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686A - 프라수그렐 중간체의 개선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프라수그렐 중간체의 개선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686A
KR20170047686A KR1020150148074A KR20150148074A KR20170047686A KR 20170047686 A KR20170047686 A KR 20170047686A KR 1020150148074 A KR1020150148074 A KR 1020150148074A KR 20150148074 A KR20150148074 A KR 20150148074A KR 20170047686 A KR20170047686 A KR 20170047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potassium carbonate
formula
add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영
이건희
권재욱
서명원
강재훈
Original Assignee
일동제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동제약(주) filed Critical 일동제약(주)
Priority to KR1020150148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7686A/ko
Publication of KR20170047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6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e.g. ticlopid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프라수그렐의 주요 중간체인 2-옥소 프라수그렐, 5-(α-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2-플루오로벤질)-2-옥소-2,4,5,6,7,7a-헥사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화학식 1)의 개선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α-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2-플루오로벤질브로마이드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2-옥소-2,4,5,6,7,7a-헥사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 염산염의 축합반응을 통하여 2-옥소 프라수그렐을 합성함에 있어서 물을 촉매로 추가하고, 무기 염기성 화합물을 분할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pat00012

화학식 1
Figure pat00013

화학식2
Figure pat00014

화학식 3

Description

프라수그렐 중간체의 개선된 제조방법 {A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RASUGREL INTERMEDIATES}
본 발명은 프라수그렐의 주요 중간체인 2-옥소 프라수그렐의 개선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α-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2-플루오로벤질브로마이드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2-옥소-2,4,5,6,7,7a-헥사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 염산염의 축합반응을 통하여 2-옥소 프라수그렐을 합성함에 있어서 물을 촉매로 추가하고, 무기 염기성 화합물을 분할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행기술의 제조방법에 비해 반응 속도가 빠르며, 산업적인 대량생산에서도 높은 전환율로 2-옥소 프라수그렐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프라수그렐은 혈소판에 존재하는 퓨린성 아데노신-5'-이인산 수용체(purinergic adenosine 5'-diphosphate receptor: P2Y12)에 결합하여 효과적인 티에노피리딘 ADP 수용체 억제제이다. 임상약리학적으로 혈소판 응집억제 작용을 갖는 항혈전제로서 급성관상동맥 증후군과 같은 허혈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약제학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프라수그렐 염산염,
2-아세톡시-5-(α-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2-플루오로벤질)-4,5,6,7-테트라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 염산염은 하기 화학식 6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화학식 6>
Figure pat00001

프라수그렐 및 그 유도체들에 관한 제조 방법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미국 특허 제5,288,726호에 처음으로 설명되어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2

상기 반응식 1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α-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2-플루오로벤질브로마이드(화학식 2)를 디메틸포름아미드 용매 하에 탄산칼륨을 사용하여 2-옥소-2,4,5,6,7,7a-헥사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 염산염(화학식 3)과 축합반응을 통해 2-옥소 프라수그렐(화학식 1)을 합성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ICH 가이드 라인에서 1일 노출 허용량(PDE)을 8.8mg/day로 규정할 만큼 위해성이 큰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용매로 사용하고 있으며, 목적물인 2-옥소 프라수그렐이 매우 저조한 수율 (32%)로 얻어진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정제가 필수적이어서 산업적인 대량생산에 적용하기가 어렵고, 또한 저조한 수율로 인하여 경제성이 매우 낮다.
국제특허공개공보 WO2011/042912호에서는 상기 반응식 1에 있어서, 2-옥소 프라수그렐을 제조하기 위해 아세토니트릴 용매 하에서 탄산칼륨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7시간 교반 후 에칠아세테이트와 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하여 결정화를 통해 얻었다고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을 직접 실시해본 결과(참고 실시예 2) 7시간 안에 반응이 완전히 진행되지 않았고 과량의 출발물질이 남아있었다. 또한 에칠아세테이트와 사이클로헥산으로 결정화하였을 때 2-옥소 프라수그렐이 얻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부산물만 석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국제특허공개공보 WO2011/057592호에서는 상기 반응식 1에 있어서, 화학식 2 화합물로부터 무기 염기성 화합물 대신 용해도가 좋은 유기 염기성 화합물인 N-에칠다이아이소프로필아민을 사용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 즉 2-옥소 프라수그렐을 합성한 후 연속반응을 통해 화학식 4의 프라수그렐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유기 염기성 화합물인 N-에칠다이아이소프로필아민을 사용하여 용해도를 높여 반응속도를 개선하였으나, 재현 실험 결과 부반응이 함께 진행되어 결과적으로는 2-옥소 프라수그렐의 수율은 낮아졌다. 이는 연속적으로 진행된 프라수그렐의 제조 공정에도 영향을 주어 두 공정의 전체 수율이 29%로 매우 낮아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다.
상기와 같이 선행기술 특허들에 기술되어 있는 프라수그렐의 주요 중간체인 2-옥소 프라수그렐 제조방법들의 문제점들로 인하여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2-옥소 프라수그렐의 제조방법을 지속적으로 개선시킬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2-옥소 프라수그렐의 반응성을 증가시키고 불순물의 생성을 저해하며, 이를 통하여 반응 전환율을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α-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2-플루오로벤질브로마이드(화학식 2)와 2-옥소-2,4,5,6,7,7a-헥사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 염산염(화학식 3)으로부터 축합반응에 의해 주요 중간체인 2-옥소 프라수그렐(화학식 1)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에 언급된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축합반응의 반응성을 증가시켜 전환율을 개선하며, 경제적이고 대량생산이 용이한 제조방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주요 중간체인 2-옥소 프라수그렐(화학식 1)을 합성하는데 있어서 낮은 반응성으로 인하여 수율 및 순도 저하 문제가 있는 선행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경제적이면서도 산업적으로 용이하게 2-옥소 프라수그렐(화학식 1)을 높은 전환율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거듭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이러한 연구를 위해 다양한 염기 조건(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트리에틸아민,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및 그 혼합염기 등)과 용매들(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디메틸설폭시드, 1,4-다이옥산, 테트라히드로퓨란 및 그 혼합용매 등)을 사용해보았고, 또한 여러 가지 반응조건들을 변화시키며 많은 실험을 진행한 결과, 놀랍게도 일정량의 물을 첨가하고 탄산칼륨을 분할 투입하는 조건에서 높은 반응 전환율을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2-옥소 프라수그렐(화학식 1)은 하기 반응식 2에 의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반응식 2>
Figure pat00004
본 발명은 반응 용매로서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고, 용매의 사용량을 기준으로 2.0~3.0%(v/v)의 물을 첨가하며, 바람직하게는 2.0~2.5%(v/v)의 물을 사용한다. 염기로서 2.5 당량의 탄산칼륨을 사용하되 세 번에 걸쳐 분할 투입하여 반응을 진행함으로써 화학식 1화합물인 2-옥소 프라수그렐을 높은 전환율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첫 번째 실험으로 반응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동일조건에서 반응온도에 따른 축합반응의 전환율을 확인하였고, 그 실험 결과는 표 1과 같다.
여기에서 전환율이란 반응 후 목적화합물로 변하는 비율(수학식 1)을 말하며, 샘플은 HPLC로 분석하여 불순물 및 2-옥소 프라수그렐의 전환율을 측정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5
반응온도 reflux(65℃) 40~45℃
반응시간 7h 7h
2-옥소 프라수그렐 전환율 48.23% 71.2%
화학식 2 (출발물질) 15.27% 8.57%
개별 유연물질 최대량 24.38% 11.55%
여기에서 개별 유연물질 최대량이란 HPLC 분석 시 나타나는 개별 유연물질 중 피크 면적이 가장 큰 유연물질의 면적 백분율을 나타낸다.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반응온도를 높였을 때 오히려 높은 온도에서 반응성이 떨어지며 출발물질이 더 많이 남았고, 부반응이 진행되어 유연물질의 생성 비율이 증가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단순한 반응 조건 변화로는 축합반응의 반응속도를 향상시킬 수 없음을 판단하였다. 이후 사용하는 중간체 및 reagent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파악한 결과, 중간체로 사용하는 2-옥소-2,4,5,6,7,7a-헥사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 염산염(화학식 3)과 탄산칼륨이 유기용매에 충분히 용해되지 않아 실제 반응에 참가하는 비율이 낮았고, 이로 이해 반응속도가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일정량의 물을 첨가함으로써 중간체와 탄산칼륨의 용해도를 높여 반응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고, 탄산칼륨을 분할 투입함으로써 탄산칼륨의 반응참여도를 높여 반응 전환율을 높일 수 있었다. 즉, 일정량의 물 첨가와 탄산칼륨의 분할 투입을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상승효과를 통해 반응속도와 반응 전환율을 함께 높일 수 있었다.
이는 당업자들이 통상의 지식으로 예견할 수 있는 것과 다른 것으로 보통의 유기합성 반응에서는 수분의 유입을 억제하고자 하는 노력이 많으며, 특히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축합반응에서 물을 사용한다는 것은 매우 특이한 경우라 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축합반응에서는 국제특허공개공보 WO2011/042912호 (실시예 19)와 같이 구핵원자(nucleophile, 화학식 3 화합물)와 염기(탄산칼륨)를 먼저 반응시켜 반응성을 활성화시킨 이후에 친전자체(electrophile, 화학식 2 화합물)를 가하는 것이 당업자들이 알고 있는 통상의 지식이다. 하지만, 본 발명자들은 구핵원자의 반응 활성화를 생략하고, 대신 구핵원자인 화학식 3 화합물, 친전자체인 화학식 2 화합물과 일정량의 물을 동시에 투입한 상태에서 마지막에 탄산칼륨을 분할 투입함으로써 반응성을 향상시킨 신규의 반응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탄산칼륨을 마지막에 분할 투입함으로써, 구핵원자를 활성화시킨 후 반응을 진행하였을 때보다 반응성이 월등히 높아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음 실험은 2-옥소 프라수그렐을 제조함에 있어서, 일정량의 물 첨가 여부와 탄산칼륨을 가하는 방법에 따른 반응시간 및 반응 전환율을 비교한 실험으로써 그 결과는 하기의 도 1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반응조건에 대해 반응시간에 따른 반응액 샘플을 채취한 뒤 HPLC 분석을 통해 반응 전환율을 확인하였다.
도 1에서와 같이 반응 조건에 따른 반응 시간과 반응 전환율을 살펴보면, 먼저 실시예 1의 제조방법, 물을 첨가 후 탄산칼륨을 한꺼번에 가하였을 경우, 초반 반응 전환율(60.1%)은 빠르나, 점차 반응속도가 느려져 반응시간이 3시간이 지난 후에도 77.7%의 저조한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물만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초기 반응속도는 빠르나 전체 반응 전환율 증가에는 한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와 반대로 실시예 2의 제조방법인 물 첨가 없이 탄산칼륨을 분할 투입하였을 때에는 초반 반응 전환율(20.9%)은 낮으나 탄산칼륨을 분할 투입할 때 마다 전환율이 크게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물 첨가 없이는 반응시간이 7시간을 지나야 79.6%의 반응 전환율을 나타내어 공정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 2의 실험 결과를 통해 탄산칼륨을 분할 투입할 경우 반응속도는 떨어지나 전체 반응 전환율은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 실시예 2(국제특허공개공보 WO2011/042912호)에서는 물 첨가 없이 탄산칼륨을 한꺼번에 가하자 전환율 및 반응속도가 현저하게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인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일정량의 물을 첨가하고 탄산칼륨을 분할 투입하였을 경우, 86.4%의 높은 전환율로 2-옥소 프라수그렐을 얻을 수 있었으며, 반응속도가 증가하여 2시간 15분 안에 반응이 종결되었다. 즉, 일정량의 물 첨가와 탄산칼륨의 분할 투입을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반응 속도와 반응 전환율을 높여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이렇게 제조한 2-옥소 프라수그렐은 별도의 분리정제 과정 없이도 이용이 가능하며, 이로부터 프라수그렐을 높은 수율과 순도로 합성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이상의 결과와 같이 2-옥소 프라수그렐을 제조함에 있어서, 본 발명은 경제적이고, 산업적인 대량생산에 용이하며, 특징적이고, 독창적인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요 중간체인 2-옥소 프라수그렐의 개선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α-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2-플루오로벤질브로마이드(화학식 2)와 2-옥소-2,4,5,6,7,7a-헥사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 염산염(화학식 3)의 축합반응의 반응성을 증가시키고 불순물의 생성을 저해하여 제조 수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제적이고 대량생산이 용이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86% 이상의 전환율로 2-옥소 프라수그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물 및 탄산칼륨의 반응조건 별 본 발명에 따른 반응 전환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주요 중간체인 2-옥소 프라수그렐의 제조방법으로서,
<화학식 1>
Figure pat00006
화학식 2의 화합물과 화학식 3의 화합물을 무기 염기성 화합물을 이용하여 축합반응을 시키는데 있어서,
<화학식 2>
Figure pat00007
<화학식 3>
Figure pat00008
물 촉매를 이용한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다음의,
1. 상기 화학식 2 화합물과 화학식 3 화합물 및 아세토니트릴의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는 단계;
2. 단계1의 반응액에 탄산칼륨을 분할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인해 본 발명의 2-옥소 프라수그렐은 86% 이상의 높은 반응 전환율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의 단계 1에서 물의 사용량은 아세토니트릴 사용량의 2.0~3.0%(v/v)이고, 바람직하게는 2.0~2.5%(v/v)이다.
본원의 단계 2에서 탄산칼륨의 사용량은 2.0~2.5 당량이고, 바람직하게는 2.5 당량이다.
본원의 단계 2에서 탄산칼륨의 투입 방법은 두 번~네 번에 걸쳐 분할 투입하는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세 번에 걸쳐 분할 투입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2-옥소 프라수그렐의 제조
아세토니트릴 36ml 중의 α-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2-플루오로벤질브로마이드 7.2g과 2-옥소-2,4,5,6,7,7a-헥사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 염산염 5.4g의 혼합액에 물 0.72mL를 첨가한다. 그리고 탄산칼륨 9.7g을 가한 뒤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시간(15min, 30min, 1h, 1h30min, 2h, 2h30min, 3h)에 따라 반응액 샘플을 채취한 뒤 에칠아세트와 물을 가하여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화합물은 HPLC 분석을 통해 전환율을 확인하였다. 반응시간에 따른 2-옥소 프라수그렐의 전환율은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반응시간 15min 30min 1h 1h
30min
2h 2h
30min
3h
2-옥소 프라수그렐 전환율 60.1% 63.5% 70.3% 73.3% 74.4% 76.3% 77.7%
< 실시예 2> 2-옥소 프라수그렐의 제조
아세토니트릴 36ml 중의 α-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2-플루오로벤질브로마이드 7.2g과 2-옥소-2,4,5,6,7,7a-헥사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 염산염 5.4g의 혼합액에 탄산칼륨 3.23g을 가한 뒤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탄산칼륨 3.23g 을 가한 뒤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다시 탄산칼륨 3.23g을 가하고 상온 교반하였다. 반응시간(15min, 30min, 1h, 1h15min, 1h30min, 2h, 2h15min, 2h30min, 3h, 5h, 7h)에 따라 반응액 샘플을 채취한 뒤 에칠아세트와 물을 가하여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화합물은 HPLC 분석을 통해 전환율을 확인하였다. 반응시간에 따른 2-옥소 프라수그렐의 전환율은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반응시간 15min 30min 1h 1h 15min 1h30min 2h
2-옥소 프라수그렐 전환율 15min20.9% 30min25.5% 27.6% 51.9% 53.9% 56.7%
반응시간 2h15min 2h30min 3h 5h 7h
2-옥소 프라수그렐 전환율 73.8% 73.9% 74.1% 78.6% 79.6%
< 실시예 3> 2-옥소 프라수그렐의 제조
아세토니트릴 36ml 중의 α-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2-플루오로벤질브로마이드 7.2g과 2-옥소-2,4,5,6,7,7a-헥사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 염산염 5.4g의 혼합액에 물 0.72mL을 첨가한다. 그리고 탄산칼륨 3.23g을 가한 뒤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탄산칼륨 3.23g 을 가한 뒤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다시 탄산칼륨 3.23g을 가하고 교반하였다. 반응시간(15min, 30min, 1h, 1h15min, 1h30min, 2h, 2h15min)에 따라 반응액 샘플을 채취한 뒤 에칠아세트와 물을 가하여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화합물은 HPLC 분석을 통해 전환율을 확인하였다. 반응시간에 따른 2-옥소 프라수그렐의 전환율은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반응이 종결됨을 확인한 후, 부산물을 여과하고 에칠아세테이트로 세척한 후 여액에 에칠아세테이트 57.7mL와 물 57.7mL를 투입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유기혼합액을 암모늄클로라이드 수용액, 물,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감압농축하여 오일상의 2-옥소프라수그렐을 7.9g을 얻었다.
반응시간 15min 30min 1h 1h
15min
1h
30min
2h 2h
15min
2-옥소 프라수그렐 전환율 51.4% 58.0% 60.2% 74.4% 77.3% 79.8% 86.4%
< 실시예 4> 프라수그렐의 제조
아세토니트릴 46.8ml 중의 α-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2-플루오로벤질브로마이드 9.4g과 2-옥소-2,4,5,6,7,7a-헥사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 염산염 7.0g의 혼합액에 물 0.94mL을 첨가한다. 그리고 탄산칼륨 4.2g을 가한 뒤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탄산칼륨 4.2g 을 가한 뒤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다시 탄산칼륨 4.2g을 가하고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됨을 확인한 후, 부산물을 여과하고 에칠아세테이트로 세척한 후 여액에 에칠아세테이트 75.0mL와 물 75.0mL를 투입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유기혼합액을 암모늄클로라이드 수용액, 물,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감압농축하여 오일상의 2-옥소프라수그렐을 얻었다. 여기에 아세트니트릴 36.3mL를 가하여 용해시킨 뒤 -5℃이하로 냉각한 후 N-에칠다이아이소프로필아민 17.8mL, 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 0.04g을 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여기에 무수초산 6.9mL를 적가한 뒤 0~5℃에서 교반하였다. 반응혼합액에 물 96.7mL와 에칠아세테이트 96.7mL를 가하고 교반한 후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유기혼합액을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물,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감압 건조하였다. 여기에 아세토니트릴 4.9mL와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14.6mL를 가하여 결정을 석출시켰다. 이를 여과하고 건조시킨 결과 프라수그렐을 8.8g을 얻었다. (두 공정 전체 수율 65.0%, 순도 99.87%)
<참고 실시예 1> 2-옥소 프라수그렐의 제조 (미국 특허 제5,288,726호의 실시예 20)
α-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2-플루오로벤질브로마이드 2.86g과 2-옥소-2,4,5,6,7,7a-헥사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 염산염 1.95g, 탄산칼륨 3.38g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30mL를 가한 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한다. 샘플을 채취한 뒤 에칠아세트와 물을 가하여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화합물은 HPLC 분석을 통해 전환율을 확인하였다. (전환율 49.2%)
<참고 실시예 2> 2-옥소 프라수그렐의 제조 (국제특허공개공보 WO2011/042912호의 실시예 19)
2-옥소-2,4,5,6,7,7a-헥사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 염산염 10g, 탄산칼륨 6.35g 및 아세토니트릴 100mL의 혼합액을 25~3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α-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2-플루오로벤질브로마이드 6.6g을 아세토니트릴 3mL에 용해하여 적가한 뒤 25~30℃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시간(30min, 1h, 3h, 7h)에 따라 반응액 샘플을 채취한 뒤 에칠아세트와 물을 가하여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화합물은 HPLC 분석을 통해 전환율을 확인하였다. 반응시간에 따른 2-옥소 프라수그렐의 전환율은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이후 선행특허(WO 2011/042912)에 기술된 내용과 동일하게 부산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한 뒤 에칠아세테이트와 사이클로헥산을 이용하여 결정화를 시도하였으나, 실제로 기술된 것과는 다르게 오히려 부산물만 석출되어 목적화합물인 2-옥소 프라수그렐을 결정으로 얻을 수 없었다.
반응시간 30min 1h 3h 7h
2-옥소 프라수그렐 전환율 50.6% 51.0% 55.5% 58.0%

Claims (4)

  1. 하기 화학식 2 화합물인 α-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2-플루오로벤질브로마이드와 화학식 3 화합물인 2-옥소-2,4,5,6,7,7a-헥사히드로티에노[3,2-c]피리딘 염산염의 축합반응을 통하여 화학식 1 화합물 2-옥소 프라수그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화학식 2 화합물과 화학식 3 화합물 및 아세토니트릴의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는 단계;
    2. 단계1의 반응액에 탄산칼륨을 분할 투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 화합물인 2-옥소 프라수그렐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09

    <화학식 2>
    Figure pat00010

    <화학식 3>
    Figure pat00011

  2. 제 1항의 단계 1에 있어서, 물의 사용량은 아세토니트릴 사용량의 2.0~3.0%(v/v)이고, 바람직하게는 2.0~2.5%(v/v)인 제조방법.
  3. 제 1항의 단계 2에 있어서, 탄산칼륨의 사용량은 2.0~2.5 당량이고, 바람직하게는 2.5당량인 제조방법.
  4. 제 1항의 단계 2에 있어서, 탄산칼륨의 투입방법은 두 번~네 번에 걸쳐 분할 투입하는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세 번에 걸쳐 분할 투입하는 제조방법.
KR1020150148074A 2015-10-23 2015-10-23 프라수그렐 중간체의 개선된 제조방법 KR20170047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074A KR20170047686A (ko) 2015-10-23 2015-10-23 프라수그렐 중간체의 개선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074A KR20170047686A (ko) 2015-10-23 2015-10-23 프라수그렐 중간체의 개선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686A true KR20170047686A (ko) 2017-05-08

Family

ID=6016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074A KR20170047686A (ko) 2015-10-23 2015-10-23 프라수그렐 중간체의 개선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76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3861B2 (ja) 安定結晶形の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およびそのジアステレオマー
KR102159892B1 (ko) 폴리시클릭-카르바모일피리돈 화합물의 합성
CN101541818A (zh) 4’-叠氮基胞苷衍生物的制备方法
US11926633B2 (en) Synthesis methods for upadacitinib and intermediate thereof
ES2362660T3 (es) Cristalización de formas sólidas de sales de adición de clopidogrel.
EP3307711A1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apremilast and its intermediates
KR20180091672A (ko) 디뉴클레오사이드 폴리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제조방법
WO2014207758A2 (en) Novel polymorph of regadenoson
CN111471070B (zh) 瑞德西韦的合成方法
WO2016177300A1 (zh) (2&#39;r)-2&#39;-脱氧-2&#39;-卤代-2&#39;-甲基脲苷衍生物、其制备方法和用途
WO2017202357A1 (zh) 一种三氟甲基取代的吡喃衍生物的制备方法
JP7144873B2 (ja) スガマデクスナトリウム塩の製造方法
CN116751136A (zh) 氧代吡啶类化合物的新型制备方法及关键中间体
EP2922833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1s,4s,5s)-4-bromo-6-oxabicyclo[3.2.1]octan-7-one
KR20170047686A (ko) 프라수그렐 중간체의 개선된 제조방법
CN106518939B (zh) 一种制备Solithromycin化合物的方法
KR101640504B1 (ko) 엔테카비르 일수화물의 제조방법
HU219478B (hu) Eljárás AZT és származékainak előállítására
CA2742725A1 (en) Process for resolving zopiclone
EP1590353B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efpodoxime proxetil
CA2570415C (en) A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5,6 -dihydro -4h-4(s)-ethylamino-6(s)-methylthieno[2,3-b] thiopyran-2-sulfonamide- 7,7 -dioxide and its salt
WO2021043200A1 (zh) 一种喹唑啉衍生物的制备方法及其结晶
KR100554108B1 (ko) 에르도스테인의 제조방법
KR100741310B1 (ko) 젬시타빈의 합성에 유용한 신규한나프탈렌-2-카르복실레이트 유도체와 그의 제조방법
CN109867707B (zh) 从含有三磷酸腺苷的溶液中提取三磷酸腺苷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