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762A -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762A
KR20170043762A KR1020150143225A KR20150143225A KR20170043762A KR 20170043762 A KR20170043762 A KR 20170043762A KR 1020150143225 A KR1020150143225 A KR 1020150143225A KR 20150143225 A KR20150143225 A KR 20150143225A KR 20170043762 A KR20170043762 A KR 20170043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skin
skin condition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7294B1 (ko
Inventor
이재홍
김현수
유영선
이선화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3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294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4Body surface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2Evaluating skin mechan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hardness, texture, wrinkle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에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장치는 피부 접촉면의 상태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피부 상태 측정 항목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피부 상태 측정 데이터 및 측정 데이터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피부 탄력도를 측정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도 측정 모듈; 피부 접촉면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의 반사광에 의해 피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OF PROVIDING MOBLIE SERVICE USING SKIN CONDITION INPECTOR}
본 실시 예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많은 사용자들이 피부관리실이나 맛사지샵, 피부과의원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피부의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화장품이나 약품 등을 이용하여 피부관리를 하게 되었다.
사람들의 피부 상태는 계절에 따라서도 크게 달라지며, 개인마다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적절한 처방을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피부 상태의 진단을 위하여 피부과의원이나 클리닉 등에는 전문적인 의료장비들이 구비되어 모공의 확대사진을 촬영하는 등의 진단 행위를 가능케 하고 있다.
그러나,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사용자들의 피부에 대한 지식수준도 함께 증가하였으며, 사용자들은 자신의 피부의 상태에 대해서 또는 피부의 상태변화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알기를 원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간단히 자신의 피부상태를 확인하고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 폰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피부 상태 정보를 취득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장치는 피부 접촉면의 상태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피부 상태 측정 항목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피부 상태 측정 데이터 및 측정 데이터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피부 탄력도를 측정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도 측정 모듈; 피부 접촉면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의 반사광에 의해 피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피부 상태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피부 상태 측정 데이터를 기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로부터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측정 항목에 따라 분석 및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휴대가 용이한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피부 상태 정보를 휴대 단말기와 같은 개인의 장치에서 해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상에서도 용이하게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인지하고 그에 따른 적합한 관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피부 상태 측정 및 확인을 위해 부가적인 비용 및 시간을 소비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가 적용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가 적용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가 적용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측정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라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피부 탄력도 측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라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피부 거칠기 측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라 피부 상태 측정 장치와 연동되는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라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서 피부 상태 측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라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피부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라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피부 상태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경우의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 없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가 적용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와 휴대 단말기(200)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결과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00)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피부 상태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로 피부 상태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예가 적용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는 측정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사용자 입력부(140), 출력부(150), 제어부(160), 전원 공급부(170)로 구성될 수 있다. 도2에서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이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가 구성될 수도 있다.
측정부(110)는 피부 표면에 접촉되어 피부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10)는 피부의 표면에 접촉되기 위한 접촉면(160)에 피부가 접촉되어 측정부(110)에 포함되는 다양한 측정 모듈에 의하여 피부의 탄력도, 색, 밝기, 거칠기 등의 다양한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110)는 피부 탄력도를 측정하기 위한 모듈(이하, 탄력도 측정 모듈)(111), 광원(112), 피부 색을 측정하기 위한 모듈(이하, 피부 톤 측정 모듈)(113), 피부 밝기를 측정하기 위한 모듈(이하 피부 밝기 측정 모듈)(114) 및 피부 광택을 측정하기 위한 모듈(이하, 피부 광택 측정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10)에 구성되는 피부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모듈은 한정되지 않으며 피부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조건 또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측정 모듈 및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측정부(110)의 구성은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120)는 휴대 단말기(200)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등 통신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120)는 블루투스(Bluetooth)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4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30)는 측정부(110)dop서 측정된 측정 결과에 대한 정보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상기 측정 결과 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경우 출력할 외부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세하게, 통신부(120)를 통하여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측정 결과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가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의 동작 개시 및 종료에 대한 사용자 입력 및 다양한 사용자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키패드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 모듈 및 오디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의 상태 및 측정 상태에 대한 시작 및 완료 여부등과 같은 상태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 모듈 및 오디오 모듈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출력부(150)은 예로는 LED램프, 표시 윈도우, 스피커 등이 포함될 수 잇다.
제어부(160)는 통상적으로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하여 피부 상태 측정 요청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부(110)를 활성화하고, 상기 측정부(110)에서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기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피부 상태 정보를 저장하거나 통신부(120)를 통하여 기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전원, 내부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본 실시 예가 적용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측정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라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피부 탄력도 측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라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피부 거칠기 측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장치의 측정부(110)는 탄력도 측정 모듈(111), 광원(112), 피부 톤 측정 모듈(113), 피부 밝기 측정 모듈(114), 피부 광택 측정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피부 탄력도 측정 모듈(111)은 피부의 일정 영역을 펌핑하여 표면위치를 감지 및 그에 따른 피부의 탄력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피부 탄력도 측정 모듈(1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의 접촉면(160)에 위치한 피부 영역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1111)와 펌핑된 피부 표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정전 용량 센서(1113a, 1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탄력도 측정 모듈(111)은 피부 접촉면(S)을 펌프(1111)에 의해 펌핑하면 그에 대응되게 피부 접촉면(S)의 상승 정도(P)를 정전 용량 센서(1113a, 1113b)에 의해 감지할 수 있다. 즉, 정전 용량 센서(1113a, 1113b)는 상기 정전 용량 센서(1113a, 1113b)를 구성하는 기판(1112a, 1112b) 사이로 유입되는 피부 표면에 의하여 정전 용량이 가변하면서 상기 가변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탄력도는 상기 탄력도 측정 모듈(111)에서 감지되는 정전 용량에 따른 피부 탄력 정도를 매칭하여 정량화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탄력도 측정 모듈(111)은 본 실시 예에서 펌프(1111)와 정전 용량 센서(1113a, 1113b)에 의한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 외에도 음압 방식, 가압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되는 측정 모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광원(112)은 피부 톤, 피부 밝기, 피부 광택의 피부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광을 인가할 수 있다. 광원(112)은 피부 톤, 밝기, 광택을 측정하기 위하여 피부 톤 측정 모듈(113), 피부 밝기 측정 모듈(114), 피부 광택 측정 모듈(115)의 동 작 시 빛을 조사하고, 상기 모듈들에 의해 상기 광원(112)에서 조사되는 빛의 반사도, 색 등의 다양한 정보를 취득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상기 광원(112)은 일예로 LED를 사용할 수 있다.
피부 톤 측정 모듈(113)은 광원(112)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피부 접촉부(160)에 접촉되는 피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R, G, B색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피부 톤 측정 모듈(113)은 광원(112)의 빛으로부터 피부 표면에서 반사되는 R, G, B색상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색상 정보를 수치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피부 밝기 측정 모듈(114)은 광원(112)에서 조사되는 빛이 피부 접촉부(160)에 접촉되는 피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반사광 유입 정도에 의해 피부 밝기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하게, 피부 밝기 측정 모듈(114)은 일 예로 조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하여 광원(112)에 의해 조사된 빛이 피부 표면에서 반사되는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밝기 측정 모듈(114)은 상기 반사되는 정도를 수치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피부 광택 측정 모듈(115)은 광원(112)에서 조사되는 빛이 피부 접촉부(160)에 접촉되는 피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반사광에 따라 피부의 거칠기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 예시도(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12)에서 조사된 빛이 피부 표면(S)에서 반사되어 피부 광택 측정 모듈(115)로 입사되는 정도에 따라 피부 표면의 광택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도(a)에서와 같이 광원(112)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피부 표면(S)에서 반사되어 피부 광택 측정 모듈(115)로 유입되는 양이 적을 경우 해당 피부 표면은 광택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시도(c)에서와 같이 광원(112)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피부 표면(S)에서 반사되어 피부 광택 측정 모듈(115)로 유입되는 양이 많은 경우 해당 피부 표면은 광택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시도(b)에서와 같이 예시도(a)와 (c)의 정도에 따라 반사광의 입사 정도를 중간 정도로 감지하면 광택 유무의 중간 값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피부 광택 측정 모듈(115)은 반사광의 입사 정도에 따른 기준을 설정하고 그 기준에 따라 반사광의 입사량을 확인하여 피부의 광택 유무 및 광택의 정도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피부 광택 측정 모듈(115)은 라인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라인 센서에 의하여 반사광의 입사 면적을 넓게 하여 반사광의 입사량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피부의 수분, 온도 등의 다양한 피부 상태 정보를 측정부(110)에서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항목에 따라 측정 모듈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라 피부 상태 측정 장치와 연동되는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통신부(210), AV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인터페이스부(240), 저장부(250), 출력부(260), 제어부(270) 및 전원공급부(280)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이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휴대 단말기가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부(210)는 피부 상태 측정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이동통신 모듈(211), 근거리 통신 모듈(212), 무선 인터넷 모듈(213)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211)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2)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2)은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피부 상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3)을 통하여 피부 상태 정보 처리 및 출력을 위한 데이터를 원격지로부터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상태 정보를 기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할 수 있다.
AV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하여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의 연결을 요청하거나 측정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0)는 휴대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24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 받아 휴대 단말기(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240)에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250)는 제어부(27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50)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처리된 데이터에 대한 정량화된 수치 및 이미지 등을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출력부(260)는 시각,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61), 음향출력모듈(262)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61)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피부 측정 데이터 및 그에 따른 처리 결과 정보를 사용자에게 영상 또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의 다양한 시각화된 상태의 데이터로 표시할 수 있다.
음향출력모듈(26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70)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데이터로 가공 및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70)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와 저장부(250)에 저장된 피부 상태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기준값에 기초하여 피부 상태의 값, 상태 등의 다양한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8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 받는다.
상기한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 및 휴대 단말기(200)의 구성 및 연결 구조에 기초하여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피부 상태 측정 방법 및 그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라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서 피부 상태 측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부(110)를 활성화 시킨 상태의 피부 상태 측정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710)
제어부(160)는 피부 상태 측정 모드에 따라 피부 접촉면(160)에 접촉되는 피부(S)의 상태를 측정부(110)에서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측정부(110)에서 기 설정된 측정 시간이 도래한 경우(S730) 피부 상태 측정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S740) 상세하게, 측정부(110)는 활성화되어 피부 접촉면(160)에 접촉된 피부에 탄력도, 밝기, 광택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부(110)의 측정 모듈이 하나 또는 복수 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측정부(110)에 구성되는 측정 모듈의 측정이 모두 완료 되었거나 사용자 요청에 의해 측정 요청된 피부 상태에 대한 측정 모듈의 측정이 완료되면 피부 상태 측정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10)에서 측정되는 피부 상태는 N회 반복하여 측정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된 측정 데이터에 대하여 전송 요청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60) 상세하게,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부(140) 또는 통신부(120)를 통하여 저장부(130)에 기 저장된 측정 데이터 또는 측정 완료된 데이터를 요청 하는 요청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요청된 신호에 기초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된 측정 데이터를 통신부(120)를 통해 기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연결된 휴대 단말기(100)로 상기 측정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데이터는 측정 데이터, 측정 데이터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데이터 정보는 피부 상태를 측정한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측정 장치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라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피부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라 피부 상태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피부 상태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경우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를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피부 상태 측정 데이터 및 피부 상태 측정 데이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810)
제어부(270)는 피부 상태 측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분석 및 출력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할 수 있다.(S820) 상세하게, 제어부(270)는 수신된 피부 상태 측정 데이터는 측정 결과가 수치화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활성화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치화된 데이터를 저장부(250)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 및 데이터베이스화된 측정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비교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의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제어부(270)는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피부 상태 측정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분석 및 정량화된 데이터로 가공할 수 있다. (S830)
제어부(270)는 상기 분석 및 가공된 피부 상태 측정 데이터에 따른 결과 정보를 출력부(2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840)
상세하게, 제어부(270)는 도 9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61)를 통하여 측정 결과 정보 화면(271)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측정 결과 정보 화면(271)은 사용자가 측정한 피부의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안면 이미지(910)를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위치에 대응하는 측정 항목에 대한 결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예시도(a)는 피부 표면의 수분 정도를 측정한 결과 화면(915)을 표시한 예이다. 화면 예시도(b)는 사용자의 피부 측정 위치를 나타내는 안면 이미지(920)와 피부의 색 정보를 나타낸 측정 결과 화면(925)을 표시한 예이다. 또한 화면 예시도(c)와 같이 측정된 사용자의 측정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안면 이미지(935)와 측정된 전체 정보를 텍스트로 표시하는 측정 결과 화면(930)을 표시한 예이다.
제어부(270)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측정 데이터에 대하여 확인하고,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항목을 측정하였거나, 상이한 위치에서 동일한 항목을 측정한 경우 측정 데이터를 기초하여 평균 데이터를 산출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출력부(260)를 통하여 피부 상태 측정 결과 정보를 표시하고, 그에 따른 처리 이력 데이터 및 결과 데이터 등을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70)는 사용자 요청 등에 의하여 저장부(250)에 누적된 피부 측정 상태의 누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 변화 정보 및 그 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첨부 도면 및 상기와 같은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 한다.
100: 피부 상태 측정기
110: 측정부
111: 피부 탄력도 측정 모듈 112: 광원
113: 피부 톤측정 모듈 114: 피부 밝기 측정 모듈
115: 피부 광택 측정 모듈
120: 통신부 130: 저장부
140: 사용자 입력부 150: 출력부
160: 제어부 170: 전원공급부
200: 휴대단말기
210: 통신부
211: 이동통신 모듈 212: 근거리 통신 모듈
213: 무선 인터넷 모듈
220: AV입력부 230: 사용자 입력부
240: 인터페이스부 250: 저장부
260: 출력부
261: 디스플레이부 262: 음향출력모듈
270: 제어부 280: 전원공급부

Claims (11)

  1. 피부 접촉면의 상태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피부 상태 측정 항목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데이터를 기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피부 상태 측정 데이터 및 측정 데이터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피부 탄력도를 측정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도 측정 모듈;
    피부 접촉면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의 반사광에 의해 피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탄력도 측정 모듈은
    피부 접촉면을 흡입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흡입된 피부 접촉면의 상승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피부 접촉면에 반사되는 정도에 따라 피부의 광택 정도를 판별하는 피부 광택 측정 모듈, 피부 톤 측정 모듈, 피부 밝기 측정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 연결된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피부 상태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
  6. 제1항에 잇어서,
    상기 측정부는
    동일한 피부 상태 측정 항목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서 소정 횟수 측정하거나, 상이한 측정 위치에서 측정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
  7. 피부 상태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피부 상태 측정 데이터를 기 설정된 목적지로 전송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로부터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측정 항목에 따라 분석 및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된 피부 상태 측정 데이터의 측정 항목에 대한 값과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피부 상태 측정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측정 항목에 대한 값 과 기준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생성된 피부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피부 상태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 시 측정 위치에 대한 정보와 측정 항목에 대한 결과 정보를 포함하여 출력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확인하고, 동일한 위치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복수개이면 해당 데이터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측정 장치와 상기 휴대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피부 상태 측정 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50143225A 2015-10-14 2015-10-14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37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225A KR102437294B1 (ko) 2015-10-14 2015-10-14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225A KR102437294B1 (ko) 2015-10-14 2015-10-14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762A true KR20170043762A (ko) 2017-04-24
KR102437294B1 KR102437294B1 (ko) 2022-08-29

Family

ID=5870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225A KR102437294B1 (ko) 2015-10-14 2015-10-14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2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323A1 (ko) * 2021-06-07 2022-12-15 주식회사 스킨코드 개인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의 피부 분석 방법
KR20230079899A (ko) 2021-11-29 2023-06-07 (주)스톤랩 시각 인공지능 활용 비침습 피부 생체지표 추정 기반 피부염 판별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338289A (zh) * 2023-11-22 2024-01-05 上海长征医院 腰部支撑智能保护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7904A (ko) * 2007-01-05 2009-09-16 마이스킨 인크 피부 이미징을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090101530A (ko) * 2008-03-24 2009-09-2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피부탄력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30919A (ko) * 2008-09-11 2010-03-1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진단 시스템 및 피부 진단 방법
JP2012247269A (ja) * 2011-05-26 2012-12-13 Sharp Corp 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7904A (ko) * 2007-01-05 2009-09-16 마이스킨 인크 피부 이미징을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090101530A (ko) * 2008-03-24 2009-09-2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피부탄력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30919A (ko) * 2008-09-11 2010-03-1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진단 시스템 및 피부 진단 방법
JP2012247269A (ja) * 2011-05-26 2012-12-13 Sharp Corp 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323A1 (ko) * 2021-06-07 2022-12-15 주식회사 스킨코드 개인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의 피부 분석 방법
KR20230079899A (ko) 2021-11-29 2023-06-07 (주)스톤랩 시각 인공지능 활용 비침습 피부 생체지표 추정 기반 피부염 판별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338289A (zh) * 2023-11-22 2024-01-05 上海长征医院 腰部支撑智能保护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294B1 (ko) 202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8391B2 (ja) 身体情報検知装置及びその身体情報検知方法
KR101745372B1 (ko) 식품 상태 측정 장치, 식품 상태 측정 모듈,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장치
KR102655878B1 (ko) Pwv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혈압 값을 산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혈압 값 산출 방법
US201402348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otion interaction based on biological signals
US9329680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iris scanning and proximity sensing
US20170061212A1 (en) System and method
US11449997B2 (en) Skin condition measuring module
KR20190020958A (ko)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광원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793468B1 (ko) Ar을 이용한 셀프 뷰티앱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US20170316155A1 (en) Automatically assessing an anatomical surface feature and securely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ame
KR102599926B1 (ko) 혈압 정보에 기반하여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US11210932B2 (en) Discovery of and connection to remote devices
KR102437294B1 (ko)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70007030A (ko) 개인화된 피부관련데이터 제공방법
KR20200137919A (ko) 피부 케어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US11968484B2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registration of measuring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JP2020534896A5 (ko)
JP2021141589A (ja) ウェアラブル端末、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KR102293333B1 (ko) 식품의 상태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의 상태 측정 시스템
WO2019117032A1 (ja) 非接触ガス計測装置、非接触ガス計測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非接触ガス計測方法
US119747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urine analysis and personal health monitoring
US20190086263A1 (en) Reflectomete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KR102123598B1 (ko) 피부 진단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6716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116000A (ko) 피부 진단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