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425A - 자동 액상 급이기 - Google Patents

자동 액상 급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425A
KR20170046425A KR1020150146751A KR20150146751A KR20170046425A KR 20170046425 A KR20170046425 A KR 20170046425A KR 1020150146751 A KR1020150146751 A KR 1020150146751A KR 20150146751 A KR20150146751 A KR 20150146751A KR 20170046425 A KR20170046425 A KR 20170046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water
mixing
discharg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1419B1 (ko
Inventor
임종훈
Original Assignee
임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훈 filed Critical 임종훈
Priority to KR1020150146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4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16Automatic devices for the distribution of liquid fodd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자돈에게 액상사료를 자동으로 급여하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액상 급이기는 물이 수용되고 상기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 사료가 수용되고 상기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 공급부, 상기 물 공급부와 상기 사료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과 상기 사료를 혼합하여 액상사료를 생성하고, 상기 액상사료를 공급하는 급이부 및 상기 물 공급부, 상기 사료 공급부 및 상기 급이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의 공급량, 상기 사료의 공급량, 상기 액상사료의 공급량, 상기 액상사료의 공급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므로, 이유자돈의 성장을 촉진시키켜 격리조기이유방식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인건비의 절감 및 양돈사업의 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액상 급이기 {automatic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액상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사료를 생성하고, 액상사료를 자돈에게 제공하는 자동 액상 급이기에 관한 것이다.
자돈(仔豚)의 이유일령은 축산기술의 발달로 인해 과거 31일 이상에서부터 30일, 21일등으로 점차 그 이유일령이 단축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모돈(母豚)으로부터 오는 질병의 수직감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격리조기이유(SEW)방식이 시도되고 있다.
한편, 어린 포유자돈을 어미로부터 이유시켜 인공적으로 포유시킬 경우에는, 어린 자돈이 고체사료를 충분히 소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 없음을 감안하여야 하고, 어미로부터 포유를 하는 자돈의 포유시간을 맞추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즉, 모돈의 포유행동과 같도록 격리된 자돈에게 인공적으로 포유시키려면, 자돈이 섭취할 수 있는 정도의 액상으로 사료를 조제한 후 하루에 최소 1시간 간격으로 24회 정도를 급여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포유작업을 인력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 매일 계속적으로 일정한 시간마다 액상사료를 조제, 급여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며, 이로인해 격리조기이유방식의 효과를 충분히 달성하지 못하여 이유자돈의 성장이 위축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자돈에 대한 상기 격리조기이유방식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의 투입과 노력, 시간 등이 막대하게 소요되기 때문에, 양돈사업의 채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56943호 (2015. 05. 2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돈에게 액상사료를 자동으로 급여하도록 한 자동 액상 급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액상 급이기는 물이 수용되고 상기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 사료가 수용되고 상기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 공급부, 상기 물 공급부와 상기 사료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과 상기 사료를 혼합하여 액상사료를 생성하고, 상기 액상사료를 공급하는 급이부 및 상기 물 공급부, 상기 사료 공급부 및 상기 급이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의 공급량, 상기 사료의 공급량, 상기 액상사료의 공급량, 상기 액상사료의 공급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물이 수용되는 물통, 상기 물통으로부터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물을 상기 물통으로 안내하는 급수관, 상기 물통으로부터 인출되는 송수관, 상기 송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물을 가열하는 온수통, 상기 온수통과 상기 급이부를 연결하는 온수관 및 상기 온수관의 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온수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액상 급이기는 상기 물통 내부 상기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 1수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액상 급이기는 상기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 공급부는 상기 사료가 수용되고 상기 급이부를 향해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료통, 상기 사료통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향해 상기 사료를 이송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액상 급이기는 상기 사료통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사료가 상기 사료통의 내벽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착방지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액상 급이기는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급이부로 이송되는 상기 사료를 분쇄하는 분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이부는 상기 물과 상기 사료가 공급되는 혼합통, 상기 혼합통 내부에 배치되는 혼합 임펠라, 상기 혼합통의 하부에 결합되는 배출통, 상기 혼합통과 상기 배출통을 연결하여 상기 혼합통 내의 상기 액상사료를 상기 배출통으로 안내하는 송출관, 상기 혼합 임펠라와 동축을 가지며 상기 배출통 내부에 배치되는 배출 임펠라 및 상기 혼합 임펠라와 상기 배출 임펠라를 회전 구동시키며, 상기 배출통에 연통되어 상기 배출통 내부의 상기 액상사료의 배출경로가 형성되는 배출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액상 급이기는 상기 물과 상기 사료의 혼합시 상기 혼합통의 외부로 상기 물과 상기 사료가 상기 혼합통의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혼합통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넘침방지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임펠라의 설치를 위해 상기 혼합통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 임펠라는 상기 관통공을 폐쇄하는 원판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혼합 임펠라의 구동 정지시, 상기 혼합통 내부에 잔류하는 상기 물과 상기 액상사료가 상기 혼합통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혼합 임펠라에 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액상 급이기는 상기 혼합통 내부 상기 액상사료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 2수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액상 급이기는 설정된 급이량, 급여시간, 비급여시간에 따른 액상사료의 급여작업이 자동화되므로, 이유자돈의 성장을 촉진시키켜 격리조기이유방식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인건비의 절감 및 양돈사업의 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액상 급이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액상 급이기의 급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액상 급이기의 제어박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액상 급이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액상 급이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액상 급이기(이하, ‘급이기’라 함.)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의 내부 일측에는 물 공급부(100)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내부 타측에는 사료 공급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사료 공급부(200)의 하측에는 급이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외벽에는 제어부(400)가 내설되는 제어박스(41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물 공급부(100)는 물통(110), 급수관(120), 송수관(130), 온수통(140), 온수관(150) 및 솔레노이드 밸브(160)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110)에는 급수관(120)이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물통(110)에 수용될 수 있다. 물통(110)에는 물통(110)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 1수위센서(170)가 설치될 수 있다. 송수관(130)은 물통(110)과, 물통(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온수통(140)을 연결한다. 따라서 물통(110)에 수용된 물은 온수통(14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온수통(140)에는 도시되지 않은 히터가 설치되며, 온수통(140)은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한다. 온수통(140)에는 온수통(140) 내부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80)가 설치될 수 있다. 온수통(140)은 온수관(150)에 의해 급이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온수통(140)의 온수는 온수관(150)을 따라 급이부(300)로 공급되는데, 솔레노이드 밸브(160)는 온수관(150)의 관로에 설치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60)는 전기신호에 의해 온수관(150)을 개폐하여, 전기신호에 따라 온수의 공급량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온수의 자동 공급 또는 자동 차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사료 공급부(200)는 사료통(210), 스크류(220) 및 회전모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료통(210)은 상방으로 개방되고, 케이스(10)에는 사료통(210)을 개폐할 수 있는 덮개(20)가 설치될 수 있다. 사료통(210)에는 급이부(300)를 향해 개방되는 개구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220)는 회전모터(230)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사료통(210) 내부의 사료가 개구부(211)를 통해 급이부(300)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사료는 물과 원활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미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사료통(210)이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된다 하더라도, 사료통(210)은 대기 중에 노출되고 케이스(10) 내부에 물 공급부(100)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료통(210) 내부에 수용되는 사료는 수분과 결합하여 사료통(210)의 내벽에 고착되거나, 덩어리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사료통(210)의 내벽에는 고착방지망(240)이 설치될 수 있다. 고착방지망(240)은 수분과 결합한 사료가 사료통(210)의 내벽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료가 사료통(210)의 내벽에 고착된다 하더라도 사용자는 고착방지망(240)을 분리하여 사료통(210)의 내벽에 고착된 사료를 손쉽게 털어낼 수 있다.
또한 개구부(211)를 향햐는 스크류(220)의 회전축의 단부에는 분쇄기(250)가 설치될 수 있다. 분쇄기(250)는 스크류(220)에 의해 급이부(300)로 이송되는 사료가 덩어리 형태로 변형된 경우, 덩어리 형태의 사료를 분쇄하여 급이부(300)로 이송되는 사료가 미분의 상태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액상 급이기는 수분에 결합되기 쉬운 환경에서 사용되는 미분의 사료가 사료통(210)의 내벽에 고착되거나, 덩어리 형태로 변형된다 하더라도, 이를 간편하게 미분 상태로 유지하여 사료가 물과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액상 급이기의 급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급이부(300)는 혼합통(310), 혼합 임펠라(320), 배출통(330), 송출관(340), 배출 임펠라(350) 및 배출펌프(360)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통(310)은 개구부(211)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가 원활하게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211)를 향해 개방되는 원통형의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혼합통(310)에는 혼합통(310) 내부 액상사료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 2수위센서(370)가 설치될 수 있다.
혼합 임펠라(320)는 혼합통(3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혼합 임펠라(320)는 혼합통(310)의 내부로 공급된 물과 사료를 혼합하여 액상사료가 생성되도록 한다. 배출통(330)은 혼합통(310)의 하부에 결합된다. 배출통(330)은 혼합통(310)과 별도의 용기로 마련되어 혼합통(3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지만, 혼합통(310)의 하부면에 별도의 하부측벽을 형성하고, 배출펌프(360)의 상단을 하부측벽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송출관(340)은 혼합통(310)과 배출통(330)을 연결한다. 혼합통(310)에서 생성된 액상사료는 송출관(340)을 통해 배출통(33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배출 임펠라(350)는 배출통(3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혼합 임펠라(320)와 배출 임펠라(350)는 동축을 가지고 배출펌프(360)에 연결될 수 있다. 배출펌프(360)는 혼합 임펠라(320)와 배출 임펠라(350)를 함께 회전 구동시킨다. 배출펌프(360)는 배출통(330)에 연통되며, 배출펌프(360)의 내부에는 배출통(330) 내부의 액상사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경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급이부(300)로부터 배출되는 액상사료는 배출펌프(360)에 연결되는 배출관(380)을 통해 자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혼합통(310)에는 온수관(150)이 연결되는데, 혼합통(3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사료에 의해 온수관(150)이 폐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온수관(150)은 혼합통(31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혼합통(310) 내부에서 생성되는 액상사료가 배출통(330)으로 원활하게 송출되도록 송출관(340)은 온수관(150)의 하측에서 혼합통(310)에 연결될 수 있다.
혼합통(310) 내부에서 혼합 임펠라(320)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액상사료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혼합통(310) 내부의 액상사료는 출렁일 수 있다. 이때, 혼합통(310) 내부에서 출렁이는 액상사료가 혼합통(310)의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혼합통(310)의 상단에는 넘침방지턱(3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 임펠라(350)와 동축을 가지고 배출펌프(360)에 연결되는 혼합 임펠라(320)를 혼합통(310)에 설치하기 위하여, 혼합통(310)의 바닥면에는 관통공(313)이 형성된다. 관통공(313)을 통해 액상사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혼합 임펠라(320)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관통공(313)을 폐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혼합 임펠라(320)에는 배수구(321)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321)는 혼합 임펠라(320)의 회전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혼합통(310) 내부에 잔류하는 물과 액상사료가 혼합통(3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관통공(313)을 폐쇄하는 혼합 임펠라(320)는 회전구동되기 때문에, 혼합 임펠라(320)에 배수구(321)가 형성된다 하더라도 액상사료가 생성되는 동안에는 액상사료가 배수구(3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는 않는다.
한편, 제어박스(4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어부(400)는 물 공급부(100), 사료 공급부(200) 및 급이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솔레노이드 밸브(160)에 연결되어 온수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온수통(140)에 연결되어 온수통(140) 내부 온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회전모터(230)에 연결되어 스크류의 회전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배출펌프(360)에 연결되어 혼합 임펠라(320)와 배출 임펠라(3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400)는 제 1수위센서(170), 제 2수위센서(370) 및 온도센서(18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 1수위센서(170)에 감지되는 물통(110) 내부 물의 수위에 따라, 사료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 2수위센서(370)에 감지되는 혼합통(310) 내부 액상사료의 수위에 따라, 자돈에게 공급되는 액상사료의 공급량과, 공급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수의 온도에 따라, 온수통(140) 내부 온수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액상 급이기의 제어박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박스(410)에는 액상사료의 급이량을 설정할 수 있는 급이량 조작버튼(421)과, 액상사료의 급이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는 급이시간 조작버튼(423)과, 물과 사료의 비율을 설정할 수 있는 급이비율 조작버튼(425)과, 액상사료가 급이되지 않는 비급여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비급여시간 조작버튼(427)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제어박스(410)에는 설정된 액상사료의 급이량을 표시하는 급이량 표시창(431)과, 설정된 액상사료의 급이시간 간격을 표시하는 급이시간 표시창(433)과, 설정된 물과 온수의 비율을 표시하는 급이비율 표시창(435)과, 설정된 액상사료가 급이되지 않는 비급여시간을 표시하는 비급여시간 표시창(437) 및 전원의 온/오프를 표시하는 전원표시등(441)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박스(410)에는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자동모드 버튼(451)과 수동모드 버튼(453)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액상 급이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는 전원표시등(441)을 통해 온/오프 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동모드를 원하는 경우, 자동모드 버튼(451)과 수동모드 버튼(453) 중 어느 자동모드 버튼(451)을 선택한다.
이어, 사용자는 제어박스(410)에 설치된 급이량 조작버튼(421), 급이시간 조작버튼(423), 급이비율 조작버튼(425), 비급여시간 조작버튼(427)을 각각 조작하여, 액상사료의 급이량, 액상사료의 급이시간 간격, 물과 사료의 비율, 액상사료가 급이되지 않는 비급여시간을 설정한다. 급이량 표시창(431), 급이시간 표시창(433), 급이비율 표시창(435), 비급여시간 표시창(437)에는 설정된 액상사료의 급이량, 설정된 액상사료의 급이시간 간격, 설정된 물과 온수의 비율, 설정된 액상사료가 급이되지 않는 비급여시간이 각각 표시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자동 급여 설정이 완료되면, 제어부(400)는 먼저 제 1수위센서(170)에 의해 감지되는 물통(110) 내부 물의 수위에 따라 사료의 공급량을 제어한다. 즉, 제 1수위센서(170)에 의해 감지되는 물통(110) 내부 물의 수위가 설정된 수용량 미만으로 감지되는 경우, 사료의 공급이 중단되고 부저음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물 부족 상태를 통보한다.
반면, 제 1수위센서(170)에 의해 감지되는 물통(110) 내부 물의 수위가 설정된 수용량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물과 사료의 공급이 시작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설정된 물과 사료의 비율과, 급이량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160), 회전모터(230) 및 배출펌프(36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급수관(120)을 통해 물통(110) 내부에 수용된 물은 송수관(130)을 따라 온수통(140)으로 공급된다. 온수통(140)은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한다. 이때, 온도센서(180)는 온수통(140) 내부 온수의 온도를 감지한다. 온도센서(180)에 의해 감지되는 온수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400)는 온수통(140)의 전원을 차단하여 물의 가열을 제한한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온수는 온수관(150)을 따라 혼합통으로 공급된다.
한편, 사료통(210) 내부에 수용된 사료는 스크류(220)의 회전에 따라 개구부(211)로 이송된다. 사료는 개구부(211)를 통해 혼합통(310)으로 공급된다. 이때, 분쇄기(250)는 혼합통(310)으로 공급되는 사료를 분쇄한다.
이와 같이, 온수와 사료가 혼합통(310)에 공급되고, 제어부(400)는 배출펌프(360)의 구동을 개시한다. 배출펌프(360)가 구동됨에 따라 혼합 임펠라(320)와 배출 임펠라(350)가 함께 회전 구동된다. 혼합 임펠라(320)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혼합통(310) 내부의 물과 사료가 혼합되어 액상사료가 생성된다. 액상사료는 송출관(340)을 따라 배출통(330)으로 공급된다. 배출통(330)으로 공급된 액상사료는 배출 임펠라(350)의 회전 구동에 의해 배출펌프(360)에 연결된 배출관(380)을 따라 자돈에게 공급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액상 급이기는 설정된 물과 사료의 비율, 설정된 급이량에 따라 액상사료의 급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은 액상사료의 자동 급여는 설정된 액상사료의 급이시간 간격(예를 들어, 분 단위 재가동 시간)에 따라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설정된 비급여시간에 따라 중단될 수 있다. 이때, 비급여시간의 기준 시간은 혼합통(310) 내부 액상사료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의 미만으로 감지된 시간을 기준으로 산출될 수 있다.
10 : 케이스 20 : 덮개
100 : 물 공급부 110 : 물통
120 : 급수관 130 : 송수관
140 : 온수통 150 : 온수관
160 : 솔레노이드 밸브 200 : 사료 공급부
210 : 사료통 220 : 스크류
230 : 회전모터 300 : 급이부
310 : 혼합통 320 : 혼합 임펠라
330 : 배출통 340 : 송출관
350 : 배출 임펠라 360 : 배출펌프
400 : 제어부 410 : 제어박스

Claims (11)

  1. 물이 수용되고 상기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
    사료가 수용되고 상기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 공급부;
    상기 물 공급부와 상기 사료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과 상기 사료를 혼합하여 액상사료를 생성하고, 상기 액상사료를 공급하는 급이부;및
    상기 물 공급부, 상기 사료 공급부 및 상기 급이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의 공급량, 상기 사료의 공급량, 상기 액상사료의 공급량, 상기 액상사료의 공급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상 급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물이 수용되는 물통;
    상기 물통으로부터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물을 상기 물통으로 안내하는 급수관;및
    상기 물통으로부터 인출되는 송수관;
    상기 송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물을 가열하는 온수통;
    상기 온수통과 상기 급이부를 연결하는 온수관;및
    상기 온수관의 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온수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상 급이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내부 상기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 1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상사료 공급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상 급이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공급부는
    상기 사료가 수용되고 상기 급이부를 향해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료통;
    상기 사료통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향해 상기 사료를 이송하는 스크류;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상 급이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통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사료가 상기 사료통의 내벽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착방지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상 급이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급이부로 이송되는 상기 사료를 분쇄하는 분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상 급이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이부는
    상기 물과 상기 사료가 공급되는 혼합통;
    상기 혼합통 내부에 배치되는 혼합 임펠라;
    상기 혼합통의 하부에 결합되는 배출통;
    상기 혼합통과 상기 배출통을 연결하여 상기 혼합통 내의 상기 액상사료를 상기 배출통으로 안내하는 송출관;
    상기 혼합 임펠라와 동축을 가지며 상기 배출통 내부에 배치되는 배출 임펠라;및
    상기 혼합 임펠라와 상기 배출 임펠라를 회전 구동시키며, 상기 배출통에 연통되어 상기 배출통 내부의 상기 액상사료의 배출경로가 형성되는 배출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상 급이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물과 상기 사료의 혼합시 상기 혼합통의 외부로 상기 물과 상기 사료가 상기 혼합통의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혼합통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넘침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상 급이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임펠라의 설치를 위해 상기 혼합통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 임펠라는 상기 관통공을 폐쇄하는 원판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혼합 임펠라의 구동 정지시, 상기 혼합통 내부에 잔류하는 상기 물과 상기 액상사료가 상기 혼합통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혼합 임펠라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상 급이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통 내부 상기 액상사료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 2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액상 급이기.
KR1020150146751A 2015-10-21 2015-10-21 자동 액상 급이기 KR101781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751A KR101781419B1 (ko) 2015-10-21 2015-10-21 자동 액상 급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751A KR101781419B1 (ko) 2015-10-21 2015-10-21 자동 액상 급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425A true KR20170046425A (ko) 2017-05-02
KR101781419B1 KR101781419B1 (ko) 2017-09-25

Family

ID=58742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751A KR101781419B1 (ko) 2015-10-21 2015-10-21 자동 액상 급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4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9350A (zh) * 2017-12-24 2018-05-01 中山市得高行知识产权中心(有限合伙) 一种畜禽养殖用饲料给食设备
CN108094245A (zh) * 2017-12-23 2018-06-01 郑州丽福爱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养殖饲料配比喂食装置
KR20190022226A (ko) * 2017-08-26 2019-03-06 이준석 액상 사료 급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356A (ko) 2019-03-28 2020-10-07 안강운 액상 자동 급이기
KR102134167B1 (ko) 2019-11-06 2020-07-15 주식회사 아이온텍 액상 자동 급이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031Y1 (ko) * 1998-08-24 2001-11-22 김강권 이유자돈용액상사료의제조및급이장치
JP4453896B2 (ja) * 2003-07-25 2010-04-21 株式会社シマノ 玉網の柄
KR101067843B1 (ko) * 2009-04-22 2011-09-27 최호정 양돈용 자동 습식 급이기 및 그 사용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226A (ko) * 2017-08-26 2019-03-06 이준석 액상 사료 급여기
CN108094245A (zh) * 2017-12-23 2018-06-01 郑州丽福爱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养殖饲料配比喂食装置
CN107969350A (zh) * 2017-12-24 2018-05-01 中山市得高行知识产权中心(有限合伙) 一种畜禽养殖用饲料给食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419B1 (ko) 2017-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419B1 (ko) 자동 액상 급이기
KR101667376B1 (ko) 어류 양식장용 사료공급장치
KR101794688B1 (ko) 습식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장치
CN204014762U (zh) 一种鱼池自动投喂机
WO2022083077A1 (zh) 饮水采食用进料桶、饮水采食一体装置及进料控制方法
KR101277590B1 (ko) 자동 사료 급이기판 물공급장치
KR200337595Y1 (ko) 액상대용유 자동급이 시스템
KR20000005160U (ko) 이유 자돈용 액상사료의 제조 및 급이장치
KR200358668Y1 (ko) 공압을 이용한 어류양식장 자동먹이공급장치
KR101465935B1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물공급장치
CN207612892U (zh) 一种畜牧养殖保温供给装置
CN109329998A (zh) 一种稻田养鱼用饲料制备的造粒装置及其使用方法
CN210695452U (zh) 一种智能化养殖用粥料系统
CN204929945U (zh) 一种液体喂料槽
KR20130119638A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이송스크류 구조
CN107027647A (zh) 一种养猪饲喂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7209241A (ja) 自動給餌装置
KR101465936B1 (ko) 자동 사료 급이기의 물공급장치
KR101794682B1 (ko) 물 보충 기능을 가진 습식 급이기의 사료와 물 공급 제어장치
KR20170067009A (ko) 사료와 발효액상의 혼합장치
CN104381153A (zh) 自动喂养装置
CN211482408U (zh) 饲料搅拌加热机
KR102112928B1 (ko) 액상사료 급여기의 물 공급 제어장치
CN103917090B (zh) 自动饲料供应基板供水装置及方法
CN215139396U (zh) 一种饲料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