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1973A -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 - Google Patents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1973A
KR20170041973A KR1020150141299A KR20150141299A KR20170041973A KR 20170041973 A KR20170041973 A KR 20170041973A KR 1020150141299 A KR1020150141299 A KR 1020150141299A KR 20150141299 A KR20150141299 A KR 20150141299A KR 20170041973 A KR20170041973 A KR 20170041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oldable chair
coupled
member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우
Original Assignee
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우 filed Critical 강진우
Priority to KR1020150141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1973A/ko
Publication of KR2017004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A47C4/30Attachment of upholstery or fabric to frame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아웃도어용 의자로 사용되는 접이식 의자의 등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쉽게 탈착하도록 구성되며, 미사용 또는 이동시에는 쉽게 접어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6갈래로 분기되는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돌출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끝단부에 머리 받침부재가 삽입되는 상부 부재; 상기 몸체의 중간부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끝단부에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접이식 의자의 등판지지 파이프 상부에 결합되는 중간 부재; 및 상기 몸체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끝단부에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접이식 의자의 등판지지 파이프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Neck supporter for foldable chair}
본 발명은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아웃도어용 의자로 사용되는 접이식 의자의 등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쉽게 탈착하도록 구성되며, 미사용 또는 이동시에는 쉽게 접어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이라 함은 텐트 또는 임시로 지은 초막 등에서 일시적인 야외생활을 하는 여가활동을 일컫는 것으로, 자연 속에서 서로의 인격에 접촉하는 소박한 협동생활을 함으로써 우호적인 인간관계를 맺으며 등산, 수영, 낚시 기타 야외 활동을 통해 자연에서 배울 뿐만 아니라 신체를 단련하여 일상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근래에는 무분별한 야영 또는 노영에 의해 자연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장실, 샤워실, 전기 공급을 위한 발전기 등의 편의시설을 갖춘 캠핑장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문 야외캠핑장이 많이 생기면서 가족친지들 또는 동호회 회원들 위주로 야외캠핑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야외캠핑에 추세에 발맞추어 예전과는 달리 전문 야외용 텐트와, 식탁도구와, 취사도구와 그리고 야외에서 휴식을 위한 릴랙스 의자 등이 많이 판매되고 있다.
릴랙스 의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프레임에 천 재질의 의자커버를 씌워서 사용하고, 휴대와 보관 및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 접철식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접철식 의자를 휴식을 위해 펼쳤을 때 다리가 위치하는 부분은 높게, 엉덩이가 위치하는 부분는 상기 다리가 위치하는 부분보다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 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따라서 사람이 릴랙스 의자에 앉게 되면 편안한 자세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릴랙스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는 사람의 몸이 뒤로 젖혀지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뒤로 기울어지게 되어 의자와 사람 몸이 일체로 넘어지게 되어 큰 부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목받침이 구비되는 릴랙스 의자를 별도로 구매하여야 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사용하던 릴렉스 의자는 폐기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따.
공개특허 제10-2014-13500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아웃도어용 의자로 사용되는 접이식 의자의 등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쉽게 탈착하도록 구성되며, 미사용 또는 이동시에는 쉽게 접어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6갈래로 분기되는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돌출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끝단부에 머리 받침부재가 삽입되는 상부 부재; 상기 몸체의 중간부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끝단부에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접이식 의자의 등판지지 파이프 상부에 결합되는 중간 부재; 및 상기 몸체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끝단부에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접이식 의자의 등판지지 파이프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는, 상부 파이프 및 하부파이프가 서로 삽입되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상부 부재, 중간 부재 및 하부 부재가 분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 중간 부재 및 하부 부재는, 파이프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내측 중심과 각 부재의 끝단은 서로 탄성밴드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 및 하부 부재는, 중간부가 서로 나사결합되도록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에 의하면, 의자의 등판 사이즈에 관계없이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의자에 쉽게 탈착할 수 있어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사용 또는 이동시에는 상부, 중간, 하부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는 탄성밴드에 의해 쉽게 접을 수 있어 공간 활용 및 휴대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넥 서포터가 접이식 의자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넥 서포터가 접히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몸체부를 부분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넥 서포터가 접이식 의자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넥 서포터가 접히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몸체부를 부분확대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6갈래로 분기되는 몸체(100)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10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대략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100) 상부에 돌출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끝단부에 머리 받침부재(200)가 삽입되는 상부 부재(11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부재(110)는, 대략 V형태로 형성되며, 그 끝단부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받침부재(200)가 상부로부터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중간부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끝단부에 결합부재(121)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121)가 접이식 의자(300)의 등판지지 파이프(310) 상부에 결합되는 중간 부재(120)가 구비된다. 상기 중간 부재(120)는 몸체(100)를 기준으로 대략 직선과 같이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끝단부에 결합부재(131)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131)가 접이식 의자(300)의 등판지지 파이프(310)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부재(13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부재(130)는 몸체(100)의 하부에 대략 ∧형태로 형성된다.
즉,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부재(110), 중간 부재(120) 및 하부 부재(130)는, 몸체(10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각 결합부재(121)는 도면에 삽입고리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다른 방식의 부재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즉 의자를 구성하는 뼈대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결합부재를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부재(110), 중간 부재(120) 및 하부 부재(130)는, 파이프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내측 중심과 각 부재(110, 120, 130)의 끝단은 서로 탄성밴드(140)에 의해 결속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미사용시 보관 또는 이동 시 부피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부 부재(110)는, 상기한 중간 부재(120) 및 하부 부재(130)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파이프(111) 및 하부파이프(112)로 분리 형성하고, 서로가 삽입되어 결속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부재(110), 중간 부재(120) 및 하부 부재(130)가 분기되는 부분에 보강부재(10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체중은 약 60~80kg 내지 그 이상이며, 상기한 몸체(100)의 경우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장시간 접이식 의자(300) 및 이에 설치되는 넥 서포터는 큰 하중을 받아 몸체(100)가 파손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보강부재(101)를 더 형성하여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의 변형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의 변형예는 상기한 도 2 내지 7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상기 중간 부재(120) 및 하부 부재(130)의 각 중간부를 서로 나사결합되도록 분리하여 구성되는 것이 상이하다. 이는 접이식 의자의 경우 등판의 폭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등판의 폭에 맞춰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를 조절하여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접이식 의자에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를 장착할 시 양 쪽이 서로 균형을 잘 이루도록 상기 나사결합되는 중간 부재(120) 및 하부 부재(130)를 서로 풀거나 조이면서 넥 서포터가 균형을 이루게 의자에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몸체 101 : 보강부재
110 : 상부부재 111 : 상부 파이프
112 : 하부 파이프 120 : 중간 부재
121 : 결합부재 130 : 하부 부재
131 : 결합부재 140 : 탄성밴드
200 : 머리 받침부재 300 : 접이식 의자
310 : 등판지지 파이프

Claims (5)

  1. 중심부를 기준으로 6갈래로 분기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 상부에 돌출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끝단부에 머리 받침부재(200)가 삽입되는 상부 부재(110);
    상기 몸체(100)의 중간부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끝단부에 결합부재(121)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121)가 접이식 의자(300)의 등판지지 파이프(310) 상부에 결합되는 중간 부재(120); 및
    상기 몸체(10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끝단부에 결합부재(131)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131)가 접이식 의자(300)의 등판지지 파이프(310)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110)는,
    상부 파이프(111) 및 하부파이프(112)가 서로 삽입되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기 상부 부재(110), 중간 부재(120) 및 하부 부재(130)가 분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보강부재(10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110), 중간 부재(120) 및 하부 부재(130)는,
    파이프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내측 중심과 각 부재(110, 120, 130)의 끝단은 서로 탄성밴드(140)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120) 및 하부 부재(130)는,
    중간부가 서로 나사결합되도록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
KR1020150141299A 2015-10-08 2015-10-08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 KR20170041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299A KR20170041973A (ko) 2015-10-08 2015-10-08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299A KR20170041973A (ko) 2015-10-08 2015-10-08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973A true KR20170041973A (ko) 2017-04-18

Family

ID=5870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299A KR20170041973A (ko) 2015-10-08 2015-10-08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19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728B1 (ko) 캠핑용 의자
US20180168364A1 (en) Portable baby-changing table apparatus attachable to a baby stroller
KR200172215Y1 (ko) 절첩식 흔들의자
WO2019210831A1 (zh) 球状吊椅
US9642424B1 (en) Suitcase with foldable seat
JP2017507767A (ja) 簡易椅子のフレーム構造体
KR20170041973A (ko) 접이식 의자용 넥 서포터
US10159349B1 (en) Folding sofa
JP2016034461A (ja) 携帯用折り畳み式椅子
KR200476869Y1 (ko) 용접부를 구비한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TWM546755U (zh) 摺椅結構改良
US9414687B2 (en) Collapsible seat and storage apparatus
KR20170003840A (ko) 조립식 휴대 의자
KR101337293B1 (ko) 의자 겸용 미끄럼틀
KR20130002873U (ko) 어린이용 접이식의자
KR101510733B1 (ko) 휴대용 의자
KR200494643Y1 (ko) 휴대가 가능한 가변형 낚시좌대
KR200476870Y1 (ko) 용접부를 구비한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KR20130006647U (ko) 자유변형 가구
CN211065453U (zh) 可折叠式便捷户外桌
KR20130004781U (ko) 접철식 캠핑 의자
US11234521B2 (en) Foldable camping seat
KR102056887B1 (ko) 접이식 휴대용 의자
TWM521960U (zh) 折合椅的椅架
TWI626937B (zh) Rehabilitation wal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