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225A -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 - Google Patents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225A
KR20170040225A KR1020177002951A KR20177002951A KR20170040225A KR 20170040225 A KR20170040225 A KR 20170040225A KR 1020177002951 A KR1020177002951 A KR 1020177002951A KR 20177002951 A KR20177002951 A KR 20177002951A KR 20170040225 A KR20170040225 A KR 20170040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space
synchronization
participant
machine
proj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8231B1 (ko
Inventor
웨이텅 청
춘샤오 린
쉬청 란
호청 청
Original Assignee
에이블 월드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324,069 external-priority patent/US9134963B1/en
Priority claimed from US14/325,466 external-priority patent/US9727391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4/577,772 external-priority patent/US9626157B2/en
Application filed by 에이블 월드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이블 월드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27026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1738A/ko
Publication of KR2017004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16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1Interprogram communication via adapters, e.g. between incompatible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6Support for shared access to files; File sharing sup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G06F16/1834Distributed file systems implemented based on peer-to-peer networks, e.g. gnutell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06F16/275Synchronous re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4Graphical or visual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를 제공한다.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작업 수요 복수개 통일화 요소(matter)를 조합하여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projectable space instance)를 모델링(modeling)한다. 이어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복수개 협력 작업자에 투영하고,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따라 복수개 통일화 요소에 탑재되어,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액세스하여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다른 하나와 협력 작업하여 태스크를 실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임의의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이 모두 실제 작업 수요에 따라 임의의 정보, 임의의 도구 또는 임의의 서비스를 협력 작업 환경에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모든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은 모두 협력 작업 환경 중의 임의의 내용을 작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NETWORKING COOPERATION METHOD AND MACHINE USING SUCH METHOD}
본 발명은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으로 태스크(task)를 실행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에 관한 것이다.
생활이 편리한 현대에서 사람들은 연산 능력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 작업, 문서 처리, 오락, 소셜 통신 등과 같은 각 어플리케이션을 응용하고, 과학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정보는 더욱 신속하게 전파되며, 여러가지 웹 플랫폼, 동작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도구는 개발되어 사람들에게 사용되어 더욱 효율적인 생활을 제공한다. 특히, "포스트 컴퓨터 시대"에서 기존의 데스크탑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폰 혹은 다른 모바일 장치의 출현은 인류가 언제 어디서나 작업하도록 하였고 아울러 인터넷으로 세계 각지의 사람들과 연계하여 정보 전달과 공유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과학 기술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막론하고) 대부분 개인 장치(예컨대 컴퓨터)의 사유 각도에서 발전된 산물로서, 네트워크에 수많은 장벽이 분명한 정보 스테이션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여지도록 초래하는데, 이는 오히려 사람과 사람 사이의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한가지 장애물을 형성하며, 이로써 국경 없는 네트워크의 목적과 위배된다. 부가적으로 말하자면, 현실 생활에서 소위의 협력 작업은 반드시 동시에 하기의 세가지 작업 조건을 구비한다. 인원의 참여, 통신 채널 및 작업 내용의 동기화 구현이다. 그러나, 협력 작업을 준비하는 다수의 사람들은 상이한 곳에서 각각 자신의 개인 장치(예컨대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협력 작업을 진행할 시, 상기 세가지 작업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기란 매우 어렵다. 특히, 세번째 조건은 실현상에서 더욱 도전적인데, 그 원인은 네트워크 안전과 개인 프라이버시에 기반한 고려는 모든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이 동시에 그 중의 어느 한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의 개인 장치(예컨대 컴퓨터)에서 관찰 및 작동(예컨대 TeamViewer® 원격 제어 소프트웨어)할 수 있는데 이는 적절한 작법이 아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개발자가 사람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협력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적극 개발하는데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예를 들어 말하자면, Skype® 인터넷 인스턴트 메시징 소프트웨어는 커뮤니케이션과 토론의 매개체를 제공하였고, 하기와 같은 특징을 구비한다. 첫째, 개인 장치(예컨대 컴퓨터)에 Skype® 네트워크 인스턴트 메시징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유저는 모두 협력 작업의 인원 리스트에 추가 요청되어 함께 협력 작업을 진행 할 수 있다. 둘째, 협력 작업을 진행하는 인원은 문자(messages), 오디오(audio) 또는 비디오(video) 방식으로 기타 협력 작업의 인원과 통신 및 토론한다. 셋째,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은 자신의 스크린 이미지를 공유하여 진행하는 작업의 내용을 선사할 수 있다.
비록 Skype® 네트워크 인스턴트 메시징 소프트웨어가 협력 작업에 필요한 세가지 작업 조건을 만족한 것처럼 보여지지만, 실질적인 응용에서 하기와 같은 흠결이 존재한다. 첫째, 협력 작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인원의 개인 장치(예컨대 컴퓨터)에 반드시 Skype® 네트워크 인스턴트 메시징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만 협력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둘째, 임의의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은 모두 자신의 수요에 따라 Skype® 네트워크 인스턴트 메시징 소프트웨어에 (예컨대 비디오 리코더)와 같은 필요한 도구를 자체적으로 배치할 수 없다. 셋째, 비록 자신의 스크린 이미지를 공유하여 진행하는 작업의 내용을 선사할 수 있지만, 이는 여러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공유자가 공유한 작업 내용에 대한 동작 프로세서로서, 공유되는 자들은 단지 관찰, 발언, 및 토론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록 협력 작업의 내용이 동기화 선사될 수 있지만, 단일 인원만이 조작권을 갖고 작업의 내용을 작동할 수 있다. 넷째,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의 개인 장치(예컨대 컴퓨터)의 스크린은 다소 상이하여 공유자가 공유한 스크린 화면이 공유되는 자의 스크린에 완벽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는 바, 예를 들면, 공유자의 스크린이 공유되는 자의 스크린보다 작을 경우, 공유되는 자가 관찰하는 스크린 화면은 흐릿하다. 다섯째, 자신의 스크린 화면을 공유하는 것을 통해 진행하는 작업의 내용은 대량의 네트워크 대역폭을 점용하여 이러한 경우에, (오디오가 지연되고 비디오가 지연되는) 등 네트워크 효율을 저하시킨다.
상기 설명에 따르면 알 수 있는 바,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하기의 수요에 부합되는 협력 작업 환경에서 협력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첫째, 임의의 신원은 모두 협력 작업 환경에 가입 요청되어 협력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둘째, 임의의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은 모두 실제 작업 수요에 따라 임의의 정보, 임의의 도구 또는 임의의 서비스를 협력 작업 환경에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다. 셋째, 모든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은 협력 작업 환경 중의 임의의 내용에 대해 작동할 수 있고, 임의의 협력 작업의 인원은 모두 동기화되어 기타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이 협력 작업 환경에서 진행하는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에 관한 것이다. 임의의 신원이 모두 협력 작업 환경에 가입 요청되어 협력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네트워 협력 작업의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 협력 작업의 방법은 임의의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이 모두 실제 작업 수요에 따라 임의의 정보, 임의의 도구 또는 임의의 서비스를 협력 작업 환경에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모든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은 모두 협력 작업 환경 중의 임의의 내용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임의의 협력 작업의 인원도 모두 동기화되어 기타 협력 작업에 참여하는 인원 협력 작업 환경에서 진행되는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첫째,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프로모터의 하나의 작업 수요에 따라 복수개 통일화 요소(matter)를 조합하여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projectable space instance)를 모델링(modeling)하는 단계;
다음, 상기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를 투영시키고,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따라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를 탑재(equip)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가 액세스(access)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와 협력 작업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 중의 적어도 양자의 서로 간에는 상기 작업 수요에 따라 관계화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 중의 적어도 하나는 이와 서로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진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화가 그 동기화 설정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프로모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가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상기 투영에 대응되는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동기화 변화를 발생하도록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프로모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 중의 적어도 하나는 이와 서로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행위를 진행할 시 동기화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또는
클라이언트 서버형 아키텍처 또는 P2P 아키텍처를 통해 상기 동기화 인스트럭션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프로모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 중의 적어도 다른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프로모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에 대응되는 상기 다수의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동기화 변화를 발생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는 기계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는 다른 하나의 기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단일 사용자 대 단일 유저의 모드로 진행하거나, 또는 단일 사용자 대 다수의 유저의 모드로 진행하거나, 또는 다수의 사용자 대 다수의 유저의 모드로 진행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추가되는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입력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되는 원시 요소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통일화된 후 형성된 것이고,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추가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는 유틸리티, 위젯,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도구 및 관련 기계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실행 가능한 요소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과 서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는 파일, 웹 페이지, 데이터베이스 행, 책략, 규칙, 상기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의 운행 규 및 관련 기계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영 단계는,
인터넷 식별자를 거쳐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분석하고 작업 환경을 구축하여,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상기 작업 환경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호환성 환경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젝터를 실행하기 위한 엔진에 로딩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Javascript 엔진, 윈도우즈 어플리케이션 또는 Linux 어플리케이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는 오브젝트,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또는 구조화 언어 또는 구조화 프로토콜을 인스턴스화한 인스턴스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첫째, 작업 수요 복수개 통일화 요소(matter)를 조합하여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projectable space instance)를 모델링(modeling)하는 단계;
다음, 상기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복수개 협력 작업자에게 투영하고,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따라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를 탑재(equip)되어,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액세스하여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다른 하나와 협력 작업하여 태스크를 실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을 더 제공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양자의 서로 간에는 상기 작업 수요에 따라 관계화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는 이와 서로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진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화가 그 동기화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상기 투영에 대응되는 동기화 작업 공간은 동기화 변화를 발생시킨다.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은,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는 이와 서로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행위를 진행할 시 동기화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또는 클라이언트 서버형 아키텍처 또는 P2P 아키텍처를 통해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전송하고,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에 대응되는 상기 다수의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동기화 변화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협력 작업자는 기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단일 협력 작업자 대 단일 협력 작업자의 작업 모드로 진행하거나, 단일 협력 작업자 대 다수의 협력 작업자의 작업 모드로 진행하거나, 다수의 협력 작업자 대 다수의 협력 작업자의 작업 모드로 진행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추가되는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입력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되는 원시 요소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통일화된 후 형성된 것이고,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추가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영 단계는,
경로 링크 정보를 거쳐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해석하고 작업 환경을 구축하여,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상기 작업 환경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기계에 있어서, 상기 기계가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수신한 후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석하여,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구축함으로써,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상기 투영 가능한 프로젝터 중의 복수개 통일화 요소에 탑재 조합시켜, 적어도 하나의 협력 작업자와 협력 작업을 진행하고, 또는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액세스하여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다른 하나와 협력 작업하여 태스크를 실행하도록 하며; 여기서,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는 작업 수요에 따라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조합되는 기계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복수개 협력 작업자는 다른 하나의 기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는, 이와 서로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진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화가 그 동기화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상기 투영에 대응되는 동기화 작업 공간은 동기화 변화를 발생시킨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계에서 구축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양자의 서로 간에는 상기 작업 수요에 따라 관계화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추가되는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입력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되는 원시 요소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통일화된 후 형성된 것이고,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추가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는 유틸리티, 위젯,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및 관련 기계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실행 가능한 요소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과 서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는 파일, 웹 페이지, 데이터베이스 행, 책략, 규칙, 상기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의 운행 규 및 관련 기계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은 하기의 장점을 구비한다. 첫째, 협력 작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참가자는 모두 대응되는 플랫폼 및/또는 채널로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의 URI를 수신하고 협력 작업을 진행하는 환경(즉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제공하고, 따라서 임의의 신원(임의의 사람, 임의의 기계를 포함함)은 모두 협력 작업을 요청할 수 있고, 특별히 자신의 개인 기기(예컨대 컴퓨터)에 별도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둘째, 통일화 프로그램이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 협력 작업의 환경(즉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통일화된 환경으로 형성시키고, 따라서 임의의 정보, 임의의 도구 또는 임의의 서비스는 모두 임의의 협력 작업자의 작업 수요에 따라 자유롭게 그 중에서 조합되고 서로 호환된다. 셋째, 임의의 협력 작업자는 모두 협력 작업의 환경(즉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 중의 임의의 정보, 임의의 도구 또는 임의의 서비스를 작동시키고,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 협력 작업의 환경(즉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투영하는 방식으로 모든 협력 작업자의 개인 장치(예컨대 컴퓨터)에 탑재되고, 따라서 임의의 협력 작업자는 모두 기타 협력 작업자가 협력 작업 환경에서 진행한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변화를 동기화 관찰할 수 있다. 넷째, 과거 스크린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기존의 협력 방법과 비교해보면, 본 발명은 상기 다수의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 사이에 교류를 진행하여 동기화의 효과에 달성시킬 것을 동기화 명령하고, 전송되는 것은 단지 동기화 명령이고, 전체 스크린의 데이터를 대체하는 것이며, 네트워크 대역폭의 사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네트워크 효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장점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일화 방법을 실현시키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2는 통일화 스크립트를 개인 작업 공간의 중간 언어로 실현시키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3은 개인 작업 공간의 바람직한 배치 모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공간의 투영 방법의 초기 상태 모식도이다.
도5a 및 도5b는 도4에 도시된 작업 공간 투영 방법의 운행 개념 모식도이다.
도 6은 도4에 도시된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와 도5b에 도시된 투영된 작업 공간의 상대 관계 모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킹 협력 작업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킹 협력 작업 방법의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9는 프로모터가 제1 참가자와 제2 참가자를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0은 도8에 도시된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을 도8에 도시된 사용 상황에 응용시키는 운행 개념 모식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와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나타내는 상대 관계 개념 모식도이다.
도12a는 도10에 도시된 제1 참가자가 초기 상태하에서 제1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2b는 도10에 도시된 제2 참가자가 초기 상태하에서 제2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2c는 도10에 도시된 작업 프로모터가 초기 상태하에서 제3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3a는 도10에 도시된 제1 참가자가 제1 발표 자료를 공백 발표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1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3b는 도10에 도시된 제2 참가자가 제1 발표 자료를 공백 발표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2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3c는 도10에 도시된 제1 참가자가 제1 발표 자료를 공백 발표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3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4a는 도10에 도시된 제2 참가자가 제2 발표 자료를 발표(제1 통일화 발표 자료를 이미 구비함)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1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4b는 도10에 도시된 제2 참가자가 제2 발표 자료를 발표(제1 통일화 발표 자료를 이미 구비함)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2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4c는 도10에 도시된 작업 프로모터와 제2 참가자가 제2 발표 자료를 발표(제1 통일화 발표 자료를 이미 구비함)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3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5는 클라이언트 서버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상이한 기계에 위치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동기화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6은 바람직하게 P2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상이한 기계에 위치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동기화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킹 협력 작업 방법의 사용 상황을 나타내는 개념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내용을 참조하고, 하기의 전문 용어집 및 결론적인 예시도 포함하여 충분한 이해를 돕는다. 간결성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인용하는 출판물은 특허의 공개 내용을 포함하고, 아래의 명세서에 병합하여 참조한다.
하기의 본 발명의 예시는 비한정적인 것이고, 또한 단지 본 발명의 각종 양상 및 특징을 대표한다. 가장 한정되는 기술적 의의로부터 말하자면, 본문의 상기의 "정보원"은 유용한 메시지의 부호가 존재하는 시퀀스로 해석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유용한 메시지는 데이터를 조직하고 레이블링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정보원은 웹사이트(예컨대 인터넷 서비스), 인트라넷, 소셜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전자책, 데이터베이스 및 기타 정보의 매체(예컨대 비일시적 컴퓨터 사용가능한 저장 매체, 모바일 장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문의 상기의 "원시 정보"는 문서, 웹 페이지, 데이터베이스 행, 책략, 규칙 또는 임의의 관련 기계 및 서버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본문의 상기의 "원시 도구"는 유틸리티, 위젯, 인텔리전트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도구 또는 관련 기계 및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실행 가능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원, 원시 정보 및 원시 도구는 모두 이에 한하지 않는다.
또, "원시 정보" 및 "원시 도구"는 모두 본문의 상기 "원시 요소"의 한가지 실시행태이고, 본 발명을 실행할 경우, 동일하거나 상이한 "정보원"의 다수의 "원시 요소"는 모두 통일화된 방법으로 각각 다수의 "통일화 요소"로 모듈화되어 동일한 작업 환경 중의 다수의 "통일화 요소"는 서로 호환되어 특정된 임무를 협동하여 진행한다. 여기서, "통일화 도구" 및 "통일화 정보 유닛"은 모두 "통일화 요소"의 한가지 실시행태이다. 또, 본문의 상기 "요소 변환기(Matterizer)"는 "원시 요소"에 대해 통일화를 진행하는 부재, 장치 또는 프로그램 코드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일화 방법은, 통일화 데이터 구조에 따라 복수의 정보원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한 원시 정보를 재조정함으로써, 원시 정보를 통일화 정보 유닛으로 모델링(modeling)하거나, 및/또는 다른 하나의 통일화 데이터 구조에 따라 복수의 정보원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한 원시 도구를 재조정함으로써, 원시 도구를 통일화 도구로 모델링한다. 여기서, 상기 통일화 데이터 구조 및 상기 다른 하나의 통일화 데이터 구조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상기 통일화 방법은 요소 변환기(Matterizer)로 완성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일화 방법을 실현시키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은 요소 변환기(992)가 통일화 데이터 모델(993)에 따라 원시 요소(991)의 속성 및 관련 링크를 재조정하여, 원시 요소(991)를 통일화 요소(994)로 모델링함으로써, 통일화 요소(994)의 기본 속성에 원시 요소(994)의 유형(type) 및 원시 요소(994)가 위치한 곳을 지적하는 링크(link)가 포함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원시 요소(991)는 적어도 원시 정보(미도시) 또는 원시 도구(미도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 상기 통일화 방법에 있어서, 원시 정보에서 획득되는 속성과 통일화 정보 유닛에서 통일된 속성이 서로 대응될 경우, 요소 변환기(992)를 거쳐 직접적으로 통일화 정보 유닛을 발생할 수 있다. 원시 정보에서 획득되는 속성과 통일화 정보 유닛에서 통일된 속성이 대응될 수 없을 경우, 먼저 원시 정보의 속성과 관련 링크에 대한 논리상의 재조정을 통해 원시 정보를 새로 정의함으로써, 원시 정보가 그 속성과 통일화 정보에서 통일된 속성이 서로 대응되는 새로운 원시 정보로 변환하여, 통일화 정보 유닛을 간접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원시 도구와 작업 공간(workspace)의 작업 환경이 호환될 경우, 요소 변환기(992)를 거쳐 상기 통일화 도구를 직접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원시 도구와 작업 공간의 작업 환경이 호환되지 않을 경우, 어댑터(adapter) 및/또는 원시 도구의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는 원시 도구를 구동시켜 상기 통일화 도구를 간접적으로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adapter)는 작업 공간과 호환되는 인터페이스 구현(interface implementation)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 중 상기의 "통일화 방법의 구체적인 방식", "통일화 요소의 구체적인 획득 방식" 및 "요소 변환기의 방식"은 출원번호가 14/324,069이고, 발명의 명칭이 "A METHOD OF UNIFYING INFORMATION AND TOOL FROM A PLURALITY OF INFORMATION SOURCES"인 미국 특허를 참조할 수 있고, 미국 특허 출원번호가 14/324,069인 국제 우선권의 주장에 기초한 출원번호가 201410768564.X이고, 발명의 명칭이 "복수의 정보원의 정보 및 도구를 통일화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장치"인 중국 특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의 통일화 방법은 예시와 설명의 목적에 대해서만 서술하였다. 상이한 정보원의 다수의 원시 요소를 통일화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교의를 보류하는 동시에 수많은 변형 및 수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관찰 할 수 있다.
아래, 상기 설명과 상이한 두 가지 통일화 방법을 예로 든다. 첫번째 통일화 방법은 Garmin 위성 항법 중의 정보 통일화 방법에 응용되고, Garmin 위성 항법의 관심 지역 정보(Point of Interest, POI) 기능은 상기 정보 통일화 방법을 통해 그 중의 원시 지표 정보(즉, 원시 정보)를 입력하고 통일화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상응한 통일화 지표 정보(즉, 통일화 정보 유닛)를 획득한다. 두번째 방법은 안드로이드(Android) 시스템에 응용되는 도구 통일화 방법이고, 안드로이드(Android) 시스템은 Linux를 기초로 하는 오픈 소스 모바일 동작 시스템이지만, 안드로이드 시스템 중의 어플리케이션(즉, 원시 도구)은 대부분 Java로 편집되기에, Java로 편집되는 어플리케이션(즉, 원시 도구)은 모두 상기 도구 통일화 방법을 통해 안드로이드 시스템 중의 호환되는 통일화 어플리케이션(즉, 통일화 도구)으로 모델링되고, 나아가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실행된다.
또한, 본문의 상기 "작업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 적어도 하나의 도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호 작용하여 특정 임무를 실행하도록 되는 작업 공간을 지칭하고, 적어도 하나의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도구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로 작업 공간에 입력되지만, 정보 및/또는 도구를 작업 공간에 입력하는 방식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다음, 하기의 상기 정보 입력기(information importer)는 예컨대 도2 중의 정보 입력기(9881, 9882, 9883), 도6 중의 Dropbox 입력기(9761') 및 도11, 도12a~도12c, 도13a~도13c, 도14a~도14c 중의 정보 입력기(52) 등은 모두 요소 변환기의 한가지 실시양태이다. 또한, 본문의 상기 "통일화 스크립트"는 작업 공간을 실현하는 중간 언어로서, "통일화 스크립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도구가(예컨대 내장되거나 플러그인 됨)작업 공간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이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가 통일화된 후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구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이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가 통일화된 후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이다. 또한, 상이한 임무에 따라 필요한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통일화 도구를 서로 대응되는 정보원으로써(예컨대 내장되거나 플러그인 됨)개인 작업 공간에 추가하고, 다시 말하면 "작업 공간"은 사용자 지향의 "개인 작업 공간"일 수 있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도2는 통일화 스크립트를 개인 작업 공간의 중간 언어로 하는 것을 실현시키는 개념 모식도이고, 도3은 도2에 도시된 개인 작업 공간의 바람직한 배치 모식도이다. 도2와 도3은 임무의 수요에 따라 Dropbox (982) 중의 원시 정보(985)에 대응되는 통일화 정보 유닛(985'), 클라우드 스토리지(983) 중의 호환 가능한 원시 도구(986)에 대응되는 제1 통일화 도구(986') 및 서버(984) 중의 호환 불가능한 원시 도구(987)에 대응되는 제2 통일화 도구(987')를 개인 작업 공간(981)에 조합하는 것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사용자는 우선 개인 작업 공간(981)의 중간 언어를 실현하기 위한 통일화 스크립트(980)를 편집할 수 있고, 통일화 스크립트(980)로 Dropbox(982)의 정보 입력기(9881), 클라우드 스토리지(983)의 정보 입력기(9882) 및 서버(984)의 정보 입력기(9883)를 설치(configure)한다. 또한, 정보 입력기(9881)는 Dropbox(982) 중의 원시 정보(985)를 통일화 정보 유닛(985')으로 통일화하고, 개인 작업 공간(981)에 입력한다.
도2와 도3은 클라우드 스토리지(983)에 보관되는 원시 도구가 호환 가능한 원시 도구(986)(즉 상기 호환 가능한 원시 도구(986)는 개인 작업 공간(981) 중 통일화 도구를 위한 컴퍼넌트 아키텍처와 호환될 수 있음)이고, 통일화 스크립트(980)정보 입력기(9882)를 통해 호환되는 원시 도구(986)에 대응되는 제1 통일화 도구(986')를 개인 작업 공간(981)에 직접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2와 도3은 서버(984)에 보관되는 원시 도구가 호환 불가능한 원시 도구(987)(즉 상기 호환 불가능한 원시 도구(987)는 개인 작업 공간(981) 중 통일화 도구를 위한 컴퍼넌트 아키텍처와 호환될 수 없음)이고, 통일화 스크립트(980)는 호환 가능한 어댑터(989) 및 정보 입력기(9883)를 통해 호환되지 않는 원시 도구(987)에 대응되는 제2 통일화 도구(987')를 개인 작업 공간(981)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밖에, 도3은 사용자가 실제 응용 수요에 따라 통일화 정보 유닛(985'), 제1 통일화 도구(986') 및 제2 통일화 도구(987')가 개인 작업 공간(981)에서의 특정 영역을 배치 안배(예컨대 그(group) 또는 안착(place))하는 것을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통일화 도구 및 통일화 정보 유닛 사이의 운행 관계 (예를 들어 양자 사이의 클릭킹(clicking) 동작 또는 드래깅(dragging) 동작)에 의해 통일화 도구를 사용하여 서로 대응되는 통일화 정보 유닛을 액세스 또는 제어하여 필요한 임무를 실행한다.
본 실시예 중 상기의 "통일화 스크립트로써 개인 작업 공간의 중간 언어를 실현하는 구체적인 실시양태", "실제 응용 수요에 따라 필요한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필요한 통일화 도구를 서로 대응되는 정보원으로 개인 작업 공간에 자유롭게 조합하여 임무를 실행하는 구체적인 실시양태"는, 출원번호가 14/325,466이고, 발명의 명칭이 "METHOD FOR PERFORMING TASK ON UNIFIED INFORMATION UNITS IN A PERSONAL WORKSPACE"인 미국 특허를 참조할 수 있고, 출원번호가 14/324,069, 14/325,466이고, 국제 우선권을 초안으로 하는 출원번호가 201410768564.X이고, 발명의 명칭이 "개인 작업 공간에서 통일화 요소에 대해 조합 작업을 진행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시스템" 을 참조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 개인 작업 공간은 예시와 설명의 목적에 대해서만 서술하였다. 본원 발명의 작업 공간을 응용하는 것은 상기와 같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작업 공간의 중간 언어를 실현하는 통일화 스크립트로서 미리 편집될 수 있으며 이로써 미리 편집하여 작업 공간이 기본 요소 변환기 및/또는 기본 정보 및/또는 기본 도구가 내장된 작업 공간으로 되도록 하며, 이러한 작업 공간은 개인 작동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제 응용 수요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작동하거나 각각 작동하도록 한다.
또한, 본문의 상기 "작업 공간"은 "작업 공간의 투영 방법"을 통해 임의의 컴퓨터 능력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예컨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 탑 등이며, 이에 한하지 않음)에 의해 투영되고, 임의의 사용자는 임의의 컴퓨터 능력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서 "투영된 작업 공간(projected workspace)"을 작동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 공간의 투영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경로 링크 정보(URI)를 거쳐 통일화 스크립트에 의해 생성된(instantiated)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projectable space instance)를 획득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통일화 스크립트는 정의되어 요소 변환기, 정보 및 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를 배치하여 작업 공간을 모델링하고,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는 작업 공간에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작업 공간을 구축하는데 이용되며, 요소 변환기, 정보 및 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켜 임무를 실행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어서, 프로젝터(projector)를 이용하여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분석하고 요소 변환기, 정보 및 도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 중의 작업 환경에 구축되도록 하여, 나아가 투영된 작업 공간을 실행하여, 이로써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와 투영된 작업 공간은 상호 작용한다.
여기서, 프로젝터는 원격 데이터 스테이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 또는 미리 설치된(preloaded) 어플리케이션에서 획득할 수 있고, 호환성 환경이 프로젝터를 실행하도록 되는 엔진(engine)에 로드되며, 엔진은 Javascript 엔진, 윈도우즈 어플리케이션 또는 Linux 어플리케이션 등이며, 이에 한하지 않는다. 또한, 통일화 스크립트는 공문서 문서형 정의(DTD), 확장성 마크업 언어 스키마(XML schema), 구조화 언어(structured language) 또는 구조화 프로토콜(structured protocol)등에 의해 선고되어 형성되며, 이에 한하지 않는다. 그러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는 오브젝트(object), 확장성 마크업 언어(XML) 문서, 또는 구조화 언어(structured language) 또는 구조화 프로토콜(structured protocol) 등이 생성하는 인스턴스(instance)일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는다.
도 4, 도 5a, 도5b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작업 공간의 투영 방법의 초기 상태 모식도이고, 도5a 및 도5b는 도4에 도시된 작업 공간 투영 방법의 운행 개념 모식도이며, 도6은 도4에 도시된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와 도5b에 도시된 투영된 작업 공간의 상대 관계 모식도이다.
도4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 있어서, 서로 링크(예컨대 네트워크 커낵션을 통과)되는 제1 전자 장치(971) 및 제2 전자 장치(972)가 존재하고, 제1 전자 장치(971)에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가 저장되며, 제2 전자 장치(972)에 프로젝터(974)가 내장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일화 스크립트(9731)는 공문서 문서형 정의(DTD)에 의해 선고되어 형성되고, 정의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정보 입력기(이는 요소 변환기의 한가지 예시임)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에 배치되어 작업 공간을 모델링하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 확장성 마크업 언어(XML)에 의해 생성된 인스턴스이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공간과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작업 공간(976)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며, 정보 입력기,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통일화 도구가 그 중에 추가되거나 그 중에서 제거되도록 허용된다.
또한, 제2 전자 장치(972)의 프로젝터(974)는 제2 전자 장치(972)에서 투영된 작업 공간(976)이 운행되는 작업 환경(975)을 구축하고, 마이크로커널(977)(도6을 참조)을 상기 작업 환경(975)에 탑재되도록 하며 투영된 작업 공간(976)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 입력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에 추가시킨다. 여기서, 제2 전자 장치(972)가 경로 링크 정보를 통해 제1 전자 장치(971) 중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을 획득할 경우, 제2 전자 장치(972) 중의 프로젝터(974)는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을 분석하기 시작하고, 이는 도5a에 도시된다. 또,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이 프로젝터(974)에 의해 분석된 후, 투영된 작업 공간(976)은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에서 분석된 내용에 따라 작업 환경(975)에 구축되고, 이는 도5b에 도시되며, 이로써 제2 전자 장치(972) 단의 유저는 제2 전자 장치(972)와 투영된 작업 공간(976)에 의해 상호 작용할 수 있고 나아가 관련 태스크를 실행한다.
이하, 도6에 도시된 사용 상황에 따라 상기 통일화 스크립트(9731),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 및 투영된 작업 공간(976)의 상호 관계를 도6에 도시된 사용 상황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사용 상황은 작업공간을 구축하는 과정과 관련되고 즉 jpg 포맷 이미지 파일 및 gif 포맷 이미지 파일을 구축하여 특정된 인터넷 공간 및 유저가 관찰하는 작업 공간에 제공하고, 본 사용 상황에 있어서, 통일화 스크립트(9731)는 공문서 문서형 정의(DTD)으로써 선고되고,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은 확장성 마크업 언어(XML)로 생성된다.
또한,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에는 하나의 정보 입력기 및 하나의 통일화 도구가 추가될 수 있고, 정보 입력기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에 서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투영된 작업 공간(976)에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본 사용 상황에 있어서, 정보 입력기는 Dropbox 입력기이고, 정보 입력기는 도6에 도시된 파선 프레임 (9761)이다. 원시 정보는 Dropbox (979)정보원 중의 jpg 포맷 이미지 파일(9791, 9792)과 gif 포맷 이미지 파일(9793)을 포함한다. 통일화 정보 유닛은 뒤에 설명할 상기 통일화 jpg 포맷 이미지 파일(9791', 9792')과 통일화 gif 포맷 이미지 파일(9793')이고, 통일화 도구는 이미지 뷰어가 투영된 작업 공간(976)에 입력된 이미지 파일을 판독하기 위한 것이고 이미지 관찰자의 정보는 도6에 도시된 파선 프레임 (9762)이다.
상기에 서술한 바와 같이, 투영된 작업 공간(976)은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가 제2 전자 장치(972) 중의 프로젝터(974)에 의해 분석된 후 구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영된 작업 공간(976)에 Dropbox 입력기(9761')가 파선 프레임(9761)에 대응 및 이미지 뷰어 (9762')가 파선 프레임(9762)에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하고, Dropbox 입력기(9761')는 다시 Dropbox (979) 정보원 중의 jpg 포맷 이미지 파일(9791, 9792)과 gif 포맷 이미지 파일(9793)을 투영된 작업 공간(976)에 통일화시키고 입력하여, jpg 포맷 이미지 파일(9791, 9792)과 gif 포맷 이미지 파일(9793)의 통일화 jpg 포맷 이미지 파일(9791', 9792')과 통일화 gif 포맷 이미지 파일(9793')이 투영된 작업 공간(976)에서 각각 서로 대응되게 나타나도록 한다. 이어서, 제2 전자 장치(972) 의 유저가 특정된 동작 방식으로 통일화 jpg 포맷 이미지 파일(9791', 9792')과 통일화 gif 포맷 이미지 파일(9793') 중의 임의의 하나와 작동할 경우(예컨대 통일화 이미지 파일(9791', 9792')과 통일화 이미지 파일(9793') 중의 상기 임의의 하나를 클릭하거나, 또는 통일화 jpg포맷 이미지 파일(9791', 9792')과 통일화 gif 포맷 이미지 파일(9793') 중의 상기 임의의 하나를 이미지 뷰어(9762')에 드래깅(dragging) 및 드로핑(dropping)함), 이미지 뷰어(9762')는 통일화 jpg이미지 파일(9791', 9792')혹은 통일화 gif이미지 파일(9793') 중의 내용을 대응되게 판독하고 이를 유저에게 선사한다. 이 밖에, 상기 Dropbox 입력기(9761') 및 이미지 뷰어(9762')는 마이크로커널(977)에 의하여 탑재된다(equipped).
특별히 설명해야 할 것은,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의 경로 링크 정보는 하이퍼텍스트 통신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경로 링크 정보 또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 FTP) 경로 링크 정보일 수 있고, 제1 전자 장치(971)와 제2 전자 장치(972)가 하나의 장치로 통합될 경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973)의 경로 링크 정보는 로컬 파일(local file) 경로링크 정보일 수 있지만, 경로 링크 정보의 형태는 공간 인스턴스(973)에 한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 중 상기의 "작업 공간의 투영 방법의 구체적인 방식"은 출원번호가 14/577,772이고, 발명의 명칭이 "METHOD OF PROJECTING A WORKSPACE AND SYSTEM USING THE SAME"인 미국 특허를 참조할 수 있고, 출원번호가 14/324,069, 14/325,466, 14/577,772인 미국 특허를 초안으로 하는 출원번호가 201410814138.5이고, 발명의 명칭이 "작업 공간의 투영 방법 및 상기 작업 공간의 투영 방법을 응용하는 시스템"인 중국 특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 작업 공간의 투영 방법의 예시와 목적은 단지 본원 발명에서 작업 공간을 임의의 산출 능력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투영하는 방법이지만, 작업 공간을 임의의 산출 능력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투영하는 투영 방법이며 상기와 같이 한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교의를 보류하는 동시에 수많은 변형 및 수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관찰 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작업 공간이 모두 임의의 산출 능력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투영될 수 있기에, 즉 임의의 작업 공간은 모두 임의의 산출 능력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전송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작업 공간 역시 다수의 협력 작업자가 협력 작업을 진행하는 한가지 작업 플랫폼인 바, 즉 작업 공간은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 일 수 있고, 아래에서는 본원 발명의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P1: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터의 작업 수요에 따라 복수개 통일화 요소(matter)를 조합하여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projectable space instance)를 모델링(modeling)한다.
단계P2: 상기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를 투영시키고,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따라 탑재하고 복수개 통일화 요소,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가 동작하고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프로모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와 협력 작업을 진행한다.
도8~도11을 참조하면,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 협력 작업 방법을 나타내는 사용 상황 모식도이고, 도9는 도8에 도시된 프로모터가 제1 참가자와 제2 참가자를 요청하는 과정 모식도이며, 도10은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을 도8에 도시된 상황에 사용하는 운행 개념 모식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와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나타내는 상대 관계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는 하기의 사용상황과 관련이 있다. 즉 프로모터(23)가 제1 참가자(21) 및 제2 참가자(22)를 요청하여 함께 주제 발표를 공동으로 제작하는 것이다. 이하 프로모터(23), 제1 참가자(21) 및 제2 참가자(22)는 협력 작업자(2)로 총칭하고,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는 상호 사이에 "제작 주제 발표"의 이러한 작업 수요에 따라 관계화된다. 네트워킹 협력 작업 방법의 시작에 앞서, 프로모터(23)는 제4 기계(14)에서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을 설치하고,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는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동기화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작업 프로모터(23)는 제작 주제 발표의 수요 및 협력 작업 시 필요한 통신 방식에 따라 필요한 통일화 요소(5)를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에 조합시킨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에 추가된 통일화 도구(51) 발표 판독 도구(511), 발표 편집 도구(512), 비디오 도구(513) 및 기록 도구(51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XML)로 예시되어 형성된 인스턴스이다. 도11은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의 컴파일된 내용(compiled contents) 및,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 중 각 통일화 요소(5)와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의 컴파일된 내용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시한다. 도11에서,점선 양단의 양쪽 끝은 상기 관계에서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의 컴파일된 내용과 대응되는 통일화 요소(5)를 나타낸다.
또한, 도8은 본 사용 상황에서 존재하는 제1 참가자(21), 제2 참가자(22) 및 작업 프로모터(23)에 사용되도록 각각 제공되는 제1 기계(11), 제2 기계(12)와 제3 기계(13)를 더 표시하였고,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에 각각 프로젝터(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젝터(4)는 적어도 원격 데이터 스테이션(미도시), 제4 기계(14) 중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 또는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에 프리로드되는(preloaded) 어플리케이션(미도시)로부터 획득되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는 각각 제4 기계(14)(예컨대 네트워크 링크를 통함, 도10 중 점선으로 표시됨)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제4 기계(14) 중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는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에 전송될 수 있으며, 추가로, 임의의 원시 요소, (예를 들면 제1 기계(11) 중의 제1 발표 자료 또는 도구, 제2 기계(12) 중의 제2 발표 자료 또는 도구, 제3 기계(13) 중의 제3 발표 자료 또는 도구, 관련 기계 또는 서버에 저장되는 데이터 또는 실행 가능한 요소)는 모두 통일화된 후 제4 기계(14)에 제공된다.
도7에 도시된 단계P2 및 도9를 함께 참조하면,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는 이와 대응되는 경로 링크 정보(URI)를 구비하고, 프로모터(23)가 다수의 참가자를 요청하여 함께 주제 발표(5)를 제작하고자 할 경우, 프로모터(23)는 플랫폼 및/또는 채널을 이용하여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의 경로 링크 정보를 제1 참가자(21) 및 제2 참가자(22)에 전송하기에, 제1 참가자(21) 및 제2 참가자(22)는 상기 경로 링크 정보를 통해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를 각각 제1 기계(11) 및 제2 기계(12)에 로드(load)한다. 마찬가지로, 프로모터(23)는 상기 경로 링크 정보를 통해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를 자신이 사용하는 제3 기계(13)에 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링크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플랫폼은 동작 시스템 또는 브라우저일 수 있고, 경로 링크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은 이메일, 인트라넷, 소셜 네트워크, 블로그, 웹사이트 또는 채팅 통신 채널 일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은 예시와 설명의 목적일 뿐, 플랫폼의 형태 및 채널의 형태는 이에 한하지 않는다.
이어서 도7에 도시된 단계P2 및 도10을 함께 참조하면,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의 프로젝터(4)는 각각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에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을 운행되도록 하는 작업 환경(41)을 구축할 수 있고,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대응되는 마이크로커널(61)(도12a~도12c, 도13a~도13c, 도14a~도14c를 참조바람)을 제공하여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에 컴파일되는(compiled) 통일화 요소(5)를 탑재하며(equipping), 예컨대 통일화 도구(51) 및 정보 입력기(52)를 포함한다.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는 각각 경로 링크 정보를 통해 제4 기계(14) 중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를 획득할 경우, 프로젝터(4)는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에 대해 석하기 시작하고,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가 프로젝터(4)에 의해 분석될 경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은 프로젝터(4)가 해석한 내용에 따라 작업 환경에 구축되며, 이로써, 제1 기계(11)의 제1 참가자(21), 제2 기계(12)의 제2 참가자(22) 및 제3 기계(13)의 프로모터(23)는 각각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를 통해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과 상호 작용하며, 즉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는 모두 이에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와 작동되어, 나아가 협력 작업의 목적에 달성한다.
이하, 도12a~도12c, 도13a~도13c, 도14a~도14c 및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들이 협력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12a는 도10에 도시된 제1 참가자가 초기 상태하에서 제1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고, 도12b는 도10에 도시된 제2 참가자가 초기 상태하에서 제2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며, 도12c는 도10에 도시된 작업 프로모터가 초기 상태하에서 제3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고, 도13a는 도10에 도시된 제1 참가자가 제1 발표 자료를 공백 발표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1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며, 도13b는 도10에 도시된 제2 참가자가 제1 발표 자료를 공백 발표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2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고, 도13c는 도10에 도시된 제1 참가자가 제1 발표 자료를 공백 발표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3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며, 도14a는 도10에 도시된 제1 참가자와 제2 참가자가 제2 발표 자료를 발표(제1 통일화 발표 자료를 이미 구비함)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1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고, 도14b는 도10에 도시된 제2 참가자가 제2 발표 자료를 발표(제1 통일화 발표 자료를 이미 구비함)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2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며, 도14c는 도10에 도시된 작업 프로모터와 제2 참가자가 제2 발표 자료를 발표(제1 통일화 발표 자료를 이미 구비함)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제3 기계 중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과 상호 작용하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12a~도12c를 참조하면, 본 사용 상황 중의 초기 상태하에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은 각각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에 구축되고, 그 중의 정보 입력기(52)는 우선 공백 발표(53)를 통일화하고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입력하도록 설정되며, 다시 그 중의 발표 판독 도구(511)를 통해 공백 발표(53)를 나타나게 하여 제1 참가자(21), 제2 참가자(22) 및 작업 프로모터(23)가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12a는 초기 상태하에 제1 기계(11)에 구축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을 나타내고, 공백 발표(53)를 나타내는 외에도, 발표 편집 도구(512), 비디오 도구(513) 를 표시하며, 비디오 도구(513)는 제2 참가자(22) 및 프로모터(23)의 영상 화면을 나타내어, 제1 참가자(21)가 제2 참가자(22) 및 프로모터(23)와 통신 및 토론을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표 편집 도구(512)는 제1 참가자(21)가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에 나타나는 발표(53)를 편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기록 도구(514)는 제1 참가자(21)가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가 진행한 협력 작업의 과정을 기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기록 내용은 이미지 정보, 오디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특정된 저장 공간에 지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밖에, 도12a는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가 상호간 통신 및 토론을 진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참가자(21) 제1 발표 자료(54)를 공백 발표(53)에 추가하는 것을 준비하고, 발표 편집 도구(512)를 통해 공백 발표(53)를 편집하는 것을 표시하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도12b는 초기 상태하에 제2 기계(12)에 구축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을 표시하고, 공백 발표(53)를 나타내는 외에도, 발표 편집 도구(512), 비디오 도구(513)를 나타내고, 비디오 도구(513)는 제1 참가자(21) 및 프로모터(23)의 영상 화면을 표시하여, 제2 참가자(22)가 제1 참가자(21) 및 프로모터(23)와 통신 및 토론하기 위한 것이고, 발표 편집 도구(512)는 제2 참가자(22)가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에 표시되는 발표(53)를 편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기록 도구(514)는 제2 참가자(22)가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가 진행한 협력 작업의 과정을 기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기록 내용은 이미지 정보, 오디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된 저장 공간에 지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유사하게는, 도 12c는 초기 상태하에 제3 기계(13)에 구축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C)을 표시하고, 공백 발표(53)를 나타내는 외에도, 발표 편집 도구(512), 비디오 도구(513)를 나타내고, 비디오 도구(513)는 제1 참가자(21) 및 제2 참가자(22)의 영상 화면을 표시하여, 작업 프로모터(23)가 제1 참가자(21) 및 제2 참가자(22)와 통신 및 토론하기 위한 것이고, 발표 편집 도구(512)는 작업 프로모터(23)가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C)에 표시되는 발표(53)를 편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기록 도구(514)는 프로모터(23)가 클릭한 후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가 진행한 협력 작업의 과정을 기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기록 내용은 이미지 정보, 오디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된 저장 공간에 지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도13a~도13c를 참조하면, 이는 각각 제1 참가자(21)가 제1 발표 자료(54)를 공백 발표(53)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나타나는 내용을 표시하며, 여기서, 제1 참가자(21)가 제1 발표 자료(54)를 공백 발표(53)에 추가시키는 동작을 진행할 경우(예컨대 제1 발표 자료(54)를 공백 발표(53)에 드래깅함), 제1 발표 자료(54)는 정보 입력기(52)에 의해 제1 통일화 발표 자료(54')로 동기화되고,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중의 공백 발표(53)가 제1 참가자(21)의 동작에 의해 변화가 발생할 경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 6C)에서 나타나는 발표(53)는 동기화되어 동일한 변화를 발생시키는 바, 다시 말하자면,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나타나는 발표(53)는 모두 제1 통일화 발표 자료(54') 및 제1 참가자(21)에 의해 편집된 결과를 이미 구비한다.
도13b는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가 통신 및 토론을 더 진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2 참가자(22)가 제2 발표 자료(55)를 제1 통일화 발표 자료(54')를 이미 구비하고 제1 참가자(21)에 의해 편집된 후의 발표(53)에 추가시키는 것을 준비하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의 발표 편집 도구(512)를 통해 이미 추가된 제1 통일화 발표 자료(54')의 발표(53)를 제2참가자 (22)에 의해 편집하는 것을 표시하기도 한다.
도14a~도14c를 참조하면, 각각 제2 참가자(22)가 제2 발표 자료(55)를 발표(53)에 추가시키고 편집한 후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의해 나타나는 내용을 표시하기도 하고, 여기서, 제2 참가자(22)가 제2 발표 자료(55)를 발표(53)에 추가시키는 동작을 진행할 경우(예컨대 제2 발표 자료(55)를 발표(53)에 드래함), 제2 발표 자료(55)는 정보 입력기(52)에 의해 제2 통일화 발표 자료(55')로 통일화되고,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 중의 발표(53)가 제2 참가자(22)의 작동에 의해 변화가 발생할 경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C)에는 발표(53)도 동일한 변화가 동기화 발생하는 바, 다시 말하자면,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나타나는 발표(53)는 모두 제1 통일화 발표 자료(54'), 제2 통일화 발표 자료(55') 및 제1 참가자(21)와 제2 참가자(22)가 편집한 후의 결과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협력 작업자 이와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작동하여 변화가 발생할 경우, 기타 협력 작업자와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동기화 변화를 발생시킨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하기와 같은 동기화의 과정을 제공한다. 임의의 기계에 탑재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작동할 경우, 동기화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와 서로 대응되며, 동기화 명령을 통해 기타 기계에 탑재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각각 전송되어 상기 다수의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동기화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동기화 프로세서는 클라이언트 서버형(client-server) 아키텍처, P2P(peer to peer) 아키텍처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15를 참조하면, 이는 클라이언트 서버형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상이한 기계에 위치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동기화 하는 모식도이다. 클라이언트 서버형 동기화 아키텍처 하에서,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는 모두 서버(8)에 연결되고, 따라서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 중의 임의의 하나의 동기화 명령은 서버(8)를 통해 기타 양자에 전송될 수 있다.
도15는 제1 기계(11)에 탑재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이 제1 참가자(21)의 작동 행위에 의해 상응하게 동기화 명령(D1)을 출력하는 것을 표시하고, 서버(8)는 상기 동기화 명령(D1)을 수신하며 동기화 명령(D1)을 제2 기계(12)에 탑재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 및 제3 기계(13)에 탑재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C)에 전송시켜, 상기 다수의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나타나는 내용이 모두 제1 참가자(21)의 작동 행위에 의해 동기화 변화가 발생하도록 한다. 당연히, 제2 기계(12) 의 제2 참가자(22)가 이와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에서 작동할 경우, 또는 제3 기계(13)의 작업 프로모터(23)가 이와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C)에서 작동할 경우, 마찬가지로 동기화 프로세서를 진행한다.
도16은 P2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상이한 기계에 위치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동기화하는 모식도이다. P2P 아키텍처 하에서,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 중의 임의의 하나는 모두 제4 기계(14)를 통해 서로 위치한 네트워크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서로 네트워크 연결되며, 따라서 제1 기계(11), 제2 기계(12) 및 제3 기계(13) 중의 임의의 하나의 동기화 명령은 기타 양자에 직접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16은 제2 기계(12)에 탑재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이 제2 참가자(22)의 작동 행위에 의해 서로 대응되게 동기화 명령(D2)을 출력하는 것을 표시하였고, 동기화 명령(D2)은 제1 기계(11)에 탑재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및 제3 기계(13)에 탑재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C)에 직접적으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나타나는 내용은 모두 제2 참가자(22)의 작동 행위에 의해 동기화 변화가 발생한다. 당연히, 제1 기계(11)의 제1 참가자(21)가 이와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에서 작동할 경우, 또는 제3 기계(13)의 작업 프로모터(23)가 이와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C)에서 작동할 경우, 마찬가지로 동기화 프로세서를 진행한다.
상기의 예시와 설명의 목적은 동기화 프로세서 및 동기화 프로세서를 실현하는 아키텍처일 뿐,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교의를 보류하는 동시에 수많은 변형 및 수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관찰 할 수 있다.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인 것으로 임의의 협력 작업자(2)도 실제 작업 상황에 따라 자신에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진행한 임의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변화에 대해 동기화 설정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제1 참가자(21)는 협력 작업의 과정에 있어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에 일부 관련 주의 사항 (미도시)또는 노트 (미도시)가 리마크(remark)되지만, 제1 참가자(21)는 상기 다수의 주의 사항 또는 노트를 동기화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기에, 상기 다수의 주의 사항 또는 노트는 작업 프로모터(23) 및 제2 참가자(22)와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 6C)에 나타나지 않는다. 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프로모터(23)가 협력 작업의 과정에 있어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C)에 다수의 통일화 도구(미도시)를 포함하는 툴바(toolbar)(미도시)를 배치시켜 작업에 편의를 제공하지만, 작업 프로모터(23)가 상기 툴바를 단지 제2 참가자(22)와 공유하기를 원한다면, 프로모터(23)는 상기 툴바의 동기화를 설정할 수 있고, 상기 툴바는 단지 제2 참가자(22)와 서로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B)에 동기화되어 나타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가 통신 및 토론을 진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기타의 참가자를 요청하여 협력적으로 태스크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제2 참가자(22)가 주제 발표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난관에 부딪혀 다른 한 명의 참가자(예컨대 제3 참가자, 미도시)를 요청하여 협조를 바랄 경우, 제3 참가자가 흔히 사용하는 플랫폼 및/또는 채널을 이용하여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의 경로 링크 정보를 제3 참가자에게 전송하여, 제3 참가자가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에 자신의 기계에 로시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구축하도록 하고, 나아가 프로모터(23), 제1 참가자(21) 및 제2 참가자(22)와 협력 작업을 진행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2)가 통신 및 토론을 진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임의의 협력 작업자(2)는 실제 수요에 따라 기타의 통일화 요소(5)(예컨대 포토 편집 도구, 미도시)를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수시로 제공할 수도 있다.
특별히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은 단일 협력 작업자 대 단일 협력 작업자의 작업 모드에서 진행될 수 있거나, 또는 단일 협력 작업자 대 다수의 협력 작업자의 작업 모드로 진행될 수 있거나(예컨대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법), 또는 다수의 협력 작업자 대 다수의 협력 작업자의 작업 모드로 진행될 수 있다. 당연히,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도 기계 자체일 수 있고, 아래 다른 한가지 사용 상황으로써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을 사용하는 상황의 운행 개념 모식도이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예로 든 사용 상황은 케이블 TV 설정 인원(74)이 3개의 상이한 가정에 위치된 제1 인터넷 TV 박스(71), 제2 인터넷 TV 박스(72) 및 제3 인터넷 TV 박스(73)가 네트워크 협동 재생 작업을 하도록 설정하고자 하는 것이고, 여기서, 제1 인터넷 TV 박스(71), 제2 인터넷 TV 박스(72) 및 제3 인터넷 TV 박스(73)에는 모두 대응 가능한 프로젝터 (4')가 있다.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의 경로를 수신할 수 있고 정보 연결한 후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 자동으로 해석하고 이에 작업 환경(41')을 구축하여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에 탑재된 프로젝터(4')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블 TV 설정 인원(74)은 프로모터이고, 제1 인터넷 TV 박스(71), 제2 인터넷 TV 박스(72) 및 제3 인터넷 TV 박스(73)는 참가자이며, 케이블 TV 설정 인원(74), 제1 인터넷 TV 박스(71), 제2 인터넷 TV 박스(72) 및 제3 인터넷 TV 박스(73)는 네트워크 협동 재생의 이러한 작업 수요에 따라 관계화된다.
또한, 협력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케이블 TV 설정 인원(74)은 먼저 제4 기계(14)에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모델링(modeling)하기 위한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를 설치할 수 있고, 케이블 TV 설정 인원(74)은 네트워크 협동 재생의 이러한 작업 수요에 따라 비디오 재생 도구(미도시) 및 비디오 재생 리스트(미도시)를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3')에 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6A', 6B', 6C')이 모두 제1 인터넷 TV 박스(71), 제2 인터넷 TV 박스(72) 및 제3 인터넷 TV 박스(73) 중의 작업 환경(41')에 각각 탑재되고, 제1 인터넷 TV 박스(71), 제2 인터넷 TV 박스(72) 및 제3 인터넷 TV 박스(73)는 케이블 TV 설정 인원(74)에 의해 설정된 비디오 재생 리스트에 따라 비디오를 재생하여, 네트워크 협동 재생의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에 따르면 알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의 장점은 하기와 같다. 첫째, 협력 작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참가자는 대응되는 플랫폼(platform) 및/또는 채널을 통해서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의 경로 링크 정보를 수신하고 협력 작업을 진행하는 환경(즉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제공하고, 따라서 임의의 신원(임의의 사람 혹은 임의의 기계를 포함함)은 모두 협력 작업을 요청할 수 있고, 특별히 자신의 개인 장치(예컨대 컴퓨터)에 별도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둘째, 통일화 프로그램이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 협력 작업의 환경을 통일화된 환경(unified environment)으로 형성시키고, 따라서 임의의 정보, 임의의 도구 또는 임의의 서비스는 모두 임의의 협력 작업자의 작업 수요에 따라 자유롭게 그 중에서 조합되고 서로 호환된다. 셋째, 임의의 협력 작업자는 모두 협력 작업의 환경(즉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 중의 임의의 정보, 임의의 도구 또는 임의의 서비스를 작동시키고, 상기 다수의 협력 작업자 협력 작업의 환경(즉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투영하는 방식으로 모든 협력 작업자의 개인 장치(예컨대 컴퓨터)에 탑재되고, 따라서 임의의 협력 작업자는 모두 기타 협력 작업자가 협력 작업 환경에서 진행한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변화를 동기화 관찰할 수 있다. 넷째, 과거 스크린 공유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협력 작업과 비교해보면, 본원 발명은 상기 다수의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 사이에 교류를 진행하여 동기화의 효과에 달성시킬 것을 동기화 명령하고, 전송되는 것은 단지 동기화 명령이고, 전체 스크린의 데이터가 아니며, 네트워크 대역폭의 사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네트워크 효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30)

  1.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터의 하나의 작업 수요에 따라, 복수개 통일화 요소(matter)를 조합하여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relational synchronization workspace)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projectable space instance)를 모델링(modeling)하는 단계; 및
    상기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에게 투영시키고,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따라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가 탑재(equip)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가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액세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와 협력 작업하여 태스크를 실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프로모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 중의 적어도 양자의 서로 간에는 상기 작업 수요에 따라 관계화(relat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 중의 적어도 하나는 이와 서로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진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화가 그 동기화 설정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프로모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참가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상기 투영에 대응되는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이 동기화 변화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 중의 적어도 하나는 이와 서로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행위를 진행할 시 동기화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 및/또는
    클라이언트 서버형(client-server) 아키텍처 또는 P2P(peer to peer) 아키텍처를 통해 상기 동기화 명령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 프로모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 중의 적어도 다른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에 대응되는 상기 다수의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동기화 변화를 발생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가자는 기계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참가자는 기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 협력 작업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단일 사용자 대 단일 유저의 작업 모드로 진행하거나, 또는 단일 사용자 대 다수의 유저의 작업 모드로 진행하거나, 또는 다수의 사용자 대 다수의 유저의 작업 모드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추가되는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 협력 작업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되는 원시 요소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통일화된 후 형성된 것이고,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는 유틸리티, 위젯,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또는 관련 기계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실행 가능한 요소(element)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과 서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는 파일, 웹 페이지, 데이터베이스 행, 책략, 규칙, 상기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의 운행 규 및 관련 기계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단계는,
    경로 링크 정보를 거쳐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해석하고 작업 환경을 구축하여,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상기 작업 환경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호환성 환경을 제공하여 상기 프로젝터를 실행하기 위한 엔진에 로드(loa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Javascript 엔진, 윈도우즈 어플리케이션 또는 Linux 어플리케이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는 오브젝트, 확장성 마크업 언어 문서, 또는 구조화 언어 또는 구조화 프로토콜을 인스턴스화한(instantiated) 인스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14. 작업 수요에 따라 복수개 통일화 요소(matter)를 조합하여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의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projectable space instance)를 모델링(modeling)하는 단계; 및
    상기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복수개 협력 작업자에게 투영하고,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따라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가 탑재(equip)되어,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액세스하여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다른 하나와 협력 작업하여 태스크를 실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양자의 서로 간에는 상기 작업 수요에 따라 관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는, 이와 서로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진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화가, 그 동기화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상기 투영에 대응되는 동기화 작업 공간이 동기화 변화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는 이와 서로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행위를 진행할 시 동기화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 및/또는
    클라이언트 서버형(client-server) 아키텍처 또는 P2P(peer to peer) 아키텍처를 통해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전송하고,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에 대응되는 상기 다수의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동기화 변화를 발생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협력 작업자는 기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단일 협력 작업자 대 단일 협력 작업자의 작업 모드로 진행하거나, 단일 협력 작업자 대 다수의 협력 작업자의 작업 모드로 진행하거나, 다수의 협력 작업자 대 다수의 협력 작업자의 작업 모드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추가되는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되는 원시 요소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통일화된 후 형성된 것이고,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단계는,
    경로 링크 정보를 거쳐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석하고 작업 환경을 구축하여,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상기 작업 환경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23.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기계에 있어서,
    상기 기계가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수신한 후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를 분석하여,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대응되는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구축함으로써,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을 상기 투영 가능한 오브젝트 중의 복수개 통일화 요소에 탑재, 조합시켜, 적어도 하나의 협력 작업자와 협력 작업을 진행하거나, 또는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액세스하여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다른 하나와 협력 작업하여 태스크를 실행하도록 하며,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는 작업 수요에 따라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24. 제2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협력 작업자는 다른 하나의 기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는, 이와 서로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서 진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화가 그 동기화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상기 투영에 대응되는 동기화 작업 공간이 동기화 변화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계에서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협력 작업자 중의 적어도 양자의 서로 간에는 상기 작업 수요에 따라 관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추가되는 상기 복수개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상기 투영된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29. 제28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원에서 획득되는 원시 요소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 변환기에 의해 통일화된 후 형성된 것이고, 각각의 상기 통일화 요소는 상기 투영 가능한 공간 인스턴스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도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도구는 유틸리티, 위젯,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또는 관련 기계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실행 가능한 요소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일화 정보 유닛과 서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시 정보는 파일, 웹 페이지, 데이터베이스 행, 책략, 규칙, 상기 관계 동기화 작업 공간의 운행 규칙 및 관련 기계 또는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KR1020177002951A 2014-07-03 2015-07-02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 KR102428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6315A KR20220111738A (ko) 2014-07-03 2015-07-02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24,069 US9134963B1 (en) 2014-07-03 2014-07-03 Method of unifying information and tool from a plurality of information sources
US14/324,069 2014-07-03
US14/325,466 2014-07-08
US14/325,466 US9727391B2 (en) 2014-07-08 2014-07-08 Method for performing task on unified information units in a personal workspace
US14/577,772 2014-12-19
US14/577,772 US9626157B2 (en) 2014-07-03 2014-12-19 Method of projecting a workspace and system using the same
CN201510003717 2015-01-04
CN201510003717.6 2015-01-04
PCT/CN2015/083179 WO2016000638A1 (en) 2014-07-03 2015-07-02 Networking cooperation method and machine using such metho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315A Division KR20220111738A (ko) 2014-07-03 2015-07-02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225A true KR20170040225A (ko) 2017-04-12
KR102428231B1 KR102428231B1 (ko) 2022-08-01

Family

ID=550184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951A KR102428231B1 (ko) 2014-07-03 2015-07-02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
KR1020227026315A KR20220111738A (ko) 2014-07-03 2015-07-02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315A KR20220111738A (ko) 2014-07-03 2015-07-02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164818A4 (ko)
JP (1) JP2017531879A (ko)
KR (2) KR102428231B1 (ko)
CN (1) CN106663118B (ko)
SG (1) SG11201610927XA (ko)
TW (1) TWI563404B (ko)
WO (1) WO2016000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6983B2 (en) * 2015-01-29 2022-09-27 Able World International Limited Interactive operation method, and transmitter machine, receiver machine and interactive oper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111327510B (zh) * 2018-12-13 2022-02-08 国家电投集团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核电计算分析业务的通讯系统
CN109814791B (zh) * 2018-12-20 2020-11-13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处理流程节点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1095A1 (en) * 2002-07-01 2004-01-01 Todd Marques Method and apparatus for universal device management
US20040016073A1 (en) * 2002-07-25 2004-01-29 Knutson James D. Disposable toothbrush system
US20070011683A1 (en) * 2005-07-01 2007-01-11 Microsoft Corporation Real-time self tuning of planned action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US20070016650A1 (en) * 2005-04-01 2007-01-18 Gilbert Gary J System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development of content over an electronic network
US20070113066A1 (en) * 2005-09-27 2007-05-17 Basiru Samba Host build and rebuild system and method
US20100138007A1 (en) * 2008-11-21 2010-06-03 Qweb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ion and setup of home automation
US20100191352A1 (en) * 2009-01-27 2010-07-29 Eldon Technology Ltd.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home automation
WO2010090286A1 (ja) * 2009-02-09 2010-08-1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100205528A1 (en) * 2004-07-30 2010-08-12 Apple Inc. Wireless Home and Office Appliance Management and Integration
US20120060204A1 (en) * 2003-10-10 2012-03-08 Anatoliy Panasyuk Methods and Apparatus for Scalable Secure Remote Desktop Access
US20120151373A1 (en) * 2010-12-10 2012-06-14 Wyse Technology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 remote desktop session utilizing a http handler and a remote desktop client common interface
US20130246901A1 (en) * 2012-03-19 2013-09-19 Litera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bi-directional document management
WO2013169156A1 (en) * 2012-05-10 2013-11-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tocol adaptation
CN103765403A (zh) * 2011-09-12 2014-04-30 英特尔公司 应用和web服务之间元数据驱动的合作
US20140172799A1 (en) * 2012-12-19 2014-06-19 Bo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of items with read-only permissions in a cloud-based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16846B (zh) * 2008-01-04 2010-06-02 清华大学 一种仿真数据的可视化与协同共享方法
CN102332039B (zh) * 2011-04-29 2013-07-03 华南理工大学 网络协同设计的异源cad模型数据集成装置及集成方法
CN103092980A (zh) * 2013-01-31 2013-05-08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 一种数据自动转换与存储的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1095A1 (en) * 2002-07-01 2004-01-01 Todd Marques Method and apparatus for universal device management
US20040016073A1 (en) * 2002-07-25 2004-01-29 Knutson James D. Disposable toothbrush system
US20120060204A1 (en) * 2003-10-10 2012-03-08 Anatoliy Panasyuk Methods and Apparatus for Scalable Secure Remote Desktop Access
US20100205528A1 (en) * 2004-07-30 2010-08-12 Apple Inc. Wireless Home and Office Appliance Management and Integration
US20070016650A1 (en) * 2005-04-01 2007-01-18 Gilbert Gary J System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development of content over an electronic network
US20070011683A1 (en) * 2005-07-01 2007-01-11 Microsoft Corporation Real-time self tuning of planned action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US20070113066A1 (en) * 2005-09-27 2007-05-17 Basiru Samba Host build and rebuild system and method
US20100138007A1 (en) * 2008-11-21 2010-06-03 Qweb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ion and setup of home automation
US20100191352A1 (en) * 2009-01-27 2010-07-29 Eldon Technology Ltd.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home automation
WO2010090286A1 (ja) * 2009-02-09 2010-08-1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120151373A1 (en) * 2010-12-10 2012-06-14 Wyse Technology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 remote desktop session utilizing a http handler and a remote desktop client common interface
CN103765403A (zh) * 2011-09-12 2014-04-30 英特尔公司 应用和web服务之间元数据驱动的合作
KR20140063750A (ko) * 2011-09-12 2014-05-27 인텔 코오퍼레이션 애플리케이션 및 웹 서비스 간의 메타데이터 구동 콜라보레이션
US20130246901A1 (en) * 2012-03-19 2013-09-19 Litera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bi-directional document management
WO2013169156A1 (en) * 2012-05-10 2013-11-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tocol adaptation
US20140172799A1 (en) * 2012-12-19 2014-06-19 Bo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of items with read-only permissions in a cloud-based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610927XA (en) 2017-02-27
KR102428231B1 (ko) 2022-08-01
JP2017531879A (ja) 2017-10-26
KR20220111738A (ko) 2022-08-09
CN106663118B (zh) 2021-05-07
TW201626257A (zh) 2016-07-16
CN106663118A (zh) 2017-05-10
TWI563404B (en) 2016-12-21
EP3164818A4 (en) 2017-06-14
WO2016000638A1 (en) 2016-01-07
EP3164818A1 (en)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8763B2 (en) Virtual area communications
US8464164B2 (en) System and method to create a collaborative web-based multimedia contextual dialogue
US201001857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web-based multimedia layered platform with recording and selective playback of content
Xu et al. A flexible context architecture for a multi-user GUI
US20190324704A1 (en) Multiuser interactive display system and method
KR102428231B1 (ko) 네트워킹 협력 작업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
Shurtz Application Sharing from Mobile Devices with a Collaborative Shared Display
US20170149578A1 (en) Networking cooperation method and machine using such method
TWI626835B (zh) 連網會議方法、工作空間的互動方法以及應用該方法的機器
Tschudnowsky et al. Towards real-time collaboration in user interface mashups
Gatzsche et al. A flexible system architecture for collaborative sound engineering in object-based audio environments
Pichiliani et al. A guide to map application components to support multi-user real-time collaboration
dos Santos et al. Finding solutions for effective collaboration in a heterogeneous industrial scenario
CN106471776B (zh) 创建社交网络的方法以及应用该方法的储存媒介
Pullen Enabling Military Coalition Command and Control with Interoperating Simulations.
CN106326015A (zh) 连网协同工作的方法以及应用该方法的机器
Sarjoughian et al. Towards collaborative component-based modelling
Geyer et al. Integrating support for collaboration-unaware VRML models into cooperative applications
Pedras et al. EnvironRC: Integrating mobil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o offshore engineering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Turner et al. Secure data sharing across portals: experiences from OneVRE
Pozzer et al. CSVTool-A tool for video-based collaboration
CN107209674B (zh) 管理资产的方法以及应用该方法的资产管理系统与机器
Anupam Collaborative multimedia environments for problem-solving
JP2018514827A (ja) インタラクティブな操作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送信機、受信機及びインタラクティブな操作システム
Keary et al. Current trends and developments, future requirements, and predictions for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s and e-collab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