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870A - 에스크로우 장치 - Google Patents

에스크로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870A
KR20170045870A KR1020150145910A KR20150145910A KR20170045870A KR 20170045870 A KR20170045870 A KR 20170045870A KR 1020150145910 A KR1020150145910 A KR 1020150145910A KR 20150145910 A KR20150145910 A KR 20150145910A KR 20170045870 A KR20170045870 A KR 20170045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ressing
closing
unit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7968B1 (ko
Inventor
이춘우
장상환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5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9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45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G07D11/008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에스크로우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에스크로우 장치는, 유가문서가 수용되며, 개구부가 형성되는 유가문서수용부와, 유가문서수용부에 수용된 유가문서를 개구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유가문서수용부에 수용된 유가문서를 배출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와, 가압부와 개폐부에 연결되어, 가압부와 개폐부를 이동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스크로우 장치{ESCROW APPARATUS}
본 발명은 에스크로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부와 개폐부의 동작을 연계시켜 장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에스크로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스크로우(escrow) 장치는 ATM(Automated Teller Machine)이나 Recycler, 입금기 등의 유가문서(지폐, 수표, 상품권, 카지노 티켓, 어음, 유가 증권 등)를 계수하여 수납하는 기기들에 있어서, 계수 후에 사용자에게 계수된 유가문서의 수납과 반납의 의사를 물어보는 동안 유가문서를 임시수납하고, 사용자가 유가문서의 수납을 지시하는 경우, 임시 수납된 유가문서를 적재부에 전달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종래의 에스크로우 장치는 유가문서수용부에 수용된 유가문서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유가문서수용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별도로 제어하므로 장치의 구성 및 제어가 복잡해진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1287호(2013.01.30 공개, 발명의 명칭: 현금 및 수표 번들 입금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압부와, 개폐부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고, 장치의 구성 및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에스크로우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는: 유가문서가 수용되며, 개구부가 형성되는 유가문서수용부; 상기 유가문서수용부에 수용된 유가문서를 상기 개구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상기 유가문서수용부에 수용된 유가문서를 상기 배출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가압부와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와 상기 개폐부를 이동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연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동부에 의하여 회전되는 가압지지부; 및 상기 가압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압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부 측으로 이동하여 유가문서를 가압하는 가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지지부는, 상기 연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동부에 의하여 회전되는 가압지지회전축; 상기 가압지지회전축과 상기 가압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지지편; 및 상기 가압지지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지지편을 탄성 지지하는 가압지지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판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지지부에 대한 상기 가압판의 회전을 제한하는 가압회전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회전제한부는, 상기 가압지지회전축과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한회전축; 및 상기 제한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판에 형성되는 가압판장홀부에 끼워져 상기 가압판이 상기 가압지지편에 대하여 회전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가압회전제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개폐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연동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동구동부는,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연결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에 편심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연동구동부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에 형성되는 연동부결합홀부에 끼워져 상기 개폐부를 이동시키는 개폐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는 유가문서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의 작동을 연동시키는 구조로 설계되어, 제어가 용이하고, 제작 단가 및 중량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에서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에서 가압부와 연결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에서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연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에서 개구부가 개방되고 개폐삽입돌기가 연동부결합2홀부에 진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에서 개구부가 개방되고 개폐삽입돌기가 연동부결합2홀부에 진입된 상태에서 연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에서 개구부가 개방되고 개폐삽입돌기가 연동부결합2홀부를 따라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에서 개구부가 개방되고 개폐삽입돌기가 연동부결합2홀부를 따라 이동된 상태에서 연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에서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1)는 유가문서수용부(100), 배출부(200), 가압부(300), 개폐부(400) 및 연동부(500)를 포함하여, ATM이나 Recycler, 입금기 등의 유가문서를 계수하여 수납하는 기기들에 있어서, 계수 후에 사용자에게 계수된 유가문서의 수납여부를 확인하는 동안 유가문서를 임시 수용하고, 유가문서의 수납 지시 시, 수용된 유가문서를 적재부(미도시)로 이송한다.
유가문서수용부(100)는 내측으로 유가문서가 수용되며 하측에 개구부(11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가문서수용부(100)는 대략 평행하게 구비되며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바디부(10) 사이에 위치하며, 스풀(30)에서 전달받은 유가문서를 수용한다.
배출부(200)는 유가문서수용부(100)에 수용된 유가문서를 마찰시켜 개구부(110)로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부(200)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돌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배출부(200)는 배출돌기가 유가문서에 접한 상태에서 회전되는 방식으로 유가문서를 개구부(110) 측으로 이송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에서 가압부와 연결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가압부(300)는 유가문서수용부(100)에 수용된 유가문서를 배출부(200) 측으로 가압하여 유가문서를 배출부(200) 측으로 밀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300)는 가압지지부(310) 및 가압판(330)을 포함한다.
가압지지부(310)는 연동부(500)에 결합되어, 연동부(500)에 의하여 회전됨에 따라 가압판(330)을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지지부(310)는 가압지지회전축(311), 가압지지편(313) 및 가압지지탄성부(315)를 포함한다.
가압지지회전축(311)은 양단부가 바디부(10)를 관통하여 연동부(500)에 볼팅, 끼움, 리벳팅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며, 연동부(500)의 작동 시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지지회전축(311)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대략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압지지편(31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압지지편(313)은 가압지지회전축(311)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방식으로 가압지지회전축(311)과 결합되며, 일단부가 가압판(3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압지지회전축(311)이 회전력을 전달받아 가압판(330)을 이동시킨다.
가압지지탄성부(315)는 가압지지회전축(311)에 결합되며, 가압지지편(313)을 탄성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지지탄성부(315)는 예컨대 코일형상의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가압지지회전축(311)이 삽입되며, 일단부가 가압지지편(313)에 걸리도록 구비되어, 가압지지회전축(311)에 대한 가압지지편(313)의 회전을 제한한다.
가압지지탄성부(315)가 가압지지편(313)을 탄성 지지하므로, 가압지지회전축(311)의 회전력이 가압지지편(313)에 전달되도록 하여 가압지지편(313)에 결합된 가압판(330)이 이동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가압지지편(313)의 이동에 따라 가압판(330)이 유가문서를 가압하는 힘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 탄성 변형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가압지지탄성부(315)는 가압지지편(313)을 회전시키는 연동부(500) 등에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장치가 파손되거나 유가문서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가문서를 배출부(200)에 밀착하는 힘을 유지하여 유가문서가 배출부(200)에 의하여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가압판(330)은 가압지지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압지지부(310)의 회전에 따라 배출부(200) 측으로 이동하여 유가문서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판(330)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폭 방향으로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유가문서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300)는 가압회전제한부(350)를 더 포함한다. 가압회전제한부(350)는 가압판(330)에 결합되어, 가압지지부(310)에 대하여 가압판(330)이 회전되는 정도를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회전제한부(350)는 제한회전축(351) 및 가압회전제한프레임(353)을 포함한다.
제한회전축(351)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대략 봉 형상으로 회전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가압지지회전축(311)과 이격되게 위치하며 양단부가 바디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한회전축(351)은 가압지지회전축(311)과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여 가압회전제한프레임(353)과 함께 회전되거나, 가압회전제한프레임(35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압회전제한프레임(353)은 일단부가 제한회전축(351)에 결합되며, 가압판(330)에 형성되는 가압판장홀부(333)에 끼워져, 가압판(330)이 가압지지편(313)에 대하여 회전되는 정도를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판장홀부(333)는 가압판(330)이 가압지지편(313)과 결합되는 가압판회전홀부(331)를 기준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가압판(330)이 유가문서를 가압하거나, 자중에 의하여 가압판회전홀부(331)를 중심으로 가압판(33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가압판(330)은 대기위치, 즉 배출부(200)에서 최대 이격된 상태에서는 시계방향(도 3 기준)으로 회전되어, 가이드부(50)를 따라 유가문서수용부(100)에 진입되는 유가문서와의 간섭을 방지하여 유가문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가압지지편(313)의 회전에 따라 유가문서를 배출부(200) 측으로 가압하는 경우에는 반시계방향(도 3 기준)으로 회전되어 유가문서와 접하는 면적을 증대시켜 유가문서를 넓은 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여, 유가문서의 파손을 방지하고, 유가문서의 정렬을 양호하게 한다.
개폐부(400)는 개구부(110)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부(400)는 개구부(110)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개구부(110)를 개폐하는 커버부(410)와, 커버부(41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연동부(500)와 결합되는 연동부결합부(4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커버부(410)는 연동부(500)의 이동에 따라 연동부결합부(430)가 이동하면, 연동부(500)와 결합된 커버부(410)가 개폐부(400)를 개폐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에서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연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연동부결합부(430)에는 연동부(500)의 개폐삽입돌기(513)가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연동부결합홀부(43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동부결합홀부(431)는 연동부결합1홀부(432)와 연동부결합2홀부(434)를 포함한다.
연동부결합1홀부(432)는 가압판(330)이 배출부(200)에서 최대 이격된 상태에서 개폐삽입돌기(513)가 끼워지는 위치에 해당하며, 커버부(410)의 회전중심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도 3 참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에서 개구부가 개방되고 개폐삽입돌기가 연동부결합2홀부에 진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에서 개구부가 개방되고 개폐삽입돌기가 연동부결합2홀부에 진입된 상태에서 연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연동부결합2홀부(434)는 연동부결합1홀부(432)에서 연결되며, 개구부(110)가 개방되도록 연동부결합부(430)가 회전된 위치에서, 가압지지회전축(311)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결프레임(510)이 회전될 때, 개폐삽입돌기(513)가 연동부결합부(430)를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연동부결합2홀부(434)를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즉, 구동부(531)에 전원이 인가되어 연결프레임(510)의 개폐삽입돌기(513)가 가압지지회전축(311)을 기준으로 회전되면, 개폐삽입돌기(513)가 연동부결합1홀부(4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연동부결합2홀부(434)로 진입하며, 연동부결합부(430)와 커버부(4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개구부(110)를 개방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에서 개구부가 개방되고 개폐삽입돌기가 연동부결합2홀부를 따라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에서 개구부가 개방되고 개폐삽입돌기가 연동부결합2홀부를 따라 이동된 상태에서 연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또한, 개폐삽입돌기(513)가 연동부결합2홀부(434)에 진입되어 개구부(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구동부(531)에 전원이 인가되어 연결프레임(510)이 더욱 회전되면, 개폐삽입돌기(513)는 연동부결합부(430)를 회전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연동부결합2홀부(434)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커버부(410)가 개구부(110)를 개방한 상태로 가압판(330)이 유가문서를 배출부(200) 측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연동부(500)는 가압부(300)와 개폐부(400)에 연결되어 가압부(300)와 개폐부(400)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연동부(500)는 연결프레임(510) 및 연동구동부(530)를 포함한다.
연결프레임(510)은 가압부(300)와 개폐부(400)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프레임(510)은 연결편(511) 및 개폐삽입돌기(513)를 포함한다.
연결편(511)은 연동구동부(530)와 가압부(300)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편(511)은 일단부가 연동구동부(5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압지지회전축(31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연결편(511)은 연동구동부(530)에 의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으면 가압지지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개폐삽입돌기(513)는 연결편(511)에 돌출 형성되고, 연동부결합홀부(431)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연동부결합부(430)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삽입돌기(513)는 연결편(511)의 회전에 따라 연동부결합부(430)와 함께 커버부(410)를 회전시켜 개구부(110)를 개방하고, 더욱 회전되면 연동부결합2홀부(434)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버부(41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연동구동부(530)는 연결프레임(510)을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연동구동부(530)는 구동부(531) 및 연결부(533)를 포함한다. 구동부(531)는 바디부(10)에 결합되며,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등을 포함하여 회전된다.
연결부(533)는 양단부가 각각 연결프레임(510) 및 구동부(531)에 편심 결합되어, 구동부(531)의 회전에 따라 연결프레임(510)을 이동시켜 연결프레임(510)이 가압지지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에스크로우 장치(1)는 위치측정부(600)를 포함한다. 위치측정부(600)는 구동부(531)의 일측에 위치하여, 구동부(531)의 회전 정도를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측정부(600)는 구동부(531)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하나 이상 배열되어, 구동부(531)에서 돌출된 구동부돌출편(531a)의 이동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구동부(531)의 회전정도를 측정, 제어부 등에서 구동부(531)의 위치를 기초로 구동부(53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구동부(531)의 회전위치는 가압판(330)이 배출부(200)에서 최대 이격된 상태인 대기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구동부돌출편(531a)이 제1측정부(610)에 상에 위치하고(도 3 참조), 가압판(330)이 회동하여 유가문서를 가압하며, 동시에 개폐삽입돌기(513)가 연동부결합2홀부(434)에 진입하여 개구부(110)를 개방한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구동부돌출편(531a)이 제2측정부(630) 상에 위치한다(도 6 참조).
또한, 가압판(330)이 배출부(200) 측으로 최대한 접근하고, 개폐삽입돌기(513)가 연동부결합2홀부(434)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구동부돌출편(531a)이 제3측정부(650) 상에 위치한다(도 8 참조).
이에 따라 제어부는 구동부돌출편(531a)이 위치한 측정부(610, 630, 650)를 기준으로 가압판(330)의 위치, 커버부(410)가 개구부(110)를 개방하였는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가 구동부(531)를 제어하여 구동부돌출편(531a)을 제1측정부(610) 상에 위치하도록 하면, 가압판(330)은 배출부(200)에서 최대 이격되므로, 가이드부(50)를 따라 진입되는 유가문서가 가압판(33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구동부돌출편(531a)이 제1측정부(610) 상에 위치하므로 개구부(110)는 커버부(410)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유가문서가 개구부(110)를 통해 적재부(미도시) 등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사용자가 유가문서수용부(100)에 수용된 유가문서의 수납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는 구동부(531)를 작동시켜 구동부돌출편(531a)이 제2측정부(630)를 지나 제3측정부(650) 상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구동부돌출편(531a)이 제1측정부(610)에서 제2측정부(63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연결편(511)은 가압지지회전축(311)과 함께 회전되며, 이러한 가압지지회전축(311)의 회전에 따라 가압판(330)이 유가문서를 배출부(200)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한, 연결편(511)에 결합된 개폐삽입돌기(513)가 회전됨에 따라 연동부결합부(430) 및 커버부(410)가 회전되어 개구부(110)가 개방된다.
구동부돌출편(531a)이 제2측정부(630)에서 제3측정부(650)로 이동되면, 연결편(511)은 더욱 회전되어 가압지지회전축(311)을 회전시키며, 유가문서를 배출부(200) 측으로 더욱 가압하여 유가문서가 개구부(11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에도 유가문서와 배출부(200)의 접촉을 유지시킨다.
구동부돌출편(531a)이 제2측정부(630)에서 제3측정부(650)로 이동되는 과정에 개폐삽입돌기(513) 역시 이동되지만, 개폐삽입돌기(513)는 연동부결합2홀부(4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뿐 연동부결합부(430)를 회전시키지 않기 때문에 커버부(410)는 개구부(110)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우 장치(1)는 유가문서를 가압하는 가압부(300)와, 개구부(110)를 개폐하는 개폐부(400)의 작동을 연동시켜 장치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고, 전기모터 등의 구동부(531)를 단일 구성으로 적용함으로써 제작 단가, 중량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에스크로우 장치 10: 바디부
30: 스풀 50: 가이드부
100: 유가문서수용부 110: 개구부
200: 배출부
300: 가압부 310: 가압지지부
311: 가압지지회전축 313: 가압지지편
315: 가압지지탄성부 330: 가압판
331: 가압판회전홀부 333: 가압판장홀부
350: 가압회전제한부 351: 제한회전축
353: 가압회전제한프레임
400: 개폐부 410: 커버부
430: 연동부결합부 431: 연동부결합홀부
432: 연동부결합1홀부 434: 연동부결합2홀부
500: 연동부 510: 연결프레임
511: 연결편 513: 개폐삽입돌기
530: 연동구동부 531: 구동부
531a: 구동부돌출편 533: 연결부
600: 위치측정부 610: 제1측정부
630: 제2측정부 650: 제3측정부

Claims (8)

  1. 유가문서가 수용되며, 개구부가 형성되는 유가문서수용부;
    상기 유가문서수용부에 수용된 유가문서를 상기 개구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상기 유가문서수용부에 수용된 유가문서를 상기 배출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가압부와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와 상기 개폐부를 이동시키는 연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크로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연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동부에 의하여 회전되는 가압지지부; 및
    상기 가압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압지지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부 측으로 이동하여 유가문서를 가압하는 가압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크로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지지부는,
    상기 연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동부에 의하여 회전되는 가압지지회전축;
    상기 가압지지회전축과 상기 가압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지지편; 및
    상기 가압지지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지지편을 탄성 지지하는 가압지지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크로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판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지지부에 대한 상기 가압판의 회전을 제한하는 가압회전제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크로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회전제한부는,
    상기 가압지지회전축과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한회전축; 및
    상기 제한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판에 형성되는 가압판장홀부에 끼워져 상기 가압판이 상기 가압지지편에 대하여 회전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가압회전제한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크로우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가압부와 상기 개폐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연동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크로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구동부는,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연결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에 편심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크로우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연동구동부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에 형성되는 연동부결합홀부에 끼워져 상기 개폐부를 이동시키는 개폐삽입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크로우 장치.
KR1020150145910A 2015-10-20 2015-10-20 에스크로우 장치 KR102407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910A KR102407968B1 (ko) 2015-10-20 2015-10-20 에스크로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910A KR102407968B1 (ko) 2015-10-20 2015-10-20 에스크로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870A true KR20170045870A (ko) 2017-04-28
KR102407968B1 KR102407968B1 (ko) 2022-06-14

Family

ID=5870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910A KR102407968B1 (ko) 2015-10-20 2015-10-20 에스크로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9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568B1 (ko) * 2005-09-30 2007-03-23 엘지엔시스(주) 매체 임시집적장치
JP2010198253A (ja) * 2009-02-25 2010-09-09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取扱装置
KR20110012950A (ko) * 2009-07-31 2011-02-09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잔류매체회수장치
JP2011180993A (ja) * 2010-03-03 2011-09-15 Laurel Machinery Co Ltd 紙幣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568B1 (ko) * 2005-09-30 2007-03-23 엘지엔시스(주) 매체 임시집적장치
JP2010198253A (ja) * 2009-02-25 2010-09-09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取扱装置
KR20110012950A (ko) * 2009-07-31 2011-02-09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잔류매체회수장치
JP2011180993A (ja) * 2010-03-03 2011-09-15 Laurel Machinery Co Ltd 紙幣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968B1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2401B2 (en) ATM equipped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rotation of stack roller
KR910009307B1 (ko) 지폐수납장치
US20120261876A1 (en) Device for handling banknotes
EP1659081A1 (en) Bill handling machine and bill storage unit
RU263319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рки подлинности документов и укладки их в пачки
EP1396822B1 (en) A driving unit of a storing unit for an automatic note receiving storing unit
EP2053566B1 (en) A banknote stacker
KR20170045870A (ko) 에스크로우 장치
JP2005206353A (ja) 紙幣収納装置における紙幣移動装置
EP1553531B1 (en) Media pickup apparatus for media dispenser
US7708273B2 (en)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US9745093B2 (en) 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a transport container with notes of pecuniary value
US20190340863A1 (en) Value Note Cassette
KR20020050692A (ko) 프린터용 클램쉘 장치
US8540143B2 (en) Cassette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KR0130494B1 (ko) 지폐수납장치
WO2016103927A1 (ja) 紙幣処理装置
KR20010015172A (ko)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폐 입출금기
JP5119386B2 (ja) 紙幣収納装置における紙幣移動装置
KR100618273B1 (ko) 스택가이드 및 스택롤러가 회피되는 리싸이클박스
KR102377915B1 (ko) 지폐 처리 장치
JP4411777B2 (ja) 紙幣識別機の紙幣収納装置
KR102312025B1 (ko) 지폐 처리 장치
JP2014209377A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KR20170044944A (ko) 에스크로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