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1304A - 태양전지 모듈에서의 pid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모듈에서의 pid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1304A
KR20170041304A KR1020150140227A KR20150140227A KR20170041304A KR 20170041304 A KR20170041304 A KR 20170041304A KR 1020150140227 A KR1020150140227 A KR 1020150140227A KR 20150140227 A KR20150140227 A KR 20150140227A KR 20170041304 A KR20170041304 A KR 20170041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ell module
voltage
pid
cell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0857B1 (ko
Inventor
고석환
강기환
주영철
정영석
소정훈
황혜미
김가현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40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8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4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31/365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태양전지 모듈 중 셀의 전기적 특성 저하에 따라 출력이 저하되는 PID 현상이 발생되는 태양전지 모듈을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단방법은 일사량이 없는 환경 하에서 태양전지 모듈의 전압 출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압 출력의 측정 결과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 태양전지 모듈을 PID 현상이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인 것으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전지 모듈에 PID 현상이 발생될 경우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음영, 적설, 오염 기타 원인과 PID 현상이 구분될 수 있게 되어 PID 현상이 발생된 모듈에 적시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에서의 PID 진단방법{METHOD OF DIAGNOSING 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IN PHOTOVOLTAIC MODULE}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의 고장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압의 측정으로 PID(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현상이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을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의 출력 저하 원인은 다양하다. 태양전지에 음영이 드리워지거나, 겨울철에 적설로 인하여 태양광으로부터 태양전지가 차단됨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태양전지 표면이 각종 먼지나 새똥 등의 이물질로 오염될 수도 있다. 이러한 외부적인 출력 저하 요인 외에 태양전지 자체의 열화 발생이 원인일 수 있다. 특히 고전압 스트레스로 인한 전기적 특성 저하 현상인 PID(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현상은 사용시간이 별로 오래 되지 않은 태양전지의 경우에도 발생될 수 있으므로 문제가 된다.
태양전지에서는 높은 전압, 높은 습도, 높은 온도에 의해 태양전지 셀과 프레임 간에 누설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누설 전류로 인하여 분극화(electrical charge, polarization)가 발생하고, 분극화가 태양전지 셀의 광전효과를 방해하여 태양전지 셀의 특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하된다. 이로 인하여 모듈의 전체 출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낮아지는 현상을 PID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태양전지 프레임은 전위가 0V가 되고, 태양전지는 접지 위치에 따라 (??)나 (+)로 전위가 달라진다. 이때, 태양전지와 프레임 간의 전압으로 인해 모듈에 사용되는 재질로부터 전자가 방출되어 접지된 프레임을 통해 방전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모듈 전체의 출력이 저하되는 것이다.
PID 현상이 발생하는 태양전지 모듈에서는 전기 생산량이 감소하게 됨으로써, 신뢰성이 감소되고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PID 현상이 발생하는 태양전지 모듈을 선별하여 회복시키거나 대체시킬 필요가 있으나, PID 현상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판단하기 어렵고, 특수 장비로 촬영하는 방법에 의존하지 않고도 원격으로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재로서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문제가 발생되는 태양전지 모듈을 원격으로 선별하기 위한 종래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1051496호(등록일자: 2011. 07. 18)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종래기술은 태양전지 모듈에 센서를 구비한 종단기기를 각각 부착시켜 센싱 데이터를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중앙감시소에 전송하고, 중앙감시소에서 상기 센싱 데이터에 의한 발전량과 기 저장된 발전량을 비교 분석하여 성능저하 또는 고장 태양전지 모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이 종래기술은 육안으로 관찰하지 않고서도 이상이 발생되는 태양전지 모듈을 선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 모듈에서 이상이 발생되는 원인은 PID 현상 이외에도 많은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종래기술에 의해서는 구체적인 태양전지 모듈의 이상 종류의 확인이 힘들어 결국 육안으로 확인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밖에 없으며 특히 PID 현상이 발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전혀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51496호(등록일자: 2011. 07. 18)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서도 모니터링 자료로 PID 현상이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을 쉽게 선별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의 진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태양광발전시스템에 사용되는 태양전지 모듈 중 셀의 전기적 특성 저하에 따라 출력이 저하되는 PID 현상이 발생되는 태양전지 모듈을 선별하는 방법으로서, 일사량이 없는 환경 하에서 태양전지 모듈의 전압 출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압 출력의 측정 결과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 태양전지 모듈을 PID 현상이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인 것으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압 출력은 태양전지 모듈 복수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배치되어 하나의 열로 이루어지는 태양전지 어레이 별로 측정한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어레이는 복수열의 태양전지 어레이가 병렬로 하나의 직렬 접속반에 접속되게 연결시키고, 상기 직렬 접속반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유입되는 인버터를 상기 직렬 접속반에 연결한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의 전압 출력 측정은 직렬 접속반 또는 인버터에서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별하는 단계에서 PID 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선별된 태양전지 어레이 마다 개방전압을 측정하고, 정상적인 태양전지 어레이의 개방전압으로부터 상기 선별된 태양전지 어레이의 개방전압 측정값을 뺀 수치인 델타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된 태양전지 어레이 중 어느 하나의 델타 전압 값이 일정한 시간 동안 임의의 특정 값 보다 작게 측정될 경우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태양전지 어레이는 정상적인 태양전지 어레이인 것으로 분류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태양전지 어레이의 델타 전압 값이 일정한 시간 동안 임의의 특정 값의 일정비율 보다 크게 측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태양전지 어레이는 PID 현상이 발생된 태양전지 어레이인 것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PID 현상이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인 것으로 인정된 상기 태양전지 어레이에 역 전압을 인가시킴으로써 정상 태양전지 어레이로 회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PID 발생 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선별된 태양전지 모듈에 태양광을 조사시켜서 개방전압이 측정되는 시점이 정상적인 태양전지 모듈에서의 개방전압 측정 시점보다 일정 시간 이상 지체되는 경우 상기 선별된 태양전지 모듈은 PID 발생 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의의 특정 값은 정상적인 태양전지 어레이의 개방전압의 30% 내지 60% 사이의 일정 수치이며, 상기 일정 시간은 30초 이상이다. 또한, 상기 일정 시간은 5분에서 6시간 사이이다.
본 발명에 의한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의 진단방법에 의하면 태양전지 모듈에 PID 현상이 발생될 경우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음영, 적설, 오염 기타 원인과 PID 현상이 구분될 수 있게 되어 PID 현상이 발생된 모듈에 적시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태양광 시스템의 유지 관리에 드는 시간과 비용 및 노력이 대폭 절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PID 현상의 장기 방치로 인한 추가적인 피해가 방지되어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PID 현상 인공 유도를 위한 테스트 사진이다.
도 3은 PID 현상 발생으로 인한 태양전지 모듈의 전력 출력 감소 그래프이다.
도 4는 PID 현상이 발생되기 전과 후의 EL(Electro luminescent) 이미지 사진이다.
도 5는 정상 태양전지 모듈과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의 시간에 따른 전류 발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정상 태양전지 모듈과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의 시간에 따른 전압 출력을 일사량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6의 그래프에서 시간 변수를 보다 크게 적용하여 시간에 따른 전압 출력을 여러 날에 걸쳐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정상 태양전지 모듈의 개방전압과 PID 생성 태양전지 모듈의 개방전압의 시간경과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태양전지 모듈의 테스트를 위한 어레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별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PID가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의 진단을 위한 특성 테스트를 위하여 정상 태양전지의 일부 위에 인위적으로 PID 현상을 유발시켜서 PID 현상이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과 정상 태양전지 모듈의 전기적 특성을 비교하는 테스트를 장시간에 걸쳐 수 차례 실시한 결과에 따라 최초의 가설과 테스트에 따른 데이터 분석의 비교를 통하여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의 진단 방법이 도출되었다.
도 2를 참조하여 테스트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 다음 본 발명에 의한 선별방법을 실제 테스트 결과 그래프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태양전지 모듈(1)에 인위적으로 PID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섭씨 85도의 온도와 85%의 습도 환경을 만들고 1000V의 직류 전압을 태양전지 모듈 프레임과 태양전지 모듈의 (??)단자에 인가한 후 24시간을 경과시킨다. 이때 실험의 효율성과 정상모듈과의 간략한 비교가 가능하도록 태양전지 모듈(1)의 일부에만 PID 현상을 유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1)의 가장자리 부위에 호일(2)을 접촉시키고, 호일(2)이 접촉된 부위에만 전압을 인가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PID 현상이 유발된 태양전지 모듈과 정상 태양전지 모듈의 비교 사진이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PID 현상이 유발된 태양전지 모듈과 정상 태양전지 모듈의 전력 출력 차이가 도 3의 그래프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ID 현상이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은 정상 태양전지 모듈에 비하여 전력 출력이 42.2%가 감소됨을 알 수 있으므로 PID 현상이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을 그대로 방치하게 될 경우 인접 태양전지 모듈에도 피해가 발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방법으로 유발시킨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과 정상 태양전지 모듈의 현장 실증을 위하여 약 10일간의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시간 경과에 따른 전기적 특성이 도 5 내지 도 8의 그래프에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이 테스트에서 250W 마이크로 인버터를 이용하였으며, 정상 태양전지 모듈과 PID가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을 Grid 계통에 연계하여 운전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정상 태양전지 모듈과 PID가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의 배면에 온도, 일사량, 대기 온도/습도 측정 센서를 설치하여 5초를 단위시간으로 하는 5초당 평균 데이터를 7일간에 걸쳐 계속 저장하였다.
일사량이 좋은 날의 주간 전류 발생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이 도 5와 도 6에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5는 하루 동안 시간 경과에 따른 정상 태양전지 모듈과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의 직류전류 생성량을 일사량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5의 하단에는 일사가 시작되는 시점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일사 각도 조건으로 설치되는 태양전지일 경우, 일사가 시작되는 시점을 자세히 살펴보면, 정상 태양전지 모듈의 경우에는 일사의 시작과 동시에 전류가 발생되나, PID가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은 일사 시작 후 대략 18분에서 20분 사이에 전류가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후술하게 될 PID 생성 태양전지 모듈의 추가적인 선별 방법을 제공하게 되며 뒤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하루 주간 동안의 PID 생성 태양전지 모듈과 정상 태양전지 모듈의 전압특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주간에는 일사량이 적은 아침과 저녁에는 PID 생성 태양전지 모듈의 전압 출력이 정상 태양전지 모듈과 차이가 많이 발생되고, 일사량이 많아 태양전지 모듈의 발열이 심한 한낮의 경우에는 정상 태양전지 모듈도 발열로 인하여 효율이 저하되므로 아침과 저녁에 비해서는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과의 전압 차이가 적게 나타난다.
도 7은 도 6과 동일한 전압 특성의 그래프이다. 다만 도 6이 하루 시간 동안의 일사량에 따른 그래프인 반면 도 7은 9일에 걸쳐서 기록된 그래프이다.
도 7에서 높이 솟아 있는 부분은 주간 시간대를 나타낸 것이며, 바닥 근처의 부분은 야간 시간대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특히 주목할 점은 바로 야간 시간대에 정상 태양전지 모듈에서는 잔류 전압이 존재하나,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에서는 잔류전압이 측정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도 7에서 높이 솟아있는 부분 사이의 부분, 즉 타원형 동그라미로 표시된 부분이 바로 정상 태양전지 모듈의 잔류 전압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도 7에서 야간이나 새벽 등 일사량이 전혀 없는 어두운 시간대에 정상 태양전지 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대략 1Vdc가 된다. 이때 상용태양전지 3kW급 이상에서는 20Vdc 이상 전압이 발생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테스트 결과를 이용한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의 진단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의 진단방법은, 일사량이 없는 환경 하에서 태양전지 모듈의 전압 출력을 측정하여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 태양전지 모듈을 PID 현상이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이하 '최초 선별 PID 발생 태양전지 어레이'라 칭하기로 한다.)인 것으로 인정하여 선별하는 단계(I)로 이루어진다(이하, '잔류전압 측정 단계(I)'라고 함). 즉, 야간이나 해뜨기 전의 새벽 시간대와 같이 암흑 상황인 경우에도 잔류 전압이 측정되면 정상 태양전지 모듈인 것으로 인정되고, 잔류전압이 0인 경우에는 PID 현상이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인 것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압 출력 측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 모듈(11) 복수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배치되어 하나의 열로 이루어지는 태양전지 어레이(10) 별로 측정하는 것이 간편하다. 이 경우 태양전지 어레이(10)는 복수열의 태양전지 어레이(10)가 병렬로 하나의 직렬 접속반(20)에 접속되게 연결시키고, 하나의 직렬 접속반(20)에는 직렬 접속반(20)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유입되는 인버터(30)를 하나씩 연결시킨다. 여기서 전압 측정을 위한 전압 측정 센서(도시되지 않음)는 직렬 접속반(20) 또는 인버터(30)에 설치함으로써 최소한의 전압 측정 센서만으로도 다수의 태양전지 모듈의 PID 현상 발생 여부의 조사가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잔류전압 측정 단계(I)에서의 최초 선별 PID 발생 태양전지 어레이인 경우에도 정상적인 태양전지 어레이가 섞여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선별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추가적인 선별을 위한 수단으로 델타 전압을 이용할 수 있다. 델타 전압은 정상적인 태양전지 모듈의 개방전압에서 PID 현상이 최종적으로 발생된 것으로 확인된 태양전지 모듈의 개방전압을 뺀 값이다. 즉, 델타 전압은 정상 태양전지 모듈의 개방전압과 PID가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의 개방전압의 차이이다.
도 8에는 시간경과에 따른 델타 전압 값의 변화가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태양전지 모듈과 PID가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은 개방전압이 생성되는 시점이 서로 다르며, 개방전압이 생성되는 시간 차이는 x축에 해당되는 시간 수치를 참고하면 대략 20분 정도인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델타 전압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PID 선별을 위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잔류전압 측정 단계(I)에서의 최초 선별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의 델타 전압 값을 일정 시간 동안 측정하는 단계(II)가 선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I 단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측정된 최초 선별 PID 발생 태양전지 어레이의 델타 전압 값이 30초 이상 지속적으로 정상적인 태양전지 어레이(10)의 개방전압 값의 30% 이상의 임의의 특정 값보다 계속 크게 측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최초 선별 PID 발생 태양전지 어레이는 PID 현상이 발생된 태양전지 어레이(이하 '2차 선별 PID 발생 태양전지 어레이'라 칭하기로 한다.)인 것으로 인정되나, 만일 30초 이내에 델타 전압 값이 정상적인 태양전지 어레이(10)의 개방전압 값의 30% 이상의 임의의 특정 값보다 작아지는 경우에는 상기 최초 선별 PID 발생 태양전지 어레이는 정상 태양전지 모듈인 것으로 인정되는 단계(III)가 추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의의 특정 값의 델타 전압은 정상적인 태양전지 어레이의 개방전압의 30% 내지 60% 사이의 일정한 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선별방법은 상기 2차선별 PID 발생 태양전지 어레이를 태양전지 어레이에 역 전압을 인가시키는 회복 시스템에 연결시켜 역 전압을 걸어줌으로써 정상 태양전지 어레이로 회복시키는 단계(IV)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PID 현상 발생 여부 판단을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한 추가적인 단계가 더 설정될 수 있다. 이 추가적인 단계는 상기 PID 발생 현상이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인 것으로 선별하는 단계(I)에서 선별된 태양전지 모듈에 태양광을 조사시켜서 상기 선별된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개방전압이 측정되는 시점이 정상적인 태양전지 모듈에서 개방전압이 측정 시점보다 일정 시간 이상 지체되는 경우 상기 선별된 태양전지 모듈은 PID 발생 현상이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인 것으로 인정하는 단계(V)이다. 이때 상기 일정 시간은 짧게는 몇 분일 수 있으며 길게는 6시간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V 단계는 시간적으로 IV 단계의 뒤에 따르는 것은 아니며, II 단계의 앞이거나 또는 III 단계의 뒤에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태양전지 모듈 2: 호일
10: 태양전지 어레이 11: 태양전지 모듈
20: 직렬 접속반 30: 인버터

Claims (9)

  1. 태양광발전시스템에 사용되는 태양전지 모듈 중 셀의 전기적 특성 저하에 따라 출력이 저하되는 PID 현상이 발생되는 태양전지 모듈을 선별하는 방법으로서,
    일사량이 없는 환경 하에서 태양전지 모듈의 전압 출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압 출력의 측정 결과 전압이 출력되지 않는 태양전지 모듈을 PID 현상이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인 것으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의 진단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출력은 태양전지 모듈 복수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배치되어 하나의 열로 이루어지는 태양전지 어레이 별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의 진단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어레이는 복수열의 태양전지 어레이가 병렬로 하나의 직렬 접속반에 접속되게 연결시키고, 상기 직렬 접속반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유입되는 인버터를 상기 직렬 접속반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의 진단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태양전지 모듈의 전압 출력 측정은 직렬 접속반 또는 인버터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의 진단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하는 단계에서 PID 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선별된 태양전지 어레이 마다 개방전압을 측정하고, 정상적인 태양전지 어레이의 개방전압으로부터 상기 선별된 태양전지 어레이의 개방전압 측정값을 뺀 수치인 델타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된 태양전지 어레이 중 어느 하나의 델타 전압 값이 일정한 시간 동안 임의의 특정 값 보다 작게 측정될 경우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태양전지 어레이는 정상적인 태양전지 어레이인 것으로 분류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태양전지 어레이의 델타 전압 값이 일정한 시간 동안 임의의 특정 값의 일정비율 보다 크게 측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태양전지 어레이는 PID 현상이 발생된 태양전지 어레이인 것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의 진단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특정 값은 정상적인 태양전지 어레이의 개방전압의 30% 내지 60% 사이의 일정 수치이며, 상기 일정 시간은 30초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의 진단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PID 현상이 발생된 태양전지 모듈인 것으로 인정된 상기 태양전지 어레이에 역 전압을 인가시킴으로써 정상 태양전지 어레이로 회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의 진단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ID 발생 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선별된 태양전지 모듈에 태양광을 조사시켜서 개방전압이 측정되는 시점이 정상적인 태양전지 모듈에서의 개방전압 측정 시점보다 일정 시간 이상 지체되는 경우 상기 선별된 태양전지 모듈은 PID 발생 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의 진단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은 5분에서 6시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ID 발생 태양전지 모듈의 진단방법.
KR1020150140227A 2015-10-06 2015-10-06 태양전지 모듈에서의 pid 진단방법 KR101810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227A KR101810857B1 (ko) 2015-10-06 2015-10-06 태양전지 모듈에서의 pid 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227A KR101810857B1 (ko) 2015-10-06 2015-10-06 태양전지 모듈에서의 pid 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304A true KR20170041304A (ko) 2017-04-17
KR101810857B1 KR101810857B1 (ko) 2017-12-21

Family

ID=5870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227A KR101810857B1 (ko) 2015-10-06 2015-10-06 태양전지 모듈에서의 pid 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8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825A (ko) * 2018-07-11 2020-01-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발전 어레이의 pid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200006826A (ko) * 2018-07-11 2020-01-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발전 어레이의 Hot Spot 진단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432B1 (ko) 2021-05-12 2023-07-11 (주)선진환경 바이패스 핀이 접촉된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공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132B1 (ko) * 2009-03-10 2009-12-08 ㈜코리아에너텍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접속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825A (ko) * 2018-07-11 2020-01-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발전 어레이의 pid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200006826A (ko) * 2018-07-11 2020-01-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발전 어레이의 Hot Spot 진단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857B1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sanakas et al. Faults and infrared thermographic diagnosis in operating c-Si photovoltaic modules: A review of research and future challenges
JP5584622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故障検出方法
Høiaas et al. Inspection and condition monitoring of large-scale photovoltaic power plants: A review of imaging technologies
US106157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egenerating and/or preventing defects in a solar panel installation
US9876468B2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photovoltaic cell monitoring via current-voltage measurements
JP5888724B2 (ja) 太陽電池アレイの診断装置、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太陽電池アレイの診断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93465B1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発電診断方法、及び発電診断装置
US9541598B2 (en) Smart junction box for photovoltaic systems
KR101810857B1 (ko) 태양전지 모듈에서의 pid 진단방법
CN105790711A (zh) 一种光伏电站硅基组件缺陷的检测方法及系统
Buerhop et al. aIR-PV-check: A quality inspection of PV-power plants without operation interruption
Kaplani Degradation in field-aged crystalline silicon photovoltaic modules and diagnosis using electroluminescence imaging
KR101870300B1 (ko) 태양광발전시스템 및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고장진단방법
TEVI et al. Solar photovoltaic panels failures causing power losses: a review
Dhimish et al. Recovery of photovoltaic potential-induced degradation utilizing automatic indirect voltage source
Buerhop-Lutz et al. Insulation resistance in relation to distribution of backsheet types in strings and inverters
Zahraoui et al. System‐Level Condition Monitoring Approach for Fault Detection in Photovoltaic Systems
Khan et al. Detection of defects in solar panels using thermal imaging by PCA and ICA method
Karim Fault analysis and detection techniques of solar cells and PV modules
Kherici et al. Failure modes of standard photovoltaic modules in Sahara Desert
Gossla et al. Leakage current and performance loss of thin film solar modules
JP2017104003A (ja) 高温領域抽出装置
JP2016208677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検査装置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検査方法
JP2010245410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Wohlgemuth Reliability of PV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