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552A - 가습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552A
KR20170044552A KR1020150144370A KR20150144370A KR20170044552A KR 20170044552 A KR20170044552 A KR 20170044552A KR 1020150144370 A KR1020150144370 A KR 1020150144370A KR 20150144370 A KR20150144370 A KR 20150144370A KR 20170044552 A KR20170044552 A KR 20170044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filter
humidifying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대
장준호
정준구
양현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50144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4552A/ko
Publication of KR20170044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Abstract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가습공기청정기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수조와, 수조에 결합되고,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유입구를 통해 강제유입하고, 토출구를 통해 강제토출시키는 송풍부 및 토출구에 구비되어 토출공기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토출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습공기청정기{AIR WASHER}
본 발명은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공기를 가습 및 정화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가습기는 공기 청정(정화) 기능과 가습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서, 흔히 '에어 워셔(Air washer)' 또는 '습식 공기정화기'라고도 부른다.
이러한 공기청정가습기는 수조에 약간 잠겨 회전하는 디스크 조립체에 송풍팬을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불어넣으면, 흡입된 공기가 디스크 사이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 황사, 박테리아, 곰팡이, 진드기, 꽃가루 등이 디스크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에 포획된 다음 수조 안의 물 속으로 탈락하여 침전되도록 하는 한편, 디스크 조립체의 표면에 묻은 물은 송풍에 의해 자연 증발시켜 가습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기존의 공기청정가습기는 복수의 디스크를 축방향으로 연결하여 전체 모양이 원 기둥 형태를 이루는 디스크 조립체와, 이 디스크 조립체의 상부에 송풍팬을 배치한 형태로서, 이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의 흡입그릴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디스크 조립체의 디스크 사이로 통과 유도함으로써, 디스크 조립체의 표면에 묻어있는 수막에 포획되어 수조에 고인 물 속으로 탈락하여 침전되고, 이렇게 하여 깨끗해진 공기는 디스크 조립체의 표면으로부터 증발하는 공기와 함께 케이스의 토출그릴을 통해 밖으로 나오게 된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2011-0035520호(공개일:2011.04.06)에는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부품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결합되고,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상기 유입구를 통해 강제유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강제토출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토출구에 구비되어 토출공기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토출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의 가장자리에는 토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확산시키는 확산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 중앙부를 중심으로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그릴은 상기 토출구에 방사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일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경사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또한, 상기 송풍부는 토출공기와의 간섭이 회피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는 본체부에 토출구를 일체화하고, 수조에 유입구를 일체화하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는 부품을 모듈화하여 부품수 축소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부, 제어부, 슈라우드가 설치프레임에 의해 한번에 결합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본체부의 내측 상면에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가 고정틀부재에 의해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가습향상부와, 가습촉진부에 의해 기화면적을 증대할 수 있어 가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팬의 착탈 구조에 의해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내부 결합구조를 보인 절개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전선정리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송풍팬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송풍팬 장착구조를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안전그릴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가습필터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가습필터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가습필터부 평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필터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물보충을 보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가습작동에 의한 공기흐름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부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내부 결합구조를 보인 절개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전선정리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송풍팬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송풍팬 장착구조를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안전그릴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가습필터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가습필터부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가습필터부 평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필터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물보충을 보인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가습작동에 의한 공기흐름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100), 수조(100)에 구비되어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부(300) 및 가습필터부(300)를 커버하고, 실내공기를 유입하여 가습필터부(300)와 접촉시킨 후 외부로 토출하는 송풍부(220)를 구비하는 본체부(200)를 포함한다.
수조(100)는 물이 저장되는 구성으로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본체부(200)의 하부에 구비된다. 수조(100)의 저면에는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레그(102)가 구비된다. 그리고, 수조(100)의 상단부 가장자리에는 본체부(20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턱(104)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조(100)에 저장된 물은 수위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수위감지부(12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0)에 형성되는 독립공간부(122)와 독립공간부(122)에 구비되는 부유부재(125) 및 부유부재(125)를 감지하도록 본체부(200)에 구비되는 센싱부(127)를 포함한다.
부유부재(125)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센싱부(127)에서는 자성체의 자력을 감지한다. 독립공간부(122)는 부유부재(125)의 둘레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수위에 따른 이동시 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독립공간부(122)의 하부에는 수조(100)의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유통홀(123)이 형성되고, 독립공간부(122)의 상부에는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덮개(124)가 구비된다.
수조(100)에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가 형성되고, 본체부(200)에는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어 가습필터부(300)와 접촉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210)가 형성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0)는 수조(100)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토출구(210)는 본체부(200)의 상면에 형성된다.
수조(100)에 형성되는 유입구(110)는 사출성형에 의해 수조(100)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토출구(210) 또한 사출성형에 의해 본체부(200)에 일체로 형성된다. 토출구(210)는 본체부(200)의 상면 중앙부를 중심으로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토출구(210)에는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그릴(212)이 형성된다.
이러한 토출그릴(212)은 그 형상에 의해 공기의 유동성이 향상된다. 즉, 토출그릴(212)은 토출구(210)에 방사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일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경사편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토출구(21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사이클론 형태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구(210)의 가장자리에는 토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확산시키는 확산가이드부(214)가 형성된다.
본체부(200) 내부에는 송풍부(220)가 구비된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부(220)는 유입구(110)를 통해 실내공기를 강제 유입하여 가습필터부(300)와 접촉시킨 후 외부로 강제 토출시킨다. 이러한 송풍부(220)는 본체부(200)의 토출구(210)로 토출되는 공기와의 간섭이 회피되도록 본체부(200)의 중앙부에 구비된다.
송풍부(220)는 본체부(20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설치프레임(230)과, 설치프레임(230)에 고정되는 구동모터(240) 및 구동모터(24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송풍팬(245)을 포함한다. 설치프레임(230)은 둘레면에 형성되어 본체부(200)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232)과 고정브라켓(232)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연결프레임(236)에 의해 연결되고, 구동모터(240)가 안착되는 안착케이스(235)를 포함한다. 즉, 고정브라켓(232)은 복수개로 이루어져 본체부(200)의 내측 상단면에 결합된다.
보다 자세하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232)은 본체부(200)의 내면과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리브(233) 및 이격리브(233)의 상단에 형성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본체부(200)와 결합되는 체결편(234)을 포함한다.
이처럼 설치프레임(230)이 본체부(200) 내측 상면에 결합되므로써, 조립성이 향상되고, 본체부(200) 측면 외관에 체결부위를 제거할 수 있어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프레임(230)에 구비되는 연결프레임(236)에는 구동모터(240)에 전선이 연결되도록 전선을 안내하는 안내홈부(237)가 형성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홈부(237)에 의해 전선이 고정됨으로써, 공기에 의한 전선을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전선이 타부품에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부(200)에는 송풍부(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50)가 구비된다. 제어부(250)는 도 2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 내부에 구비되는 컨트롤박스(260)와, 컨트롤박스(260)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268) 및 회로기판(26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작신호를 인가하고,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패널(269)을 포함한다.
컨트롤박스(260)는 설치프레임(23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컨트롤박스(260)의 저면에는 안착케이스(235)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263)가 형성된다. 즉, 컨트롤박스(260)는 설치프레임(230)의 상부에 안착되고, 연결프레임(236)에 형성되는 체결보스(238)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제어부(250)는 본체부(200)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토출되는 공기와의 간섭이 회피된다.
컨트롤박스(260)는 회로기판(268)이 안착되는 하부케이스(262) 및 하부케이스(262)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로기판(268)을 보호하는 상부케이스(265)를 포함한다. 상부케이스(265)의 둘레면에는 후크(266)가 형성되고, 하부케이스(262)에는 후크(266)와 대응되도록 걸림홀부(264)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265)에는 회로기판(268)과 연결되는 전선을 커버하는 전선덕트(267)가 형성된다. 전선덕트(267)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65)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연결프레임(236)의 안내홈부(237)와 대응된다. 즉, 회로기판(268)과 연결되는 전선과 구동모터(240)와 연결되는 전선이 함께 안내될 수 있어 깔끔한 전선정리가 가능하다.
디스플레이패널(269)은 본체부(200)의 상면 중앙부에 위치되어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작동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패널(269)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패널(269)을 보호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체의 보호커버(269a)가 구비된다.
설치프레임(230)의 하부에는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토출구(210)측으로 안내하는 슈라우드(270)가 구비된다. 슈라우드(270)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필터부(3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습필터부(300)의 상부에 구비되어 가습필터부(300)를 투과한 실내공기를 안내한다.
이러한 슈라우드(2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프레임(230)의 하부에 결합된다. 슈라우드(270)의 둘레면에는 본체부(200)의 내면에 접하는 유동방지편(272)이 형성되고, 유동방지편(272)에는 설치프레임(230)에 나사 체결하기 위한 체결보스(273)가 복수개 구비된다. 그리고, 유동방지편(272)에는 설치프레임(230)의 고정브라켓(232)이 노출되도록 관통부(274)가 형성된다. 관통부(274)는 'ㄷ'자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200)의 내면에 밀착되어 슈라우드(270)의 유동을 방지하고, 설치프레임(230)의 체결부위를 노출시킬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슈라우드(270)는 가습필터부(300)의 상단과 접촉되고, 송풍팬(245)을 감싸므로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외부유출 없이 가습필터부(300)를 거쳐 토출구(210)로 안내되게 한다.
슈라우드(270)에는 송풍부(220)를 커버하는 안전그릴(275)이 구비된다. 보다 자세하게 안전그릴(275)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슈라우드(270)에 구비되어 송풍팬(245)을 커버한다. 안전그릴(275)은 송풍팬(245) 방향으로 사용자의 손이 유입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때, 안전그릴(275)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245)의 하부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송풍팬(245)의 하단과 안전그릴(275)의 간격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와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팬(245)의 하부형상이 하부로 볼록하고, 안전그릴(275)은 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지만, 송풍팬(245)의 하부형상을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며, 안전그릴(275) 또한 그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전그릴(275)은 슈라우드(270) 하부로부터 착탈부(276)에 의해 착탈 가능하다. 착탈부(276)는 슈라우드(270)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턱(277)과, 걸림턱(277)에 걸쳐지도록 안전그릴(275)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78) 및 걸림돌기(278)의 반대측에 구비되어 안전그릴(275)을 고정하는 고정부재(279)를 포함한다.
송풍팬(245)은 구동모터(240)의 구동축에 장착부(280)에 의해 장착된다. 장착부(280)는 구동축과 송풍팬(245)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여 송풍팬(245)의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러한 장착부(280)는 도 7과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에 구비되고, 송풍팬(245)이 결합되는 장착부싱(282)과, 장착부싱(282)에 결합된 송풍팬(245)을 고정하는 고정캡(285)을 포함한다. 장착부싱(282)은 구동축에 결합되는 결합홈부(283) 및 송풍팬(245)과 결합되는 결합편부(284)를 포함한다.
결합홈부(283)는 구동축이 삽입되도록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편부(284)는 송풍팬(245)과 넓은 면적이 접하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홈부(283)에는 복수개의 절개홀(283a)이 형성되고, 결합홈부(283)의 둘레에는 절개홀(283a)에 의해 결합홈부(283)가 벌어지는 방지하는 결속클립(287)이 구비된다. 즉, 결합홈부(283)는 구동축의 삽입시 절개홀(283a)에 의해 벌어지므로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된 상태에서 결속클립(287)이 결합되어 결합홈부(283)와 구동축의 분리를 방지한다.
고정캡(285)은 결합편부(284)에 나사결합되어 송풍팬(245)을 결합편부(284)에 밀착고정시킨다. 그리고, 송풍팬(245)과 결합편부(284)는 끼움부(290)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축의 회전을 송풍팬(245)에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끼움부(290)는 결합편부(284)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292) 및 끼움돌기(292)와 대응되도록 송풍팬(245)에 형성되는 끼움홀(294)을 포함한다. 끼움돌기(292)와 끼움홀(294)은 구동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상에 복수개 구비된다.
가습필터부(30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310) 및 필터(310)에 결합되어 필터(31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고정틀부재(350)를 포함한다. 가습필터부(300)는 수조(100)의 물을 흡수할 수 있어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가 접촉되어 습공기가 된다. 이러한 습공기는 토출구(210)를 통해 토출되어 실내를 가습하는 것이다.
필터(310)는 수조(100)의 물을 흡수하는 흡수부재(312) 및 흡수부재(312)를 커버하는 망부재(314)를 포함한다. 흡수부재(312)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스펀지(sponge)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수부재(312)를 스펀지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필터(310)는 유입되는 실내공기와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습촉진부(315)를 포함한다. 가습촉진부(315)는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31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필터(310)는 상부가 하부보다 좁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는 하부에 구비되는 수조(100)에 유입구(110)가 형성됨으로써, 하부에서 실내공기가 진입되고, 진입된 실내공기는 필터(310)의 경사면에 의해 넓은 면이 실내공기와 접촉될 수 있어 가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경사면과 실내공기의 진입방향이 상호 대응되므로 기화면적을 증대할 수 있다.
필터(310)에는 수조(100)에 만수위를 지시할 수 있는 만수위지시부(320)가 형성된다. 만수위지시부(320)는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3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지시선으로 이루어져 사용자는 만수위지시부(320)를 확인하면서 물을 보충할 수 있다.
고정틀부재(350)는 제1지지프레임(352) 및 제1지지프레임(352)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필터(310)의 내면에 접하여 필터(31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복수개의 제1지지리브(354)를 포함한다. 제1지지프레임(352)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지지리브(354)는 제1지지프레임(352)을 따라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제1지지리브(354)의 길이는 필터(310)의 세로방향 길이에 대응되고, 단부는 고정링(355)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때, 필터(310)에는 고정틀부재(350)로부터 필터(3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330)가 구비된다. 이탈방지부재(330)는 필터(310)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구비되어 제1지지리브(354)를 가압하는 고정밴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지지프레임(352)은 필터(31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상부로 굴절되게 형성되고, 제1지지프레임(352)에는 필터(310)의 하단부로 물이 흡수되도록 개구홀(353)이 형성된다. 즉, 제1지지프레임(352)은 상부가 개구된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져 필터(310)의 하단부가 안착되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개구홀(353)을 통해 수조(100)의 물이 공급되므로 수조(100)의 낮은 수위의 물도 흡수될 수 있다.
고정틀부재(350)에는 필터(310)의 가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습향상부(360)가 구비된다. 가습향상부(360)는 제1지지프레임(352)에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2지지프레임(362) 및 제2지지프레임(362)의 하부로 연장되어 필터(310)의 외면에 접하는 제2지지리브(364)를 포함한다. 가습향상부(360)는 도 10과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틀부재(350)의 상부에 결합되어 필터(310)와 접촉된다. 이때, 제1지지리브(354)와 제2지지리브(364)는 교대로 배열되고, 제2지지리브(364)는 제1지지리브(354)보다 내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제1지지리브(354)는 필터(310)의 내면에 접하고, 제2지지리브(364)는 필터(310)의 외면에 접하게 되므로 필터(310)를 굴절되게 한다. 즉,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310)는 원형의 요철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필터(310)는 기화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가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습향상부(360)는 제1지지프레임(352)에 제1지지리브(354)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제2지지리브는 제1지지리브(354)보다 내측에 구비되고 필터(310)의 외면에 접하여 필터(310)를 굴절되게 할 수 있다. 즉, 제1지지리브(354)와 제2지지리브가 제1지지프레임(35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의 조립을 살펴보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부품을 조립한다.
즉, 설치프레임(230)의 안착케이스(235)에 구동모터(240)를 안착시키고, 안착케이스(235)의 상부에는 하부케이스(262)를 결합한다. 하부케이스(262)의 저면에는 커버부(263)가 구비되어 안착케이스(235)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262)의 내부에는 회로기판(268)이 구비되고, 하부케이스(262)의 상부에 상부케이스(265)가 결합되며, 상부케이스(265)에는 회로기판(26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패널(269)이 구비된다. 이때, 구동모터(240)로 연결되는 전선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236)에 형성되는 안내홈부(237)에 의해 안내되고, 회로기판(268)에 연결되는 전선은 전선덕트(267)에 의해 안내되며 보호된다. 안내홈부(237)가 형성되는 연결프레임(236)과 전선덕트(267)는 상호 일치되어 전선을 한꺼번에 안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깔끔한 내부 전선정리가 가능하다.
이후, 구동모터(240)의 구동축에 송풍팬(245)을 결합한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245)의 결합은 구동축에 결합되는 장착부싱(282)에 의해 결합된다. 장착부싱(282)의 결합홈부(283)에는 절개홀(283a)이 형성되어 구동축에 삽입시 절개홀(283a)이 벌어지므로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고, 결합홈부(283)의 둘레면에는 결속클립(287)이 결합되어 장착부싱(282)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송풍팬(245)의 장착부싱(282)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캡(285)에 의해 밀착고정된다. 이때, 결합편부(284)에는 끼움돌기(292)가 형성되고, 송풍팬(245)에는 끼움홀(294)이 형성되어 상호 연결되므로 구동축의 회전을 송풍팬(245)에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프레임(230)의 하부에는 슈라우드(270)가 결합된다. 슈라우드(270)에는 설치프레임(230)에 결합되기 위한 체결보스(273)가 복수개가 구비되어 나사 결합되고, 슈라우드(270)의 내부에는 안전그릴(275)이 결합된다. 안전그릴(275)에는 일측에 걸림돌기(278)가 형성되어 슈라우드(270)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턱(277)에 걸쳐지고, 타측에 형성되는 고정부재(279)에 의해 결합된다. 안전그릴(275)에 의해 송풍팬(245) 측으로 사용자의 손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그릴(275)의 착탈과 송풍팬(245)의 착탈 구조에 의해 송풍팬(245)의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처럼 본체부(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부(220), 제어부(250), 슈라우드(270)는 조립되어 모듈화되고, 본체부(200)의 내측 상면에 결속된다. 이는 설치프레임(230)에 형성되는 고정브라켓(232)에 의해 결합된다. 즉,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232)의 체결편(234)이 본체부(200)의 내측 상면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고정브라켓(232)의 이격리브(233)와, 슈라우드(270)의 유동방지편(272)이 본체부(200)의 내측면에 접하여 유동이 방지되며, 유동방지편(272)의 관통부(274)를 통해 설치프레임(230)이 본체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200)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부(220), 제어부(250), 슈라우드(270)가 본체부(200)의 내측 상면에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본체부(200) 측면에 결합부위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수조(100)에 구비되는 가습필터부(300)를 조립한다. 즉, 원형관 형상의 필터(310)를 고정틀부재(350)에 끼워 형상을 유지시킨다. 제1지지리브(354)가 필터(310)의 내면으로 삽입되어 필터(310)의 형상을 유지시키고, 필터(310)의 하단부는 제1지지프레임(352)에 안착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가습향상부(360)를 필터(310)의 상부에 결합한다. 가습향상부(360)의 결합에 의해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리브(354)가 필터(310)의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하고, 제2지지리브(364)가 필터(310)의 외면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요철형상을 지니게 되어 필터(310)의 기화면적은 증대될 수 있다. 가습향상부(360)의 결합시 필터(310)는 고정밴드로 이루어진 이탈방지부재(330)에 의해 제1지지리브(354)에 고정되므로 가습향상부(360)에 의해 하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결합된 가습필터부(300)는 수조(100)에 안착시키고, 수조(100)의 상부에 본체부(200)가 안착되면 조립이 완료된다.
수조(100)에 물보충을 위해 본체부(200)를 들어올리면,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필터부(300)가 안착된 수조(100)가 개방되므로 수조(100)에 물을 보충할 수 있다.
필터(310)의 내측면에는 만수위지시부(320)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물을 보충할 수 있다.
수조(100)의 수위는 수위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다. 이는 수조(100)의 수위에 따라 부유되는 부유부재(125)의 자력을 센싱부(127)에서 감지함으로써 가능하다. 보다 자세하게, 자성체를 포함하는 부유부재(125)가 부유되어 센싱부(127)에서 자력을 감지하고, 저수위시 부유부재(125)가 센싱부(127)로부터 멀어져 감지되지 않으면 물보충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부유부재(125)는 독립공간부(122)에 구비됨으로써, 수조(100)의 물 출렁임에 영향받지 않고, 정확한 수위감지가 가능하다.
이후,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10) 가습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부전원이 인가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패널(269)을 조작하여 작동신호를 인가하면, 구동모터(240)의 구동에 의해 송풍팬(245)이 회전된다. 송풍팬(245)의 회전에 의해 실내공기는 유입구(110)를 통해 본체부(200) 내부로 유입되고, 물을 흡수한 필터(310)를 거쳐 본체부(200) 상면에 형성된 토출구(210)로 토출된다.
이때, 필터(310)는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습촉진부(315)가 형성되어 기화면적이 증대되어 가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310)는 고정틀부재(350)와 가습향상부(360)에 의해 요철형상으로 굴절되어 가습효율이 향상된다.
이처럼 실내공기는 가습필터부(300)를 거쳐 습공기가 되고, 슈라우드(270)를 통해 외부 유출없이 본체부(200)의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토출구(210)에는 방사형상으로 배치되고,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토출그릴(212)이 형성되어 공기는 사이클론 형태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구(210)의 가장자리에는 확산가이드부(214)가 형성되어 실내 넓은 범위로 토출되어 가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에 의하면, 본체부에 토출구를 일체화하고, 수조에 유입구를 일체화하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는 부품을 모듈화하여 부품수 축소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고,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부, 제어부, 슈라우드가 설치프레임에 의해 한번에 결합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며, 필터가 고정틀부재에 의해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가습향상부와, 가습촉진부에 의해 기화면적을 증대할 수 있어 가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가습공기청정기 100 : 수조
102 : 지지레그 104 : 안착턱
110 : 유입구 120 : 수위감지부
122 : 독립공간부 123 : 유통홀
124 : 덮개 125 : 부유부재
127 : 센싱부 200 : 본체부
210 : 토출구 212 : 토출그릴
214 : 확산가이드부 220 : 송풍부
230 : 설치프레임 232 : 고정브라켓
233 : 이격리브 234 : 체결편
235 : 안착케이스 236 : 연결프레임
237 : 안내홈부 238 : 체결보스
240 : 구동모터 245 : 송풍팬
250 : 제어부 260 : 컨트롤박스
262 : 하부케이스 263 : 커버부
264 : 걸림홀부 265 : 상부케이스
266 : 후크 267 : 전선덕트
268 : 회로기판 269 : 디스플레이패널
269a : 보호커버 270 : 슈라우드
272 : 유동방지편 273 : 체결보스
274 : 관통부 275 : 안전그릴
276 : 착탈부 277 : 걸림턱
278 : 걸림돌기 278 : 고정부재
280 : 장착부 282 : 장착부싱
283 : 결합홈부 283a : 절개홀
284 : 결합편부 285 : 고정캡
287 : 결속클립 290 : 끼움부
292 : 끼움돌기 294 : 끼움홀
300 : 가습필터부 310 : 필터
312 : 흡수부재 314 : 망부재
315 : 가습촉진부 320 : 만수위지시부
330 : 이탈방지부재 350 : 고정틀부재
352 : 제1지지프레임 353 : 개구홀
354 : 제1지지리브 355, 365 : 고정링
360 : 가습향상부 362 : 제2지지프레임
364 : 제2지지리브

Claims (4)

  1. 유입구가 형성되는 수조;
    상기 수조에 결합되고,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상기 유입구를 통해 강제유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강제토출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토출구에 구비되어 토출공기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토출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의 가장자리에는 토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확산시키는 확산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 중앙부를 중심으로 가장자리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그릴은 상기 토출구에 방사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일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경사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토출공기와의 간섭이 회피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1020150144370A 2015-10-15 2015-10-15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044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370A KR20170044552A (ko) 2015-10-15 2015-10-15 가습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370A KR20170044552A (ko) 2015-10-15 2015-10-15 가습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552A true KR20170044552A (ko) 2017-04-25

Family

ID=5870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370A KR20170044552A (ko) 2015-10-15 2015-10-15 가습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45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085A1 (ko) * 2018-09-21 2020-03-26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금속 도금성형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085A1 (ko) * 2018-09-21 2020-03-26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금속 도금성형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669B1 (ko) 가습기
KR20170044558A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652363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044553A (ko) 가습공기청정기
WO2016031782A1 (ja) 空気清浄機
KR101969808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044552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044550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044559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044551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044557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044554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044546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044545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044549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044547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044548A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717187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997009B1 (ko) 가습공기청정기
JP2018140372A (ja) 吸着ユニット及び空気清浄機
KR102063485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20113028A (ko) 가습 장치
KR20160126813A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997008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997007B1 (ko) 가습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