해프 프레임 (half 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해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과 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uard Period; GP), UpPTS (Uplink Pilot Time Slot)로 구성되며, 이 중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한편, 무선 프레임의 타입에 관계 없이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RB)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반 CP(Cyclic Prefix)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7 OFDM 심볼을 포함하지만, 확장된 CP(extended-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6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각의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라 한다. 하나의 자원블록은 12×7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들의 개수(NDL)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에 따른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슬롯의 앞 부분의 최대 3 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에 해당한다. 나머지 OFDM 심볼들은 물리하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에 해당한다.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에는, 예를 들어, 물리제어포맷지시자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물리HARQ지시자채널(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PHICH) 등이 있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PHICH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서 HARQ ACK/NACK 신호를 포함한다. PDCCH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 한다. DCI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스케듈링 정보를 포함하거나 임의의 단말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PDCCH는 하향링크공유채널(DL-SCH)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상향링크공유채널(UL-SCH)의 자원 할당 정보, 페이징채널(PCH)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임의접속응답(Random Access Response)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단말 그룹 내의 개별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의 세트, 전송 전력 제어 정보,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이상의 연속하는 제어채널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의 조합(aggregation)으로 전송된다. CCE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초한 코딩 레이트로 PDCCH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개의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한다. PDCCH를 위해 필요한 CCE의 개수는 DCI의 크기와 코딩 레이트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PDCCH 전송에는 CCE 개수 1, 2, 4, 8(각각 PDCCH 포맷 0, 1, 2, 3에 대응)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DCI의 크기가 큰 경우 및/또는 채널 상태가 좋지 않아 낮은 코딩 레이트가 필요한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CCE가 하나의 PDCCH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되는 DCI의 크기, 셀 대역폭, 하향링크 안테나 포트의 개수, PHICH 자원 양 등을 고려하여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순환잉여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를 부가한다. CRC는 PDCCH의 소유자 또는 용도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라 하는 식별자로 마스킹된다. PDCCH가 특정 단말에 대한 것이면, 단말의 cell-RNTI(C-RNTI) 식별자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PDCCH가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것이면, 페이징 지시자 식별자(Paging Indicator Identifier; P-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PDCCH가 시스템 정보(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 대한 것이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및 시스템 정보 RNTI(SI-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단말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임의접속응답을 나타내기 위해, 임의접속-RNTI(RA-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이 할당된다.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하나의 단말은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 쌍(RB pair)에 할당된다. 자원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블록들은 2 슬롯에 대하여 상이한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자원블록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호핑(frequency-hopped)된다고 한다.
D2D 단말의 동기 획득
이하에서는 상술한 설명 및 기존 LTE/LTE-A 시스템에 기초하여, D2D 통신에서 단말간 동기 획득에 대해 설명한다. OFDM 시스템에서는 시간/주파수 동기가 맞지 않을 경우 셀 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로 인해 OFDM 신호에서 서로 다른 단말 간에 멀티플렉싱이 불가능질 수 있다. 동기를 맞추기 위해 D2D 단말들이 직접 동기 신호를 송수신하여 모든 단말이 개별적으로 동기를 맞추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D2D와 같은 분산 노드 시스템에서는 특정 노드가 대표 동기 신호를 전송해주고 나머지 UE들이 이에 동기를 맞출 수 있다. 다시 말해, D2D 신호 송수신을 위해 일부 노드들이 (이때 노드는 eNB, UE, SRN(synchronization reference node 또는 synchronization source로 불릴 수도 있다) 일 수도 있다.) D2D 동기 신호(D2DSS, D2D Synchronization Signal)를 전송하고, 나머지 단말들이 이에 동기를 맞추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D2D 동기신호에는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D2DSS(Primary D2DSS 또는 PSSS(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세컨더리 동기 신호(SD2DSS(Secondary D2DSS 또는 SSSS(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가 있을 수 있다. PD2DSS는 소정 길이의 자도프 추 시퀀스(Zadoff-chu sequence) 또는 PSS와 유사/변형/반복된 구조 등일 수 있다. SD2DSS는 M-시퀀스 또는 SSS와 유사/변형/반복된 구조 등일 수 있다. 만약 단말들이 eNB로부터 동기를 맞출 경우, SRN은 eNB가 되며, D2DSS는 PSS/SSS가 된다.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는 D2D 신호 송수신 전에 단말이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기본이 되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D2DSS에 관련된 정보, 듀플렉스 모드(Duplex Mode, DM), TDD UL/DL 구성, 리소스 풀 관련 정보, D2DSS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등)가 전송되는 (방송) 채널일 수 있다. PD2DSCH는 D2DSS와 동일한 서브프레임 상에서 또는 후행하는 서브프레임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SRN은 D2DSS, PD2DSCH(Physical D2D synchronization channel)를 전송하는 노드일 수 있다. D2DSS는 특정 시퀀스 형태일 수 있고, PD2DSCH는 특정 정보를 나타내는 시퀀스거나 사전에 정해진 채널 코딩을 거친 후의 코드 워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SRN은 eNB 또는 특정 D2D 단말이 될 수 있다. 부분 네트워크 커버리지(partial network coverage) 또는 커버리지 바깥(out of network coverage)의 경우에는 단말이 SRN이 될 수 있다.
도 5와 같은 상황에서 커버리지 밖(out of coverage) 단말과의 D2D 통신을 위해 D2DSS는 릴레이 될 수 있다. 또한, D2DSS는 다중 홉을 통해 릴레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기 신호를 릴레이 한다는 것은 직접 기지국의 동기신호를 AF 릴레이하는 것뿐만 아니라, 동기 신호 수신 시점에 맞추어 별도의 포맷의 D2D 동기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D2D 동기 신호가 릴레이 됨으로써 커버리지 안 단말과 커버리지 밖 단말이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는 이와 같은 D2D 동기 신호의 릴레이 및 이에 기초한 D2D 단말간의 통신 상황이 예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이 데이터, 디스커버리 신호 등을 전송함에 있어, TRP(Time Resource Pattern)에 대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TRP는 RPT(Resource Pattern for Transmission), T-RPT(Time-RPT) 등의 다른 표현으로 칭해질 수도 있으나, 그 명칭에 본 발명의 범위가 종속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TRP의 특성을 포함하는 자원 패턴은 TRP에 해당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이하의 설명에서, 기지국/단말에 의해 송신 자원의 위치를 지시받는 방식을 모드 1/타입 2, 송신 단말이 특정 리소스 풀 내에서 송신 자원의 위치를 지시하는(UE의 선택에 의한) 방식을 모드 2/타입 1이라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SA(Scheduling Assignment)는 D2D 데이터의 송신에 관련된 제어 정보,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송신 전에 SA가 먼저 전송되고, D2D신호 수신 단말은 SA를 먼저 디코딩해보고 SA가 지시하는 데이터의 송신되는 자원 위치가 어디인지 파악한 다음 해당 자원에서 D2D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D2D는 사이드링크(sidelink)로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TRP 지시 비트 시퀀스라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비트 시퀀스는 SA에 포함된 ID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SA에 TRP를 지시할 추가 비트 필드가 포함될 경우 ID + TRP 비트 시퀀스를 TRP 지시 비트 시퀀스로 해석할 수 있다. 또는 SA에 ID와 독립적인 TRP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 시퀀스가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는 TRP 비트 시퀀스가 TRP 지시 비트 시퀀스로 해석될 수 있다. SA에 포함되어 전송되면서, TRP를 지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비트 시퀀스의 집합은 TRP 지시 비트 시퀀스로 해석될 수 있다.
TRP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TRP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서브프레임들(601)은 D2D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TDD의 경우 UL 서브프레임, 도 6에서 D2D communication subframe)과 D2D 신호 송수신이 불가한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서브프레임은 D2D 제어정보 전송 주기(예를 들어, 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에서 D2D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서브프레임으로만 이루어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풀(602)이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풀에 TRP(도 6의 TRP #0, #1 )가 적용됨으로써, D2D 데이터를 전송할 서브프레임의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RP #1이 적용되는 경우 D2D 데이터를 전송할 서브프레임은 8번째, 9번째~16번째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세트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의 TRP에서 음영 부분이 D2D 데이터를 전송할 서브프레임을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TRP는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풀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비트들로 이루어진 비트맵일 수 있다. 이 경우, 비트들 중 1로 설정된 비트는 상기 D2D 데이터를 전송할 서브프레임을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TRP 가 비트맵으로 구성되는 경우 도 6에서 음영 부분이 1, 음영 없는 부분이 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TRP #1의 경우 비트맵으로는 {0, 0, 0, 0, 0, 0, 0, 1, 0, 1, 1, 1, 1, 1, 1, 1}이다.
이와 같이 D2D 데이터를 전송할 서브프레임 세트가 결정된 후, 결정된 서브프레임의 세트에서 D2D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SA를 수신한 UE는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D2D 신호가 전송됨을 예상하고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D2D신호 검출 및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D2D 데이터를 위한 전송 블록(transmission block, TB)은 서브프레임 세트에서 미리 설정된 개수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즉, TB별 재전송 횟수(the number of repetition)/재전송 번호(retransmission number)/재전송 횟수(the number of retransmission)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한 TB당 재전송 횟수는 4로 고정일 수 있다.
상술한 복수의 서브프레임은 하나의 D2D 제어 정보 주기 (SA period)에서, D2D 제어 정보에 관련된 서브프레임들(TDD의 경우, D2D 제어정보가 전송될 수도 있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이와 무관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스페셜 서브프레임을 포함) 이후에 연속되는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여기서, D2D 제어정보 (SA, MCS, resource allocation정보, TRP 등)는, D2D 제어정보가 전송될 수도 있는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SA 서브프레임 비트맵에 의해 D2D 제어정보가 전송되는 것으로 결정된 서브프레임들(즉, (D2D 제어정보를 위한) 서브프레임 풀)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D2D 제어정보를 위한 서브프레임 풀 이후 서브프레임에서 TRP를 지시하는 정보는 D2D 제어정보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하나의 D2D 제어 정보 주기가 위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풀에 포함된 서브프레임과, D2D 제어정보를 위한 서브프레임 풀에 포함된 서브프레임은 오버랩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D2D 제어정보를 위한 서브프레임 풀과 D2D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풀이 오버랩 하는 경우 D2D제어 정보 혹은 D2D 데이터를 항상 전송하도록 규칙이 정해질 수 있으며, D2D 제어 정보와 D2D 데이터는 같은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없다.
한편 D2D 커뮤니케이션 모드 1에서는 별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풀이 정의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D2D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풀 (보다 구체적으로 D2D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bitmap이 시작되는 서브프레임부터 bitmap에서 마지막 1이 나타내는 서브 프레임까지 D2D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풀로 정의될 수 있다.) 이후 UL 서브프레임들이 묵시적인 모드 1 D2D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풀일 수 있다.
TRP의 적용
상술한 설명에서 TRP의 서브프레임에의 적용은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단말은 TRP를 지시하는 정보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위 단말이 D2D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인 경우 TRP를 지시하는 정보는 D2D 제어정보를 통해 전송되는 것일 수 있고, 단말이 D2D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인 경우 TRP를 지시하는 정보는 수신된 D2D 제어정보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TRP를 지시하는 정보는 후술하는 TRP 지시 파트에 기술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특정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을 지시하는 인덱스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크기가 8인 경우, 비트맵으로 가능한 비트맵 집합이 있을 수 있다. 이 때, 비트맵 집합의 각 비트맵은 인덱스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고, 이 인덱스를 통해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에 적용할 비트맵을 결정할 수 있는데,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은 상기 서브프레임 풀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예를 들어, RPT 지시 비트 시퀀스)는 반복될 수 있다. TRP 지시 비트 시퀀스의 길이를 M라고 할 경우 나머지 L 서브프레임에서는 M개의 비트 시퀀스를 단순 반복하여 나머지 서브프레임을 채운다. 만약 L이 M의 배수가 아닌 경우에는 나머지 비트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채워서 TRP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크기가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은 상기 비트맵 내에서 반복될 수 있다.
일례로,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크기 M이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풀의 서브프레임 개수보다 작고, 단말이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D2D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 단말은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의 1+M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D2D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에 적용할) 비트맵의 첫 번째 비트 값은,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크기 + 1) 번째 비트값과 동일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의 크기가 상기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 크기의 배수가 아닌 경우, 상기 마지막 반복되는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비트는 순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의 크기가 상기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 크기의 배수가 아닌 경우, 상기 마지막 반복되는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은 truncated bitmap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이 {0, 0, 0, 0, 0, 0, 0, 1, 0, 1, 1, 1, 1, 1, 1, 1} 16비트이고, 서브프레임 풀이 36개의 서브프레임인 경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에 적용할) 비트맵은 서브프레임이 두번 반복된 후 세 번째 반복에서 순차적으로 4개의 비트가 사용될(이후의 비트는 truncated) 수 있다. 즉,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에 적용할) 비트맵은 {0, 0, 0, 0, 0, 0, 0, 1, 0, 1, 1, 1, 1, 1, 1, 1, 0, 0, 0, 0, 0, 0, 0, 1, 0, 1, 1, 1, 1, 1, 1, 1, 0, 0, 0, 0}이다.
TRP의 지시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TRP를 지시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첫 번째로, 모드 1에서는 eNB가 D2D SA 승인에서, SA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ID와 TRP 비트를 지시할 수 있다. 이때 SA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ID 시퀀스 및/또는 SA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TRP 비트 필드의 시퀀스는 D2D 승인에 명시적으로(특정 ID 및/또는 TRP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 필드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D2D-RNTI의 비트 시퀀스를 해싱(hashing)하거나, 일부 비트(예를 들어 하위 N 비트)를 사용하여 SA에 포함되어 전송될 ID 시퀀스 및/또는 SA에 포함되어 전송될 TRP 비트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RNTI는 단말마다 다르고 RNTI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므로, 추가적인 시그널링 없이 D2D 자원 위치를 단말마다 설정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D2D-RNTI란 D2D 제어 정보를 다른 제어 정보와 구분하기 위해 사전에 시그널링된 ID를 말하며 이 RNTI는 D2D 제어 정보의 CRC를 매스킹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SA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ID의 일부는 RNTI로부터 생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타겟 ID (또는 그룹 ID)를 기반으로 생성 될 수 있다. 또는 두 ID의 조합(예를 들어 AND/XOR/OR)으로 ID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SA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ID는 시간에 따라 가변 할 수 있다. 이때 특징적으로 Tx UE ID 부분만 가변할 수 있다. 이는 타겟 UE ID부분까지 호핑하는 경우 이를 타겟 UE들이 알지 못할 경우 제대로 검출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타겟 UE ID부분의 호핑 패턴까지 타겟 UE가 아는 경우에는 SA에 포함되는 모든 ID 시퀀스가 일정 규칙을 가지고 호핑할 수 있다. 시간에 따른 ID 시퀀스의 가변성(호핑)은 D2D 승인 내에 비트 필드를 eNB가 직접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고, eNB의 D2D 승인이후 특정 규칙을 통해 ID 시퀀스가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승인내의 ID 시퀀스는 랜덤 시퀀스의 초기화 파라미터로 사용되고, 이를 통하여 생성된 랜덤 시퀀스를 사용하여 시간에 따라 가변 하는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모드 2에서는 SA를 통해 ID가 전송되고 이를 TRP를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ID는 상위계층에서(송신 및/또는 수신 (타겟, 그룹) ID) ID로부터 유도된 짧은 길이의 ID일 수도 있고, 또는 데이터의 전송 위치 및 스크램블링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트 시퀀스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SA에 포함된 ID 길이가 짧아서 많은 TRP 후보를 만들지 못할 경우 ID 간에 충돌 발생할 확률이 커지게 되고 이 경우 여러 Tx UE가 같은 TRP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SA의 일부 비트에 구체적인 TRP를 지시하는 비트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SA에 ID 비트 필드와 TRP 필드의 비트가 조합되어 특정 TRP를 지시할 수 있다. 일례로 SA에 포함된 ID는 TRP 세트를 지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SA에 포함된 TRP 지시 비트는 TRP 세트 내에서 구체적인 인덱스를 지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SA에 포함된 TRP 비트는 리소스 풀 내에서 특정 TRP 세트를 지시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SA에 포함된 ID가 TRP 비트가 지시한 풀/세트 내에서 특정 TRP를 지시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TRP 세트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는 매 SA마다 전송되지 않고 반정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RP 세트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는 매 n번째 SA마다 전송되거나, 매 SA마다 전송된다고 하더라도 n번의 SA전송 동안은 내용이 변하지 않음을 가정하여 이를 가상 CRC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 TRP 비트는 별도로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MCS 비트 또는 다른 SA 비트 필드 중에서 사용하지 않는 스테이트를 차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는 별도 포함되는 비트와 다른 비트 필드 중에서 사용하지 않는 스테이트를 모두 사용하여 TRP 패턴을 지시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SA의 지시에 사용되는 TRP 비트의 크기는 D2D UE의 그룹 크기 또는 그룹 내 Tx UE의 숫자에 의해 가변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경찰관 그룹이 N명일 때 TRP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의 크기는 log2(N)으로 설정되고 이때,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비트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거나, 0으로 세팅하여 가상 CRC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모드 1과 모드 2는 TRP의 ID 설정 방법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1의 경우에는 Tx UE ID만 사용하여 TRP를 지시하는 반면에, 모드 2의 경우에는 Tx UE ID와 타겟 UD ID (그룹) ID를 모두 사용하여 TRP를 지시할 수 있다.
TRP를 설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i) 한 UE관점에서 전송 기회(Transmission opportunity) 크기에 대한 정보(이 정보는 한 UE가 하나의 SA로부터 몇 개의 자원을 할당 받는가에 대한 정보이다), ii) 각 전송 블록 (TB)의 재전송 횟수 정보(이 정보는 한 SA period 내에서 몇 개의 TB를 전송할 것 인지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각 TB별 재전송횟수는 한 SA period내의 전송 기회 크기(또는 개수)/한 SA에 의해 전송되는 TB개수를 floor취한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또는 각 TB에 대해서 몇 번의 (최대) 반복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중 일부는 미리 설정된 것이거나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Out coverage UE의 경우에는 상기 정보가 미리 설정되거나 네트워크 내의 다른 UE로부터 물리계층 또는 상위계층 신호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중 일부는 SA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기회 크기는 미리 설정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TB별 재전송 넘버는 SA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반대로 전송 기회 크기에 대한 정보는 SA에 포함되어 전송되고, 재전송 넘버는 미리 설정된 것이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상위계층 신호로 반정적으로 지시된 값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써, SA에 8비트 ID가 포함되어 전송된다고 가정하면, ID로 구분 가능한 TRP의 개수는2^8=256개이다. 모드 2 리소스 풀의 서브프레임 개수가 16개라고 가정하고, 전송 기회 크기는 8이라고 가정할 경우 생성 가능한 TRP의 개수는 16C8=12870개이다. 따라서 SA에 포함된 ID 비트만으로는 TRP가 구분 불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언급한 방식으로 TRP를 지시하기 위한 추가 비트가 SA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 가능한 모든 TRP를 구분하기 위해서 약 6비트의 추가 비트가 필요한데, 이는 사용하지 않는 MCS 스테이트와 새로운 비트 필드의 조합으로 지시될 수도 있고, 별도의 추가 비트 필드로 지시될 수 있다.
TRP 서브셋의 시그널링
TRP 서브셋 구성을 네트워크가 상위 계층 신호로(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말은 TRP를 지시하는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풀에 적용할 비트맵을 결정하고, 비트맵에서 지시되는 서브프레임에서 D2D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 때 만약 상기 단말에 TRP 서브셋에 관련된 RRC(radio resource control) 정보 요소가 구성(configured)된 경우, TRP를 지시하는 정보에 의해 지시 가능한 비트맵의 집합은, 상기 단말이 상기 TRP 서브셋에 관련된 RRC 정보 요소와 무관한 경우 상기 TRP를 지시하는 정보에 의해 지시 가능한 비트맵 집합의 서브셋일 수 있다. 여기서, TRP를 지시하는 정보는 비트맵 집합 중 어느 하나의 비트맵을 지시하는 인덱스이다.
위 내용을 다음 표 1을 사용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다음 표 1은 TRP에 관련된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크기가 6인 경우, TRP를 지시하는 정보(
Figure pct00001
)와 그에 해당하는 비트맵의 관계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TRP를 지시하는 정보(
Figure pct00002
)가 22인 경우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은 {0, 1, 1, 0, 1, 0}이다.
Figure pct00003
상술한 바와 같은 표 1은 별다른 RRC 시그널링이 없는 경우 사용될 수 있는, 모 비트맵 세트(mother set)로 불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서, TRP 서브셋에 관련된 RRC 정보 요소가 단말에게 구성(configured)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표 1에서 인덱스로 가능한 집합에 대한 제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에서 단말이 사용 가능한
Figure pct00004
가 최대 4인 경우, TRP 서브셋에 관련된 RRC 정보 요소가 {1, 1, 1, 0}이면, 표 1에서
Figure pct00005
가 1, 2, 3에 해당하는 비트맵들의 집합이 모 비트맵 세트의 서브셋일 수 있다. 즉, RRC 시그널되는 TRP 서브셋에 관련된 정보 요소가 구성되는 경우,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비트맵들의 집합 또는 TRP를 지시하는 정보의 집합은, TRP 서브셋에 관련된 RRC 정보 요소와 무관한 경우(RRC 정보 요소가 시그널링되지 않는 경우, RRC 정보 요소가 시그널링되었지만 구성되지 않는 경우) 비트맵들의 집합 또는 TRP를 지시하는 정보의 집합의 서브셋인 것이다.
상기 TRP 서브셋에 관련된 RRC 정보 요소는 전송 모드 2 단말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TRP 서브셋을 네트웍이 제한하는 것은 특히 모드 2와 같이 UE가 전송 자원을 결정할 때에 효과적일 수 있는데, UE가 TRP중에서 랜덤하게 TRP 인덱스를 고르는 경우에 주변에 UE숫자가 적어서 간섭이 적은 경우에는 큰 값의
Figure pct00006
를 고르게 하여 더 빨리 packet을 전송할 수 있게하고, 주변에 UE가 많아서 간섭이 높은 경우에는 inband emission과, half duplex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값의
Figure pct00007
를 서브셋으로 제한하여, 특정 UE가 지속적으로 간섭을 많이 발생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TPR 서브셋을 제한하는 것은
Figure pct00008
값을 제한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특정 TRP 인덱스를 제한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특정 UE혹은 UE그룹이 특정
Figure pct00009
세트를 사용하도록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상기
Figure pct00010
값을 시그널링하여 서브셋을 제한하는 것 보다 많은 시그널링 비트를 필요로 할 수 있지만, 보다 유연한 TRP 서브셋 제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런 방법은 특정 UE혹은 UE그룹과 다른 UE혹은 UE그룹이 시간영역에서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을 사용하게 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UE그룹 A는 TRP bitmap에서 앞의 4개의 서브프레임 중 전체 혹은 일부에서 전송하도록 TRP서브셋을 구성하고, UE그룹 B는 TRP bitmap에서 뒤의 4개의 서브프레임중 전체 혹은 일부에서 전송하도록 TPR서브셋을 구성할 수 있다.
k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의 결정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에서 1의 개수인 k(또는
Figure pct00011
또는 M1)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다음 설명에 의할 수 있다.
실시예 1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에서 1의 개수인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어떤 UL/DL 구성 집합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일 수 있다. 다음 표 2와 같은 UL/DL 구성 및 다음 표 3과 같은 HARQ 프로세스 넘버를 고려하여, UL/DL 구성 1, 2, 4, 5은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크기 8, UL/DL 구성 0은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크기 7, UL/DL 구성 3, 6은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크기 6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TDD에서 UL HARQ 프로세스 수에 맞추어 D2D 데이터 서브프레임을 할당하기 위함이다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이와 같이, UL/DL 구성 집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각 UL/DL 구성 집합 별로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이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UL/DL 구성 1, 2, 4, 5 중 하나인 경우,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1, 2, 4, 8},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UL/DL 구성 0인 경우,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1, 2, 3, 4, 5, 6, 7}, 그리고,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UL/DL 구성 3, 6 중 하나인 경우,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1, 2, 3, 4, 5, 6}일 수 있다. (k 값으로 가능한 집합의 크기는, 가장 많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갖는 UL/DL 구성에서 가장 클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설정은 전송 모드 1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이렇게 TDD UL/DL 구성에 따라 사용가능 한 k값이 다르게 설정되는 이유는, TDD UL/DL 구성에 따라 라디오 프레임당 사용가능 한 UL 서브프레임 개수가 상이하고, 이 경우 UL/DL구성에 따라 같은 k값을 사용할 경우 latency가 UL/DL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UL개수가 적은 UL/DL구성에서는 높은 수의 k값을 사용하여 가능한 latency를 줄이는 동작이 필요하다.
실시예 2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에서 1의 개수인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모드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에서 1의 개수인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상기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변경되지 않더라도 전송 모드의 변경에 따라 변경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전송 모드가 2이고, 상기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UL/DL 구성 1, 2, 4, 5 중 하나인 경우 (또는 상기 단말의 듀플렉스 모드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인 경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1, 2, 4}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의 전송 모드가 2이고, 상기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UL/DL 구성 0인 경우,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1, 2, 3, 4, 5}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의 전송 모드가 2이고, 상기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UL/DL 구성 3, 6 중 하나인 경우,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1, 2, 3, 4}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의 전송 모드가 2인 경우에서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상기 단말의 UL/DL 구성에 관계없이, 상기 단말의 전송 모드가 1인 경우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의 전송 모드가 2인 경우에서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상기 단말의 전송 모드가 1인 경우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의 서브셋일 수 있다.
정리하면, 모드 1과 모드 2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크기(N) 및/또는 k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하프 듀플렉스 제한을 해결하기 위해서 모드 2에서는 의도적으로 높은 무게(달리 말하면 k과 N의 비율이 거의 1에 가까운)의 k는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하기 위함이다. 만약 특정 UE가 모드 2에서 k값을 사용한다면 그 UE가 대부분의 서브프레임에서 신호를 전송하고, 이로 인하여 다른 UE들이 대부분의 서브프레임에서 심각한 인밴드 방사 간섭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모드 2에서는 최대 k가 특정 값 이하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드 2에서 하프 듀플렉스 제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k은 N의 절반에 가깝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조합 수를 최대화 하기 위해서나, 하프 듀플렉스 제한을 해결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일례로 N=6일 때 k조합은 3을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3-1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에서 1의 개수인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듀플렉스 모드별로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크기 N) 세트가 미리 정의되어 있고, 길이 N의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이 반복되어 서브프레임 풀 내의 전체 TRP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 세트에서 전송 가능한 1의 개수인 k는 미리 그 세트가 정해져 있을 수 있다. 또한, 그 세트의 각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들은 인덱싱이 되어 있고, SA의 TRP 지시 비트를 이용하여 특정 인덱스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8이고, k={1,2,4,8}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세트는, 가능한 k에 대해서 세트가 정의될 수 있으며, 이때 SA에서 지시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 비트 수보다 세트의 크기가 큰 경우 일부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이 선택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N, k)에 따른 모든 가능한 조합이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세트 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SA로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을 지시하는 비트수가 8 비트인 경우 총 256개의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을 지시할 수 있고, 이때 1 비트는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세트를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한다면 총 128개의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을 SA를 통하여 지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예시처럼 N=8, k={1,2,4,8}인 경우 총 8C1+8C2+8C4+8C8=107개의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이 정의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은 UL 서브프레임에서 적용될 수도 있고, UL 서브프레임내의 D2D 리소스 풀에서만 적용될 수도 있다. 이때 TDD의 경우에는 FDD에 비하여 D2D 리소스 풀에서 서브프레임이 드물게(sparse) 설정될 수 밖에 없다. 만약 딜레이 제한(딜레이 제한)을 갖고 있는 VoIP 패킷의 경우에는 보다 많은 전송을 하도록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며, 그 경우에는 k의 세트가 FDD와 TDD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TDD에서는 더 많은 전송을 허용하는 것이 딜레이 제한을 만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TDD에서는 FDD에서보다 큰 숫자들 위주로 k 세트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DD에서는 N=8, k={1,2,4,8}이 정의되었다면, TDD에서는 N=8, k={1,4,6,8}이 정의될 수 있다. FDD에서 2가 TDD에서 6으로 바뀌었으며, 이 방식은 TRP사이의 해밍 거리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TDD에서 보다 많은 전송을 할 수 있게 해준다.
N=8의 경우 TDD에서 다음 표 4의 조합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TDD 구성마다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DD 구성 5에서는 1의 개수가 더 많은 조합이 선택되고(예를 들어 아래 표 4에서 {4,6,7,8}), TDD 구성 0와 같이 UL 서브프레임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1의 개수가 더 적은 조합(예를 들어 아래 표 4에서 {1,4,6,8})이 사용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FDD에서 사용하는 k의 조합보다 TDD에서는 같거나 더 큰 수의 k의 조합이 사용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합은 FDD/TDD 구성에 따라 사전에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FDD/TDD 구성에 관계없이 네트워크에 의해 물리계층/상위계층 신호로 시그널링 될 수 도 있다.
Figure pct00014
실시예 3-2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에는 TDD/FDD인지 여부에 따라 특정 k 값이 제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DD 구성 5에서는 k=1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N=8일 때 k=1이고 각 MAC PDU의 전송 횟수가 4일 경우 최소 320ms의 딜레이를 필요로 하고, 이는 200ms 딜레이 버짓(budget)을 넘게 된다. 만약 k=2인 경우에는 160ms 딜레이가 소요되고, 이는 200ms 딜레이 버짓을 만족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는 다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특정 TDD 구성에서 특정 k이 VoIP 딜레이 제한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UE는 해당 k은 제외하고 나머지 중에서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을 선택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UE가 VoIP (또는 딜레이 제한이 있는 다른 종류(예를 들어, video 등)의 패킷일 수 있음)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딜레이 제한을 만족하지 못하는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은 사용하지 않도록 규칙이 정해질 수 있다. UE가 딜레이 제한을 만족하기 위한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세트를 설명의 편의상 유효한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세트이라 부를 수 있다. 일례로 TDD 구성 5에서 리소스 풀의 비트맵 크기는 4이고,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 비트맵의 길이는 8이라고 가정해보자. 이렇게 리소스 풀의 길이가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 길이와 맞지 않는 경우에는 마지막 8비트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은 잘려질(truncation) 수 있다. 이때 상기 예시에서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첫 4개 비트만 사용한다면, UE는 k이 큰 값을 선택했다고 하더라고 1의 위치가 마지막에 몰려있어서 첫 4개의 비트에는 전송기회가 전혀 없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00001111을 선택한다면 위와 같은 구성에서는 전혀 전송기회가 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앞에 4개의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에서 1의 개수가 최소 1개는 있어야만 VoIP 딜레이 제한을 만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앞의 4개의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세트중에서 1이 최소 1개 이상인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만 유효한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일 수 있으며, UE는 유효한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세트중에서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을 선택 한다는 규칙이 정해질 수 있다.
한편 TDD에서 FDD보다 더 많은 전송기회를 부여하기 위하여 N과 k의 조합에서 FDD보다 더 큰 k/N값이 사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례로 N이 FDD에서 8이고 최대 k이 {1,2,4,8}이 사용되었다면 TDD에서는 N=7이고 k={1,3,5,7}이 사용되는 것이다. 이를 k/N의 값으로 비교해보면 FDD: k/N={0.125,0.25,0.5,1} TDD: k/N={0.1429 0.4286 0.7143 1.0000}으로 더 높은 값의 k/N이 사용되며, 이는 곧 TDD에서 더 높은 전송기회를 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요컨대 TDD에서는 UL 서브프레임이 FDD보다 sparse하기 때문에 더 높은 전송기회를 부여하기 위하여 k이 FDD보다 더 큰 값이 사용되거나, k/N의 비율이 더 큰 값이 사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음 표 5, 6에는 위 설명들에 기반한 k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의 예가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표 5와 6에 대해 부연하면, 모드 1에서는 TDD에서는 FDD보다 더 높은 전송기회를 부여함과 동시에 가능한 조합의 수가 가능한 많아 지도록 k을 설정한 것이다. 모드 2에서는 하프 듀플렉스 제한을 해결하기 위해서 절반(half) 무게 (N/2) 또는 절반 무게 근처의 k값을 포함하는 것이다. 일례로 TDD 구성 0의 경우에는 N=7 홀수이기 때문에 k에서 3 또는 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SA에서 T-TRP로 지시할 수 있는 비트수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 k의 세트는 SA에서 T-TRP 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조합의 수를 가능한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D2D 자원 할당에서 패턴수가 많을수록 단말간 간섭 랜덤화 효과가 커져서 성능이 좋아진다. 일례로 SA에서 TRP를 지시할 수 있는 비트수가 7비트인 경우 총 128개 TRP를 구분할 수 있고, k의 세트는 가능한한 128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간섭 랜덤화 효과가 커져서 성능이 좋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치 구성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10)는, 수신모듈(11), 전송모듈(12), 프로세서(13), 메모리(14) 및 복수개의 안테나(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1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전송포인트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11)은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12)은 단말로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3)는 전송포인트 장치(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10)의 프로세서(13)는, 앞서 설명된 각 실시예들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처리할 수 있다.
전송포인트 장치(10)의 프로세서(13)는 그 외에도 전송포인트 장치(1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20)는, 수신모듈(21), 전송모듈(22), 프로세서(23), 메모리(24) 및 복수개의 안테나(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2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21)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22)은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3)는 단말 장치(2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0)의 프로세서(23)는 앞서 설명된 각 실시예들에서 필요한 사항들을 처리할 수 있다.
단말 장치(20)의 프로세서(23)는 그 외에도 단말 장치(2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2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전송포인트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7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전송포인트 장치(1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전송 주체 또는 상향링크 수신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단말 장치(2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수신 주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D2D(Device to Device)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에 적용할 비트맵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에 상기 비트맵을 사용하여, D2D 데이터를 전송할 서브프레임의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프레임 세트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에서 D2D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에서 1의 개수인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상기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어떤 UL/DL 구성 집합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D2D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k 값으로 가능한 집합의 크기는, 가장 많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갖는 UL/DL 구성에서 가장 큰, D2D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UL/DL 구성 1, 2, 4, 5 중 하나인 경우,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1, 2, 4, 8}인, D2D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UL/DL 구성 0인 경우,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1, 2, 3, 4, 5, 6, 7}인, D2D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UL/DL 구성 3, 6 중 하나인 경우,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1, 2, 3, 4, 5, 6}인, D2D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2D 데이터 전송은 전송 모드 1을 위한 것인, D2D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크기는,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 {1, 2, 4, 8}, {1, 2, 3, 4, 5, 6, 7}, {1, 2, 3, 4, 5, 6}일 때, 각각 8, 7, 6인, D2D 데이터 전송 방법.
  8. 무선통신시스템에서 D2D(Device to Device)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송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에 적용할 비트맵을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풀에 상기 비트맵을 사용하여, D2D 데이터를 전송할 서브프레임의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세트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에서 D2D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에서 1의 개수인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상기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어떤 UL/DL 구성 집합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k 값으로 가능한 집합의 크기는, 가장 많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갖는 UL/DL 구성에서 가장 큰, 단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UL/DL 구성 1, 2, 4, 5 중 하나인 경우,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1, 2, 4, 8}인, 단말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UL/DL 구성 0인 경우,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1, 2, 3, 4, 5, 6, 7}인, 단말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구성된 UL/DL 구성이 UL/DL 구성 3, 6 중 하나인 경우,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은 {1, 2, 3, 4, 5, 6}인, 단말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2D 데이터 전송은 전송 모드 1을 위한 것인, 단말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 지시 비트맵의 크기는, 상기 k의 값으로 가능한 값들의 집합 {1, 2, 4, 8}, {1, 2, 3, 4, 5, 6, 7}, {1, 2, 3, 4, 5, 6}일 때, 각각 8, 7, 6인, 단말 장치.
KR1020177008312A 2014-08-26 2015-08-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393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42228P 2014-08-26 2014-08-26
US62/042,228 2014-08-26
US201462042768P 2014-08-27 2014-08-27
US62/042,768 2014-08-27
PCT/KR2015/008919 WO2016032225A1 (ko) 2014-08-26 2015-08-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452A true KR20170048452A (ko) 2017-05-08
KR102393511B1 KR102393511B1 (ko) 2022-05-03

Family

ID=540144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313A KR102497529B1 (ko) 2014-08-26 2015-08-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177008312A KR102393511B1 (ko) 2014-08-26 2015-08-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313A KR102497529B1 (ko) 2014-08-26 2015-08-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5) US9735926B2 (ko)
EP (3) EP3393191B1 (ko)
JP (2) JP6462113B2 (ko)
KR (2) KR102497529B1 (ko)
CN (2) CN106664708B (ko)
ES (1) ES2764763T3 (ko)
TW (2) TWI690239B (ko)
WO (2) WO20160322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3148B2 (ja) * 2013-10-24 2017-08-23 富士通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9139352B2 (en) 2014-02-07 2015-09-22 Yeti Coolers, Llc Insulating container
WO2015122684A1 (ko) 2014-02-16 2015-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의 제어 신호를 위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위한 장치
US9735926B2 (en) 2014-08-26 2017-08-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of device-to-device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88471B2 (en) * 2014-09-25 2018-02-06 Intel Corporation Construction of transmission patterns for D2D communication
US10555271B2 (en) * 2014-11-13 2020-02-0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ignaling a prohibited D2D operation
EP3324695B1 (en) * 2015-07-15 2020-09-09 Nec Corporation Terminal, base station and method for d2d communications
KR102488492B1 (ko) * 2016-04-01 2023-01-13 주식회사 아이티엘 V2x 통신에서 스케줄링 할당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구성 방법 및 장치
US10034269B2 (en) * 2016-04-18 2018-07-24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discontinuous reception design for a shared frequency band
CN109314992B (zh) * 2016-07-14 2022-05-17 富士通株式会社 群组通信装置、方法以及通信系统
EP3487238B1 (en) 2016-08-12 2023-07-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US10116721B1 (en) * 2016-08-22 2018-10-30 Amazon Technologies, Inc. Redundancy control in streaming content encoder pools
GB2554644B (en) * 2016-09-29 2018-10-10 Tcl Communication Ltd Sensing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N107889073B (zh) * 2016-09-30 2022-05-2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v2x通信中的发送资源确定方法和设备
CN115002910A (zh) * 2016-09-30 2022-09-0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v2x通信中的发送资源确定方法和设备
CN108024338B (zh) * 2016-11-03 2022-12-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子帧配置方法及装置
US10742381B2 (en) 2017-03-31 2020-08-1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ultiple HARQ transmissions
CN116963291A (zh) 2017-06-16 2023-10-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协调系统中控制信息的发送和接收方法
CN110999460A (zh) 2017-08-11 2020-04-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提供用于侧行链路控制的无线电资源信息的方法和装置
EP3800954A4 (en) 2018-07-05 2021-06-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PROCESS IN THE VEHICLE INTERNET, AND TERMINAL DEVICE
EP3621226B1 (en) * 2018-09-10 2024-02-14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of source indication for side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71979B2 (en) * 2020-02-10 2023-06-0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indica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multicast/broadcast wireless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1284B (en) * 2009-06-22 2012-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b-frame allocation pattern signalling
GB2474006B (en) * 2009-08-11 2012-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twork element,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and methods for scheduling communications
CN102238731B (zh) * 2010-04-22 2014-06-04 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采用mu mimo技术的hsdpa调度器和调度方法
WO2012035367A1 (en) 2010-09-14 2012-03-22 Nokia Corporation D2d communication procedures: beaconing; broadcast; conflict resolution
CN107104767B (zh) * 2011-03-11 2020-06-26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设置动态子帧的方法及其设备
KR101919797B1 (ko) * 2011-03-18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대-장치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548067B1 (ko) * 2011-03-21 2015-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arq 수행 방법 및 장치
US9456454B2 (en) * 2011-06-02 2016-09-27 Broadcom Corporation Flexible disabling/enabling of cross-carrier scheduling in carrier-aggregated wireless data transmission
CN103209487A (zh) * 2012-01-17 2013-07-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方法和通信装置及通信系统
CN103368713B (zh) * 2012-03-26 2017-03-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设备到设备的通信方法及装置
CN103379552B (zh) * 2012-04-24 2016-10-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宽带系统中支持窄带通信的方法及装置
US9185573B2 (en) * 2012-10-01 2015-11-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US20140148177A1 (en) * 2012-11-28 2014-05-29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for Network-Coordinate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N103987026B (zh) * 2013-02-07 2019-1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设备到设备通信数据传输方法、系统和用户设备
CN105519216B (zh) 2013-09-05 2019-01-29 Lg 电子株式会社 用于d2d通信的资源分配的方法及其装置
CN105580420A (zh) * 2013-09-26 2016-05-11 夏普株式会社 Tdd-fdd载波聚合中的子帧偏移
US20150264588A1 (en) 2014-03-14 2015-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networks
WO2015166624A1 (en) * 2014-04-29 2015-11-05 Ne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WO2015170934A1 (ko) * 2014-05-09 2015-11-12 주식회사 아이티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파워 제어 방법 및 장치
US9918290B2 (en) * 2014-06-27 2018-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cell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discovery
JP6458385B2 (ja) * 2014-07-29 2019-01-30 ソニー株式会社 装置及び方法
KR20160017627A (ko) * 2014-08-06 201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D2d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735926B2 (en) 2014-08-26 2017-08-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of device-to-device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743425B2 (en) * 2015-06-05 2017-08-2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assignment design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43154* *
3GPP R1-14345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51703A1 (en) 2018-12-06
TWI678941B (zh) 2019-12-01
KR102497529B1 (ko) 2023-02-08
JP6476280B2 (ja) 2019-02-27
TW201611652A (zh) 2016-03-16
EP2991429B1 (en) 2019-02-20
US9735926B2 (en) 2017-08-15
JP2017532819A (ja) 2017-11-02
CN106664708A (zh) 2017-05-10
WO2016032229A1 (ko) 2016-03-03
JP6462113B2 (ja) 2019-01-30
US20160066305A1 (en) 2016-03-03
JP2017524308A (ja) 2017-08-24
EP2991428B1 (en) 2018-06-20
EP2991428A1 (en) 2016-03-02
KR102393511B1 (ko) 2022-05-03
US20160066317A1 (en) 2016-03-03
ES2764763T3 (es) 2020-06-04
US9712283B2 (en) 2017-07-18
EP2991429A1 (en) 2016-03-02
US20170279562A1 (en) 2017-09-28
CN106664708B (zh) 2020-09-04
EP3393191B1 (en) 2019-12-04
US10069601B2 (en) 2018-09-04
TWI690239B (zh) 2020-04-01
US10038520B2 (en) 2018-07-31
EP3393191A1 (en) 2018-10-24
US10541784B2 (en) 2020-01-21
CN106664707A (zh) 2017-05-10
CN106664707B (zh) 2020-04-24
TW201613407A (en) 2016-04-01
KR20170048453A (ko) 2017-05-08
WO2016032225A1 (ko) 2016-03-03
US20170310425A1 (en)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51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368352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by device to device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140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by device-to-device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6013517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7006001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인접 셀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7004841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6014773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342056B2 (en) Method and device whereby device-to-device terminal transmits discovery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