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986A -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986A
KR20170044986A KR1020150144776A KR20150144776A KR20170044986A KR 20170044986 A KR20170044986 A KR 20170044986A KR 1020150144776 A KR1020150144776 A KR 1020150144776A KR 20150144776 A KR20150144776 A KR 20150144776A KR 20170044986 A KR20170044986 A KR 20170044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be block
concrete cube
clamp
concret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규
양성영
나경웅
이종섭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4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4986A/ko
Publication of KR20170044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큐브 블록을 철거할 때 쉽고 빠르게 인양할 수 있는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은 철거 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면서 콘크리트 큐브 블록을 인양 가능한 상태로 구속하는 클램프를 운송수단 등을 이용하여 해당 장소로 이송하는 1단계; 상기 클램프를 운송수단 등에 설치된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하강시키면서 인양 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에 근접되도록 유도하는 제2단계; 상기 클램프를 인양 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에 고정 설치하는 제3단계; 상기 클램프를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상승시켜 콘크리트 큐브 블록을 인양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LIFTING METHOD FOR CONCRETE CUBE BLOCK}
본 발명은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큐브 블록을 철거할 때 쉽고 빠르게 인양할 수 있는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파제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큐브 블록(Concrete Cube Block)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은 도 1에서와 같이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의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서 홈(11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큐브 블록(100)을 해저의 바닥면으로부터 대략 2층 정도 쌓아 올려 적층구조의 방파제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구축된 방파제 구조물은 강한 태풍이나 파도 등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무너질 수 있는데, 그러면 파손되거나 무너진 큐브 블록을 포함해 기존에 설치된 큐브 블록(100)을 철거한 후 새로운 콘크리트 큐브 블록을 설치해야 한다.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을 철거하려면 해상 크레인과 같은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인양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철거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 외측면에 공구를 이용하여 천공작업을 실시한 후, 천공된 구멍에 강봉을 삽입하고 여기에 크레인의 와이어를 걸고 크레인으로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을 인양하여 철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콘크리트 큐브 블록의 천공작업 및 강봉 삽입 작업은 최소한 2m 이상의 자유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지만 콘크리트 큐브 블록은 적층구조 이므로 콘크리트 큐브 블록들 사이는 밀착되어 있으므로 모든 면에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
둘째, 인양용 강봉 삽입을 위한 콘크리트 큐브 블록 천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콘크리트 큐브 블록의 인양시간이 길어진다.
셋째, 인양용 강봉이 삽입된 콘크리트 큐브 블록의 구멍에 에폭시를 충진하여 강봉을 고정하게 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수중에서 에폭시가 잘 고정되지 않아 작업이 어렵다.
넷째, 콘크리트 큐브 블록의 자중이 상당히 크므로 이를 인양할 때 강봉이 휘어지는 것과 같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작업 안정성 확보가 어려워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578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큐브 블록을 철거할 때 쉽고 빠르게 인양할 수 있는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큐브 블록을 철거할 때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은 철거 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면서 콘크리트 큐브 블록을 인양 가능한 상태로 구속하는 클램프를 운송수단 등을 이용하여 해당 장소로 이송하는 1단계; 상기 클램프를 운송수단 등에 설치된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하강시키면서 인양 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에 근접되도록 유도하는 제2단계; 상기 클램프를 인양 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에 고정 설치하는 제3단계; 상기 클램프를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상승시켜 콘크리트 큐브 블록을 인양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2단계에서는 인양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이 수중에 있을 경우 잠수사의 유도에 의하여 인양장치를 작동하여 클램프를 유도한다.
상기 제3단계에서는 인양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의 상부 쪽에서 공정을 수행하여 클램프를 설치한다.
상기 제4단계가 완료된 후 인양장치에서 클램프를 탈착하지 않고 콘크리트 큐브 블록을 분리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은 콘크리트 큐브 블록의 상부에서 클램프로 클램핑 하여 인양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큐브 블록의 천공작업이 필요 없어 인양작업을 쉽고 간단하고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인양작업이 수중에서 이루어질 경우 더욱 효율적인 인양작업이 가능하므로 종래에 비하여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로 콘크리트 큐브 블록을 견고하게 지지시켜 인양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콘크리트 큐브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공정에 따라서 콘크리트 큐브 블록을 인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의 공정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공정에 따라서 콘크리트 큐브 블록을 인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태풍 등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설치된 위치에서 이탈된 방파제 구조물인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을 인양하기 위하여 먼저, 도 3a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큐브 블록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면서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을 인양 가능한 상태로 구속하는 클램프(200)를 인양 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이 있는 장소로 운송수단 등을 이용하여 이송하는 1단계(S1)를 행한다.
클램프(200)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중량물인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을 인양할 때 인양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면서, 또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을 견고하게 붙잡아 구속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클램프(200)는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예로서 2개의 프레임이 X자 형태로 힌지 고정되고, 각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연장되어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에 긴밀하게 면 접촉되어 구속하는 클램핑 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클램프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을 인양할 때 이를 견고하게 붙잡아 구속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 클램프(200)에는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을 인양할 때 이를 더욱 견고하게 붙잡아 구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지지력 강화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지지력 강화수단은 건설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압잭 또는 스크루 잭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클램프(200)를 운반하는 운송수단은 바지선(300)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바지선(300)에는 클램프(200) 및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을 인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인양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 인양장치는 크레인(400)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램프 이송단계(S1)가 완료된 다음에는 도 3b에서와 같이 클램프(200)를 바지선(300)에 설치된 인양장치인 크레인(400)을 이용하여 하강시키면서 인양 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에 근접되도록 유도하는 제2단계(S2)를 행한다.
상기 제2단계(S2)에서는 인양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이 수중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제2단계(S2)를 행할 때 잠수사(500)의 유도에 의하여 크레인(400)을 운전하여 클램프(200)를 근접시키면 보다 정확한 위치로 클램프(200)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 유도를 행하는 제2단계(S2)를 행하여 크레인(400)에 와이어를 풀면서 클램프(200)를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이 위치한 부분으로 유도하게 되는데, 이때 클램프(200)의 클램핑 부재가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의 홈(100)의 선단부 위치하도록 유도하면 된다.
이와 같은 제2단계(S2)가 완료된 후, 도 3c에서와 같이 크레인(400)의 와이어를 조금 더 풀어 클램프(200)의 클램핑 부재가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의 홈(11)에 완전히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클램프(200)를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에 고정 설치하는 제3단계(S3)를 행한다.
제3단계(S3)에서는 클램프(20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된 클램핑 부재들이 그 위치에 있도록 붙잡아 두거나 고정한 상태에서, 클램프(200)를 크레인()으로 조금 인상시키면 클램프()의 양쪽 단부에 위치한 클램핑 부재들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의 홈(110)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클램프(200)를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에 구속시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200)의 구속된 상태를 더욱 튼튼하게 보강하기 위하여 유압잭 또는 스크루 잭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력 강화수단을 이용하여 클램프(200)의 클램핑 부재들이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의 홈(110)에 더욱 강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작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3단계(S3) 공정을 행할 때 작업자는 인양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의 상부 쪽에서 클램프(200)를 설치할 수 있는데, 그러면 별도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지 않고서도 작업이 가능하고, 또 쉽게 작업할 수 있다. 즉,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의 측면 쪽에서 작업할 필요가 없어 측면 작업공간이 존재하지 않아도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단계(S3) 공정이 완료되면, 클램프(200)를 크레인(400)을 이용하여 상승시켜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을 인양하는 제4단계(S4)를 행한다.
이때 잠수사(500)의 신호에 의하여 크레인(400)을 작동하여 클램프(200)를 인상시키면 클램프(200)에 구속된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이 같이 인양되는데, 이렇게 인양된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은 바지선(300)에 올려놓으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제4단계(S4) 공정을 수행할 때 잠수사(500)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한 다음 크레인(400)으로 인양신호를 보내는 것이 안전하다.
이렇게 하나의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이 인양되면 잠수사(500)는 그 다음 인양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을 인양하기 위하여 다음 작업을 대기한다.
이렇게 제4단계(S4)의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3단계(S3)의 역순으로 클램프(200)의 구속된 상태를 해제시키면 콘크리트 큐브 블록(100)은 클램프(200)에서 구속 해제되면서 인양이 완료된다.
이때 클램프(200)는 크레인(400)에서 탈착하지 않고 크레인(400)에 연결된 그 상태에서, 다시 상기에서 설명한 각 단계별 공정을 동일하게 행하여 그 다음 인양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을 인양하면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100: 콘크리트 큐브 블록 110: 장착홈
200: 클램프 300: 바지선
400: 크레인 500: 잠수사

Claims (4)

  1. 철거 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면서 콘크리트 큐브 블록을 인양 가능한 상태로 구속하는 클램프를 운송수단 등을 이용하여 해당 장소로 이송하는 1단계;
    상기 클램프를 운송수단 등에 설치된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하강시키면서 인양 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에 근접되도록 유도하는 제2단계;
    상기 클램프를 인양 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에 고정 설치하는 제3단계;
    상기 클램프를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상승시켜 콘크리트 큐브 블록을 인양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는 인양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이 수중에 있을 경우 잠수사의 유도를 받으며 인양장치를 작동하여 클램프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는 인양대상 콘크리트 큐브 블록의 상부 쪽에서 공정을 수행하여 클램프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가 완료된 후 인양장치에서 클램프를 탈착하지 않고 콘크리트 큐브 블록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
KR1020150144776A 2015-10-16 2015-10-16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 KR20170044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776A KR20170044986A (ko) 2015-10-16 2015-10-16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776A KR20170044986A (ko) 2015-10-16 2015-10-16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986A true KR20170044986A (ko) 2017-04-26

Family

ID=58704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776A KR20170044986A (ko) 2015-10-16 2015-10-16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49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8968A1 (de) * 2021-05-31 2022-12-07 ThyssenKrupp Marine Systems GmbH Vorrichtung zur sicheren bergung und transport von kampfmitteln, insbesondere von unter wasser gefundenen kampfmittel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8968A1 (de) * 2021-05-31 2022-12-07 ThyssenKrupp Marine Systems GmbH Vorrichtung zur sicheren bergung und transport von kampfmitteln, insbesondere von unter wasser gefundenen kampfmittel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702B1 (ko) 캔틸레버 시스템 및 사용 방법
US7306404B2 (en) Device and a method for well intervention
US20150034327A1 (en) Drilling system having slot for underwater storage of bop assembly
WO2017072535A1 (en) Tubular systems and methods
CN105442518A (zh) 一种桁架式液压插销升降装置
JP6587900B2 (ja) 既設杭撤去方法およびその方法の実施に用いられる杭切断装置
JP6309400B2 (ja) 杭撤去方法
US29590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marine drilling rigs
KR20170044986A (ko) 콘크리트 큐브 블록 인양방법
KR102052354B1 (ko)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및 이를 이용한 해상구조물 설치방법
JP2011162990A (ja) 山留用h型鋼材の引抜装置
JP2019035268A (ja) 杭抜き機の杭キャップ、及び杭キャップを用いた杭抜き工法
JP6709087B2 (ja) 杭圧入引抜機
WO20141621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casing
US10472791B1 (en) Removing submerged piles of offshore production platforms
US20120305316A1 (en) Earth drill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844286B1 (ko) 열교환기 번들 교환 장치 및 방법
JP2017101545A (ja) 木柱の引抜装置および木柱の引抜方法
EP3425119B1 (en) Demolishing an offshore jacket
JP3990692B2 (ja) 低空頭オーガー削孔機
KR101491660B1 (ko) 이동식 지지 장치
KR101824559B1 (ko) 해양 구조물 및 그 운용방법
KR101824426B1 (ko) 호이스트 장치
KR102148044B1 (ko) 해양구조물에 구비되는 잠수정 핸들링 시스템
KR101536967B1 (ko) 하프 코드 직진도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