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326A - 폰패드 - Google Patents

폰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326A
KR20170047326A KR1020177008185A KR20177008185A KR20170047326A KR 20170047326 A KR20170047326 A KR 20170047326A KR 1020177008185 A KR1020177008185 A KR 1020177008185A KR 20177008185 A KR20177008185 A KR 20177008185A KR 20170047326 A KR20170047326 A KR 20170047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input
componentized
capability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097B1 (ko
Inventor
펭시앙 자오
프랭크 젱
로버트 주
잉 친
자크 장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47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04M1/72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2Mutual synchronization
    • H04W76/0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예시적인 장치 및 방법은, 입력 또는 출력 능력들의 제2 세트를 가진 제2 디바이스(들)(예컨대, 태블릿)와 상호작용하는, 입력 또는 출력 능력들의 제1 세트를 가진 제1 디바이스(예컨대, 전화)에 대한 것이다.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제2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를 수립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에서 제시된 입력을 수신하고,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제시될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상의 동작(예컨대, 터치, 제스처)에 응답해서, 제1 디바이스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이는 제2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출력을 종국에는(in turn) 결정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가 자기 자신의 내장(built-in) 입출력 컴포넌트를 사용해 제공할 수 있는 입출력 경험보다 우수한 입출력 경험을 제공하도록 제2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조합은 에너지를 절약하고 컴퓨팅 복잡도를 감소시킨다.

Description

폰패드{PHONEPAD}
컴퓨터는, 상이한 특정 목적들을 가진 컴포넌트들의 연결된 시스템들이곤 했다. 예를 들면, 데스크톱 시스템은, 모니터, 키보드, 그리고 프로세서, 디스크 및 메모리를 수용한 콘솔을 구비했을 수 있다. 메인프레임 컴퓨터는, 종국에는 대형 메모리 뱅크, 디스크 팜, 및 테이프 팜에 배선된(wired), 대형 프로세서에 배선된 덤(dumb) 단말기들을 구비했었을 수 있다. 소형화는 이 패러다임을 변화시켰고, 새로운 유형의 디바이스가 생겨났다. 새로운 디바이스가 더 집적되었고, 단일 장치에서 다수의 목적들을 위해 다수의 요소들을 구비하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면, 상당한 컴퓨팅 자원을 구비한 랩톱 컴퓨터, 그 다음에 태블릿 컴퓨터, 그 다음에 스마트폰이 나타났다. 이러한 새로운 장치는 모두 프로세서, 메모리, 입력 디바이스 및 출력 디바이스를 가졌다. 특수 목적(예컨대, 모니터, 키보드)을 위해 특수화되었을 수 있는 별도의 외부 컴포넌트와는 달리, 집적된 컴포넌트는, 특정 크기의 장치(예컨대, 전화, 태블릿)에 맞도록 성능을 절충시켰을 수 있다.
이용가능한 다수의 유형들의 지능형 디바이스들을 가지고, 사용자는, 스마트폰, 태블릿, 랩톱 컴퓨터, 게이밍 시스템, 및 다른 컴퓨터화된 디바이스를 획득했었을 수 있다. 모든 이러한 구입들은 중복된 투자를 야기한다.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갖는 것이 새로운 기회 및 새로운 유연성을 제공했던 반면에,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가지는 것은 또한 예기치 않은 결과를 야기했다. 예를 들면, 단일 프로세서를 실행하도록 단지 충분한 에너지를 소모하는 대신에, 사용자는 추가적인 프로세서를 실행하도록 추가적인 에너지를 소모했었을 수 있다. 단일 디바이스로의 단일 인터페이스를 숙달하는 대신에, 사용자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상의 다수의 인터페이스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학습해야 했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콘텐츠가 디바이스들간에 분산되었을 수 있고, 따라서, 발견하고 사용하기 더 어렵게 되었을 수 있거나, 디바이스들간에 비동기(out of sync)되었을 수 있어서, 종국에는, 구현하기 위해 시간, 프로세싱 파워, 및 네트워크 대역폭을 소모한 정교한 조정 또는 공유 접근법을 요구했었을 수 있다.
2014년 8월 현재, 전세계에 거의 20억개의 스마트폰들이 존재한다. 전세계에는 또한 거의 5억개의 태블릿 컴퓨터들이 존재한다. 사용자는 점점 더 자기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상에 자기 자신의 콘텐츠를 휴대하거나 자기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자신의 콘텐츠를 액세스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사용자 및 태블릿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상에 영화, 책, 비디오 게임, 및 다른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한 디바이스(예컨대, 전화)상의 콘텐츠를 다른 디바이스(예컨대, 태블릿)상의 콘텐츠와 동기화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나, 동기화는 시간, 에너지, 통신 대역폭, 및 컴퓨팅 자원을 소모한다. 자신의 태블릿상에 책을 읽으며 이 책의 특정 지점에 도달한 다음 읽기를 멈추는 사용자를 고려해라. 그런 다음,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집어 들어서, 동일한 책을 읽는 것을 시작하길 원할 수 있다. 책은 스마트폰상에서 이용가능할 수 있지만, 가장 최근에 읽은 위치로 열리지 않을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두 디바이스들상의 콘텐츠를 동기화시키도록 일부 명시적 동작을 취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종래 시도는 인터넷 공유 및 링킹을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또한, 자신의 스마트폰, 태블릿, 패블릿, 또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상에서 점점 더 생산성 애플리케이션,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 및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휴대하거나 액세스한다. 다시 한번, 디바이스들간에 이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데이터를 동기화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지만, 동기화는 시간, 에너지, 통신 대역폭, 및 컴퓨팅 자원을 소모한다. 사용자는 또한, 점점 더 자신의 핸드헬드 모바일 디바이스상에서 더 큰 디바이스상에서 수행되곤 했던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자신의 핸드헬드 모바일 디바이스상에서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고, 소셜 미디어와 상호작용하며, 게임을 플레이한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은 상당히 상이한 크기들이곤 했고, 별개의 다른 역할들을 가진 것으로 보였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은, 제한된 입출력 능력을 가지지만 확장적 프로세싱 파워 및 연결성을 가지며 태블릿보다 훨씬 소형이었을 수 있는 반면에, 태블릿은, 확장적 입출력 능력을 가지지만 제한된 프로세싱 파워, 접속성, 또는 배터리 수명을 가지며 스마트폰보다 훨씬 대형이었을 수 있다. 전화는 통화, 문자를 하거나 이메일을 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었을 수 있는 반면, 태블릿은 책 또는 신문을 보고, 콘텐츠를 시청하거나, 게임을 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로세싱 파워가 훨씬 더 작은 폼 팩터 내에 집어 넣어짐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는 더 강력하게 되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면, 2014년도의 스마트폰에서 이용가능한 프로세싱 파워는, 원래의 메인프레임 컴퓨터와 최근의 데스크톱 및 랩톱 컴퓨터의 프로세싱 파워와 필적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점점 더 크게 되는 것처럼 보이고, 태블릿은 점점 더 작게 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스마트폰은, 태블릿 및 일부 랩톱 컴퓨터와 비교해서 열등한 입출력 능력을 갖는 경향이 여전히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은,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가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가상 키보드의 크기를 제한하는 더 작은 스크린을 가질 수 있다. 스마트폰이 입출력을 위해 증가된 태블릿 디스플레이 크기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협력하도록 하는 일부 시도가 수행되었지만, 이러한 시도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둘 다에 대해 상당한 프로세스 자원을 수반하였다. 이 시도는 스마트폰과 태블릿간의 일부 상호운용성을 달성했었을 수 있는 반면, 콘텐츠는 공유하기가 여전히 어려운 경향이 있고 쉽게 비동기화(out of sync)가 된다. 디바이스들을 연결하는 어려움은, 디바이스들간에 사용자 경험을 전달하는 것을 - 심지어 이것이 어쨌든 가능할지라도 - 어렵게 했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바이스들상의 자원들의 상당한 중복이 여전히 존재하며, 이것은 중복된 투자로 이어진다. 사용자는 가격이 수백 달러인 스마트폰, 가격이 수백 달러인 태블릿, 그리고 가격이 수백 달러 또는 아마도 천 달러인 랩톱 컴퓨터를 가질 수 있으며, 이것들 모두는 중복된 컴포넌트들(예컨대, 프로세서, 메모리, 디스플레이, 입력 디바이스, 통신 컴포넌트들)을 사용해 동일 작업들 중 많은 것을 수행한다. 이 중복은 비용을 증가시키고,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를 야기하며, 적어도 콘텐츠 공유에 있어서 복잡도를 증가시킨다.
이 개요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설명되는 개념의 선택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요약은 청구된 특허 대상(subject matter)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 특징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청구된 특허 대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데 사용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장치 및 방법은, 비교적 열등한 입출력 능력을 가진 디바이스(예컨대, 전화)를 위한 입출력 디바이스로서 외부 디바이스(예컨대, 태블릿)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접근법에 비해 향상된다. 제1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는 고성능 프로세서, 고급 데이터 통신 장비, 메모리, 및 정교한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예컨대, 컴포넌트화된 태블릿)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와 터치 및 호버 감지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고성능 입출력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제2 디바이스는, 저전력 프로세서로 또는 심지어 프로세서 없이 구성될 수 있고, 최소한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범용 태블릿 컴퓨터인 대신에, 제2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또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입출력 디바이스로서 특별히 동작하도록 컴포넌트화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는 휴대용일 수 있고, 제1 디바이스가 이리 저리로 이동함에 따라 다른 제2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장치 및 방법은, 제1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와 하나 이상의 제2 디바이스(예컨대, 컴포넌트화된 태블릿, 컴포넌트화된 모니터)간의 관계를 수립할 수 있다. 태블릿은, 터치 또는 호버 제스처 또는 다른 입력을 수신하고, 스마트폰을 위한 입력 이벤트, 데이터 또는 제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모니터는, 스마트폰상의 운영체제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출력을 제시(present)하거나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포넌트화된 태블릿은 입력(예컨대, 터치, 제스처, 음성)을 수신하고, 출력(에컨대, 운영체제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게임 디스플레이)를 제시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는 테스크톱 시스템으로부터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 또는 모니터처럼 동작할 수 있고, 키보드, 마우스, 또는 모니터는,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다른 디바이스 내에 위치한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단일 기능을 가진다.
첨부의 도면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장치, 방법, 및 다른 실시예를 예증한다. 도면에서 예증된 엘리먼트 경계(예를 들면, 박스, 박스들의 그룹, 또는 다른 형상)는 경계의 한 예를 나타낸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일부 예시에서, 한 엘리먼트는 다수의 엘리먼트로 디자인될 수도 있거나, 다수의 엘리먼트들이 하나의 엘리먼트로 설계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또 다른 엘리먼트의 내부 컴포넌트로서 도시된 한 엘리먼트는 외부 엘리먼트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될 수도 있다. 또한, 엘리먼트는 동일한 축척으로 도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은 제2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 예시적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예증한다.
도 2는 두 개의 상이한 시간들 및 장소들에서 두 개의 상이한 제2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하는 예시적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예증한다.
도 3은 동시에 두 개의 상이한 제2 디바이스들과 동시에 상호작용하는 예시적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예증한다.
도 4는, 애플리케이션 및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컴퓨터 컴포넌트들(예컨대, 프로세서, 메모리, i/o 회로)의 완전한 세트로 구성된 예시적인 디바이스와, 입출력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회로 및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컴포넌트화된 태블릿을 예증한다.
도 5는 향상된 입출력을 위해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예시적인 방법을 예증한다.
도 6은 향상된 입출력을 위해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예시적인 방법을 예증한다.
도 7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향상된 입출력을 위해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클라우드 동작 환경을 예증한다.
도 8은, 향상된 입출력을 위해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를 묘사하는 시스템도이다.
도 9는, 향상된 입출력을 위해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장치를 예증한다.
모든 디바이스가 모든 사람에게 모든 것이 될 필요는 없다. 일부 디바이스는, 더 낮은 가격을 달성하면서조차 한가지 것에 특별히 좋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화와 태블릿과 같은 디바이스가 점점 더 편재(ubiquitous)됨에 따라, 특수화된 디바이스의 성능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기회가 증가되었다. 동시에, 비용을 감소시키고, 에너지를 감소시키며,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회가, 특수화를 통해 증가되었다. 향상된 소형화, 증가된 프로세싱 파워, 더 큰 메모리, 향상된 입출력, 및 향상된 디바이스간 통신 능력은 이제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갖는 것과 연관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점점 더 많은 능력을 모든 디바이스에 추가하기 보다는, 예시적인 장치 및 방법은, 범용 프로세싱 파워 및 콘텐츠를 하나의 디바이스 내로 집중시키고, 다른 디바이스가 특수화된 컴포넌트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파워, 메모리, 네트워크 접속성, 및 전화가 스마트폰 내로 집중될 수 있다. 스마트폰은 평균적 해상도를 갖는 작은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고성능 디바이스는 특수 목적을 위한 덜 지능적인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은, (만약 있다면) 최소한의 프로세싱 파워 또는 메모리를 갖지만 입출력을 위해 최적화된, 최소주의의(minimalist) 태블릿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태블릿은, 전화에 의해 제공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또는 호버 스크린으로부터 입력 이벤트를 생성하기에 겨우 충분한 컴퓨팅 자원을 가질 수 있다. 테블릿상의 자원들 중 대다수는 입출력(i/o) 인터페이스에 할당될 수 있고, 따라서, 우수한 i/o 경험이 감소된 비용을 가진 시스템을 위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프로세싱 파워, 메모리, 및 네트워크 접속성이 스마트폰에 의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시나리오는, 사용자가, 배선에 의해 콘솔에 연결된 모니터와, 배선에 의해 콘솔에 연결된 키보드를 가진 데스크톱 컴퓨터를 가졌던 때를 회상(harken)시킨다. 키보드는 키보드이도록 최적화되었고, 콘솔을 변경하지 않고 상이한 키보드들과 교환해 넣거나 뺄 수 있다. 유사하게, 모니터는 모니터이도록 최적화되었고, 모니터를 변경하지 않고 상이한 모니터들과 교환해 넣거나 뺄 수 있다. 향상된 키보드 또는 모니터가 개발됨에 따라, 이것들은 콘솔을 변경할 필요가 없이 콘솔과 전개(deploy)될 수 있다. 유사하게, 향상된 콘솔이 개발됨에 따라, 이것들은 컴포넌트를 변경할 필요가 없이 기존의 키보드 또는 모니터와 전개될 수 있다. 데스크톱 또는 메인프레임 모델과는 달리, “콘솔”은 휴대용이고, 상이한 위치들에서 컴포넌트들의 상이한 세트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스마트폰은, 비록 스크린 크기 때문에 감소된 i/o 능력을 갖지만 외부 컴포넌트 없이 모든 것을 자기 스스로 기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장치 및 방법은, i/o 디바이스가 자신의 비용을 감소시키는 동안 조차도 어디서 자신의 i/o 기능을 위해 최적화될 수 있는지를 컴퓨팅하는 이 컴포넌트 접근법을 용이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정교한 애플리케이션 및 운영체제를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자원(예컨대, 프로세서, 메모리, 접속성)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상에서 실행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접근법을 사용해서, 사용자는 자신의 전화상에서 여기 저기로 자신의 프로세서 및 콘텐츠를 휴대할 수 있고, 단지 그 전화상에서 이용가능한 i/o보다 우수한 i/o를 제공하는 상이한 컴포넌트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콘텐츠가 스마트폰 내에서 여기 저기로 운반되거나, 클라우드 내에 저장되지만, 스마트폰 내의 단일 접촉점으로부터 액세스가능하기 때문에, 콘텐츠 중복, 콘텐츠 공유, 및 콘텐츠의 비동기화와 연관된 문제가 해결된다. 컴포넌트 내의 컴퓨팅 자원이 감소되므로, 비용 및 전력 소모와 연관된 문제가 완화된다. 사용자가 자신이 어디에 있든지 간에 동일한 전화,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및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쉽게 자신의 사용자 경험이 상이한 외부 컴포넌트들상으로 여기 저기로 끊김이 없이(seamlessly)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다른 예시적인 디바이스(170)를 위한 컴포넌트화된 i/o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디바이스(100)를 예증한다.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면, 컴포넌트화된 태블릿일 수 있다. 디바이스(17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11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I/O 인터페이스(100)는 터치 감지 및 호버 감지 둘 다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물체(object)(예컨대, 손가락(digit), 펜슬(pencil), 용량성 팁(tip)을 가진 스타일러스)가 i/o 인터페이스(110)를 터치하고 있을 때를 검출하는 터치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기는, i/o 인터페이스(110)를 터치하는 물체의 위치(x, y) 또는 다른 정보에 대해 보고할 수 있다. 터치 검출기는 또한, 물체가 이동하고 있는 방향, 물체가 이동하고 있는 속도, 물체가 탭, 이중 탭, 삼중 탭, 또는 다른 탭 동작을 수행했는지 여부, 물체가 인식가능한 제스처를 수행했는지 여부, 또는 다른 정보에 대해 보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구체적으로 사용자를 위한 우수한 입출력 경험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을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같은 범용 컴퓨팅 자원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디바이스(100)는, i/o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주(primary) 컴퓨터(170)와 상호작용하기에 겨우 충분한 컴퓨팅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주 컴퓨터(17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일 수 있다. 스마트폰은 일부 i/o 늘력을 가질 수 있지만, 자신의 폼 팩터 때문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그리고 입력을 수용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제한된 실면적(real estate)이 존재할 수 있다. 제한된 실면적은 스마트폰상에서 타이핑하기 위한 능력을 특히 제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물체(예컨대, 손가락, 펜슬, 용량성 팁을 가진 스타일러스)가 i/o 인터페이스(110)에 근접해 있으나 i/o 인터페이스(110)를 터치하고 있지 않을 때를 검출하는 근접도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도 검출기는 3차원 호버 공간(150)에서 물체(160)의 위치(x, y, z)를 식별할 수 있고, x 및 y는 서로에 대해 직교하고 인터페이스(110)의 표면에 평행인 평면에 있으며, z는 인터페이스(110)의 표면에 수직이다. 근접도 검출기는, 예를 들면, 물체(160)가 호버 공간(150) 내에서 이동하고 있는 속도, 호버 공간(150)에 대한 물체(160)의 방위(예컨대, 상하 이동(pitch), 회전(roll), 편향(yaw)), 물체(160)가 호버 공간(150) 또는 디바이스(100)에 대해 이동하고 있는 방향, 물체(160)에 의해 수행된 제스처, 또는 물체(160)의 다른 속성을 포함하는 물체(160)의 다른 속성을 또한 식별할 수 있다. 단일 물체(160)가 예증되지만, 근접도 검출기는 호버 공간(150) 내의 하나보다 많은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100)는 주 컴퓨터(170)와 가능한 i/o 경험보다 우수한 i/o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태블릿 및 스마트폰이 설명되는 반면에, 보다 일반적으로, 컴포넌트화된 i/o 디바이스가 범용 디바이스를 위해 우수한 입력 능력 또는 출력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이한 예시들에서, 터치 검출기는 능동 및 수동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이한 예시들에서, 근접도 검출기는 능동 및 수동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일 장치는 터치 검출기 기능 및 근접도 검출기 기능 둘 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된 검출기는, 용량성, 전계, 유도성, 홀 효과(Hall effect), 리드 효과(Reed effect), 와상 전류, 자기 저항성, 광학 그림자(optical shadow), 광학 가시광, 광학 적외선(IR), 광학적 컬러 인식, 초음파, 음향 방출, 레이더, 열, 음파, 전도성, 및 저항성 기술들을 포함하는 - 이것들에만 제한되지는 않음 - 감지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능동 시스템들은, 다른 시스템들 중에서도, 적외선 또는 초음파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동 시스템들은, 다른 시스템들 중에서도, 용량성 또는 광학 그림자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된 검출기가 용량성 기술을 사용할 때, 검출기는 호버 공간(150) 내의 또는 i/o 인터페이스(110)상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용량성 감지 노드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턴스 변화는, 예를 들면, 용량성 감지 노드를 터치하거나, 용량성 감지 노드의 검출 범위 내에 오는 손가락(들)(예컨대, 손가락, 엄지 손가락) 또는 다른 물체(들)(예컨대, 펜, 용량성 스타일러스)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스마트폰이 터치 및 호버 감지 디스플레이를 도입하기 시작하는 한편, 이러한 능력을 제공하도록 맞춤 설계되는 태블릿은, 전화상에 이용가능한 제한된 스크린 공간과 비교해서 우수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 키보드를 제공하도록 맞춤 설계되는 컴포넌트화된 태블릿은, 제한된 입력 면적을 갖는 스마트폰을 위해 우수한 타이핑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전화로부터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맞춤 설계되는 컴포넌트화된 태블릿은, 제한된 디스플레이 면적을 갖는 스마트폰을 위해 우수한 디스플레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전화로부터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맞춤 설계되는 컴포넌트화된 프로젝터 또는 모니터는, 제한된 디스플레이 면적을 갖는 스마트폰을 위해 우수한 출력 경험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1차 컴퓨터(170)는, 운영체제(180)와 애플리케이션들(190 및 192)을 실행시키기 위한 범용 컴퓨팅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운영체제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범용 컴퓨팅 자원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그 대신에, 특수 목적 회로, 드라이브, 또는 다른 엘리먼트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 운영체제와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예증되는 반면에, 주 컴퓨터(170)는 상이한 유형들 또는 개수들의 운영체제들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는 제1 위치에 있는 제1 태블릿(210)과 제2 위치에 있는 제2 태블릿(220)과 상호작용하는 디바이스(200)를 예증한다.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랩톱, 태블릿, 또는 다른 유형의 컴퓨터일 수 있다. 제1 위치는 예를 들면, 사무실일 수 있는 한편, 제2 위치는 예를 들면, 집일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사용자를 위해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에 충분한 프로세싱 파워 및 메모리를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200)가 일부 입출력 능력을 가질 수 있지만, 제1 태블릿(210)과 제2 태블릿(220)은 상당히 우수한 입출력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제1 태블릿(210)은 우수한 i/o 경험을 제공하도록 최적화되는 맞춤 설계된 태블릿일 수 있다. 제1 태블릿(210)은, 운영체제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세싱 파워 또는 메모리를 가지지 않은, “덤(dumb) 단말기” 유형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대신에, 제1 태블릿(210)은, 단순히 입력 이벤트,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들을 디바이스(200)에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태블릿(210)은 디바이스(200)에 의해 제공되는 출력을 단순히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태블릿(210)이 단지 i/o 동작만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제1 태블릿(210)은 컴프리핸시브(comprehensive) 태블릿보다 덜 비쌀 수 있고, 컴프리핸시브 태블릿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가 제1 태블릿(210)의 범위 내에 올 때, 디바이스(200)는 제1 태블릿(210)과의 관계를 수립할 수 있다. 이 관계는, 제1 태블릿(210)으로부터의 입력이 디바이스(200)에 제공되게 할 수 있고, 디바이스(200)에 의해 생성된 출력이 제1 태블릿(21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제1 태블릿(210)으로부터의 입력은, 종래의 데스크톱 컴퓨터에 배선된 키보드 컴포넌트에 의해 생성된 입력 이벤트와 유사할 수 있거나, 메인프레임에 배선된 덤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입력 이벤트와 유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에 의해 제공된 출력은, 종래의 데스크톱 컴퓨터 구성에서 콘솔에 의해 생성되고 모니터에 제공되거나, 메인프레임에 배선된 덤 단말기에 제공된 출력과 유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가 제1 태블릿(210)의 근접을 이탈할 때, 디바이스(200)는 제1 태블릿(210)과의 관계를 단절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제1 태블릿(210)의 범위 내에 여전히 있을때 조차 관계를 끝낼 것을 결정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다른 디바이스가 제1 태블릿(210)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가 제2 태블릿(220)의 범위 내에 올 때, 디바이스(200)는 제2 태블릿(220)과의 관계를 수립할 수 있다. 이 관계는, 제2 태블릿(220)으로부터의 입력이 디바이스(200)에 제공되게 할 수 있고, 디바이스(200)에 의해 생성된 출력이 제2 태블릿(22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태블릿(220)은 제1 태블릿(210)과 유사한 덤 컴포넌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태블릿(220)은 실제로 컴퓨팅 자원 및 메모리를 가지고, 그 자체가 컴퓨터로서 동작할 수 있는 컴프리핸시브 태블릿일 수 있다. 제2 태블릿(220)이 컴프리핸시브 태블릿일 때, 디바이스(200)는 제2 태블릿(220)이 덤 태블릿으로서 동작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200)는, 제2 태블릿9220)으로 하여금, 제2 태블릿(220)상에서 그러한 이벤트의 단지 충분한 취급만을 가진 디바이스(200)에 입력을 제공하게 하여, 이 입력을 디바이스(200)에 전달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제2 태블릿(220)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출력을 또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출력은 제2 태블릿(220)상에 디스플레이되기에 충분하게만 프로세싱된다. 제2 태블릿(220)이 덤 단말기 모드로 동작하게 제어하는 것은, 제2 태블릿(220)이 더 낮은 전력 상태에서 동작하게 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3은 동시에 두 개의 상이한 제2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하는 예시적인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예증한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300)는 태블릿(310) 및 프로젝터(320)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태블릿(310)은 입력을 디바이스(300)에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프로젝터(320)는 디바이스(300)으로부터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디바이스(300)상에서 실행되는 비디오 게임을 가질 수 있다. 태블릿(310)은, 게임을 위해 터치 또는 호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 이벤트가 태블릿(310)에서 검출되고 디바이스(300)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 이벤트는 게임을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어떤 출력이 게임에 의해 생성되는지를 제어할 수 있다. 출력은 프로젝터(320)에 제공될 수 있다. 디바이스(300), 태블릿(310), 및 프로젝터(320)의 전체 가격은 3개의 단독 시스템들보다 작을 수 있다. 디바이스(300), 태블릿(310), 및 프로젝터(32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은, 3개의 단독 시스템들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보다 보다 작을 수 있다. 디바이스(300), 태블릿(310), 및 프로젝터(320)가 함께 동작하게 하는 복잡도는, 3개의 단독 시스템들을 원하는 바대로 상호작용하게 시도하는 것보다 작을 수 있다. 사용되는 네트워크 대역폭의 분량은, 디바이스(300)가 필요로 하는 대역폭에 제한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태블릿(310) 및 프로젝터(320)가 디바이스(300)와만 통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태블릿(310)과 프로젝터(320)는, 예를 들면, WiFi, 블루투스, 또는 근거리 통신을 포함하는 근접 범위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통신할 수 있다.
도 4는, 운영체제(405) 및 애플리케이션(406)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컴포넌트들(예컨대, 프로세서(401), 메모리(402), i/o 회로(403))의 완전한 세트로 구성된 예시적인 디바이스(400)를 예증한다. 디바이스(400)는, i/o 회로(403)와 프로세서(401)간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드라이버(4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컴포넌트화된 태블릿(410)을 또한 예증한다.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는, 범용 컴퓨터로서 기능하지 않고 그 대신에 특수 목적 디바이스(예컨대, 터치 입력 디바이스, 호버 입력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로서 기능하는 디바이스가다. 컴포넌트화된 태블릿(410)은, 입출력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회로(413) 및 드라이버(414)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로(413)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415)상의 터치를 검출할 수 있고, 드라이버(414)는 이러한 터치에 관한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디바이스(400)에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드라이버(414)는, 디바이스(400)로부터 출력 데이터 또는 명령을 수신하고,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415)상에 출력을 렌더링, 디스플레이,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제시할 수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가 설명되는 한편, 다른 유형들의 입력 또는 출력 장치가 채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400)가 단일 태블릿(410)과 상호작용하는 것이 예증되는 한편, 예시적인 장치는 다수의 컴포넌트화된 태플릿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400)는, 애플리케이션(406)을 위해 향상된 i/o를 제공하도록 태블릿(410)을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동시에, 디바이스(400)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향상된 i/o를 제공하기 위해 추가적인 별도의 태블릿을 사용할 수 있다. 방 안의 4명의 플레이어들이 다중 플레이어 게임을 플레이하고 있는 게임 시나리오를 고려하라. 한 명의 사용자의 전화는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고, 게이머들은 자기 자신들의 별도의 태블릿들을 통해 이 게임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화는, 상이한 게이머들이 상이한 인터페이스들 및 상이한 프레젠테이션들을 갖게 할 수 있다.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의 일부 부분은, 메모리 내의 데이터 비트에 대한 동작의 심볼 표현 및 알고리즘의 관점에서 제공된다. 이들 알고리즘 설명 및 표현은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그들의 작업의 실체(substance)를 타인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알고리즘은 결과를 생성하는 동작들의 시퀀스인 것으로 간주된다. 동작은, 전자적 값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는 물리량을 생성하는 것 및 조작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적 값의 형태의 물리량을 생성하거나 조작하는 것은 구체적인 유형의(tangible) 유용한 실세계 결과를 생성한다.
원칙적으로 통상 사용의 이유로 인해, 이들 신호를 비트, 값, 엘리먼트, 심볼, 캐릭터, 항, 숫자, 및 다른 용어로 지칭하는 것이 때때로 편리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그러나, 이들 및 유사한 항은 적절한 물리적 양과 관련될 것이고 단지 이들 양에 적용되는 편리한 라벨에 불과하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고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설명의 전체에 걸쳐, 프로세싱, 컴퓨팅, 및 결정하는을 포함하는 용어는, 컴퓨터 시스템, 논리부, 프로세서, 또는 물리량(예를 들면, 전자적 값)으로 표현되는 데이터를 조작하고 변환하는 유사한 전자 디바이스의 액션 또는 프로세스를 지칭한다는 것이 인식된다.
예시적인 방법은 플로우차트를 참조로 더 잘 인식될 수도 있다. 간략화를 위해, 예증된 방법론은 일련의 블록으로서 도시되고 설명된다. 그러나, 그 방법론은 블록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일부 실시예에서, 블록은 도시되거나 설명되는 것과는 상이한 순서로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모든 예증된 블록들보다 더 적은 블록들이 요구되어 예시적인 방법론을 구현할 수도 있다. 블록들은 결합되거나 다수의 컴포넌트들로 분리될 수도 있다. 또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방법론이 예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블록을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향상된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해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예시적인 방법(500)을 예증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제1 레벨의 입력 능력 또는 출력 능력을 갖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자원(예컨대, 프로세서, 메모리, i/o 능력)을 포함하는 범용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방법(500)은, 제1 레벨의 입력 능력 또는 출력 능력을 가진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500)은 510에서, 제1 레벨의 입력 능력 또는 출력 능력보다 큰 제2 레벨의 입력 능력 또는 출력 능력을 가진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태블릿 컴퓨터, 모니터, 컴퓨터, 프로젝터, 또는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는 제2의 더 큰 레벨의 입력 능력 또는 출력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는, 더 큰 공간에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더 큰 공간으로부터 입력을 수용할 수 있는 더 큰 터치 감지 i/o 스크린을 갖는 태블릿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는 셀룰러 전화이고,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는 태블릿 컴퓨터이다.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는 제2의 더 큰 레벨의 입력 능력 및 출력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방법(500)은 520에서, 제1 디바이스와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 사이에 통신 링크를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통신 링크를 수립하는 단계는 예를 들면, 유선 링크 또는 무선 링크를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링크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인터페이스,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수립될 수 있다. 무선 링크는 예를 들면, 미라캐스트(Miracast) 인터페이스,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수립될 수 있다. 미라캐스트 인터페이스는, WiFi 직접 접속을 사용해서 P2P(peer-to-peer) 무선 스크린캐스팅 접속을 수립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는,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에서 단파장 마이크로파 송신을 사용해서 단거리에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방법(500)은 또한 530에서,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입력을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만 제공하도록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은 예를 들면,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 이벤트와 연관될 수 있다. 입력은 데이터, 제어 신호, 전압, 물체, 이벤트, 또는 다른 이벤트일 수 있다.
방법(500)은 또한, 540에서, 제1 디바이스로부터의 출력을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출력을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만 수용하도록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출력, 촉각 출력, 오디오 출력, 열 출력, 또는 후각 출력일 수 있다. 출력은 데이터, 제어 신호, 전압, 물체, 이벤트, 또는 다른 출력일 수 있다.
방법(500)이, 단일 태블릿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는 단일 스마트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한편, 방법(500)은 또한 다중 사용자 경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법(500)은, 제1 레벨의 입력 능력 또는 출력 능력과는 다른 제2 레벨의 입력 능력 또는 출력 능력을 가진 두 개 이상의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들과 통신 링크를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은 두 개의 상이한 태블릿들과의 링크를 수립할 수 있다. 일단 링크가 수립되면, 입력은 두 개 이상의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출력은 두 개 이상의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비디오 게임, 협업 생산성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다중 사용자 시나리오를 위한 다중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비디오 축구 게임을 고려하라. 이 게임은 스마트폰상에서 실행될 수 있고, 두 명의 상이한 플레이어들은 자기 자신들의 태블릿 컴퓨터들을 사용해서 플레이할 수 있다. 상이한 입력들은 이 두 개의 태블릿 컴퓨터들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상이한 출력들은 두 개의 태블릿 컴퓨터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500)은, 두 개 이상의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입력들을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상에서 실행되는 다중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상에서 실행되는 다중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상이한 출력들을 두 이상의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들 중 상이한 멤버들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태블릿을 사용하는 하나의 플레이어는 공격하는 축구 팀을 제어하는 것과 연관된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사용자는 방어하는 축구 팀을 제어하는 것과 연관된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두 명의 사용자들은 비디오 게임상에서 자신들의 상이한 관점들을 위한 상이한 메뉴들 또는 선택 사항들을 볼 수 있다.
도 6은 방법(500)의 다른 실시예를 예증한다. 이 실시예는 추가적인 동작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525에서, 컴포넌트화된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2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컴포넌트화된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2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은, 제2 디바이스(예컨대, 태블릿)가 소자(예컨대, 네트워크, 프로세서, 메모리)를 턴오프시키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포넌트화된 모드 동작하도록 제2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은, 입력 능력 또는 출력 능력을 제공하는 것과 연관되지 않은 회로 또는 프로세스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끄도록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방법(500)은, 전력 소모를 감소시킴으로써 종래의 시스템에 비해 향상될 수 있다. 더 적은 개수의 컴포넌트들이 제2 디바이스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므로, i/o 프로세싱은 제2 디바이스상에서 감소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액션을 예증하지만, 도 5 및 도 6에서 예증되는 다양한 액션은 실질적으로 병렬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증에 의해, 제1 프로세스는 제2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고, 제2 프로세스는 제2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을 취급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3 프로세스는 출력을 제2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3개의 프로세스들이 설명되지만,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프로세스들이 활용될 수 있다는 것 및 경량의 프로세스, 보통의 프로세스, 스레드, 및 다른 접근법이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일 예에서, 방법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머신(예컨대, 컴퓨터, 전화, 태블릿)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머신으로 하여금 방법(500 또는 600)을 포함하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또는 청구되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열거된 방법과 관련되는 실행가능 명령어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본원에서 설명되거나 청구되는 다른 예시적인 방법과 연관되는 실행가능 명령어도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방법은 상이한 방식으로 트리거(trigger)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트리거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방법은 자동으로 트리거될 수도 있다.
도 7은 예시적인 클라우드 동작 환경(700)을 예증한다. 클라우드 동작 환경(700)은 딜리버링 컴퓨팅(delivering computing), 프로세싱, 스토리지, 데이터 관리, 애플리케이션, 및 독립형 제품으로서 보다는 추상(abstract) 서비스로서의 다른 기능성을 지원한다. 서비스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로서 구현될 수도 있는 가상 서버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스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방해하지 않고 서버들 사이에서 마이그레이션(migration)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에서, 공유된 리소스(예를 들면, 컴퓨팅, 스토리지)는, 서버, 클라이언트,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상이한 네트워크들(예를 들면, 이더넷, 와이파이, 802.x,셀룰러)가 사용될 수도 있다. 클라우드와 상호작용하는 사용자는, 서비스(예컨대, 컴퓨팅, 스토리지)를 실제 제공하고 있는 디바이스의 상세(예컨대, 위치, 이름,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알아야 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웹브라우저, 씬(thin) 클라이언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또는 다른 방식으로 클라우드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도 있다.
도 7은 클라우드에 상주하는 예시적인 컴포넌트 서비스(760)를 예증한다. 컴포넌트 서비스(760)는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해 서버(702) 또는 서비스(704)에 의존할 수도 있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 저장소(706) 또는 데이터베이스(708)에 의존할 수도 있다. 단일의 서버(702), 단일의 서비스(704), 단일의 데이터 저장소(706), 및 단일의 데이터베이스(708)가 예증되지만, 서버들, 서비스들, 데이터 저장소들, 및 데이터베이스들의 다수의 인스턴스들이 클라우드(700)에 상주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컴포넌트 서비스(760)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은 클라우드에서 컴포넌트 서비스(760)에 액세스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디바이스는 컴퓨터(710), 태블릿(720), 랩톱 컴퓨터(730), 데스크톱 모니터(770), 텔레비전(760),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740), 및 모바일 디바이스(예컨대, 셀룰러 폰, 위성 폰)(750)를 포함한다. 상이한 위치들에서 상이한 디바이스들을 사용하는 상이한 사용자들은 상이한 네트워크들 또는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컴포넌트 서비스(760)에 액세스할 수도 있다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시에서, 컴포넌트 서비스(760)는 모바일 디바이스(750)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에서, 컴포넌트 서비스(760)의 부분은 모바일 디바이스(750) 상에 상주할 수 있다. 컴포넌트 서비스(760)는 예를 들면, 보조(secondary) 디스플레이상에 콘텐츠를 제시하는 동작, 보조 디스플레이상에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브라우저)을 제시하는 동작, 보조 디스플레이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동작, 또는 다른 서비스를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포넌트 서비스(760)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방법들(예컨대, 방법(500), 방법(600))의 부분들을 수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 서비스(760)는 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예컨대, 태블릿(720))으로부터 입력을 수용하고, 프로세싱하기 위해 입력을 제2 디바이스(예컨대, 랩톱 컴퓨터(730))에 제공하고, 제2 디바이스로부터 출력 - 출력은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해서 생성되었음 - 을 수신하며, 출력이 제3 디바이스(예컨대, 텔레비전(76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의 상이한 조합들은 입력, 프로세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컴포넌트 서비스(760)는, 단일 디바이스 내에서 프로세싱 파워 및 콘텐츠를 중앙집중화시키는 것과, 입력을 수신하고 출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개별 컴퓨터들보다, 우수한 i/o 능력을 가지지만 더 낮은 비용 및 전력 소모를 갖는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8은, 일반적으로 802에서 도시되는, 다양한 옵션사항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모바일 디바이스(800)를 묘사하는 시스템 도면이다. 모바일 디바이스(800) 내의 컴포넌트(802)들은 다른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지만, 예증의 용이성을 위해, 모든 연결이 도시되지는 않는다.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다양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예컨대, 셀폰, 스마트폰, 태블릿, 패블릿, 핸드헬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고, 셀룰러 또는 위성 네트워크와 같은 하나 이상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804)와의 무선 양방향 통신을 허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800)가, 우수한 입력 능력을 가진 다른 디바이스(예컨대, 태블릿, 모니터, 키보드)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갖고, 모바일 디바이스(800) 내에 프로세싱 파워, 메모리, 및 접속성 자원을 집중시킬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입력 이벤트 취급, 출력 이벤트 생성, 신호 코딩, 데이터 프로세싱, 입출력 프로세싱, 전력 제어, 또는 다른 기능을 포함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810)(예를 들면,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다른 제어 및 프로세싱 논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체제(812)는 컴포넌트(802)의 할당 및 사용량을 제어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814)을 지원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814)은, 모바일 컴퓨팅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달력, 연락처 관리자, 웹 브라우저,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비디오 게임, 영화 플레이어, 텔레비전 플레이어, 생산성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814)으로의 입력은 외부 컴포넌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814)은, 외부 컴포넌트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최고의 입력 능력을 가진 외부 컴포넌트를 식별하고, 입력을 모바일 디바이스(800)에 제공하도록 이 외부 컴포넌트를 제어할 수 있다. 유사하게,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최고의 출력 능력을 가진 외부 컴포넌트를 식별하고, 출력을 렌더링, 디스플레이,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제공하도록 외부 컴포넌트를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메모리(8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20)는 비착탈식 메모리(822) 또는 착탈식 메모리(824)를 포함할 수 있다. 비착탈식 메모리(822)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또는 다른 메모리 스토리지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착탈식 메모리(824)는, GSM 통신 시스템에서 공지되어 있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 또는 플래시 메모리, 또는 "스마트 카드"와 같은 다른 메모리 스토리지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20)는 운영체제(812) 및 애플리케이션(814)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 또는 코드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데이터는, 터치 동작 데이터, 호버 동작 데이터, 터치 및 호버 동작 데이터의 조합,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상태, 커서 데이터, 호버 제어 데이터, 호버 동작 데이터, 제어 이벤트 데이터, 웹 페이지,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파일, 비디오 데이터, 또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서버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송신되거나 이들로부터 수신될 다른 데이터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20)는 가입자 식별자, 예컨대, 인터내셔널 모바일 가입자 아이덴티티(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및 기기 식별자, 예컨대 인터내셔널 모바일 기기 식별자(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fier; IMEI)를 저장할 수 있다. 식별자는 사용자 또는 기기를 식별하기 위해 네트워크로 송신될 수 있다. 메모리(820)는, 어떻게 데스크톱 시스템을 위한 키보드가 최소 메모리를 갖는 것과 유사한 최소 메모리를, 외부 컴퍼넌트(예컨대, 특수 목적 태블릿)가 갖는 것을 허용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터치 감지형 및 호버 감지형 둘 다인 스크린(832), 마이크로폰(834), 카메라(836), 물리적 키보드(838), 또는 트랙볼(840)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830)를 지원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또한, 스피커(852) 및 디스플레이(854)를 포함하는,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출력 디바이스(850)를 지원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854)는 터지 감지형 및 호버 감지형인 i/o 인터페이스 내로 통합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미도시됨)는 (예컨대, 1차원, 2차원, 3차원) 가속도계를 포함한다. 다른 가능한 출력 디바이스들(도시되지 않음)은 압전 또는 다른 햅틱 출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디바이스들은 하나보다 많은 입출력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830)는 내츄럴 사용자 인터페이스(Natural User Interface; NUI)를 포함할 수 있다. NUI는, 마우스, 키보드, 리모콘 등과 같은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부과되는 인공적 제약이 없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와 "자연적인"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NUI 방법의 예시는, 스피치 인식, 터치 및 스타일러스 인식, (스크린 상에서의 그리고 스크린에 인접한 곳에서 둘 다) 제스처 인식, 에어 제스처(air gesture), 머리 및 눈 추적(head and eye tracking), 보이스 및 스피치, 비전, 터치, 제스처, 및 머신 지능에 의존하는 것을 포함한다. NUI의 다른 예는, 가속도계/자이로스코프를 사용한 모션 제스처 검출, 얼굴 인식, 3차원(3D) 디스플레이, 머리, 눈 및 응시(gaze) 추적, 몰입형 증강 현실(immersive augmented reality) 및 가상 현실 시스템(이들 모두는 보다 내추럴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뿐만 아니라 전기장 감지 전극(electric field sensing electrode)을 사용하여 뇌 활동을 감지하기 위한 기술(EEG(electro-encephalogram) 및 관련 방법)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특정한 예에서, 운영체제(812) 또는 애플리케이션(814)은, 보이스 커맨드를 통해 사용자가 디바이스(800)를 동작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보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로서 스피치 인식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800)는, 제2차 디스플레이상에서 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것과 연관된 터치 및 호버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과 해석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공간적 제스처를 통한 사용자 상호작용을 허용하는, 입력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모뎀(860)은 안테나(891)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필터가 사용되고 프로세서(810)는 선택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안테나 구성을 선택할 필요가 없다. 무선 모뎀(860)은 프로세서(810)와 외부 디바이스들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지원할 수 있고, 외부 디바이스들은 입력 디바이스들과 출력 디바이스들을 가질 수 있으며, 제어기 논리부(899)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되어 입력이 입력 디바이스로들부터 수신될 수 있거나 출력이 출력 디바이스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모뎀(860)은 일반적으로(generically) 나타내어진 것이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804)와 통신하기 위한 셀룰러 모뎀 및/또는 다른 무선 기반 모뎀(예를 들면, 블루투스(864) 또는 와이파이(862))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모뎀(860)은, 단일의 셀룰러 네트워크 내에서의, 셀룰러 네트워크들 사이에서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사이에서의 데이터 및 보이스 통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셀룰러 네트워크, 예컨대,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또한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소자(892)를 사용해서 국부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포트(880), 전원(882), 위성 내비게이션 시스템 수신기(884), 예컨대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 가속도계(886), 또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포트, IEEE 1394(파이어와이어) 포트, RS-232 포트, 또는 다른 포트일 수 있는 물리적 커넥터(89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증된 컴포넌트(802)는, 다른 컴포넌트가 삭제되거나 추가될 수 있기 때문에, 필수적이거나 또는 모두 포괄하는 것이 아니다.
모바일 디바이스(800)는, 모바일 디바이스(800)를 위한 그리고 외부 컴포넌트(예컨대, 덤 태블릿, 키보드, 모니터)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컴포넌트 논리부(899)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 논리부(899)는 서비스(예를 들면, 서비스(760), 도 7)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클라이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방법의 일부는 컴포넌트 논리부(899)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포넌트 논리부(899)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장치의 일부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포넌트 논리부(899)는, 디바이스(800)상에서 실행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가장 적합한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범위한 타이핑 입력을 요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컴포넌트 논리부(899)는, 우수한 타이핑 경험을 제공하는 외부 컴포넌트를 식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입력은 이 컴포넌트로부터 디바이스(800)에 지향될 수 있다. 유사하게, 컴포넌트 논리부(899)는, 디바이스(800)상에서 실행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가장 적합한 출력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속으로 움직이는 고해상도 그래픽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비디오 게임)을 위해, 컴포넌트 논리부(899)는, 우수한 시청 경험을 제공하는 외부 컴포넌트를 식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출력은 디바이스(800)로부터 컴포넌트에 지향될 수 있다.
도 9는, 향상된 입출력을 위해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장치(900)를 예증한다. 일 예시에서, 장치(900)는, 프로세서(910), 메모리(920), 셀룰러 전화 회로(950), 및 논리부들(930)의 세트를 연결시키는 물리적 인터페이스(940)를 포함한다. 논리부들의 세트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제공된 입력 능력 또는 출력 능력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논리부들(930)의 세트는, 장치(900)에 네이티브(native)한 입력 능력 또는 출력 능력보다 우수한 입력 능력 또는 출력 능력을 갖는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논리부들(930)의 세트는 또한,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수립하는 것, 또는 장치(900)와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간에 데이터 또는 제어를 전달한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논리부들의 세트는,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출력을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장치(900)의 요소는,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예증의 명확성을 위해 모든 연결들이 도시되지는 않았다.
장치(900)는, 장치(900)보다 우수한 입력 능력을 가지거나, 장치(900)보다 우수한 출력 능력을 가진, 제2 장치를 검출하는 제1 논리부(9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장치가, 장치(900)상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은 기능(예컨대, 호버 감도, 음성 제어, 햅틱 제어)을 제공하는 더 큰 입력 표면 또는 표면을 가질 때, 입력 능력은 더 우수할 수 있다. 예들 들면, 제2 디바이스가, 장치(900)보다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더 큰 출력 표면 또는 디스플레이를 가질 때, 출력 능력은 더 우수할 수 있다. 2 인치 x 4 인치인 터지 감지 i/o 표면을 가지며 인치당 X 도트들(dpi)의 해상도 - X는 숫자임 - 를 가지는 셀폰을 고려하라. 태블릿 컴퓨터는 크기가 6 인치 x 8 인치이고 2X dpi의 해상도를 갖는 터치 및 호버 감지 i/o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경험은, 셀폰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키에션을 위해 태블릿상에서 i/o를 수행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논리부(932)는, 입력을 위한 하나의 제2 장치와, 출력을 위한 다른 제2 장치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독립형 키보드가 입력을 위해 선택될 수 있고, 태블릿은 출력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장치(900)는, 입력 데이터 또는 제어를 장치(900)에 제공하도록 제2 장치를 제어하는 제2 논리부(9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논리부(934)는 또한, 제2 장치로부터 입력 데이터 또는 제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 또는 제어는, 터치 입력, 호버 입력, 가청 입력, 음성 입력, 햅틱 입력, 또는 다른 입력에 관련될 수 있다.
장치(900)는, 출력을 제2 장치에 제공하고, 출력을 제시하도록 제2 장치를 제어하는 제3 논리부(93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은, 입력 데이터 또는 제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장치는, 단지 입력 데이터 또는 제어를 제공하거나 출력을 제시할 수만 있는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출력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출력, 촉각 출력, 오디오 출력, 열 출력, 후각 출력, 또는 다른 출력과 연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900)는, 두 개 이상의 이용가능한 장치로부터 제2 장치를 선택하는 제4 논리부(9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치는, 장치(900)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입력 능력에 또는 장치(900)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출력 능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해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900)상에서 실행되는 생산성 애플리케이션은, 제4 논리부(938)로 하여금, 우수한 타이핑 경험을 제공하는 제2 장치를 선택하게 할 수는 한편, 장치(900)상에서 실행되는 비디오 게임 애플리케이션은, 제4 논리부(938)로 하여금, 우수한 고속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제2 장치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제1 논리부(832)가, 상기 입력 능력 또는 상기 출력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은 회로 또는 프로세스로의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2 장치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900)는 종래의 시스템과 비교할 때 우수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장치(900)는 단일 폰으로부터 다중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논리부(932)는, 장치(900)에 의해 제공되는 다중 사용자 경험에 참여할 수 있는 두 개 이상의 제2 장치들을 검출할 수 있다. 다중 사용자 경험은 예를 들면, 비디오 게임, 협업 생산성 세션, 또는 다중 사용자 경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논리부(934)는, 다중 사용자 경험과 연관된 사용자 특유 입력을 제공하도록 두 개 이상의 제2 장치들의 멤버들을 제어한다. 제3 논리부(936)는 또한, 두 개 이상의 제2 장치들 중 상이한 멤버들에게 사용자 특유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태블릿에서 제1 사용자는 슬라이드를 위한 그래픽을 편집할 수 있는 한편, 제2 태블릿에서 제2 사용자는 슬라이드를 위해 텍스트를 편집할 수 있다. 각 사용자는 자신의 편집을 수행하도록 자기 자신의 태블릿을 사용할 수 있다. 슬라이드 프로그램은 하나의 폰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장치(900)는 메모리(9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20)는 비착탈식 메모리 또는 착탈식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비착탈식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또는 다른 메모리 스토리지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착탈식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또는 “스마트 카드”와 같은 다른 메모리 스토리지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정보, 특징화 데이터, 오브젝트 데이터, 또는 다른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900)는 프로세서(9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예를 들면, 신호 코딩, 데이터 프로세싱, 입출력 프로세싱, 전력 제어, 또는 다른 기능을 포함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유 집적회로(ASIC), 또는 다른 제어 및 프로세싱 논리 회로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900)는, 논리부들(930)의 세트를 포함함으로 범용 컴퓨터로 변형된 범용 컴퓨터일 수 있다. 장치(900)는,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 프로세스, 및 서비스와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논리부들(930)의 세트와 연관된 기능은, 비제한적인 예를 들자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애플리케이션 특유 집적회로(ASIC), 애플리케이션 특유 표준 제품(ASSP), 시스템 온 칩 시스템(SOC), 또는 복합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CPLD)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논리 컴포넌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의 양상들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셀룰러 전화 회로, 및 논리부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셀룰러 전화 회로, 및 논리부들의 세트에 연결하기 위한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논리부들의 세트는, 이 장치보다 우수한 입력 능력 또는 이 장치보다 우수한 출력 능력을 가진 제2 장치를 검출하는 제1 논리부를 포함한다. 논리부들의 세트는 또한, 입력 데이터 또는 제어를 장치(900)에 제공하도록 제2 장치를 제어하고, 제2 장치로부터 입력 데이터 또는 제어를 수신하는 제2 논리부를 포함한다. 논리부들의 세트는 또한, 제2 장치에 출력을 제공하고 출력을 제시하도록 제2 장치를 제어하는 제3 논리부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두 개 이상의 이용가능한 장치로부터 제2 장치를 선택하는 제4 논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치는, 이 장치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입력 능력에 또는 이 장치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출력 능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해서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화된 외부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스마트폰일 수 있고, 컴포넌트화된 외부 디바이스는,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지 않는 컴포넌트화된 태블릿일 수 있다. 스마트폰은, 입력을 스마트폰에 제공하도록 태블릿을 제어할 수 있고, 스마트폰에 의해 결정된 출력을 생성하도록 태블릿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레벨의 i/o 능력을 가진 범용 컴퓨팅 디바이스상에서 수행된다. 방법은, 제1 레벨의 입력 또는 출력 능력보다 큰 제2 레벨의 입력 또는 출력 능력을 가진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단계와,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를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 통신 링크가 수립되면, 방법은,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출력을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정의들
하기에는, 본원에서 활용되는 선택된 용어의 정의를 포함한다. 정의는, 용어의 범위 내에 있는 그리고 구현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컴포넌트의 다양한 예 또는 형태를 포함한다. 예는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용어의 단수 및 복수의 형태 둘 모두가 정의 내에 있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 "한 실시예", "일 예시", 및 "한 예시"에 대한 언급은, 그렇게 설명되는 그 실시예(들) 또는 예시(들)가 특정한 특징, 구조, 특성, 성질, 요소, 또는 제한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모든 실시예 또는 예시가 그 특정한 특징, 구조, 특성, 성질, 요소 또는 제한을 반드시 포함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어구 "일 실시예에서"의 반복적인 사용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지는 않지만, 가리킬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를 지칭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전파된 신호 자체를 지칭하지는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비휘발성 매체,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하는,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비휘발성 매체는, 예를 들면, 광학 디스크, 자기 디스크, 테이프, 및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휘발성 매체는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 동적 메모리, 및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일반적인 형태는, 플로피 디스크,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다른 자기 매체,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메모리 칩 또는 카드, 메모리 스틱, 및 컴퓨터, 프로세서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가 판독할 수 있는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데이터 저장소"는,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엔티티를 가리킨다. 데이터 저장소는,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파일, 리스트, 큐, 힙(heap), 메모리, 레지스터, 및 다른 물리적 저장소일 수도 있다. 상이한 예시들에서, 데이터 저장소는 하나의 논리적 또는 물리적 엔티티 내에 상주할 수도 있거나, 두 개 이상의 논리적 또는 물리적 엔티티들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논리부"는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하드웨어, 펌웨어, 머신 상에서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 또는 기능(들)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 또는 다른 논리부, 방법, 또는 시스템으로부터 기능 또는 동작을 야기하는 것 각각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논리부는 소프트웨어 제어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산 논리부(예를 들면, ASIC),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프로그래밍된 로직 디바이스,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및 다른 물리적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논리부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게이트들의 조합, 또는 다른 회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수의 논리적 논리부들이 설명되는 경우, 다수의 논리적 논리부들을 하나의 물리적 논리부로 통합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단일의 논리적 논리부가 설명되는 경우, 그 단일의 논리부를 다수의 물리적 논리부들 사이에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서 용어 "포함한다(includes)" 또는 "포함하는(including)"이 활용되면, 그 용어가 활용시 청구항에서 전환 어휘(transitional word)로서 해석되기 때문에,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과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서 용어 "또는"이 활용되면(예를 들면, A 또는 B), "A 또는 B 또는 둘 모두"를 의미하는 것이 의도된다. "둘 모두가 아닌 A 또는 B만"을 나타내기를 본 출원인이 의도하는 경우, 용어 "둘 모두가 아닌 A 또는 B만"이 활용될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서의 용어 "또는"의 사용은, 배타적 용례가 아닌 포괄적 용례이다. Bryan A.Garner에 의한 A Dictionary of Modern Legal Usage 624 페이지(2판, 1995년)를 참조하라.
비록 본 주제가 구조적 특징 및/또는 방법론적 동작(act)에 고유한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의 청구항들에서 정의되는 특허 대상이 상기에서 설명되는 특정 특징 또는 동작으로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상술한 특정 특징 및 동작은 청구항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개시된다.

Claims (15)

  1. 제1 레벨의 입력 또는 출력 능력을 가진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벨의 입력 능력 또는 출력 능력보다 큰 제2 레벨의 입력 능력 또는 출력 능력을 가진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로 통신 링크를 수립하는 단계;
    상기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에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는 셀룰러 전화이고, 상기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는 태블릿 디바이스인 것인,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는 제2의 더 큰 레벨의 입력 능력 및 출력 능력을 가지는 것인,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입력을 상기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만 제공하도록 상기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만 출력을 수용하도록 상기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은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hover) 이벤트와 연관된 것인,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디스플레이 출력, 촉각 출력, 오디오 출력, 열 출력, 또는 후각 출력인 것인,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벨의 입력 능력 또는 출력 능력과는 다른 제2 레벨의 입력 능력 또는 출력 능력을 가진 두 개 이상의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들과 통신 링크를 수립하는 단계;
    상기 두 개 이상의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들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두 개 이상의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들에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입력을, 상기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상에서 실행되는 다중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상에 실행되는 상기 다중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상이한 출력들을, 상기 두 개 이상의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들 중 상이한 멤버(member)들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능력 또는 출력 능력을 제공하는 것과 연관되지 않은 회로 또는 프로세스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끄도록 상기 컴포넌트화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범용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0.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셀룰러 전화 회로;
    별도의 장치에 의해 제공된 입력 능력 또는 출력 능력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논리부들의 세트; 및
    상기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 상기 셀룰러 전화 회로, 및 상기 논리부들의 세트에 연결하기 위한 물리적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논리부들의 세트는,
    상기 장치보다 우수한 입력 능력 또는 상기 장치보다 우수한 출력 능력을 가진 제2 장치를 검출하는 제1 논리부;
    입력 데이터 또는 제어를 상기 장치에 제공하도록 상기 제2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데이터 또는 제어를 수신하는 제2 논리부; 및
    상기 제2 장치에 출력을 제공하고 상기 출력을 제시하도록 상기 제2 장치를 제어하는 제3 논리부
    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상기 입력 데이터 또는 제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것인,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입력 능력에 또는 상기 장치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출력 능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해서, 두 개 이상의 이용가능한 장치들 중 상기 제2 장치를 선택하는 제4 논리부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논리부는, 입력을 위해 제1의 제2 장치를 선택하고 출력을 위해 제2의 제2 장치를 선택하는 것인,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논리부는, 상기 입력 능력 또는 상기 출력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은 회로 또는 프로세스로의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2 장치를 제어하는 것인,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논리부는, 상기 장치에 의해 제공된 다중 사용자 경험에 참여할 수 있는 두 개 이상의 제2 장치들을 검출하고,
    상기 제2 논리부는, 상기 다중 사용자 경험과 연관된 사용자 특유 입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두 개 이상의 제2 장치들의 멤버들을 제어하며, 상기 제3 논리부는, 상기 두 개 이상의 제2 장치들 중 상이한 멤버들에 사용자 특유 출력을 제공하는 것인, 디바이스.
KR1020177008185A 2014-08-25 2015-08-23 폰패드 KR102279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67,501 US9699291B2 (en) 2014-08-25 2014-08-25 Phonepad
US14/467,501 2014-08-25
PCT/US2015/046445 WO2016032917A1 (en) 2014-08-25 2015-08-23 Phonep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326A true KR20170047326A (ko) 2017-05-04
KR102279097B1 KR102279097B1 (ko) 2021-07-16

Family

ID=5406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185A KR102279097B1 (ko) 2014-08-25 2015-08-23 폰패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699291B2 (ko)
EP (1) EP3186983B1 (ko)
JP (1) JP6591527B2 (ko)
KR (1) KR102279097B1 (ko)
CN (1) CN107079065A (ko)
AU (1) AU2015306878B2 (ko)
BR (1) BR112017002698A2 (ko)
CA (1) CA2955822C (ko)
MX (1) MX362669B (ko)
RU (1) RU2699236C2 (ko)
WO (1) WO201603291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6831S1 (en) 2019-02-22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D926828S1 (en) 2019-02-22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420B1 (ko) 2017-02-28 2021-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윈도우 관리 방법
KR102472614B1 (ko) * 2017-12-15 2022-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도킹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S2850280A1 (es) * 2020-02-26 2021-08-26 Univ Vigo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mejorar la experiencia de usuario utilizando capacidades de un dispositivo electrónico diferente
CN113885772B (zh) * 2021-10-08 2023-04-28 北京京航计算通讯研究所 一种输入交互设备的等效替代度量方法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6308A1 (en) * 2010-05-31 2011-12-01 Woojoon Yi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30260828A1 (en) * 2012-03-28 2013-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er for connecting two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1682B2 (en) * 2004-05-03 2009-03-31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aware auxiliary display platform and applications
KR100652747B1 (ko) * 2005-07-16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유버스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공유 방법
JP2007329768A (ja) * 2006-06-08 2007-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入力装置、通信端末および入力制御方法
CN101783834B (zh) * 2009-12-31 2014-01-0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和切换屏幕方法
WO2012046890A1 (ko) * 2010-10-06 2012-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772067B2 (ja) * 2011-03-04 2015-09-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3002547A2 (ko) * 2011-06-30 2013-01-03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US8996753B2 (en) * 2011-10-07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peripheral device location and connection
US20130174044A1 (en) * 2011-11-22 2013-07-04 Thomas Casey Hill Methods and apparatus to control presentation devices
CN103457911A (zh) * 2012-05-29 2013-12-18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信息共享方法及系统
US9049470B2 (en) 2012-07-31 2015-06-0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isplay aware transcoder source selection system
JP2014064432A (ja) * 2012-09-24 2014-04-10 Sharp Corp ワイヤレス入出力端末
CN103869882A (zh) * 2012-12-07 2014-06-18 华移联科(沈阳)技术有限公司 一种可操作手机的平板电脑
JP2014147511A (ja) * 2013-01-31 2014-08-21 Gree Inc プログラム、表示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6308A1 (en) * 2010-05-31 2011-12-01 Woojoon Yi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30260828A1 (en) * 2012-03-28 2013-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er for connecting two mobile devi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6831S1 (en) 2019-02-22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D926828S1 (en) 2019-02-22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91527B2 (ja) 2019-10-16
EP3186983B1 (en) 2018-12-26
CN107079065A (zh) 2017-08-18
EP3186983A1 (en) 2017-07-05
RU2017105805A3 (ko) 2019-03-20
RU2017105805A (ru) 2018-08-22
CA2955822C (en) 2023-01-24
US9699291B2 (en) 2017-07-04
BR112017002698A2 (pt) 2017-12-19
US20160057266A1 (en) 2016-02-25
KR102279097B1 (ko) 2021-07-16
RU2699236C2 (ru) 2019-09-04
AU2015306878A1 (en) 2017-02-09
MX2017002499A (es) 2017-09-13
MX362669B (es) 2019-01-31
AU2015306878B2 (en) 2019-01-17
JP2017528051A (ja) 2017-09-21
CA2955822A1 (en) 2016-03-03
WO2016032917A1 (en)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097B1 (ko) 폰패드
US10068134B2 (en) Identification of objects in a scene using gaze tracking techniques
US20150234468A1 (en) Hover Interactions Across Interconnected Devices
US20150199030A1 (en) Hover-Sensitive Control Of Secondary Display
US10553003B2 (en) Interactive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web picture
WO2016018809A1 (en) Mobile device input controller for secondary display
US20170351330A1 (en) Communicating Information Via A Computer-Implemented Agent
KR20160057407A (ko) 동시적 호버 및 터치 인터페이스
CN104471992A (zh) 无线连接之上的内容的能量高效传输
US10004979B2 (en) Sensor data availability from remote devices
CN106716370A (zh) 远程媒体会话的发现和控制
US10416873B2 (en) Application specific adaption of user input assignments for input devices
US9384013B2 (en) Launch surface control
US20170323220A1 (en) Modifying the Modality of a Computing Device Based Upon a User's Brain Activity
Moravapalle et al. Peek: A mobile-to-mobile remote computing protocol for smartphones and tabl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