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1509A - 의약용 단백질의 지속방출을 위한 약물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의약용 단백질의 지속방출을 위한 약물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41509A KR20170041509A KR1020150141034A KR20150141034A KR20170041509A KR 20170041509 A KR20170041509 A KR 20170041509A KR 1020150141034 A KR1020150141034 A KR 1020150141034A KR 20150141034 A KR20150141034 A KR 20150141034A KR 20170041509 A KR20170041509 A KR 201700415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g delivery
- peg
- delivery system
- cinnamic acid
- conjug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377 drug delivery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12730 sustained-release form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3268 sustained release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5
- WBYWAXJHAXSJNI-UHFFFAOYSA-N methyl p-hydroxycinnamate Natural products OC(=O)C=CC1=CC=CC=C1 WBYWAXJHAXSJN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FHVDTGUDJYJELY-UHFFFAOYSA-N 6-{[2-carboxy-4,5-dihydroxy-6-(phosphanyloxy)oxan-3-yl]oxy}-4,5-dihydroxy-3-phosphanyl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1C(C(O)=O)C(P)C(O)C(O)C1OC1C(C(O)=O)OC(OP)C(O)C1O FHVDTGUDJYJEL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WBYWAXJHAXSJNI-VOTSOKGWSA-M .beta-Phenylacryl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1=CC=CC=C1 WBYWAXJHAXSJNI-VOTSOKGWSA-M 0.000 claims description 12
- WBYWAXJHAXSJNI-SREVYHEPSA-N Cinn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1=CC=CC=C1 WBYWAXJHAXSJNI-SREVYHEP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40072056 algin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30016911 cinnamic acid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3985 cinnam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20001992 poloxamer 407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1983 poloxa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claims description 7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claims description 7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6471 di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404 mediat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4962 physiological condi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NOESYZHRGYRDHS-UHFFFAOYSA-N insulin Chemical compound N1C(=O)C(NC(=O)C(CCC(N)=O)NC(=O)C(CCC(O)=O)NC(=O)C(C(C)C)NC(=O)C(NC(=O)CN)C(C)CC)CSSCC(C(NC(CO)C(=O)NC(CC(C)C)C(=O)NC(CC=2C=CC(O)=CC=2)C(=O)NC(CCC(N)=O)C(=O)NC(CC(C)C)C(=O)NC(CCC(O)=O)C(=O)NC(CC(N)=O)C(=O)NC(CC=2C=CC(O)=CC=2)C(=O)NC(CSSCC(NC(=O)C(C(C)C)NC(=O)C(CC(C)C)NC(=O)C(CC=2C=CC(O)=CC=2)NC(=O)C(CC(C)C)NC(=O)C(C)NC(=O)C(CCC(O)=O)NC(=O)C(C(C)C)NC(=O)C(CC(C)C)NC(=O)C(CC=2NC=NC=2)NC(=O)C(CO)NC(=O)CNC2=O)C(=O)NCC(=O)NC(CCC(O)=O)C(=O)NC(CCCNC(N)=N)C(=O)NCC(=O)NC(CC=3C=CC=CC=3)C(=O)NC(CC=3C=CC=CC=3)C(=O)NC(CC=3C=CC(O)=CC=3)C(=O)NC(C(C)O)C(=O)N3C(CCC3)C(=O)NC(CCCCN)C(=O)NC(C)C(O)=O)C(=O)NC(CC(N)=O)C(O)=O)=O)NC(=O)C(C(C)CC)NC(=O)C(CO)NC(=O)C(C(C)O)NC(=O)C1CSSCC2NC(=O)C(CC(C)C)NC(=O)C(NC(=O)C(CCC(N)=O)NC(=O)C(CC(N)=O)NC(=O)C(NC(=O)C(N)CC=1C=CC=CC=1)C(C)C)CC1=CN=CN1 NOESYZHRGYRD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0
- 239000003981 veh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7
- 102000004877 Ins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0
- 229940125396 insulin Drugs 0.000 description 30
- 102000002265 Human Growth Hormon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9
- 108010000521 Human Growth Hormo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9
- 239000000854 Human Growth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
- 108090001061 Ins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8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4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0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7853 buffer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425 prot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ZMANZCXQSJIPKH-UHFFFAOYSA-N Triethylamine Chemical compound CCN(CC)CC ZMANZCXQSJIP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502 di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541 reaction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WOGITNXCNOTRLK-VOTSOKGWSA-N (e)-3-phenylprop-2-eno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O)\C=C\C1=CC=CC=C1 WOGITNXCNOTRLK-VOTSOKGW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482 condens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2 growth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2000018997 Growth Hormon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51696 Growth Hormo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214 pyranose derivative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46 synap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2000003951 Erythropoiet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394 Erythropoie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101000976075 Homo sapiens Ins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JUJWROOIHBZHMG-UHFFFAOYSA-N Pyridine Chemical compound C1=CC=NC=C1 JUJWROOIHBZHM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46 aqueous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40105423 erythropoiet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79 ge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57 i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997 phen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907 photodime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XCMYAYHXIHQOA-UHFFFAOYSA-N potassium;[2-butyl-5-chloro-3-[[4-[2-(1,2,4-triaza-3-azanidacyclopenta-1,4-dien-5-yl)phenyl]phenyl]methyl]imidazol-4-yl]methanol Chemical compound [K+].CCCCC1=NC(Cl)=C(CO)N1CC1=CC=C(C=2C(=CC=CC=2)C2=N[N-]N=N2)C=C1 OXCMYAYHXIHQO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281 ultra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LSNNMFCWUKXFEE-UHFFFAOYSA-M Bisulfite Chemical compound OS([O-])=O LSNNMFCWUKXFEE-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group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6438 Growth hormone deficienc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3759 Growth retard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839 Human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144 Human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4150 Interfero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0904 Interfero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928 Turner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7584 Type 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9 b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832 chronic kidne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2831 chronic renal failure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51 cinnam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22 coup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8379 digestive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7734 digestive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96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70 flexi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51 gastric jui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001 growth retarda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77 hydrophil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14 insulin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322 interfero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3 micel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5 micr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074 necrotic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YDGMDWEHDFVQI-UHFFFAOYSA-N phosphoric acid;trioxotungsten Chemical compound O=[W](=O)=O.O=[W](=O)=O.O=[W](=O)=O.O=[W](=O)=O.O=[W](=O)=O.O=[W](=O)=O.O=[W](=O)=O.O=[W](=O)=O.O=[W](=O)=O.O=[W](=O)=O.O=[W](=O)=O.O=[W](=O)=O.OP(O)(O)=O IYDGMDWEHDFVQ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2 photodegrad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70 plasma concen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62 poly(amido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51 polyprop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0 protein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85 pulmon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UMJSCPRVCHMLSP-UHFFFAOYSA-N pyridine Natural products COC1=CC=CN=C1 UMJSCPRVCHMLS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6 re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03 subcutaneous f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17 transdermal delive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69 water-solu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6—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약용 단백질의 지속방출을 위한 약물전달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약물전달체는 의약용 단백질의 등전점 이하 pH 값에서는 양전하를 띠는 의약용 단백질을 정전기적 인력으로 효율적으로 탑재시킬 수 있고, 인체 생리학적 조건에서(pH 7.4, 37℃)는 정전기적 척력으로 의약용 단백질을 배출하는데, 체온으로 인하여 응축된 열 감응성 고분자 층 사이를 통하여, 탑재된 의약용 단백질을 서서히 장기간 지속 방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약용 단백질의 지속방출을 위한 약물전달체에 관한 것으로, 등전점보다 낮은 pH 값에서 양전하를 띄는 의약용 단백질이 음전하를 띄는 약물전달체에 정전기적 인력으로 인해 탑재되고, 약물전달체가 인체에 투여될 경우, 생리학적 pH가 의약용 단백질의 등전점보다 높아 의약용 단백질이 음전하를 띄게 되어, 음전하를 띄는 약물전달체로부터 정전기적 척력으로 인해 탈착되고, 서서히 방출되는 약물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슐린, 인터페론 및 에리스로포에틴(erythropoietin, EPO) 등과 같은 의약용 단백질은 전 세계적으로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안정성이 낮고, 체내에서 빠르게 대사되거나 배출되기 때문에, 인체 내에서 일정한 혈중 농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성장지연, 터너 증후군, 만성 신장부전 치료에 사용되는 인간 성장 호르몬은 혈장농도가 급속히 감소하기 때문에 매일 피하지방 주사를 맞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 (Salomon, Franco, et al.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recombinant human growth hormone on body composition and metabolism in adults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1.26 (1989): 1797-1803.). 따라서, 인간 성장 호르몬 투여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가 낮고, 의료비용은 높은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간성장호르몬을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방출시켜서 지효성을 나타내게 하는 제형들이 개발되었다 (Johnson, OluFunmi L., et al. "The stabilization and encapsulation of human growth hormone into biodegradable microspheres." Pharmaceutical research 14.6 (1997): 730-735).
그러나, 기존의 지효성 제형은 제조 과정 동안에 성장 호르몬을 변성시키고, 인체에 투여할 경우 성장 호르몬이 초기에 과도하게 많이 방출되는 파열 효과(burst effect)가 나타난다. 그 결과로서 지속방출성과 지효성이 저조하고, 제형의 제조가격이 너무 높은 단점이 있다.
한편,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가 감소하거나 (Type I), 분비된 인슐린을 인지하지 못하여 (Type II) 혈중 포도당(혈당)의 농도가 높아져 발생하는 질병이다. 증세가 심할 경우 조직괴사 및 합병증을 수반하게 되고, 심지어 사망에 이르게 된다.
제1형 당뇨병에 대한 치료법은 매일 적시에 인슐린(insulin)을 주사하여 투여하는 것이다. 하지만, 투여 직후에 혈당치가 급감하여 쇼크를 유발할 수 있고, 인슐린의 유효 혈중농도가 장기간 지속하지 못하여 매일 주사해야 하는 불편함과 고통이 따른다.
이와 같은 주사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흡입(pulmonary delivery), 미세 바늘(microneedles)을 이용한 경피투여 (transdermal delivery), 경구투여(oral delivery) 등이 연구되었지만, 여전히 인슐린의 1회 투여량을 조절하기 어렵다. 또한, 위액의 소화효소에 의해서 인슐린이 변성될 수 있고, 인슐린의 지속적인 방출과 지효성이 저조한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따라서, 인슐린과 같은 의약용 단백질의 지속적인 체내 방출을 위한 기술과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산성조건에서 의약용 단백질이 정전기적 인력으로 약물전달체에 탑재되고, 생리학적 조건(pH 7.4, 37℃)에서는 의약용 단백질이 약물전달체로부터 탈착되고, 체온으로 인하여 응축된 열 감응성 고분자 층 사이를 통하여 서서히 확산되어 나오는 특징이 있는 약물전달체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형태로, 알지네이트-신남산(Al-Ci) 결합체 및 플루로닉 F127-신남산(Pl-Ci) 결합체가 신남산을 매개로 하여 상호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형태로, 알지네이트-신남산(Al-Ci) 결합체, 플루로닉 F127-신남산(Pl-Ci) 결합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신남산(PEG-Ci) 결합체가 신남산을 매개로 하여 상호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형태 또는 제2형태 있어서, 상기 신남산을 매개로 하는 결합은, 바람직하게 신남산의 이량화(dimerization)에 의해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량화는 일 예로 자외선에 의해 수행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형태 또는 제2형태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체는 바람직하게 구형인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형태 또는 제2형태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체는 바람직하게 단백질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단백질은 일 예로, 의약용 단백질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백질은 바람직하게 등전점보다 낮은 pH 값에서는 양전하를 띄고, 등전점보다 높은 pH 값에서는 음전하를 띄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약물전달체는, 일 예로 pH 2.0~4.0, 0~10℃의 조건에서 단백질을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전달체는 바람직하게 생체 내에서 탑재된 단백질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전달체는 바람직하게 탑재된 단백질을 서방형으로 방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형태 또는 제2형태 있어서, 상기 알지네이트-신남산(Al-Ci) 결합체는, 일 예로, 신남산의 카르복실기와 알지네이트의 수산기가 축합 반응되어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루로닉 F127-신남산(Pl-Ci) 결합체는, 일 예로, 신남산의 카르복실기와 플루로닉(pluronic) F127의 수산기가 축합 반응되어 합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형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신남산(PEG-Ci) 결합체는, 일 예로, 신남산의 카르복실기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의 수산기가 축합 반응되어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물전달체는 의약용 단백질의 등전점 이하 pH 값에서는 양전하를 띠는 의약용 단백질을 정전기적 인력으로 효율적으로 탑재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인체 생리학적 조건에서(pH 7.4, 37℃)는 정전기적 척력으로 의약용 단백질을 배출하는데, 체온으로 인하여 응축된 열 감응성 고분자 층 사이를 통하여, 의약용 단백질을 서서히 장기간 지속 방출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의약용 단백질이 알지네이트-신남산(Al-Ci) 결합체/플루로닉-신남산(Pl-Ci) 결합체/폴리에틸렌글리콜-신남산(PEG-Ci) 결합체로 구성된 본 발명이 약물전달체에 탑재되는 원리와 탑재된 의약용 단백질이 인체의 온도와 pH 값에서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Al-Ci 결합체의 1H NMR 스펙트럼(spectrum)이다.
도 3은 Pl-Ci 결합체의 1H NMR 스펙트럼(spectrum)이다.
도 4는 PEG-Ci 결합체의 1H NMR 스펙트럼(spectrum)이다.
도 5는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 (●), Al-Ci/Pl-Ci/PEG-Ci(1/1/0) 약물전달체 (▽), Al-Ci/Pl-Ci/PEG-Ci(1/0/1) 약물전달체 (■), Al-Ci/Pl-Ci/PEG-Ci(0/1/1) 약물전달체 (◇)에 있어, 신남산 잔기의 광이량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은 자외선으로 1시간 동안 처리한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 (A), Al-Ci/Pl-Ci/PEG-Ci(1/1/0) 약물전달체 (B), Al-Ci/Pl-Ci/PEG-Ci(1/0/1) 약물전달체 (C), Al-Ci/Pl-Ci/PEG-Ci(0/1/1) 약물전달체 (D)의 TEM 사진이다.
도 7은 자외선으로 처리한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 (●), Al-Ci/Pl-Ci/PEG-Ci(1/1/0) 약물전달체 (▽), Al-Ci/Pl-Ci/PEG-Ci(1/0/1) 약물전달체 (■), Al-Ci/Pl-Ci/PEG-Ci(0/1/1) 약물전달체 (◇)의 제타 포텐셜을 pH 값의 변화에 따라 측정한 결과이다.
도 8은 인간성장 호르몬 (●)과 인슐린(▽)의 제타 포텐셜을 pH 3~9 범위에서 측정한 결과이다.
도 9는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어 나오는 인간성장호르몬의 방출 프로필을 37℃에서 pH 3.0 (●), pH 5.0 (▽), pH 7.4 (■), pH 9.0 (◇)으로 170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도 10은 Al-Ci/Pl-Ci/PEG-Ci(1/1/0)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어 나오는 인간성장호르몬의 방출 프로필을 37℃에서 pH 3.0 (●), pH 5.0 (▽), pH 7.4 (■), pH 9.0 (◇)으로 170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도 11은 Al-Ci/Pl-Ci/PEG-Ci(1/0/1)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어 나오는 인간성장호르몬의 방출 프로필을 37℃에서 pH 3.0 (●), pH 5.0 (▽), pH 7.4 (■), pH 9.0 (◇)으로 170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도 12는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어 나오는 인슐린의 방출 프로필을 37℃에서 pH 3.0 (●), pH 5.0 (▽), pH 7.4 (■), pH 9.0 (◇)으로 170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도 13은 Al-Ci/Pl-Ci/PEG-Ci(1/1/0)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어 나오는 인슐린의 방출 프로필을 37℃에서 pH 3.0 (●), pH 5.0 (▽), pH 7.4 (■), pH 9.0 (◇)으로 170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도 14는 Al-Ci/Pl-Ci/PEG-Ci(1/0/1)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어 나오는 인슐린의 방출 프로필을 37℃에서 pH 3.0 (●), pH 5.0 (▽), pH 7.4 (■), pH 9.0 (◇)으로 170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도 2는 Al-Ci 결합체의 1H NMR 스펙트럼(spectrum)이다.
도 3은 Pl-Ci 결합체의 1H NMR 스펙트럼(spectrum)이다.
도 4는 PEG-Ci 결합체의 1H NMR 스펙트럼(spectrum)이다.
도 5는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 (●), Al-Ci/Pl-Ci/PEG-Ci(1/1/0) 약물전달체 (▽), Al-Ci/Pl-Ci/PEG-Ci(1/0/1) 약물전달체 (■), Al-Ci/Pl-Ci/PEG-Ci(0/1/1) 약물전달체 (◇)에 있어, 신남산 잔기의 광이량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은 자외선으로 1시간 동안 처리한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 (A), Al-Ci/Pl-Ci/PEG-Ci(1/1/0) 약물전달체 (B), Al-Ci/Pl-Ci/PEG-Ci(1/0/1) 약물전달체 (C), Al-Ci/Pl-Ci/PEG-Ci(0/1/1) 약물전달체 (D)의 TEM 사진이다.
도 7은 자외선으로 처리한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 (●), Al-Ci/Pl-Ci/PEG-Ci(1/1/0) 약물전달체 (▽), Al-Ci/Pl-Ci/PEG-Ci(1/0/1) 약물전달체 (■), Al-Ci/Pl-Ci/PEG-Ci(0/1/1) 약물전달체 (◇)의 제타 포텐셜을 pH 값의 변화에 따라 측정한 결과이다.
도 8은 인간성장 호르몬 (●)과 인슐린(▽)의 제타 포텐셜을 pH 3~9 범위에서 측정한 결과이다.
도 9는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어 나오는 인간성장호르몬의 방출 프로필을 37℃에서 pH 3.0 (●), pH 5.0 (▽), pH 7.4 (■), pH 9.0 (◇)으로 170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도 10은 Al-Ci/Pl-Ci/PEG-Ci(1/1/0)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어 나오는 인간성장호르몬의 방출 프로필을 37℃에서 pH 3.0 (●), pH 5.0 (▽), pH 7.4 (■), pH 9.0 (◇)으로 170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도 11은 Al-Ci/Pl-Ci/PEG-Ci(1/0/1)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어 나오는 인간성장호르몬의 방출 프로필을 37℃에서 pH 3.0 (●), pH 5.0 (▽), pH 7.4 (■), pH 9.0 (◇)으로 170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도 12는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어 나오는 인슐린의 방출 프로필을 37℃에서 pH 3.0 (●), pH 5.0 (▽), pH 7.4 (■), pH 9.0 (◇)으로 170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도 13은 Al-Ci/Pl-Ci/PEG-Ci(1/1/0)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어 나오는 인슐린의 방출 프로필을 37℃에서 pH 3.0 (●), pH 5.0 (▽), pH 7.4 (■), pH 9.0 (◇)으로 170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도 14는 Al-Ci/Pl-Ci/PEG-Ci(1/0/1)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어 나오는 인슐린의 방출 프로필을 37℃에서 pH 3.0 (●), pH 5.0 (▽), pH 7.4 (■), pH 9.0 (◇)으로 170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본 발명에서는 알지네이트-신남산 결합체(alginate-cinnamic acid conjugate, Al-Ci 결합체), 플루로닉 F127-신남산(Pluronic F127-cinnamic acid conjugate, Pl-Ci 결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신남산 결합체(poly(ethylene glycol)-cinnamic acid conjugate, PEG-Ci 결합체)를 이용하여 약물전달체를 개발하였다.
Al-Ci 결합체, Pl-Ci 결합체, PEG-Ci 결합체는 신남산 (cinnamic acid, CA)의 카르복실기와 고분자들의 수산기를 축합 반응시켜서 합성하였다. 신남산은 페닐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신남산을 수용성 고분자에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면 양친매성 고분자(amphiphilic polymer)가 제조될 수 있다.
신남산 잔기들 사이에서 소수성 상호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Al-Ci 결합체, Pl-Ci 결합체, PEG-Ci 결합체가 수상에 분산되면 그 고분자들은 자가 결집체(self-assembliy)를 형성하고, 형성된 자가 결집체는 약물 전달체로 사용할 수 있다.
신남산은 자외선을 조사받으면 이량화될 수 있다. 따라서, Al-Ci 결합체, Pl-Ci 결합체, PEG-Ci 결합체로 구성된 약물전달체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신남산 잔기의 이량화에 의해서 약물전달체를 구성하는 고분자 사슬들이 화학적으로 결합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의약용 단백질을 약물 전달체에 효율적으로 탑재시키기 위하여, 의약용 단백질과 Al-Ci 결합체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수상 미디엄의 pH 값을 의약용 단백질의 등전점(pI값)보다 낮게 유지하면, 의약용 단백질은 양전하를 띠기 때문에 음전하를 띠는 Al-Ci 결합체의 알지네이트 사슬과 정전기적 인력으로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수상 미디엄의 온도를 플루로닉 F127의 겔화 온도(gelation temperature)보다 낮게 유지하면, Pl-Ci 결합체의 플루로닉 F127 사슬들이 팽창된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의약용 단백질이 약물전달체의 Al-Ci 결합체와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건에서 의약용 단백질이 탑재된 약물전달체를 인체에 주사하면 의약용 단백질은 Al-Ci 결합체 사슬로부터 탈착되는데, 인체의 혈액 pH 값 (약 pH 7.2~7.4)이 의약용 단백질의 등전점보다 높아서 의약용 단백질은 음전하를 띠게 되고, 정전기적 척력으로 인하여 Al-Ci 결합체의 알지네이트 사슬로부터 탈착되기 때문이다. 동시에, 체온은 플루로닉 F127 사슬의 젤화 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Pl-Ci 결합체의 플루로닉 F127 사슬들은 체온으로 인하여 열적으로 수축되어 응축된 층을 형성하는데, 이로부터 탈착된 의약용 단백질의 방출을 지연시킨다.
PEG-Ci 결합체의 PEG는 유연성이 높은 고분자로서 스프링 같은 역할을 하여 인체 단백질들이 약물전달체에 흡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약물전달체가 인체 순환시스템에서 장기간 동안 순환하는 것을 도와 준다.
한편, 도 1은 의약용 단백질이 Al-Ci 결합체/Pl-Ci 결합체/PEG-Ci 결합체로 구성된 약물전달체에 탑재되는 원리와 의약용 단백질이 인체의 온도와 pH 값에서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는 원리를 보여준다. 알지네이트(Al)에는 신남산(Ci)이 복수개 결합되어 있는데, 신남산이 이량화되면, 이량화된 신남산을 매개로 알지네이트끼리 뭉치게 된다. 이와 같이 알지네이트가 뭉치게 되면 이들의 응집체가 코어를 형성하게 되고, Pl 및 PEG는 외부로 배향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 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 : Al-
Ci
결합체/
Pl
-
Ci
결합체/PEG-
Ci
결합체로 구성된 약물전달체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Al-Ci 결합체, Pl-Ci 결합체 및 PEG-Ci 결합체를 각각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Al-Ci 결합체/Pl-Ci 결합체/PEG-Ci 결합체로 구성된 약물전달체 제조하고자 하였다.
<
알지네이트
-
신남산
결합체(Al-
Ci
결합체)의 제조>
1 g의 알지네이트를 둥근 플라스크(250 ml, 2-neck)에 담겨 있는 17.5ml의 설폰산 (sulfonic acid) 용액 (2.9% (w/v), 용매: 디메틸술폭시드(dimethylsulfoxide))에 용해시켜 알지네이트 용액을 제조하였고, 플라스크를 60 ℃의 오일 배스(oil bath)에서 담궈 알지네이트 용액을 가열시켜 두었다.
한편, 1.8 g의 시나모일 클로라이드(cinnamoyl chloride)는 3 ml의 피리딘/디메틸술폭시드 혼합 용매(1/5, v/v)에 용해시켰다. 그 후, 시나모일 클로라이드 용액을 알지네이트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용액을 85℃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결합반응을 유도하였다.
이후, 반응혼합물을 상온이 되도록 식힌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생성물인 Al-Ci 결합체를 침전시켰다. 이후, 이를 용해시킨 후, 재침전시켜 정제하였다. 그 후, 정제된 Al-Ci 결합체를 여과하여 수득하였고,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였다.
건조 후, Al-Ci 결합체의 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건조된 Al-Ci 결합체를 D2O에 용해시키고, 'Bruker Avance 400 spectrometer' (Karlsruhe, Germany, located in the Central Laboratory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에서 1H NMR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3.7~4.1 ppm에서 관찰된 신호는 알지네이크의 피라노스 프로톤 (pyranose proton) 신호이고, 7.1~7.5 ppm에서 관찰된 신호는 시나모일 프로톤 (cinnamoyl proton) 신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각의 신호의 면적을 이용하여 알지네이트의 피라노스 유니트 (pyranose unit)/신남산 잔기(cinnamoyl residue)의 몰비를 계산한 결과에 의하면, 그 몰비는 1:0.25이었고, 환산하면 피라노스 유니트 4개당 신남산 잔기 1개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2). 도 2는 Al-Ci 결합체의 1H NMR 스펙트럼(spectrum)이다.
<
플루로닉
F127-
신남산
결합체(
Pl
-
Ci
결합체)의 제조>
2.5 g의 플루로닉 F-127을 2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담겨 있는 50 ml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연이어 0.7 ml의 트리에틸아민을 용해시켜 플루로닉 F-127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플루로닉 F-127 용액에 0.13 g의 시나모일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여 반응혼합물을 수득한 후, 얼음 수조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추가적으로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디에틸에테르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키고, 여과하여 Pl-Ci결합체를 수득하였다. 이를 정제하기 위하여 Pl-Ci결합체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디에틸에테르를 부어 재침전시켰다.
정제된 Pl-Ci결합체를 여과하여 수득하였고, 진공 오븐에서 건조하였다. Pl-Ci결합체의 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건조된 Pl-Ci결합체를 디메틸설폭시드(DMSO-d6)에 용해시킨 후, 1H NMR 스펙트럼을 'Bruker Avance 400 spectrometer' (Karlsruhe, Germany)에서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6.5~7.8 ppm 범위에서 시나모일 프로톤 (cinnamoyl proton)의 신호가 관찰되었고, 6.5 ppm에서 신남산 잔기의 =CH-CO-의 신호가 관찰되었다. 7.5 ppm과 7.8 ppm에서는 신남산 잔기의 아로마틱 프로톤의 신호가 관찰되었으며, 7.6 ppm에서는 신남산 잔기의 -C-CH= 신호가 관찰되었다.
또한, 1.05 ppm에서 'poly(propylene oxide) block'의 메틸 프로톤의 신호가 관찰되었다. 신호들의 면적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프루로닉 F-127/신남산 잔기의 몰비가 1:1.46으로 계산되었다 (도 3). 도 3은 Pl-Ci 결합체의 1H NMR 스펙트럼(spectrum)이다.
<
폴리에틸렌글리콜
-
신남산
결합체(PEG-
Ci
결합체)의 제조>
2.5 g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2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담겨 있는 50 ml 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0.7g의 트리에틸아민을 용해시켜 폴리에틸렌 글리콜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용액에 0.15g의 시나모일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얼음 수조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추가적으로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후, 이를 디에틸에테르에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키고 여과하여 PEG-Ci결합체를 수득하였다. PEG-Ci결합체를 정제하기 위하여,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디에틸에테르를 부어서 다시 침전시켰다.
정제된 PEG-Ci결합체를 여과하여 수득한 후, 진공 오븐에서 건조하였다. PEG-Ci결합체의 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건조된 PEG-Ci결합체를 CDCl3에 용해시킨 후, 1H NMR 스펙트럼을 'Bruker Avance 400 spectrometer'(Karlsruhe, Germany)에서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6.5~7.8 ppm에서 신남산 잔기의 프로톤 신호가 발견되었고, 3.7 ppm에서 PEG의 에틸렌 프로톤 신호가 발견되었다. 신호의 면적을 이용하여 신남산잔기/PEG사슬의 몰비를 계산한 결과에 의하면 1:1.50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4). 도 4는 PEG-Ci 결합체의 1H NMR 스펙트럼(spectrum)이다.
<Al-
Ci
결합체/
Pl
-
Ci
결합체/PEG-
Ci
결합체의 혼합>
Al-Ci결합체 10 mg, Pl-Ci결합체 10 mg, PEG-Ci결합체 10 mg을 유리병에 담겨 있는 3 ml의 글리신 완충용액(glycine buffer solution)(30 mM, pH3.0)에 용해시켜 Al-Ci결합체/Pl-Ci결합체/PEG-Ci결합체의 질량비가 1/1/1이 되게 하였다.
한편, Al-Ci결합체 15 mg, Pl-Ci결합체 15 mg를 유리병에 담겨 있는 3 ml의 글리신 완충용액(glycine buffer solution)(30 mM, pH 3.0)에 용해시켜 'Al-Ci결합체/Pl-Ci결합체/PEG-Ci결합체'의 질량비가 1/1/0이 되게 하였다.
또한, Al-Ci결합체 15 mg, PEG-Ci결합체 15 mg를 유리병에 담겨 있는 3 ml의 글리신 완충용액(glycine buffer solution)(30 mM, pH 3.0)에 용해시켜서 Al-Ci결합체/Pl-Ci결합체/PEG-Ci결합체의 질량비가 1/0/1이 되게 하였다.
또한, 0 mg의 Al-Ci결합체, 15 mg의 Pl-Ci결합체, 15 mg의 PEG-Ci결합체를 10 ml 유리병에 담겨 있는 3 ml의 글리신 완충용액(glycine buffer solution)(30 mM, pH 3.0)에 함께 용해시켜서 Al-Ci결합체/Pl-Ci결합체/PEG-Ci결합체의 질량비가 0/1/1이 되게 하였다.
Al-Ci결합체/Pl-Ci결합체/PEG-Ci결합체의 질량비가 1/1/1, 1/1/0, 1/0/1 및 0/1/1인 약물전달체를 편의상 각각 Al-Ci/Pl-Ci/PEG-Ci(1/1/1), Al-Ci/Pl-Ci/PEG-Ci(1/1/0), Al-Ci/Pl-Ci/PEG-Ci(1/0/1), Al-Ci/Pl-Ci/PEG-Ci(0/1/1)이라 명명하였다.
각 질량비를 가지는 Al-Ci/Pl-Ci/PEG-Ci 약물전달체의 CA잔기를 이량화(photo-dimerization)시키기 위하여 약물전달체 현탁액에 자외선을 조사시켰다. 이후, Al-Ci/Pl-Ci/PEG-Ci(1/1/1), Al-Ci/Pl-Ci/PEG-Ci(1/1/0), Al-Ci/Pl-Ci/PEG-Ci(1/0/1), Al-Ci/Pl-Ci/PEG-Ci(0/1/1) 약물전달체 현탁액을 증류수로 희석하여 CA잔기의 농도가 0.05% (w/v)가 되게 다음, 희석된 약물전달체 현탁액 5 ml을 각각 유리병에 담았다. 그 후, 뚜껑이 열려 있는 유리병에 수직으로 UV (365 nm, 400 W)를 1시간 동안 조사하여 광이량화된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실시예 1), Al-Ci/Pl-Ci/PEG-Ci(1/1/0) 약물전달체(비교예 1), Al-Ci/Pl-Ci/PEG-Ci(1/0/1) 약물전달체(비교예 2), Al-Ci/Pl-Ci/PEG-Ci(0/1/1) 약물전달체(비교예 3)를 수득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이량화 정도는 하기의 수학식 1로 계산되었다.
상기 수학식 1에서 A0는 자외선 조사 전, 275nm에서 약물전달체 현탁액의 흡광도이고, At는 일정 기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한 후, 275nm에서 약물전달체 현탁액의 흡광도이다.
측정결과, 광이량화 정도는 포화곡선을 그리면서 증가하였다. 자외선을 조사하여 생성된 CA 이량체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 광 분해되어서 단량체가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자외선 조사기간이 길어지면 광이량화 속도와 광분해 속도가 동일해지는 평형상태에 도달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자외선 조사 초기에는 이량화 정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조사 기간이 길어지면 이량화 정도의 증가 속도가 느려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 도 5는 Al-Ci/Pl-Ci/PEG-Ci(1/1/1), Al-Ci/Pl-Ci/PEG-Ci(1/1/0), Al-Ci/Pl-Ci/PEG-Ci(1/0/1), Al-Ci/Pl-Ci/PEG-Ci(0/1/1) 약물전달체의 CA잔기의 광이량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
실험예
1: Al-
Ci
결합체/
Pl
-
Ci
결합체/PEG-
Ci
결합체로 구성된 약물전달체의
TEM
촬영]
본 실험예에서는 Al-Ci/Pl-Ci/PEG-Ci 약물전달체의 단면 구조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l-Ci/Pl-Ci/PEG-Ci(1/1/1), Al-Ci/Pl-Ci/PEG-Ci(1/1/0), Al-Ci/Pl-Ci/PEG-Ci(1/0/1), Al-Ci/Pl-Ci/PEG-Ci(0/1/1) 약물전달체를 포스포텅스텐산(phosphotungstic acid)으로 염색(staining)한 후에 투과전자현미경(t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LEO 912AB OMEGA, Germany, installed in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Chuncheon, Republic of Korea)으로 촬영하였다.
촬영결과, 약물전달체의 직경은 50~150 nm이었고, 모양은 거의 구형이었다. 신남산은 페닐기를 가지고 있는 소수성 화합물이고, 알지네이트, 플루로닉 F127,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친수성 고분자이기 때문에, Al-Ci결합체, Pl-Ci결합체, PEG-Ci결합체는 양친매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 결합체들은 수상에서 신남산 잔기들의 소수성 상호인력으로 인하여 회합하여, 고분자 미셀과 같은 입자성 약물전달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실험예
2: 약물전달체와 의약용 단백질의 제타 전위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Al-Ci/Pl-Ci/PEG-Ci 약물전달체와 의약용 단백질인 인간성장 호르몬과 인슐린의 제타전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Al-Ci/Pl-Ci/PEG-Ci(1/1/1), Al-Ci/Pl-Ci/PEG-Ci(1/1/0), Al-Ci/Pl-Ci/PEG-Ci(1/0/1), Al-Ci/Pl-Ci/PEG-Ci(0/1/1) 약물전달체의 표면전하를 상온에서 pH 값을 pH 3.0에서 pH 9.0까지 변경하면서 광산란장치 (dynamic light scattering equipment (ZetaPlus 90, Brookhaven Instrument Co, NY,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H 값을 변동시킬 때, 완충용액을 사용하였는데, 글리신 완충용액(glycine buffer)은 pH 값을 pH 3.0, pH 4.0, pH 9.0로 맞추고자 할 때 사용하였고, 메스 완충용액(mes buffer)은 pH 값을 pH 5.0, pH 6.0으로 맞추고자 할 때 사용하였다. PBS 완충용액(PBS buffer)은 pH 값을 pH 7.0, pH 8.0으로 맞추고자 할 때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모든 약물전달체의 제타포텐셜은 측정한 pH 값 범위에서 모두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Al-Ci/Pl-Ci/PEG-Ci(0/1/1) 약물전달체를 제외한 약물전달체의 제타 포텐셜의 절대값은 pH 값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알지네이트의 카르복실산은 pH 값이 증가할수록 이온화 정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알지네이트를 포함한 약물전달체(Al-Ci/Pl-Ci/PEG-Ci(1/1/1), Al-Ci/Pl-Ci/PEG-Ci(1/1/0), Al-Ci/Pl-Ci/PEG-Ci(1/0/1) 약물전달체)의 제타포텐셜의 절대값은 pH 값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Al-Ci/Pl-Ci/PEG-Ci(0/1/1) 약물전달체는 알지네이트를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타포텐셜은 pH 값의 변화에 의존하지 않고 거의 일정하였고, 절대값이 5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7). 도 7은 자외선으로 처리한 Al-Ci/Pl-Ci/PEG-Ci(1/1/1), Al-Ci/Pl-Ci/PEG-Ci(1/1/0), Al-Ci/Pl-Ci/PEG-Ci(1/0/1), Al-Ci/Pl-Ci/PEG-Ci(0/1/1) 약물전달체의 제타포텐셜을 pH 값의 변화에 따라서 측정한 결과이다.
한편, pH 값이 pH 3.0에서 pH 9.0로 증가할 때 인간성장 호르몬의 제타 포텐셜은 + 39 mV 에서 - 51 mV까지 감소하였고, 등전점은 pH 5.0부근에서 관찰되었으며, 인슐린의 제타 포텐셜은 + 31 mV에서 - 42mV까지 감소하였고, 등전점은 pH 5.0부근에서 관찰되었다 (도 8). 도 8은 인간성장 호르몬과 인슐린의 제타 포텐셜을 pH 3~9 범위에서 측정한 결과이다.
[
실시예
2: 약물전달체에 의약용 단백질 탑재]
본 실시예에서는 Al-Ci/Pl-Ci/PEG-Ci 약물전달체에 의약용 단백질을 탑재하고자 하였다.
5 mg의 인간 성장호르몬을 1 ml의 글리신 버퍼 용액(30 mM, pH 3.0)에 용해시켰다. 그 후, 5 mg의 인슐린을 1 ml의 글리신 버퍼 용액(30 mM, pH 3.0)에 용해시켰다. 상기 의약용 단백질 용액 1 ml을 3 ml의 Al-Ci/Pl-Ci/PEG-Ci 약물전달체 현탁액(1%, w/v)에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4℃에서 24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에 약물전달체에 탑재되지 않은 의약용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4 ml의 혼합물 (약물전달체 + 의약용 단백질)을 투석 주머니 (MWCO 100,000)에 넣고, 500 ml의 글리신 완충용액 (30 mM, pH 3.0) 에서 의약용 단백질이 더 이상 빠져 나오지 않을 때까지 투석하였다.
인간성장 호르몬의 경우, Al-Ci/Pl-Ci/PEG-Ci(1/1/1), Al-Ci/Pl-Ci/PEG-Ci(1/1/0), Al-Ci/Pl-Ci/PEG-Ci(1/0/1), Al-Ci/Pl-Ci/PEG-Ci(0/1/1) 약물전달체에서 비 탑재율(specific loading, 약물전달체 무게에 대하여 탑재된 인간성장호르몬 무게의 백분율)은 각각 차례대로 3.3% (w/w), 4.5% (w/w), 4.3% (w/w), 0.1% (w/w)이었다.
알지네이트를 함유한 약물전달체(Al-Ci/Pl-Ci/PEG-Ci(1/1/1), Al-Ci/Pl-Ci/PEG-Ci(1/1/0), Al-Ci/Pl-Ci/PEG-Ci(1/0/1))에 인간성장호르몬이 탑재되는 원리는 pH 3에서 성장호르몬이 양전하를 띠고 (도 8 참조), 음전하를 띠는 약물전달체(도 7 참조)에 정전기적 인력으로 흡착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에, 알지네이트를 함유하지 않은 약물전달체 (Al-Ci/Pl-Ci/PEG-Ci(0/1/1) 약물전달체)에서 비탑재율이 0.1%에 불과한 이유는 약물전달체의 제타포텐셜의 음의 절대값이 적기 때문에(도 7 참조, 약 4 mV), 인간성장 호르몬이 효율적으로 약물전달체에 흡착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인슐린의 경우, Al-Ci/Pl-Ci/PEG-Ci(1/1/1), Al-Ci/Pl-Ci/PEG-Ci(1/1/0), Al-Ci/Pl-Ci/PEG-Ci(1/0/1), Al-Ci/Pl-Ci/PEG-Ci(0/1/1) 약물전달체에서 비 탑재율(specific loading, 약물전달체 무게에 대하여 탑재된 인슐린 무게의 백분율)은 각각 차례대로 3.3% (w/w), 4.5% (w/w), 4.3% (w/w), 0.1% (w/w)이었다.
알지네이트를 함유한 약물전달체(Al-Ci/Pl-Ci/PEG-Ci(1/1/1), Al-Ci/Pl-Ci/PEG-Ci(1/1/0), Al-Ci/Pl-Ci/PEG-Ci(1/0/1))에 인슐린이 탑재되는 원리는 pH 3에서 인슐린은 양전하를 띠고 (도 8 참조), 따라서 음전하를 띠는 약물전달체에 (도 7 참조) 정전기적 인력으로 흡착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에, 알지네이트를 함유하지 않은 약물전달체 (Al-Ci/Pl-Ci/PEG-Ci(0/1/1) 약물전달체)에서 비탑재율이 0.1%에 불과한 이유는 약물전달체의 제타 포텐셜의 음의 절대값이 적어서 (도 7 참조, 약 4 mV) 인간성장 호르몬이 효율적으로 약물전달체에 흡착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실험예
3: 약물전달체로부터 인간성장호르몬의 방출]
본 실험예에서는 pH와 시간에 따라,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의약용 단백질을 탑재한 약물전달체로부터 의약용 단백질의 방출 정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인간성장호르몬이 탑재된 Al-Ci/Pl-Ci/PEG-Ci(1/1/1), Al-Ci/Pl-Ci/PEG-Ci(1/1/0), Al-Ci/Pl-Ci/PEG-Ci(1/0/1) 약물전달체 현탁액 (1% (w/v), 글리신 완충용액 (pH 3.0)) 1 ml을 각각 투석주머니(MWCO 100,000)에 넣은 후 밀봉하여, 50 ml 비이커에 담겨 있는 37℃의 완충용액(pH 3.0, pH 5.0, pH 7.4, pH 9.0) 40 ml에서 각각 투석하였다.
투석기간 7일 동안 특정시간에서 0.2 ml의 투석액을 취하여, 방출된 인간성장호르몬 양을 정량하였다. 인간성장호르몬의 양은 인간성장호르몬 정량용 키트(R&D System Eli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의 경우, 방출 미디움의 pH 값이 3.0 과 5.0일 때 방출속도는 매우 낮았고, 170일 동안 방출된 정도는 10% 보다 적었다. 하지만, 방출 미디움의 pH 값이 7.0일 때, 방출정도는 170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170시간 동안 방출 정도는 약 52.1%이었다. 방출 미디움의 pH 값이 9.0일 때, 방출 정도는 170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170시간 동안 방출 정도는 약 67.2%이었다. 산성에서 낮은 방출 정도를 나타내고, pH 7.4와 pH 9에서 방출 정도가 높은 이유는, 산성에서는 인간성장호르몬이 양전하를 띠기 때문에 음전하를 띠는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와 정전기적 인력이 상호작용하고, pH 7.4와 pH 9에서는 인간성장호르몬이 음전하를 띠기 때문에 음전하를 띠는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와 인간성장호르몬 사이에 정전기적 인력이 작용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 9). 도 9는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어 나오는 인간성장호르몬의 방출 프로필을 37℃에서 pH 3.0, pH 5.0, pH 7.4, pH 9.0으로 170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한편, Al-Ci/Pl-Ci/PEG-Ci(1/1/0) 약물전달체의 경우, 방출 미디움의 pH 값이 3.0 과 5.0일 때 방출속도는 매우 낮았고, 170일 동안 방출된 정도는 10%보다 적었다. 방출 미디움의 pH 값이 7.0일 때, 방출정도는 170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170시간 동안 방출 정도는 약 57.6%이었다. 방출 미디움의 pH 값이 9.0일 때, 방출 정도는 170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170시간 동안 방출 정도는 약 73.5%이었다 (도 10). 도 10은 Al-Ci/Pl-Ci/PEG-Ci(1/1/0)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어 나오는 인간성장호르몬의 방출 프로필을 37℃에서, pH 3.0, pH 5.0, pH 7.4, pH 9.0으로 170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한편, Al-Ci/Pl-Ci/PEG-Ci(1/0/1) 약물전달체의 경우, 방출 미디움의 pH 값이 3.0 과 5.0일 때 방출속도는 매우 낮았고, 170일 동안 방출된 정도는 10%보다 적었다. 방출 미디움의 pH 값이 7.0일 때, 방출정도는 초기 10시간 동안 급속히 증가하였고, 170시간 동안 방출 정도는 약 79.7%이었다. 방출 미디움의 pH 값이 9.0일 때, 방출 정도는 초기 10시간 동안 급속히 증가하였고, 170시간 동안 방출 정도는 약 85.5%이었다 (도 11). 도 11은 Al-Ci/Pl-Ci/PEG-Ci(1/0/1)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어 나오는 인간성장호르몬의 방출 프로필을 37℃에서 pH 3.0, pH 5.0, pH 7.4, pH 9.0으로 170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Pl-Ci가 함유되어 있는 약물전달체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 Al-Ci/Pl-Ci/PEG-Ci(1/1/0) 약물전달체)는 의약용 단백질을 인체 생리학적 조건 (37℃, pH 7.4)에서 170시간에 걸쳐 서서히 지속적으로 방출시키는 반면, Pl-Ci 가 함유되어 있지 않는 약물전달체 (Al-Ci/Pl-Ci/PEG-Ci(1/0/1))는 인간성장호르몬을 인체 생리학적 조건 (37 ℃, pH 7.4)에서 짧은 기간 동안 (10시간 동안) 급속히 방출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Pl-Ci 가 함유되어 있는 약물전달체들이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방출특성을 나타내는 것은 Pl-Ci의 플로로닉 사슬들이 37℃에서 열적으로 응축하여 막을 형성하고, 형성된 막이 인간성장호르몬의 방출에 대한 제어막 역할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실험예
4: 약물전달체로부터 인슐린의 방출]
인슐린이 탑재된 Al-Ci/Pl-Ci/PEG-Ci(1/1/1), Al-Ci/Pl-Ci/PEG-Ci(1/1/0), Al-Ci/Pl-Ci/PEG-Ci(1/0/1) 약물전달체 현탁액 (1% (w/v), 글리신 완충용액 (pH 3.0)) 1 ml을 투석주머니(MWCO 100,000)에 넣은 후 밀봉하여 50 ml 비이커에 담겨 있는 37℃의 완충용액(pH 3.0, pH 5.0, pH 7.4, pH 9.0) 40 ml에서 투석하였다.
투석기간 7일 동안 특정시간에서 0.2 ml의 투석액을 취하여 방출된 인술린 양을 정량하였다. 인슐린의 양은 인슐린 정량용 키트(Arbor Assay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의 경우, 방출 미디움의 pH 값이 3.0 과 5.0일 때 방출속도는 매우 낮았고, 170일 동안 방출된 정도는 10% 보다 적었다. 방출 미디움의 pH 값이 7.0일 때, 방출 정도는 170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170시간 동안 방출 정도는 약 59.1%이었다. 방출 미디움의 pH 값이 9.0일 때, 방출 정도는 170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170시간 동안 방출 정도는 약 72.4%이었다 (도 12). 도 12는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어 나오는 인슐린의 방출 프로필을 37℃에서 pH 3.0, pH 5.0, pH 7.4, pH 9.0으로 170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한편, Al-Ci/Pl-Ci/PEG-Ci(1/1/0) 약물전달체의 경우, 방출 미디움의 pH 값이 3.0 과 5.0일 때 방출속도는 매우 낮았고, 170일 동안 방출된 정도는 10%보다 적었다. 방출 미디움의 pH 값이 7.4일 때, 방출 정도는 170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170시간 동안 방출 정도는 약 64.1%이었다. 방출 미디움의 pH 값이 9.0일 때, 방출 정도는 170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170시간 동안 방출 정도는 약 76.2%이었다 (도 13). 도 13은 Al-Ci/Pl-Ci/PEG-Ci(1/1/0)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어 나오는 인슐린의 방출 프로필을 37℃에서 pH 3.0, pH 5.0, pH 7.4, pH 9.0으로 170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한편, Al-Ci/Pl-Ci/PEG-Ci(1/0/1) 약물전달체의 경우, 방출 미디움의 pH 값이 3.0 과 5.0일 때 방출속도는 매우 낮았고, 170일 동안 방출된 정도는 10%보다 적었다. 방출 미디움의 pH 값이 7.0일 때, 방출 정도는 초기 10시간 동안 급속히 증가하였고, 170시간 동안 방출 정도는 약 83.3%이었다. 방출 미디움의 pH 값이 9.0일 때, 방출 정도는 초기 10시간 동안 급속히 증가하였고, 170시간 동안 방출 정도는 약 87.9%이었다 (도 14). 도 14는 Al-Ci/Pl-Ci/PEG-Ci(1/0/1) 약물전달체로부터 방출되어 나오는 인슐린의 방출 프로필을 37℃에서 pH 3.0, pH 5.0, pH 7.4, pH 9.0로 170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상기 결과로부터, Pl-Ci 가 함유되어 있는 약물전달체 (Al-Ci/Pl-Ci/PEG-Ci(1/1/1) 약물전달체, Al-Ci/Pl-Ci/PEG-Ci(1/1/0) 약물전달체)는 인슐린을 인체 생리학적 조건 (37℃, pH 7.4)에서 170시간에 걸쳐 서서히 지속적으로 방출시키는 반면, Pl-Ci 가 함유되어 있지 않는 약물전달체 (Al-Ci/Pl-Ci/PEG-Ci(1/0/1))는 인슐린을 인체 생리학적 조건 (37 ℃, pH 7.4)에서 짧은 기간 동안 (10시간 동안) 급속히 방출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Pl-Ci 가 함유되어 있는 약물전달체들이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방출특성을 나타내는 것은 Pl-Ci의 플로로닉 사슬들이 37℃에서 열적으로 응축하여 막을 형성하고 형성된 막이 인슐린의 방출에 대한 제어막 역할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Claims (14)
- 알지네이트-신남산(Al-Ci) 결합체 및 플루로닉 F127-신남산(Pl-Ci) 결합체가 신남산을 매개로 하여 상호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
- 알지네이트-신남산(Al-Ci) 결합체, 플루로닉 F127-신남산(Pl-Ci) 결합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신남산(PEG-Ci) 결합체가 신남산을 매개로 하여 상호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남산을 매개로 하는 결합은,
신남산의 이량화(dimerization)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약물 전달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량화는,
자외선에 의해 수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체는,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체는,
단백질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의약용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등전점보다 낮은 pH 값에서는 양전하를 띄고, 등전점보다 높은 pH 값에서는 음전하를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체는,
pH 2.0~4.0, 0~10℃의 조건에서 단백질을 탑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체는,
생체 내에서 탑재된 단백질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전달체는,
탑재된 단백질을 서방형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지네이트-신남산(Al-Ci) 결합체는,
신남산의 카르복실기와 알지네이트의 수산기가 축합 반응되어 합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로닉 F127-신남산(Pl-Ci) 결합체는,
신남산의 카르복실기와 플루로닉(pluronic) F127의 수산기가 축합 반응되어 합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신남산(PEG-Ci) 결합체는,
신남산의 카르복실기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의 수산기가 축합 반응되어 합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1034A KR101788610B1 (ko) | 2015-10-07 | 2015-10-07 | 의약용 단백질의 지속방출을 위한 약물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
US15/067,151 US20170100484A1 (en) | 2015-10-07 | 2016-03-10 | Drug delivery carrier for sustained release of medicinal protein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1034A KR101788610B1 (ko) | 2015-10-07 | 2015-10-07 | 의약용 단백질의 지속방출을 위한 약물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1509A true KR20170041509A (ko) | 2017-04-17 |
KR101788610B1 KR101788610B1 (ko) | 2017-10-20 |
Family
ID=58499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1034A KR101788610B1 (ko) | 2015-10-07 | 2015-10-07 | 의약용 단백질의 지속방출을 위한 약물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70100484A1 (ko) |
KR (1) | KR10178861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5620A (ko) | 2018-04-03 | 2019-10-14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이온성 고분자와 이온성 방향족 화합물로 구성된 자가결집체 및 이를 포함하는 pH 민감성 큐빅상 |
KR20200050141A (ko) | 2018-11-01 | 2020-05-11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황화물을 함유한 산화 민감성 리포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21248B (zh) * | 2017-04-19 | 2020-08-04 | 浙江大学 | 一种pH响应型纳米银组装体的制备方法、产物及应用 |
-
2015
- 2015-10-07 KR KR1020150141034A patent/KR10178861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3-10 US US15/067,151 patent/US20170100484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5620A (ko) | 2018-04-03 | 2019-10-14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이온성 고분자와 이온성 방향족 화합물로 구성된 자가결집체 및 이를 포함하는 pH 민감성 큐빅상 |
KR20200050141A (ko) | 2018-11-01 | 2020-05-11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황화물을 함유한 산화 민감성 리포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8610B1 (ko) | 2017-10-20 |
US20170100484A1 (en) | 2017-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71622B1 (en) | A biocompatible, non-biodegradable, non-toxic polymer useful for nanopartic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
Kempe et al. | In situ forming implants—an attractive formulation principle for parenteral depot formulations | |
He et al. | Stimuli‐sensitive synthetic polypeptide‐based materials for drug and gene delivery | |
Popescu et al. | Biomedical applications of maleic anhydride copolymers | |
EP2766407B1 (en) | Pentablock polymers | |
KR100918524B1 (ko) | 온도 및 피에치 민감성 블록공중합체 고분자 하이드로겔을이용한 주사가능한 약물전달체 및 약물전달방법 | |
US20100029544A1 (en) | Composition | |
JP2008533108A (ja) | 生物学的に活性な分子の投与系としての、キトサンとポリエチレングリコールとのナノ粒子 | |
TW200902097A (en) | Method of formation of viscous, shape conforming gels and their uses as medical prosthesis | |
CA2835637A1 (en) | Polymeric nanoparticles for drug delivery | |
TWI703985B (zh) | 喜樹鹼類高分子衍生物之醫藥製劑 | |
KR101788610B1 (ko) | 의약용 단백질의 지속방출을 위한 약물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EP3389721A1 (en) | Polymer composite for controlled release of an agent | |
US8728453B2 (en) | Combinatorial polymeric compositions for drug delivery | |
JP5674941B2 (ja) | ヨードを含有した放射形状の高分子化合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有するct用造影剤組成物 | |
WO2013023003A1 (en) | Bioactive amphiphilic polymer stabilized nanoparticles with enhanced stability and activity | |
WO2020241819A1 (ja) | 複合体、医薬、癌治療剤、キット及び結合体 | |
Patil et al. | Biodegradable nanoparticles: a recent approach and applications | |
Khodaverdi et al. | In-vitro release evaluation of growth hormone from an injectable in-situ forming gel using PCL-PEG-PCL thermosensitive triblock | |
KR19990069033A (ko) | 난용성 약물 함유 시스템 | |
CN107847436B (zh) | 凝胶组合物和凝胶组合物的制造方法 | |
US8796234B2 (en) | Crosslinking branched molecule through thiol-disulfide exchange to form hydrogel | |
KR100567397B1 (ko) | 온도 감응성과 생체 적합성을 갖는 양친성 고리형포스파젠 삼합체 및 그 제조 방법 | |
Zadeh Mehrizi et al. | A review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olymeric-based nanoparticles as a novel approach for enhancing the stability of albumins | |
WO2011099601A1 (ja) | 粒子状医薬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