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189A - 파형 핀 - Google Patents

파형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189A
KR20170037189A KR1020150136417A KR20150136417A KR20170037189A KR 20170037189 A KR20170037189 A KR 20170037189A KR 1020150136417 A KR1020150136417 A KR 1020150136417A KR 20150136417 A KR20150136417 A KR 20150136417A KR 20170037189 A KR20170037189 A KR 20170037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bent
bent portion
bending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2605B1 (ko
Inventor
이상준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6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60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7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22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with coolers in the recirculation passage
    • F02M26/29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olers, e.g. pipes, plates, ribs, insulation o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03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6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linear, e.g.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4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ngine or machine cool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91Radiators
    • F28D2021/0094Radiators for recooling the engine coo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파형 핀(100)은 폭방향으로 제1평면부(110)와, 상기 제1평면부(110)의 일측 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절곡부(120)와, 상기 제1절곡부(120)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평면부(110)와 평행하게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평면부(130)와, 상기 제2평면부(130)의 일측 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절곡부(140)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유체가 통과되는 복수의 통로(P)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산과 골이 교번되어 파형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1절곡부(120) 및 제2절곡부(140)에 통로(P)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파형 핀(100)은 제1절곡부(120) 및 제2절곡부(140)에 돌출부(150)가 형성되어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난류화하여 열교환 성능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파형 핀{WAVY FIN}
본 발명은 파형 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난류화하여 열교환 성능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파형 핀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온도차가 있는 두 환경 사이에서 한쪽의 열을 흡수하여 다른 쪽으로 열을 방출시키는 장치로서, 실내의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경우에는 냉방 시스템으로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방출할 경우에는 난방 시스템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이 외에도, 상기 열교환기는 차량용 배기가스 재순환용 쿨러(EXHAUST GAS RECIRCULATION COOLER)를 비롯하여, 오일쿨러, 보일러 등과 같은 다양한 열교환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는 다양한 종류 및 상태의 열교환매체 간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용 쿨러는 외기가 유입되는 라인과,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라인을 연결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다시 엔진으로 공급함으로써 배기가스 내부에 포함된 NOx(질소산화물)과 같은 유해 미립자를 저감하고 연료의 소비량을 감소한다.
이러한 배기가스 재순환용 쿨러는 열교환하기 위한 유체가 통과하는 소정의 열교환케이스를 가지고, 상기 열교환케이스 내에는 유체의 난류화를 유도함으로써 유체의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핀 구조체가 설치된다.
상기 핀 구조체는 주름 구조, 평판 구조, 파형 구조 등과 같이 그 형태가 다양하고, 유체의 난류화를 촉진하여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최근에는 판형 핀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파형 핀은 그 폭방향으로 복수의 산과 복수의 골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구조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즉, 유체의 흐름방향을 따라 복수의 산과 복수의 골이 파형 구조로 구성되며, 이에 파형 핀 내에는 복수의 통로가 구획되어 형성된다.
이에, 파형 핀의 통로를 통과하는 유체는 그 파형진 구조를 통해 파형방향으로 흘러감에 따라 유체의 난류화 및 교반을 유도한다. 하지만, 열교환케이스는 그 내부 체적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일반적인 파형 핀에 의해서는 유체의 난류화를 증대시키는 여러 한계가 있었다.
특히, 종래의 파형 핀은 그 표면이 매끈하게 구성됨에 따라 각 통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난류 운동에너지가 실질적으로 증대되지 않고, 유체가 흐르는 도중에 운동에너지의 손실 등이 발생하여 실질적으로 유체의 열교환효율이 높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1-0003953호(발명의 명칭 : 엔진의 EGR밸브 제어구조 및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난류화하여 열교환 성능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파형 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질 및 질소산화물 등이 축적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열교환 성능을 높일 수 있어 배기가스 재순환용 쿨러로 이용가능한 파형 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파형 핀은 폭방향으로 제1평면부와, 상기 제1평면부의 일측 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평면부와 평행하게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평면부와, 상기 제2평면부의 일측 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절곡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유체가 통과되는 복수의 통로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산과 골이 교번되어 파형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에 통로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파형 핀은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난류화하여 열교환 성능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돌출부는 유체 흐름방향으로 나란한 판형으로, 본 발명의 파형 핀은 이물질 및 질소산화물 등이 축적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열교환 성능을 높일 수 있어 배기가스 재순환용 쿨러로 이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산과 골 형성 영역에 구비되어 제조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파형 핀은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에 각각 동일한 통로 측으로 돌출되어 마주하게 돌출부가 형성되며, 이 때, 상기 파형 핀은 마주하는 돌출부가 높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파형 핀은 높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파형 핀은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난류화하여 열교환 성능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파형 핀은 이물질 및 질소산화물 등이 축적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열교환 성능을 높일 수 있어 배기가스 재순환용 쿨러로 이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 핀의 사시도, 단면도, 및 상측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핀의 다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핀의 또 다른 평면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파형 핀(10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 핀(100)의 사시도, 단면도, 및 상측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핀(100)의 다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 핀(100)의 또 다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파형 핀(100)은 폭방향으로 제1평면부(110), 제1절곡부(120), 제2평면부(130) 및 제2절곡부(140)가 반복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산과 골이 교번되어 파형지게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파형 핀(100)의 길이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을 표시하였다.
상기 제1평면부(110)는 폭방향으로 평면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절곡부(120)는 상기 제1평면부(110)의 일측 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제1절곡부(120)는 상기 제1평면부(110)에 수직하게 절곡된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각도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평면부(130)는 상기 제1절곡부(120)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평면부(110)와 평행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절곡부(140)는 상기 제2평면부(130)의 일측 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으로,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제1절곡부(120)와 나란하게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으며, 상기 제1절곡부(120)와 마찬가지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절곡부(120)와의 이격 거리가 점진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파형 핀(100)은 폭방향으로 상기 제1평면부(110), 제1절곡부(120), 제2평면부(130) 및 제2절곡부(140)가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파형 핀(100)은 상기 제1평면부(110), 제1절곡부(120), 제2평면부(130) 및 제2절곡부(14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산과 골이 교번되어 파형지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평면부(110), 제1절곡부(120), 제2평면부(130) 및 제2절곡부(140)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통로(P)가 길이방향으로 파형진 형태를 가지며, 열교환매체가 상기 복수의 통로(P)를 통과하면서 파형 핀(100)(제1평면부(110), 제1절곡부(120), 제2평면부(130) 및 제2절곡부(140))와 접촉하여 열교환한다.
본 발명의 파형 핀(100)은 상기 열교환매체가 공기일 수 있으며, 배기가스 재순환 쿨러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열교환매체가 배기가스이다.
본 발명의 파형 핀(100)은 상기 제1절곡부(120) 및 제2절곡부(140)에 통로(P)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50)는 상기 제1절곡부(120) 및 제2절곡부(140)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난류화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돌출부(150)는 열교환매체 흐름방향으로 나란한 판형으로,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평면부(110) 및 제2평면부(130)에 나란한 형태의 판형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150)는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 형태일 수 있고(본 발명에서 삼각 형태란 꼭짓점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뿐만 아니라, 꼭짓점 부분이 라운드진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 형태일 수 있으며,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태일 수 있으며, 도 4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파형 핀(100)은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난류화할 수 있으며, 열교환매체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상기 돌출부(150)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배기가스 재순환 쿨러에 이용되는 파형 핀(100)의 경우 열교환매체 내부에 질소산화물 및 이물질의 양이 많아 틈이나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구조물에 이들이 쌓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로(P) 자체를 막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파형 핀(100)은 돌출부(150)가 유체 흐름방향에 나란한 판형으로서,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난류화하여 열교환 성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 이물질 등의 축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로서, 배기가스 재순환 쿨러에도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150)는 길이방향으로 산과 골 형성 영역에 구비되어 제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돌출부(150)는 요구되는 열교환 성능에 따라, 높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형 핀(100)은 상기 돌출부(150)가 제1절곡부(120) 및 제2절곡부(140)에 각각 동일한 통로(P) 측으로 돌출되어 마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통로(P)는 제1절곡부(120) 및 제2절곡부(140)에 각각 돌출부(150)가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이웃하는 통로(P)는 돌출부(150)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돌출부(150)가 형성되지 않은 통로(P)는 파형 핀(100)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이 삽입되는 영역으로, 제조가 더욱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50)가 제1절곡부(120) 및 제2절곡부(140)에 각각 마주하게 형성되는 경우, 서로 형성되는 영역을 방해하지 않도록 마주하는 돌출부(150)가 높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한 파형 핀(100)은 제1절곡부(120)에 하나의 돌출부(150)가 형성되고, 제2절곡부(140)에 2개의 돌출부(150)가 형성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모두 높이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파형 핀(100)은 상기 돌출부(150)의 형성 위치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형 핀(100)은 제1절곡부(120) 및 제2절곡부(140)에 돌출부(150)가 형성되어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난류화하여 열교환 성능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면서도 열교환매체 내부의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파형 핀
110 : 제1평면부 120 : 제1절곡부
130 : 제2평면부 140 : 제2절곡부
P : 통로
150 : 돌출부

Claims (6)

  1. 폭방향으로 제1평면부(110)와, 상기 제1평면부(110)의 일측 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절곡부(120)와, 상기 제1절곡부(120)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평면부(110)와 평행하게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평면부(130)와, 상기 제2평면부(130)의 일측 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절곡부(140)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통과되는 복수의 통로(P)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산과 골이 교번되어 파형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1절곡부(120) 및 제2절곡부(140)에 통로(P)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50)는 열교환매체 흐름방향으로 나란한 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50)는 산과 골 형성 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핀(100)은 상기 돌출부(150)가 제1절곡부(120) 및 제2절곡부(140)에 각각 동일한 통로(P) 측으로 돌출되어 마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핀(100)은 마주하는 돌출부(150)가 높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핀(100)은 높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 핀.
KR1020150136417A 2015-09-25 2015-09-25 파형 핀 KR102392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417A KR102392605B1 (ko) 2015-09-25 2015-09-25 파형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417A KR102392605B1 (ko) 2015-09-25 2015-09-25 파형 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189A true KR20170037189A (ko) 2017-04-04
KR102392605B1 KR102392605B1 (ko) 2022-05-02

Family

ID=5858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417A KR102392605B1 (ko) 2015-09-25 2015-09-25 파형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6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9550B1 (en) * 2020-04-08 2021-06-15 Google Llc Heat sink with turbulent structur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705B1 (ko) 2022-12-29 2024-04-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열교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953A (ko) 2009-07-07 2011-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egr밸브 제어구조 및 방법
KR20150001456A (ko) * 2013-06-27 2015-01-06 한국델파이주식회사 딤플이 형성된 핀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JP2015078819A (ja) * 2013-10-18 2015-04-23 東京ラヂエーター製造株式会社 インナーフィ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953A (ko) 2009-07-07 2011-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egr밸브 제어구조 및 방법
KR20150001456A (ko) * 2013-06-27 2015-01-06 한국델파이주식회사 딤플이 형성된 핀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JP2015078819A (ja) * 2013-10-18 2015-04-23 東京ラヂエーター製造株式会社 インナーフィ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9550B1 (en) * 2020-04-08 2021-06-15 Google Llc Heat sink with turbulent structures
US11574850B2 (en) 2020-04-08 2023-02-07 Google Llc Heat sink with turbulent stru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605B1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072B1 (ko) 웨이브 핀
US10386132B2 (en) Heat exchanger
US9995539B2 (en) Corrugated fins for heat exchanger
WO2015162897A1 (ja) 排気熱交換器
KR20160114626A (ko) 열 교환 판 및 열 교환 판을 구비한 판형 열 교환기
KR20180113589A (ko) 열교환기의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순환 덕트, 및 열교환기
JP5945806B2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US10024604B2 (en) Stacked plate heat exchanger
JP2015206535A5 (ko)
US20180195424A1 (en) Inner Fin for Heat Exchanger
CN112368535B (zh) 热交换器
CN106662406A (zh) 热交换器
KR20170037189A (ko) 파형 핀
JP2015078819A (ja) インナーフィン
CN112384744B (zh) 热交换管、热交换管的制造方法和热交换器
JP2006266528A (ja) 熱交換器用偏平チューブ
US20130327512A1 (en) Heat exchanger
CN112146484B (zh) 板式换热器
CN208635626U (zh) 扁管及微通道换热器
KR102047390B1 (ko) 바디셀 보강돌부를 구비하는 이지알 쿨러
JPWO2019163973A1 (ja) 熱交換器のタンク構造
WO2019229180A1 (en) A core of a heat exchanger comprising corrugated fins
CN114370777B (zh) 印刷电路板换热器的换热通道结构及印刷电路板换热器
US20120125580A1 (en) Embossed plate external oil cooler
KR101529216B1 (ko) 폴리머 재질의 주표면형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