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397A - 지상기기 보호 기초대 커버 - Google Patents

지상기기 보호 기초대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397A
KR20170046397A KR1020150146683A KR20150146683A KR20170046397A KR 20170046397 A KR20170046397 A KR 20170046397A KR 1020150146683 A KR1020150146683 A KR 1020150146683A KR 20150146683 A KR20150146683 A KR 20150146683A KR 20170046397 A KR20170046397 A KR 20170046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rotective
base
protecting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진
Original Assignee
김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진 filed Critical 김미진
Priority to KR1020150146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6397A/ko
Publication of KR20170046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대(1)의 외주면을 보호하면서 지상기기(2)를 안전하게 설치하는 커버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기초대(1)의 일측을 보호하는 보호면(11)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면(11)의 양끝단이 절곡되어 타측을 보호하는 보호면(13)을 구비하는 보호커버(10); 상기 보호커버(10)와 대향하게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기초대(1)의 일측과 타측을 보호하는 보호면(21)(23)을 구비하는 보호커버(20); 및 상기 보호커버(10)(20)의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하고, 보호커버(10)(20)의 측면 폭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40)을 구비하는 연장커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콘크리트 또는 블록으로 제작되는 기초대를 보호커버로 은폐하여 외관상 경관을 단정하고 미려하게 조성하고, 기초대가 외부충격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파손된 경우 파손부위를 은폐함은 물론, 대칭하는 보호커버의 양측으로 장공을 구비한 연장커버를 결합하는 것으로 폭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지상기기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상기기 보호 기초대 커버{Base cover for ground utility cabinet}
본 발명은 지상기기 보호 기초대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또는 블록으로 제작되는 기초대를 보호커버로 은폐하여 외관상 경관을 단정하고 미려하게 조성하고, 기초대가 외부충격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파손된 경우 파손부위를 은폐함은 물론, 대칭하는 보호커버의 양측으로 장공을 구비한 연장커버를 결합하는 것으로 폭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지상기기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지상기기 보호 기초대 커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력은 송전선과 변전소를 거쳐서 공급된 후, 최종적인 수용가 또는 전력사용시설로 공급되기 위해 이들 수용가나 전력사용시설에 근접 설치된 수변전설비를 거치게 된다. 이러한 수변전설비는 주로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상기기를 통해 제공된다. 종래의 전력공급용 지상기기는 주로 콘크리트 또는 블록으로 조적하여 내부가 빈 중공 사각형으로 시공한 기초대 위에 전력설비가 내장된 금속재 함체를 탑재하고, 함체에서 나온 전력선들은 이 기초대의 중공부를 통해 지중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지상기기의 기초대는 도로변에 설치되어 투박한 콘크리트 또는 블록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시각적으로 주변 도로시설물과 조화를 이루지 못할 뿐만 아니라, 운행하는 차량이나 물체 등에 부딪혀서 파손되기도 하고, 파손된 지상기기가 그대로 방치되는 경우에 가로경관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아울러, 종래의 기상기기는 기초대 위에 아무런 고정수단 없이 단순히 탑재된 상태로 놓이므로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쓰러지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지상기기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지상기기에 관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그 지상기기의 함체의 규격도 줄어드는 등 규격의 변동이 생기는데, 이 경우 기초대 내부의 중공부나 그 지저분한 바닥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서, 이를 임시방편적 수단으로 덮어버리는 경우에는 전력선에 누수 등의 문제가 생기고 미관상으로도 바람직스럽지 못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초대의 외주면을 금속판으로 감싸주는 작업을 하고 있다.
선행문헌의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20832호의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지중으로 연결되는 중공부(11)가 형성되며 콘크리트 또는 블록으로 조적되어 지상에 시공되는 사각형 형상의 기초대(10)와, 이 기초대(10)의 상면보다 작은 저면을 가지며 이 기초대(10) 위에 탑재되며 전력설비가 내장되는 함체(12)로 이루어진 지상기기에 있어서, 상기 함체(12)가 삽입되는 개구부(22)가 형성되며 상기 기초대(10)의 함체(12) 외부로 노출된 둘레부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부(23)와, 상기 기초대(10)의 측벽을 덮는 측면커버부(24)와, 상기 개구부(22)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함체(12)의 하단부 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부재(25,27,29)를 포함하며, 일체 또는 분할 제작되어 접합되는 지상기기 보호 기초대 커버(20)를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더라도, 동일한 크기의 지상기기(함체)를 기초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점이 없으나, 다양한 크기의 지상기기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기초대 커버의 규격이 맞지 않아 효과 및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20832호 “지상기기 보호 기초대 커버”(등록일자: 2006. 08. 30.)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또는 블록으로 제작되는 기초대를 보호커버로 은폐하여 외관상 경관을 단정하고 미려하게 조성하고, 기초대가 외부충격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파손된 경우 파손부위를 은폐함은 물론, 대칭하는 보호커버의 양측으로 장공을 구비한 연장커버를 결합하는 것으로 폭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지상기기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지상기기 보호 기초대 커버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초대의 외주면을 보호하면서 지상기기를 안전하게 설치하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기초대의 일측을 보호하는 보호면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면의 양끝단이 절곡되어 타측을 보호하는 보호면을 구비하는 보호커버; 상기 보호커버와 대향하게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기초대의 일측과 타측을 보호하는 보호면을 구비하는 보호커버; 및 상기 보호커버의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하고, 보호커버의 측면 폭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연장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보호커버 기초대의 외주면을 보호하면서 지상기기와 결합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조절수단은 연장커버 상에 보호커버의 측면 폭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지상기기를 설치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장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상기기 보호 기초대 커버는 콘크리트 또는 블록으로 제작되는 기초대를 보호커버로 은폐하여 외관상 경관을 단정하고 미려하게 조성하고, 기초대가 외부충격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파손된 경우 파손부위를 은폐함은 물론, 대칭하는 보호커버의 양측으로 장공을 구비한 연장커버를 결합하는 것으로 폭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지상기기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대 커버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단면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초대(1)의 외주면을 보호하면서 지상기기(2)를 안전하게 설치하는 커버에 관련되며, 보호커버(10)(20), 연장커버(30), 조절수단(40)을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10)는 상기 기초대(1)의 일측을 보호하는 보호면(11)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면(11)의 양끝단이 절곡되어 타측을 보호하는 보호면(13)을 구비한다. 보호커버(10)는 콘크리트 또는 블록으로 이루어진 기초대(1)의 일측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면(11)을 구비하는데, 이때 기초대(1)의 일측은 지상기기(2)와 접하는 기초대(1)를 기준하여 4개의 측면 중 하나와, 이와 결합하는 상부면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호커버(10) 또한 상술한 기초대(1)의 일측(4개의 측면 중 하나의 측면, 이와 결합하는 상부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부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ㄱ'형상의 보호면(11)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보호커버(10)는 보호면(11)의 양끝단이 절곡되어 인접하는 기초대(1)의 타측 일부를 보호하도록 보호면(13)을 구비한다.
이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보호커버(10)는 기초대(1)의 상부면과 측면을 동시에 보호하기 위하여 'ㄱ'형상의 보호면(11)을 구비하고, 이러한 보호면(11)의 양쪽 끝단으로는 보호면(11)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호면(13)을 구비한다. 보호커버(10)는 전체적으로는 'ㄷ'형상으로 하나의 보호커버(10)로 구성되어 있지만 기초대(1)의 4개의 측면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 일측과 타측 일부를 보호하도록 보호면(11)의 양끝단이 절곡되는 형상을 띄고 있기에 본 발명에서는 보호커버(10)의 구성을 보호면(11)(13)으로 나누어 구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20)는 상기 보호커버(10)와 대향하게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기초대(1)의 일측과 타측을 보호하는 보호면(21)(23)을 구비한다. 보호커버(20)는 상술한 보호커버(10)와 대향하게 위치하도록 설치하는데, 본 발명의 기초대 커버에는 2개의 보호커버(10)(20)가 서로 마주하게 위치하도록 구성하므로 구성 또한 보호커버(10)와 마찬가지로 일측과 타측 일부를 보호하도록 보호면(21)(23)을 구비한다. 후술한 보호커버(20)의 보호면(21)(23) 또한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보호커버(20)로 이루어지지만, 상술한 기초대(1)의 4개의 측면 중 일측과 타측 일부를 감싸면서 보호하도록 절곡 형성하는 것이기에 보호면(21)(23)으로 나누어 구분한다.
정리하면, 상기 보호커버(10)(20)는 동일한 구성 및 형상을 가진 것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대향하게 위치하여 설치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보호커버(10)(20)는 기초대(1)의 외주면을 보호하면서 지상기기(2)와 결합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공(15)(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호커버(10)(20)는 기초대(1)와 지상기기(2)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확하게는 기초대(1)의 상부면과 4개의 측면인 외주면을 감싸 보호하는 역할과 함께 지상기기(2)까지 결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보호커버(10)(20)를 기초대(1)의 외주면에 설치하여 외관상 경관을 단정하고 미려하게 조성하고, 기초대(1)가 외부충격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파손된 경우 파손부위를 은폐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지상기기(2)를 보호커버(10)(20)와 기초대(1)까지 전체적으로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보호커버(10)(20) 상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공(15)(25)을 구비한다. 지상기기(2)의 하부에 구비된 결합부(2')를 보호커버(10)(20)의 결합공(15)(25)에 결합하면서 기초대(1)까지 결합하는 것으로 완전 결합고정을 할 수 있게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장커버(30)는 상기 보호커버(10)(20)의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하고, 보호커버(10)(20)의 측면 폭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40)을 구비한다. 연장커버(30)는 상술한 보호커버(10)(20)의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하는데, 이때 보호커버(10)(20)의 사이는 기초대(1)의 타측 일부를 보호하도록 구비하는 보호면(13)(23)의 사이를 의미한다. 즉, 연장커버(30)는 보호커버(10)(20)의 보호면(13)(23) 사이를 결합하는 것으로, 기초대(1)의 타측 일부를 보호하는 보호면(13)(23)과 연계하여 기초대(1)의 타측 전체를 보호하도록 구비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으로 연장커버(30) 상에 조절수단(40)을 구비하는데, 이는 보호커버(10)(20)가 연장커버(30)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보호커버(10)(20)의 측면 폭 길이를 조절하여 기초대(1)나 지상기기(2)의 규격에 따라 폭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조절수단(40)은 연장커버(30)상에 보호커버(10)(20)의 측면 폭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지상기기(2)를 설치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장공(4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절수단(40)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연장커버(30)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41)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술한 보호커버(10)(20)의 측면 일부를 보호하는 보호면(13)(23)과 결합하면서 전체적으로 보호커버(10)(20)의 측면 폭길이를 연장 및 축소가 가능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사용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콘크리트나 블록으로 이루어진 기초대(1)의 일측에는 보호커버(10)(20)의 보호면(11)(21)을 구비하여 기초대의 일측 외주면을 보호하고, 보호면(11)(21)의 양끝단이 절곡되는 보호면(13)(23)은 기초대(1)의 타측 일부를 보호하도록 구비한다. 전체적으로 보호커버(10)(20)는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진 'ㄷ'형상을 띄고 있는데, 기초대(1)의 일측과 타측 일부를 보호한다는 목적 하에 보호커버(10)(20)를 일측에 구비하는 보호면(11)(21)과 타측 일부를 보호하는 보호면(13)(23)으로 구분하면서 보호커버(10)(20)와 결합하는 연장커버(30)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일측의 보호면(11)(21)과 타측의 보호면(13)(23)으로 구분한 것이다.
보호커버(10)(20)의 타측 일부를 보호하는 보호면(13)(23) 사이에 연장커버(30)를 결합하는 것으로 기초대(1)의 타측 전체를 감싸면서 기초대(1)의 4개의 측면과 상부면을 모두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보호커버(10)(20)와 연장커버(30)의 결합 구조를 기초대(1)의 일측과 타측의 규격에 맞게 설치하는데, 기초대(1) 및 기초대(1)와 결합하는 지상기기(1)의 규격에 따라 보호커버(10)(20)의 측면 폭 길이를 연장, 축소할 수 있도록 조절수단(40)을 구비한다. 조절수단(40)은 연장커버(30)상에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장공(41)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호커버(10)(20)와 연장커버(30)의 결합시 측면의 폭 길이를 일정길이 내외로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기초대(1) 및 지상기기(2)를 설치하기 용이한 수단이다.
상기 구성으로 결합된 기초대(1)상에 지상기기(2)를 설치하는데, 이때 지상기기(2)는 기초대(1)와 보호커버(10)(20)와의 완전결합을 위하여 보호커버(10)(20)상에 구비하는 결합공(15)(25)으로 지상기기(2)의 결합부(2')가 통과하여 기초대(1)까지 연결하여 지상기기(2), 보호커버(10)(20), 기초대(1)가 모두 결합,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또는 블록으로 제작되는 기초대를 보호커버로 은폐하여 외관상 경관을 단정하고 미려하게 조성하고, 기초대가 외부충격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파손된 경우 파손부위를 은폐함은 물론, 대칭하는 보호커버의 양측으로 장공을 구비한 연장커버를 결합하는 것으로 폭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지상기기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기초대 2 : 지상기기
2' : 결합부 10 : 보호커버
11 : 보호면 13 : 보호면
15 : 결합공 20 : 보호커버
21 : 보호면 23 : 보호면
25 : 결합공 30 : 연장커버
40 : 조절수단 41 : 장공

Claims (3)

  1. 기초대(1)의 외주면을 보호하면서 지상기기(2)를 안전하게 설치하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기초대(1)의 일측을 보호하는 보호면(11)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면(11)의 양끝단이 절곡되어 타측을 보호하는 보호면(13)을 구비하는 보호커버(10);
    상기 보호커버(10)와 대향하게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기초대(1)의 일측과 타측을 보호하는 보호면(21)(23)을 구비하는 보호커버(20); 및
    상기 보호커버(10)(20)의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하고, 보호커버(10)(20)의 측면 폭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40)을 구비하는 연장커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기기 보호 기초대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0)(20)는 기초대(1)의 외주면을 보호하면서 지상기기(2)와 결합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공(15)(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기기 보호 기초대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40)은 연장커버(30)상에 보호커버(10)(20)의 측면 폭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지상기기(2)를 설치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장공(4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기기 보호 기초대 커버.
KR1020150146683A 2015-10-21 2015-10-21 지상기기 보호 기초대 커버 KR20170046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683A KR20170046397A (ko) 2015-10-21 2015-10-21 지상기기 보호 기초대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683A KR20170046397A (ko) 2015-10-21 2015-10-21 지상기기 보호 기초대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397A true KR20170046397A (ko) 2017-05-02

Family

ID=58742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683A KR20170046397A (ko) 2015-10-21 2015-10-21 지상기기 보호 기초대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63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1163A (zh) * 2020-04-25 2020-08-14 德锐电气有限公司 一种一二次融合成套环网箱
KR102353334B1 (ko) * 2021-04-12 2022-01-19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지중배선용 지상기기함 결합구
CN114583586A (zh) * 2022-04-28 2022-06-03 四川聚诚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多维安装的市政电力配电箱及安装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1163A (zh) * 2020-04-25 2020-08-14 德锐电气有限公司 一种一二次融合成套环网箱
KR102353334B1 (ko) * 2021-04-12 2022-01-19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지중배선용 지상기기함 결합구
CN114583586A (zh) * 2022-04-28 2022-06-03 四川聚诚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多维安装的市政电力配电箱及安装方法
CN114583586B (zh) * 2022-04-28 2022-08-19 四川聚诚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多维安装的市政电力配电箱及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1122239D0 (en) Photovoltaic sleeve for street lights and the like
KR20170046397A (ko) 지상기기 보호 기초대 커버
FR3014608B1 (fr) Cadre de montage pour l'encastrement d'une boite electrique dans une paroi et ensemble comprenant un tel cadre de montage et une boite electrique
KR100620832B1 (ko) 지상기기 보호 기초대 커버
KR101445847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101028146B1 (ko) 송전변전 배전 피뢰기의 마운팅 브라켓 높이조절 장치
KR101352421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CN105720353A (zh) 一种无线网络覆盖井盖的天线结构及其安装方法
KR20120002838U (ko) 단일형 내장완철 피뢰기 취부용 금구
KR100991839B1 (ko) 캐비닛용 절연 연결 장치
CN204214917U (zh) 电表箱结构
JP5389961B2 (ja) 端子取付板
KR20180095256A (ko) 지지대가 일체로 결합된 가로수 보호판
KR200408996Y1 (ko) 고전압 개폐기의 외함 조립구조
CN206741220U (zh) 一种智能手表
CN205786794U (zh) 一种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全光纤电流互感器
CN205016921U (zh) 一种耐张瓷瓶保护遮蔽罩
CN204834476U (zh) 拼接式隔离开关底座
KR101484883B1 (ko) 가로등 점멸기의 배전함용 케이블 고정부재 및 그 고정부재가 구성된 가로등 점멸기의 배전함
KR200481011Y1 (ko) 부가 보호 구조를 갖는 스위칭 장치
KR200474871Y1 (ko) 케이블 지지 장치
KR200363570Y1 (ko) 연약지반의 고압 전기 케이블 지중선관 보호용폴리에틸렌 보호틀 설치구조
KR200457895Y1 (ko) 관로 설치용 케이블 보호구
KR100868320B1 (ko) 배전용 전주.
KR101036897B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