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463A -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463A
KR20170040463A KR1020150139449A KR20150139449A KR20170040463A KR 20170040463 A KR20170040463 A KR 20170040463A KR 1020150139449 A KR1020150139449 A KR 1020150139449A KR 20150139449 A KR20150139449 A KR 20150139449A KR 20170040463 A KR20170040463 A KR 20170040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water
washing water
receiving portion
shutt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2714B1 (ko
Inventor
이윤정
이윤채
Original Assignee
이윤정
이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정, 이윤채 filed Critical 이윤정
Priority to KR1020150139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714B1/ko
Publication of KR20170040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닷가 해수욕장을 통해 해수욕 객의 발에 묻은 채 샤워장으로 유입되는 모래를 샤워장 입구에서 사전에 제거하여 샤워실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장치를 마련하되, 상기 장치에 누적되는 모래를 수작업으로 제거하지 않고 기계적 메커니즘을 통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는 모래제거용 세척수를 보관하는 세척수 보관부(11), 모래 수용부(12) 및 수문 수용부(13)로 구성된 본체베이스(10); 세척수 보관부(11) 저부에 형성된 메쉬형 발판(20); 세척수 보관부(11)와 수문 수용부(13)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모래 수용부(12)와 수문 수용부(13)를 개폐시키는 셔터형 수문(30); 셔터형 수문을 슬라이딩시키는 구동장치(40); 셔터형 수문의 개방에 따라 낙하하는 모래를 수용하는 모래받이체(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Sand ingress protection device for beach ensuite shower booth}
본 발명은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닷가 해수욕장을 통해 해수욕 객의 발에 묻은 채 샤워장으로 유입되는 모래를 샤워장 입구에서 사전에 제거하여 샤워실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장치를 마련하되, 상기 장치에 누적되는 모래를 수작업으로 제거하지 않고 기계적 메커니즘을 통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름철에는 수많은 인파가 더위를 피하기 위하여 해수욕장에서 해수욕을 즐기는데, 이렇게 해수욕을 즐긴 후 해수욕 객은 바닷물의 염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모래사장 인근에 마련된 간이 샤워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샤워시설을 통해 바닷물의 염분을 샤워시설의 수돗물로 제거하는 과정에서 샤워실에는 해수욕 객의 발에 묻어 온 모래가 함께 유입된 후 샤워시설의 하수구를 막아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샤워실 입구에 물이 담긴 물통을 놓아두고 해수욕 객이 샤워실로 입장하기 전 상기 물통에 발을 담그게 하여 물통에 담긴 물로 모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해수욕 객이 상기 물통에 발을 담그게 되면 상기 물통에는 해수욕 객의 발에 묻어 온 모래가 쌓이게 되어 이를 제거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만일 물통에 쌓인 모래를 제거하지 않으면 물통에 싸인 모래가 해수욕 객의 발에 되묻어 샤워실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해수욕 객이 물통에 발을 담그는 순간 해수욕 객의 족압으로 인해 모래는 물속에서 부상하여 비산되면서 해수욕 객의 발에 되묻는 현상에 기인하는데, 물통에 쌓인 모래가 많을수록 해수욕 객의 발에 되묻는 모래의 양이 많아 진다.
따라서, 샤워실 모래 유입방지라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통에 쌓인 모래를 제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나 모래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사람이 일일이 물통에 쌓인 모래를 삽으로 떠서 물통 밖으로 버리는 것이 전부였다.
이는 많은 노동력을 요할 뿐만 아니라 사람이 물통에 모래가 쌓이는 정도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있어야 하는 불합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물통에 쌓이는 모래가 해수욕 객의 발에 되묻어 오지 않도록 물통에 쌓인 모래가 해수욕 객의 발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물통에 쌓인 모래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93612 선행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0-002874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는 본체베이스에 쌓이는 모래가 해수욕 객의 발에 되묻어 오지 않게 하기 위하여 본체베이스에 쌓인 모래가 해수욕 객의 발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본 과제로 한다.
또한, 본체베이스에 쌓인 모래를 사람이 일일이 삽으로 떠서 버리는 작업형태를 개선하여 자동화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사람이 일일이 삽으로 떠서 버리는 작업형태로 인해 삽을 통해 모래와 함께 버려지는 모래제거용 세척수(수돗물)를 절약할 수 있도록 본체베이스에 모래수용수단을 마련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형물을 이용한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는 모래제거용 세척수를 보관하는 세척수 보관부(11), 모래 수용부(12) 및 수문 수용부(13)로 구성된 본체베이스(10);
세척수 보관부(11) 저부에 형성된 메쉬형 발판(20); 세척수 보관부(11)와 수문 수용부(13)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모래 수용부(12)와 수문 수용부(13)를 개폐시키는 셔터형 수문(30);
셔터형 수문을 슬라이딩시키는 구동장치(40);
셔터형 수문의 개방에 따라 낙하하는 모래를 수용하는 모래받이체(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 보관부(11)와 수문 수용부(13)에는 가이드레일(1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셔터형 수문은 복수의 플레이트(210), 복수의 플레이트 저부에 형성된 연결브라켓(220), 상기 연결브라켓에 연결되어 가이드레일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구동체인(230), 및 복수의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힌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셔터형 수문에는 수문수밀수단(500)이 형성되되, 상기 수문수밀수단은 플레이트 사이의 수밀을 위한 플레이트수밀재(510) 또는 플레이트와 가이드레일(100)의 수밀을 위한 프레임 수밀재(53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래받이체(60)는 사각 함체(61) 및 함체 저부에 형성된 가이더(62) 및 함체 전면부에 형성된 손잡이(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베이스(10) 상부 내면에는 수위센서(7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수위센서는 상부센서(71) 및 하부센서(72) 한쌍을 하나의 세트로하여 복수개 장착되어, 상기 수직관(51)에 형성된 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는 해수욕 객이 본체베이스에 형성된 메쉬형 발판을 밟고 지나가면 해수욕 객의 발에서 분리된 모래는 발판 저부에 마련된 모래 수용공간으로 수용됨에 따라 본체베이스에 쌓인 모래가 해수욕 객의 발과 접촉하지 않게 되어 모래가 해수욕 객의 발에 되묻어 오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래 받이호퍼에 모래가 일정량 쌓이게 되면 셔터형 수문을 통해 모래 수용체에 일괄 수용 후 버리면 되므로 사람이 일일이 삽으로 떠서 버리는 작업형태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셔터형 수문을 통해 모래 받이체에 일괄 수용 후 버리면 되므로 사람이 일일이 삽으로 떠서 버리는 작업형태로 인해 삽을 통해 모래와 함께 버려지는 모래제거용 세척수(수돗물)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절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에 내장되는 셔터형 수문을 구비한 수문장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에 내장되는 셔터형 수문을 구비한 수문장치 요부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하좌우, 우측, 좌측, 저면 등 방향과 관련된 표현은 모두 제시한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제거용 세척수를 보관하는 세척수 보관부(11), 모래 수용부(12) 및 수문 수용부(13)로 구성된 본체베이스(10); 세척수 보관부(11) 저부에 형성된 메쉬형 발판(30); 세척수 보관부(11)와 수문 수용부(13)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모래 수용부(12)와 수문 수용부(13)를 개폐시키는 셔터형 수문(20); 셔터형 수문을 슬라이딩시키는 구동장치(40); 셔터형 수문의 개방에 따라 낙하하는 모래를 수용하는 모래받이체(6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베이스(1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세척수(W)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를 갖는 장방형 함체이고, 아울러 하기할 메쉬형 발판(20), 셔터형 수문(30) 및 모래받이체(60)를 수용한다.
이를 위하여, 본체베이스는 모래제거용 세척수를 보관하는 세척수 보관부(11), 모래 수용부(12) 및 수문 수용부(13)로 구성된다.
상기 세척수 보관부(11)는 해수욕 객이 하기할 메쉬형 발판을 밟고 지날 때 발에 묻은 모래를 세척하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세척수의 투입은 통상의 수도꼭지에 연결된 연질호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모래 수용부(12)는 세척수 보관부(11) 저부에 형성되고, 하기할 모래받이체(60)가 위치한다. 또한, 바닥부분에는 상기 모래받이체(60)가 수납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15)가 형성되어 가이드돌기에 치합된 모래받이체가 슬라이딩되면서 수납된다.
상기 수문 수용부(13)는 모래 수용부(12)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세척수 보관부(11) 및 모래 수용부(12) 사이의 공간으로서, 이 공간에는 한쌍의 가이드레일(100)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문 수용부는 모래 수용부(12)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부(131) 및 모래 수용부(12)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 지지체(1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통상의 "ㄷ" 형강으로서, 하기할 수문이 삽입되는 개방부(101), 상기 측벽과 접하는 측벽접촉면(103), 체인이 접하는 체인접촉면(102), 하기할 수밀재가 접하는 수밀재접촉면(104)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110) 및 모래 수용부(12) 상부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00) 상부에는 연직방향으로 낙하하는 모래의 흐름을 상기 가이드레일이 방해할 수 있으므로 낙하안내편(16)을 더 형성하여 모래받이체(60)로 모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쉬형 발판(3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해수욕 객이 밟고 지나가는 구성으로서, 본체베이스에 수용된 세척수(W)를 통해 모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해수욕 객이 밟고 지나가도 될 정도의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어야 하고,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본체베이스에는 메쉬형 발판을 지지하는 발판지지체(14)가 본체베이스 내부를 둘러싸는 사각프레임을 형성하면서 사각프레임의 내부에서 서로 크로스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서, 메쉬형 발판은 상기 발판지지체(14)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되어 해수욕 객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셔터형 수문(20)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세척수 보관부(11)를 개폐시키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플레이트(210) 및 상기 가이드레일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구동체인(23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프레임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구동체인(230)에 용접 등의 통상의 접합방법에 의해 연결브라켓(220)으로 연결되어 구동체인을 따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브라켓(220)은 구동체인과 플레이트의 세척수 대향면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구동체인의 일면은 스프로켓에 의해 치합되고, 타면은 연결브라켓에 의해 플레이트와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체인(230)은 상기 수직프레임 전체에 걸쳐 놓일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형성하면 된다.
즉,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구동체인의 길이는 세척수 보관부(11)가 완전개방되는 길이인 수직부(131)의 높이 정도로 형성하면 되지만 스프로켓과의 물림여유를 위해 약간의 여유길이를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구동체인의 전체길이는 구동체인에 연결된 수직부의 높이(a)에 약간의 물림여유길이를 둔 정도로 형성되어, 수문의 개폐를 위해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20) 사이를 슬라이딩하게 된다.
여기서, 플레이트의 숫자 및 개별 플레이트의 높이는 통상의 기술자가 설치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동장치(40)는,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핸들(도면 미도시) 또는 모터(도면 미도시)에 연결된 인풋샤프트, 상기 인풋샤프트에 형성된 웜, 상기 웜에 치합된 웜휠, 상기 웜휠을 관통하여 수로를 가로지르는 아웃풋샤프트(42), 상기 아웃풋샤프트에 형성된 한쌍의 스프로켓(4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풋샤프트, 상기 인풋샤프트에 형성된 웜, 상기 웜에 치합된 웜휠은 기어박스(41)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인풋샤프트는 기어박스를 관통하는 통상의 핸들 또는 모터등의 구동원과 연결되어 있고, 아웃풋샤프트(42)는 기어박스 내에서 인풋샤프트와 직교하게 위치하여 본체베이스를 가로질러 본체베이스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레일(100)에 위치하는 구동체인(230)과 스프로켓(43)을 통해 교차한다.
여기서, 웜과 웜휠의 기어비를 조절하여 수문의 승강에 드는 노동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서로 직교하는 위치에 놓인 상기 인풋샤프트 및 아웃풋샤프트를 설치 고정하기 위하여 기어박스(41)에 베어링(도면 미도시)을 각각 형성하여 회전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프로켓(43)은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100)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아웃풋샤프트와 통상의 세레이션 결합 등의 축이음을 통해 상기 구동체인(230)을 가이드레일 내에서 슬라이딩시킨다.
한편, 수문이 개방되는 위치, 즉 상기 스프로켓(43)이 구동체인(230)을 슬라이딩시켜 수평프레임으로 수문을 삽입시킬 때 구동체인의 최하단에는 스프로켓의 회전을 막는 회전정지수단(23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수문을 개방하기 위하여 핸들(H) 또는 모터(M)를 회전시키다 보면, 무리하게 회전을 시켜 구동체인이 스프로켓의 치합을 지나쳐 수평프레임측으로 삽입되게 되면, 수문 폐쇄시 구동체인과 스프로켓과의 치합을 다시 시켜줘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동체인의 슬라이딩 범위를 정해주는 것이다.
한편, 수문을 폐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구동체인의 최상단에 상기 회전정지수단(231)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수문을 폐쇄하기 위하여 핸들(H) 또는 모터(M)를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수문은 수로 바닥에 의해 더 이상 진행을 할 수 없으므로 구동체인이 더 이상 슬라이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기어박스(41)는 본체베이스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인풋샤프트, 상기 인풋샤프트에 형성된 웜, 상기 웜에 치합된 웜휠이 위치하는 곳으로, 외부환경으로부터 기어구성을 보호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베이스 일측에 상기 가이드레일(100)과 대면하는 위치, 즉 수평프레임과 대등한 높이에 설치된다.
상기 모래받이체(6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쉬형 발판을 통해 낙하하는 모래가 수용되는 구성으로서, 통상의 사각 또는 원통형 함체(61) 및 함체 저부에 형성된 가이더(62) 및 함체 전면부에 형성된 손잡이(6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더(62)는 본체베이스(10) 저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5)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으로서, 상기 모래받이체(60)가 상기 가이드돌기(15)에 안착되어 돌기를 통해 슬라이딩 가능도록 한다.
한편, 함체 전면부에 형성된 손잡이(63)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함체를 본체베이스로부터 용이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모래받이체와 본체베이스 사이에는 완벽한 수밀을 요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는 통상적으로 해수욕 객의 발에는 몰래뿐만 아니라 각종 각종 오면 물질이 함께 묻어오는데, 이러한 오염물질로 인해 세척수가 쉽게 오염되게 됨에 따라 세척수를 수시로 교체하여 주어야 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방지장치는 오염물질은 자연스럽게 모래받이체로 낙하하여 모래받이체에 쌓이게 되고, 이렇게 쌓인 오염물질은 모래받이체와 본체베이스 사이의 빈틈을 통해 본체베이스 외부로 빠져나가고, 그 유실된 세척수 양만큼을 새로운 세척수가 공급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유실된 세척수 양만큼을 새로운 세척수가 공급되는 메커니즘은 하기할 수위센서(70)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베이스(10) 상부 내면에는 수위센서(7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로서 해수욕 객이 본체베이스에 발을 담궜다가 지나가는 과정에서 본체베이스에 수용된 세척수가 해수욕 객의 발에 묻어 계속적으로 유실되는 세척수는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센싱되어 상기 수도꼭지 연질호스(도면 미도시)에 연결된 공급관(도면 미도시)에 형성된 솔레노이드밸브(도면 미도시)에 의해 자동적으로 본체베이스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수위센서는 상부센서(71) 및 하부센서(72) 한쌍을 하나의 세트로하여 복수개 장착함으로서, 해수욕 객이 발을 담구는 행위를 통해 출렁거리는 세척수의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하게 된다.
즉, 하나의 세트로 복수개 장착된 수위센서 중 하부센서(72) 들이 동시에 디텍딩될 때만 적정량의 수위로 간주하고 만일 하부센서에 동시에 디텍팅이 되지 않으면 세척수를 공급하게 되고, 하나의 세트에만 디텍팅이 되면 이는 세척수가 출렁거리고 있음으로 인지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체베이스(10)와 모래받이체(60) 사이의 빈틈으로 오염된 세척수는 계속적으로 유실되고 있으므로 하부센서에 동시에 디텍팅이 되지 않으면 세척수를 공급하게 하고, 상부센서 동시에 디텍팅이 되면 세척수 과공급으로 공급을 중지하고, 또한, 하나의 세트에만 상하부센서 모두에 디텍팅이 되면 이는 세척수가 출렁거리고 있음으로 인지하고 전에 했던 행위를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셔터형 수문에는 수문수밀수단(50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문수밀수단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사이의 수밀을 위한 플레이트 수밀재(510)와 플레이트와 가이드레일(100)의 수밀을 위한 프레임 수밀재(530)로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수밀재(510)는 통상의 수밀재, 즉 고무 등의 재료를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사이를 간격을 막을 수 있도록 판형으로 형성하여 플레이트의 세척수 대향면 반대측에 형성한다.
아울러, 수문이 수직프레임(110)을 지나 수평프레임(120)으로 진입하는 곡선구간에서 원주율에 따라 수문의 플레이트 간의 사이가 벌어지게 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플레이트(210)와의 접합부(511) 사이에 여유부(51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 수밀재(530)는, 도 4를 참조하면, 즉 고무 등의 재료를 플레이트(210) 전체에 걸쳐 형성할 수 있지만 플레이트(210) 말단, 즉 수밀재 접촉면(104)과 중첩되는 부분에 플레이트와 수밀재 접촉면 사이의 공간을 메울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의 작동관계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체베이스(10)의 가이드돌기(15)에 모래받이체(60)를 장착시킨 후 본 발명에 따른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를 해수욕장의 샤워실 입구에 위치시킨다.
이후, 공급관(도면 미도시)에 수도꼭지에 연결된 통상의 연질호스를 연결한 후 본체베이스에 수돗물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수돗물, 즉 세척수가 공급된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는 해수욕 객이 해수욕을 마친 후 온몸에 묻어 있는 바닷물의 염분과 모래사장의 모래를 제거하기 위하여 샤워실에 입욕하기 전, 바닷물로부터 모래사장을 거쳐 샤워실까지 오는 동안 발에 함께 묻어온 모래를 제거할 수 있도록 본체베이스(10)에 발을 담근 후 샤워실에 입욕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해수욕 객의 발에 묻은 모래는 세척수에 의해 씌겨져 메쉬형 발판(30)의 저부로 자유낙하하여 모래 받이체(60) 수용된다.
따라서, 계속적으로 이어서 입욕하는 해수욕 객은 앞선 해수욕 객에서 탈락된 모래와 접촉하는 일 없이 오로지 세척수와만 접촉하게 되므로 본체베이스 내에 존재하는 모래가 해수욕 객의 발에 되묻어 샤워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모래가 모래 받이체(60)에 충분히 적재되면, 사용자는 본체베이스로부터 모래받이체(60)를 슬라이딩시켜 빼낸 후 인근에 버린 후 다시 본체베이스에 장착하여 계속적인 사용을 할 수 있다.
이때, 모래받이체(60)를 빼내기 위해서는 먼저 셔터형 수문(20)을 수평프레임(120)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세척수 보관부(11)를 폐쇄시킨 후 세척수가 모래 수용부(12) 측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한 후 모래받이체(60)를 빼내게 됨에 따라 세척수 보관부(11)에 수용되었던 세척수가 일시에 쏟아져 낭비되는 일이 없게 된다.
이는 셔터형 수문에 형성된 수밀수단(500)에 의해 수밀이 보장되기 때문에 실현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센서(71) 및 하부센서(72) 한쌍을 하나의 세트로 형성된 수위센서(70)가 구비되고 이는 연결관에 형성된 솔레노이드밸브(도면 미도시)와 연결되어 본체베이스에 자동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베이스
11: 세척수 보관부 12: 모래 수용부 13: 수문 수용부
14: 발판지지체 15: 가이드돌기 16: 낙하안내편
20: 셔터형 수문
210: 플레이트 220: 연결브라켓 230: 구동체인
240: 연결힌지
500: 수문수밀수단
510: 플레이트 수밀재 530: 프레임 수밀재
60: 모래 받이체
61: 함체 62: 가이더 63: 손잡이
70: 수위센서
71: 상부센서 72: 하부센서

Claims (5)

  1. 모래제거용 세척수를 보관하는 세척수 보관부(11), 모래 수용부(12) 및 수문 수용부(13)로 구성된 본체베이스(10);
    세척수 보관부(11) 저부에 형성된 메쉬형 발판(20);
    세척수 보관부(11)와 수문 수용부(13)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모래 수용부(12)와 수문 수용부(13)를 개폐시키는 셔터형 수문(30);
    셔터형 수문을 슬라이딩시키는 구동장치(40);
    셔터형 수문의 개방에 따라 낙하하는 모래를 수용하는 모래받이체(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보관부(11)와 수문 수용부(13)에는 가이드레일(1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셔터형 수문은 복수의 플레이트(210), 복수의 플레이트 저부에 형성된 연결브라켓(220), 상기 연결브라켓에 연결되어 가이드레일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구동체인(230), 및 복수의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힌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셔터형 수문에는 수문수밀수단(500)이 형성되되.
    상기 수문수밀수단은 플레이트 사이의 수밀을 위한 플레이트수밀재(510) 또는 플레이트와 가이드레일(100)의 수밀을 위한 프레임 수밀재(53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래받이체(60)는 사각 함체(61) 및 함체 저부에 형성된 가이더(62) 및 함체 전면부에 형성된 손잡이(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베이스(10) 상부 내면에는 수위센서(7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수위센서는 상부센서(71) 및 하부센서(72) 한쌍을 하나의 세트로하여 복수개 장착되어,
    상기 수직관(51)에 형성된 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
KR1020150139449A 2015-10-05 2015-10-05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 KR101822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449A KR101822714B1 (ko) 2015-10-05 2015-10-05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449A KR101822714B1 (ko) 2015-10-05 2015-10-05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463A true KR20170040463A (ko) 2017-04-13
KR101822714B1 KR101822714B1 (ko) 2018-03-08

Family

ID=5857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449A KR101822714B1 (ko) 2015-10-05 2015-10-05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7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748A (ko) 1998-10-06 2000-05-25 게오르그 피셔 디자 아게 주물에서 모래를 제거하는 방법
KR20150093612A (ko) 2014-02-06 2015-08-18 이정용 원유묻은 돌과 모래의 원유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1675B1 (en) 2003-06-19 2005-08-23 Michael Hager Foot washer
KR200461461Y1 (ko) 2010-04-12 2012-07-12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자동 세족기
KR101212522B1 (ko) 2010-11-11 2012-12-14 임병권 발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748A (ko) 1998-10-06 2000-05-25 게오르그 피셔 디자 아게 주물에서 모래를 제거하는 방법
KR20150093612A (ko) 2014-02-06 2015-08-18 이정용 원유묻은 돌과 모래의 원유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714B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1720C (en) Accessible bathtub and drain
KR101316846B1 (ko) 욕실의 배수트랩
JP2007291817A (ja) 排水設備
KR101822714B1 (ko) 해수욕장 간이샤워실 모래유입 방지장치
JP6528107B2 (ja) 洗濯機防水パンのトラップ配管構造
CN101748784B (zh) 自动密闭型深水封地漏
KR20160081728A (ko) 배수트랩
JP6060344B2 (ja) 防水パン及び槽体
KR101312216B1 (ko) 층상 배수장치
KR101781950B1 (ko) 모래제거장치
KR100943655B1 (ko) 스마트 침사조를 이용한 빗물이용 시스템
JP2006212060A (ja) 溢水溝式入浴装置
KR101653040B1 (ko) 사계절용 바다 풀장
KR101348450B1 (ko) 용수공급부가 구비된 배수트랩 및 이를 이용한 층상 배수 시스템
CN102720265B (zh) 一种高水封内芯式排水控制装置
KR101923342B1 (ko) 이동통로 개폐수단을 구비한 배수트랩
JP2005060987A (ja) 浴室排水構造
JP5889600B2 (ja) 災害対策用複合設備
CN206800601U (zh) 一种高层用模块化同层排水装置
JP2007239432A (ja) 漏水遮断装置。
JP2010059654A (ja) 排水構造、シャワー室の排水構造、洗濯機用防水パンの排水構造
RU2385398C2 (ru) Плавательный бассейн
KR102008272B1 (ko) 이동통로 개폐수단을 구비한 배수트랩
AU660393B2 (en) Pools or baths
KR20100005150U (ko) 욕실바닥용 배수 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