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167A -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아고멜라틴 공결정 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아고멜라틴 공결정 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167A
KR20170037167A KR1020150136370A KR20150136370A KR20170037167A KR 20170037167 A KR20170037167 A KR 20170037167A KR 1020150136370 A KR1020150136370 A KR 1020150136370A KR 20150136370 A KR20150136370 A KR 20150136370A KR 20170037167 A KR20170037167 A KR 20170037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omelatine
powder
hydroquinone
resorcinol
agomela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0411B1 (ko
Inventor
최광진
이민정
송건형
김민주
김바울
김문정
조민용
박순용
김원극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36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4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37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5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의 10% 이하가 100 마이크론 이하의 크기를 가지고 90% 이상이 500 마이크론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평균입자 (D50) 크기가 200~250 마이크론의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져 직타법으로 정제의 가공 성형이 가능하며, 대량 생산시 향상된 품질을 제공하고, 공정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 분체 및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 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아고멜라틴 공결정 분체의 제조방법{Method of preparing micron powder of agomelatine cocrystal with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본 발명은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아고멜라틴 공결정 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된 분체의 10 중량% 이하가 100 마이크론 이하의 크기를 가지고 90 중량% 이상이 500 마이크론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평균입자 (D50) 크기가 200~250 마이크론의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공결정 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고멜라틴은 MT1 및 MT2 멜라토닌의 수용체 작용제와 5-HT2C의 길항제로 동시에 작용하는 최초의 항우울제이다. 아고멜라틴은 이러한 양쪽 작용을 통해서 우울증 환자에게서 심각하게 손상된 생물학적 리듬을 다시 회복시켜주는 우울증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아고멜라틴은 Servier 제약사가 개발한 멜라토닌 효과의 항우울제 약물로, 상품명은 Valdoxan, Melitor, Thymanax 등이 있다. 아고멜라틴은 주요 우울장애 치료용으로 시판되며 다른 항우울제들과 비교할 때 중단 후 나타나는 증상 및 성적 부작용도 낮은 수준이라고 보고되었으며, 수면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아고멜라틴은 용해도가 낮아 그 효능을 발휘하기가 쉽지 않으며, 용해도 향상을 위해 아고멜라틴의 결정다형(polymorph) 및 공결정(co-crystal)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최근 연구에서 방향족 다가 알콜을 이용하여 용해도 및 용출속도가 향상된 아고멜라틴의 공결정 및 제조방법에 대한 특허가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으로 제조된 공결정을 이용하여 경구용 고형제를 제조하는 경우 입도분포가 고르지 않아 분쇄, 분급 및 과립화 등의 추가 작업이 요구된다. 따라서 입도분포를 소정의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부형제의 혼합 공정만으로 경구용 고형제의 가공 성형이 가능함과 동시에 약효에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써 우수한 성능의 용출 패턴을 유지할 수 있는 아고멜라틴 공결정의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US 2012-0316245 EP 2,551,257 KR 2014-0033531
Y. Yan, J-M. Chen, N. Geng, T-B. Lu, Improving the solubility of agomelatine via co-crystals, Crystal Growth and Design, 12 (2012) 2226-2233. S-L. Zheng, J-M. Chen, W-X. Zhang, T-B. Lu, Structures of polymorphic agomelatine and its co-crystals with acetic acid and ethylene glycol, Crystal Growth and Design, 11 (2011) 466-471 A. Paudel, Z-A. Worku, J. Meeus, S. Guns, Guy V. den Mooter, Manufacturing of solid dispersions of poorly water soluble drugs by spray drying: Formulation and process consider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453 (2013) 253-284. A. Alhalaweh and S-P. Velaga, Formation of Cocrystals from Stoichiometric Solutions of Incongruently Saturating Systems by Spray Drying, Crystal Growth and Design, 10 (2010) 3302-3305. A. Alhalaweh, W. Kaialy, G. Buckton, H. Gill, A. Nokhodchi, S. P. Velaga, Theophylline Cocrystals Prepared by Spray Dryi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erosolization Performance, AAPS PharmSciTech, 14 (2013) 265-276. S. P. Patil, S. R. Modi, A. K. Bansal, Generation of 1:1 Carbamazepine:Nicotinamide cocrystals by spray drying, Europe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62 (2014) 25157.
본 발명의 목적은 분체의 10 중량% 이하가 100 마이크론 이하의 크기를 가지고 90 중량% 이상이 500 마이크론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평균입자 (D50) 크기가 200~250 마이크론의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및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 분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및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 분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i) 아고멜라틴 및
하이드로퀴논 및 레조시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향족 다가 알콜을
끓는점이 80 ℃ 미만인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ii) 상기 (i) 단계의 용액을 분무 건조 장치에 흐르는 건조 기체와 동일한 방향으로 (co-current flow) 분사시켜 분체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또는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 분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여기서 상기 제조된 분체의 10 중량% 이하가 100 마이크론 이하의 크기를 가지고 90 중량% 이상이 500 마이크론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평균입자 (D50) 크기가 200~250 마이크론의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제조된 분체의 10 중량% 이하가 100 마이크론 이하의 크기를 가지고 90 중량% 이상이 500 마이크론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평균입자 (D50) 크기가 200~250 마이크론의 균일한 입도분포를 갖는 아고멜라틴 공결정 분체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형제의 혼합 공정만으로 경구용 고형제의 가공 성형이 가능하여 대량 생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공결정은 동일한 격자(lattice) 내에 둘 혹은 그 이상의 분자로 구성된 결정 고체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아고멜라틴 공결정은 아고멜라틴과 하이드로퀴논 또는 레조시놀을 끓는점이 80 ℃ 미만인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분무 건조시킴으로써, 균일한 입도 분포를 갖는 분체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단계 (i)은 아고멜라틴 및 방향족 다가알콜을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방향족 다가알콜은 공형성제(coformer)로서 기능하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방향족 다가알콜인 하이드로퀴논 및 레조시놀은 아고멜라틴과 함께 공결정을 형성한다.
상기 단계 (i)에서 끓는점이 80 ℃ 미만인 유기용매는 예를 들어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메틸-터트-부틸에테르,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에 용해시키는 아고멜라틴 및 하이드로퀴논의 양은 아고멜라틴 1몰 당 하이드로퀴논 1몰 내지 2몰이며, 바람직하게는 1몰이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에 용해시키는 아고멜라틴 및 레조시놀의 양은 아고멜라틴 1몰 당 레조시놀 0.5몰 내지 1몰이며, 바람직하게는 0.5몰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단계 (i)의 용액은 아고멜라틴과 레조시놀 또는 아고멜라틴과 하이드로퀴논이 1:0.5 내지 1:1의 몰비로 포함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단계 (i)의 용액 농도는 아고멜라틴을 기준으로 0.1 몰농도(M) 내지 0.5 몰농도(M)이며, 바람직하게는 0.25 몰농도(M)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단계 (ii)는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아고멜라틴 및 방향족 다가알콜의 용액을 분무 건조시켜 아고멜라틴 공결정 분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단계 (ii)에서, 건조 기체는 20~120 ℃로 가열된 기체로서, 예를 들어 공기, 질소, 아르곤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50 ℃로 가열된 공기가 사용될 수 있다.
단계 (ii)의 분무 건조 장치에서 (i)의 용액을 분사하는 분무 노즐(nozzle)은 내측 구멍 크기가 0.5~1.0 mm, 바람직하게는 0.75 mm일 수 있으며, 용액의 주입 속도는 0.1~10 ml/min, 바람직하게는 2~5 ml/min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 분체 또는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 분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은 10.40, 17.00, 17.50, 18.00, 19.25, 20.10, 21.00, 21.30, 21.75, 22.10, 23.55, 24.15, 26.20의 Bragg각(2θ)에서(±0.2o) 명확한 피크를 보여주는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은 7.25, 7.95, 8.35, 14.45, 16.70, 17.35, 17.95, 19.05, 19.95, 21.30, 21.75, 22.50, 23.75, 24.40의 Bragg각(2θ)에서(±0.2o) 명확한 피크를 보여주는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 분체 또는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 분체는 분체의 10 중량% 이하가 100 마이크론 이하의 크기를 가지고 90 중량% 이상이 500 마이크론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평균입자 (D50) 크기가 200~250 마이크론의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도분포의 균일성은 제제의 최종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서, 특히 생산 공정 중 혼합과 타정에 영향을 미친다. 의약품의 제조에서 불균일한 입도분포는 의약품 복용단위의 변화 초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제의 붕해시간 및 파괴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위험이 있고, 타정시 캡핑(capping) 등의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고멜라틴 공결정 분체는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짐으로써, 적절한 부형제 등의 첨가만으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등과 같은 경구용 고형제제로의 가공 성형이 가능하며, 대량생산시 향상된 품질을 제공하고, 공정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고멜라틴 공결정 분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담체, 보조제 또는 희석제 등과 함께 통상의 제제화 방법을 사용하여 경구용 고형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경구용 고형제제의 1일 유효 투여량은 성인을 기준으로 1 mg 내지 3000 mg이나, 투여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정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및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 분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대량생산 시 우수한 품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공정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의 분말 X선 회절(XRD)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 및 비교예 2의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라 제조된 아고멜라틴 공결정 및 비교예 1~2에 따라 제조된 아고멜라틴 공결정의 입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의 인산완충용액에 대한 시간에 따른 용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의 인산완충용액에 대한 시간에 따른 용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분무 건조에 의한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 분체의 제조
아고멜라틴 (제II형 다형체, ≥99.85%, Changzhou ruiming pharmaceutical co., Changzhou, China) 6.09 g과 하이드로퀴논 (≥99%, Sigma aldrich, st. Louis, MO) 2.75 g을 에틸아세테이트 100 mL에 용해시켰다. 제조된 용액을 0.75 mm 분무 노즐을 이용하여 BUCHI Mini Spray Dryer B-290 타입의 분무 건조 장치에 도입하였다. 건조공기의 유입구 온도는 25~30 ℃이었으며, 용액 주입속도는 초기 1분 동안은 1 ml/min이고 이후 5 ml/min로 분사하였다. 용액의 분무가 완료되면 10분 정도 더 건조시킨 다음 제조된 분말을 회수하여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 분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분무 건조에 의한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 분체의 제조
아고멜라틴 (제II형 다형체, ≥99.85%, Changzhou ruiming pharmaceutical co., Changzhou, China) 6.09 g과 레조시놀 (≥99%, Sigma aldrich, st. Louis, MO) 1.38 g을 에틸아세테이트 100 mL에 용해시켰다. 제조된 용액을 0.75 mm 분무 노즐을 이용하여 BUCHI Mini Spray Dryer B-290 타입의 분무 건조 장치에 도입하였다. 건조공기의 유입구 온도는 40~45 ℃였으며, 용액 주입속도는 초기 1분 동안은 0.5 ml/min 이고 이후 2.5 ml/min로 분사하였다. 용액의 분무가 완료되면 10분 정도 더 건조시킨 다음 제조된 분말을 회수하여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 분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액상법 (evaporation)을 통한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의 제조
한국등록특허 제10-1404836호의 제조예 2에 기재된 액상법(evaporation)에 따라 아고멜라틴 (제II형 다형체, ≥99.85%, Changzhou ruiming pharmaceutical co., Changzhou, China) 1.22 g과 하이드로퀴논(≥99%, Sigma aldrich, st. Louis, MO) 0.552 g을 정확하게 칭량하여 250 mL 비이커에 넣었다. 여기에 에틸아세테이트 100 mL를 가하고 비이커의 뚜껑을 덮은 후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면서 아고멜라틴과 하이드로퀴논을 충분히 용해시켰다. 아고멜라틴과 하이드로퀴논을 충분하게 용해시킨 후 안정된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이 담긴 비이커의 뚜껑을 제거하여, 에틸아세테이트가 자연 증발하도록 방치하였다. 20시간 이내에 에틸아세테이트가 충분히 건조된 비이커에 남아있는 고체를 회수한 후, 이를 진공펌프에 연결하여 감압건조를 실시하여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을 얻었다.
<비교예 2> 에틸아세테이트와 헥산을 각각 용매 및 반용매로 이용한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의 제조
한국등록특허 제10-1470794호의 실시예 1에 기재된 반용매법에 따라 아고멜라틴 (제II형 다형체, ≥99.85%, Changzhou ruiming pharmaceutical co., Changzhou, China) 1.825 g과 레조시놀 (≥99%, Sigma aldrich, st. Louis, MO) 0.826 g을 정확하게 칭량하여 100 mL 유리병에 넣었다. 여기에 에틸아세테이트 15 mL를 가하고 유리병의 뚜껑을 덮은 후 상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면서 아고멜라틴과 레조시놀을 용해시켰다. 아고멜라틴과 레조시놀이 완전히 용해된 맑은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에 30 mL의 헥산을 가한 다음 유리병의 뚜껑을 덮고 30분을 더 교반시켜 고체 결정질이 생성되도록 하였다. 생성된 고체는 감압여과를 통해 회수한 후,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고체 화합물 형태의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을 수득하고 이를 실온에서 보관하였다.
<실험예 1> 분말 X선 회절 (XRD) 분석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수득한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 및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에 대해 분말 X선 회절 (XRD)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말 X선 회절 패턴은 고체상 검출기로 0.154 nm인 Cu-Kα를 사용하는 Rigaku miniflex 600 X선 회절 분석장비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각 시료를 실리카 마운트에 평평한 표면을 갖도록 다져 올려놓은 후 스텝 사이즈 0.02° 및 스캔 속도 10°/min 조건으로 5~35°범위의 Bragg 각(2θ)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수득한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의 X선 회절(XRD) 분석결과는 도 1에 도시하였고,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수득한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의 X선 회절 분석결과는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빨간색)은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과 동일한 X선 회절 패턴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분무 건조법에 의해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이 합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 의해 제조된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은 서로 동일한 X선 회절(XRD) 패턴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분무 건조법에 의해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이 합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체(sieve)가름법을 통한 입도 분포 측정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수득한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 및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 분체 1 g을 각각 계량하여 14, 18, 25, 35, 50, 60, 80, 100, 170 및 400 메시(mesh)의 최상단에 넣고 3분 동안 진동한 후 각 메시 무게와 메시에 걸러진 분체의 무게와의 차이로 입도 분포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 및 표 1에 도시하였다.
입자 크기 (μm)
D10 D50 D90
실시예 1
(Ago-Hyq _ spray dry)
120 215 473
실시예 2
(Ago-Res _ spray dry)
145 210 420
비교예 1
(Ago-Hyq _ Evaporation)
184 460 1380
비교예 2
(Ago-Res _ Antisolvent)
145 290 800
도 3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무 건조법에 의해 제조된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 및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은 제조된 분체의 80 중량% 이상이 100~500 μm에 해당하는 균일한 입도 분포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용출시험
20 ml의 인산완충용액(PBS)에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수득한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 및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 분체를 각각 충분히 가한 현탁액을 37℃ 항온 수조에서 24시간 동안 교반 시키면서, 정해진 시간별로 샘플을 수집하여 용액 중 아고멜라틴의 농도를 UV-3600 (Shimadzu, Japan) 분광분석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 분체의 용출시험 결과는 도 4에 도시하였고,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 따른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 분체의 용출시험 결과는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 및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은 제조방법에 따라 용출특성 차이가 크게 나타지 않았다. 따라서, 분무 건조법에 의해 제조된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 및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 역시 비교예 1 (액상법) 또는 비교예 2 (반용매법)에 따라 제조한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공결정 및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과 동일한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7)

  1. (i) 아고멜라틴 및
    하이드로퀴논 및 레조시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향족 다가 알콜을
    끓는점이 80 ℃ 미만인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ii) 상기 (i) 단계의 용액을 분무 건조 장치에 흐르는 건조 기체와 동일한 방향으로 (co-current flow) 분사시켜 분체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또는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 분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여기서 상기 제조된 분체의 10 중량% 이하가 100 마이크론 이하의 크기를 가지고 90 중량% 이상이 500 마이크론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평균입자 (D50) 크기가 200~250 마이크론의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가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메틸-터트-부틸에테르, 메탄올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이 아고멜라틴과 레조시놀 또는 아고멜라틴과 하이드로퀴논을 1:0.5 내지 1:1의 몰비로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중 아고멜라틴의 농도가 0.1 몰농도 내지 0.5 몰농도인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기체가 20~50 ℃로 가열된 공기인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건조 장치에서 분무 노즐은 내측 구멍 크기가 0.5~1.0 mm 이고 용액 주입속도가 2~5 ml/min인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아고멜라틴-하이드로퀴논 또는 아고멜라틴-레조시놀 공결정 분체.
KR1020150136370A 2015-09-25 2015-09-25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아고멜라틴 공결정 분체의 제조방법 KR101790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370A KR101790411B1 (ko) 2015-09-25 2015-09-25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아고멜라틴 공결정 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370A KR101790411B1 (ko) 2015-09-25 2015-09-25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아고멜라틴 공결정 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167A true KR20170037167A (ko) 2017-04-04
KR101790411B1 KR101790411B1 (ko) 2017-10-26

Family

ID=58588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370A KR101790411B1 (ko) 2015-09-25 2015-09-25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아고멜라틴 공결정 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4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6245A1 (en) 2011-06-09 2012-12-13 Les Laboratoires Servier Co-crystals of agomelatine, a process for there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2551257A1 (en) 2011-07-28 2013-01-30 Laboratorios Del. Dr. Esteve, S.A. Co-crystals of agomelatine with co-crystal-formers
KR20140033531A (ko) 2012-08-16 2014-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236B1 (ko) * 2009-06-23 2009-10-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초미세입자의 신규한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404836B1 (ko) * 2014-03-21 2014-06-0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아고멜라틴의 공결정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70794B1 (ko) 2014-06-30 2014-12-0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아고멜라틴 공결정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6245A1 (en) 2011-06-09 2012-12-13 Les Laboratoires Servier Co-crystals of agomelatine, a process for there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2551257A1 (en) 2011-07-28 2013-01-30 Laboratorios Del. Dr. Esteve, S.A. Co-crystals of agomelatine with co-crystal-formers
KR20140033531A (ko) 2012-08-16 2014-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Alhalaweh and S-P. Velaga, Formation of Cocrystals from Stoichiometric Solutions of Incongruently Saturating Systems by Spray Drying, Crystal Growth and Design, 10 (2010) 3302-3305.
A. Alhalaweh, W. Kaialy, G. Buckton, H. Gill, A. Nokhodchi, S. P. Velaga, Theophylline Cocrystals Prepared by Spray Dryi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erosolization Performance, AAPS PharmSciTech, 14 (2013) 265-276.
A. Paudel, Z-A. Worku, J. Meeus, S. Guns, Guy V. den Mooter, Manufacturing of solid dispersions of poorly water soluble drugs by spray drying: Formulation and process consider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453 (2013) 253-284.
S. P. Patil, S. R. Modi, A. K. Bansal, Generation of 1:1 Carbamazepine:Nicotinamide cocrystals by spray drying, Europe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62 (2014) 25157.
S-L. Zheng, J-M. Chen, W-X. Zhang, T-B. Lu, Structures of polymorphic agomelatine and its co-crystals with acetic acid and ethylene glycol, Crystal Growth and Design, 11 (2011) 466-471
Y. Yan, J-M. Chen, N. Geng, T-B. Lu, Improving the solubility of agomelatine via co-crystals, Crystal Growth and Design, 12 (2012) 2226-223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0411B1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726B1 (ko) 닐로티닙 HCl 결정형
US11292793B2 (en) Solid dispersions of amorphous Lumateperone p-Tosylate
CN109311832B (zh) 沃替西汀的帕莫酸盐及其晶型
JP5840684B2 (ja) ドロネダロン固形分散剤およびその製造法
WO2016038532A1 (en) Amorphous treprostinil diethanolamine
CN110950862B (zh) 原肌球蛋白相关激酶(trk)抑制剂的药物制剂
WO2015139591A1 (zh) 德罗格韦钠盐的晶型及其制备方法
WO2019062854A1 (zh) 瑞博西林的共晶和瑞博西林单琥珀酸盐的共晶、其制备方法、组合物和用途
US2018019333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vortioxetine or salt thereof,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112939945B (zh) 尼洛替尼的晶型、使用该晶型制备的活性药物和药物组合物
JP2023539298A (ja) カリプラジン医薬組成物、製造方法及び応用
US11236077B2 (en) Fruquintinib eutectic crystal,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JP2021523880A (ja) ジヒドロピリミジン化合物の固体形態及びその調製方法及びその使用
US8835635B2 (en) Amorphous form of vilazodone hydrochloride substantially free of crystalline forms
KR101790411B1 (ko)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아고멜라틴 공결정 분체의 제조방법
KR101404836B1 (ko) 아고멜라틴의 공결정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89210A (ko) 실질적 비정질인 메조포러스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신규한 비정질 활성 제약 성분
KR101721288B1 (ko) 티에노피리미딘 유도체의 결정
Jaafar et al.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ocrystals for enhancing the dissolution rate of glimepiride
JP4498679B2 (ja) 結晶性イソキサゾール誘導体およびその医薬製剤
WO2018058296A1 (zh) Ttp488加成盐及其晶型、制备方法及药物组合物
EP3162792B1 (en) Method for preparing agomelatine co-crystals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9981912B2 (en) Cocrystal of lorcaserin, preparation method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JPWO2018199277A1 (ja) 3−(3,5−ジクロロ−4−ヒドロキシベンゾイル)−1,1−ジオキソ−2,3−ジヒドロ−1,3−ベンゾチアゾールの結晶形及び塩
WO201807838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morphous selexip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