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523A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523A
KR20170038523A KR1020150138006A KR20150138006A KR20170038523A KR 20170038523 A KR20170038523 A KR 20170038523A KR 1020150138006 A KR1020150138006 A KR 1020150138006A KR 20150138006 A KR20150138006 A KR 20150138006A KR 20170038523 A KR20170038523 A KR 20170038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circuit board
main body
terrac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1752B1 (ko
Inventor
윤영광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752B1/ko
Priority to US15/277,222 priority patent/US11196094B2/en
Publication of KR20170038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01M2/06
    • H01M2/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01M2002/02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이차전지가 개시된다. 상기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한 본체와, 본체의 외곽 테두리(outer periphery)를 따라 형성된 것으로, 상방으로 접어 올려진 절곡부를 포함하는 실링부와, 본체로부터 인출된 전극 리드와 연결된 것으로, 실링부의 절곡부와 본체 사이에 개재된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팩트화에 유리한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그 장점으로 인해 산업 전반에 걸친 다양한 기술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디지털 카메라, 셀룰러 폰,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전자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및 디젤 내연기관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에너지원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무선인터넷이나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전원공급장치 없이 전지를 사용하여 운용 가능한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와 같은 전자 기기의 보급이 빠른 속도로 늘고 있고, 특히 소형 전자 기기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컴팩트화에 유리한 이차전지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컴팩트화에 유리한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그 밖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한 본체;
상기 본체의 외곽 테두리(outer periphery)를 따라 형성된 것으로, 상방으로 접어 올려진 절곡부를 포함하는 실링부; 및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된 전극 리드와 연결된 것으로, 상기 실링부의 절곡부와 본체 사이에 개재된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실링부의 절곡부와 본체는 상기 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링부는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이차전지의 모든 변부 중에서 접철부를 제외한 모든 변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실링부 중에서 상기 전극 리드가 인출되는 테라스부의 절곡부와 본체 사이에 개재된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기판 상이나 상기 회로기판과 인접한 테라스부 상에는 이차전지의 온도 측정을 위한 서미스터가 장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차전지는 육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는 접철부를 제외한 5개의 변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차전지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주된 면이 육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는 육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철부는 상기 전극 리드가 인출되는 테라스부와 반대편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철부와 테라스부는 나란하게 연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테라스부의 양편에는, 상기 테라스부를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변부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테라스부와 제1, 제2 변부 사이에는, 상기 테라스부를 기준으로 비스듬한 각도로 연장되는 제3, 제4 변부가 개재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변부는,이차전지의 변부 중에서 상기 접철부를 제외하고 가장 긴 변부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제4 변부는,이차전지의 변부 중에서 가장 짧은 변부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실링부의 절곡부와 본체 사이에서 직립한 자세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회로기판과 외부 단자 사이를 연결해주는 배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과 배선부는 각각 서로 다른 실링부의 절곡부와 본체 사이에 직립한 자세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차전지를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전극 리드가 인출되는 테라스부의 절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테라스부의 절곡부를 이용하여 회로기판을 컴팩트하게 배치함으로써 전체 이차전지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구성이 보다 충실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테라스부의 절곡부에 의해 덮여진 회로기판 상에 이차전지의 온도 측정을 위한 서미스터를 탑재함으로써, 서미스터로부터의 열 손실을 최소화하여 온도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과 대비되는 비교예에 따른 이차전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이차전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관한 이차전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전극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이차전지는, 다각형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이차전지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주된 면이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차전지는 육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극 리드(15)가 인출되는 테라스부(St)는 상방으로 접어 올려진 절곡부(b)를 형성할 수 있고, 테라스부(St)의 절곡부(b)와 이차전지의 본체(10) 사이에 회로기판(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테라스부(St)의 절곡부(b)와 제1, 제2 변부(S1,S2)의 절곡부(b) 간에 물리적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차전지를 다각형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이차전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실링부(S), 그러니까, 이차전지의 테두리 중에서 접철부(F)를 제외한 다른 테두리에 상방으로 접어 올려진 절곡부(b)를 형성할 수 있는데, 테라스부(St)의 절곡을 방해하지 않도록 이차전지가 육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 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30)를 수용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외곽 테두리(outer periphery)를 따라 형성된 것으로, 상방으로 접어 올려진 절곡부(b)를 포함하는 실링부(S)와, 상기 본체(10)로부터 인출된 전극 리드(15)와 연결된 것으로, 상기 실링부(S)의 절곡부(b)와 본체(10) 사이에 개재된 회로기판(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의 본체(10)란, 이차전지 중에서 전극 조립체(30)가 수용되어 있는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차전지의 본체(10)는, 전극 조립체(30)와 전극 조립체(30)를 수용하는 케이스(20)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30)를 수용하고 있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실링부(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는 전극 조립체(30)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육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30)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제1, 제2 전극판(31,32) 사이에 세퍼레이터(33)를 개재하고, 다수의 제1, 제2 전극판(31,32) 및 세페레이터(33)를 적층한 스택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전극판(31,32) 및 세퍼레이터(33)는 육각형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형태의 제1, 제2 전극판(31,32) 및 세퍼레이터(33)로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30)는 육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30)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제1, 제2 전극판(31,32) 사이에 세퍼레이터(33)를 적층한 적층체를 젤리-롤 형태로 권취한 롤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차전지의 본체(10)는, 상기 전극 조립체(30) 및 전극 조립체(30)를 수용하는 케이스(20)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는 전극 조립체(30)를 사이에 개재하고 접철선(F)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결합된 제1, 제2 케이스(2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케이스(20)는 금속 박판의 양면으로 절연성 수지시트가 형성된 유연성 파우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케이스(21,2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실링부(S)를 서로 마주하게 접합시킴으로써 케이스(20) 내부의 전극 조립체(30)가 밀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케이스(21,22)의 실링부(S)는 열-압착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실링부(S)는 상기 전극 조립체(30)를 둘러싸고 남는 케이스(20)의 잉여부분이 서로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케이스(21,22) 사이로는 전극 리드(15)가 인출될 수 있고, 전극 리드(15)를 개재하고 제1, 제2 케이스(21,22)는 열-압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전극 리드(15)와 제1, 제2 케이스(21,22)의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밀봉 부재(11)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외곽 테두리(outer periphery)를 따라서는 실링부(S)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S)는 접절부(F)를 제외한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S)는 상방으로 접어 올려진 절곡부(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차전지는 전극 리드(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기판(50)은 이차전지의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이차전지의 과충전, 과방전, 과열, 과전류와 같은 이상 동작을 포착하고 충, 방전 동작을 중지시키는 등의 보호 동작을 취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50)은 이차전지의 과열을 포착하고 보호동작을 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로기판(50)에는 이차전지의 온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서미스터(51)가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회로기판(50)은 테라스부(St)의 절곡부(b)와 이차전지의 본체(10) 사이에 개재되므로, 이차전지의 온도를 열 손실 없이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전지 중에서 전극 리드(15)가 인출되는 테라스부(St)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가 유지되는데, 이러한 테라스부(St)의 절곡부(b)에 의해 둘러싸인 회로기판(50)으로서는 열 손실 없이 이차전지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차전지에서는, 이차전지의 과열을 열 손실 없이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고, 이차전지의 과열을 누락 없이 포착함으로써 폭발, 발화와 같은 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50)은 테라스부(St)의 절곡부(b)와 이차전지의 본체(10) 사이에 개재된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50)은 수직으로 세워진 직립 자세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로기판(50)의 주된 면이 편평하게 누운 자세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수직이나 수직에 가깝게 세워진 직립 자세로 배치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회로기판(50)이 직립 자세로 배치된다는 것은, 이차전지의 주된 면에 대해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깝게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회로기판(50)의 배치는 회로기판(50)의 장착 공간을 절약하고, 전체 이차전지의 컴팩트화에 유리할 수 있다. 즉, 회로기판(50)이 수직이나 수직에 가깝게 세워진 직립 자세를 취함으로써 테라스부(St)의 절곡부(b)와 이차전지의 본체(10)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끼워질 수 있고, 전체 이차전지의 사이즈가 컴팩트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회로기판(50)에는 배선부(5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선부(55)는 회로기판(50)과, 외부 기기(미도시), 그러니까, 외부 부하 또는 외부 충전기와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배선부(55)는 회로기판(50)과 외부 단자(60) 사이를 연결해줄 수 있다.
상기 배선부(55)는 회로기판(50)으로부터 이차전지의 본체(10)를 우회하여 접철부(F)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선부(55)는 테라스부(St)에 탑재된 회로기판(50)으로부터 제3 변부(S3)와, 제1 변부(S1)를 우회하여 테라스부(St)와 반대편에 형성된 접철부(F)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선부(55) 중의 일부는 제1 변부(S1)의 절곡부(b)와 이차전지의 본체(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렇게 배선부(55)의 일부가 제1 변부(S1)의 절곡부(b)와 이차전지의 본체(10) 사이에 끼워 개재됨으로써 배선부(55)의 연장 방향이 가이드 될 수 있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기 배선부(55)는 접절부(F) 주변에서 외부 단자(6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자(60)는, 외부 부하(미도시)와 연결되어 방전 전류를 공급하거나 또는 외부 충전기(미도시)와 연결되어 충전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배선부(55)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둘 이상의 도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부(55)도 회로기판(50)과 마찬가지로 수직이나 수직에 가깝게 세워진 직립 자세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선부(55)의 주된 면은 편평하게 누운 자세로 배치되지 않고, 수직이나 수직에 가깝게 세워진 자세로 배치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선부(55)의 배치는 배선부(55)의 장착 공간을 절약하고 전체 이차전지의 사이즈를 컴팩트화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50)과 배선부(55)는 각각 서로 다른 실링부(S)의 절곡부(b)와 본체(10) 사이에 직립한 자세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로기판(50)은 테라스부(St)의 절곡부(b)와 본체(10) 사이에 직립한 자세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선부(55)는 제1 변부(S1)의 절곡부(b)와 본체(10) 사이에 직립한 자세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차전지의 주면은 육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차전지는 모두 6개의 변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전극 리드(15)가 인출되는 테라스부(St)와, 상기 테라스부(St)의 양편에서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변부(S1,S2)와, 상기 테라스부(St)의 양편에서 비스듬한 각도로 연장되는 제3, 제4 변부(S3,S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변부(S1,S2)는 접철부(F)를 제외하고 이차전지의 주된 면에서 가장 긴 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제4 변부(S3,S4)는, 이차전지의 변부 중에서 가장 짧은 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철부(F)는 테라스부(St)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철부(F)는 이차전지의 주된 면에서 유일하게 실링부(S)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접철부(F)를 제외하고, 테라스부(St)와 제1 내지 제4 변부(S1,S2,S3,S4)는 모두 실링부(S)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실링부(S)는 상방으로 접어 올려서 절곡될 수 있다. 이렇게 접어 올려진 테라스부(St)의 절곡부(b)와 본체(10) 사이에 회로기판(5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실링부(S) 중에서 상기 테라스부(St)와 제1, 제2 변부(S1,S2)는 상방으로 접어 올려진 절곡부(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3, 제4 변부(S3,S4)도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라스부(St)의 절곡에 대해, 상기 제1, 제2 변부(S1,S2)의 절곡은 테라스부(St)의 절곡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테라스부(St)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제1, 제2 변부(S1,S2)는 상기 테라스부(St)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테라스부(St)와 제1, 제2 변부(S1,S2) 사이에는 제3, 제4 변부(S3,S4)가 개재된다. 즉, 서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테라스부(St)와 제1, 제2 변부(S1,S2)가 서로 직접 맞닿지 않고 이들 사이에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제3, 제4 변부(S3,S4)가 개재됨으로써 테라스부(St)의 절곡과 제1, 제2 변부(S1,S2)의 절곡이 서로에 대해 방해하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이차전지는 전극 리드(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기판(50)은 이차전지의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이차전지의 과충전, 과방전, 과열, 과전류와 같은 이상 동작을 포착하고 충, 방전 동작을 중지시키는 등의 보호 동작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회로기판(50)은 테라스부(St)의 절곡부(b)와 이차전지의 본체(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테라스부(St)의 절곡부(b)란 테라스부(St)의 상방으로 접어 올려진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테라스부(St)의 절곡부(b)와 이차전지의 본체(10)는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라스부(St)의 절곡부(b)와 이차전지의 본체(10) 사이에 회로기판(50)이 개재되는 것이다. 상기 회로기판(50)은 이차전지의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수의 회로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50)은 별도의 보호 부재를 갖추지 않더라도, 테라스부(St)의 절곡부(b)에 의해 덮여 보호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로기판(50)은 테라스부(St)의 절곡부(b)와 이차전지의 본체(10)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과 대비되는 비교예에 따른 이차전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차전지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전극 리드(115)가 인출되는 테라스부(St)와 제1, 제2 변부(S1,S2)는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맞닿게 된다. 이때, 테라스부(St)의 절곡과 제1, 제2 변부(S1,S2)의 절곡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즉, 테라스부(St)의 절곡은 제1, 제2 변부(S1,S2)의 절곡을 간섭하고, 제1, 제2 변부(S1,S2)의 절곡은 테라스부(St)의 절곡을 간섭하게 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테라스부(St)와, 제1, 제2 변부(S1,S2)가 함께 절곡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서로에 대해 수직한 테라스부(St)와 제1, 제2 변부(S1,S2)가 서로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고 이들 사이에서 비스듬한 각도로 연장되는 제3, 제4 변부(S3,S4)가 개재되도록 이차전지를 다각형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테라스부(St)와, 제1, 제2 변부(S1,S2)의 절곡이 서로 물리적으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의 고려로부터, 본 발명에서 이차전지 또는 이차전지의 본체(10)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된다고 할 때, 다각형이란 육각형 이상의 다각형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이차전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절곡부(b)가 형성된 테라스부(St)와 제1, 제2 변부(S1,S2) 측에는 절연 부재(81,8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 부재(81,82)는 상방으로 접어 올려진 절곡부(b)의 단부로 노출되는 금속 박판(미도시)을 덮어 절연시켜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부재(81,82)는 절곡부(b)의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절곡부(b)와 본체(10) 사이에 개재된 회로기판(50) 및 배선부(55)의 위치를 고정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이차전지의 본체 11 : 밀봉 부재
15 : 전극 리드 20 : 케이스
21,22 : 제1, 제2 케이스 30 : 전극 조립체
31,32: 제1, 제2 전극판 33 : 세퍼레이터
50 : 회로기판 51 : 서미스터
55 : 배선부 60 : 외부 단자
S : 실링부 S1~S4 : 제1~제4 변부
St : 테라스부 F : 접철부
b : 절곡부 81,82 : 절연 부재

Claims (16)

  1. 전극 조립체를 수용한 본체;
    상기 본체의 외곽 테두리(outer periphery)를 따라 형성된 것으로, 상방으로 접어 올려진 절곡부를 포함하는 실링부; 및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된 전극 리드와 연결된 것으로, 상기 실링부의 절곡부와 본체 사이에 개재된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절곡부와 본체는 상기 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이차전지의 모든 변부 중에서 접철부를 제외한 모든 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실링부 중에서 상기 전극 리드가 인출되는 테라스부의 절곡부와 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 상이나 상기 회로기판과 인접한 테라스부 상에는 이차전지의 온도 측정을 위한 서미스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는 육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는 접철부를 제외한 5개의 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주된 면이 육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육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상기 전극 리드가 인출되는 테라스부와 반대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와 테라스부는 나란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라스부의 양편에는, 상기 테라스부를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테라스부와 제1, 제2 변부 사이에는, 상기 테라스부를 기준으로 비스듬한 각도로 연장되는 제3, 제4 변부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변부는, 이차전지의 변부 중에서 상기 접철부를 제외하고 가장 긴 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4 변부는, 이차전지의 변부 중에서 가장 짧은 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실링부의 절곡부와 본체 사이에서 직립한 자세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과 외부 단자 사이를 연결해주는 배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과 배선부는 각각 서로 다른 실링부의 절곡부와 본체 사이에 직립한 자세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150138006A 2015-09-30 2015-09-30 이차전지 KR102401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006A KR102401752B1 (ko) 2015-09-30 2015-09-30 이차전지
US15/277,222 US11196094B2 (en) 2015-09-30 2016-09-27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006A KR102401752B1 (ko) 2015-09-30 2015-09-30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523A true KR20170038523A (ko) 2017-04-07
KR102401752B1 KR102401752B1 (ko) 2022-05-25

Family

ID=5840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006A KR102401752B1 (ko) 2015-09-30 2015-09-30 이차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96094B2 (ko)
KR (1) KR1024017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889A (ko) * 2019-12-11 2021-06-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0927A1 (ja) * 2016-11-29 2018-06-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二次電池およびデバイス
WO2020085815A1 (ko) * 2018-10-26 2020-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과 자동차
CN113707979A (zh) * 2021-08-27 2021-11-26 深圳市海雅达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503A (ko) * 2011-08-24 2013-03-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20140038037A (ko) * 2012-09-19 2014-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KR20140038036A (ko) * 2012-09-19 2014-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41755B1 (en) * 2001-01-18 2013-06-19 Dai Nippon Printing Co., Ltd. Battery and lead-insulating film
JP2005071907A (ja) * 2003-08-27 2005-03-17 Ngk Spark Plug Co Ltd フィルム外装型電池
KR100646497B1 (ko) 2004-10-19 2006-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폴리머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219847A1 (en) 2011-02-24 2012-08-30 Samsung Sdi Co., Ltd. Pouch type batte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2956860A (zh) * 2011-08-29 2013-03-06 索尼电子(无锡)有限公司 电池包、电池包的制造方法、电池和电子设备
KR101905080B1 (ko) * 2011-12-09 2018-10-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30133640A (ko) 2012-05-29 2013-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너부 형상이 다양한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KR101934395B1 (ko) * 2012-08-01 2019-0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105226300B (zh) * 2015-08-24 2018-07-17 武汉孚安特科技有限公司 一种异形锂锰软包装电池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503A (ko) * 2011-08-24 2013-03-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20140038037A (ko) * 2012-09-19 2014-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KR20140038036A (ko) * 2012-09-19 2014-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889A (ko) * 2019-12-11 2021-06-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11817541B2 (en) 2019-12-11 2023-11-1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96094B2 (en) 2021-12-07
US20170092991A1 (en) 2017-03-30
KR102401752B1 (ko)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5801B2 (en) Circuit board for secondary battery having current interrupte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11233279B2 (en) Battery pack
EP2905824B1 (en) Battery pack
US9825276B2 (en) Battery pack including a protection circuit module for unit batteries
KR102401752B1 (ko) 이차전지
KR20150019728A (ko) 전지 팩
US20160336769A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408047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EP3016171B1 (en)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20160133913A1 (en) Secondary battery
CN104282870B (zh) 电池组
KR20150006650A (ko) 전지 팩
US20150228960A1 (en) Battery pack
KR20160103255A (ko) 보호회로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KR101539690B1 (ko) 이차 전지용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0121996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648891B1 (ko) 전지 팩
KR101483130B1 (ko) 전지 팩
KR20170059284A (ko) 이차 전지
TWI515943B (zh) 二次電池組用的電路板以及電池組包
KR20170036331A (ko) 전지 팩
KR20070105193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