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145A - 이미지관리장치 및 이미지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이미지관리장치 및 이미지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145A
KR20170048145A KR1020160109438A KR20160109438A KR20170048145A KR 20170048145 A KR20170048145 A KR 20170048145A KR 1020160109438 A KR1020160109438 A KR 1020160109438A KR 20160109438 A KR20160109438 A KR 20160109438A KR 20170048145 A KR20170048145 A KR 20170048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ag
specific image
selection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8054B1 (ko
Inventor
최현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글
Priority to PCT/KR2016/00972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69399A1/ko
Publication of KR20170048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26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7/30115
    • G06F17/3024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폴더(앨범) 생성 및 이미지 이동 없이도 이미지가 분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는 동시에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태그설정이 연이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분류를 위한 과정을 간략화할 수 있으며 분류된 이미지들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이미지관리장치 및 이미지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미지관리장치 및 이미지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IMAGE MANAGEMENT DEVICE AND RECORDING MEDIA FOR IMAGE MANAGEMENT}
본 발명은 단말장치 내 이미지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폴더(앨범) 생성 및 이미지 이동 없이도 이미지가 분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는 동시에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태그설정이 연이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장치(이하, 단말장치) 내 탑재되는 카메라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단말장치 내 사진폴더에는 매일 다수의 새로운 사진이 촬영된 시간 순서로 누적되어 저장되게 된다.
이처럼 누적된 사진은 사용자가 폴더(앨범)를 생성한 후 분류를 위한 적절한 명칭을 결정하여 누적된 사진 중 폴더(앨범)의 명칭과 유사한 사진만을 선택하여 옮기는 방식에 의해 분류되게 된다.
이러한 분류 방식에 의해 사진을 분류하는 것은 새로운 사진의 개수가 적은 경우에는 용이할 수 있으나, 누적된 사진이 수 천장인 경우에는 사진을 분류하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처리 단계(예: 폴더생성, 사진선택, 사진이동, 수 많은 반복 터치/클릭 등)가 많아 사진을 분류하는 것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는 것과 더불어 분류를 위해 투입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불필요한 시간을 할애하게 되는 한계점이 있다.
즉, 기존에는 사진을 분류하기까지 다수의 수행 단계(예: 폴더생성, 사진선택, 사진이동, 수 많은 반복 터치/클릭 등)를 거쳐야만 했으며, 그 과정에서 동일한 단계별 작업들(예: 생성, 이동, 터치/클릭 등)을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처리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사진 정리를 미루거나 또는 포기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번거로움을 감수하면서까지 폴더(앨범) 별로 사진을 분류하게 되더라도 폴더(앨범) 내 수 많은 사진 중에 원하는 사진을 찾기 위해서는 폴더의 모든 사진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만일 분류 단계에서 사진이 다른 폴더(앨범)로 잘못 이동하여 저장된 경우에는 사진을 찾기까지 많은 시간을 낭비하거나 또는 사진 찾기에 지쳐 찾는 것을 포기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사진 분류를 위한 과정을 간략화할 수 있으면서도 분류된 사진들 중 원하는 사진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별도의 폴더(앨범) 생성 및 이미지 이동 없이도 이미지가 분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는 동시에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태그설정이 연이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분류를 위한 과정을 간략화할 수 있으며 분류된 이미지들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이미지관리장치 는, 다수의 이미지가 출력되는 기본화면 상에서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제1 터치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를 선택하는 이미지선택관리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 이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제2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터치입력정보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는 태그설정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터치입력정보가 상기 다수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시간단위로 두 번 터치하는 더블터치인 경우, 상기 이미지선택관리부는, 상기 더블터치된 제1 특정이미지와 연관관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특정이미지를 동시에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관관계는, 상기 제1 특정이미지의 촬영시점 및 촬영장소를 포함하는 촬영관련정보 및 상기 기본화면 상에서의 상기 제1 특정이미지의 출력위치 및 출력라인을 포함하는 출력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터치입력정보가 상기 다수의 이미지 중 선택시작을 위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터치한 후 선택종료를 위한 다른 하나의 이미지를 터치하는 포인트터치인 경우, 상기 이미지선택관리부는, 상기 기본화면 상에서 상기 선택시작을 위한 제3 특정이미지와 상기 선택종료를 위한 제4 특정이미지 사이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특정이미지를 동시에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터치입력정보가 상기 다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선택하는 드래그터치인 경우, 상기 이미지선택관리부는, 상기 기본화면 상에서 상기 선택시작을 위한 제6 특정이미지부터 드래그를 통해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7 특정이미지를 동시에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그설정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유지되는 상태이면, 상기 기본화면이 태그설정을 위한 제1 설정화면 또는 제2 설정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설정화면은 바(bar) 형태의 기 설정된 태그를 출력하는 제1 태그출력영역, 및 신규태그 입력을 위한 태그입력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설정화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출력되는 이미지출력영역, 및 상기 이미지출력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특정 형태의 기 설정된 태그를 출력하는 제2 태그출력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화면이 제1 설정화면으로 전환되었으며, 상기 제2 터치입력정보가 상하 스크롤인 경우, 상기 태그설정관리부는, 상기 상하 스크롤에 의해 선택된 상기 바(bar) 형태의 기 설정된 태그 중 어느 하나의 태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화면이 제2 설정화면으로 전환되었으며, 상기 제2 터치입력정보가 드래그인 경우, 상기 태그설정관리부는, 상기 이동 가능한 특정 형태의 기 설정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선택된 후 드래그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로 이동되면, 상기 드래그되어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화면 상에서 태그검색영역이 선택되어 기 설정된 태그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태그 중 제1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제1 태그와 관련되어 함께 태그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태그를 검출하여 표시하는 태그검색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신규 이미지가 확인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규 이미지 중 특정촬영시점에서 소정의 시간 단위로 연속하여 촬영된 연속촬영이미지를 검출하고, 상기 연속촬영이미지로부터 대표속성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속성이미지를 삭제하는 신규이미지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다수의 이미지가 출력되는 기본화면 상에서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제1 터치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를 선택하는 이미지선택관리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 이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제2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터치입력정보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는 태그설정관리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터치입력정보가 상기 다수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시간단위로 두 번 터치하는 더블터치인 경우, 상기 이미지선택관리단계는, 상기 더블터치된 제1 특정이미지와 연관관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특정이미지를 동시에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관관계는, 상기 제1 특정이미지의 촬영시점 및 촬영장소를 포함하는 촬영관련정보 및 상기 기본화면 상에서의 상기 제1 특정이미지의 출력위치 및 출력라인을 포함하는 출력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확인 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터치입력정보가 상기 다수의 이미지 중 선택시작을 위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터치한 후 선택종료를 위한 다른 하나의 이미지를 터치하는 포인트터치인 경우, 상기 이미지선택관리단계는, 상기 기본화면 상에서 상기 선택시작을 위한 제3 특정이미지와 상기 선택종료를 위한 제4 특정이미지 사이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특정이미지를 동시에 선택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터치입력정보가 상기 다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선택하는 드래그터치인 경우, 상기 이미지선택관리단계는, 상기 기본화면 상에서 상기 선택시작을 위한 제6 특정이미지부터 드래그를 통해 터치되는 적어도 나의 제7 특정이미지를 동시에 선택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그설정관리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유지되는 상태이면, 상기 기본화면이 태그설정을 위한 제1 설정화면 또는 제2 설정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화면전환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정화면은 바(bar) 형태의 기 설정된 태그를 출력하는 제1 태그출력영역, 및 신규태그 입력을 위한 태그입력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설정화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출력되는 이미지출력영역, 및 상기 이미지출력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특정 형태의 기 설정된 태그를 출력하는 제2 태그출력영역을 포함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화면이 제1 설정화면으로 전환되었으며, 상기 제2 터치입력정보가 상하 스크롤인 경우, 상기 태그설정관리단계는, 상기 상하 스크롤에 의해 선택된 상기 바(bar) 형태의 기 설정된 태그 중 어느 하나의 태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화면이 제2 설정화면으로 전환되었으며, 상기 제2 터치입력정보가 드래그인 경우, 상기 태그설정관리단계는, 상기 이동 가능한 특정 형태의 기 설정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선택된 후 드래그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로 이동되면, 상기 드래그되어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본화면 상에서 태그검색영역이 선택되어 기 설정된 태그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태그 중 제1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제1 태그와 관련되어 함께 태그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태그를 검출하여 표시하는 태그검색관리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신규 이미지가 확인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규 이미지 중 특정촬영시점에서 소정의 시간 단위로 연속하여 촬영된 연속촬영이미지를 검출하고, 상기 연속촬영이미지로부터 대표속성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속성이미지를 삭제하는 신규이미지관리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이미지관리장치 및 이미지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따르면, 별도의 폴더(앨범) 생성 및 이미지 이동 없이도 이미지가 분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는 동시에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태그설정이 연이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분류를 위한 과정을 간략화할 수 있으며 분류된 이미지들 중 원하는 이미지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성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관리장치가 적용될 통신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관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더블터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선택되는 일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트터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선택되는 일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드래그터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선택되는 일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설정화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를 설정하는 일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설정화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삭제되는 일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설정화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공유되는 일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설정화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잠금되는 일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갤러리 영역을 출력하는 일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설정화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를 설정하는 일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 검색의 일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 이미지를 관리하는 일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관리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를 선택하는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관리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를 설정하는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통신 환경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될 이미지 관리를 위한 환경에는, 이미지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장치(100) 및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이미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이미지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상대방과의 통화를 시도(발신)하거나 또는 상대방으로부터 시도되는 통화를 수신(착신)하는 등 기본적인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서, 유선 단말일 수도 있고 무선 단말일 수도 있다.
물론, 단말장치(100)는, 기본적인 통화 서비스 외에도, 메시지(예: SMS, MMS 등)를 발/착신하는 등의 메시지 서비스와, 데이터 다운로드 및 정보 검색 등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로는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및 노트북 등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단말장치(100) 내 탑재된 카메라(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촬영된 사진(이하, 이미지) 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다운로드된 이미지 등을 저장 및 표시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단말장치(100)가 모바일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서비스서버(200)는, 단말장치(100)를 비롯한 다수 단말에 대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이미지 관리 서비스 즉, 이미지 분류를 위한 과정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별도의 폴더(앨범) 생성 및 이미지 이동 등을 수행하지 않고도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는 동시에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태그설정이 연이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서버이다.
여기서, 태그설정이라 함은, 이미지를 폴더로 "이동" 시키지 않고 레이블(Label) 하는 방식을 일컫는 것으로, 이미지 별로 다양한 태그를 "붙이는"일련의 모든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이미지 관리 서비스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된 터치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는 동시에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태그설정이 최소한의 단계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미지 관리 서비스는, 서비스 기능이 단말장치(100)에서 모두 수행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후술할 본 발명의 이미지관리장치(도 2의 300)는 단말장치(100)와 동일한 디바이스일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이미지 관리 서비스는, 서비스 기능이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된 터치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서버(200)에서 모두 수행되고 단말장치(100)에서 단순히 서비스 결과를 출력하는 형태일 수도 있고, 이 경우 후술할 본 발명의 이미지관리장치(도 2의 300)는 서비스서버(200)와 동일한 디바이스일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이미지 관리 서비스는, 서비스 기능이 단말장치(100) 및 서비스서버(200)에 분할되어 단말장치(100) 및 서비스서버(200)에서 연동 수행되는 형태일 수도 있고, 이 경우 후술할 본 발명의 이미지관리장치(도 2의 300) 내 각 기능부는 단말장치(100) 및 서비스서버(200)에 분산 구성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관리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관리장치(300)는, 다수의 이미지가 출력되는 기본화면 상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제1 터치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를 선택하는 이미지선택관리부(310), 및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 이후 단말장치(100)로부터 제2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제2 터치입력정보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는 태그설정관리부(3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미지관리장치(300)는, 기본화면 상에서 태그검색영역이 선택되어 기 설정된 태그가 표시되는 경우, 기 설정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태그가 선택되면 제1 태그와 관련되어 함께 태그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태그를 검출하여 표시하는 태그검색관리부(3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관리장치(3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신규 이미지가 확인되면, 적어도 하나의 신규 이미지 중 특정촬영시점에서 소정의 시간 단위로 연속하여 촬영된 연속촬영이미지를 검출하고, 연속촬영이미지로부터 대표속성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속성이미지를 삭제하는 신규이미지관리부(3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관리장치(300)는, 단말장치(100) 내 탑재된 카메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및 다운로드된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이미지를 저장하며,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태그를 저장하는 저장부(3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저장부(350)에 저장되는 모든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클라우드로 연결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의 이미지선택관리부(310), 태그설정관리부(320), 태그검색관리부(330), 신규이미지관리부(340) 및 저장부(350)를 포함하는 이미지관리장치(300)의 전체 구성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관리장치(300)는 위 구성들을 통해 별도의 폴더(앨범) 생성 및 이미지 이동 없이도 이미지가 분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는 동시에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태그설정이 연이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분류를 위한 과정을 간략화할 수 있으며 분류된 이미지들 중 원하는 이미지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이미지관리장치(3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이미지관리장치(300)가 도 1의 단말장치(100)와 동일한 디바이스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제1 터치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이미지 관리 서비스와 관련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단말장치(100)의 표시부를 통해 저장부(350)에 저장된 다수의 이미지가 기본화면으로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후,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제1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를 선택한다.
먼저, 제1 터치입력정보가 다수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시간단위로 두 번 터치하는 더블터치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선택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기본화면 상에 출력되는 다수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더블터치되는 경우, 더블터치된 제1 특정이미지와 연관관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특정이미지를 동시에 선택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의 (A1, A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더블터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선택되는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의 (A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표시부를 통해 다수의 이미지(P1-P16)를 포함하는 기본화면(110a)이 출력되고 있으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이미지(P2)를 더블터치하며, 이미지(P2)와 연관관계에 있는 이미지가 P1, P3, P4, P5, P6, P7인 것으로 가정하면,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먼저 기본화면(110a) 상에서 더블터치된 이미지(P2)를 제1 특정이미지(P2)로 결정하게 된다.
이후,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도 3의 (A2)와 같이 제1 특정이미지(P2)와 연관관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P1, P3, P4, P5, P6, P7)를 제2 특정이미지(P1, P3, P4, P5, P6, P7)로 동시에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연관관계는, 제1 특정이미지(P2)의 촬영시점 및 촬영장소를 포함하는 촬영관련정보와, 기본화면(110a) 상에서의 제1 특정이미지(P2)의 출력위치 및 출력라인을 포함하는 출력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확인될 수 있으며, 이 외에 사용자가 설정한 다양한 조건(예: 사진개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관관계가 촬영시점이 소정의 시간범위 내로 동일한 경우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때, 촬영관련정보는, 제1 특정이미지(P2)가 촬영될 때 연속 촬영에 의해 촬영시점이 소정의 시간범위 내로 동일하거나, 제1 특정이미지(P2)의 배경과의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관계에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출력관련정보는, 기본화면(110a) 상에서 다수의 이미지(P1-P16) 중 제1 특정이미지(P2)와 소정의 범위 내로 인접하는 출력위치(예: 좌우 이미지(P1, P3), 주변 이미지(P1, P3, P5, P6, P7))에 있거나, 또는 기본화면(110a) 상에서의 출력라인(L1-L4) 중 제1 특정이미지(P2)가 속하는 출력라인(L1)에 포함되는 관계에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연관관계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기본화면(110a) 상의 제1 특정이미지(P2)와 촬영시점이 소정의 시간범위 내로 동일한 제2 특정이미지(P1, P3, P4, P5, P6, P7)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1 터치입력정보가 다수의 이미지 중 선택시작을 위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터치한 후 선택종료를 위한 다른 하나의 이미지를 터치하는 포인트터치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선택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기본화면 상에 출력되는 다수의 이미지 중 선택시작을 위한 어느 하나의 이미지가 터치된 다음 소정의 시간이 후에 다른 이미지가 터치되게 되면, 먼저 선택된 이미지를 선택시작을 위한 제3 특정이미지로 결정하며, 나중에 선택된 이미지를 선택종료를 위한 제4 특정이미지로 결정하게 된다.
이후,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기본화면 상에서 제3 특정이미지와 제4 특정이미지 사이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특정이미지를 동시에 선택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의 (B1, B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트터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선택되는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의 (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표시부를 통해 다수의 이미지(P1-P16)를 포함하는 기본화면(110b)이 출력되고 있으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선택시작을 위한 이미지로 이미지(P6)를 터치한 후 선택종료를 위한 이미지로 이미지(P15)를 선택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선택시작을 위해 먼저 터치된 이미지(P6)를 제3 특정이미지(P6)로 결정하게 되며, 선택종료를 위해 나중에 터치된 이미지(P15)를 제4 특정이미지(P15)로 결정하게 된다.
이처럼 선택시작 및 선택종료를 위한 제3 특정이미지(P6)와 제4 특정이미지(P15)의 결정이 완료되면,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도 4의 (B2)와 같이 기본화면(110b) 상에서 제3 특정이미지(P6)와 제4 특정이미지(P15) 사이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특정이미지(P7-P14)를 동시에 선택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1 터치입력정보가 다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선택하는 드래그터치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선택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기본화면 상에 출력되는 다수의 이미지 중 선택시작을 위한 제6 특정이미지부터 드래그를 통해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7 특정이미지를 동시에 선택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의 (C1, C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드래그터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선택되는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5의 (C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표시부를 통해 다수의 이미지(P1-P16)를 포함하는 기본화면(110c)이 출력되고 있으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선택시작을 위한 이미지(P9)부터 드래그를 통해 이미지(P15)까지 선택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선택시작을 위해 먼저 터치된 이미지(P9)를 제6 특정이미지(P9)로 결정하게 된다.
이처럼 선택시작을 위한 제6 특정이미지(P9)의 결정이 완료되면,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도 5의 (C2)와 같이 제6 특정이미지(P9)부터 드래그를 통해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7 이미지(P10-P15)를 동시에 선택하게 된다.
전술과 같이 터치입력방식(더블터치, 포인트터치, 드래그터치)을 통해 제1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선택될 때,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기 설정된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말장치(100)의 기본화면(110a, 110b, 110c)의 상단영역에 기 설정된 태그가 표시되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의 개수가 함께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술과 같이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제1 터치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특정이미지와 관련되는 정보(예: 출력위치, 개수 등)를 포함하는 특정이미지관련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태그설정관리부(320)로 전달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표시되는 기본화면 상에 출력되는 특정기호(예: #)가 선택되었거나, 또는 특정이미지의 선택 이후 운영자에 의해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등을 확인하여 판단할 수 있다.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이미지선택관리부(3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선택되면, 제2 터치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이미지선택관리부(310)로부터 특정이미지관련정보가 수신되면, 기본화면 상에 출력되는 다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 기능설정을 위한 화면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화면전환은, 이미지 관리 서비스와 관련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을 때 제1 터치입력정보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선택될 수 있도록 초기에 제공되는 기본화면으로부터 제2 터치입력정보에 따라 태그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설정화면으로의 전환일 수 있다.
이때, 설정화면은, 제2 터치입력정보의 입력 시, 상하 스크롤(scroll)에 의해 제어되는 제1 설정화면 및 드래그(drag)에 의해 제어되는 제2 설정화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었을 때 입력을 실행하여 태그를 설정할 수만 있다면 그 외 다른 동작(예: 좌우이동 등)에 의해 제어되는 설정화면들도 포함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화면전환 시 기본화면으로부터 제1 설정화면으로 전환되거나 또는 기본화면으로부터 제2 설정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설정화면에서 신규태그를 생성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태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태그를 설정한 이후 태그를 더 추가하여 다수의 태그를 설정하고 싶은 경우 제2 설정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설정화면 또는 제2 설정화면으로의 전환은, 특정한 태그설정 상황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구현 시 다양한 태그설정 상황을 고려하여 자유롭게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6을 참고하여 기본화면으로부터 제1 설정화면으로 전환된 경우일 때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유지되는 상태이면, 태그설정을 위해 기본화면이 제1 설정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2 터치입력정보가 상하 스크롤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기 저장된 태그 중 어느 하나를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로 설정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의 (D1, D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설정화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를 설정하는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의 (D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설정화면(120a)은, 바(bar) 형태의 기 설정된 태그를 출력하는 제1 태그출력영역(121a), 및 신규태그 입력을 위한 태그입력영역(122a)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 설정된 태그가 바(bar)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하 스크롤이 가능하기만 하다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태그가 4개(Tag1-Tag4)이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가 선택된 것으로 가정하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는 기 설정된 태그(Tag1-Tag4)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출력되게 된다.
전술과 같이 제1 설정화면(120a)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가 선택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제2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2 터치입력정보가 상하 스크롤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하 스크롤되는 위치좌표에 따라 도 6의 (D2)와 같이 기 설정된 태그(Tag1-Tag4)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가 이동(스크롤) 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후, 태그설정관리부(320)는, 기 설정된 태그(Tag1-Tag4) 중 상하 스크롤에 의해 최종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태그(Tag1)를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게 된다.
즉,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2 터치입력정보의 입력이 종료(즉, 터치종료)되어 상하 스크롤의 최종 위치좌표가 태그(Tag1)로 확정되게 되면, 태그(Tag1)의 문장"cityscape"를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정이미지가 다수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특정이미지가 하나인 경우에도 동일한 상하 스크롤 방식으로 태그를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2 터치입력정보가 기 설정된 태그(Tag1-Tag4)가 아닌 새로운 신규태그를 설정하기 위해 태그입력영역(122a) 내 버튼(1221a)을 터치하는 입력인 경우,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신규태그(Tag5)에 대응하는 바(bar)(1211a)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문장(예: 불금)을 수신하여 신규태그(Tag5)에 대한 설정을 완료한다.
한편, 전술과 같이 제1 설정화면(120a)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가 선택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출력된 상태에서 제2 터치입력정보(즉, 상하 스크롤)와 다른 제3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3 터치입력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에 대한 삭제, 공유, 잠금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터치입력정보는, 제1 설정화면 상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우측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좌측 슬라이딩될 때의 터치입력으로서, 슬라이딩되는 정도에 따라 삭제, 공유, 잠금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도 7을 참고하여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제3 터치입력정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삭제되는 일례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7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설정화면(120a)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가 선택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제3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3 터치입력정보가 좌측 슬라이딩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좌측 슬라이딩된 제1 지점(SP11)에 기 설정된 삭제표시기호(700)를 도 7의 (②)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이후, 도 7의 (③)와 같이 제3 터치입력정보가 제1 지점(SP11)으로부터 좌측으로 슬라이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가 제1 설정화면(120a) 상의 최종 슬라이딩 지점인 제2 지점(SP12)까지 도달하게 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사용자가 삭제표시기호(700)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를 삭제하고, 삭제가 완료되었음을 도 7의 (④)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여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제3 터치입력정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공유되는 일례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8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설정화면(120a)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가 선택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제3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3 터치입력정보가 우측 슬라이딩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우측 슬라이딩된 제1 지점(SP21)에 기 설정된 공유표시기호(710)를 도 8의 (②)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제3 터치입력정보의 입력이 종료(즉, 터치종료)되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의 최종 슬라이딩 지점이 제1 지점(SP21)이 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사용자가 공유표시기호(710)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도 8의 (③)과 같이 공유를 위한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한 후 공유 완료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에 대한 공유가 완료되었음을 도 8의 (④)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고하여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제3 터치입력정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를 잠금하는 일례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9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설정화면(120a)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가 선택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제3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3 터치입력정보가 우측 슬라이딩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우측 슬라이딩된 제1 지점(SP21)에 기 설정된 공유표시기호(710)를 도 9의 (②)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이후, 도 9의 (③)과 같이 제3 터치입력정보가 제1 지점(SP21)으로부터 우측으로 슬라이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가 제2 지점(SP22)를 지나 도 9의 (④)와 같이 최종 슬라이딩 지점인 제3 지점(SP23)까지 도달하게 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3 지점(SP23)에 기 설정된 잠금표시기호(720)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제3 터치입력정보의 입력이 종료(즉, 터치종료)되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의 최종 슬라이딩 지점이 제3 지점(SP23)이 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사용자가 잠금표시기호(720)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를 잠금하고, 잠금이 완료되었음을 도 9의 (⑤)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전술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선택되어 기능설정을 위한 화면전환이 수행되기만 한다면, 한 화면상에서 태그를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삭제, 공유, 잠금 기능을 부가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성취된다.
한편, 전술한 도 9에서 언급한 잠금 기능이 적용된 이미지들은, 도 10과 같이 다수의 이미지가 출력되는 단말장치(100)의 기본화면(110) 상에서는 표시되지 않게 된다. 이처럼 잠금 기능이 적용된 이미지들의 확인을 위해서는 잠금 갤러리 영역(130)이 별도로 표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잠금 갤러리 영역(130)은, 기본화면(110)의 제1 방향(Y1)으로의 이동에 의해 생성되며, 제1 방향(Y1)과 반대인 제2 방향(Y2)으로의 이동에 의해 기본화면(110) 상에서 사라지게 된다.
즉, 기본화면(110)의 상단영역으로부터 하단영역 방향인 제1 방향(Y1)으로 기본화면(110)이 슬라이딩되면, 잠금 갤러리 영역(130)이 출력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출력된 잠금 갤러리 영역(130)을 통해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잠금 기능이 적용된 모든 이미지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잠금 갤러리 영역(130)이 출력된 상태에서 반대로 기본화면(110)의 하단영역으로부터 상단영역 방향인 제2 방향(Y2)으로 기본화면(110)이 슬라이딩되면, 잠금 갤러리 영역(130)이 사라지고 다시 단말장치(100)의 기본화면(110)만이 출력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기본화면(110) 상에서 잠금 기능이 적용되지 않은 이미지들을 다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고하여 기본화면으로부터 제2 설정화면으로 전환된 경우일 때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유지되는 상태이면, 태그설정을 위해 기본화면이 제2 설정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2 터치입력정보가 드래그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기 저장된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로 설정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의 (E1, E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설정화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를 설정하는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11의 (E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설정화면(120b)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출력되는 이미지출력영역(121b), 및 이미지출력영역(121b)으로 이동 가능한 특정 형태(예: 캡슐)의 기 설정된 태그를 출력하는 제2 태그출력영역(122b)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6-P15)가 선택되었으며, 기 설정된 태그가 7개(Tag1-Tag7)인 것으로 가정하면, 이미지출력영역(121b)에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6-P15)가 선택되어 표시되게 되며, 제2 태그출력영역(122b)에는 기 설정된 태그(Tag1-Tag7)가 표시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 설정된 태그(Tag1-Tag7) 중 태그(Tag1, Tag3, Tag6)가 드래그되어 이동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전술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6-P15)가 선택된 상태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제2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2 터치입력정보가 드래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이미지출력영역(121b) 내에서 드래그되는 위치좌표에 따라 도 11의 (E2)와 같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Tag1, Tag3, Tag6)를 이동(드래그)하게 된다.
이후,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이미지출력영역(121b) 내 특정이미지(P6-P15)의 그룹(1211b)으로 적어도 하나의 태그(Tag1, Tag3, Tag6)가 드래그되어 이동되면,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Tag1, Tag3, Tag6)를 특정이미지(P6-P15)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게 된다.
즉,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2 터치입력정보의 입력이 종료(즉, 터치종료)되어 이미지출력영역(121b) 내에서 드래그되어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Tag1, Tag3, Tag6)의 최종 위치좌표가 특정이미지(P6-P15)의 그룹(1211b)으로 확정되게 되면, 태그(Tag1)의 문장(예: 가로수길), 태그(Tag3)의 문장(예: 여행), 태그(Tag6)의 문장(예: 먹방)을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6-P15)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특정이미지가 다수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특정이미지가 하나인 경우에도 동일한 드래그 방식으로 태그를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미지선택관리부(310)와 태그설정관리부(320)가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입력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화면전환을 수행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입력을 확인하기 위한 입력확인부 및 화면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출력제어부를 별도의 구성으로서 분산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터치입력에 따른 태그설정에 대하여 언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폴더(앨범)명"이나, 특정이미지가 촬영되는 시점에서 확인 가능한 이미지기본정보(예: 촬영시간, 지역명, GPS정보 등) 등을 이용해서도 태그설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폴더(앨범)명"이 존재할 때 태그설정을 수행하는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사용자가 폴더(앨범)를 구분하기 위해 기 설정한 "폴더(앨범)명"이 존재하는 경우, "폴더(앨범)명"으로부터 태그설정을 위한 텍스트인 "#폴더(앨범)명"을 검출한다. 이후, 폴더(앨범)에 포함된 이미지에 검출된"#폴더(앨범)명"을 붙여 태그설정을 완료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폴더(앨범)을 "제주도 여행"으로 기 설정한 경우, "#제주도 여행"을 태그설정을 위한 텍스트로서 검출한다. 이후, "제주도 여행"의 폴더(앨범)에 포함된 이미지에 검출된"#제주도 여행"을 붙여 태그설정을 완료한다.
다음은, 특정이미지가 촬영되는 시점에서 확인 가능한 이미지기본정보(예: 촬영시간, 지역 등)를 이용하여 태그설정을 수행하는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일반적으로 촬영된 이미지 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다운로드된 이미지 등에는 다양한 표시 형태를 갖는 이미지기본정보(예: 촬영시간, 지역명, GPS정보 등)가 포함되게 된다. 이에, 이러한 이미지기본정보(예: 촬영시간, 지역명, GPS정보 등)로부터 태그설정을 위한 텍스트를 검출하여 태그설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특정이미지에 포함되는 이미지기본정보(예: 촬영시간, 지역명, GPS정보 등)로부터 태그설정을 위한 텍스트인 "#히든태그(촬영시간, 지역명, GPS정보 등)"를 검출한다.
이후, 특정이미지에 검출된 "#히든태그(촬영시간, 지역명, GPS정보 등)"를 붙여 태그설정을 완료한다.
예를 들어, 특정이미지가 "2016년 12월 25일에 강남구 신사동(GPS 정보로 인식)의 커피스미스(GPS 정보로 인식)에서 밤 9시 15분에 찍은 사진"인 경우, 다음과 같은 "#히든태그"가 검출되어 자동 또는 설정에 따라 태그설정에 활용되게 된다.
#커피스미스(GPS데이터로 지명 중 업소명 데이터 매칭 입력)
#서울시 + #강남구 + #신사동 (복수 태그 검색으로 조합 가능)
#20161225
#161225
#12252016(12월25일 2016년 찍은 사진 조회)
#December(12월에만 찍은 사진 조회)
#1225
#Christmas(기념일명이 있는 날짜인 경우 자동 태깅 - 앱 내 캘린더 정보에서 매칭)
#PM(오후에 찍은 사진만 조회)
#PM9
#PM9:30
#21:30
#2016 (2016년에 찍은 사진만 조회)
#201612 (2016년 12월에 찍은 사진만 조회)
..... 등등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든태그"는, 이미지기본정보(예: 촬영시간, 지역명, GPS정보 등)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들이 다양한 경우의 수로 조합되는 것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특정이미지에 다양한 "#히든태그"가 할당될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태그검색영역(예: 검색창)에 태그 검색을 위해 초성 및 소정의 글자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게 되면, 태그검색영역검색창(예: 검색창) 하단에 추천태그로서 다수의 "#히든태그"가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이후, 다수의 추천태그 중 제1 추천태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1차 검색이 수행되면, 제1 추천태그와 관련된 해당 이미지만 출력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 추천태그의 하위 조건에 해당하는 추천태그들에 의해 2차 검색, 3차 검색 등이 수행되게 되면,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원하는 해당 태그의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추천태그를 하나씩 선택할수록 복수태그(#추천태그1+#추천태그2+#추천태그3…) 검색이 수행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수의 추천태그 중 제1 추천태그로서"#2016"을 선택하는 1차 검색이 수행한 경우, "#2016"과 관련된 해당 이미지만 출력되게 된다. 이때, 제1 추천태그인"#2016"의 하위 조건에 해당하는 제2 추천태그로"#1월~#12월"이 추천되어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가 "#12"를 선택하는 2차 검색을 수행하게 되면, 출력되는 해당 이미지 중 날짜를 제3 추천태그로서 #1일, #10일, #25일로 표시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1일"을 선택하는 3차 검색을 수행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원하는 해당 태그의 이미지만 표시되게 된다.
한편, 전술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의 설정이 완료되게 되면, 특정이미지와 설정 완료된 해당 태그가 매칭되어 단말장치(100) 내 저장부(350)의 이미지태그매칭테이블(도시하지 않음)에 누적되어 저장되게 되며, 동시에 서비스서버(200)로도 이미지태그매칭테이블(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된 동일한 이미지태그매칭정보가 전송되어 저장되게 된다.
이에, 사용자가 이미지 관리 서비스와 관련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본인의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게 되면, 이미지태그매칭정보를 기반으로 이미지 검색 및 관리 등의 이미지 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단말장치(100)와 서비스서버(200)가 연동하여 이미지태그매칭정보를 공유하더라도, 사용자의 단말장치(100)가 아닌 외부의 다른 사용자의 단말장치나 다른 서버장치로 태그설정이 완료된 특정이미지를 전송(업로드)하였다가 재수신(다운로드)하게 되면, 재수신된 특정이미지를 신규 이미지 또는 다른 별도의 이미지로 인식하게 되어 이미지태그매칭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검색 및 관리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특정이미지와 설정 완료된 해당 태그를 매칭하는 것과 더불어 특정이미지에서 추출한 썸네일 이미지를 추가적으로 매칭하여 이미지태그매칭테이블(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하고, 이를 서비스서버(200)와 공유하게 된다.
즉, 태그설정이 완료된 특정이미지가 외부로 전송(업로드)되었다가 재수신(다운로드)되더라도, 이미지태그매칭테이블(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특정이미지에 매칭되는 해당 태그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니크(Unique)한 확인키(Key)로서 원본이미지(특정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작은 사이즈의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를 특정이미지와 설정 완료된 해당 태그에 매칭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에, 태그설정이 완료된 특정이미지가 외부로 전송(업로드)되었다가 재수신(다운로드)된 경우, 이미지태그매칭정보로부터 재수신된 특정이미지와 일치하는 썸네일 이미지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매칭되는 해당 태그를 검출함으로써, 재수신된 특정이미지에 기 매칭되어 있던 해당 태그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재수신된 특정이미지와 일치하는 썸네일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재수신된 특정이미지가 외부로 전송(업로드)되기 이전에 이미 태그설정이 완료되어 해당하는 이미지태그매칭정보가 존재할 것이므로, 이미지태그매칭정보로부터 썸네일 이미지에 매칭된 해당 태그를 검출하고, 검출된 해당 태그가 재수신된 특정이미지의 태그가 되도록 매칭관계를 재설정하게 된다.
이처럼, 썸네일 이미지를 통해 매칭관계가 재설정됨에 따라, 태그설정이 완료된 특정이미지가 외부로 전송(업로드)되었다가 재수신(다운로드)되더라도 외부로 전송(업로드)되기 이전에 설정된 태그를 유지하여 이미지 검색 및 관리 등의 이미지 관리 서비스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태그검색관리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태그와 관련되어 함께 태그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검출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와 같이 단말장치(100)의 기본화면(110)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태관리영역(111)이 출력된 후 태그검색영역(111c)이 선택되면, 태그검색관리부(330)는, 태그검색영역(111c) 상에 기 설정된 태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태관리영역(111)은, 이미지관리장치(300)에서 수행되는 이미지들의 관리 상태를 한눈에 알아 볼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으로서, 신규이미지확인영역(111a), 분류/미분류확인영역(111b) 및 태그검색영역(111c)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운영자가 제공하려는 정보에 따라 다양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태그검색관리부(330)는, 태그검색영역(111c)에 출력되는 기 설정된 태그 중 제1 태그(1111)가 선택되면, 기본화면(110)의 상단영역에 제1 태그(1111)를 출력한다. 이어서, 태그검색관리부(330)는, 기 설정된 태그 중 제1 태그(1111)와 관련되어 함께 태그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태그(1112)를 검출하여 태그검색영역(111c) 상에서 그룹(G)으로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이미지에 "셀카"와 "파티"가 태그로 동시에 설정되었고, 다른 임의의 이미지에 "셀카"와 "콘서트"가 태그로 동시에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 태그(1111)가 "셀카"인 경우, 태그검색관리부(330)는, 제1 태그(1111)로 선택된"셀카"를 기본화면(110)의 상단영역에 출력한다.
이후, 태그검색관리부(330)는, 제1 태그(1111)와 관련되어 함께 태그로 설정된 "파티"와 "콘서트"를 제2 태그(1112)로 검출하여 태그검색영역(111c) 상에서 그룹(G)으로 표시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신규이미지관리부(34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확인되는 신규 이미지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3의 (F1)과 같이 단말장치(100)의 기본화면(110) 상에 사용자에 의해 상태관리영역(111)이 출력된 후 신규이미지확인영역(111a)이 선택되면, 신규이미지관리부(34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신규 이미지를 도 13의 (F2)과 같이 출력하게 된다. 이때, 신규 이미지 중 태그가 지정되지 않거나, 또는 연속촬영이미지에 대한 정리가 수행되지 않은 이미지의 개수가 특정 아이콘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24시간(오늘)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운영자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단위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신규이미지관리부(340)는, 시간, 장소, 연속촬영 여부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신규 이미지에 대한 분류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촬영 시 이미지가 연속 촬영되었는지의 여부를 기준으로 분류를 수행한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신규이미지관리부(340)는, 신규 이미지 중 특정촬영시점에서 소정의 시간 단위로 연속하여 촬영된 다수의 속성이미지를 포함하는 연속촬영이미지(150)와 연속 촬영과 무관한 일반 이미지(160)를 구분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연속촬영이미지(150)에 포함되는 다수의 속성이미지 중 대표속성이미지가 선택되게 되면, 신규이미지관리부(340)는, 대표속성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속성이미지를 삭제하게 된다. 이처럼 신규 이미지 중 연속촬영이미지에 대한 정리가 완료되면, 전술에서 언급한 태그 설정 방식에 따라 태그를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관리장치(300)에서 이미지 분류를 위한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 내지 도 13에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를 선택하는 동작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이미지 관리 서비스와 관련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단말장치(100)의 표시부를 통해 저장부(350)에 저장된 다수의 이미지가 기본화면으로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S101).
이후,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제1 터치입력정보가 수신되면, 제1 터치입력정보가 다수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시간단위로 두 번 터치하는 더블터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2).
S102 단계의 판단결과, 제1 터치입력정보가 더블터치이면,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더블터치된 제1 특정이미지와 연관관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특정이미지를 동시에 선택한다(S103-105).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1, A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더블터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선택되는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의 (A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표시부를 통해 다수의 이미지(P1-P16)를 포함하는 기본화면(110a)이 출력되고 있으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이미지(P2)를 더블터치하며, 이미지(P2)와 연관관계에 있는 이미지가 P1, P3, P4, P5, P6, P7인 것으로 가정하면,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먼저 기본화면(110a) 상에서 더블터치된 이미지(P2)를 제1 특정이미지(P2)로 결정하게 된다.
이후,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도 3의 (A2)와 같이 제1 특정이미지(P2)와 연관관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P1, P3, P4, P5, P6, P7)를 제2 특정이미지(P1, P3, P4, P5, P6, P7)로 동시에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연관관계는, 제1 특정이미지(P2)의 촬영시점 및 촬영장소를 포함하는 촬영관련정보와, 기본화면(110a) 상에서의 제1 특정이미지(P2)의 출력위치 및 출력라인을 포함하는 출력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확인될 수 있으며, 이 외에 사용자가 설정한 다양한 조건(예: 사진개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관관계가 촬영시점이 소정의 시간범위 내로 동일한 경우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에,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연관관계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기본화면(110a) 상의 제1 특정이미지(P2)와 촬영시점이 소정의 시간범위 내로 동일한 제2 특정이미지(P1, P3, P4, P5, P6, P7)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S110 단계 및 S111 단계로 이동하여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특정이미지관련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태그설정관리부(320)로 전달하는 과정을 수행하며,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한편, S102 단계의 판단결과, 제1 터치입력정보가 더블터치가 아니면,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제1 터치입력정보가 다수의 이미지 중 선택시작을 위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터치한 후 선택종료를 위한 다른 하나의 이미지를 터치하는 포인트터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6).
S106 단계의 판단결과, 제1 터치입력정보가 포인트터치이면,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먼저 선택된 이미지를 선택시작을 위한 제3 특정이미지로 결정하며, 나중에 선택된 이미지를 선택종료를 위한 제4 특정이미지로 결정하게 된다(S107, S108).
이후,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기본화면 상에서 제3 특정이미지와 제4 특정이미지 사이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특정이미지를 동시에 선택한다(S109).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B1, B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트터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선택되는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의 (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표시부를 통해 다수의 이미지(P1-P16)를 포함하는 기본화면(110b)이 출력되고 있으며,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다수의 이미지(P1-P16) 중 선택시작을 위한 이미지로 이미지(P6)를 터치한 후 선택종료를 위한 이미지로 이미지(P15)를 선택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선택시작을 위해 먼저 터치된 이미지(P6)를 제3 특정이미지(P6)로 결정하게 되며, 선택종료를 위해 나중에 터치된 이미지(P15)를 제4 특정이미지(P15)로 결정하게 된다.
이후,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도 4의 (B2)와 같이 기본화면(110b) 상에서 제3 특정이미지(P6)와 제4 특정이미지(P15) 사이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특정이미지(P7-P14)를 동시에 선택하게 된다.
전술과 같이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제1 터치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면(S110),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특정이미지와 관련되는 정보(예: 출력위치, 개수 등)를 포함하는 특정이미지관련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태그설정관리부(320)로 전달한다(S111).
한편, S106 단계의 판단결과, 제1 터치입력정보가 포인트터치가 아니면,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제1 터치입력정보가 다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선택하는 드래그터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2).
S112 단계의 판단결과, 제1 터치입력정보가 드래그터치이면,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다수의 이미지 중 선택시작을 위해 먼저 터치된 이미지를 제6 특정이미지로 결정하고, 제6 특정이미지부터 드래그를 통해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7 특정이미지를 동시에 선택한다(S113, S114).
이후,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S110 단계 및 S111 단계로 이동하여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특정이미지관련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태그설정관리부(320)로 전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S112 단계의 판단결과, 제1 터치입력정보가 드래그터치가 아니면, 이미지선택관리부(310)는, 더블터치, 포인트터치 및 드래그터치가 아닌 하나의 이미지를 터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S110 단계 이후의 과정을 통해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태그설정이 연이어 수행되도록 한다.
다음, 도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를 설정하는 동작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이미지선택관리부(310)로부터 특정이미지관련정보가 수신되면, 기본화면 상에 출력되는 다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기능설정을 위한 화면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115, S116).
여기서, 화면전환은, 이미지 관리 서비스와 관련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을 때 제1 터치입력정보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선택될 수 있도록 초기에 제공되는 기본화면으로부터 제2 터치입력정보에 따라 태그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설정화면으로의 전환일 수 있다.
이때, 설정화면은, 제2 터치입력정보의 입력 시, 상하 스크롤(scroll)에 의해 제어되는 제1 설정화면 및 드래그(drag)에 의해 제어되는 제2 설정화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었을 때 입력을 실행하여 태그를 설정할 수만 있다면 그 외 다른 동작(예: 좌우이동 등)에 의해 제어되는 설정화면들도 포함될 수도 있다.
먼저, 기본화면으로부터 제1 설정화면으로 전환된 경우일 때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S117).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2 터치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제2 터치입력정보가 상하 스크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8, S119).
S119 단계의 판단결과, 제2 터치입력정보가 상하 스크롤인 경우, 태그설정관리부(320)는, 기 저장된 태그 중 상하 스크롤에 의해 최종 선택된 태그를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로 설정한다(S120, S121).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C1, C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설정화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를 설정하는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의 (D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설정화면(120a)은, 바(bar) 형태의 기 설정된 태그를 출력하는 제1 태그출력영역(121a), 및 신규태그 입력을 위한 태그입력영역(122a)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태그가 4개(Tag1-Tag4)이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가 선택된 것으로 가정하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는 기 설정된 태그(Tag1-Tag4)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출력되게 된다.
전술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가 선택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제2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2 터치입력정보가 상하 스크롤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하 스크롤되는 위치좌표에 따라 도 5의 (C2)와 같이 기 설정된 태그(Tag1-Tag4)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가 이동(스크롤) 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후, 태그설정관리부(320)는, 기 설정된 태그(Tag1-Tag4) 중 상하 스크롤에 의해 최종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태그(Tag1)를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게 된다.
즉,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2 터치입력정보의 입력이 종료(즉, 터치종료)되어 상하 스크롤의 최종 위치좌표가 태그(Tag1)로 확정되게 되면, 태그(Tag1)의 문장"cityscape"를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게 된다.
한편, 전술과 같이 제1 설정화면(120a)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가 선택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출력된 상태에서 제2 터치입력정보(즉, 상하 스크롤)와 다른 제3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3 터치입력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에 대한 삭제, 공유, 잠금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터치입력정보는, 제1 설정화면 상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우측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좌측 슬라이딩될 때의 터치입력으로서, 슬라이딩되는 정도에 따라 삭제, 공유, 잠금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도 7을 참고하여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제3 터치입력정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삭제되는 일례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7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설정화면(120a)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가 선택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제3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3 터치입력정보가 좌측 슬라이딩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좌측 슬라이딩된 제1 지점(SP11)에 기 설정된 삭제표시기호(700)를 도 7의 (②)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이후, 도 7의 (③)와 같이 제3 터치입력정보가 제1 지점(SP11)으로부터 좌측으로 슬라이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가 제1 설정화면(120a) 상의 최종 슬라이딩 지점인 제2 지점(SP12)까지 도달하게 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사용자가 삭제표시기호(700)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를 삭제하고, 삭제가 완료되었음을 도 7의 (④)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여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제3 터치입력정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공유되는 일례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8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설정화면(120a)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가 선택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제3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3 터치입력정보가 우측 슬라이딩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우측 슬라이딩된 제1 지점(SP21)에 기 설정된 공유표시기호(710)를 도 8의 (②)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제3 터치입력정보의 입력이 종료(즉, 터치종료)되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의 최종 슬라이딩 지점이 제1 지점(SP21)이 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사용자가 공유표시기호(710)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도 8의 (③)와 같이 공유를 위한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한 후 공유 완료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에 대한 공유가 완료되었음을 도 8의 (④)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고하여 단말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제3 터치입력정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를 잠금하는 일례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9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설정화면(120a)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가 선택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출력된 상태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제3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3 터치입력정보가 우측 슬라이딩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우측 슬라이딩된 제1 지점(SP21)에 기 설정된 공유표시기호(710)를 도 8의 (②)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이후, 도 9의 (③)와 같이 제3 터치입력정보가 제1 지점(SP21)으로부터 우측으로 슬라이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가 제2 지점(SP22)를 지나 도 9의 (④)와 같이 최종 슬라이딩 지점인 제3 지점(SP23)까지 도달하게 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3 지점(SP23)에 기 설정된 잠금표시기호(720)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제3 터치입력정보의 입력이 종료(즉, 터치종료)되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의 최종 슬라이딩 지점이 제3 지점(SP23)이 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사용자가 잠금표시기호(720)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1-P7)를 잠금하고, 잠금이 완료되었음을 도 9의 (⑤)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기본화면으로부터 제2 설정화면으로 전환된 경우일 때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S122).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2 터치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제2 터치입력정보가 드래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3, S124).
S124 단계의 판단결과, 제2 터치입력정보가 드래그인 경우, 태그설정관리부(320)는, 기 저장된 태그 중 드래그되어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의 최종 위치를 확인한다. 이후, 태그설정관리부(320)는, 드래그되어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최종 위치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로 설정한다(S125, S126).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E1, E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설정화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를 설정하는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11의 (E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설정화면(120b)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출력되는 이미지출력영역(121b), 및 이미지출력영역(121b)으로 이동 가능한 특정 형태(예: 캡슐)의 기 설정된 태그를 출력하는 제2 태그출력영역(122b)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6-P15)가 선택되었으며, 기 설정된 태그가 7개(Tag1-Tag7)인 것으로 가정하면, 이미지출력영역(121b)에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6-P15)가 선택되어 표시되게 되며, 제2 태그출력영역(122b)에는 기 설정된 태그(Tag1-Tag7)가 표시되게 된다.
전술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6-P15)가 선택된 상태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제2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면,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2 터치입력정보가 드래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이미지출력영역(121b) 내에서 드래그되는 위치좌표에 따라 도 6의 (D2)와 같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Tag1, Tag3, Tag6)를 이동(드래그)하게 된다.
이후,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이미지출력영역(121b) 내 특정이미지(P6-P15)의 그룹(1211b)으로 드래그되어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Tag1, Tag3, Tag6)를 특정이미지(P6-P15)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게 된다.
즉, 태그설정관리부(320)는, 제2 터치입력정보의 입력이 종료(즉, 터치종료)되어 이미지출력영역(121b) 내에서 드래그되어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Tag1, Tag3, Tag6)의 최종 위치좌표가 특정이미지(P6-P15)의 그룹(1211b)으로 확정되게 되면, 태그(Tag1)의 문장(예: 가로수길), 태그(Tag3)의 문장(예: 여행), 태그(Tag6)의 문장(예: 먹방)을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P6-P15)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관리장치 및 이미지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따르면, 별도의 폴더(앨범) 생성 및 이미지 이동 없이도 사진(이하, 이미지) 분류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는 동시에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태그설정이 연이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분류를 위한 과정을 간략화할 수 있으며 분류된 이미지들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성취된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관리장치 및 이미지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따르면, 별도의 폴더(앨범) 생성 및 이미지 이동 없이도 이미지가 분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는 동시에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태그설정이 연이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분류를 위한 과정을 간략화할 수 있으며 분류된 이미지들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200: 서비스서버
300: 이미지관리장치
310: 이미지선택관리부 320: 태그설정관리부
330: 태그검색관리부 340: 신규이미지관리부
350: 저장부

Claims (20)

  1. 다수의 이미지가 출력되는 기본화면 상에서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제1 터치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를 선택하는 이미지선택관리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 이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제2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터치입력정보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는 태그설정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입력정보가 상기 다수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시간단위로 두 번 터치하는 더블터치인 경우,
    상기 이미지선택관리부는,
    상기 더블터치된 제1 특정이미지와 연관관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특정이미지를 동시에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관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관계는,
    상기 제1 특정이미지의 촬영시점 및 촬영장소를 포함하는 촬영관련정보 및 상기 기본화면 상에서의 상기 제1 특정이미지의 출력위치 및 출력라인을 포함하는 출력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입력정보가 상기 다수의 이미지 중 선택시작을 위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터치한 후 선택종료를 위한 다른 하나의 이미지를 터치하는 포인트터치인 경우,
    상기 이미지선택관리부는,
    상기 기본화면 상에서 상기 선택시작을 위한 제3 특정이미지와 상기 선택종료를 위한 제4 특정이미지 사이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특정이미지를 동시에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관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입력정보가 상기 다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선택하는 드래그터치인 경우,
    상기 이미지선택관리부는,
    상기 기본화면 상에서 상기 선택시작을 위한 제6 특정이미지부터 드래그를 통해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7 특정이미지를 동시에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관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설정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유지되는 상태이면, 상기 기본화면이 태그설정을 위한 제1 설정화면 또는 제2 설정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설정화면은 바(bar) 형태의 기 설정된 태그를 출력하는 제1 태그출력영역, 및 신규태그 입력을 위한 태그입력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설정화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출력되는 이미지출력영역, 및 상기 이미지출력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특정 형태의 기 설정된 태그를 출력하는 제2 태그출력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관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화면이 제1 설정화면으로 전환되었으며, 상기 제2 터치입력정보가 상하 스크롤인 경우,
    상기 태그설정관리부는,
    상기 상하 스크롤에 의해 선택된 상기 바(bar) 형태의 기 설정된 태그 중 어느 하나의 태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관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화면이 제2 설정화면으로 전환되었으며, 상기 제2 터치입력정보가 드래그인 경우,
    상기 태그설정관리부는,
    상기 이동 가능한 특정 형태의 기 설정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선택된 후 드래그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로 이동되면, 상기 드래그되어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관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화면 상에서 태그검색영역이 선택되어 기 설정된 태그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태그 중 제1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제1 태그와 관련되어 함께 태그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태그를 검출하여 표시하는 태그검색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관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신규 이미지가 확인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규 이미지 중 특정촬영시점에서 소정의 시간 단위로 연속하여 촬영된 연속촬영이미지를 검출하고, 상기 연속촬영이미지로부터 대표속성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속성이미지를 삭제하는 신규이미지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관리장치.
  11. 다수의 이미지가 출력되는 기본화면 상에서 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제1 터치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를 선택하는 이미지선택관리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 이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제2 터치입력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터치입력정보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는 태그설정관리단계
    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입력정보가 상기 다수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시간단위로 두 번 터치하는 더블터치인 경우,
    상기 이미지선택관리단계는,
    상기 더블터치된 제1 특정이미지와 연관관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특정이미지를 동시에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관계는,
    상기 제1 특정이미지의 촬영시점 및 촬영장소를 포함하는 촬영관련정보 및 상기 기본화면 상에서의 상기 제1 특정이미지의 출력위치 및 출력라인을 포함하는 출력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확인 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입력정보가 상기 다수의 이미지 중 선택시작을 위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터치한 후 선택종료를 위한 다른 하나의 이미지를 터치하는 포인트터치인 경우,
    상기 이미지선택관리단계는,
    상기 기본화면 상에서 상기 선택시작을 위한 제3 특정이미지와 상기 선택종료를 위한 제4 특정이미지 사이에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5 특정이미지를 동시에 선택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입력정보가 상기 다수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선택하는 드래그터치인 경우,
    상기 이미지선택관리단계는,
    상기 기본화면 상에서 상기 선택시작을 위한 제6 특정이미지부터 드래그를 통해 터치되는 적어도 나의 제7 특정이미지를 동시에 선택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설정관리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선택이 유지되는 상태이면, 상기 기본화면이 태그설정을 위한 제1 설정화면 또는 제2 설정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화면전환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정화면은 바(bar) 형태의 기 설정된 태그를 출력하는 제1 태그출력영역, 및 신규태그 입력을 위한 태그입력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설정화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가 출력되는 이미지출력영역, 및 상기 이미지출력영역으로 이동 가능한 특정 형태의 기 설정된 태그를 출력하는 제2 태그출력영역을 포함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화면이 제1 설정화면으로 전환되었으며, 상기 제2 터치입력정보가 상하 스크롤인 경우,
    상기 태그설정관리단계는,
    상기 상하 스크롤에 의해 선택된 상기 바(bar) 형태의 기 설정된 태그 중 어느 하나의 태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화면이 제2 설정화면으로 전환되었으며, 상기 제2 터치입력정보가 드래그인 경우,
    상기 태그설정관리단계는,
    상기 이동 가능한 특정 형태의 기 설정된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선택된 후 드래그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로 이동되면, 상기 드래그되어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이미지에 대한 태그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화면 상에서 태그검색영역이 선택되어 기 설정된 태그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태그 중 제1 태그가 선택되면 상기 제1 태그와 관련되어 함께 태그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태그를 검출하여 표시하는 태그검색관리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20. 제 11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신규 이미지가 확인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규 이미지 중 특정촬영시점에서 소정의 시간 단위로 연속하여 촬영된 연속촬영이미지를 검출하고, 상기 연속촬영이미지로부터 대표속성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속성이미지를 삭제하는 신규이미지관리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60109438A 2015-10-23 2016-08-26 이미지관리장치 및 이미지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838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9724 WO2017069399A1 (ko) 2015-10-23 2016-08-31 이미지관리장치 및 이미지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076 2015-10-23
KR20150148076 2015-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145A true KR20170048145A (ko) 2017-05-08
KR101838054B1 KR101838054B1 (ko) 2018-03-14

Family

ID=6016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438A KR101838054B1 (ko) 2015-10-23 2016-08-26 이미지관리장치 및 이미지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697A1 (ko) 2016-12-21 2018-06-28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집합 mpdu 및 이에 대한 응답 프레임의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670B1 (ko) * 2005-02-25 200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한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697A1 (ko) 2016-12-21 2018-06-28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집합 mpdu 및 이에 대한 응답 프레임의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054B1 (ko)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7893B2 (en) Drag-and-drop on a mobile device
US11460983B2 (en) Method of process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871903B2 (en) Mobile computing terminal with more than one lock scree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05320428B (zh) 用于提供图像的方法和设备
CN103189828B (zh) 管理用户界面中的项的方法和系统以及计算设备
EP2894607B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20160140139A1 (en) Local representation of shared files in disparate locations
US20140160049A1 (en) Clipboard func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KR20140143555A (ko) 휴대 장치의 잠금 화면 상에서 빠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장치
CN102929552B (zh) 终端和信息搜索方法
JP6679350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11036792B2 (en) Method for designating and tagging album of stored photographs in touchscreen terminal,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erminal
US201902201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group
US20120306749A1 (en) Transparent user interface layer
US20210406221A1 (en) Facilitating generation and utilization of group folders
US111197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notification of linkage function
WO2017177820A1 (zh) 一种即时通讯中的文件发送方法及装置
US9886182B1 (en) Integration of image-sifting with lock-screen interface
CN106663185B (zh) 数字图像处理设备和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838054B1 (ko) 이미지관리장치 및 이미지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1868705B2 (en) Associating document part with another document
EP27874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file in portable terminal
CN105119954A (zh) 文件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20150149894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2988663A (zh) 文件存储方法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