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327A - 회전형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회전형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327A
KR20170046327A KR1020150146486A KR20150146486A KR20170046327A KR 20170046327 A KR20170046327 A KR 20170046327A KR 1020150146486 A KR1020150146486 A KR 1020150146486A KR 20150146486 A KR20150146486 A KR 20150146486A KR 20170046327 A KR20170046327 A KR 20170046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umidifying
water
cas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8278B1 (ko
Inventor
배준형
강상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6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278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가습필터는, 일정부분이 물에 잠겨 회전하게 구비되는 필터케이스;와, 상기 필터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가습필터;와, 상기 필터케이스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필터케이스와 결합 또는 분리되게 제공되며, 상기 필터케이스에 결합 시에 상기 가습필터를 상기 필터케이스에 고정하는 필터고정커버; 및 상기 필터고정커버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필터케이스의 회전시에 물을 퍼올려 상기 가습필터에 공급하는 수차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형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ROTATING HUMIDIFICATION FILTER AND HUMIDIF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회전형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공기청정기는 다양한 필터들을 적용하여 오염된 공기나 먼지 등을 걸러주어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청정기 중 가습공기청정기는 공기 청정 기능과 가습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장치로서, 다수의 필터들에 의해 청정화된 공기가 물을 머금은 가습필터를 통과하면서 습한 공기로 변하는 것을 이용한 장치이다.
이중, 특히 디스크 방식의 가습공기청정기는 가습수조에 가습필터의 일부가 잠겨 회전하게 구비되는데, 상기 가습필터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연결된 회전축을 상기 가습필터에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가습필터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습필터에 있어서, 가습수조에 잠긴 가장자리 부분은 쉽게 젖지만, 가습수조와 멀리 배치되는 중심부분은 잘 젖지 않아 쉽게 마르는 경향이 있어 가습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회전하는 송풍팬에 의해 가습공기청정기의 하우징 내부로 흡입되면, 다수의 필터에 의해 공기중의 이물질이 여과된다. 그리고, 이물질이 여과된 공기가 회전하는 가습필터를 지나서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공기 청정 기능 및 가습 기능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습필터로 사용될 수 있는 직물필터는 기체의 투과율이 좋고, 미세입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두께가 두꺼울수록 수분을 많이 함유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습량이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직물필터를 가습필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필터케이스에 상기 직물필터를 고정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별도의 후크(Hook)나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직물필터를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반대로 직물필터를 필터케이스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후크 또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다시 분리함으로써 직물필터를 분리해내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직물필터의 고정방법 또는 분리방법은 사용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의 상승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가습량 및 통기성이 증대된 회전형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습필터의 고정 및 분리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고정 및 분리작업이 간편한 회전형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생산이 용이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회전형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전형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가습필터는, 일정부분이 물에 잠겨 회전하게 구비되는 필터케이스;와, 상기 필터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가습필터;와, 상기 필터케이스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필터케이스와 결합 또는 분리되게 제공되며, 상기 필터케이스에 결합 시에 상기 가습필터를 상기 필터케이스에 고정하는 필터고정커버; 및 상기 필터고정커버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필터케이스의 회전시에 물을 퍼올려 상기 가습필터에 공급하는 수차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고정커버는, 상기 필터케이스와 결합되는 바디프레임;과, 상기 바디프레임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필터케이스의 회전 시에 상기 가습수조수단에서 물을 퍼올려 상기 가습필터에 공급하는 수차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케이스는, 상기 바디프레임과 접하는 면에서 일정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고정커버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외주에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필터케이스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필터케이스의 원주를 따라 회전하는 돌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차유닛은, 상기 바디프레임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고,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습수조수단 내부의 물을 받아 내부에 저장하는 물받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받이부재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원주에 접하게 배치되고, 내부공간을 구비하여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바디프레임의 중심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 내부의 물을 상기 가습필터에 공급하도록 상기 가습필터를 향하는 면이 개방되어 제공되는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부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가습필터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받이부재의 상기 공급부는, 상기 물받이부재의 상기 개구부가 구비되는 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에서 개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개의 물받이부재는, 상기 개구부들이 상기 바디프레임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바디프레임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습수조수단 내부의 물을 퍼올리게 제공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케이스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회전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상부케이스; 및 외주면이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면에 접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에 겹쳐지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 또는 분리되게 제공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의 본 발명은 상기의 회전형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흡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수단;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물을 저장하는 가습수조수단;과, 상기 가습수조수단에 일측이 잠겨 회전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가습필터를 포함하는 상기의 회전형 가습필터;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형 가습필터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형 가습필터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습필터의 가습량이 증대되고, 통기성이 증대되어 가습필터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습필터의 고정 및 분리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작업의 간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고정 및 분리작업에 필요한 부품 또는 장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가습필터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가습필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가습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가습필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고정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고정커버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고,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해 익히 알려진 요소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업자에 의해 특정 구성요소가 추가, 변경, 삭제된 다른 형태로도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과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가습필터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100)의 요부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가습필터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100)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수단(미도시)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흡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수단(미도시)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물(W)을 저장하는 가습수조수단(120)과, 상기 가습수조수단에 일측이 잠겨 회전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공기로부터 입자를 걸러주는 가습필터를 포함하는 회전형 가습필터(130)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형 가습필터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형 가습필터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형 가습필터(130)는 내부에 가습필터를 결합하거나, 내부에서 가습필터를 분리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회전 이동을 통하여 공기로부터 입자를 걸러주는 가습필터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데, 회전 이동을 통해 상기 가습필터를 결합하거나 분리하게 되면 사출물의 탄성을 이용할 때보다 제품의 파손 위험이 적을 뿐만 아니라, 결합 또는 분리 시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습필터의 구체적인 결합방법 또는 분리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가습수조수단(120)에는 도시되지 않은 가습물통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가습물통에는 일정량의 물이 저장될 수 있음에 따라, 가습수조수단(120)에 적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회전형 가습필터(130)를 가습수조수단(120) 내에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형 가습필터(130)의 외주에는 기어 등의 부품을 연계되어 상기 구동수단(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형 가습필터(130)의 중심에는 회전축(도 4의 151)의 일측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가습수조수단(120) 내에서 상기 회전형 가습필터를 지지하며, 상기 회전형 가습필터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의 타측은 가습수조수단(1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회전형 가습필터(13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회전축의 외측과 상기 회전형 가습필터(130)의 내측 사이에는 베어링부재(미도시) 등이 결합될 수 있으나, 이는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용 가능한 사항이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가습필터(130)의 정면도이다.
회전형 가습필터(130)는 선술한 가습수조수단에 일측이 잠겨 회전하게 구비되는 필터케이스(131)와, 상기 필터케이스에 결합되고, 공기 중의 입자를 걸러내는 가습필터(132) 및 필터케이스(131)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필터케이스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필터케이스와 결합 또는 분리되게 제공되며, 필터케이스(131)에 결합 시에 상기 가습필터(132)를 필터케이스(131)에 고정하는 필터고정커버(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습필터(132)는 직물필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물필터는 일예로써, 더블라셀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더블라셀 소재는 통기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오염이 잘 되지 않도록 다단계의 화학처리를 거치므로 필터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소재일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는 사항이다.
이와 같이 가습필터(132)를 직물필터로 구비하면 기체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미세입자를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물필터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보다 많은 수분을 함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가습필터(132)를 필터케이스(131)에 결합하기 위해 필터케이스 위에 가습필터(132)를 놓고, 그 위에 필터고정커버(133)를 놓을 수 있다. 이는,상기 필터케이스, 상기 가습필터 및 상기 필터고정커버에 형성되는 결합부(150)에 의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습필터(132)를 결합할 때에는, 일예로 상기 필터고정커버(13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가습필터(132)를 분리할 때에는 상기 필터고정커버(13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는, 가습필터(132)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함을 의미할 뿐, 그 이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되게 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분리되게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필터고정커버(133)는 상기 필터케이스(131)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케이스(131)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는 바디프레임(134)과, 상기 바디프레임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필터케이스(131)의 회전 시에 상기 가습수조수단에서 물을 퍼올려 가습필터(132)에 공급하는 수차유닛(도 5의 14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프레임(134)은 결합부(150)로부터 외주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디프레임(134)의 뼈대역할을 하는 보조프레임(134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디프레임(134) 및 보조프레임(134a)에 의하여 가습필터(132)의 전체 영역이 덮이게 되므로, 상기 가습필터를 필터케이스(131) 상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프레임(134)은 필터케이스(131)에 접촉하여 회전하고, 상기 가습필터(132)를 고정할 수 있도록 외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돌출부재(133a)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케이스(131)는 도 3 및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외주면에 복수개의 회전가이드홈(135a)을 포함하는 상부케이스(135) 및 외주면이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면에 접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에 겹쳐지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 또는 분리되게 제공되는 하부케이스(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케이스(131)를 분리형으로 구비하면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었을 때, 이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어 부품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는 사항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보이는 상기 필터고정커버(133)의 돌출부재(133a)는 필터케이스(131)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며, 필터케이스(131)에서 상기 바디프레임(134) 방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회전스토퍼(131a)를 만나면 회전이 정지된다.
이때, 도 2에서 보이듯이,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필터고정커버(133) 방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상부가이드돌기(131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필터고정커버(133)가 필터케이스(131)를 따라 회전할 때, 상기 상부가이드돌기(131b)와 상기 필터고정커버의 돌출부재(133a)와 맞물려 회전하게 되면서 가이드 레일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고정커버(133)와 필터케이스(131)가 어긋나지 않게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재(133a)와 회전스토퍼(131a)가 만나서 상기 바디프레임(134)의 회전이 정지되는 도 2의 상태가 될 때, 결합부(150)는 이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락(Lock)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7에서 보이듯이, 필터고정커버(133)에 구비되는 관통홀(133b)에는 상부케이스(135)를 관통한 회전축(151)의 일측이 삽입된다. 이때, 회전축(151)의 외경에는 일정 높이 돌출된 걸림턱(153)이 구비된다.
그리고, 필터고정커버(133)의 관통홀(133b)의 외주에는 상기 걸림턱(153)에 대응되는 결합홈(152)이 구비된다. 이에, 사용자는 상부케이스(135)에 필터고정커버(133)를 결합할 때에는 결합홈(152)에 상기 걸림턱(153)을 통과시키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홈(152)과 걸림턱(153)이 상호 어긋나면서 락(Lock) 상태가 된다.
그러면, 도 2에서 보이듯이, 필터케이스(131)와 필터고정커버(133)가 상호 결합되어 고정되면서, 그 사이에 있는 가습필터(132)가 고정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수조수단으로부터 물을 퍼올려 가습필터(132)에 공급함으로써, 가습필터(132)를 적시는 수차유닛(도 5의 140)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차유닛은 필터고정커버(133)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ABS, HDPE, PP, LDPE, 실리콘, 고무 등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는 사항이다. 이와 같이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하게 되면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에서 보이듯이, 수차유닛(도 5의 140)은 바디프레임(134)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고, 개구부(141a)를 통해 상기 가습수조수단 내부의 물을 받아 내부에 저장하는 물받이부재(141)를 포함한다.
상기 물받이부재(141)는 바디프레임(134)의 원주에 접하게 배치되고, 내부공간(142a)을 구비하여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142) 및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바디프레임의 중심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 내부의 물을 가습필터(132)에 공급하도록 상기 가습필터를 향하는 면이 개방되어 제공되는 공급부(도 4의 1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물받이부재의 저장부를 바디프레임(134)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하여 돌출부(142b)를 형성하면 내부공간(142a)이 커지고, 이에 따라 보다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141a)는 바디프레임(134)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공급부(143)가 가습필터(132)에 대면하는 평면에 형성되었을 때, 상기 공급부가 형성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평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부가 형성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평면 중에서, 바디프레임(134)이 회전하는 방향에서 직교하는 평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는 상기 바디프레임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41a)는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바디프레임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개구부는 도 6에서 보이는 개구부(141a)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디프레임이 회전하는 방향은 선술한 필터케이스(131)가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도 5에서 보이듯이, 상기 바디프레임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저장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공급부(143)는 가습필터에 대면하는 면이 개방되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필터고정커버(13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저장부의 내부공간(142a)으로부터 낙하하는 물을 가습필터(132)에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급부는 상기 가습필터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고, 이는 도 5에 보이는 경사부(143a)와 같다. 그러면,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바디프레임이 회전하여 상기 저장부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물이 낙하하는 시점이 될 때, 불필요한 곳으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가습필터(132)에 보다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습필터 전체영역에 물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가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고정커버를 회전하여 필터케이스에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가습필터를 신속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케이스의 손상을 방지하여 관련 부품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10 : 하우징 120 : 가습수조수단
130 : 회전형 가습필터 131 : 필터케이스
131a : 회전스토퍼 132 : 가습필터
133 : 필터고정커버 133a : 돌출부재
134 : 바디프레임 135 : 상부케이스
136 : 하부케이스 140 : 수차유닛
141 : 물받이부재 142 : 저장부
143 : 공급부 150 : 결합부

Claims (10)

  1. 일정부분이 물에 잠겨 회전하게 구비되는 필터케이스;
    상기 필터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가습필터;
    상기 필터케이스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필터케이스와 결합 또는 분리되게 제공되며, 상기 필터케이스에 결합 시에 상기 가습필터를 상기 필터케이스에 고정하는 필터고정커버; 및
    상기 필터고정커버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필터케이스의 회전시에 물을 퍼올려 상기 가습필터에 공급하는 수차유닛;
    을 포함하는 회전형 가습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고정커버는,
    상기 필터케이스와 결합되는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필터케이스의 회전 시에 상기 가습수조수단에서 물을 퍼올려 상기 가습필터에 공급하는 수차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가습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는,
    상기 바디프레임과 접하는 면에서 일정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고정커버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외주에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필터케이스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필터케이스의 원주를 따라 회전하는 돌출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가습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차유닛은,
    상기 바디프레임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고,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습수조수단 내부의 물을 받아 내부에 저장하는 물받이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가습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재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원주에 접하게 배치되고, 내부공간을 구비하여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바디프레임의 중심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 내부의 물을 상기 가습필터에 공급하도록 상기 가습필터를 향하는 면이 개방되어 제공되는 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가습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가습필터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가습필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재의 상기 공급부는,
    상기 물받이부재의 상기 개구부가 구비되는 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에서 개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가습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물받이부재는,
    상기 개구부들이 상기 바디프레임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바디프레임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습수조수단 내부의 물을 퍼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가습필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회전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상부케이스; 및
    외주면이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면에 접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에 겹쳐지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 또는 분리되게 제공되는 하부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가습필터.
  10.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수단;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흡입된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수단;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물을 저장하는 가습수조수단;
    상기 가습수조수단에 일측이 잠겨 회전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가습필터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회전형 가습필터;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형 가습필터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형 가습필터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1020150146486A 2015-10-21 2015-10-21 회전형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102448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486A KR102448278B1 (ko) 2015-10-21 2015-10-21 회전형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486A KR102448278B1 (ko) 2015-10-21 2015-10-21 회전형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327A true KR20170046327A (ko) 2017-05-02
KR102448278B1 KR102448278B1 (ko) 2022-09-28

Family

ID=58742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486A KR102448278B1 (ko) 2015-10-21 2015-10-21 회전형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2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1536A (zh) * 2017-05-09 2017-07-07 陈麒如 一种通风式空气净化机
JP2021055862A (ja) * 2019-09-27 2021-04-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湿装置
WO2023281921A1 (ja) * 2021-07-06 2023-01-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湿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5033A (ja) * 2003-10-23 2004-02-12 Hitachi Hometec Ltd 加湿器
JP2010117061A (ja) * 2008-11-12 2010-05-27 Panasonic Corp 加湿装置および加湿機能付空気清浄装置
JP2012032058A (ja) * 2010-07-29 2012-02-16 Fujitsu General Ltd 加湿装置
KR101212682B1 (ko) * 2010-12-23 2012-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30016029A (ko) * 2011-08-04 2013-02-14 코웨이 주식회사 수차 및 수차가 구비된 가습장치
KR20140078939A (ko) * 2012-12-18 2014-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화식 가습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5033A (ja) * 2003-10-23 2004-02-12 Hitachi Hometec Ltd 加湿器
JP2010117061A (ja) * 2008-11-12 2010-05-27 Panasonic Corp 加湿装置および加湿機能付空気清浄装置
JP2012032058A (ja) * 2010-07-29 2012-02-16 Fujitsu General Ltd 加湿装置
KR101212682B1 (ko) * 2010-12-23 2012-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30016029A (ko) * 2011-08-04 2013-02-14 코웨이 주식회사 수차 및 수차가 구비된 가습장치
KR20140078939A (ko) * 2012-12-18 2014-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화식 가습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1536A (zh) * 2017-05-09 2017-07-07 陈麒如 一种通风式空气净化机
JP2021055862A (ja) * 2019-09-27 2021-04-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湿装置
WO2023281921A1 (ja) * 2021-07-06 2023-01-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278B1 (ko) 202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8122B2 (ja) 空気清浄機
KR102384474B1 (ko) 기화식 가습기
US9341385B2 (en) Evaporative humidifier
KR102349165B1 (ko) 필터 어셈블리
KR102438130B1 (ko) 공기청정기
KR101906341B1 (ko) 공기청정기
KR20170046327A (ko) 회전형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20110090266A (ko) 자동 청소 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1303629B1 (ko) 가습공기청정기
JP2006022977A (ja) 空気清浄機
JPH01168315A (ja) 空気清浄器
KR102007014B1 (ko) 방향성을 갖는 습식 공기청정기
KR102443770B1 (ko) 회전형 가습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102206326B1 (ko) 가습형 공기 청정기
KR101468969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2170681B1 (ko) 내부 세척이 용이한 공기청정기
KR101295162B1 (ko) 가습 공기 청정기
KR101307842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어셈블리 핸들
KR100805670B1 (ko) 공기청정기
CN208680128U (zh) 一种炭黑成品粉末除尘装置
KR20180047974A (ko) 가습청정기
KR101795421B1 (ko) 가습 필터를 이용한 가습 장치
JP6081639B2 (ja) 加湿装置
KR101607805B1 (ko) 습식형 공기청정기
KR20170005921A (ko) 직물필터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