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847A - 에어 덕트를 개폐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플랩 및 에어 덕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에어 덕트를 개폐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플랩 및 에어 덕트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37847A KR20170037847A KR1020160123925A KR20160123925A KR20170037847A KR 20170037847 A KR20170037847 A KR 20170037847A KR 1020160123925 A KR1020160123925 A KR 1020160123925A KR 20160123925 A KR20160123925 A KR 20160123925A KR 20170037847 A KR20170037847 A KR 201700378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p
- air duct
- flaps
- section
- cro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0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composed of diaphragms or seg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14—Details of seals of dampe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 및 공기 조화 시스템용 에어 덕트(11)를 개폐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플랩(12, 12')에 관한 것으로서, 이 경우 플랩(12, 12')의 횡단면이 원 형태뿐만 아니라, 주축과 부축의 상이한 방향 설정 및 연장부를 갖는 다수의 상이한 난형 형태도 취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랩(12, 12')이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에어 덕트(11) 내에 또는 상기 에어 덕트(11)에 형성된 개구(14)가 상기 플랩(12, 12')에 의해 선택적으로 완전히 폐쇄되거나 상이한 크기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플랩(12, 12')을 포함하는 난방 및 공기 조화 시스템용 에어 덕트 어셈블리(10)와도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액추에이터 생략으로 인한 설치 공간 절감, 소음 감소, 중량 감소 및 비용 절감이다.
본 발명의 장점은 액추에이터 생략으로 인한 설치 공간 절감, 소음 감소, 중량 감소 및 비용 절감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 덕트를 개폐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플랩(deformable flap) 및 상기와 같은 변형 가능한 플랩을 포함하는 에어 덕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특히 자동차용 난방 및 공기 조화 시스템(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분야이다.
통상적으로 공기 조화 시스템용 플랩은 회전식 부재(rotatory element)로서 형성되어 있고, 모터(motor) 또는 운동학(kinematic)을 통해 외부로부터 구동된다. 이 경우 플랩은 보통 경질 구성 요소와 연질 구성 요소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경질 구성 요소는 예를 들면 직선, 배럴형(barrel-shaped) 등의 임의의 형태로 된 리프(leaf)를 중앙부 또는 단부 지지하는 방식으로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연질 구성 요소는 실제 밀봉 효과를 만들어 내는 밀봉립(sealing lip)을 포함한다.
회전 동작에 의해 플랩은 폐쇄 위치로 또는 최대 개방 위치로 또는 임의의 중간 위치로 조정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폐쇄 위치에서는 밀봉립들이 밀봉면에 접하고, 그리고 상기 최대 개방 위치에서는 플랩이 최대 개방 횡단면을 개방한다. 플랩의 운동을 위해서는 외부 구동 장치, 예컨대 서보모터(servomotor) 또는 운동학이 필요하다.
플랩은 외부 구동 장치를 필요로 하고, 이러한 외부 구동 장치는 공기 조화 시스템 밖에 설치 공간을 요구한다. 그 외에 플랩은 중간 위치들에서는 유동이 불리한데, 이러한 상황은 다른 무엇보다 소음 발생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과제는, 외부 구동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가능한 한 모든 위치에서 유동이 순조로운 플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 해결은 청구항 1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변형 가능한 플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변형 가능한 플랩은 난방 및 공기 조화 시스템용 에어 덕트의 개폐 동작에 적합하다. 이 경우 플랩의 횡단면이 원 형태뿐만 아니라, 주축(main axis)과 부축(secondary axis)의 상이한 방향 설정 및 연장부를 갖는 다수의 상이한 난형 형태 또는 타원형 형태(oval or elliptical shape)도 취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플랩이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에어 덕트 또는 상기 에어 덕트의 개구가 상기 플랩에 의해 선택적으로 완전히 폐쇄되거나 상이한 크기로 개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과제는 선행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개구 폐쇄", "개구 부분적 폐쇄" 및 "개방" 동작이 부재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형태를 변경하는 부재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수직으로 방향 설정된 에어 덕트에서, 이러한 형태는 "폐쇄" 위치에서 수평으로 누워 있는 타원형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개방" 위치로, 즉 최대 개방 횡단면을 갖는 위치로 변경된다. 중간 위치들은 원 형태, 즉 원형 횡단면을 갖는 형태를 포함한 모든 타원형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변형 가능한 플랩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상 기억 재료(shape memory material)로 이루어지고 형상 기억 효과에 의해 다수의 형태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형상 기억 재료는 일반적으로 형상 기억 합금(shape memory alloy)이다. 바람직한 형상 기억 합금으로는 니켈 티타늄 합금, 예컨대 니티놀(Nitinol)이 사용된다. Nitinol은 영문 명칭 "Nickel Titanium Naval Ordnance Laboratory"의 머리글자이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한 형성예에 따르면, 변형 가능한 플랩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플랩이 탄성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플랩은 기계적 변형 장치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장치에 의해 플랩의 횡단면이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변형 장치는 바람직하게 스프레딩 링키지(spreading linkage)로서, 플랩의 탄성 재료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스프레더 바(spreader bar) 및 이러한 스프레더 바들 사이에 배치된 조인트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조인트에 의해서는 2개의 스프레더 바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고, 그리고 탄성 플랩의 횡단면과 탄성 재료가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은 형상 기억 합금을 갖는 구동 장치에 의한 사용을 위해 사전 결정되며, 상기 형상 기억 합금에서 스프링은 외부 스프레더 바들을 서로 분리되게 이동시킬 수 있고, 그리고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는 상기 스프레더 바들을 서로 겹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프레딩 스프링(spreading spring)과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의 결합 배치에 의한 실시 변형예에 의해 페일 세이프 위치(Fail-Safe-Position)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플랩을 포함하는 난방 및 공기 조화 시스템용 에어 덕트 어셈블리와 관련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플랩은 마주 놓이거나 오프셋 형태로 배치된, 에어 덕트의 밀봉면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때 상기 플랩의 완전 폐쇄 위치에서, 플랩의 난형 횡단면의 주축은 자체 길이가 적어도 대체로 에어 덕트의 횡단면에 걸쳐서 연장되며, 따라서 플랩이 마주 놓이거나 오프셋 형태로 배치된, 에어 덕트의 밀봉면들에 접하고 에어 덕트의 횡단면을 완전히 폐쇄한다. 바람직하게 변형 가능한 플랩의 최대 개방 위치에서 플랩의 난형 횡단면의 주축은 자체 길이가 폐쇄 위치에서 플랩의 주축에 수직으로 연장되며, 그 결과 에어 덕트의 최대 횡단면이 개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점들로는 액추에이터 생략으로 인한 설치 공간 절감, 소음 감소, 중량 감소 및 비용 절감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성예들의 추가 세부 사항, 특징들 및 장점들은 관련 도면을 참조해서 이루어지는 실시예들에 대한 아래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도면에서:
도 1은 에어 덕트 개구 내부에 있는 선행 기술에 따른 난방 및 공기 조화 시스템의 플랩과 이러한 플랩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에어 덕트 개구 내부에 있는 본 발명에 따라 변형 가능한 플랩과 이러한 플랩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스프레딩 링키지를 구비한 변형 가능한 플랩의 개략도이고,
도 4A는 플랩 내부에 배치된 스프레딩 링키지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4B는 스프레딩 스프링과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를 구비한, 플랩 내부에 배치된 스프레딩 링키지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그리고
도 5는 오프셋 형태로 배치된 밀봉면들을 갖는, 에어 덕트 내부에 있는 본 발명에 따라 변형 가능한 플랩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은 에어 덕트 개구 내부에 있는 선행 기술에 따른 난방 및 공기 조화 시스템의 플랩과 이러한 플랩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에어 덕트 개구 내부에 있는 본 발명에 따라 변형 가능한 플랩과 이러한 플랩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스프레딩 링키지를 구비한 변형 가능한 플랩의 개략도이고,
도 4A는 플랩 내부에 배치된 스프레딩 링키지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4B는 스프레딩 스프링과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를 구비한, 플랩 내부에 배치된 스프레딩 링키지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그리고
도 5는 오프셋 형태로 배치된 밀봉면들을 갖는, 에어 덕트 내부에 있는 본 발명에 따라 변형 가능한 플랩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예컨대, 공기 배출구의) 에어 덕트(2) 및 상기 에어 덕트(2) 내에 배치된 회전 가능한 플랩(3)을 구비한 난방 및 공기 조화 시스템용 에어 덕트 어셈블리(1)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플랩(3)은 에어 덕트 내부에서, 마주 놓인 2개의 밀봉면(5, 6) 사이 폐쇄 가능한 개구(4)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플랩(3)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회전식 부재로서, 즉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외부로부터 구동된다. 플랩(3)은 한 편으로는 리프(8)를 형성하는 경질 구성 요소(8)를 포함하고, 이러한 리프는 도 1에 도시된 횡단면과 관련하여, 자신의 중앙 영역에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물론 상기 리프(8)는 자신의 단부에도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플랩(3)은 다른 한 편으로는 밀봉립(9)들 형태로 이루어진 연질 구성 요소(9)를 포함하며, 도 1의 그림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립들이 마주 놓인 밀봉면(5, 6)들에 접하는 경우, 상기 밀봉립들은 플랩(3)의 실제 밀봉 효과를 만들어 낸다. 플랩은 도 1의 그림 A에 따르면 폐쇄 위치에 있다.
도 1의 그림 B는 회전 가능한 플랩(3)의 위치를 도시하는데, 이 위치에서 상기 플랩은 폐쇄 가능한 개구(4)의 최대 개방 횡단면을 개방한다. 플랩(3)은 이러한 최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에서의 플랩 정렬에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다. 또한, 폐쇄 위치와 최대 개방 위치 사이에는 다수의 중간 위치가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중간 위치가 도 1의 그림 C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 가능한 플랩(3)은 공기 조화 시스템 밖에서 설치 공간을 요구하는 외부 구동 장치를 필요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컨대, 공기 배출구의) 에어 덕트(11) 및 상기 에어 덕트(11) 내에 배치된 변형 가능한 플랩(12)을 구비한 난방 및 공기 조화 시스템용 에어 덕트 어셈블리(1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재킷(13) 및 이와 더불어 횡단면이 변형될 수 있는 상기 플랩(12)은 에어 덕트(11) 내부에서 마주 놓인 2개의 밀봉면(15, 16) 사이 폐쇄 가능한 개구(14)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의 그림 A는 "폐쇄" 위치를 도시하는데, 즉 플랩(12)이 자체 변형에 의해 완전 폐쇄 위치에 있다. 플랩(12)의 완전 폐쇄 위치에서, 플랩(12)의 난형 횡단면의 주축(17a)은 자체 길이가 에어 덕트의 전체 횡단면에 걸쳐서 연장되며, 그 결과 상기 플랩(12)은 에어 덕트(11)의 마주 놓인 밀봉면(15, 16)들에 접하고 에어 덕트(11)의 횡단면을 완전히 폐쇄한다. 이 경우 부축(18a)은 에어 덕트(11)의 벽들과 밀봉면(15, 16)들에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다. 에어 덕트(11)가 수직으로 정렬된 도 2의 그림 A의 도시에서, 플랩(12)은 수평으로 정렬된 주축(17a)을 갖는 누워 있는 타원형으로 변형되어 있다.
도 2의 그림 B는 "개방" 위치를 도시하는데, 즉 변형 가능한 플랩(12)이 최대 개방 위치에 있다. 이 경우 플랩(12)은 플랩(12)의 난형 횡단면의 새로 형성된 주축(17b) 길이가 에어 덕트(11)의 벽들과 밀봉면(15, 16)들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반면, 플랩의 난형 횡단면의 더 짧은 부축(18b)은 기본적으로 에어 덕트(11)의 벽들과 폐쇄 가능한 개구(14)의 밀봉면(15, 16)들에 수직으로 방향 설정되어 있다. 그림 B에 따른 최대 개방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플랩(12)의 길이 방향 연장부는 그림 A에 따른 폐쇄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플랩(12)의 길이 방향 연장부에 상응한다. 그림 B에 따른 최대 개방 위치에서 주축(17b)은 도 2의 그림 A에 따른 폐쇄 위치에서의 주축(17a)의 방위에 수직으로 뻗는다. 다른 말로 하면, 플랩의 폐쇄 위치에서 누워 있는 타원형은 최대 개방 위치에서 서 있는 타원형으로 변형되며, 그 결과 에어 덕트(11) 또는 폐쇄 가능한 개구(14)의 최대 횡단면이 개방되어 있다.
도 2의 그림 C는 플랩(12)의 다양한 중간 위치들 중 하나를 도시한다. 이 경우 플랩(12)은 여전히 난형으로 변형되어 있으나, 도 2의 그림 A에 따른 폐쇄 위치와 비교해 에어 덕트(11)의 벽들에 평행하게 수직 방향으로 현저히 더 짧은 주축(17c) 및 더 긴 부축(18c)을 갖는 타원형으로 변형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의 그림 B에 따른 플랩(12)의 최대 개방 위치와 비교해 더 작은 에어 덕트(11) 횡단면이 개방되어 있다.
도 3은 변형 가능한 플랩(12')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이때 상기 플랩의 재킷(13')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킷(13')의 탄성 재료는 스프레딩 링키지(19)를 둘러싼다. 상기 스프레딩 링키지(19)는 2개의 평행한 스프레더 바(20, 21) 및 2개의 브래킷(22, 23)을 포함한다. 상기 2개의 브래킷(22, 23) 각각은 한 단부에서는 각 하나의 외부 조인트(24, 25)를 통해 상기 스프레더 바들 중 하나의 스프레더 바(20, 21)와 그리고 마주 놓인 단부에서는 중앙 조인트(26)를 통해 각기 다른 브래킷(23, 22)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중앙 조인트(26)에 의해서는 2개의 브래킷(22, 23)의 상호 정렬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들 상호 간의 정렬은 또한 평행한 스프레더 바(20, 21)들의 간격도 결정한다. 스프레딩 링키지(19)는 플랩(12')의 탄성 재킷(13')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평행한 스프레더 바(20, 21)들 상호 간격에 의해, 재킷(13')의 형태가 조정될 수 있다. 도 3의 도시에 따르면, 플랩(12')의 길이 방향으로 방향 설정된 스프레더 바(20, 21)들의 간격에 의해, 난형 또는 원형의 플랩 횡단면의 수평 축(17a, 18b) 길이가 직접 조정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플랩(12') 재킷(13')의 일정한 둘레로 인해, 난형 또는 원형의 플랩(12') 횡단면의 수직 축의 길이도 간접적으로 조정된다. 다시 말해서 수평 축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플랩의 난형 횡단면의 수직 축은 작아진다.
그 외에 도 3의 그림 A 내지 C에서는 각각 에어 덕트(11) 내부에 있는 플랩(12') 횡단면의 개략적인 단면도와 스프레딩 링키지(19)의 개별 상태가 서로 비교된다. 그림 A는 최대 개방 위치에 있는 플랩(12')을 보여주는데, 즉 에어 덕트(11)의 최대 횡단면이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레딩 링키지(19) 상태에서, 스프레더 바(20, 21)들의 간격은 가능한 최소 간격이다. 수평 축은 서 있는 타원형의 부축(18b)에 상응한다. 그림 B는 중간 위치에 있는 플랩(12')을 보여주는데, 즉 도 3의 그림 A에 따른 최대 개방 위치에 있는 횡단면보다 작은 에어 덕트(11)의 횡단면이 개방되어 있다. 이 경우 수평 축(17c)은 난형 횡단면의 주축(17c)이긴 하지만, 이러한 주축은 도 3의 그림 C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 있는 플랩(12')의 주축(17a)보다 작다. 바로 앞서 언급한 플랩(12') 상태에서, 스프레더 바(20, 21)들 상호 간격은 스프레딩 링키지(19) 내에서 최대 가능한 간격이다.
도 4 A는 플랩(12') 내부에 배치된 변형 장치의 실시 형태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이때 상기 변형 장치는 스프레딩 링키지(19)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레딩 링키지(19)는 2개의 평행한 스프레더 바(20, 21) 및 2개의 브래킷(22, 23)을 포함한다. 상기 2개의 브래킷(22, 23) 모두 각각 한 단부에서는 각 하나의 외부 조인트(24, 25)를 통해 상기 스프레더 바들 중 하나의 스프레더 바(20, 21)와 그리고 마주 놓인 단부에서는 중앙 조인트(26)를 통해 각기 다른 브래킷(23, 22)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26)에 의해서는 2개의 브래킷(22, 23)의 상호 정렬이 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레딩 링키지(19)의 조정 메커니즘의 구동 방향(27)은 스프레더 바(20, 21)들에 평행하게 뻗는다. 스프레더 바(20, 21)들에 평행하게 뻗는 방사 방향에서 조인트 축과 관련한 중앙 조인트(26) 영역에서는 브래킷(22, 23)들에 인장 또는 압력이 가해지므로, 상기 브래킷(22, 23)들 상호 간의 정렬도 변경될 수 있고, 이때 상기와 같은 브래킷 정렬은 운동 방향(28)으로 평행한 스프레더 바(20, 21)들의 가변적인 간격도 결정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 기억 합금을 갖는 구동 장치의 사용을 위해 사전 결정되며, 이 스프레딩 스프링(29)은 외부 스프레더 바(20, 21)를 서로 분리되게 이동시킬 수 있고, 그리고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30)는 상기 스프레더 바(20, 21)들을 이동 방향(28)으로 서로 겹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스프레딩 스프링(29)과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30)의 결합 배치 형태에 의한 실시 변형예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페일 세이프 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오프셋 형태로 배치된 밀봉면(15', 16')들을 갖는 에어 덕트(11) 내부에 있는 본 발명에 따라 변형 가능한 플랩(12)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밀봉면(15', 16')들은 에어 덕트(11)의 내벽에 오프셋 형태로 배치된, 즉 엇갈리게 마주 놓인 돌출부(31, 32)들에 위치한다.
플랩(12)의 폐쇄 상태에서 개구(14)의 밀폐는 - 도 5의 도시에 따라 에어 덕트(11)의 수직 정렬 상태에서 - 한 편으로 기본적으로 상부로 향하는, 플랩(12)의 측면 가장자리 영역에서는 기본적으로 하부로 향하는 돌출부(31)의 밀봉면(15')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기본적으로 하부로 향하는 플랩(12) 측면의 엇갈리게 마주 놓인 가장자리 영역에서는 기본적으로 상부로 향하는 돌출부(32)의 밀봉면(16')에 의해 이루어진다.
1: 에어 덕트 어셈블리 (선행 기술)
2: 에어 덕트 (선행 기술)
3: 회전 가능한 플랩 (선행 기술)
4: 폐쇄 가능한 개구 (선행 기술)
5: 밀봉면 (선행 기술)
6: 밀봉면 (선행 기술)
7: 회전축 (선행 기술)
8: 플랩의 경질 구성 요소, 리프 (선행 기술)
9: 플랩의 연질 구성 요소, 밀봉립 (선행 기술)
10: 에어 덕트 어셈블리
11: 에어 덕트
12: 형상 기억 재료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
12':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
13: 변형 가능한 플랩(12)의 재킷
13': 변형 가능한 플랩(12')의 재킷
14: 폐쇄 가능한 개구
15: 밀봉면(마주 놓인 형태)
15': 밀봉면(오프셋 형태)
16: 밀봉면(마주 놓인 형태)
16': 밀봉면(오프셋 형태)
17a: 폐쇄 위치에서 주축
17b: 최대 개방 위치에서 주축
17c: 중간 위치에서 주축
18a: 폐쇄 위치에서 부축
18b: 최대 개방 위치에서 부축
18c: 중간 위치에서 부축
19: 스프레딩 링키지
20: 스프레더 바
21: 스프레더 바
22: 브래킷
23: 브래킷
24: 외부 조인트
25: 외부 조인트
26: 중앙 조인트
27: 구동 방향
28: 스프레더 바의 운동 방향
29: 스프레딩 스프링
30: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
31: 돌출부
32: 돌출부
2: 에어 덕트 (선행 기술)
3: 회전 가능한 플랩 (선행 기술)
4: 폐쇄 가능한 개구 (선행 기술)
5: 밀봉면 (선행 기술)
6: 밀봉면 (선행 기술)
7: 회전축 (선행 기술)
8: 플랩의 경질 구성 요소, 리프 (선행 기술)
9: 플랩의 연질 구성 요소, 밀봉립 (선행 기술)
10: 에어 덕트 어셈블리
11: 에어 덕트
12: 형상 기억 재료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
12':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
13: 변형 가능한 플랩(12)의 재킷
13': 변형 가능한 플랩(12')의 재킷
14: 폐쇄 가능한 개구
15: 밀봉면(마주 놓인 형태)
15': 밀봉면(오프셋 형태)
16: 밀봉면(마주 놓인 형태)
16': 밀봉면(오프셋 형태)
17a: 폐쇄 위치에서 주축
17b: 최대 개방 위치에서 주축
17c: 중간 위치에서 주축
18a: 폐쇄 위치에서 부축
18b: 최대 개방 위치에서 부축
18c: 중간 위치에서 부축
19: 스프레딩 링키지
20: 스프레더 바
21: 스프레더 바
22: 브래킷
23: 브래킷
24: 외부 조인트
25: 외부 조인트
26: 중앙 조인트
27: 구동 방향
28: 스프레더 바의 운동 방향
29: 스프레딩 스프링
30: 형상 기억 합금 와이어
31: 돌출부
32: 돌출부
Claims (9)
- 플랩(12, 12')의 횡단면이 원 형태뿐만 아니라, 주축(main axis)과 부축(secondary axis)의 상이한 방향 설정 및 연장부를 갖는 다수의 상이한 난형 형태(oval shape)도 취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랩(12, 12')이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에어 덕트 내에 또는 상기 에어 덕트에 형성된 개구(14)가 상기 플랩(12, 12')에 의해 선택적으로 완전히 폐쇄되거나 상이한 크기로 개방될 수 있는, 난방 및 공기 조화 시스템(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용 에어 덕트(11)를 개폐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플랩(deformable flap)(12, 1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12, 1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상 기억 합금(shape memory alloy)으로 이루어져 있고 형상 기억 효과(shape memory effect)에 의해 플랩(12, 12') 횡단면의 다수의 형태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12, 12').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기억 합금이 니켈 티타늄 합금(nickel-titanium allo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12, 1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12, 1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상기 플랩(12, 12')이 탄성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때 상기 플랩(12, 12')은 기계적 변형 장치를 포함하며, 이러한 변형 장치에 의해 상기 플랩(12, 12')의 횡단면이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12, 12').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변형 장치가 스프레딩 링키지(spreading linkage)(19)이고, 이러한 스프레딩 링키지가 상기 플랩의 탄성 재료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딩 링키지(19)가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스프레더 바(spreader bar)(20, 21) 및 이러한 2개의 스프레더 바(20, 21)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브래킷(22, 23)들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들에 의해 2개의 스프레더 바(20, 21)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탄성 플랩(12')의 횡단면과 탄성 재료가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재료가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가능한 플랩(12, 12').
- 플랩(12, 12')이 마주 놓이거나 오프셋 형태로 배치된, 에어 덕트(11)의 밀봉면(15, 16; 15', 16')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플랩(12, 12')의 완전 폐쇄 위치에서 플랩(12, 12')의 난형 횡단면의 주축은 자체 길이가 적어도 대체로 에어 덕트(11)의 횡단면에 걸쳐서 연장됨으로써, 플랩(12, 12')이 상기 마주 놓이거나 오프셋 형태로 배치된, 에어 덕트(11)의 밀봉면(15, 16; 15', 16')들에 접하고 에어 덕트(11)의 횡단면을 완전히 폐쇄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변형 가능한 플랩(12, 12')을 포함하는, 난방 및 공기 조화 시스템용 에어 덕트 어셈블리(1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가능한 플랩(12, 12')의 최대 개방 위치에서, 상기 플랩(12, 12')의 난형 횡단면의 주축이 자체 길이에 의해 폐쇄 위치에서의 플랩(12, 12') 주축에 수직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에어 덕트(11)의 최대 횡단면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덕트 어셈블리(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5116329 | 2015-09-28 | ||
DE102015116329.2 | 2015-09-28 | ||
DE102016118076.9 | 2016-09-26 | ||
DE102016118076.9A DE102016118076A1 (de) | 2015-09-28 | 2016-09-26 | Verformbare Klappe zum Schließen und Öffnen eines Luftführungskanals und eine Luftführungsanordnu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7847A true KR20170037847A (ko) | 2017-04-05 |
Family
ID=5828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3925A KR20170037847A (ko) | 2015-09-28 | 2016-09-27 | 에어 덕트를 개폐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플랩 및 에어 덕트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37847A (ko) |
DE (1) | DE10201611807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9119740B4 (de) * | 2019-07-22 | 2021-06-02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Luftströmungseinrichtung zur Belüftung eines Kraftfahrzeugs |
DE102019122367A1 (de) * | 2019-08-20 | 2021-02-25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 Belüf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
DE202019106373U1 (de) | 2019-11-15 | 2019-11-21 | Mahle International Gmbh | Beduftungsvorrichtung für ein Klimagerät eines Straßenkraftfahrzeuges oder für ein HVAC-Klimagerät eines Straßenkraftfahrzeuges |
DE102022116501B4 (de) | 2022-07-01 | 2024-05-02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Verschlussvorrichtung und Luftströmeinrichtung |
-
2016
- 2016-09-26 DE DE102016118076.9A patent/DE102016118076A1/de active Granted
- 2016-09-27 KR KR1020160123925A patent/KR2017003784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16118076A1 (de) | 2017-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37847A (ko) | 에어 덕트를 개폐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플랩 및 에어 덕트 어셈블리 | |
US8973607B2 (en) | Failsafe air valve arrangement | |
US10710428B2 (en) | Rotary shaft assembly with nested shaft | |
EP2578422A1 (en) |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 |
US20100150544A1 (en) | Iris damper | |
CH704124A1 (de) | Rotierende maschine, insbesondere gasturbine. | |
JP5840790B2 (ja) | 航空機のキャビンの内部圧力を制御するためのバルブ | |
DE102009009912B4 (de) | Innen-/Außenluftumschaltvorrichtung eines Fahrzeugklimatisierungssystems | |
JP6764258B2 (ja) | ダンパ装置 | |
RU2497693C2 (ru) |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редством перекрывания воздуха для системы обогрева, вентиляции и/или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кабин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KR101766548B1 (ko) | 플랩 | |
DE112012002920T5 (de) | Fahrzeug-Klimaanlage | |
JP7110815B2 (ja) | 空調用レジスタ及び車両用空調装置 | |
JP6359958B2 (ja) | ねじれ抑制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 |
DE102014003753A1 (de) | Lüftungsvorrichtung | |
DE102014101794B4 (de) | Vorrichtung zur Expansion von Kältemittel | |
US10794502B2 (en) | Check valves | |
EP3784531B1 (en) | Blade linkage structure for bumper grille | |
CN106979345B (zh) | 阀 | |
JP2005180747A (ja) | 楕円型チャッキダンパ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設備用チャンバ | |
JP6150756B2 (ja) | ダンパの開閉機構および空気調和機器 | |
CN111976425A (zh) | 一种汽车空调出风调节装置及空调 | |
JP6294149B2 (ja) | 空気吹出装置 | |
EP3317132B1 (en) | Module for heating, ventilation and/or air conditioning of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 |
JP2019094928A (ja) | 弁装置及び蒸気タービ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