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802A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실내외 응급호출 구현 방안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실내외 응급호출 구현 방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802A
KR20170037802A KR1020150137192A KR20150137192A KR20170037802A KR 20170037802 A KR20170037802 A KR 20170037802A KR 1020150137192 A KR1020150137192 A KR 1020150137192A KR 20150137192 A KR20150137192 A KR 20150137192A KR 20170037802 A KR20170037802 A KR 20170037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area
positioning
receiver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군돈
Original Assignee
최군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군돈 filed Critical 최군돈
Priority to KR1020150137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7802A/ko
Publication of KR20170037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8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absence of reply signal after an elapsed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응급호출시 피구호자의 위치가 실내일 경우와 실외일 경우, 각각 최적의 측위방법으로 측위된 위치정보를 구호자에게 전송하는 통신단말장치와 이러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실내측위 혹은 실외측위만 수행하여 피구호차의 위치에 따라서 오차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피구호자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의 위치정보를 선택하여 피구호자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구호의 성공 가능성을 높였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실내외 응급호출 구현 방안{ METHOD FOR EMERGENCY CALL USING WEARABLE DEVICE IN BOTH IN-BUILDING AND OUTDOOR ENVIRONMENT }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응급호출시 피구호자의 위치가 실내일 경우와 실외일 경우, 각각 최적의 측위방법으로 측위된 위치정보를 구호자에게 전송하는 통신단말장치와 이러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폰에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ZigBee, UWB(Ultra Wide Band)로 연동하는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응급호출 제품이 많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때의 응급호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 혹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된 스마트폰에 내장된 GPS 칩을 활용한 위치정보를 구호자에게 전송한다. 그러나 이 종래의 기술은 실외에서는 높은 정확도의 위치정보를 유지하나 실내에서는 GPS 측위 성능의 심각한 오차로 인하여 피구호자의 위치파악이 부정확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르면, 측위 정확도를 향상하기 위하여 실내에서는 위치정확도가 GPS보다 정확한 기 설치한 AP(Access point)기반의 측위값을 활용하고, 실외에서는 GPS기반의 측위값을 활용하게 하였다. 또한 이를 사용자의 별도 인지없이 실내외 측위중 최적의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선택하게 하여 편의성을 높였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피구호자가 응급호출신호를 송신하는 1 단계와, 장치에서 상기 응급호출 수신시, 피구호자의 위치에 따라서 AP 측위를 수행하거나, GPS 측위를 수행하거나 혹은 AP,GPS 측위를 모두 수행한 후 최적의 값을 선택하는 2 단계와, 전체 응급호출을 완료하는 3단계를 포함한 통신 장치와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피구호자의 응급호출 요청장소가 AP 측위영역인지 GPS 측위영역인지 판단하는 1 단계와, 상기 영역에 따른 최적 방법으로 측위를 수행하는 2 단계와,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전체적인 응급호출을 완료하는 3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와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피구호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응급호출 요청시 피구호자의 위치에 따라 AP 측위를 수행하거나, GPS 측위를 수행하거나 혹은 AP,GPS 측위를 모두 수행한 후 최적의 위치정보를 선택하여 구호자에게 전송한다. 이는 피구호자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측정함으로써 구호의 성공 가능성을 높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 혹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된 스마트폰은, 피구호자가 위치한 장소가 AP 측위 영역인지 GPS 측위 영역인지를 먼저 파악하여 해당 영역에 맞는 모드로 전환을 수행한다. 이후 응급호출이 발생하면 각 모드별로 알맞는 응급절차를수행한다. 또한 모드별로 시스템 파라메터를 다르게 설정하거나, 구호자 연락처를 다르게 설정하거나, 스마트폰 동작을 다르게 설정하는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폰의 응급호출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호출 기능을 가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응급호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AP에서 시스템 방송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하기 위한 무선프레임 구성도이다.
도5는 스마트폰이 AP의 시스템 방송 신호를 받아서 AP영역인지 GPS영역인지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폰의 응급호출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구호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응급호출 버튼을 눌러서 구호요청을 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된 스마트폰(110)은 GPS 측위(120)를 수행하여 피구호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 위치정보를 응급호출관리서버(140)로 보내어 서버가 구호자에게 SMS, 패킷데이타 등으로 전송하여 구호요청을 수행한다. 그러나 피구호자가 실내(100)에 있다면 GPS 신호가 미약하여 최대 수km까지 측위오차가 발생하여 구호가 어렵다. 따라서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 응급호출 주대상 지역인 학교, 학원등에 AP(130)를 선구축한뒤, GPS 측위가 아닌 호출신호를 수신한 AP 위치를 응급호출관리서버(140)를 통하여 구호자에게 전송하면 상당한 정확도로 위치를 파악하여 구호를 진행할 수 있다. 왜냐하면 AP의 커버리지는 20~30m이기 때문에 그정도의 정확도로 위치를 파악할 수있다. 실내외응급호출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스마트폰(110), AP(130), 응급호출관리서버(140)이며 경우에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폰은 모뎀이 내장된 일체형이 될 수도 있다. 또한 피구호자가 응급호출버튼을 누르는 이벤트 대신 충격 감지등에 의하여 자동으로 구호요청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호출 기능을 가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서는, 도 1에 기재된 도면부호100을 대표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도면을 기재하였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통신부(200), 사용자입력부(210), 제어부(250), 인터페이스부(240), 출력부(220), 메모리부(230)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구성요소 중에서 메모리부(230) 및 제어부(250)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비교할 때에 여타의 구성요소들보다 기능적인 차이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중에서, 메모리부(230)에는 운용체제 프로그램(231), 실내외 응급호출 프로그램(232) 등이 저장된다. 이에, 제어부(250)는 운영체제 프로그램(231)을 실행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부팅할 수 있으며, 실내외 응급호출 프로그램(232)을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응급호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부(2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실내외 응급호출 프로그램(232)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메모리부(230)에 미리 저장된 상태로 출시 및 유통될 수도 있지만, 어플(App) 등으로 호칭되는 스마트폰의 각종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같이 추후 통신부(200)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250)는 응급버튼 및 자이로 제어부(251), 호출제어부(252), 진동제어(253)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부(250)는 통신부(200), 사용자입력부(210), 출력부(220), 메모리부(230) 등을 각각 제어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250)를 구성하는 응급버튼 및 충격처리부((25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응급버튼이 눌러졌는지 혹은 특정 크기 혹은 특정 형태의 충격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 또, 호출제어부(252)는 응급호출이 발생했을 때 피구호자의 위치에 따른 측위영역 구분, 그 영역에 따른 최적의 응급호출관련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측위 영역 구분없이 바로 호출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진동제어부(253)는 호출제어부(251)에 의한 응급호출이 발생했을 때 응급호출절차가 수행되고 응급관리서버(140)의 응답신호를 받은 뒤, 피구호자에게 응급요청 완료를 알리기 위해서 진동을 제어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수신장치가 없을 경우 서버로부터 응답신호를 받을 수 없으므로 호출버튼이 일정시간 눌려지면 진동을 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21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응급호출을 기동하기 위하여 버튼 입력을 누르거나 혹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발생한 충격 발생여부를 전달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버튼,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을, 충격감지관련 구성은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계 센서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220)는 응급이벤트에 대한 피드백으로 피구호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인터페이스부(24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외부기기의 예로는,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이어폰 등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응급호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응급호출 방법은 아래와 같다. 첫째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측면에서 살펴보면, 일반적인 상황에서 주기적으로 비콘신호를 발신한다(S320). 이 비콘 신호는 AP를 통하여 관리서버에서 피구호자의 위치추적에 활용된다(S330). 그러나 피구호자 위치추적은 필수 사항이 아니라 선택사항으로 한다. 간혹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으로부터 파라메터변경 명령어를 수신한다(S321). 파라메터를 변경하는(S322) 목적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실내에 있을 때는 관리서버에서 원하는 비콘 주기를 설정 하고, 실외에 있을 때는 비콘 송신을 중단하여 전력소모를 줄이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파라메터 설정과 관련된 절차(S321,S32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수신장치가 없으면 생략해야하므로 이또한 선택사항이다. 실제의 응급호출은 피구호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응급버튼을 누르거나 큰 충격이 감지되면 발생한다(S323). 응급 이벤트가 발생시 피구호자 정보, 응급이벤트 종류, 응급호출 구분자를 포함한 송신 메시지가 발생한다(S324). 송신 메시지는 스마트폰이나 AP에 동시에 전달되나,피구호자가 AP 영역내에 있으면 스마트폰이 아닌 AP가 AP측위를 통한 응급호출 메시지를 처리하고(S333), 피구호자가 GPS영역에 있을 때는 스마트폰이 GPS 측위를 통한 응급호출절차를 수행한다(S317).이에 관한 절차는 스마트폰 측면과 AP 측명의 흐름도에서 다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서버에서 응급요청에 대한 응답신호를 받으면 진동을 울려서 응급호출 신호가 서버로 무사히 전달되었음을 알린다(S325).
둘째로 스마트폰 측면에서 보면, 스마트폰은 현재의 위치가 AP영역인지 GPS영역인지 확인한다(S310). 확인후 만약 스마트폰이 AP영역내에 있으면 AP에서 송신되는 스마트폰 사용 시간제한 스케듈링 정보에 따라서 스마트폰을 특정시간대(예를들어 수업시간)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하였다가(S311,S312) GPS 영역으로 복귀(예를들어 학교를 벗어났을 때)시 이 기능을 중단할 수 있다(S314). 이는 학교내 등교시 스마트폰 강제사용제한과 관련된 위치기반,실시간 스마트폰 사용시간제한 부가기능으로 S311,S12,S314 절차는 선택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은 AP로 부터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파라메터 변경정보를 받아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기능을 하고(S313) GPS영역으로 이동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메시지를 보내서 AP 영역내에서 설정한 파라메터를 GPS 파라메터 설정으로 원상복구한다(S315). 피구호자가 AP영역내에 있으면 응급호출절차가 AP에서 이루어지므로 스마트폰은 별도의 응급호출기능을 하지 않으며 GPS 영역으로 이동했을때 응급호출을 받으면(S316) GPS 측위를 통한 응급호처리 절차를 수행한다. 따라서 만일 피구호자가 스마트폰을 소지하지 않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만을 소지할 경우 응급호출이 발생하면 AP 영역의 측위에 의한 응급호출은 여전히 수행됨을 알 수 있다(S333).
마지막으로 AP 측면에서 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주기적으로 보내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피구호자의 위치를 추적한다(S330). 또한 AP는 스마트폰에 AP 영역을 알리기 위해서 시스템 방송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S331). 이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도 4, 도 5에서 설명할 것이다. AP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부터 응급호출 정보를 수신하면(S332) AP 위치정보를 관리서버에 송신하여 응급호출 절차를 수행한다(S333). 이 정보는 최종적으로 SMS나 패킷데이타로 구호자에게 전달되어 구호를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블루투스 AP에서 시스템정보를 AP내의 모든 단말장치에게 방송하기 위한 무선프레임 구성도이다. 블루투스는 두 장치간 1:1 연결을 설정하는 무선표준이다. 따라서 이동통신망의 시스템 오버헤더 채널처럼 AP 영역내의 전체 단말에 시스템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방송하는 기능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AP영역에 진입한 스마트폰은 AP 영역인지 GPS 영역인지를 판단하는 등 AP 구분자, 송신정보 세기 등 AP 시스템에 대한 정보 및 단말에 제공되는 여러 실시간 제어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단말장치와 단말장치간(센트럴-페리페럴) 1:1 연결설정을 위하여 주위의 장치에 고정적인 탐색정보(Discovery)를 보내는 블루투스의 브로드캐스트를 활용하여 AP와 스마트폰간 필요한 시스템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안한다.
블루투스에서 수신모드(예를들어 블루투스의 옵저버모드)는 무작위로 발생하는 발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항상 대기해야 되므로 전력소모가 많은 반면 발신모드는 주기적으로 필요할 때만 정보를 보내면 되므로 전력소모가 적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발신모드(예를들어 비콘)로 동작하고 전력공급이 용이한 AP는 수신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발명의 AP도 주로 수신모드에서 동작하지만 시스템 정보를 보내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발신모드로 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AP의 상위 호스트에서 물리계층을 주기적으로 두 모드간 전환하거나 두개의 무선칩을 사용해서 칩별로 수신모드, 발신모드를 멀티플렉스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4의 AP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비콘 신호를 받기 위하여 거의 대부분 수신모드에 있다(400). 그러나 스마트폰으로 AP 영역의 시스템정보를 주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발신모드로 전환하여 시스템정보를 방송한다(410). 송신정보는 AP 구분자, 송신전력세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변경 파라메터, 스마트폰 사용불가 스케듈링 정보등이 포함된다. 스마트폰이 이 발신신호를 도5에 흐름도에 따라 측정하여(420) AP 모드인지 판단한다. AP 모드로 진입이 판단되면 이에 따른 적절한 동작을 수행한다(430).
도 5는 스마트폰이 AP 브로트캐스트 신호를 수신하여 AP영역 진입여부를 확인하는 흐름도이다. 스마트폰은 AP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전송되는지를 확인한다(S500). 만약 브로드캐스드 정보가 전송되면 전송주기를 판단한다(S501). 스마트폰은 주기에 따른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수회 수합하여 세기를 측정한다(S502). 측정한 신호 세기가 Sadd이상, 지속시간이 Tadd 이상이면 AP 모드로 진입하였다고 판단한다(S504). AP 모드에 있는 동안에도 신호세기를 측정하여(S505) Sdrop이하로, 지속시간이 Tdrop 이상이면(S506) AP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한다(S507).
만약 도4,도5에서 제안한 기능이 구현되지 않았으면 스마트폰은 AP영역인지 GPS영역인지 알 수 없으므로 영역구분없이 항상 응급호출절차를 수행한다. 따라서 응급호출신호가 발생하면 스마트폰과 AP가 동시에 응급호출호처리를 수행하므로 동일 이벤트일 경우 서버에서 AP 우선으로 위치정보를 정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 스마트폰
120 : GPS 130 : AP
140 : 응급호출관리서버 200 : 통신부
210 : 사용자입력부 211 : 응급버튼
212 : 충격센서 220 : 출력부
230 : 메모리부 231 : OS S/W
232 : 제어 S/W 240 : 인터페이스부
250 : 제어부 400 : 수신모드
410 : 발신모드 420,430 : 스마트폰
440 : Hysterersis 곡선

Claims (10)

  1. 피구호자가 응급호출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장치에서 상기 응급호출 수신시, 피구호자의 위치에 따라서 AP 측위를 수행하거나, GPS 측위를 수행하거나 혹은 AP,GPS 측위를 모두 수행한 후 최적의 값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한 응급호출정보를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구호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 실내외 응급호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2. 피구호자의 응급호출 요청장소가 AP 측위영역인지 GPS 측위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에 따른 최적 방법으로 측위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한 응급호출정보를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구호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 실내외 응급호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3. 제 2항에 있어서, 블루투스, ZigBee AP내에 진입한 모든 단말장치에 공통의 시스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와 해당 프레임을 AP에서 멀티플렉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4. 제 3항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가 AP 영역 혹은 GPS 영역임을 구분하는 판별식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5. 제 4항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가 AP 영역 진입시 AP에서 제공되는 스케쥴링정보에 따라 사용시간제한 부가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6. 피구호자가 응급호출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장치에서 상기 응급호출 수신시, 피구호자의 위치에 따라서 AP 측위를 수행하거나, GPS 측위를 수행하거나 혹은 AP,GPS 측위를 모두 수행한 후 최적의 값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한 응급호출정보를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구호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7. 피구호자의 응급호출 요청장소가 AP 측위영역인지 GPS 측위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에 따른 최적 방법으로 측위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한 응급호출정보를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구호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블루투스, ZigBee AP내에 진입한 모든 단말장치에 공통의 시스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브로트캐스트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와 해당 프레임을 AP에 멀티플렉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가 AP 영역 혹은 GPS 영역임을 구분하는 판별식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가 AP 영역 진입시 AP에서 제공되는 스케쥴링정보에 따라 사용시간제한 부가기능을 포함하는 통신장치
KR1020150137192A 2015-09-27 2015-09-27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실내외 응급호출 구현 방안 KR201700378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192A KR20170037802A (ko) 2015-09-27 2015-09-27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실내외 응급호출 구현 방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192A KR20170037802A (ko) 2015-09-27 2015-09-27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실내외 응급호출 구현 방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802A true KR20170037802A (ko) 2017-04-05

Family

ID=5858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192A KR20170037802A (ko) 2015-09-27 2015-09-27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실내외 응급호출 구현 방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78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906A (ko) * 2019-05-29 2020-12-09 주식회사 애피디아 현장인력의 안전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US20210400439A1 (en) * 2020-06-19 2021-12-23 Legic Identsystems Ag Electronic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906A (ko) * 2019-05-29 2020-12-09 주식회사 애피디아 현장인력의 안전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US20210400439A1 (en) * 2020-06-19 2021-12-23 Legic Identsystems Ag Electronic Device
US11902856B2 (en) * 2020-06-19 2024-02-13 Legic Identsystems Ag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6231B1 (en) Selectively using beacon radio node location to determine user equipment location based on sensed movement of the beacon radio node
TWI442081B (zh) 多裝置間轉移工作的方法及手持通訊裝置
CA3008465C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vice pairing for improved safety and security of first responders entering incident scene area
CN111670603B (zh) 监听信道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A3008259C (en) Method and device for pairing between a scanning wireless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target wireless electronic devices
KR20160020825A (ko) 전자 장치 및 그 측위 방법
US108059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riving location
TWI606742B (zh) 互動式通訊系統、方法及其穿戴式裝置
KR101560200B1 (ko) 크라우드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관제 시스템
WO2017028165A1 (zh) 一种通信方法、装置、终端及基站
US20230134028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OSITIONING BETWEEN UE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80057679A (ko) 포지셔닝 모드 간 전환 발생
GB2581290A (en) Track information system
KR20150130768A (ko) 실내 측위 방법 및 시스템
KR102154688B1 (ko) 비콘의 배치 패턴을 이용한 환자 위치 정보 산출 시스템 및 방법
CN110503800A (zh) 一种智能可穿戴设备的防丢失方法、装置
JP5496376B1 (ja) 端末、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CA3185289A1 (en) Secure pairing of devices
KR20170037802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실내외 응급호출 구현 방안
KR101334656B1 (ko) 스마트 폴을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CN112163061A (zh) 用户定位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102082711B1 (ko) 위치 추적 방법 및 위치 추적 시스템
CN113141576B (zh) 一种数据传输方法、用户设备及网络侧设备
US20180356514A1 (en) Mobile beacon for locating building occupants
TWI471042B (zh) Wireless telephone search device and its search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