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000A - 피부 진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피부 진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000A
KR20150116000A KR1020140039917A KR20140039917A KR20150116000A KR 20150116000 A KR20150116000 A KR 20150116000A KR 1020140039917 A KR1020140039917 A KR 1020140039917A KR 20140039917 A KR20140039917 A KR 20140039917A KR 20150116000 A KR20150116000 A KR 20150116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kin
skin condition
terminal de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5348B1 (ko
Inventor
이주애
김기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039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348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61B5/1172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using finger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진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은, 지문인식 센서를 활성화 하는 단계, 상기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피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피부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간편하게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의 피부 상태에 맞는 컨텐츠 정보를 확인하고, 그 컨텐츠 정보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진단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KIN DIAGNOSIS}
본 발명은 피부 진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용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피부과 병원, 피부관리실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피부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화장품, 의약품 등을 이용하여 피부 관리를 하고 있다.
사람들의 피부 상태는 주위 환경에 시시각각 달라지며, 개인마다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적절한 관리를 위해서 정확한 피부 상태 진단 및 분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피부 상태의 진단을 위해서는 피부과 병원이나 피부관리실 등에서 전문적인 의료장비들을 통해 모공의 확대 사진을 촬영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피부 상태를 진단하여 분석하게 된다.
하지만, 단순히 피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화장품 등의 사용에 따른 변화추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피부과 병원이나 피부관리실 등에 방문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비용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보다 간편하게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하고 진단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피부 진단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피부 상태 확인 후, 자신의 피부 상태에 맞는 컨텐츠 정보를 확인하고, 그 컨텐츠 정보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은, 지문인식 센서를 활성화 하는 단계, 상기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피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피부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피부 진단 방법은, 단말 장치로부터 피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피부 정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은, 지문인식 센서를 활성화 하는 단계, 상기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피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피부 정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피부 진단 방법은, 단말 장치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을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이 저장되고, 상기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을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은, 지문인식 센서를 활성화 하는 단계, 상기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피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피부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피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피부 정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생성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을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이 저장되고, 상기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을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은, 지문인식 센서를 활성화 하는 단계, 상기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피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피부 정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생성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간편하게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의 피부 상태에 맞는 컨텐츠 정보를 확인하고, 그 컨텐츠 정보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 센서와 지문인식 센서를 통한 피부 정보 획득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피부 진단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피부 진단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피부 정보란,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정량적인 정보를 의미한다. 피부 정보는 모공 정보, 주름 정보, 피부색, 피부 온도, 색소 침착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공 정보는 단위 면적당 모공의 개수, 모공의 방향, 모공의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주름 정보는 단위 면적당 주름의 개수(또는 주름 전체의 길이), 주름의 각도, 주름의 너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피부 상태 정보는 정량적인 피부 정보의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물을 의미한다. 피부 상태 정보는 피부 탄력도, 피부 나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컨텐츠 정보는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정보를 의미한다. 컨텐츠 정보는 해당 피부 상태에 맞는 제품 정보, 피부 관리 정보, 동일 피부 타입 유저의 개선 후기, 동일 피부 타입 유저와 함께 사용하는 제품의 구매 혜택, 해당 피부 상태의 변화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 장치(110), 서버(120) 및 네트워크(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는 컴퓨터, PC, 노트북, 태블릿 PC, 휴대폰 등 네트워크(110)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20)는 네트워크(130)를 통해 사용자, 즉, 단말 장치(110)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130)는 인터넷, 인트라넷 등 단말 장치(110)가 접속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는 통신부(210), 표시부(220), 저장부(230), 지문인식 센서(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부(210)는 유선 통신부 및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210)는 단말 장치(200)와 유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 장치(200)가 포함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유무선 랜(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모듈, 이동통신 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단말 장치(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표시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CD),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벤디드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그리고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명형으로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200)는 피부 상태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저장부(2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 또는 XD 카드)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30)는 피부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지문인식 센서(240)는 단말 장치(200)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문인식 센서(240)는, 광학식 센서, 열 감지식 센서, 정전식 센서, 반도체식 및 전기장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 센서(2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지문인식 센서는 지문을 인식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피부 정보란,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정량적인 정보를 의미한다. 피부 정보는 모공 정보, 주름 정보, 피부색, 피부 온도, 색소 침착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공 정보는 단위 면적당 모공의 개수, 모공의 방향, 모공의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주름 정보는 단위 면적당 주름의 개수(또는 주름 전체의 길이), 주름의 각도, 주름의 너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지문인식 센서(240)는 지문의 모양, 패턴의 높낮이 등을 인식하는 것과 동일하게 주름 정보와 모공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피부 정보 획득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 센서와 지문인식 센서를 통한 피부 정보 획득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 장치(2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 센서(410)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인식 센서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단말 장치(200)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그 동작 방식도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지문인식 센서(410)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접촉시키면, 단말 장치는 지문인식 센서(410)를 통해 피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입 주변 피부 진단을 위하여,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가 지문인식 센서(410)를 진단하고자 하는 부위에 위치시켜 피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단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250)는 단말 장치(200)의 피부 진단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피부 진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지문인식 센서(240)를 활성화하여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피부 정보란,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 받은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정량적인 정보를 의미한다.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피부 정보는 모공 정보, 주름 정보, 피부색, 피부 온도, 색소 침착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공 정보는 단위 면적당 모공의 개수, 모공의 방향, 모공의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주름 정보는 단위 면적당 주름의 개수(또는 주름 전체의 길이), 주름의 각도, 주름의 너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지문인식 센서(240)를 통해 획득하는 피부 정보는 이후 피부 상태를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이 경우, 제어부(250)는 카메라 모듈부(미도시)를 보조 수단으로 하여 추가적인 피부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획득한 피부 정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피부 상태 정보는 정량적인 피부 정보의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물을 의미한다. 피부 상태 정보는 피부 탄력도, 피부 나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제어부(250)는 단위 면적당 모공의 개수, 모공의 방향, 모공의 크기, 주름 정보는 단위 면적당 주름의 개수(또는 주름 전체의 길이), 주름의 각도, 주름의 너비 등을 분석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피부 상태 분석 시 이용되는 피부 정보는 획득하는 피부 정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어부(250)는 피부 정보 또는 피부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피부 상태 정보 또는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50)는 피부 상태 정보 또는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부(2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는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정보를 의미한다. 컨텐츠 정보는 해당 피부 상태에 맞는 제품 정보, 피부 관리 정보, 동일 피부 타입 유저의 개선 후기, 동일 피부 타입 유저와 함께 사용하는 제품의 구매 혜택, 해당 피부 상태의 변화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 제어부(250는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는 SNS나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공유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공유가 가능하다. SNS를 통해 컨텐츠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 공유 정보를 SNS 서버로 전송하고, 문자메시지를 통해 컨텐츠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 공유 정보를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방법으로 공유하는 경우에도 그 방법에 맞게 공유 정보를 상대방, 서버 또는 서비스 장치 등에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50)는 피부 상태 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피부 상태 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한 피부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이후 동일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분석하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상태와 비교 분석 등에 여러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단말 장치(200)는 카메라 모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부(미도시)는 피사체를 촬영하며,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미도시)와,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semiconductor) 센서가 될 수 있으며, 신호 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센서 및 신호 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부(미도시)는 피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가 진단하고자 하는 부위를 카메라 모듈부(미도시)로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를 통해 피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는 통신부(310), 저장부(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부(310)는 유선 통신부 및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310)는 서버(300)와 유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서버(300)가 포함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유무선 랜(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모듈, 이동통신 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320)는 제어부(3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저장부(3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 또는 XD 카드)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320)는 피부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330)는 서버(300)의 피부 진단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30)는 단말 장치(801)로부터 피부 정보 또는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330)는 수신한 피부 정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피부 상태 정보는 정량적인 피부 정보의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물을 의미한다. 피부 상태 정보는 피부 탄력도, 피부 나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제어부(330)는 단위 면적당 모공의 개수, 모공의 방향, 모공의 크기, 주름 정보는 단위 면적당 주름의 개수(또는 주름 전체의 길이), 주름의 각도, 주름의 너비 등을 분석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피부 상태 분석 시 이용되는 피부 정보는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330)는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피부 상태 정보는 수신한 피부 정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를 분석하여 생성한 것일 수도 있고,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도 있다. 컨텐츠 정보는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정보를 의미한다. 컨텐츠 정보는 해당 피부 상태에 맞는 제품 정보, 피부 관리 정보, 동일 피부 타입 유저의 개선 후기, 동일 피부 타입 유저와 함께 사용하는 제품의 구매 혜택, 해당 피부 상태의 변화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 정보가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경우, 사용자가 제품 정보를 선택하여 바로 제품을 구매할 수도 있도록 제품 구매 사이트로 연결 링크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502)는 피부 상태 정보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새롭게 생성할 수도 있고, 이미 생성된 다수 개의 정보 중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컨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330)는 피부 상태 정보 또는 컨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피부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502)는 피부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한 피부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이후 동일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분석하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상태와 비교 분석 등에 여러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먼저, 단말 장치(501)는 510 단계에서 지문인식 센서를 활성화하고, 520 단계로 진행하여 활성화된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정보를 획득한다. 단말 장치(501)는 피부 상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530 단계에서 획득한 피부 정보를 서버(502)로 전송한다.
서버(502)는 540 단계에서, 단말 장치(501)로부터 수신한 피부 정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 분석을 수행한다. 그 후, 서버(502)는 피부 상태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고, 560 단계에서 피부 상태 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단말 장치(501)로 전송한다.
단말 장치(501)는 570 단계에서 서버(502)로부터 수신한 피부 상태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피부 상태와 그에 맞는 컨텐츠 정보를 알려주고, 580 단계로 진행하여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단말 장치(501)와 서버(502)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단말 장치(501)는 610 단계에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피부 진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620 단계에서 지문인식 센서를 활성화한다.
그 후, 단말 장치(501)는 630 단계에서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정보를 획득한다. 피부 정보란,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 받은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정량적인 정보를 의미한다.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피부 정보는 모공 정보, 주름 정보, 피부색, 피부 온도, 색소 침착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공 정보는 단위 면적당 모공의 개수, 모공의 방향, 모공의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주름 정보는 단위 면적당 주름의 개수(또는 주름 전체의 길이), 주름의 각도, 주름의 너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630 단계에서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획득하는 피부 정보는 이후 피부 상태를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피부 정보 획득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 센서와 지문인식 센서를 통한 피부 정보 획득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 장치(50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 센서(410)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인식 센서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단말 장치(501)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그 동작 방식도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지문인식 센서(410)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접촉시키면, 단말 장치는 지문인식 센서(410)를 통해 피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입 주변 피부 진단을 위하여, 단말 장치(501)의 사용자가 지문인식 센서(410)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위치시켜 피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501)는 카메라 모듈부(미도시)를 보조 수단으로 하여 추가적인 피부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501)는 640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피부 진단 여부를 결정한다. 640 단계에서 단말 장치(501)가 피부 진단을 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단말 장치(501)는 650 단계로 진행하여 획득한 피부 정보를 서버(502)로 전송한다. 이 경우, 단말 장치(501)는 서버(502)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와 함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이를 서버(502)로 알려줄 수 있다. 640 단계에서 단말 장치(501)가 피부 진단을 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단말 장치(501)는 피부 진단 과정을 종료한다.
그 후, 단말 장치(501)는 660 단계에서 서버(502)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670 단계에서 수신한 피부 상태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650 단계에서 피부 상태 정보와 함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기로 결정한 경우). 피부 상태 정보는 정량적인 피부 정보의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물을 의미한다. 피부 상태 정보는 피부 탄력도, 피부 나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컨텐츠 정보는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정보를 의미한다. 컨텐츠 정보는 해당 피부 상태에 맞는 제품 정보, 피부 관리 정보, 동일 피부 타입 유저의 개선 후기, 동일 피부 타입 유저와 함께 사용하는 제품의 구매 혜택, 해당 피부 상태의 변화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 정보가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경우, 사용자는 제품 정보를 선택하여 바로 제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501)는 제품 구매 사이트로 연결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단말 장치(501)는 680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의 공유 여부를 결정한다. 680 단계에서 단말 장치(501)가 컨텐츠를 공유 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단말 장치(501)는 690 단계로 진행하여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를 전송한다. 컨텐츠 정보는 SNS나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공유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공유가 가능하다. SNS를 통해 컨텐츠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 공유 정보를 SNS 서버로 전송하고, 문자메시지를 통해 컨텐츠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 공유 정보를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방법으로 공유하는 경우에도 그 방법에 맞게 공유 정보를 상대방, 서버 또는 서비스 장치 등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장치(501)는 피부 진단 과정 중 서버(502)로부터 수신한 피부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말 장치(501)는 피부 상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한 피부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이후 동일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분석하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상태와 비교 분석 등에 여러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말 장치(501)가 680 단계에서 컨텐츠를 공유 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단말 장치(501)는 피부 진단 과정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피부 진단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서버(502)는 710 단계에서 단말 장치(501)로부터 피부 정보를 수신한다. 이 경우, 서버(502)는 단말 장치(501)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와 함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함께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서버(502)는 720 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피부 정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피부 상태 정보는 정량적인 피부 정보의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물을 의미한다. 피부 상태 정보는 피부 탄력도, 피부 나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서버(502)는 단위 면적당 모공의 개수, 모공의 방향, 모공의 크기, 주름 정보는 단위 면적당 주름의 개수(또는 주름 전체의 길이), 주름의 각도, 주름의 너비 등을 분석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피부 상태 분석 시 이용되는 피부 정보는 단말 장치(501)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다음으로, 서버(502)는 730 단계로 진행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정보를 생성한다(710 단계에서 단말 장치(501)가 피부 상태 정보와 함께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기로 한 경우). 컨텐츠 정보는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정보를 의미한다. 컨텐츠 정보는 해당 피부 상태에 맞는 제품 정보, 피부 관리 정보, 동일 피부 타입 유저의 개선 후기, 동일 피부 타입 유저와 함께 사용하는 제품의 구매 혜택, 해당 피부 상태의 변화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 정보가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경우, 사용자가 제품 정보를 선택하여 바로 제품을 구매할 수도 있도록 제품 구매 사이트로 연결 링크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502)는 피부 상태 정보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새롭게 생성할 수도 있고, 이미 생성된 다수 개의 정보 중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컨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 후, 서버(502)는 740 단계로 진행하여 피부 상태 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단말 장치(501)로 전송하고, 750 단계로 진행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502)는 피부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한 피부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이후 동일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분석하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상태와 비교 분석 등에 여러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먼저, 단말 장치(801)는 810 단계에서 지문인식 센서를 활성화하고, 815 단계로 진행하여 활성화된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정보를 획득한다. 그 후, 단말 장치(801)는 820 단계에서 획득한 피부 정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를 분석하고,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825 단계에서 생성한 피부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단말 장치(801)는 830 단계에서 피부 상태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820 단계에서 생성한 피부 상태 정보를 서버(802)로 전송한다.
서버(802)는 835 단계에서, 단말 장치(801)로부터 수신한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고, 840 단계에서 컨텐츠 정보를 단말 장치(801)로 전송한다.
단말 장치(801)는 845 단계에서 서버(802)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피부 상태와 그에 맞는 컨텐츠 정보를 알려주고, 850 단계로 진행하여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단말 장치(801)와 서버(802)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단말 장치(801)는 905 단계에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피부 진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910 단계에서 지문인식 센서를 활성화한다.
그 후, 단말 장치(801)는 915 단계에서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정보를 획득한다. 피부 정보란,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 받은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정량적인 정보를 의미한다.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피부 정보는 모공 정보, 주름 정보, 피부색, 피부 온도, 색소 침착 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공 정보는 단위 면적당 모공의 개수, 모공의 방향, 모공의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주름 정보는 단위 면적당 주름의 개수(또는 주름 전체의 길이), 주름의 각도, 주름의 너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915 단계에서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획득하는 피부 정보는 이후 피부 상태를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피부 정보 획득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인식 센서와 지문인식 센서를 통한 피부 정보 획득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 장치(80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 센서(410)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인식 센서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단말 장치(801)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그 동작 방식도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지문인식 센서(410)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접촉시키면, 단말 장치는 지문인식 센서(410)를 통해 피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입 주변 피부 진단을 위하여, 단말 장치(801)의 사용자가 지문인식 센서(410)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위치시켜 피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801)는 카메라 모듈부(미도시)를 보조 수단으로 하여 추가적인 피부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나아가, 단말 장치(801)는 920 단계로 진행하여 획득한 피부 정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피부 상태 정보는 정량적인 피부 정보의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물을 의미한다. 피부 상태 정보는 피부 탄력도, 피부 나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단말 장치(801)는 단위 면적당 모공의 개수, 모공의 방향, 모공의 크기, 주름 정보는 단위 면적당 주름의 개수(또는 주름 전체의 길이), 주름의 각도, 주름의 너비 등을 분석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피부 상태 분석 시 이용되는 피부 정보는 915 단계에서 획득하는 피부 정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그 후, 단말 장치(801)는 925 단계에서 생성한 피부 상태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93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서버(802)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말 장치(801)가 930 단계에서 서버(802)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기로 결정한 경우, 단말 장치(801)는 935 단계로 진행하여 920 단계에서 생성한 피부 상태 정보를 서버(802)로 전송한다.
단말 장치(801)가 930 단계에서 서버(802)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단말 장치(801)는 피부 진단 과정을 종료한다.
단말 장치(801)는 940 단계에서 서버(802)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945 단계에서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컨텐츠 정보는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정보를 의미한다. 컨텐츠 정보는 해당 피부 상태에 맞는 제품 정보, 피부 관리 정보, 동일 피부 타입 유저의 개선 후기, 동일 피부 타입 유저와 함께 사용하는 제품의 구매 혜택, 해당 피부 상태의 변화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 정보가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경우, 사용자는 제품 정보를 선택하여 바로 제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801)는 제품 구매 사이트로 연결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단말 장치(801)는 950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의 공유 여부를 결정한다. 950 단계에서 단말 장치(801)가 컨텐츠를 공유 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단말 장치(801)는 955 단계로 진행하여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를 전송한다. 컨텐츠 정보는 SNS나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공유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공유가 가능하다. SNS를 통해 컨텐츠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 공유 정보를 SNS 서버로 전송하고, 문자메시지를 통해 컨텐츠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 공유 정보를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방법으로 공유하는 경우에도 그 방법에 맞게 공유 정보를 상대방, 서버 또는 서비스 장치 등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장치(801)는 피부 진단 과정 중 생성한 피부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말 장치(801)는 피부 상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한 피부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이후 동일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분석하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상태와 비교 분석 등에 여러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말 장치(801)가 950 단계에서 컨텐츠를 공유 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단말 장치(801)는 피부 진단 과정을 종료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피부 진단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서버(802)는 1010 단계에서 단말 장치(801)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서버(802)는 1020 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정보를 생성한다. 컨텐츠 정보는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정보를 의미한다. 컨텐츠 정보는 해당 피부 상태에 맞는 제품 정보, 피부 관리 정보, 동일 피부 타입 유저의 개선 후기, 동일 피부 타입 유저와 함께 사용하는 제품의 구매 혜택, 해당 피부 상태의 변화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 정보가 컨텐츠 정보에 포함된 경우, 사용자가 제품 정보를 선택하여 바로 제품을 구매할 수도 있도록 제품 구매 사이트로 연결 링크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802)는 피부 상태 정보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새롭게 생성할 수도 있고, 이미 생성된 다수 개의 정보 중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컨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 후, 서버(802)는 1030 단계로 진행하여 피부 상태 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단말 장치(801)로 전송하고, 1040 단계로 진행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802)는 피부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에 대한 피부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이후 동일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분석하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상태와 비교 분석 등에 여러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로 구현되어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명령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서 특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는 수단을 생성할 수 있다. 흐름도/블록도들에서의 각 블록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모듈 또는 로직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블록도들에 언급한 기능들은 도면들에서 언급한 순서를 벗어나 발생할 수도 있고,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ROM,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메모리, CD-ROM, 및 다른 영구 저장부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매체가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210: 통신부
220: 표시부
230: 저장부
240: 지문인식 센서
250: 제어부
310: 통신부
320: 저장부
330: 제어부

Claims (20)

  1.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에 있어서,
    지문인식 센서를 활성화 하는 단계;
    상기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피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피부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의 공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를 공유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상기 피부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피부 진단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피부 진단을 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피부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방법.
  5. 서버의 피부 진단 방법에 있어서,
    단말 장치로부터 피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피부 정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방법.
  8.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에 있어서,
    지문인식 센서를 활성화 하는 단계;
    상기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피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피부 정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의 공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를 공유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정보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방법.
  12. 서버의 피부 진단 방법에 있어서,
    단말 장치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방법.
  14.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을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이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을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은,
    지문인식 센서를 활성화 하는 단계;
    상기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피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피부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을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
  16.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피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피부 정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생성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생성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을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이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을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은,
    지문인식 센서를 활성화 하는 단계;
    상기 지문인식 센서를 통해 피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피부 정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를 분석하여 피부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피부 진단 방법을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은,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
  20.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피부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생성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40039917A 2014-04-03 2014-04-03 피부 진단 방법 및 장치 KR102175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917A KR102175348B1 (ko) 2014-04-03 2014-04-03 피부 진단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917A KR102175348B1 (ko) 2014-04-03 2014-04-03 피부 진단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000A true KR20150116000A (ko) 2015-10-15
KR102175348B1 KR102175348B1 (ko) 2020-11-09

Family

ID=5435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917A KR102175348B1 (ko) 2014-04-03 2014-04-03 피부 진단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3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966A1 (ko) * 2020-02-28 2021-09-02 박행운 피부관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076730A (ko) * 2020-12-01 2022-06-08 (주)와이즈콘 머신러닝을 이용한 피부 이미지 분석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6778A (ko) * 2004-12-27 2007-10-02 가부시끼가이샤 디디에스 피부 평가 방법 및 피부 평가 장치
KR20130107848A (ko) * 2012-03-23 2013-10-02 김정열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6778A (ko) * 2004-12-27 2007-10-02 가부시끼가이샤 디디에스 피부 평가 방법 및 피부 평가 장치
KR20130107848A (ko) * 2012-03-23 2013-10-02 김정열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966A1 (ko) * 2020-02-28 2021-09-02 박행운 피부관리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076730A (ko) * 2020-12-01 2022-06-08 (주)와이즈콘 머신러닝을 이용한 피부 이미지 분석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348B1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3073B2 (en) Automatically assessing an anatomical surface feature and securely manag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ame
US20220344044A1 (en) User-customized skin diagnosis system and method
JP6295229B2 (ja) 表面状態撮影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面状態撮影表示方法
KR102581945B1 (ko) 스킨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61231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gree of conjunctival hyperemia by using same
US201900876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al recognition
US20210022603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computer assisted eye examinations
US202002344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analysis of skin conditions
KR20180109109A (ko) 홍채 기반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180922B1 (ko) 멀티모달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분산형 엣지 컴퓨팅 기반 피부 질환 분석 디바이스
US202200514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or skin condi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ptions
KR20160123644A (ko) 스마트 미러 장치 및 사용자 맞춤형 영상 제공 방법
US20170004288A1 (en) Interactive and multimedia medical repor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10077533A (ko) 사용자 얼굴 피부 분석 방법 및 서버
US11497455B2 (en) Personalized monitoring of injury rehabilitation through mobile device imaging
CN108038473B (zh) 用于输出信息的方法和装置
KR20150116000A (ko) 피부 진단 방법 및 장치
KR20200031884A (ko) 병충해 감지 장치 및 방법
US20210201492A1 (en) Image-based skin diagnostics
KR102123598B1 (ko) 피부 진단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51240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medical care
KR20200054839A (ko) 플렌옵틱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애완동물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044797A1 (en) Facilitating integration of medical devices into computing devices for generating and operating smart medical devices
KR20220094062A (ko) WebRTC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 공유기능을 제공하는 피부질환 영상 관리 시스템
WO2021138481A1 (en) High-resolution and hyperspectral imaging of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