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088A -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088A
KR20170037088A KR1020150136192A KR20150136192A KR20170037088A KR 20170037088 A KR20170037088 A KR 20170037088A KR 1020150136192 A KR1020150136192 A KR 1020150136192A KR 20150136192 A KR20150136192 A KR 20150136192A KR 20170037088 A KR20170037088 A KR 20170037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ncrypted
original image
field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044B1 (ko
Inventor
이남숙
문한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6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044B1/ko
Priority to US15/193,713 priority patent/US10390106B2/en
Priority to EP16183636.6A priority patent/EP3148198A1/en
Priority to EP20166831.6A priority patent/EP3691279A1/en
Priority to CN201610848239.3A priority patent/CN107040797B/zh
Priority to JP2016186737A priority patent/JP6843462B2/ja
Publication of KR2017003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04N21/2347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by pre-encryp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04N21/2347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by partially encrypting, e.g. encrypting the ending portion of a movi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5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 H04N21/43853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involving multiplex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 H04N21/4405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by partially decrypting, e.g. decrypting a video stream that has been partially encryp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e.g. re-encrypting a decrypted video stream for redistribution in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involving pointers to the content, e.g. pointers to the I-frames of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암호화 및 복호화를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원본 이미지의 썸네일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원본 이미지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한다. 상기 획득한 썸네일 이미지를 기록한 제1 이미지 필드 (first image field)와 상기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기록한 제2 이미지 필드 (second image field) 사이에 표시 정보를 기록한 식별 필드 (identity field)를 포함하도록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한다.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제2 이미지 필드를 포함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이다.

Description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암호화 (encryption) 및 복호화 (decryption)를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송 서비스는 통신 서비스와의 융합에 의한 영상 통신 서비스가 일반화되었다. 상기 영상 통신 서비스는 빠른 정보 처리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고속의 정보 전달을 제공하는 광 대역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상기 영상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이미지 처리로 인한 많은 전력 소모가 발생한다. 특히 처리할 이미지의 해상도는 디스플레이 시에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소비 전력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예컨대 휴대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이하 '휴대 단말'이라 칭함)에서 디스플레이 시의 소비 전력은 처리할 이미지의 해상도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해상도의 증가는 처리할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링크 상에서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일 예로 하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가상 서버 (cloud server)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소비하는 대역폭은 대상 멀티미디어의 종류, 해상도 등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나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경우, 상기 전달할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종류, 해상도 등에 비례하여 사용할 대역폭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정보 량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압축 (encoding) 및 압축 해제 (이하 “복원 (decoding)”이라 칭함)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압축 및 복원 기술은 기록 매체의 용량 및 전송 매체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압축 및 복원을 지원하는 코덱 (codec)은 압축 효율을 높이기 위해 멀티미디어의 종류 별로 개발되어 있다. 예컨대, 정지 영상을 위한 코덱에는 JPEG, JPEG 2000, 무손실 JPEG, PNG, PMB 등이 존재하고, 동 영상을 위한 코덱에는 모션 JPEG, MPEG-1, MPEG-2, MPEG-4, H.263, H.264, HEVC 등이 존재하며, 오디오를 위한 코덱에는 MPEG-1 레이어 I, MPEG-1 레이어 II, MPEG-1 레이어 III, AAC, HE-AAC, FLAC 등이 존재하고, 음성을 위한 코덱에는 G.711, G.718, AMR, AMR-WB 등이 존재한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동일한 종류의 미디어라 하더라도 압축 효율을 고려하여 다른 코덱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정지 영상을 위한 코덱으로 JPEG을 사용하고, 제2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정지 영상을 위한 코덱으로 PNG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이슈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생산 및 소비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보호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생산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암호화 (encryption)하거나 암호화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소비를 위해 복호화 (decryption)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압축 및 복원 기술과 암호화 및 복호화 기술은 상호 호환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코덱과의 호환을 유지하고자 한다면, 암호화 및 복호화를 압축 이전 레벨 (value level)에서 처리하여야 한다. 예컨대, 압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압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엔트로피 (entropy) 복원한 후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엔트로피 압축하여야 했다. 반대로, 암호화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복원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암호화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엔트로피 복원한 후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엔트로피 압축하여야 했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정지 영상 또는 동 영상인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저해상도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는 썸네일 이미지 (thumbnail image)가 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확인을 위해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는 퍼스널 컴퓨터 (PC), 스마트 폰, 가상 서버 등이 각각의 정책을 기반으로 정지 영상 또는 동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암호화된 경우, 저해상도 이미지 또한 암호화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다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저해상도 이미지를 확인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좀더 복잡한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암호화된 이미지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한 이미지로부터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여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생성된 저해상도 이미지라 하더라도,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와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압축 및 복원 기술과 암호화 및 복호화 기술의 호환성을 지원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암호화 및 복호화를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복호화 없이도 저해상도 이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암호화 및 복호화 없이 저해상도 이미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이미지에 대한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복호화 없이도 저해상도 이미지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암호화에 따른 멀티미디어 프레임을 구성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저해상도 이미지를 활용하여 가상 서버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를 확인하도록 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저해상도 이미지의 공유를 통해, 가상 서버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의 확인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은, 원본 이미지의 썸네일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원본 이미지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하는 과정 및 상기 획득한 썸네일 이미지를 기록한 제1 이미지 필드 (first image field)와 상기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기록한 제2 이미지 필드 (second image field) 사이에 표시 정보를 기록한 식별 필드 (identity field)를 포함하도록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제2 이미지 필드를 포함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는, 입력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유닛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의 썸네일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원본 이미지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하며, 상기 획득한 썸네일 이미지를 기록한 제1 이미지 필드 (first image field)와 상기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기록한 제2 이미지 필드 (second image field) 사이에 표시 정보를 기록한 식별 필드 (identity field)를 포함하도록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 유닛 및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 유닛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제2 이미지 필드를 포함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저해상도 이미지를 활용하여 이미지 확인에 대한 편의를 제공하면서도 가상 서버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지 처리로 인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원본 이미지에 대해 압축을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를 개념적으로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의 구조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의 구조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를 JPEG을 사용하여 원본 이미지를 압축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적용한 경우의 이미지 프레임 및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원본 이미지를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암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신호 처리 절차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신호 처리 절차의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modification), 균등물 (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 (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또는 "가질 수 있다" 또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있다거나 "접속되어 (connected to)"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 (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 (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 (generic-purpose processor) (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상응한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 (smart phone), 태블릿 PC (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 (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 (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 (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 (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서버,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 (wearable device) (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 (head-mounted-device (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 (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 (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 (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 (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 (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 (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 (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 (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CT (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 (event data recorder), FDR (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 (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 (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 (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 (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Internet of Things) (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 (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 (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 (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 (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 (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할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이미지는 정지 영상과 동 영상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할 것이다. 그리고, 암호화 등의 이미지 처리가 이루어지기 전의 정지 영상 또는 동 영상에 대해, “원본 이미지”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또한, 상기 원본 이미지를 확인하거나 검색하는 등의 목적으로 상기 원본 이미지로부터 획득한 썸네일 이미지 등에 대해 “저해상도 이미지”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는 원본 이미지로부터 특정 영역의 이미지를 추출하거나, 원본 이미지의 메타 정보로부터 관련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원본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원본 이미지를 사용자가 알아 볼 수 있도록 blurring 처리하여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원본 이미지는 소정의 이미지 압축 방식에 의해 압축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된 이미지는 상기 소정 압축 방식에 대응한 복원 방식에 의해 원본 이미지로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축 및 복원을 위한 코덱은 한정된 메모리의 저장 영역에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술이다. 상기 코덱은 압축 효율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의 종류 별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할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원본 이미지는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는 상기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대응한 복호화 방식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저해상도 이미지 또한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암호화된 저해상도 이미지는 상기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대응한 복호화 방식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의 암호화를 위해, 암호화하고자 하는 파라미터를 선정하고나, 암호화하고자 하는 파라미터의 특정 비트들을 선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선정된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의 특정 비트들을 대상으로 저해상도 이미지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할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원본 이미지가 소정의 포맷을 가지는 이미지 프레임으로 제공되고, 원본 이미지에 대응한 저해상도 이미지의 호환이 용이하도록,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으로 재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그 하나의 방안으로써,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압축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여 식별 정보 이후에 배치하고, 상기 식별 정보 이전에 상기 압축 원본 이미지에 의해 생성된 저해상도 이미지를 배치한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으로부터 저해상도 이미지를 용이하게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암호화된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식별 정보로 인해, 그 이후에는 복원 대상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지할 것이다.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에서 식별 정보 이후에 배치되는 압축 원본 이미지의 개수는 한 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식별 정보 이후에 다수의 압축 원본 이미지들을 배치할 경우, 상기 다수의 압축 원본 이미지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이미지 필드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 이전에 배치되는 저해상도 이미지의 개수도 반드시 한 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다수의 저해상도 이미지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이미지 필드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식별 정보 이후에 다수의 압축 원본 이미지들을 배치할 경우, 압축 원본 이미지 사이에 식별 정보를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추가된 식별 정보는 앞에 위치하는 압축 원본 이미지와 뒤에 위치하는 압축 원본 이미지를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에서 식별 정보 이후에 배치되는 압축 원본 이미지의 개수와 식별 정보 이전에 배치되는 저해상도 이미지의 개수가 반드시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식별 정보 이후에 하나의 압축 원본 이미지가 배치되었으나 상기 식별 정보 이전에 다수의 저해상도 이미지가 배치될 수도 있다. 반대로 상기 식별 정보 이후에 다수의 압축 원본 이미지가 배치되었으나 상기 식별 정보 이전에 하나의 저해상도 이미지가 배치될 수도 있다.
그 외에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에서 포함된 식별 정보 또한 압축 원본 이미지의 개수 및/또는 저해상도 이미지의 개수 등을 기반으로 하나 또는 다수 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에서 식별 정보 이후에 배치되는 압축 원본 이미지는 상기 식별 정보 이전에 배치된 저해상도 이미지를 고려하여 그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압축 원본 이미지에서 저해상도 이미지에 중첩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제거하고, 상기 압축 원본 이미지에서 나머지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만을 상기 식별 정보 이후에 배치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할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소정의 압축 방식에 따른 압축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프레임을 기반으로 재구성한 압축된 이미지 프레임을 가상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에 대응한 저해상도 이미지를 내부에 저장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제안하고 있다. 이 경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저장되는 정보 량을 줄이면서 저해상도 이미지를 이용하여 원본 이미지의 검색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압축된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는 암호화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압축된 이미지 프레임이 암호화되지 않은 원본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가상 서버는 압축된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가상 서버는 압축된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에 대응한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압축된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가 반드시 암호화되지 않을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압축된 이미지 프레임이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상기 가상 서버는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이하 제안될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원본 이미지에 대한 압축을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 처리장치는 입력 인터페이스 유닛 110, 이미지 처리 유닛 120, 출력 인터페이스 유닛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유닛 110은 암호화를 위한 원본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고, 상기 입력된 원본 이미지를 이미지 처리 유닛 120으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원본 이미지는 이미지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포함되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유닛 110으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는 소정의 이미지 압축 방식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구조는 원본 이미지의 압축을 위해 사용된 이미지 압축 방식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압축 방식이 JPEG인 경우, 이미지 프레임은 JPEG bitstream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원본 이미지를 사용하여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유닛 110으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기록된 원본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한 원본 이미지가 소정의 이미지 압축 방식에 의해 압축되어 있으면,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압축된 원본 이미지를 복원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압축된 원본 이미지를 복원하기 위해, 이미지 프레임의 헤더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원본 이미지에 대응한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원본 이미지의 전체 영역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영역에 상응한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특정 영역은 원본 이미지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영역, 즉 원본 이미지를 식별하는 것이 용이한 영역에 의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원본 이미지가 가지는 메타 정보를 사용하여 관련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관련 이미지를 저해상도 이미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 정보를 사용하여 관련 이미지를 생성할 시에도 원본 이미지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원본 이미지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크기가 축소된 원본 이미지를 사용하여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원본 이미지를 blurring 처리 등을 통해 사용자가 알아볼 수 있는 이미지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이미지를 저해상도 이미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상기 생성한 저해상도 이미지와 상기 생성한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포함하는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한다.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는 상기 전송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 암호화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방식은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방식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저해상도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방식의 암호화 레벨은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방식의 암호화 레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암호화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저해상도 이미지를 기반으로 암호화하고자 하는 파라미터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한 파라미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저해상도 이미지를 기반으로 암호화하고자 하는 파라미터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한 파라미터의 특정 비트들을 선정하며, 상기 선정한 특정 비트들을 암호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은 제1 이미지 필드 (first image field)와, 식별 필드 (identity field), 제2 이미지 필드 (second image fiel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저해상도 이미지를 제1 이미지 필드에 기록하고,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제2 이미지 필드에 기록하며, 표시 정보를 식별 필드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정보는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이 제2 이미지 필드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지시하는 정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이미지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기록된 원본 이미지를 대신하여 저해상도 이미지를 기록하고,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끝을 나타내는 필드에 기록된 식별 정보를 표시 정보로 사용하고, 상기 표시 정보 뒤에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기록한 상기 제2 이미지 필드를 추가하여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끝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는 원본 이미지의 압축을 위해 사용된 이미지 압축 방식에 대응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 이미지 필드는 하나 또는 다수의 기록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이미지 필드에는 반드시 하나의 저해상도 이미지가 포함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다수의 저해상도 이미지들이 제1 이미지 필드에 순차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1 이미지 필드에 기록된 다수의 저해상도 이미지들은 미리 설정된 정보 (비트 값)에 의해 구분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2 이미지 필드는 하나 또는 다수의 기록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이미지 필드에는 반드시 하나의 압축 원본 이미지가 포함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다수의 압축 원본 이미지들이 제2 이미지 필드에 순차적으로 기록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2 이미지 필드에 기록된 다수의 압축 원본 이미지들은 미리 설정된 정보 (비트 값)에 의해 구분될 수도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정보는 압축 원본 이미지 사이에 위치하거나 미리 약속된 위치에 일괄적으로 추가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이미지 필드에 배치되는 압축 원본 이미지의 개수와 제1 이미지 필드 이전에 배치되는 저해상도 이미지의 개수가 반드시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이미지 필드에 하나의 압축 원본 이미지가 배치되었으나 제1 이미지 필드에 다수의 저해상도 이미지가 배치될 수도 있다. 반대로 제2 이미지 필드에 다수의 압축 원본 이미지가 배치되었으나 제1 이미지 필드에 하나의 저해상도 이미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이미지 필드에 배치되는 압축 원본 이미지는 제1 이미지 필드에 배치된 저해상도 이미지를 고려하여 그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이미지 필드에는 압축 원본 이미지에서 저해상도 이미지에 중첩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제거하고, 상기 압축 원본 이미지에서 나머지 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만이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식별 필드와 제2 이미지 필드 사이에 부가 필드 (extra information field)를 추가하여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부가 필드에는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의 복호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 유닛 130은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대상 유닛으로 출력한다. 상기 대상 유닛은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의 처리 방식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내부에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 유닛 130은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내부 기록 매체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외부 디바이스 (일 예로 가상 서버)로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 유닛 130은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 유닛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저해상도 이미지를 이미지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록 유닛 (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식별 정보는 저해상도 이미지와 상기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가상 서버 등)로 전송된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매치하기 위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식별 정보는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의 지정된 필드에 기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외부 요청에 따라 기록 유닛에 저장된 저해상도 이미지들 중 하나 또는 다수의 저해상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유닛 (도시되지 않음)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 유닛 130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 (가상 서버 등)로 썸네일 이미지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저해상도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저해상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유닛 (도시되지 않음)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상기 표시된 저해상도 이미지에 대응한 원본 이미지의 제공이 요청되면, 상기 표시된 저해상도 이미지에 대응하여 저장된 이미지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외부 디바이스 (가상 서버 등)로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유닛 110을 통해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복호화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 120은 복호화한 원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유닛 (도시되지 않음)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를 개념적으로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원본 이미지로부터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210단계).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는 썸네일 이미지의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원본 이미지의 정책 등을 기반으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썸네일 이미지는 원본 이미지에 대한 크기 재조정 (resizing), 양자화 레벨 (quantization level) 조정, 크로핑 (cropping) 등을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 외에 썸네일 이미지는 앞에서 밝힌 저해상도 이미지와 동일한 생성 방식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상기 ?네일은 미리 설정된 방식을 기반으로 암호화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썸네일은 암호화하고자 하는 파라미터를 선정하여 암호화하거나, 암호화하고자 하는 파라미터의 특정 비트들을 선정하여 암호화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소정의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원본 이미지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하고, 상기 암호화에 의해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220단계). 예컨대, 원본 이미지의 특정 영역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였다면,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특정 영역의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이미지에 대해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의 복호화를 위해 필요한 추가 정보를 마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암호화를 위해 사용한 키 (암호 키)에 관한 정보, 암호화 방식 등을 추가 정보로 마련하거나 이를 고려하여 복호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추가 정보로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원본 이미지의 암호화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경우,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원본 이미지의 암호화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저해상도 이미지와 상기 암호화된 적어도 하나의 원본 이미지에 의해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230단계). 예컨대,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은 헤더와 페이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페이로드에는 적어도 하나의 저해상도 이미지와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페이로드는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음을 지시하는 표시 (mark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이로드에서 상기 표시가 기록되는 위치는 상기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가 기록되는 위치에 선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페이로드에는 적어도 하나의 저해상도 이미지가 기록된 필드 (예컨대 Fake Payload), 표시가 기록된 필드 및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가 기록된 필드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암호화에 따른 추가 정보를 마련한 경우,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의 페이로드는 상기 마련한 추가 정보를 기록할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가 정보가 기록된 필드는 표시가 기록된 필드와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가 기록된 필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의 헤더에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를 위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의 헤더는 “Fake Header”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부가 헤더 필드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부가 헤더 필드에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위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부가 헤더 필드에 기록할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위한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가 헤더 필드는 “Encrypted Header”가 될 수 있다.
도 3은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의 구조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은 헤더 310와 페이로드 320을 포함한다. 상기 헤더 310에는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에 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헤더 310에는 상기 페이로드 320에 기록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기록될 수도 있다. 상기 페이로드 3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저해상도 이미지와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가 기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페이로드 320는 제1 이미지 필드 322, 식별 필드 324 및 제2 이미지 필드 3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 필드 322에는 적어도 하나의 저해상도 이미지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 필드 322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저해상도 이미지는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이미지 필드 326에는 적어도 하나의 원본 이미지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미지 필드 326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원본 이미지는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될 수도 있다.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방식은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방식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저해상도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방식의 암호화 레벨은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방식의 암호화 레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암호화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식별 필드 324에는 표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정보는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이 제2 이미지 필드 326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지시하는 정보이다. 상기 표시 정보는 제2 이미지 필드 326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의 암호화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의 구조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의 구조에 부가 필드 426를 페이로드 420에 추가한 것이다. 즉,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페이로드 420이 제1 이미지 필드 422, 식별 필드 424, 추가 필드 426 및 제2 이미지 필드 4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필드 428에는 암호화를 위해 사용한 키 (암호 키)에 관한 정보, 암호화 방식 등의 추가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원본 이미지의 암호화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경우,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원본 이미지의 암호화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의 헤더 410에는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위한 정보 외에 제2 이미지 필드 428에 기록된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위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헤더 410에는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위한 정보 외에 상기 제1 이미지 필드 422에 기록된 저해상도 이미지를 위한 정보가 추가로 기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페이로드 420은 부가 헤더 필드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헤더 필드에는 상기 제2 이미지 필드 428에 기록된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위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위한 정보는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되어 상기 부가 헤더 필드에 기록될 수 있다.
도 5는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를 JPEG을 사용하여 원본 이미지를 압축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적용한 경우의 이미지 프레임 및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압축 방식으로 JPEG을 사용하여 원본 이미지를 압축할 시에 생성되는 이미지 프레임 (a)는 SOI (start of image) 필드, 헤더, 페이로드 및 EOI (end of imag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OI 필드에는 원본 이미지의 시작을 표시하는 표시 정보가 기록된다. 상기 헤더에는 JPEG의 코딩 방식, Image Size, Quantization Table, Huffman table 등의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페이로드에는 실제 압축이 이루어진 원본 이미지가 기록된다. 상기 EOI 필드에는 원본 이미지의 끝을 표시하는 표시 정보가 기록된다.
본 개시에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처리장치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 (b)은 SOI 필드, 헤더, 썸네일 필드, EOI 필드 및 암호화된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지 프레임 (a)의 페이로드에 기록된 압축된 원본 이미지를 복원하고, 상기 복원한 원본 이미지로부터 썸네일 이미지를 획득한다. 상기 썸네일 이미지는 압축된 원본 이미지로부터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획득한 썸네일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프레임 (a)의 페이로드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 (b)의 썸네일 필드)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기록하고 남은 공간은 다른 용도를 사용하거나 제로 패딩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처리장치는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 (b)의 썸네일 필드에 기록된 썸네일 이미지를 특별한 어려움 없이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프레임 (a)의 EOI 필드에 기록된 정보를 특정 표시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특정 표시 정보는 EOI 필드 이후에 암호화된 페이로드가 추가되었음을 지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암호화된 페이로드에는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여 획득한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가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처리장치는 EOI 필드에 기록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이후 필드에 기록된 원본 이미지가 소정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덱은 특정 신호 (예컨대, EOI 필드에 기록된 정보) 이후에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지하여 복원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 (b)을 복원하는 경우, 썸네일 이미지만을 복원할 수가 있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할 경우, EOI 필드와 암호화된 페이로드 사이에 부가 정보 필드를 추가하여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 (b)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부가 정보 필드에는 암호화 유/무, 암호화를 위한 키 (암호화 키), 암호화 방식 등에 대한 추가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도 6은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원본 이미지를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미지 처리장치는 16개의 이미지 블록들로 이루어진 원본 이미지를 소정의 압축 방식을 사용하여 압축하고, 상기 압축한 원본 이미지에 의해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한다 (610단계). 상기 이미지 프레임은 SOI, 헤더, 페이로드 및 EOI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썸네일 용도의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AES 기법 등을 사용하여 상기 압축된 원본 이미지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한다 (620단계). 일 예로 저해상도 이미지는 원본 이미지를 구성하는 16개의 이미지 블록들 각각의 일부 이미지를 추출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상기 생성한 저해상도 이미지를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헤더와 EOI 사이에 기록하고, 상기 EOI 이후에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기록함으로써,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한다 (630단계).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앞서 구성한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에 기록된 저해상도 이미지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할 수 있다 (640단계). 이때,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해 사용된 암호화 방식은 압축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해 사용된 암호화 방식과 상이할 수 있다. 그 예에 대해서는 이미 앞에서 개시한 바와 같다.
도 7은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암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미지 처리장치는 710단계에서 이미지 프레임을 수신한다. 상기 이미지 프레임은 소정의 압축 방식을 지원하는 코더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은 압축된 원본 이미지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구조는 원본 이미지의 압축을 위해 적용된 압축 방식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720단계에서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분석하고, 730단계에서 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선택한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페이로드에 기록된 원본 이미지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한다. 이때, AES 방식이 암호화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740단계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원본 이미지들 각각에 대응한 썸네일 이미지인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750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와 적어도 하나의 저해상도 이미지를 포함하는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한다.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와 적어도 하나의 저해상도 이미지를 이용한 이미지 프레임의 재구성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원본 이미지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암호화 유/무, 암호화 키, 암호화 방식 등에 대한 추가 정보 (extra information)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추가 정보를 원본 이미지의 암호화를 위해 활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에 페이크 페이로드 (fake payload)를 정의하고, 상기 정의한 페이크 페이로드에 저해상도 이미지를 기록할 수도 있다.
도 8은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미지 처리장치는 810단계에서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표시 정보 (예컨대 EOI 등)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암호화된 페이로드의 위치를 인지한다.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820단계에서 상기 인지한 암호화된 페이로드의 위치를 사용하여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의 암호화된 페이로드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한다.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의 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의 부가 필드에 기록된 부가 정보 또는 부가 헤더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의 복호화를 위해서는 AES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추가 정보 (extra information)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추가 정보를 기반으로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의 암호화된 페이로드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장치는 830단계에서 원본 이미지의 복원을 위해 사용할 복원 방식을 고려하여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저장하고, 실제 암호화된 큰 사이즈의 정보는 가상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메모리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사용량 또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신호 처리 절차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9에서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하여 가상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 (예컨대 원본 이미지)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에 의해 원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가상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편의를 위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가상 서버 간에 주고 받는 컨텐츠를 정지 영상 또는 동 영상에 상응한 원본 이미지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암호화 대상인 하나 또는 다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하나 또는 다수의 이미지 프레임이 포함하고 있는 원본 이미지에 대응한 적어도 하나의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적어도 하나의 저해상도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1단계). 이하 설명에서는 편의를 위해 하나의 원본 이미지와 하나의 저해상도 이미지에 의해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가정할 것이다. 하지만, 다수의 원본 이미지 및/또는 다수의 저해상도 이미지에 의해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를 저장할 메모리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내부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의해 접근이 가능한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는 소정의 압축 방식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 방식이 제한적으로 적용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정지 영상 또는 동 영상의 압축을 위한 모든 압축 방식이라면, 추가 변경 필요 없이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단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할 때에 사용된 압축 방식을 고려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를 사전에 약속된 포맷의 전송 프레임을 사용하여 가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2단계). 예컨대, 상기 전송 프레임은 이미지 프레임을 재구성한 암호화된 이미지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프레임의 재구성에 대해서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송 프레임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에 대한 암호화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전송 프레임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가 암호화되지 않았다면, 전송 프레임을 수신한 상기 가상 서버는 전송 프레임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할 수 있다 (2-1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여 생성한 저해상도 이미지를 전송 프레임에 반드시 포함시킬 필요는 없다. 만약, 전송 프레임에 저해상도 이미지를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앞서 제안된 암호화된 이미지 프레임과 같이 호환성을 고려한 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런 경우, 전송 프레임에 포함된 저해상도 이미지는 다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의해서도 공유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저장된 저해상도 이미지를 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표시 가능한 원본 이미지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3단계). 예컨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된 저해상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표시된 저해상도 이미지가 선택되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는 암호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저해상도 이미지의 표시를 위해, 해당 저해상도 이미지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표시된 저해상도 이미지에 대응한 원본 이미지의 제공이 요청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해당 원본 이미지의 제공을 상기 가상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4단계). 예컨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해당 원본 이미지의 제공을 요청할 시, 상기 가상 서버로 해당 원본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저해상도 이미지를 저장할 때에 식별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식별 정보를 상기 가상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원본 이미지를 상기 가상 서버로 전송할 시에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상 서버는 원본 이미지를 앞서 제안한 암호화된 이미지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서버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된 원본 이미지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한 원본 이미지를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5단계). 상기 저장된 원본 이미지는 암호화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상 서버는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4-1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원본 이미지를 상기 가상 서버로부터 전달 받으면, 상기 전달 받은 원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6단계). 이를 위해,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소정의 복호화 방식을 기반으로 원본 이미지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복호화 이후 소정의 코덱을 사용하여 원본 이미지에 대한 복원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모든 원본 이미지를 보관할 필요가 없어, 기록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해상도 이미지를 이용하여 원본 이미지의 검색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신호 처리 절차의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10에서는 가상 서버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원본 컨텐츠에 의해 생성한 저해상도 이미지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편의를 위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가상 서버 간에 주고 받는 컨텐츠를 정지 영상 또는 동 영상에 상응한 원본 이미지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이미지 프레임을 제공받고, 상기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를 사전에 약속된 포맷의 전송 프레임을 사용하여 가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1단계). 예컨대, 상기 전송 프레임은 이미지 프레임을 재구성한 암호화된 이미지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암호화된 이미지 프레임의 재구성에 대해서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송 프레임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에 대한 암호화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전송 프레임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가 암호화되지 않았다면, 전송 프레임을 수신한 상기 가상 서버는 전송 프레임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서버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전송 프레임이 포함하고 있는 원본 이미지에 대응한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저해상도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2단계). 상기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는 소정의 압축 방식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 방식이 제한적으로 적용되지는 않는다. 즉, 정지 영상 또는 동 영상의 압축을 위한 모든 압축 방식이라면, 추가 변경 필요 없이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단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저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할 때에 사용된 압축 방식을 고려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가상 서버는 생성한 저해상도 이미지를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3단계). 상기 가상 서버에 의한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의 전송은 의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가상 서버에 의해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저해상도 이미지는 암호화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의해 저해상도 이미지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한다. 단지, 저해상도 이미지가 소정의 압축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면, 공유를 위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해당 압축 기술에 상응한 코덱을 구비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가상 서버로부터 제공된 저해상도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4단계).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를 저장할 메모리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내부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의해 접근이 가능한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는 소정의 압축 방식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 방식이 제한적으로 적용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정지 영상 또는 동 영상의 압축을 위한 모든 압축 방식이라면, 추가 변경 필요 없이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저장된 저해상도 이미지를 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표시 가능한 원본 이미지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5단계). 예컨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된 저해상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표시된 저해상도 이미지가 선택되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 상기 저해상도 이미지는 암호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저해상도 이미지의 표시를 위해, 해당 저해상도 이미지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표시된 저해상도 이미지에 대응한 원본 이미지의 제공이 요청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해당 원본 이미지의 제공을 상기 가상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6단계). 예컨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해당 원본 이미지의 제공을 요청할 시, 상기 가상 서버로 해당 원본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상 서버는 저해상도 이미지를 저장할 때에 식별 정보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식별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가상 서버가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저해상도 이미지를 전송할 시에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서버는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된 원본 이미지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한 원본 이미지를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7단계). 상기 저장된 원본 이미지가 암호화되어 있다면, 상기 가상 서버는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원본 이미지를 상기 가상 서버로부터 전달 받으면, 상기 전달 받은 원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8단계). 이를 위해,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소정의 복호화 방식을 기반으로 원본 이미지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복호화 이후 소정의 코덱을 사용하여 원본 이미지에 대한 복원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는 모든 원본 이미지를 보관할 필요가 없어, 기록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해상도 이미지를 이용하여 원본 이미지의 검색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에서 제안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변형에 의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에 따른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본 개시에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하나의 저해상도 이미지 (썸네일 이미지)와 하나의 원본 이미지만으로 구성된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본 개시에서 제안된 다양한 실시 예들이 반드시 하나의 저해상도 이미지 또는 하나의 원본 이미지 만으로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이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하나의 저해상도 이미지와 다수의 원본 이미지에 의해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이 구성되거나 다수의 저해상도 이미지와 하나의 원본 이미지에 의해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다수의 저해상도 이미지와 다수의 원본 이미지에 의해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2)

  1.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정지 영상 또는 동 영상에 상응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본 이미지의 썸네일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원본 이미지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하는 과정; 및
    상기 획득한 썸네일 이미지를 기록한 제1 이미지 필드 (first image field)와 상기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기록한 제2 이미지 필드 (second image field) 사이에 표시 정보를 기록한 식별 필드 (identity field)를 포함하도록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제2 이미지 필드를 포함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이미지 압축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이미지 프레임의 페이로드로부터 상기 원본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이미지 필드에 상응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기록된 상기 원본 이미지를 대신하여 상기 생성한 썸네일 이미지를 추가하고, 상기 식별 필드에 상응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끝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기록된 필드 뒤에 상기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기록한 상기 제2 이미지 필드를 추가하여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끝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는 상기 원본 이미지의 압축을 위해 사용된 이미지 압축 방식에 대응하여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식별 필드와 상기 제2 이미지 필드 사이에 부가 필드를 추가하고, 상기 부가 필드에 상기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의 복호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기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한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가상 서버 (cloud server)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이미지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획득한 썸네일 이미지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이미지 식별 정보는 상기 획득한 썸네일 이미지와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통해 상기 가상 서버로 전송된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매치하기 위해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썸네일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한 원본 이미지의 제공이 요청되면, 상기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여 저장된 이미지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가상 서버로부터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한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복호화하는 과정; 및
    상기 복호화한 원본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이미지 필드에 기록할 썸네일 이미지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방식은 상기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방식과 상이하며,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방식의 암호화 레벨이 상기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방식의 암호화 레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암호화 레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서버로 썸네일 이미지를 요청하는 과정;
    상기 가상 서버로부터 제공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한 원본 이미지의 제공이 요청되면, 상기 가상 서버로 상기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한 원본 이미지를 요청하는 과정;
    상기 가상 서버로부터 제공된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복호화하는 과정; 및
    상기 복호화한 원본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하는 과정은,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와 중첩되는 이미지를 제거하고, 상기 중첩된 이미지가 제거된 원본 이미지를 상기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하여 생성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방법.
  12. 정지 영상 또는 동 영상을 처리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 유닛;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유닛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원본 이미지의 썸네일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원본 이미지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하며, 상기 획득한 썸네일 이미지를 기록한 제1 이미지 필드 (first image field)와 상기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기록한 제2 이미지 필드 (second image field) 사이에 표시 정보를 기록한 식별 필드 (identity field)를 포함하도록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 유닛; 및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 유닛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이 상기 제2 이미지 필드를 포함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이미지는 소정의 이미지 압축 방식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기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이미지 필드에 상응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기록된 상기 원본 이미지를 대신하여 상기 생성한 썸네일 이미지를 추가하고, 상기 식별 필드에 상응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끝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기록된 필드 뒤에 상기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기록한 상기 제2 이미지 필드를 추가하여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의 끝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는 상기 원본 이미지의 압축을 위해 사용된 이미지 압축 방식에 대응하여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은,
    상기 식별 필드와 상기 제2 이미지 필드 사이에 부가 필드를 추가하고, 상기 부가 필드에 상기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의 복호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기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한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가상 서버 (cloud server)로 전송하는 전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이미지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획득한 썸네일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이미지 식별 정보는 상기 획득한 썸네일 이미지와 상기 암호화 이미지 프레임을 통해 상기 가상 서버로 전송된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매치하기 위해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은,
    상기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썸네일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한 원본 이미지의 제공이 요청되면, 상기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이미지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가상 서버로부터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복호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은,
    상기 획득한 썸네일 이미지를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하여 상기 제1 이미지 필드에 기록하며,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방식은 상기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방식과 상이하며,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방식의 암호화 레벨이 상기 원본 이미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 방식의 암호화 레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암호화 레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은,
    상기 가상 서버로 썸네일 이미지를 요청하고, 상기 가상 서버로부터 제공된 썸네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한 원본 이미지의 제공이 요청되면, 상기 가상 서버로 상기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한 원본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가상 서버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원본 이미지를 복호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은,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와 중첩되는 이미지를 제거하고, 상기 중첩된 이미지가 제거된 원본 이미지를 상기 소정의 암호화 방식에 의해 암호화하여 상기 제2 이미지 필드 (second image field)에 기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KR1020150136192A 2015-09-25 2015-09-25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444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192A KR102444044B1 (ko) 2015-09-25 2015-09-25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
US15/193,713 US10390106B2 (en) 2015-09-25 2016-06-27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EP16183636.6A EP3148198A1 (en) 2015-09-25 2016-08-10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EP20166831.6A EP3691279A1 (en) 2015-09-25 2016-08-10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CN201610848239.3A CN107040797B (zh) 2015-09-25 2016-09-23 用于处理图像的装置和方法
JP2016186737A JP6843462B2 (ja) 2015-09-25 2016-09-26 イメージ処理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192A KR102444044B1 (ko) 2015-09-25 2015-09-25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088A true KR20170037088A (ko) 2017-04-04
KR102444044B1 KR102444044B1 (ko) 2022-09-19

Family

ID=56883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192A KR102444044B1 (ko) 2015-09-25 2015-09-25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90106B2 (ko)
EP (2) EP3148198A1 (ko)
JP (1) JP6843462B2 (ko)
KR (1) KR102444044B1 (ko)
CN (1) CN10704079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5521B2 (en) 2019-01-30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file including multiple related pieces of dat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1963B1 (en) * 2016-06-28 2019-11-26 Amazon Technologies, Inc. Use video codecs to deliver images
CN110771090B (zh) 2017-06-16 2023-09-15 索尼半导体解决方案公司 信号处理装置、信号处理方法和程序
EP3847822A1 (en) * 2018-10-08 2021-07-14 Google LLC Display assistant device for home monitoring
GB2588083A (en) * 2019-08-27 2021-04-21 Alesa Services Ltd Imagery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1277865A (zh) * 2020-01-17 2020-06-12 深圳市春盛海科技有限公司 影像实时加密的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400A (ko) * 2001-10-09 2004-05-1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비디오 정보 기록 장치 및 비디오 정보 재생 장치
US20150035999A1 (en) * 2013-08-05 2015-02-05 Nvidia Corporation Method for sharing digital photos securel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7093A (ja) * 2001-12-21 2003-07-0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撮影装置、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4234724B2 (ja) * 2006-03-13 2009-03-04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記録装置、コンテンツ記録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記録プログラム
JP2007304200A (ja) * 2006-05-09 2007-11-2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情報配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4715633B2 (ja) * 2006-05-19 2011-07-0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記録プログラム、ならびに、編集装置、編集方法および編集プログラム
JP2008059561A (ja) * 2006-08-04 2008-03-13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それらの方法
JP5213687B2 (ja) * 2008-12-19 201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1462314B2 (en) * 2009-10-14 2022-10-04 Trice Imaging, Inc. Systems and devices for encrypting, converting and interacting with medical images
WO2012169111A1 (ja) * 2011-06-06 2012-12-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サムネイル画像生成方法
EP2584800B1 (en) * 2011-09-20 2014-11-05 LG Electronics Inc. Digital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service data thereof
CN102819716B (zh) * 2012-07-20 2015-02-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加密图片、解密图片的方法、装置及系统
CN102883039A (zh) * 2012-07-30 2013-01-16 成都西可科技有限公司 手机多媒体私密日记加密方法
CN103581683B (zh) * 2013-10-18 2017-02-08 宁波海韦斯智能技术有限公司 Jpeg图像加密传输方法
US10489603B2 (en) * 2015-03-19 2019-11-26 Kbytes Solutions Private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ivacy prote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400A (ko) * 2001-10-09 2004-05-1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비디오 정보 기록 장치 및 비디오 정보 재생 장치
US20150035999A1 (en) * 2013-08-05 2015-02-05 Nvidia Corporation Method for sharing digital photos securel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ikipedia, JPEG File Interchange Format(2015.06.19. 공개)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5521B2 (en) 2019-01-30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file including multiple related pieces of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94372A1 (en) 2017-03-30
KR102444044B1 (ko) 2022-09-19
JP2017068255A (ja) 2017-04-06
CN107040797A (zh) 2017-08-11
JP6843462B2 (ja) 2021-03-17
CN107040797B (zh) 2021-02-26
US10390106B2 (en) 2019-08-20
EP3148198A1 (en) 2017-03-29
EP3691279A1 (en)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044B1 (ko)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
EP3036911B1 (en)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
EP3070937A1 (en) Partial encryption techniques for media data
KR20140134692A (ko) 무선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93428B1 (ko) 섬네일 이미지를 압축 비디오 이미지에 포함시키는 기술
KR20170004456A (ko)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들
US9292893B2 (en) Chaotic watermarking for a digital image
US20160127770A1 (en) Content provid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8989432B2 (en) System and method of adding a watermark to a JPEG image file
KR101085718B1 (ko) 서버측 분산 영상처리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92256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scene descriptions using derived visual tracks
US20180191690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multimedia data, and method and device for decoding same
CN109905762B (zh) 图像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JP7218105B2 (ja) ファイル生成装置、ファイル生成方法、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731276A (zh) 文件处理设备及文件处理方法
JP5403708B2 (ja) 情報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718764A (zh) 信息处理设备
KR102503743B1 (ko)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okko et al. A robust system for capture and archival of high-definition stereoendoscopic video
KR101475936B1 (ko) 3d 영상 배포 시스템
KR20120070861A (ko) 아이피티브이 가상화 시스템 환경에서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장치
JP2012243047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半導体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