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885A - 신발끈 팁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신발끈 팁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885A
KR20170040885A KR1020150140092A KR20150140092A KR20170040885A KR 20170040885 A KR20170040885 A KR 20170040885A KR 1020150140092 A KR1020150140092 A KR 1020150140092A KR 20150140092 A KR20150140092 A KR 20150140092A KR 20170040885 A KR20170040885 A KR 20170040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
shrinkable tube
housing
shoe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성
이다은
Original Assignee
강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성 filed Critical 강민성
Priority to KR1020150140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0885A/ko
Publication of KR20170040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A43C9/04Forming ends of laces of plastics, celluloid, rubbe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A43C9/06Releasable ends of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98/00Machines for making laces; Applying fibre or celluloid to ends of l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처리장치는 신발끈이 삽입된 열수축 튜브의 삽입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면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열판이 형성되고, 삽입홈 종단에 배치되어 하부 열판이 열수축 튜브를 받치도록 하우징에 고정된 하판과, 저면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열판이 형성되고, 받침대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 내에 설치된 상판과,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을 상방향으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부재와, 일단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상판에 결합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상판을 하방으로 밀어주도록 하우징에 설치된 압착 손잡이와, 하판 상면에 재치된 열수축 튜브의 중간을 절단하도록 하우징 내에 설치된 절단 모듈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신발끈 팁 처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ip of Shoe String}
본 발명은 신발끈 팁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드러운 섬유재질의 신발끈의 양단에 고정되어 신발끈 구멍에 신발끈의 삽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플라스틱 재질의 신발끈 팁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화와 같은 신발은 발등 부분에 결합 된 신발끈을 조절하여 신발이 발 사이즈에 맞도록 조이게 된다. 신발끈은 섬유로 이루어진 끈과 끈의 말단에 결합되어 끈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신발끈을 끈 구멍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플라스틱 팁이 부착된다. 일반적인 플라스틱 팁은 합성수지 튜브 형상으로 신발끈이 끼워진 상태에서 열수축에 의해 신발끈에 단단하게 결합된다.
종래의 신발끈은 신발끈 제조과정에서 일련의 연속 공정에 의해 그 길이가 규격화되어 대량 생산되고 있다. 그러므로 신발 사이즈, 발 크기, 발 폭의 넓이 차, 끈 매듭 방식에 따라 신발끈의 길이가 서로 달라질 수있지만 지금까지는 공장에서 생산한 규격화된 길이를 가진 신발끈을 사용하지 않으면 아니 되었다.
그러므로 신발 판매점이나 소비자 입장에서는 신발끈 길이를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정하고 싶더라도 신발끈 팁 처리장치가 없기 때문에 끈의 길이 조정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아래 특허 문헌들에 기재된 종래 신발끈 팁 제조장치들은 제조공장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것으로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값이 고가여서 일반 신발 소매점에 설치하기 곤란하거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등록실용 0424146 2. 공개특허 1996-0040222 3. 공개특허 2004-0082351 4. 공개특허 2008-002273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 판매점에서 간단하고 용이하게 신발끈 길이 조정이 가능한 신발끈 팁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뷰츠 모양의 외관 디자인으로 소형 제작이 가능하고 신발 판매점의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이 가능한 신발끈 팁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처리장치는 신발끈이 삽입된 열수축 튜브의 삽입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면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열판이 형성되고, 삽입홈 종단에 배치되어 하부 열판이 열수축 튜브를 받치도록 하우징에 고정된 하판과, 저면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열판이 형성되고, 받침대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 내에 설치된 상판과,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을 상방향으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부재와, 일단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상판에 결합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상판을 하방으로 밀어주도록 하우징에 설치된 압착 손잡이와, 하판 상면에 재치된 열수축 튜브의 중간을 절단하도록 하우징 내에 설치된 커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판의 상면에는 열수축 튜브의 재치 위치를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톱퍼들이 형성되고, 상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톱퍼들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톱퍼들이 열수축 튜브의 재치 위치를 잡아주는 스톱퍼 기능과 동시에 상판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부 열판의 중간에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이 형성되어 슬릿으로 커터날이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열 압착되는 위치와 커팅위치의 얼라인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판의 상면에는 경사홈이 형성되고, 압착 손잡이의 종단에는 경사홈에 대향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압착 손잡이의 수평방향 이동시 종단 경사면이 경사홈을 밀어서, 상판이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압착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부츠 형상이고, 가이드 홈은 부츠의 발등부분과 발목 부분의 경계면을 따라 발뒤꿈치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사뼈 위치에서 종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처리방법은 신발끈을 열수축 튜브에 삽입하고 열수축 튜브를 산발끈 팁 처리장치의 가이드 홈에 삽입하여 하판의 하부 열판 상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상판의 상부 열판으로 열수축 튜브를 압착면서 하부 열판과 상부 열판 사이에서 열수축 튜브를 열 수축시킨다. 열 수축이 완료되면, 커터로 열수축 튜브의 중간을 절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홈을 따라 열수축 튜브가 재치 위치로 자동적으로 위치하게 되고, 이어서 상판으로 압착하여 열 수축시키고 커터로 중간을 절단함으로써 누구나 안전하게 신발끈의 길이 조정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커터는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므로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외관이 뷰츠 모양이므로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므로 장식적 효과가 우수하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끈 팁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투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끈 팁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요소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 모듈들의 공간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절단 모듈(C)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초기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절단모듈(C)의 누름 손잡이에 외력이 가해진 상태의 절단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끈 팁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신발끈 처리방법에 의해 길이 조정된 신발끈을 적용한 운동화 상태와 기존의 길이 조정이 안된 운동화 상태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說示)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끈 팁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투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끈 팁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구성요소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신발끈 팁 처리장치(100)는 부츠 형상의 외관을 가진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하우징 외관은 부츠형상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자형 또는 캐릭터 형상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성할 수 있다. 부츠 형상의 하우징(110)에는 가이드 홈(112)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112)은 부츠의 발등부분과 발목 부분의 경계면을 따라 발뒤꿈치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사뼈 위치에서 종단된다. 가이드 홈(112)의 종단 부분에는 열수축 튜브(200)가 노출된다.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은 크게 전실(114)과 후실(116)로 구분되고, 전실(114)은 열수축 튜브 등의 수납공간으로 제공되고, 후실(116)에는 팁 처리 부품들이 설치되는 공간으로 제공된다. 또한 부츠 형상의 하우징(110)의 뒤꿈치 부분에는 전원케이블(118)이 연결된다. 하우징(110)의 일측면에는 전원스위치 버튼(102)과 동작 표시램프(104) 등이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절단 모듈의 손잡이 상단(106)이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하우징(110)의 좌측면에는 압착 손잡이의 일단(108)이 노출되어 있다.
후실(116)에 설치되는 부품들로는 크게 열수축 모듈(A), 절단 모듈(B) 및 제어모듈(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 모듈들의 공간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우측면도이다.
열수축 모듈(A)의 하방에 제어모듈(C)이 배치되고, 우상방에 수직방향으로 절단 모듈(B)이 배치된다.
열수축 모듈(A)은 하판(120), 상판(130), 탄성부재(140) 및 압착 손잡이(150)를 포함한다.
하판(120)은 직육면체 금속판재로 하우징(110)의 내측벽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 돌기 상에 안착된다. 또한 하판(120)의 중앙에는 하부 열판(122)이 형성된다. 하부 열판(122)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하판(120)에 형성된 열판 결합홈(12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 열판(122)의 중간에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슬릿(122a)이 형성된다. 슬릿(122a)은 열수축 튜브(200)의 절단시 칼날이 통과하는 공간으로 제공된다. 하부 열판(122)에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열수축 튜브(200)의 절단면과 하부 열판의 얼라인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스톱퍼(126)는 열판 결합홈(124)의 에지에 얼라인되고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4개의 돌기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열수축 튜브(200)는 가이드 홈(112)을 따라 삽입되고 종단에서 스톱퍼(126)에 의해 정지되어 자동적으로 하부 열판(122) 상에 정렬되게 된다. 하판(120)의 스톱퍼 후방에는 2개의 탄성부재 결합홈(126)이 가로방향으로 정렬되게 형성된다.
상판(130)은 직육면체 금속판재로, 하우징 내측벽에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사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판(130)의 중앙에는 상부 열판(132)이 형성된다. 상부 열판(132)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판(130) 중앙에 형성된 열판 결합홈(13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 열판(132)의 일측 에지는 슬릿(122a)에 얼라인된다. 상부 열판(132)은 하부 열판(122)과 마주보도록 정렬된다. 그러므로 상판(130)은 하판(120) 보다 작은 가로 폭을 가진다. 상판(130)에는 4개의 스톱퍼(126)들이 각각 대응하여 삽입되는 4개의 가이드 홈들(136)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판(130)은 스톱퍼(126)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판(130)의 저면 후방에는 2개의 탄성부재 결합홈들이 하판의 탄성부재 결함홈들(126)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판의 탄성부재 결합홈들(126)과 상판의 탄성부재 결합홈들 사이에 탄성부재(140), 예컨대 압축 스프링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하판(120)에 대해서 상판(120)이 일정 간격, 즉 열수축 튜브(200)가 삽입 가능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상판(130)의 상면에는 경사홈(138)이 형성된다. 경사홈(138)은 우측단에서 좌측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정경사면을 가진다. 경사홈(138)에 압착 손잡이(150)의 일측 종단부(152)가 삽입된다. 종단부(152)의 저면은 역경사면(152a)으로 경사홈(138)의 정경사면에 대향된다.
압착 손잡이(150)는 가로봉(152), 종단부(154) 및 누름원판(156)을 포함한다. 가로봉(152)의 일단에는 누름원판(156)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종단부(154)가 결합된다. 종단부(154)는 가이드 봉(154b)에 설치된 압축 스프링(154c)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복원된다. 누름원판(156)은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누름원판(156)을 누르면 가로봉(152)에 결합된 종단부(154)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종단부(154)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역경사면(154a)이 상판(130)의 경사홈(138)내의 정경사면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이에 상판(130)은 수평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정경사면에 미치는 수직분력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 돌기 내에서 하판(120)을 향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열수축 튜브(200)를 압착되게 된다. 누름원판(156)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가이드 봉(154b)에 장착된 압축 스프링(154c)에 의해 압착 손잡이(150)는 반대 방향으로 수평이동 되어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 이에 경사홈(138)의 정경사면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므로 상판(130)은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평힘을 수직힘으로 변환하는 압착 손잡이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다른 방식, 예컨대, 수직 하방 압착방식 또는 레버 압착방식 등으로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변형 가능하다.
절단 모듈(B)은 홀더(160), 누름 손잡이(162) 및 칼날(164)을 포함한다.
도 7은 절단 모듈(C)의 초기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절단모듈(C)의 절단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홀더(160)는 실린더 형상으로 하우징(110)의 내측벽에 고정된다.
누름 손잡이(162)는 홀더(16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칼날(164)은 홀더(16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칼날(164)은 누름 손잡이(162)의 상하 이동에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된다. 누름 손잡이(162)는 홀더(160) 내부에 설치된 압축스프링에 의해 외력에 제거되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7에 도시한 초기위치로 복원된다. 칼날(164)은 누름 손잡이(162)에 외력이 가해지면 하방으로 이동하여 하부 열판(122)의 슬릿(122a)을 통하여 하부 열판(122)을 관통하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수축 튜브(200)를 절단하게 된다.
제어 모듈(C)은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회로기판에는 하부 열판(122)과 상부 열판(132)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회로와 열판 과열방지 회로 등이 실장될 수 있다. 회로기판은 전원케이블(118)과 연결되고, 하부 열판(122)과 상부 열판(132)과도 전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회로기판에는 전원스위치 버튼(102)에 의해 스위칭 동작되는 전원스위치와 동작표시램프(10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끈 팁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처리방법은 먼저 공장에서 생산된 신발끈(10)과 열수축 튜브(200)를 준비한다(S100). 열수축 튜브(200)는 직경 3mm, 길이 20mm 정도의 열수축 플라스틱 튜브로 준비된다. 이어서, 신발끈(10)을 열수축 튜브(200)에 삽입하여(S102) 열수축 튜브(200)를 신발끈 절단 위치에 위치시킨다(S104).
신발끈 팁 처리장치(100)의 전원스위치를 눌러서 하부 열판(120)과 상부열판(130)을 약 150 내지 250℃ 정도, 바람직하기로는 200℃로 예열시킨다. 열수축 튜브(200)를 신발끈 팁 처리장치(100)의 가이드 홈(112)에 삽입하여 열수축 모듈(A)의 하판(120)의 하부 열판(122) 상에 위치시킨다(S106). 이어서, 누름원판(156)을 눌러서 상판(130)의 상부 열판(132)으로 열수축 튜브(200)를 약 3~8초, 바람직하기로는 약 5초 정도 압착하면(S108) 열수축 튜브(200)는 열수축된다. 열수축 튜브(200)의 열수축이 완료되면 커터로 열수축 튜브의 중간, 총 길이 20mm에서 대략 15mm 정도를 팁으로 남기고 나머지 0.5mm 정도를 절단한다(S110).
도 10은 본 발명의 신발끈 처리방법에 의해 길이 조정된 신발끈을 적용한 운동화 상태와 기존의 길이 조정이 안된 운동화 상태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길이 조정된 신발끈이 적용된 운동화는 끈 매듭 후 남겨진 부분의 길이가 적당하여 신발끈 팁이 신발 상에 위치하나 기존의 운동화에서는 매듭 후에 남겨진 부분의 길이가 너무 길어서 신발끈 팁이 바닥까지 늘어진 상태를 보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신발끈이 삽입된 열수축 튜브의 삽입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면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열판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 종단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열판이 상기 열수축 튜브를 받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하판;
    저면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열판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상판;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상방향으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부재;
    일단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상판에 결합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상판을 하방으로 밀어주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압착 손잡이; 및
    상기 하판 상면에 재치된 상기 열수축 튜브의 중간을 절단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절단모듈을 구비한 신발끈 팁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상면에는 상기 열수축 튜브의 재치 위치를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톱퍼들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톱퍼들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들이 형성된 신발끈 팁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열판의 중간에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에는 상기 절단 모듈의 칼날이 삽입되는 신발끈 팁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면에는 정경사면을 가진 경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 손잡이의 종단에는 상기 경사홈에 대향되는 역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 손잡이의 수평방향 이동시 상기 역경사면이 상기 경사홈 내의 정경사면을 밀어서, 상기 상판이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신발끈 팁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부츠 형상이고, 상기 가이드 홈은 부츠의 발등부분과 발목 부분의 경계면을 따라 발뒤꿈치 방향으로 연장된 신발끈 팁 처리장치.
  6. 신발끈을 열수축 튜브에 삽입하고,
    상기 열수축 튜브를 신발끈 팁 처리장치의 가이드 홈에 삽입하여 하판의 하부 열판 상에 위치시키고,
    상판의 상부 열판으로 상기 열수축 튜브를 압착면서 상기 하부 열판과 상부열판 사이에서 상기 열수축 튜브를 열 수축시키고,
    칼날로 상기 열수축 튜브의 중간을 절단하는 신발끈 팁 처리방법.
KR1020150140092A 2015-10-06 2015-10-06 신발끈 팁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700408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092A KR20170040885A (ko) 2015-10-06 2015-10-06 신발끈 팁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092A KR20170040885A (ko) 2015-10-06 2015-10-06 신발끈 팁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885A true KR20170040885A (ko) 2017-04-14

Family

ID=5857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092A KR20170040885A (ko) 2015-10-06 2015-10-06 신발끈 팁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08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5666A (zh) * 2018-05-16 2019-11-26 渥弗林户外用品公司 包括保持架的鞋类
KR102574407B1 (ko) * 2022-11-02 2023-09-06 김영렬 운동화 끈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146Y2 (ko) 1983-12-27 1992-06-05
JPH0840222A (ja) 1994-07-29 1996-02-13 Fuji Heavy Ind Ltd 自動車用アンチ・スリップ・サブ・ブレーキ・システム
KR20040082351A (ko) 2004-07-19 2004-09-24 김차영 별도의 팁부재가 필요없는 끈 그리고 그 제조방법 및제조장치
KR20080022738A (ko) 2006-09-07 2008-03-12 이정문 원통형의 금속팁 및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146Y2 (ko) 1983-12-27 1992-06-05
JPH0840222A (ja) 1994-07-29 1996-02-13 Fuji Heavy Ind Ltd 自動車用アンチ・スリップ・サブ・ブレーキ・システム
KR20040082351A (ko) 2004-07-19 2004-09-24 김차영 별도의 팁부재가 필요없는 끈 그리고 그 제조방법 및제조장치
KR20080022738A (ko) 2006-09-07 2008-03-12 이정문 원통형의 금속팁 및 그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5666A (zh) * 2018-05-16 2019-11-26 渥弗林户外用品公司 包括保持架的鞋类
CN110495666B (zh) * 2018-05-16 2022-01-25 渥弗林户外用品公司 包括保持架的鞋类
KR102574407B1 (ko) * 2022-11-02 2023-09-06 김영렬 운동화 끈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3590B2 (en) Socket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plugs from dropping off
US9130296B2 (en) Power jack with a movable socket cover
KR20170040885A (ko) 신발끈 팁 처리장치 및 방법
JP2011119161A (ja) 速結端子装置
JPH03149199A (ja) 果物、野菜などを薄切りにする装置
JP2001307789A (ja) 電気コネクタ
EP0123910B1 (en) Wire connection terminal stage for electric apparatus
US20020025703A1 (en) Structure of electric plug
KR20170114434A (ko)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 접속 기구
US20060030188A1 (en) Safety plug allowing unplugging with one hand
KR200428983Y1 (ko) 높이 및 넓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수납대
KR200444180Y1 (ko) 전기 플러그
CN205680815U (zh) 一种插针接线端子
US5959273A (en) Electric outlet with press-button switch means
WO2020024124A1 (zh) 插座结构
US20240195112A1 (en) Slide on off receptacle panel device
KR20050106726A (ko) 콘센트
JP2018186027A (ja) スイッチ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KR20100003516U (ko) 전선 연결용 단자
KR200461155Y1 (ko) 리워크 툴
JP2003163051A (ja) トラッキング防止コンセント及び電源プラグ
GB2206735A (en) Switch operating elements
KR20000012143U (ko) 텔레비젼의 파워코드 고정장치
TWM518839U (zh) 電連接器
KR200165498Y1 (ko) 플러그 분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