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1601A - 전자 장치 및 전자장치의 아이오티 디바이스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장치의 아이오티 디바이스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1601A
KR20170041601A KR1020150152244A KR20150152244A KR20170041601A KR 20170041601 A KR20170041601 A KR 20170041601A KR 1020150152244 A KR1020150152244 A KR 1020150152244A KR 20150152244 A KR20150152244 A KR 20150152244A KR 20170041601 A KR20170041601 A KR 20170041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eived
devices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2056B1 (ko
Inventor
엄태광
박정이
박현철
이시준
장수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280,27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419877B2/en
Priority to ES16853846T priority patent/ES2734052T3/es
Priority to EP19162732.2A priority patent/EP3515017B1/en
Priority to EP16853846.0A priority patent/EP3360286B1/en
Priority to PCT/KR2016/010944 priority patent/WO2017061730A1/en
Priority to CN201680058562.9A priority patent/CN108141382B/zh
Publication of KR20170041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601A/ko
Priority to US16/532,989 priority patent/US1159578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3Assignment of logical groups to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76Aspects of the degree of configuration auto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04L61/3015Name registration, generation or ass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76Aspects of the degree of configuration automation
    • H04L41/0886Fully automatic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제어방법은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디바이스간의 상관관계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 상기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다른 디바이스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그룹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그룹핑 단계; 및 상기 그룹에 포함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그룹 정보를 활용하여 디바이스의 이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장치의 아이오티 디바이스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IOT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전자장치의 아이오티(IoT :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댁내에 설치된 아이오티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설정하고 이를 통해 아이오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기술 및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한 사물에 통신기능이 포함되어 네크워크를 형성함으로써 편리하게 사물을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사물에 통신기능을 포함하여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것을 사물 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이라 하며 실 생활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다양한 사물(이하 '디바이스'로 칭함)을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디바이스들이 네트워크상에서 식별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각각의 디바이스를 게이트웨이에 등록하는 페어링 과정이 필요하다. 페어링 과정은 각각의 디바이스를 게이트웨이에 연결해야 하므로 복수의 디바이스를 게이트웨이와 페어링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절차가 필요하다.
복수의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연결된 복수의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각각의 디바이스를 게이트웨이에 등록하는 설정 과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20개의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20번의 설정과정이 필요하게 되므로 많은 절차와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에서는 댁내 또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복수의 디바이스 간의 상관관계를 결정하여 자동으로 복수의 디바이스를 설정하고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바이스 제어방법은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디바이스간의 상관관계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 상기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다른 디바이스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그룹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그룹핑 단계; 및 상기 그룹에 포함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부;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디바이스간의 상관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다른 디바이스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그룹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그룹에 포함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 는 전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 은 댁내에 배치된 디바이스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현관에 배치되는 디바이스의 배치위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두 개의 디바이스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컨텍스트(context)를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전자장치가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 은 데이터가 수신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전자장치가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디바이스간의 상관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두 개의 디바이스간의 상관계수에 기초하여 전자장치가 디바이스맵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디바이스맵에 표시된 특정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은 전자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디바이스맵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는 디바이스맵 및 사용자의 라이프 로그(life log) 데이터를 활용하여 디바이스 이름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b는 디바이스맵 및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8c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되거나 또는 디바이스에게 이벤트를 유발할 수 있는 사람일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전자장치(101), 디바이스(105, 107, 109), 허브(103) 및 제 2 전자장치(111) 가 도시되어 있다. 디바이스(105, 107, 109)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디바이스(105, 107, 109)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5, 107, 109)는 도어 센서, 모션 센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습도 센서, 전원 감지 센서, 가스 센서, 연기 센서, 수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센서는 사람의 동작을 감지하여 이벤트를 발생하거나 또는 외부 환경에 의해 이벤트를 발생하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 센서는 사용자가 문을 여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하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하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댁내의 특정 위치에 모션 센서가 부착된 경우, 제1 전자장치(101)는 댁내에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장치(101)는 특정 위치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센서가 부착된 공간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외부 환경이 기 설정된 온도에 근접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하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감지 센서는 전원 콘센트에 연결될 수 있으며 콘센트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전원이 켜지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하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디바이스(105,107,109)는 전자장치일 수 있으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동작하거나 또는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장치의 예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바이스(105,107,109)는 데이터를 허브(103)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에는 디바이스 고유 ID가 포함될 수 있다. 디바이스 고유 ID는 디바이스 제조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105,107,109)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벤트 발생시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허브(103)로 출력할 수 있다.
허브(103)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105,107,109)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허브(103)는 시간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수신된 데이터에 시간 정보를 부가하여 통신부를 통해 제1 전자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허브(103)는 수신된 데이터에 별도의 부가 데이터를 삽입하지 않고 제1 전자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허브(103)는 디바이스(105,107,109)와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제 1 방식의 통신을 사용하고 제1 전자장치(101)와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제 2 방식의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방식의 통신은 제 2 방식의 통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력소모가 작다. 예를 들면, 허브(103)는 디바이스(105,107,109)와 허브(103)간의 통신에는 직비(Zigbee) 통신을 이용하고, 제1 전자장치(101)와 허브(103)간의 통신에는 와이파이(WiFi)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직비는 저전력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예컨대 허브(103)는 댁내의 디바이스(105,107,109)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집해서 원거리에 있는 서버 또는 댁내에 있는 제1 전자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허브(103)는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거나 또는 TV와 같은 전자장치에 내장될 수 있다.
제 1 전자장치(101)는 예컨대 서버일 수 있다. 제 1 전자장치(101)는 다른 제2 전자장치(111)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전자장치(111)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제 1 전자장치(101)는 허브(10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적어도 두 개의 디바이스(105,107,109)간의 상관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1 전자장치(101)는 수신된 데이터에 시간 정보를 부가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또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에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수신된 경우, 제1 전자장치(101)는 시간 정보를 부가하지 않고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또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제 1 전자장치(101)는 제 2 전자장치(111)로 데이터 또는 데이터를 처리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제 2 전자장치(111)는 예컨대 TV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제 1 전자장치(10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에 대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장치(111)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아 제 1 전자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 는 전자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01)는 통신부(220), 메모리(230), 입력부(250), 디스플레이부(260) 및 프로세서(21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다른 전자장치(111), 허브(103) 또는 디바이스와 통신을 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다른 전자장치(111) 또는 허브(103)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면, WiFi 다이렉트(wireless fidelity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직비(Zigbe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 및 RF(radio frequency)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프로세서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 또는 NFC 모듈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NS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2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 (디지털)펜 센서(pen sensor), 키(key)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 및 UI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도 3 은 댁내에 배치된 디바이스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원(301, 302, 303, 304, 305, 306, 307)은 댁내에 배치된 디바이스의 실제 위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에서는 댁내에 배치된 디바이스를 예시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빌딩 내부 또는 특정 공간에 배치된 디바이스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원 내부의 숫자는 디바이스의 고유 ID일 수 있다. 디바이스 고유 ID 는 디바이스 제조 시 부여될 수 있다. 디바이스(301, 302, 303, 304, 305, 306)는 사람 또는 사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이며, 움직임이 감지되면, 디바이스(301, 302, 303, 304, 305, 306)는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307)는 도어센서이며, 문이 열리거나 닫힐 때, 디바이스(306)는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디바이스(301, 302, 303, 304, 305, 306, 307)는 데이터를 허브(103)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는 디바이스 ID 및 디바이스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가 모션 센서인 경우 모션이 감지되면,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디바이스가 도어 센서인 경우 문이 열리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복수의 디바이스 (301, 302, 303, 304, 305, 306, 307)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허브(103)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허브(103)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댁내에서의 사용자 이동 경로 또는 댁내에서의 사용자 컨텍스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현관에 도착하면 디바이스(301)에서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현관문을 열면 디바이스(307)에서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현관문을 닫고 댁내로 들어오면 디바이스(307) 및 디바이스(302)에서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디바이스(301, 307, 30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댁내로 들어온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댁내로 들어온 이후 거실을 통해 침실로 이동하는 경우, 디바이스(304) 및 디바이스(305)에서 순차적으로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복수의 디바이스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가 수신되는 순서 및 디바이스의 ID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 는 현관에 배치되는 디바이스(302)의 배치 위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를 참조하여,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높이를 2.4미터로 가정하면 디바이스(302)의 위치는 현관에서 1.5 내지 2미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도 5 는 두 개의 디바이스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컨텍스트(context)를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두 개의 디바이스는 도 3 에 도시한 도어 센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307) 및 현관(gate)에 배치된 모션 센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302)일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도어 센서 및 현관에 배치된 모션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컨텍스트(context)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네가지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t1 시간에 댁내에서 문을 열었다가 t2 시간에 댁내에서 문을 닫는 경우, 전자장치(101)는 t1 시간에서는 도어 센서 및 모션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t2 시간에는 도어 센서로부터는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고 모션 센서로부터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101)는 사용자가 댁내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컨텍스트를 '댁내 머무름(Stay in)'으로 결정할 수 있다(501). 이 때 t2 시간과 t1 시간의 시간차는 예컨대 10초일 수 있다.
사용자가 t1 시간에 댁내에서 문을 열고 밖으로 나간후 t2 시간에 문을 닫는 경우, 전자장치(101)는 t1 시간에는 도어 센서 및 모션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t2 시간에는 도어 센서 및 모션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다. 이 경우 전자장치(101)는 사용자가 댁내에서 댁 밖으로 나간 것으로 판단하고, 컨텍스트를 '댁외로 나감(Home out)'으로 결정할 수 있다(503).
사용자가 t1 시간에 댁외에서 문을 열고 t2 시간에 댁내로 들어오는 경우, 전자장치(101)는 t1 시간에는 도어 센서로부터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모션 센서로부터는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다. 전자장치(101)는 t2 시간에는 도어 센서로부터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모션 센서로부터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경우, 전자장치(101)는 사용자가 댁 외에서 댁내로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고 컨텍스트를 '댁내로 들어옴(Home in)'으로 결정할 수 있다(505).
사용자가 t1 시간에 댁외에서 문을 열고 댁내로 들어오지 않고 t2 시간에 문을 닫는 경우, 전자장치(101)는 t1 시간에는 도어 센서로부터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모션 센서로부터는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고, t2 시간에는 도어 센서 및 모션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다. 이 경우 전자장치(101)는 사용자가 댁외에 머무르는 것으로 판단하고 컨텍스트를 '댁외 머무름(Stay out)'으로 결정할 수 있다(507).
또한, 전자장치(101)는 댁내에 여러 사용자가 있으며, 현관에서 배웅하는 경우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정확히 결정하기 위해 댁내에 머무르는 컨텍스트 이후에 댁내에 있는 다른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는 컨텍스트를 '댁내 머무름(Stay in)'으로 결정한 이후에 다른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댁내 사람이 증가하면 컨텍스트를 '댁내 들어옴(Home in)'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1)는 컨텍스트를 '댁내 머무름'으로 결정한 이후에 다른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댁내 사람이 감소하였으면 컨텍스트를 '댁외로 나감(Home out)'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상기 네가지 컨텍스트를 좀 더 세분화하여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댁내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상태에서 사용자가 댁내로 들어오는 경우와 댁내에 사용자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댁내로 들어오는 경우를 구분하여 컨텍스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는 사용자가 댁내에 없는 상태에서 처음으로 사용자가 댁내로 들어오는 경우 컨텍스트를 '최초 댁내 들어옴(First Home in)'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사용자가 댁내에 있는 상태에서 다른 사용자가 댁내로 들어오는 경우 컨텍스트를 '댁내 들어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사용자가 댁외로 나감에 따라 댁내에 사용자가 없는 경우 컨텍스트를 '최종 댁외로 나감(Last Home out)'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사용자가 댁외로 나가도 여전히 다른 사용자가 댁내에 있는 경우 컨텍스트를 '댁외로 나감(Home out)'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전자장치(101)가 복수의 디바이스(301 내지 307)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자장치(101)는 복수의 디바이스(301 내지 307)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한다(S601). 구체적으로, 이벤트가 발생하면, 복수의 디바이스(301 내지 307)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에는 디바이스 ID가 포함될 수 있다. 사람, 사물의 움직임이나 또는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복수의 디바이스(301 내지 307)는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디바이스에서 출력된 데이터는 저전력 통신을 이용하여 허브(103)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301 내지 307)는 직비 통신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시 데이터를 허브(103)로 전송할 수 있다. 허브(103)는 수신된 데이터를 전자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자장치(101)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이벤트가 발생한 순서대로 복수의 디바이스 (301 내지 307)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 은 데이터가 수신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자장치(101)는 이벤트가 발생한 순서대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는 7번 디바이스 -> 3번 디바이스 -> 3번 디바이스 -> 3번 디바이스 -> 7번 디바이스 -> 7번 디바이스 순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허브(103)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301 내지 307)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디바이스의 ID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이벤트 발생 순서대로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동일한 디바이스 ID가 수신되면, 전자장치(101)는 수신된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즉, 동일한 ID를 갖는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연속으로 수신되는 경우, 전자장치(101)는 수신된 데이터를 분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8은 전자장치가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에서 전자장치는 7번 -> 3번 -> 3번 -> 3번 -> 7번 -> 7번 -> 7번 -> 3번 -> 3번 -> 1번 -> 1번 -> 1번 -> 1번 -> 3번 디바이스 순서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된 데이터열(800)에서 동일한 디바이스 ID가 검출되는 경우, 전자장치(101)는 데이터열을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는 수신된 데이터열에서 3번 디바이스 다음에 동일한 3번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므로 위치(801)에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7번 디바이스와 3번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다음에 수신된 데이터도 동일한 3번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것이므로 전자장치(101)는 위치(803)에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3번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다음에는 7번 디바이스에서 데이터가 수신되고 그 다음에 동일한 7번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므로 전자장치(101)는 위치(805)에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3번 디바이스와 7번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다음에 동일한 7번 디바이스에서 데이터가 수신되므로 전자장치(101)는 위치(807)에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7번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다음에 3번 디바이스에서 데이터가 수신되고 그 다음에 동일한 3번 디바이스에서 데이터가 수신되므로 전자장치(101)는 위치(809)에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7번 디바이스와 3번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다음에 1번 디바이스에서 데이터가 수신되고 그 다음에 동일한 1번 디바이스에서 데이터가 수신되므로 전자장치(101)는 위치(811)에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3번 디바이스와 1번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다음에 동일한 1번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므로 전자장치는 위치(813)에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1번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다음에 동일한 1번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므로 전자장치(101)는 위치(815)에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1번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전자장치(101)는 데이터열(800)을 분할하여 디바이스 쌍(pair)(820)을 구성하여 처리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디바이스간의 상관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S603).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는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발생 빈도를 기반으로 각 데이터간의 상관관계를 탐색하는 아프리오리(Apriori)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관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간의 상관관계는 수치로 표현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디바이스간의 상관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서 디바이스 3과 디바이스 7의 상관계수는 0.175이다. 디바이스 1 및 디바이스 3의 상관계수는 0.112이다. 디바이스 2 및 디바이스 7의 상관계수는 0.038이다. 디바이스 3 및 디바이스 4의 상관계수는 0.024이다. 전자장치(101)는 도 7의 데이터열을 처리하여 도 8에 예시한 디바이스간의 상관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복수의 디바이스(301 내지 307) 중 적어도 두 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디바이스간의 상관계수를 결정하고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고 디바이스 주변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그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605).
도 10 을 참조하면 두 개의 디바이스간의 상관계수가 결정되면, 전자장치(101)는 두 개의 디바이스간의 상관계수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위치가 결정되면, 전자장치(101)는 결정된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반하여 디바이스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디바이스의 위치는 물리적인 위치가 아닌 각 디바이스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논리적인 위치일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논리적으로 결정된 디바이스간의 위치정보를 물리적인 위치정보로 변환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댁내 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정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공간정의 데이터는 물리적으로 분할된 댁내의 공간에 대한 특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는 기본적으로 댁내의 공간을 현관, 거실, 주방, 욕실, 침실1, 침실2 및 침실3과 같이 분할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디바이스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두 개의 디바이스간의 상관계수에 기초하여 전자장치가 디바이스맵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두 개의 디바이스간에 상관계수가 결정되면, 전자장치(101)는 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맵을 생성한다.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디바이스는 두 디바이스가 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1a에서는 모든 디바이스(1101, 1103, 1105, 1107, 1109, 1111, 1113)가 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상관계수가 작더라도 상관관계에 있으면 두 개의 디바이스를 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101)는 상관계수가 작은 디바이스 쌍을 제거하면서 디바이스간의 상관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이와 같이 상관계수가 작고 조합될 수 없는 디바이스 쌍을 제거하면서 디바이스맵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1b에는 디바이스간의 라인이 희미해지거나 제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디바이스(1101) 및 디바이스(1113)은 라인이 제거되어 있으며, 디바이스(1101) 및 디바이스(1109)은 라인이 희미해져 있다. 이와 같이 제거된 라인 및 희미해진 라인은 디바이스간의 상관관계가 약하거나 없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위치가 결정되면, 전자장치(101)는 위치가 결정된 디바이스(1101, 1103, 1105, 1107, 1109, 1111, 1113) 주변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를 탐색할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과정은 디바이스맵에서 위치가 결정된 디바이스(1101, 1103, 1105, 1107, 1109, 1111, 1113)가 출력한 데이터를 전자장치(101)가 수신한 이후 소정시간 이내에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전자장치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전자장치(101)는 위치가 결정된 디바이스(1101, 1103, 1105, 1107, 1109, 1111, 1113) 및 다른 디바이스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101)는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고 디바이스 주변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그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607).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9)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이후에 거실에 있는 TV가 켜지는 경우, 전자장치(101)는 디바이스(1109)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후에 TV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이와 같이 위치가 결정된 디바이스(1109)에서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소정 시간 이내에 TV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전자장치(101)는 디바이스(1109) 및 TV를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그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룹 정보에는 그룹 ID, 그룹을 구성하는 디바이스 ID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1c 를 참조하면 위치가 결정된 디바이스(1101, 1103, 1105, 1107, 1109, 1111, 1113) 및 주변 디바이스(1121, 1123, 1125)가 도시되어 있다. 디바이스(1101, 1103, 1105, 1107, 1109, 1111, 1113)에서 이벤트가 발생된 후 소정시간 이내에 주변 디바이스(1121, 1123, 1125)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전자장치(101)는 주변 디바이스(1121, 1123, 1125)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109)에서 이벤트가 발생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디바이스(1123, 1125)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전자장치(101)는 디바이스(1109, 1123, 1125)를 동일 그룹으로 그룹핑 할 수 있다. 디바이스(1113)에서 이벤트가 발생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디바이스(1121)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전자장치(101)는 디바이스(1113, 1121)를 동일 그룹으로 그룹핑 할 수 있다.
도 11d를 참조하면 디바이스맵에 자동으로 이름을 부여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디바이스맵이 생성되면, 전자장치(101)는 디바이스의 특성 및 기 설정된 댁내 정보를 활용하여 각각의 디바이스의 이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이름은 디바이스가 배치된 공간의 이름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어떤 디바이스는 특정 공간에만 존재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의 이름은 디바이스가 배치된 공간의 이름이 될 수 있다. 도어센서의 경우 현관에 부착될 수 있으므로 도어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전자장치(101)는 도어센서가 배치된 공간 또는 도어센서에 '현관'으로 이름을 부여할 수 있다. 욕조의 수온을 감지하는 온도 센서는 욕실에 부착될 수 있으므로, 전자장치(101)는 온도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온도센서가 배치된 공간 또는 온도센서에 '욕실'로 이름을 부여할 수 있다. 가스 센서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전자장치(101)는 가스 센서가 배치된 공간 또는 가스 센서에 '주방'으로 이름을 부여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댁내 배치된 디바이스에 자동으로 이름을 부여하기 위해 시간대별 사람의 움직임 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침실에 배치된 디바이스에서는 주간에는 사람의 움직임 감지 빈도가 작지만 야간에는 사람의 움직임 감지 빈도가 상대적으로 클수 있다. 이 경우 전자장치(101)는 상기 디바이스가 배치된 공간을 '침실'로 결정하고 디바이스에게 '침실'로 이름을 부여할 수 있다. 어떤 공간에 배치된 디바이스에서는 저녁 시간에 여러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또한 TV가 켜진 것이 감지되면, 전자장치(101)는 상기 공간을 '거실'로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에 배치된 디바이스에 '거실'로 이름을 부여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가 배치된 공간의 이름을 자동으로 부여할 때 댁내 공간에 대한 기본 정보를 참조할 수 있으며, 기본 정보는 전자장치(101)에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디바이스맵을 활용하여 동일 그룹에 포함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S607). 예를 들면 사용자가 '거실에 있는 TV 전원을 켜' 라고 음성으로 명령하면, 전자장치(101)는 디바이스 맵으로부터 거실의 위치를 결정하고 TV 전원을 온(on) 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디바이스맵에 표시된 특정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장치(101)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색상에 기초하여 해당 디바이스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01)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그래픽 오브젝트의 색상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는 디바이스가 동작 중일때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초록색으로 표시하고 디바이스가 동작하지 않을 때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노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01)의 화면에 디바이스맵이 표시되어 있다. 디바이스맵에서 디바이스(1201, 1203, 1205)는 동일 그룹으로 그룹핑되어 있다. 디바이스(1203)는 동작중이며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있고 디바이스(1205)는 동작하지 않으며 노란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전자장치(101)는 화면에 표시된 디바이스맵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디바이스를 확대하여 표시하고, 확대되어 표시된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디바이스맵에서 디바이스(1203, 1205)에 대응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터치하면 그래픽 오브젝트가 확대되어 표시(1207, 1209)될 수 있다. 확대되어 표시된 그래픽 오브젝트(1207, 1209)에서 하나의 그래픽 오브젝트(1207)을 터치하면 전자장치는 터치가 수신된 그래픽 오브젝트(1207)에 대응하는 디바이스(1205)를 동작시키고, 그래픽 오브젝트(1207)의 색상을 노란색에서 초록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전자장치(101)는 그래픽 오브젝트(1207)를 깜빡거리거나 또는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그래픽 오브젝트(1207)가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3 은 전자장치(101)의 화면에 표시된 디바이스맵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01)의 화면에 디바이스맵(1301)이 표시되어 있다. 디바이스맵(1301)은 제1 전자장치(예컨대, 서버) 또는 제 2 전자장치(예컨대,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제 1 전자장치(101)는 디바이스맵(1301)을 제 2 전자장치(111)로 전송하고 제 2 전자장치(111)는 제 1 전자장치(101)로부터 수신한 디바이스맵(1301)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장치(101)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바이스맵(1301)을 구성하고, 디바이스맵(1301)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1)는 기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 정보 및 댁내 공간에 대한 기본정보로부터 디바이스의 이름 또는 디바이스가 배치된 공간의 이름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동일한 공간에 있는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할수도 있다.
제1 전자장치(100)는 생성된 디바이스맵(1301)을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자장치(111)는 생성된 디바이스맵(1301)을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화면의 제 2 영역에는 사용자가 댁내 머문 시간(1303), 가족 구성원 수(1305), 수면 시간(1307) 및 각각의 항목에 대한 정확도가 비율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댁내 머문 시간(1303)은 예컨대 도어 센서 및 현관에 배치된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가족 구성원 수(1305)는 댁내 공간에 배치된 모션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션 센서가 거실, 침실, 주방, 욕실에 배치되어 있고, 거실, 침실, 주방에 배치된 모션 센서로부터 거의 동시에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제1 전자장치(101)는 가족 구성원 수(1305)를 3명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101)는 침실에 배치된 모션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면 시간(1307)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침실에 배치된 모션 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일정 시간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며, 거실이나 다른 공간에서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1 전자장치(101)는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면 시간(1307)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4 는 디바이스맵 및 사용자의 라이프 로그(life log) 데이터를 활용하여 디바이스 이름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전자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맵의 디바이스 이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장치(101)는 디바이스 맵 및 라이프 로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이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4 를 참조하면 제1 전자장치(101)는 사용자의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이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라이프 로그 데이터는 특정 사용자의 시간 별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401)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평일 낮 동안에는 댁내에 있지 않으며, 아침 시간에 댁내에서 댁외로 이동하였다가 저녁시간에 댁외에서 댁내로 들어오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전자장치(101)는 상기 사용자를 '아버지'로 결정할 수 있으며, 침실(1125)의 이름을 '아버지방'으로 자동 설정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가 '아버지방 전등 켜' 라고 음성으로 명령을 입력하면, 제1 전자장치(101)는 자동으로 아버지방을 식별하고 아버지방의 전등을 켤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버(1501), 전자장치(1511), 복수의 IoT 센서(1505,1507,1509), 복수의 IoT 디바이스(1521,1523,1525), 허브(1503) 및 웨어러블 장치(1513) 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IoT 센서(1505,1507,1509)는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데이터를 허브(1503)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IoT 센서(1505,1507,1509)는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IoT 센서(1505,1507,1509) 각각은 도어 센서, 모션 센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습도 센서, 전원 감지 센서, 가스 센서, 연기 센서, 수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는 사람의 동작을 감지하여 이벤트를 발생하거나 또는 외부 환경에 의해 이벤트를 발생하여 데이터를 허브(1503)로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 센서는 사용자가 문을 여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하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하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에는 IoT 센서의 고유 ID가 포함될 수 있다. IoT 센서의 고유 ID는 IoT 센서의 제조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허브(1503)는 복수의 IoT 센서(1505,1507,1509)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허브(1503)는 시간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수신된 데이터에 시간 정보를 부가하여 클라우드 서버(1501)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허브(1503)는 수신된 데이터에 별도의 부가 데이터를 삽입하지 않고 클라우드 서버(1501)로 전송할 수 있다. 허브(1503)는 복수의 IoT 센서(1505,1507,1509) 또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1521,1523,1525)와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제 1 방식의 통신을 사용하고 클라우드 서버(1501)와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제 2 방식의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방식의 통신은 제 2 방식의 통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력소모가 작다. 예를 들면, 허브(1503)는 제1 방식의 통신으로 직비(Zigbee) 통신을 이용하고,제2 방식의 통신으로 와이파이(WiFi)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허브(1503)는 별도의 장치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TV와 같은 장치에 내장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501)는 허브(150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전자 장치(1511)로부터 데이터 분석을 위한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 음성 명령 등)이 수신되면, 클라우드 서버(1501)는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센서 맵을 작성하고, 댁내의 다양한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501)가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센서 맵을 작성하는 방법은 도 3 내지 도 14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1501)는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댁내의 다양한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1501)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댁내의 구성원 정보, 댁내의 현재 인원수 정보, 수면 시간 정보, 주요 활동 장소 정보, 시간대별 활동 분포 정보 등에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1501)는 기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1주일 이상)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 댁내의 구성원의 인원수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일정시간 동안 댁내의 복수의 공간에서 동시에 감지되는 인원의 수가 최대 2명인 경우, 클라우드 서버(1501)는 댁내의 구성원의 인원을 2명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1501)는 현재 복수의 IoT 센서(1505,1507,1509)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댁내의 현재 인원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방의 모션 센서를 통해 1명의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 클라우드 서버(1501)는 현재 댁내에 존재하는 인원을 1명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1501)는 특정 공간(예를 들어, 안방, 아이방 등)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수면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방에서 사람의 움직임이 오후 11시 30분에 감지된 이후 오전 6시에 다시 움직임이 감지되면, 클라우드 서버(1501)는 안방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면 시간이 오후 11시 30분부터 오전 6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1501)는 특정 공간의 IoT 센서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성원들의 주요 활동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방에 위치한 IoT 센서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안방에서 하루 평균 2시간의 움직임이 감지되었다면, 클라우드 서버(1501)는 안방에서 활동한 시간을 2시간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거실에 위치한 IoT 센서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거실에서 하루 평균 4시간 30분의 움직임이 감지되었다면, 클라우드 서버(1501)는 거실에서 활동한 시간을 4시간 30분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1501)는 특정 공간의 IoT 센서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간 별 활동분포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서버(1501)는 안방에 위치한 IoT 센서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안방에서의 시간대별 활동 분포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댁내의 컨텍스트 정보로서, 댁내의 구성원 정보, 댁내의 현재 인원수 정보, 수면 시간 정보, 주요 활동 장소 정보, 시간대별 활동 분포 정보 등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양한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1501)는 구성원이 부엌에 있는 시간을 분석하여 식사 시간 정보를 판단할 수 있으며, 구성원이 집에 없는 시간을 분석하여 외출 시간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컨텍스트 정보는 최소 기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3일)동안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1501)는 획득된 센서 맵 및 컨텍스트 정보를 외부의 전자 장치(151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511)는 획득된 센서 맵 및 컨텍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UI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511)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센서맵을 도시하는 영역(1610) 및 컨텍스트 정보를 도시하는 영역(1620)을 포함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센서 맵을 도시하는 영역(1610)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각 영역에 대한 정보(구성원 유무 등)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1620)은 구성원 정보, 수면시간 정보는 텍스트 형태로 제공하며, 주요활동 장소 정보는 히스토그램 형태로 제공하고, 시간대별 활동 분포 정보는 그래프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511)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센서맵을 도시하는 영역(1630) 및 컨텍스트 정보를 도시하는 영역(1640)을 포함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센서 맵을 도시하는 영역(1630)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각 영역은 대응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며, 각 영역에 위치하는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각 영역에 위치하는 IoT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아이콘은 현재 IoT 디바이스의 상태(예를 들어, 온/오프 정보 등)를 나타낼 수 있으며, IoT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1640)은 구성원 정보를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고, 주요활동 장소 정보는 원형 그래프 형태로 제공하고, 시간대별 활동 분포 정보는 선 그래프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511)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UI를 통해 IoT 디바이스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전자 장치(1511)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통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1511)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1501) 또는 허브(1503)로 전송하여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511)는 스마트 폰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과 같은 다른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자 장치(1511)와 연결된 웨어러블 장치(1513)를 통해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장치(1513)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마트 워치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스마트 글래스 등과 같은 다른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웨어러블 장치(1513)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 주위의 베젤을 터치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변경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드래그 동작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513)가 제공하는 UI는 복수의 계층으로 구분된 UI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최 상위 계층인 기능 선택 계층에서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 화면(1701), 리셋 화면(1703), 공간 선택 화면(1705)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 화면(1701)이 웨어러블 장치(1513)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웨어러블 장치(1513)는 전자 장치(1511)를 통해 기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센서 맵 및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라는 제어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150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리셋 화면(1703)이 웨어러블 장치(1513)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웨어러블 장치(1513)는 기존의 데이터를 초기화하라는 제어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150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공간 선택 화면(1705)이 웨어러블 장치(1513)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웨어러블 장치(1513)는 다음 계층인 공간 선택 계층의 복수의 화면(1711 내지 1717)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장치(1513)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베젤을 터치하는 동작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 선택 계층의 복수의 화면(1711 내지 1717)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웨어러블 장치(1513)는 선택된 공간에 포함된 IoT 디바이스 선택 계층의 복수의 화면(1731,1733,1735)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IoT 디바이스 선택 계층의 화면을 통해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513)를 통해 거실의 전등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간 선택 화면(1705)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거실에 대응되는 화면(1714)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등에 대응되는 화면(1733)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1511)와 연동하는 웨어러블 장치(1513)를 통해 외부의 IoT 디아비스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513)가 제공하는 UI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는 전자 장치(1511)가 제공하는 UI에 포함된 UI 엘리먼트와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1513)가 제공하는 화면에 포함된 UI 엘리먼트와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511)가 제공하는 화면에 포함된 UI 엘리먼트는 서로 매칭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1501)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IoT 센서의 데이터 및 컨텍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IoT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클라우드 서버(1501)는 IoT 센서에 구비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댁내의 온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1501)는 각 영역에 구비된 온도 센서를 바탕으로 각 공간의 온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공간마다 온도가 다를 때, 클라우드 서버(1501)는 열확산이 잘 되는 장소는 서로 오픈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열확산이 잘 안되는 공간은 단절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클라우드 서버(1501)는 각 공간의 온도 및 개방 상태를 바탕으로 각 공간에 보일러 또는 에어컨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1501)는 컨텍스트 정보 중 사용자의 활동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온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평균적으로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집에 없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1501)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보일러나 에어컨을 작동시키지 않거나 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클라우드 서버(1501)는 IoT 센서의 모션 센서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댁내의 조도 관리 서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는 서버(1501)는 야간 시간에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공간에만 조명이 밝아지도록 전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공간에는 조명이 어둡거나 오프되도록 전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클라우드 서버(1501)는 IoT 센서의 모션 센서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 및 컨텍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댁내의 전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텍스트 정보 중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바탕으로 낮에 집이 비워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501)는 댁내의 IoT 디바이스를 오프시키거나 전원 관리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IoT 센서의 데이터 및 컨텍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온도 관리 서비스, 조도 관리 서비스, 전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도 관리 서비스, 방범 서비스, 자동 세탁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1501)는 IoT 센서의 데이터 및 컨텍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1501)는 컨텍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광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시간대(예를 들어, 밤)에 특정 장소(예를 들어, 부엌)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클라우드 서버(1501)는 특정 장소에 있는 IoT 디바이스(예를 들어,냉장고) 또는 전자 장치(1511)를 통해 광고(예를 들어,야식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1501)는 복수의 IoT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복수의 IoT 센서의 변동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1501)는 기 저장된 IoT 센서 리스트와 복수의 IoT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IoT 센서의 고유 ID 정보를 비교하여 센서가 추가, 변경, 삭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IoT 센서가 추가,변경,삭제된 경우, 클라우드 서버(1501)는 전자 장치(1511)로 IoT 센서의 추가, 변경, 삭제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1501)는 IoT 센서(예를 들어, 모션 센서)의 이벤트 개수를 판단하고, 총 이벤트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 개수가 기설정된 제1 값(예를 들어, 10) 미만인 경우, 클라우드 서버(1501)는 기존의 센서맵을 유지하고, 사용자에게 이를 안내할 수 있다. 이벤트 개수가 제1값 이상이고, 기설정된 제2값(예를 들어, 센서의 개수 * 10) 미만인 경우, 클라우드 서버(1501)는 분석을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1501)는 센서 맵을 획득하여, 마지막 분석 날짜부터 현재 시간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센서맵을 분석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특히, 분석 날짜가 어제인 경우, 클라우드 서버(1501)는 기존의 센서맵과 비교하여 추가,삭제, 변경된 센서들을 센서맵에 나타낼 수 있으며, 센서맵 및 분석 날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러나, 분석 날짜가 어제가 아닌 경우, 클라우드 서버(1501)는 업데이트된 센서맵과 기존의 센서맵을 비교하여 임시 센서맵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1501)는 하루 이상의 데이터를 더 수집하여 센서맵 및 분석 날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1501)는 다양한 IoT 센서를 통해 댁 내 구성원의 인원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oT 센서를 통해 사람이 댁내에 들어온 것(Stay in)으로 판단한 경우, 클라우드 서버(1501)는 2분 후에 인원수 증감을 분석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서버(1501)는 2분 간격의 모션 빈도수를 판단하여 현재 댁 내에 사용자가 증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IoT 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 및 컨텍스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더욱 간편하고 직관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은 단일의 프로세서에 의해 그 동작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단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이나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기지국 또는 릴레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 제 1 전자 장치
103 : 허브
105, 107, 109 : 디바이스
111 : 제 2 전자장치

Claims (20)

  1.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디바이스간의 상관관계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
    상기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다른 디바이스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그룹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그룹핑 단계; 및
    상기 그룹에 포함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는 순서 및 디바이스의 ID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관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 단계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 주변에 배치된 다른 디바이스를 그룹핑하는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된 데이터가 수신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다른 디바이스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및 상기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이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자동으로 생성된 디바이스의 이름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이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된 데이터, 상기 그룹 정보,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시간 및 날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이름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디바이스의 ID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동일한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연속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연속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분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
  11.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부;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디바이스간의 상관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바이스 주변의 다른 디바이스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그룹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그룹에 포함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는 순서 및 디바이스의 ID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관관계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 주변에 배치된 다른 디바이스를 그룹핑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된 데이터가 수신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 및 다른 디바이스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및 상기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이름을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동으로 생성된 디바이스의 이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이름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상기 그룹 정보,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시간 및 날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이름을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디바이스의 ID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할하여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동일한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연속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연속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분할하여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KR1020150152244A 2015-10-07 2015-10-30 전자 장치 및 전자장치의 아이오티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2402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80,278 US10419877B2 (en) 2015-10-07 2016-09-29 Electronic apparatus and IoT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ES16853846T ES2734052T3 (es) 2015-10-07 2016-09-30 Aparato electrónico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l dispositivo de IdC del mismo
EP19162732.2A EP3515017B1 (en) 2015-10-07 2016-09-30 Electronic apparatus and iot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6853846.0A EP3360286B1 (en) 2015-10-07 2016-09-30 Electronic apparatus and iot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PCT/KR2016/010944 WO2017061730A1 (en) 2015-10-07 2016-09-30 Electronic apparatus and iot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680058562.9A CN108141382B (zh) 2015-10-07 2016-09-30 电子装置及其控制物联网设备的方法
US16/532,989 US11595781B2 (en) 2015-10-07 2019-08-06 Electronic apparatus and IoT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40875 2015-10-07
KR1020150140875 2015-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601A true KR20170041601A (ko) 2017-04-17
KR102402056B1 KR102402056B1 (ko) 2022-05-26

Family

ID=5870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244A KR102402056B1 (ko) 2015-10-07 2015-10-30 전자 장치 및 전자장치의 아이오티 디바이스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2) EP3515017B1 (ko)
KR (1) KR102402056B1 (ko)
CN (1) CN108141382B (ko)
ES (1) ES2734052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818A1 (en) * 2019-01-23 2020-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US11972065B2 (en) 2022-03-08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face to control external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43434A (zh) * 2022-01-26 2022-05-27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节能模式的调整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0897A1 (en) * 2012-10-18 2014-04-24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of commissioning devices of a lighting system to a group of devices, a commissioning device and a lighting system
US20140241354A1 (en) * 2013-02-25 2014-08-28 Qualcomm Incorporated Establishing groups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and enabling communication among the groups of iot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9907B2 (ja) * 2007-07-19 2011-03-30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メッセージ分類プログラム、通信メッセージ分類方法および通信メッセージ分類装置
US8577405B2 (en) * 2009-06-12 2013-11-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machine-readable media providing location-enabled group management
CN102281558B (zh) * 2011-06-23 2013-12-18 北京市电力公司 一种应用于物联网数据传输的无线传感器网络组网方法
US20130339441A1 (en) * 2012-05-11 2013-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twork system with shar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RU2644587C2 (ru) * 2012-12-21 2018-02-13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Электронные устройства,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одним из электронных устройств
US9871865B2 (en) * 2013-07-11 2018-01-16 Neura, Inc. Physical environment profiling through internet of things integration platform
WO2015042370A1 (en) * 2013-09-20 2015-03-26 Convida Wireless, Llc Method of joint registration and de-registration for proximity services and internet of things ser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0897A1 (en) * 2012-10-18 2014-04-24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of commissioning devices of a lighting system to a group of devices, a commissioning device and a lighting system
US20140241354A1 (en) * 2013-02-25 2014-08-28 Qualcomm Incorporated Establishing groups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and enabling communication among the groups of iot devic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818A1 (en) * 2019-01-23 2020-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US11128713B2 (en) 2019-01-23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US11972065B2 (en) 2022-03-08 202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face to control exter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5017A1 (en) 2019-07-24
ES2734052T3 (es) 2019-12-04
EP3515017C0 (en) 2024-04-03
EP3515017B1 (en) 2024-04-03
EP3360286B1 (en) 2019-04-17
EP3360286A4 (en) 2018-08-15
EP3360286A1 (en) 2018-08-15
CN108141382B (zh) 2021-06-04
CN108141382A (zh) 2018-06-08
KR102402056B1 (ko)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578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oT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60622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2335925B1 (ko)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전자장치와 게이트웨이,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KR102577407B1 (ko)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 상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102576345B1 (ko) 전자 장치의 위치 이동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20160137224A (ko)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011571A (ko) 광학사물인식 기반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
US2017021504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point of interest
KR20170055216A (ko) 전자 장치 및 가스 센서의 활용 방법
KR20170019806A (ko)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7637028A (zh) 电子设备和网关及用于其的控制方法
KR20170126698A (ko) 콘텐트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70100309A (ko) 음성 인식 제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36424A (ko) 터치 속성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8432213A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60100147A (ko) 다중 데이터의 배칭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402056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장치의 아이오티 디바이스 제어 방법
EP3425935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KR102504752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054876A (ko) 스케줄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770030B2 (en)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data in response to receiving power wirelessly and method thereof
KR20170043840A (ko)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58261B1 (ko)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및 방법
KR20160111268A (ko) 모션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06434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센싱 주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