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267A - 전자책을 구성하는 리소스의 동기화를 위한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책을 구성하는 리소스의 동기화를 위한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267A
KR20170038267A KR1020150137384A KR20150137384A KR20170038267A KR 20170038267 A KR20170038267 A KR 20170038267A KR 1020150137384 A KR1020150137384 A KR 1020150137384A KR 20150137384 A KR20150137384 A KR 20150137384A KR 20170038267 A KR20170038267 A KR 20170038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book
authoring
electronic book
author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초롱
길연희
이준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37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8267A/ko
Publication of KR20170038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책 저작도구에서 다양한 리소스들(예,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3D 애니메이션, 텍스트 등)을 이용하여 전자책을 구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리소스의 재사용을 촉진하고 특정 멀티미디어 자료의 업데이트 또는 수정 시 해당 리소스를 활용해 다중의 전자책에 손쉽게 수정된 멀티미디어 자료가 반영될 수 있도록, 전자책 저작 과정의 손쉬운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합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책을 구성하는 리소스의 동기화를 위한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Integration Management for Synchronizing e-Book Resources}
본 발명은 전자책 저작을 위한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책을 저작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들(예,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3D 애니메이션, 텍스트 등)을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모바일 기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동 및 휴대가 간편한 단말에서 언제 어디서나 쉽게 재생이 가능한 전자책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전자책(e-Book)은 위키백과에 따르면 책의 내용을 디지털 정보로 가공하고 저장한 출판물의 통칭이다. 또한, 휴대기기(예, 휴대폰, PMP, PDA 등)나 컴퓨터로 볼 수 있는 특수한 포맷의 파일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책이라고 할 때는 텍스트 파일과 같은 범용 파일 포맷이 아니라 저작권 보호를 위해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능을 탑재할 수 있는 특수한 포맷을 가진 파일을 말한다.
현재 국내 전자책의 가장 큰 문제점은 기본적인 독서 인구가 없고, 판매되는 전자책의 양이 매우 적어 전자책 시장의 활성화를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데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전자책 활용이 가능한 서비스 분야와 시장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전자책 저작과 소비 환경을 개선하여 다양한 서비스 분야와 시장에 적합한 전자책 콘텐츠 생산이 손쉽도록 지원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책 저작도구에서 다양한 리소스들(예,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3D 애니메이션, 텍스트 등)을 이용하여 전자책을 구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리소스의 재사용을 촉진하고 특정 멀티미디어 자료의 업데이트 또는 수정 시 해당 리소스를 활용해 다중의 전자책에 손쉽게 수정된 멀티미디어 자료가 반영될 수 있도록, 전자책 저작 과정의 손쉬운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에서 전자책 저작을 지원하기 위한 리소스 통합관리 장치는, 전자책 저작을 위한 리소스를 관리하는 리소스 관리부; 상기 리소스에 대한 각각의 리소스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며, 미리 정의된 상기 리소스 메타데이터의 각 필드에 대한 리소스 메타데이터의 편집을 지원하는 리소스 메타데이터 관리부; 네트워크 상의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 연동부; 및 전자책의 편집을 지원하고 저작된 전자책 콘텐츠를 상기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으로 전달하여 디플로이하는 전자책 저작도구와 연동하여 전자책 콘텐츠 저작을 지원하도록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저작도구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작도구 연동부는, 리소스 모니터링을 통하여 상기 리소스에 대한 수정사항 발생에 따라 해당 전자책 콘텐츠의 리소스에 대한 업데이트를 위하여 해당 리소스 메타데이터로부터 전자책 식별자를 획득하여, 상기 전자책 저작도구가 상기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에 디플로이된 해당 전자책 저작정보에 대하여 해당 리소스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해당 전자책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리소스는 이미지,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 3D 콘텐츠, 또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소스 관리부는 상기 리소스의 검색, 삭제, 또는 변경 작업을 지원하며, 상기 리소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리소스 메타데이터 관리부에 리소스의 생성, 삭제, 또는 변경을 포함하는 리소스 상태 정보를 전달하여 해당 정보의 업데이트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리소스 메타데이터는, 리소스에 대한 고유 식별자, 실제 리소스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 리소스가 상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저장하는 리소스 상태정보, 리소스 상태정보 변화가 발생한 시간정보를 저장한 리소스 최종 변경일자, 해당 리소스와 연계되어 있는 전자책의 고유 식별자, 전자책과 해당 리소스와의 동기화 여부를 저장한 리소스 동기화 상태, 리소스 검색을 위한 검색 키워드 정보, 리소스가 어떤 유형의 콘텐츠 인지를 나타내는 리소스 타입, 및 리소스의 파일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작도구 연동부는, 상기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 연동부와 연동을 통해 해당 전자책 접근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전자책 저작도구를 활성화시켜, 상기 전자책 저작도구가 상기 전자책 접근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 연동부와 연동하여, 업데이트가 필요한 수정된 리소스의 수만큼 해당 전자책 콘텐츠에 대하여 리소스를 업데이트하고 동기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에서 전자책 저작을 지원하기 위한 리소스 통합관리 장치의 리소스 통합관리 방법은, 전자책 저작을 위한 리소스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리소스에 대한 각각의 리소스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며, 미리 정의된 상기 리소스 메타데이터의 각 필드에 대한 리소스 메타데이터의 편집을 지원하는 단계; 전자책의 편집을 지원하고 저작된 전자책 콘텐츠를 상기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으로 전달하여 디플로이하는 전자책 저작도구와 연동하여 전자책 콘텐츠 저작을 지원하도록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리소스 모니터링을 통하여 상기 리소스에 대한 수정사항 발생에 따라 해당 전자책 콘텐츠의 리소스에 대한 업데이트를 위하여 해당 리소스 메타데이터로부터 전자책 식별자를 획득하여, 상기 전자책 저작도구가 네트워크 상의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에 디플로이된 해당 전자책 저작정보에 대하여 해당 리소스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해당 전자책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을 손쉽게 저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전자책을 저작하여 제공하는 전자책 콘텐츠 사업자의 경우, 기 저작한 전자책 내의 리소스를 다른 전자책 저작과정에서 손쉽게 재사용이 가능하고 이미 저작한 전자책의 리소스의 업데이트 또는 수정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손쉽게 동기화하여 반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통합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메타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전자책 저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의 구현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전자책을 구성하는 리소스 통합관리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100)은, 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는 전자책 저작도구(110), 리소스 통합관리 장치(120), 및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선 인터넷, WiFi, WiBro 등 무선 인터넷, WCDMA, LTE 등 이동통신망 등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AN(Local Area Network)가 될 수도 있다.
전자책 저작도구(110)는 사용자가 리소스, 즉, 이미지,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동영상), 3D 콘텐츠(예, 애니메이션), 증강현실 콘텐츠 등을 이용해, 전자책을 편집하여 해당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저작된 전자책 콘텐츠를 자체 로컬 시스템에 저장하고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130)으로 전달하여 디플로이(deploy)되도록 할 수 있다.
리소스 통합관리 장치(120)는, 저작된 전자책 콘텐츠에 포함된 리소스에 대한 수정사항이 있는 경우, 즉, 리소스 모니터링을 통해서 리소스에 대한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변경된 리소스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기반하여 리소스 업데이트가 필요한 전자책 식별자를 획득하고 각각의 전자책 저작정보에서 해당 리소스를 업데이트하여 전자책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130)는 저작되거나 업데이트된 전자책 콘텐츠를 전자책 저작도구(110)를 통하여 수신하여 각각의 전자책 정보에 따라 분류해 저장 관리하며, 유료 또는 무료로 전자책 사용자들에게 사용자 단말의 뷰어를 통해 서비스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데스크탑 PC 기타 통신 전용 단말기 등 유선 단말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통신 환경에 따라 스마트폰, 음성/영상 전화 통화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테블릿 PC, 노트북 PC, PMP, PDA 등 무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리소스 통합관리 대상인 리소스는 이미지,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동영상), 3D 콘텐츠(예, 애니메이션), 증강현실 콘텐츠 등 전자책 저작도구의 편집과정에서 편집이 가능한 하나의 세부 콘텐츠 단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리소스는 전자책 저작도구(110)의 로컬 시스템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원격 서버, 즉,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는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130), 경우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는 클라우드 서버, 또는 자체 서버 형태의 콘텐츠 저작도구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리소스 풀 등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도 있다. 일례로 이와 같은 리소스의 저장위치는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하도록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와 같은 형태로 저장되고 관리되어 접근 요청 장치(예, 외부 서버, 단말 등)에 필요한에 따라 제공될 수 있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통합관리 장치(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통합관리 장치(120)는, 리소스 관리부(121), 리소스 메타데이터 관리부(122), 저작도구 연동부(123), 및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 연동부(124)를 포함한다.
리소스 관리부(121)는 이미지,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동영상), 3D 콘텐츠(예, 애니메이션), 증강현실 콘텐츠 등을 포함하는 전자책 리소스에 대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리소스를 로컬 시스템 또는 원격 서버 등 저장소 연동을 통하여 저장하도록 지원할 수 있고, 저장된 리소스의 검색, 삭제, 또는 변경 등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리소스 관리부(121)는 관리되는 리소스들에 대한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리소스 상태가 변경된 경우, 리소스 메타데이터 관리부(122)에 리소스 상태 정보(예, 생성, 삭제, 변경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여 리소스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게 할 수 있다.
리소스 메타데이터 관리부(122)는 각 리소스 별로 저장수단에 리소스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며, 도 3과 같이 정의된 각 필드에 대한 리소스 메타데이터의 편집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소스에 대한 고유 식별자, 실제 리소스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예, URI 등), 리소스가 생성/변경/삭제 등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저장하는 리소스 상태정보, 리소스 상태정보 변화가 발생한 시간정보를 저장한 리소스 최종 변경일자, 해당 리소스와 연계되어 있는 전자책의 고유 식별자, 전자책과 해당 리소스와의 동기화 여부를 저장한 리소스 동기화 상태, 리소스 검색을 위한 검색 키워드 정보, 리소스가 어떤 유형의 콘텐츠 인지를 나타내는 리소스 타입, 리소스의 파일 이름과 같은 리소스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각 리소스 별 리소스 메타데이터가 관리될 수 있다. 리소스 동기화 상태는 저작도구 연동부(123)가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 연동부(124)를 통한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130)과 연동으로 리소스 동기화를 수행할 때 해당 버전 정보,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작도구 연동부(123)는 전자책 저작도구(110)에서 본 발명의 리소스 통합관리 기능을 이용한 저작이 이루어지도록 전자책 저작도구(110)가 리소스 통합관리 장치(120)와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동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작도구 연동부(123)는 리소스에 대한 접근 정보를 전자책 저작도구(110)에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전자책 저작도구(110)에서의 전자책 저작 과정에서 요청 등에 따라, 저작도구 연동부(123)는, 삽입 등을 위한 해당 리소스의 검색 또는 미리보기 등과 같은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GUI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책 저작도구(110)에서는 사용자가 리소스, 즉, 이미지,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동영상), 3D 콘텐츠(예, 애니메이션), 증강현실 콘텐츠 등을 이용해, 전자책을 편집하여 해당 전자책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 연동부(124)는 전자책 접근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130)과 연동함으로써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130)에서 관리되는 각각의 전자책 저작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저작도구 연동부(123)는 저작된 전자책 콘텐츠에 포함된 리소스에 대한 수정사항이 있는 경우, 즉, 리소스 모니터링을 통해서 리소스에 대한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리소스 메타데이터 관리부(122)를 참조해 변경된 리소스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기반하여 리소스 업데이트가 필요한 전자책 식별자를 획득하고,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 연동부(124)와 연동을 통해 전자책 접근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저작도구 연동부(123)는 리소스에 대한 동기화가 필요한 경우, 전자책 접근정보를 기반으로 전자책 저작도구(110)를 활성화하여 저작정보, 즉, 변경된 리소스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활성화된 전자책 저작도구(110)는 전자책 접근정보를 기반으로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 연동부(124)를 통해 해당 전자책 저작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전자책 저작정보에서 해당 변경된 리소스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전자책 저작도구(110)는 업데이트된 전자책 저작정보를 저작도구 연동부(123)의 저장 수단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작도구 연동부(123)는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130)으로 업데이트된 전자책 저작정보를 전송하여 디플로이(deploy)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되도록 변경된 리소스에 대한 리소스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100)에서의 전자책 저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리소스 통합관리 기능이 없는 경우(S110)에는, 사용자는 전자책 저작도구(110)를 통해 콘텐츠를 편집하여 저작하고(S111), 저장수단에 저장한 후(S112)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130)에 디플로이하여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되도록 할 수 있다(S113). 저작된 전자책 콘텐츠의 서비스 중 그에 포함된 리소스에 대한 수정이 팔요한 경우, 위와 같은 저작 과정(S111 ~ S113)을 동일하게 거쳐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130)에 디플로이 해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리소스 통합관리 기능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리소스 통합관리 장치(120)에서, 리소스에 대한 수정사항이 있는 경우, 즉, 리소스 모니터링을 통해서 리소스에 대한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변경된 리소스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기반하여 리소스 업데이트가 필요한 전자책 식별자를 획득하고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130)에 디플로이된 각각의 전자책 저작정보에 대하여 해당 리소스를 업데이트하여 전자책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S120 ~ S170).
즉, 리소스 통합관리 장치(120)의 저작도구 연동부(123)는 리소스 모니터링의 결과 분석을 통해(S120) 리소스에 대한 수정사항 발생에 따라 리소스에 대한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S130), 리소스 메타데이터 관리부(122)를 참조해 변경된 리소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140). 이에 따라 저작도구 연동부(123)는 해당 리소스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기반하여 업데이트가 필요한 해당 리소스에 대한 전자책 정보(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S150).
이후 저작도구 연동부(123)는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 연동부(124)와 연동을 통해 해당 전자책 접근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리소스에 대한 동기화를 위해 전자책 저작도구(110)를 활성화하면, 활성화된 전자책 저작도구(110)는 전자책 접근정보를 기반으로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 연동부(124)를 통해 해당 전자책 저작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60). 전자책 저작도구(110)는 전자책 저작정보에서 해당 변경된 리소스(들)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S170). 이와 같은 과정(S160, S170)은 업데이트가 필요한 수정된 리소스의 수만큼 전자책 콘텐츠(들)(전자책 저작정보)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책 저작도구(110)가 전자책 저작정보(들)을 업데이트하면, 업데이트된 전자책 저작정보를 저작도구 연동부(123)의 저장 수단 등에 저장할 수 있으며(S112), 저작도구 연동부(123)는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130)으로 업데이트된 전자책 저작정보를 전송하여 디플로이(deploy)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되도록 변경된 리소스에 대한 리소스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S113).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100)의 구현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100)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들은 도 5와 같은 컴퓨팅 시스템(100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100)에서는 리소스 통합관리 장치(120)를 통해 전자책과 관련된 리소스들을 통합관리함으로서, 전자책 저작도구에서 다양한 리소스들을 이용하여 전자책을 구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리소스의 재사용을 촉진하고 특정 멀티미디어 자료의 업데이트 또는 수정 시 해당 리소스를 활용해 다중의 전자책에 손쉽게 수정된 멀티미디어 자료가 반영될 수 있도록, 전자책을 손쉽게 저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책을 저작하여 제공하는 전자책 콘텐츠 사업자의 경우, 기 저작한 전자책 내의 리소스를 다른 전자책 저작과정에서 손쉽게 재사용이 가능하고 이미 저작한 전자책의 리소스의 업데이트 또는 수정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손쉽게 동기화하여 반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자책 저작도구(110)
리소스 통합관리 장치(120)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130)
리소스 관리부(121)
리소스 메타데이터 관리부(122)
저작도구 연동부(123)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 연동부(124)

Claims (1)

  1.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에서 전자책 저작을 지원하기 위한 리소스 통합관리 장치에 있어서,
    전자책 저작을 위한 리소스를 관리하는 리소스 관리부; 상기 리소스에 대한 각각의 리소스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며, 미리 정의된 상기 리소스 메타데이터의 각 필드에 대한 리소스 메타데이터의 편집을 지원하는 리소스 메타데이터 관리부; 네트워크 상의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 연동부; 및
    전자책의 편집을 지원하고 저작된 전자책 콘텐츠를 상기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으로 전달하여 디플로이하는 전자책 저작도구와 연동하여 전자책 콘텐츠 저작을 지원하도록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저작도구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작도구 연동부는, 리소스 모니터링을 통하여 상기 리소스에 대한 수정사항 발생에 따라 해당 전자책 콘텐츠의 리소스에 대한 업데이트를 위하여 해당 리소스 메타데이터로부터 전자책 식별자를 획득하여, 상기 전자책 저작도구가 상기 전자책 서비스 플랫폼에 디플로이된 해당 전자책 저작정보에 대하여 해당 리소스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해당 전자책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스 통합관리 장치.
KR1020150137384A 2015-09-30 2015-09-30 전자책을 구성하는 리소스의 동기화를 위한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70038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384A KR20170038267A (ko) 2015-09-30 2015-09-30 전자책을 구성하는 리소스의 동기화를 위한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384A KR20170038267A (ko) 2015-09-30 2015-09-30 전자책을 구성하는 리소스의 동기화를 위한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267A true KR20170038267A (ko) 2017-04-07

Family

ID=5858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384A KR20170038267A (ko) 2015-09-30 2015-09-30 전자책을 구성하는 리소스의 동기화를 위한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82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6672B (zh) 消息扩展应用程序商店
CN107491296B (zh) 与一个或多个扩展应用程序对接的消息应用程序
JP6002211B2 (ja) ファイルの共有バージョンの参照のためのファイル内へのメタデータの格納
US8655840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ub-file level synchronization
US8983237B2 (en) Non-destructive collaborative editing
EP2439692A1 (en) Platform enabling web-base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ithin shared digital media
CN103200224B (zh) 一种信息分享的方法、装置及终端
EP25279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tting media files
US20150365497A1 (en) Providing access to information across multiple computing devices
BR112015017709B1 (pt) Método para interfaces de programação de aplicação para curação de conteúdo
US20190129929A1 (en) Coordination of storyline content composed in multiple productivity applications
US201401649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notating and sharing a digital object with multiple other digital objects
CN103246729A (zh) 一种处理安卓移动端的多媒体文件的方法和系统
US20180302462A1 (en) Social media server for providing client with media content including tagging information and the client
US20150242080A1 (en) Propagating Theming Information from Host Applications to Host Extensions
US11144501B2 (en) Locating files using a durable and universal file identifier
TWI627541B (zh) 將與活動相關的資訊從源電子裝置轉遞至伴隨電子裝置
CN103907311A (zh) 来自移动设备的远程访问
WO2022184063A1 (zh) 表格内容处理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
KR20100058108A (ko) 콘텐츠 동기화 방법
US20140136943A1 (en) Rendering web content within documents
KR20170038267A (ko) 전자책을 구성하는 리소스의 동기화를 위한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80010442A (ko) 온라인 저작 서비스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문서 저장 방법
JP6260347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電子コンテンツ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抑制方法
US10127312B1 (en) Mutable list resilient index for canonical addresses of variable playli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