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942A - 전동 필러 주입기 - Google Patents

전동 필러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942A
KR20170043942A KR1020150143646A KR20150143646A KR20170043942A KR 20170043942 A KR20170043942 A KR 20170043942A KR 1020150143646 A KR1020150143646 A KR 1020150143646A KR 20150143646 A KR20150143646 A KR 20150143646A KR 20170043942 A KR20170043942 A KR 20170043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gear
rail
syringe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8671B1 (ko
Inventor
권순우
류호남
이상조
김대건
문경엽
Original Assignee
휴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젤(주) filed Critical 휴젤(주)
Priority to KR1020150143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671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46Front-loading type inj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필러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동 필러 주입기에서는 레일이 형성된 바디의 일단부에 주사기의 주입구가 파지되고, 피스톤 홀더에 주사기의 피스톤이 파지되며,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는 모터의 회전 운동을 전진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피스톤 홀더를 전진시킴으로써 주사기 내부에 충전된 필러를 주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 필러 주입기는 상기 레일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레일 기준 상측 부위가 상기 피스톤 홀더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가 상기 레일에 설치된 상태에서 레일 기준 하측 부위와 결합하며 내부 중공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의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볼스크류의 내부 중공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 필러 주입기{Electric Filler Injector}
본 발명은 전동 필러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점도 필러의 주입을 위한 전동 필러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미용 성형 분야에서, 필러를 주입하는 시술이 널리 행해지고 있고, 필러 물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최근 기존 필러보다 점도(viscosity)가 높은 필러가 등장하였다.
점도는 유체의 흐름에서 저항의 크기를 나타내는 물리 량이다. 즉, 점도가 높으면 유체 흐름에 대한 저항이 크고, 점도가 낮으면 유체 흐름에 대한 저항이 낮다. 고점도 필러의 시술을 위해서는 더 큰 힘으로 필러 주사기의 피스톤을 가압하여야 한다.
필러는 주사기에 수용되고, 피스톤의 가압에 따라 필러가 주사기의 바늘을 통해 피시술자의 피부에 주입된다. 필러가 수용된 주사기는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보통 별도의 주입기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되어 왔다. 도1에 도시된 것이 종래에 사용되었던 대표적인 수동 필러 주입기이다.
도1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수동 필러 주입기를 사용하여도 저점도의 필러는 충분히 주입 가능하였다. 그러나, 고점도 필러의 등장에 따라 기존보다 훨씬 큰 가압력이 필요하게 되어 수동 필러 주입기를 사용하기 힘들어졌다.
이러한 수동 필러 주입기 외에 관련 분야에 전동 모터를 이용하는 전동 필러 주입기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전동 필러 주입기는 예컨대 도2와 같은 구조를 가졌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전동 필러 주입기에서는 전동 모터가 기어를 회전시키고, 여기에 맞물린 기어가 나사산이 형성된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샤프트에 맞물린 피스톤 홀더가 전진됨으로써 주사기의 피스톤이 필러를 가압 방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전동 필러 주입기의 구조는 고점도 필러가 상용화되기 이전에 존재하였던 구조로서 새롭게 등장한 고점도 필러의 주입에 그대로 사용되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본 발명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전동 필러 주입기 구조로부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였다.
첫째, 모터의 토크 증대가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고점도 필러의 주입을 위해서는 저점도 필러의 가압 시보다 훨씬 큰 가압력으로 주사기의 피스톤을 전진시켜야 하는데, 도2와 같은 종래기술의 구조는 고점도 필러의 주입에 적당한 수준의 가압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모터의 용량을 키우고 보다 큰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대용량 전원을 사용하면 기존 구조에서도 고점도 필러의 주입이 이론상 가능하나, 이 경우 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제작 비용이 크게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둘째, 고점도 필러의 주입 시에는 저점도 필러의 주입 시와 비교할 때, 훨씬 큰 가압력으로 주사기의 피스톤이 가압되는데, 이 경우 주입기에 장착된 주사기가 이탈할 가능성이 커진다. 필러 주입기는 수평 상태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지향 각도로 사용되므로, 이탈 가능성은 더욱 커지게 된다. 종래기술의 필러 주입기는 간단한 구조로 주사기를 피스톤 홀더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다.
셋째, 고점도 필러의 주입을 위해서는 모터가 특정 회전속도(rpm)와 특정 토크로 운전되어야 하는 바, 모터 상태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피드백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종래기술의 필러 주입기는 이를 위한 구조가 결여되어 있다.
넷째, 고점도 필러의 주입을 위한 강한 가압력을 유지하면서도 피시술자의 특성이나 시술 방식 및 단계를 고려한 주입속도를 다변화할 수 있는 다양한 주입 모드가 결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터의 용량을 증대시키지 않고, 기존 저점도 필러의 주입을 위한 전동 필러 주입기에서 사용되던 전동기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고점도 필러의 주입에 사용될 수 있는 전동 필러 주입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주사기를 피스톤 홀더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갖는 전동 필러 주입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기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특정 회전속도(rpm) 및 토크로 운전될 수 있도록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전동 필러 주입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특성이나 시술 방식 및 시술 단계를 고려한 다양한 주입 모드를 제공하는 전동 필러 주입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레일이 형성된 바디의 일단부에 주사기의 주입구가 파지되고, 피스톤 홀더에 주사기의 피스톤이 파지되며,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는 모터의 회전 운동을 전진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피스톤 홀더를 전진시킴으로써 주사기 내부에 충전된 필러를 주입하는 전동 필러 주입기가 제공된다. 상기 전동 필러 주입기는, 상기 레일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레일 기준 상측 부위가 상기 피스톤 홀더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가 상기 레일에 설치된 상태에서 레일 기준 하측 부위와 결합하며 내부 중공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의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볼스크류의 내부 중공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생성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필러 주입기의 구성요소인 상기 동력생성부는 모터, 감속기,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감속기에 동력 결합되고, 상기 감속기는 상기 제2 기어에 동력 결합된다. 상기 센서는 모터의 토크 및/또는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피드백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필러 주입기는 주사기의 피스톤 단부를 상부로부터 체결하는 고정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플런저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피스톤 홀더의 교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유리한 작용효과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전동 필러 주입기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복수의 작동 모드로 모터를 제어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작동 모드는 일정한 속도로 모터를 회전시키는 리니어(linear) 모드와 단속적으로 모터를 회전시키는 논리니어(non-linear)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논리니어 모드에서는 리니어 모드에서와 동일한 토크로 모터가 회전하도록 제어되고, 모터가 회전할 때의 속도는 리니어 모드에서와 동일한 회전 속도로 제어된다.
한편, 상기 논리니어 모드에는 복수의 단계가 포함되고, 모터의 정지 시간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플런저의 전진 속도를 제어 가능하다.
이외에도 추가적인 구성들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필러 주입기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저점도 필러의 주입을 위한 전동 필러 주입기에서 사용되던 모터를 용량의 증대 없이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고점도 필러의 주입에 사용될 수 있는 전동 필러 주입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주사기를 피스톤 홀더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갖는 전동 필러 주입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모터가 특정 회전속도(rpm) 및 토크로 운전될 수 있도록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전동 필러 주입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시술자의 특성이나 시술 방식 및 시술 단계를 고려한 다양한 주입 모드를 갖는 전동 필러 주입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 필러 주입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동 필러 주입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필러 주입기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피스톤 홀더 및 볼스크류의 상호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필러 주입기 중 동력 생성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생성부와 기어부로부터 생성되는 적정 회전속도와 토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홀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작동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필러 주입기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주사기(10)는 실린더에 필러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로 주입부는 바디(20)의 단부에, 피스톤의 단부는 피스톤 홀더(46)에 장착된다. 주사기의(10)의 피스톤 단부는 피스톤 홀더(46)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후크(47)로 고정된다. 고정후크(47)의 고정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도 7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바디(20)는 측면에서 봤을 때 길이가 긴 수평부와 그 단부에서 수직으로 꺾인 길이가 짧은 수직부로 구성되고,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일 수 있다. 그 중 수평부에는 레일이 형성된다. 그 레일을 관통하여 플런저(45)가 설치되며, 플런저(45)의 상부는 피스톤 홀더(46)에 결합된다. 플런저(45)의 레일 하측 부위에는 볼스크류(ball screw, 44)가 결합된다. 볼스크류에는 샤프트(43)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마련된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샤프트(43)의 회전에 따라 볼스크류(44)는 전후진 동작을 하며, 볼스크류(44)에 결합된 플런저(45)가 함께 이동하여 플런저(45)의 레일 상측 부위에 결합된 피스톤 홀더(46)의 전후진 이동을 가능케 한다. 도3의 실시예에서는 플런저(45)와 볼스크류(44)가 별개의 구성요소로 제공되는 것으로 기술되나, 경우에 따라 플런저(45)와 볼스크류(44)는 병합되어 하나의 구성요소로 제공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샤프트(43)의 단부에는 제1 기어(41)가 부착된다. 제1 기어(41)는 제2 기어(42)와 맞물린다. 제2 기어(42)는 동력생성부(3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동력생성부(30)에서 생성된 회전 동력이 제2 기어(42)를 통하여 제1 기어(41) 및 샤프트(43)에 전달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20), 플런저(45), 피스톤 홀더(46) 및 볼스크류(44)가 그들 사이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려는 목적 하에 단순화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이에 제한되지 않음)의 플런저(45)가 바디(20)에 형성된 레일의 우측 단부에 마련된 광폭부에 삽입될 수 있다. 플런저(45)의 중간 허리부는 그 폭이 레일의 광폭부를 제외한 나머지 협소부의 폭에 대응되도록 가공되므로 플런저(45)의 허리부가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다.
플런저(45)가 바디(20)의 레일에 설치된 상태에서, 플런저(45)의 레일 기준 상부 돌출부에는 피스톤 홀더(46)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피스톤 홀더(46)는 사용되는 주사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 형상으로 준비될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 홀더(46)가 플런저(4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단일의 전동 필러 주입기로써 다양한 크기의 주사기에 대응할 수 있는 추가적인 유리한 효과가 달성된다.
볼스크류(44)는 플런저(45)의 레일 기준 하부 돌출부에 마련된 일부가 개방된 중공 구조에 용이하게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생성부(30)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동력생성부(30)는 모터(31), 감속기(32) 및 센서(33) 및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원으로부터 제어부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류는 모터(31)에 전달되고 이에 의하여 생성된 동력은 감속기(32)에 전달된다. 감속기(32)는 제2 기어(42)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31)는 7,650rpm의 회전속도와 4.06Nmm의 토크로 운전되도록 제어되고, 감속기(32)는 157:1의 감속비를 갖는다. 이에 따른, 제2 기어(42)의 회전속도와 토크는 다음과 같다.
회전속도: 7,650rpm / 157 = 48.73rpm
토크: 4.06Nmm * 157 = 637.42Nmm
이와 같은 회전속도와 토크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필러 주입기의 작동 중에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모터(31)에는 센서(33)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서(33)는 모터(31)의 회전속도 및/또는 토크를 측정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서(33)로부터의 측정값을 미리 저장된 기준값과 대비하여 모터(31)에 인가하는 전류를 조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생성부(30)와 기어부(41, 42)로부터 생성되는 적정 회전속도와 토크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기어(41)와 제2 기어(42)의 직경은 1:2의 비율로 선택된다. 이 경우, 제1 기어(41)의 회전속도와 토크는 다음과 같다.
회전속도: 48.73rpm * 2 = 97.46rpm
토크: 637.42Nmm / 2 = 318.71Nm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43)의 리드(lead), 즉 1회전 시 이동하는 거리는 4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샤프트(43)에 장착된 볼스크류(44) 및 이에 결합된 플런저(45) 및 피스톤 홀더(46)의 이동 속도, 즉 최종적인 주입 속도는 다음과 같다.
주입 속도: 97.46rpm * 4mm = 389.84mm/min
이 정도의 주입 속도는 시술자가 효율적으로 시술을 시행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318.71Nmm의 주입 토크는 대략 400G? 내외의 점도를 갖는 고점도 필러를 주입하기에 적합한 토크로 평가되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홀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고정후크(47)는 플런저(45)에 형성된 구멍에 힌지 결합된다. 고정후크(47)가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제껴진 상태에서 주사기(10)는 플런저(45)의 레일 상측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결합되는 피스톤 홀더(46)에 삽입되고, 주사기(10)의 삽입 상태에서 고정후크(47)가 반시계 방향으로 힌지 운동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면, 주사기(10)의 피스톤은 하부는 피스톤 홀더(46)에 의해, 상부는 고정후크(47)에 의해 제한되므로, 플런저(46)의 전후진 이동 동작 동안에 안정적으로 피스톤 홀더(46)에 파지된 상태에서 필러의 주입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필러의 주사 시에는 주사기(10)가 일반 저점도 필러의 주사 시에 비하여 큰 압력을 받게 되므로, 피스톤 홀더(46)에만 파지될 경우 이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자의 반복 실험 결과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고정후크(47)를 이용하면, 고점도 필러의 주사 시에 강한 압력이 주사기(10)에 전해질 경우에도 주사기(10)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고정후크(47)가 피스톤 홀더(46)가 아닌 플런저(46)에 장착됨으로써 추가적인 이점이 달성된다. 이는 피스톤 홀더(46)의 교체 가능성과 관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 홀더(46)는 적용되는 주사기(10)의 형상, 크기에 대응하는 다양한 종류가 사용 가능하다. 만일 피스톤 홀더(46)에 고정후크(47)가 장착되는 경우,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피스톤 홀더(46)마다 고정후크(47)를 부착하여야 하는데, 이는 피스톤 홀더(46)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플런저(46)에 고정후크(47)가 힌지 결합되면, 교체 가능한 피스톤 홀더(46)마다 고정후크(47)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호환 가능한 피스톤 홀더(46)의 이용 측면에서 한층 유리해지는 이점이 생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동력생성부(30)의 일 구성요소인 도시가 생략된 제어부가 다양한 작동모드로 모터(31)를 제어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는 이러한 작동모드의 예로서 리니어(linear) 모드와 논리니어(non-linear) 모드가 도시되어 있다.
리니어 모드에서는 모터(31)가 끊김 없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 동작하도록 제어부가 모터(31)에 전류를 인가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논리니어 모드에서는 제어부가 단속적으로 모터(31)에 전류를 인가한다. 이로써, 플런저(45)는 단속적으로 주사기(10)의 피스톤을 전진시킬 수 있다. 예컨대, 1초간 전류를 인가하고, 다음 1초간 전류를 끊어주는 제어를 반복적으로 실행하면, 동일한 토크로 모터를 운전하여 결과적으로 동일한 압력으로 주사기(10)의 피스톤을 전진시키면서도 주사기(10)의 전진 속도를 절반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전류를 인가하는 시간과 끊어주는 시간은 여러 단계로 설정 가능하다. 예컨대 논리니어 모드를 두 가지 내지 세 가지 단계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동일한 압력으로 피스톤을 전진시키면서도 전진 속도를 여러 단계로 제어 가능하다. 시술자의 상태에 따라, 또는 시술하는 요법의 종류에 따라 필러의 주입 속도 조절이 필요할 경우가 있다. 또한, 시술 도중 큰 주의를 요하지 않고 효율을 위하여 대량으로 필러를 주입하여야 하는 단계와 특정 부위에 필러가 채워질 때는 비교적 큰 주의를 기울어야 하는 단계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논리니어 모드를 포함하게 되면, 고점도 필러의 주입을 위하여 일정한 고압의 압력을 주사기(10)의 피스톤에 인가하면서도 필러의 주입 속도 조절이 용이하게 달성되는 유리한 작용효과가 생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주사기
20: 바디
30: 동력생성부
31: 모터
32: 감속기
33: 센서
41: 제1 기어
42: 제2 기어
43: 샤프트
44: 볼스크류
45: 플런저
46: 피스톤 홀더
47: 고정후크

Claims (6)

  1. 레일이 형성된 바디의 일단부에 주사기의 주입구가 파지되고, 피스톤 홀더에 주사기의 피스톤이 파지되며,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는 모터의 회전 운동을 전진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피스톤 홀더를 전진시킴으로써 주사기 내부에 충전된 필러를 주입하는 전동 필러 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레일 기준 상측 부위가 상기 피스톤 홀더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가 상기 레일에 설치된 상태에서 레일 기준 하측 부위와 결합하며 내부 중공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의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볼스크류의 내부 중공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생성부를 포함하는, 전동 필러 주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생성부는 모터, 감속기,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감속기에 동력 결합되고, 상기 감속기는 상기 제2 기어에 동력 결합되고,
    상기 센서는 모터의 토크 및/또는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피드백 제어를 실행하는, 전동 필러 주입기.
  3. 제2항에 있어서,
    주사기의 피스톤 단부를 상부로부터 체결하는 고정후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플런저에 힌지 결합되는, 전동 필러 주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작동 모드로 모터를 제어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작동 모드는 일정한 속도로 모터를 회전시키는 리니어 모드와 단속적으로 모터를 회전시키는 논리니어 모드를 포함하는, 전동 필러 주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니어 모드에서는 리니어 모드에서와 동일한 토크로 모터가 회전하도록 제어되고, 모터가 회전할 때의 속도는 리니어 모드에서와 동일한 회전 속도로 제어되는, 전동 필러 주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니어 모드에는 복수의 단계가 포함되고, 모터의 정지 시간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플런저의 전진 속도를 제어하는, 전동 필러 주입기.
KR1020150143646A 2015-10-14 2015-10-14 전동 필러 주입기 KR101738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646A KR101738671B1 (ko) 2015-10-14 2015-10-14 전동 필러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646A KR101738671B1 (ko) 2015-10-14 2015-10-14 전동 필러 주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942A true KR20170043942A (ko) 2017-04-24
KR101738671B1 KR101738671B1 (ko) 2017-05-23

Family

ID=5870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646A KR101738671B1 (ko) 2015-10-14 2015-10-14 전동 필러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6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251A (ko) *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인젝터용 구동장치
KR20230102348A (ko) * 2021-12-30 2023-07-07 쥬베뉴 주식회사 약물의 정량 주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832A1 (en) 2017-02-17 2018-08-23 Allergan, Inc. Microneedle array with active ingredi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251A (ko) *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인젝터용 구동장치
KR20230102348A (ko) * 2021-12-30 2023-07-07 쥬베뉴 주식회사 약물의 정량 주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671B1 (ko) 201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671B1 (ko) 전동 필러 주입기
CN108514448A (zh) 血管介入手术机器人导丝、导管操控装置
KR101395100B1 (ko) 피부시술장치
KR101705317B1 (ko) 주사기 결합식 자동약액주입장치
CN104470578A (zh) 喷嘴装置和包括该喷嘴装置的微创注射装置
WO2009098666A8 (en) Medical injection apparatus
CN107827064B (zh) 一种全自动智能控制的小型液体化妆品灌装设备
CN112695388B (zh) 一种连续供液出液的静电纺丝装置
CN106492311A (zh) 一种手持式可辅助注射器自动抽吸和注射的装置
CN207384567U (zh) 皮肤定位器及相应的药液注射装置
CN205095158U (zh) 一种可调控注射速度和用量的医用注射器
CN106036967B (zh) 用于包芯丸机的注芯装置
CN208552737U (zh) 一种剂量可调式单次抽药多次注射气动无针注射器
CN110507879A (zh) 一种预充注射装置
CN211962118U (zh) 一种输液用静脉按压装置
CN203208470U (zh) 一种用于注射美容液的美塑枪
CN205832314U (zh) 自动注射机械注射器
CN204501914U (zh) 新型胰岛素泵
CN204092718U (zh) 新型胰岛素泵
CN204134838U (zh) 胶筒夹持装置
CN102582079B (zh) 注胶包装机
CN204864377U (zh) 一种注射器的助推装置
CN209173098U (zh) 一种直线推注的注射装置
CN201505335U (zh) 注射器
KR101385653B1 (ko) 액상 파우더 자동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