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586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586A
KR20170036586A KR1020160000987A KR20160000987A KR20170036586A KR 20170036586 A KR20170036586 A KR 20170036586A KR 1020160000987 A KR1020160000987 A KR 1020160000987A KR 20160000987 A KR20160000987 A KR 20160000987A KR 20170036586 A KR20170036586 A KR 20170036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ver
tub
cover body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142B1 (ko
Inventor
김민철
조태환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610822035.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551667B/zh
Priority to EP16189668.3A priority patent/EP3146884B1/en
Priority to AU2016231520A priority patent/AU2016231520B2/en
Priority to US15/273,934 priority patent/US10390679B2/en
Publication of KR20170036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이 제1경도의 물질로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연통홀, 상기 터브에 고정되어 상기 연통홀의 하부에 위치하며,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섬프, 상기 펌프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하는 펌프, 상기 제1경도보다 낮은 제2경도의 물질로 구비되어 상기 연통홀에 위치하는 커버바디 및 상기 커버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커버관통홀이 구비된 커버, 상기 제1경도의 물질로 구비되어 상기 커버관통홀에 위치하는 지지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와 상기 섬프를 연통시키는 바디관통홀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바디관통홀에 구비되어 상기 섬프로 이동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물을 이용하여 식기나 조리도구 등(이하,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 상기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터브는 분사암에서 분사되는 물에 노출되는 공간이기 때문에 물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물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한편, 터브 내부에는 상기 랙이나 분사암을 비롯한 장치들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물에 부식되지 않는 물질 중 금속을 사용하여 제작된 터브는 상기 장치들의 조립이나 분리 과정에서 손상될 수 있다.
금속으로 제작된 터브가 터브 내부에 위치되어야 하는 장치 등에 의해 손상되면, 손상된 위치에서부터 부식이 발생할 수 있어 내식성(corrosion resistance) 금속으로 제작된 터브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는 터브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세척대상이 수납되는 터브를 위생적으로 관리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재질로 구비된 터브에 긁힘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재질로 구비된 터브에 긁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의 열변형을 최소화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바닥면이 제1경도(hardness)의 물질로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연통홀; 상기 터브에 고정되어 상기 연통홀의 하부에 위치하며,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하는 펌프; 상기 제1경도보다 낮은 제2경도의 물질로 구비되어 상기 연통홀에 위치하는 커버바디 및 상기 커버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커버관통홀이 구비된 커버; 상기 제1경도의 물질로 구비되어 상기 커버관통홀에 위치하는 지지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와 상기 섬프를 연통시키는 바디관통홀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바디관통홀에 구비되어 상기 섬프로 이동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경도의 물질은 녹이 슬지 않는 금속 또는 녹이 슬지 않도록 가공된 금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경도의 물질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경도보다 낮은 경도의 물질로 구비되어 상기 바디관통홀에 착탈되는 필터바디; 상기 필터바디로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구; 상기 필터바디 내부로 유입된 물을 여과한 뒤 상기 섬프로 배출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연통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연통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커버바디를 지지하며, 상기 커버바디의 상부면 높이가 상기 터브 바닥면 높이 이하가 되게 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커버관통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커버관통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디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바디의 상부면 높이가 상기 커버바디의 상부면 높이 이하가 되게 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을 상기 바디 관통홀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커버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암을 지지하는 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커버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와 상기 섬프를 연통시키는 회수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커버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바디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커버바디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거나 상기 커버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커버바디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커버바디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커버관통홀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커버관통홀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커버관통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커버바디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커버바디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커버바디의 가장자리와 상기 커버관통홀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2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커버바디에서 상기 커버관통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디가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의 면적은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커버관통홀이 제외된 상기 커버바디의 면적보다 작게 구비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안착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섬프로 이동하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홀; 상기 안착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여과홀을 통과한 물 중 일부를 상기 섬프로 안내하는 안착부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커버바디의 가장자리와 상기 안착부 관통홀을 연결하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커버관통홀의 가장자리와 상기 안착부 관통홀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척대상이 수납되는 터브를 위생적으로 관리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재질로 구비된 터브에 긁힘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재질로 구비된 터브에 긁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의 열변형을 최소화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식기세척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지지부, 커버, 터브 및 섬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커버 및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식기세척기(100)는 세척대상이 수납되는 터브(2), 상기 터브(2)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을 수납하는 랙(4), 상기 랙에 수납된 세척대상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암(31), 물이 저장되는 섬프(5), 상기 섬프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하는 펌프(33)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2)는 투입구(11)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는데, 상기 투입구(11)는 도어(15)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상기 랙(4)은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터브(2)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암(31)은 랙(4)의 상부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분사암(31)이 터브의 바닥면(2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랙(4)의 하부에 위치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섬프(5)는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된 급수부(71)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섬프(5) 내부의 물은 배수부(73)를 통해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섬프(5)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53), 상기 저장부(53)를 터브(2)에 고정하는 섬프바디(5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섬프바디(51)는 상기 터브의 바닥면(21)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2)의 외부에 위치된다. 즉, 상기 섬프바디(51)는 터브 바닥면(21)을 관통하는 연통홀(23)을 감싸도록 터브 바닥면(21)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섬프바디(51)는 물을 상기 저장부(53)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23)에는 상기 터브(2)와 상기 섬프(5)를 구분하는 커버(6)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6)에는 상기 섬프(5)로 이동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9)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터브(2)는 식기와 같은 세척대상이 수납되는 공간이기 때문에 터브(2)를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식기세척기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터브(2)가 물에 접촉되는 공간인 점을 감안하면 녹이 슬지 않도록 터브(2)를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터브(2)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el)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터브(2)는 녹이 슬지 않는 금속 또는 녹이 슬지 않도록 처리된 금속이면 어떤 금속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의 바닥면(21)을 비롯한 터브의 내주면이 스테인리스강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커버(6) 역시 터브(2)와 동일한 물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터브(2)가 스테인리스강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커버(6) 역시 스테인리스강으로 구비되는 것이 터브(2)의 위생적 관리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터브(2)와 커버(6)가 동일 물질로 제작되면, 터브(2)의 경도(hardness)와 커버(6)의 경도가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커버(6)를 연통홀(23)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터브의 바닥면(21)이나 커버(6)의 표면이 긁힐 위험이 있다. 상기 터브의 바닥면(21)이나 커버(6)의 표면이 긁히면, 긁힌 위치에 녹(금속의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커버(6)는 터브(2)의 재료가 가지는 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터브(2)가 스테인리스강(제1경도를 가진 물질)로 구비될 경우, 상기 커버(6)는 제1경도보다 낮은 제2경도를 가진 물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synthetic resine)가 상기 제2경도를 가진 물질의 일례가 될 수 있다.
다만, 제2경도를 가진 커버(6)의 영역은 최소화될수록 유리할 것이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6)에는 터브(2)와 섬프(5)를 연통시키는 커버관통홀(67)이 더 구비되고, 상기 커버관통홀(67)에는 스테인리스강(제1경도를 가진 물질)으로 제작되어 상기 필터부(9)를 지지하는 지지부(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6)는 터브 바닥면에 구비된 연통홀(23)에 착탈 가능한 커버바디(61)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커버관통홀(67)은 상기 커버바디(61)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관통홀(67)에는 상기 지지부(8)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안착부(69, 제1안착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부(69)는 커버관통홀(67)의 가장자리에서 커버관통홀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안착부(69)는 상기 커버바디(61)에서 상기 커버관통홀(67)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커버관통홀(67)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바디(61)에는 상기 분사암(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암 지지부(63)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펌프(33)는 저장부(53) 내부의 물을 상기 암 지지부(63)로 이동시키게 될 것이다.
상기 커버바디(61)에는 상기 터브(2) 내부의 물을 상기 섬프(5)로 이동시키는 회수홀(6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수홀(65)은 상기 커버바디(6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데, 도 2는 상기 커버바디(61)가 제공하는 영역 중 터브(2) 내부의 물을 섬프바디(51)로 이동시키는 위치에 상기 회수홀(65)이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터브 바닥면(21)에 위치된 물이 회수홀(65) 및 필터부(9)를 향해 쉽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바디(61)의 상부면 높이는 터브 바닥면(21)의 높이 이하가 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연통홀(23)에는 상기 커버바디(61)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안착부(211, 제2안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부(211)는 상기 연통홀(23)의 가장자리에서 연통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안착부(211)는 상기 터브 바닥면(21)의 표면이 상기 섬프(5)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터브 바닥면(21)의 표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표면을 가진 공간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통홀(23)은 상기 제2안착부(211)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안착부(211)는 상기 터브 바닥면(21)에서 상기 연통홀(23)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연통홀(23)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상기 지지부(8)는 터브와 동일한 물질로 구비되는 지지바디(81), 상기 지지바디(8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필터부(9)가 결합하는 바디관통홀(83)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디(81)는 커버의 제1안착부(69)에 지지되는데, 상기 제1안착부(69)는 지지바디(81)의 상부면 높이가 상기 커버바디(61)의 상부면 높이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지지바디(81)를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안착부(69)는 상기 커버바디(61)의 표면이 상기 터브의 바닥면(21)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커버바디(61)의 표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표면을 가진 공간으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관통홀(67)은 상기 제1안착부(69)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81)는 커버바디(61)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바디(81)와 커버바디(61)를 일체화하려면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지지바디(81) 커버바디(61)에 결합시켜야 하는데, 지지바디(81)를 커버바디(61)에 일체화시키는 것은 지지바디(81)를 커버바디(6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시키는 경우에 비해 많은 비용을 요구할 뿐 아니라 조립불량의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상기 바디관통홀(83)은 터브(2)와 저장부(53)를 연통시키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디(81)에는 물을 상기 바디관통홀(83)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부(8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9)는 터브(2)에서 섬프(5)로 이동하는 물을 여과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도 2의 필터부(9)는 상기 바디관통홀(83)에 착탈 가능한 필터바디(91), 상기 필터바디로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구(95), 상기 필터바디 내부의 물을 여과한 뒤 저장부(53)로 배출하는 필터(9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바디(91)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경도보다 낮은 경도의 물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리스강으로 구비된 지지바디(81)가 필터바디(91)에 의해 긁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상기 필터바디(91)는 커버바디(61)와 동일한 물질(동일한 경도를 가진 물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유입구(95)는 필터바디(91)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필터바디(91)의 상단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바디(91)의 원주면에는 상기 유입구(95)가 바디관통홀(83)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게 하는 바디지지부(9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95)는 터브(2) 내부의 물을 필터바디(91)로 유입시키는 수단일 뿐 아니라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바디(9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도 된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필터부(9)는 바디관통홀(83)에 구비되는 필터(97)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브(2) 내주면 대부분의 영역이 스테인리스강으로 구비됨으로써 터브의 위생적 관리가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제1경도의 물질로 구비된 지지부(8)가 제1경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진 커버(6)에 지지되므로, 지지부(8)를 터브(2)에 결합할 때 터브 바닥면(21)이나 지지부(8)가 긁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상술한 커버(6) 및 지지부(8)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8)는 상기 지지바디(81)에 여과홀(811)이 더 구비된다.
상기 여과홀(811)은 상기 지지바디(8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구멍으로, 상기 여과홀(811)은 상기 터브 바닥면(21)에서 필터부(9)를 향해 이동하는 물을 여과 가능하다.
따라서, 분사암(31)을 통해 터브(2) 내부에 분사된 물은 상기 필터부(9)에 의해 여과된 뒤 섬프(5)로 이동할 수도 있지만, 상기 지지부(8)에 구비된 여과홀(811) 및 상기 커버(6)에 구비된 회수홀(65)에 의해 여과된 뒤 섬프(5)로 이동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6)는 상기 제1안착부(69)를 관통하는 안착부 관통홀(62), 상기 제1안착부(69)의 열변형을 방지하는 절개부(64)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안착부 관통홀(62)은 상기 여과홀(811)을 통과한 물이 상기 섬프(5)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은 세척성능을 높이기 위해 섬프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분사암(31)이 히터를 통해 가열된 물을 세척대상에 분사할 경우, 상기 터브(3), 커버(6) 및 지지부(8)에는 열변형이 발생할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구비된 커버(6)의 재질은 상기 터브(3) 및 지지부(8)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6)의 열변형의 정도(열에 의한 상기 커버의 길이변화 등)는 상기 터브 바닥면(21)의 열변형 정도나 상기 지지부(8)의 열변형 정도와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터브(2) 내부의 온도에 의해 상기 커버(6), 지지부(8) 및 터브 바닥면(21)에 열변형이 발생하면, 상기 커버바디(61)는 상기 제2안착부(211)에서 분리되고, 상기 지지부(8)는 제1안착부(69)에서 분리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64)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절개부(64)는 상기 커버바디(61)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커버바디(61)의 내부로 연장되는 구멍이나 슬릿(slit)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부(64)는 상기 커버바디(6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커버바디(61)의 가장자리에 상기 커버바디(61)의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바디(61)에 상술한 절개부(64)가 구비되면, 상기 커버바디(61)에 열변형이 발생(커버바디의 부피가 증가)할 때 상기 커버바디(61)는 상기 절개부(64)가 제공되는 공간 내부에서 팽창할 것이므로, 상기 커버바디(61)의 가장자리가 팽창함으로써 상기 커버바디(61)가 상기 제2안착부(211)에서 분리되는 문제, 상기 제1안착부(69)의 변형(뒤틀림 등)으로 상기 지지바디(81)가 제1안착부(69)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한편, 상기 커버관통홀(67)이 상기 제1안착부(69)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제1안착부(69)와 커버관통홀(67)이 제외된 커버바디(61)의 면적은 상기 제1안착부(69)의 면적보다 크다.
상기 제1안착부(69)의 면적이 제1안착부 및 커버관통홀이 제외된 상기 커버바디(61)의 면적보다 작으면, 상기 커버바디(61)에 발생한 열변형은 상대적으로 열저항이 작은 상기 제1안착부(69)에 집중될 것이기 때문에 상기 커버(6)에 열에너지가 공급될 때 상기 제1안착부(69)에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기 절개부(64)는 상기 커버바디(61)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안착부(69)를 거쳐 상기 커버관통홀(67)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구멍이나 슬릿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64)가 상기 커버(6)에 하나만 구비될 경우라면, 상기 절개부(64)는 상기 커버관통홀(67)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지 않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절개부(64)가 상기 커버(6)에 다수 개 구비된다면, 다수의 절개부(64) 중 일부(제1절개부, 미도시)는 상기 커버관통홀(67)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지 않도록 커버바디(61)의 가장자리에서 커버관통홀(67)을 향해 연장되고, 나머지 일부(제2절개부, 미도시)는 커버관통홀(67)의 가장자리와 커버바디(61)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커버바디(61)에 두 개의 절개부(64)가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도 3은 각 절개부(64)가 상기 안착부 관통홀(62)과 상기 커버바디(61)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 두 개의 절개부(64)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절개부(64)는 커버관통홀(67)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커버바디(61)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부(64)는 상기 커버관통홀(67)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커버바디(61)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커버바디(61)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개부(64)가 제1안착부(69)에 구비될 경우, 상기 절개부(64)는 제1안착부(69)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안착부 관통홀(67)과 상기 커버관통홀(67)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절개부(64)가 다수 개로 구비될 경우, 다수의 절개부(64) 중 일부(제1절개부, 미도시)는 상기 커버관통홀(67)의 가장자리에서 커버바디(61)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되 상기 커버바디(61)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지 않도록 구비되고, 나머지 일부(제2절개부, 미도시)는 커버관통홀(67)의 가장자리와 커버바디(61)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착부 관통홀(62)과 커버관통홀(67)을 연결하는 절개부는 제1절개부가 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식기세척기 2: 터브 21: 바닥면
23: 연통홀 31: 분사암 33: 펌프
4: 랙 51: 섬프바디 53: 저장부
6: 커버 61: 커버바디 62: 안착부 관통홀
63: 암 지지부 64: 절개부 65: 회수홀
67: 커버관통홀 71: 급수부 73: 배수부
8: 지지부 81: 지지바디 811: 여과홀
83: 바디관통홀 85: 경사부 9: 필터부
91: 필터바디 93: 바디지지부 95: 유입구
97: 필터

Claims (16)

  1.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바닥면이 제1경도(hardness)의 물질로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연통홀;
    상기 터브에 고정되어 상기 연통홀의 하부에 위치하며,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하는 펌프;
    상기 제1경도보다 낮은 제2경도의 물질로 구비되어 상기 연통홀에 위치하는 커버바디 및 상기 커버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커버관통홀이 구비된 커버;
    상기 제1경도의 물질로 구비되어 상기 커버관통홀에 위치하는 지지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와 상기 섬프를 연통시키는 바디관통홀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바디관통홀에 구비되어 상기 섬프로 이동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도의 물질은 녹이 슬지 않는 금속 또는 녹이 슬지 않도록 가공된 금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도의 물질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경도보다 낮은 경도의 물질로 구비되어 상기 바디관통홀에 착탈되는 필터바디;
    상기 필터바디로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구;
    상기 필터바디 내부로 유입된 물을 여과한 뒤 상기 섬프로 배출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연통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커버바디를 지지하며, 상기 커버바디의 상부면 높이가 상기 터브 바닥면 높이 이하가 되게 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관통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커버관통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디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바디의 상부면 높이가 상기 커버바디의 상부면 높이 이하가 되게 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4항에 있어서,
    물을 상기 바디 관통홀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암을 지지하는 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터브와 상기 섬프를 연통시키는 회수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바디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커버바디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거나 상기 커버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커버바디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커버바디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커버관통홀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커버관통홀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커버관통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커버바디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커버바디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바디의 가장자리와 상기 커버관통홀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2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4.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바디에서 상기 커버관통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디가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의 면적은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커버관통홀이 제외된 상기 커버바디의 면적보다 작게 구비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섬프로 이동하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홀;
    상기 안착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여과홀을 통과한 물 중 일부를 상기 섬프로 안내하는 안착부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커버바디의 가장자리와 상기 안착부 관통홀을 연결하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커버관통홀의 가장자리와 상기 안착부 관통홀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60000987A 2015-09-24 2016-01-05 식기세척기 KR102418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822035.2A CN106551667B (zh) 2015-09-24 2016-09-13 洗碗机
EP16189668.3A EP3146884B1 (en) 2015-09-24 2016-09-20 Dishwasher
AU2016231520A AU2016231520B2 (en) 2015-09-24 2016-09-21 Dishwasher
US15/273,934 US10390679B2 (en) 2015-09-24 2016-09-23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609 2015-09-24
KR20150135609 2015-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586A true KR20170036586A (ko) 2017-04-03
KR102418142B1 KR102418142B1 (ko) 2022-07-08

Family

ID=5858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987A KR102418142B1 (ko) 2015-09-24 2016-01-05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1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7952A1 (en) * 2009-03-27 2012-01-2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ishwasher
EP2517611A1 (en) * 2011-04-29 2012-10-3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Filter
US20140182625A1 (en) * 2012-12-28 2014-07-03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7952A1 (en) * 2009-03-27 2012-01-2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ishwasher
EP2517611A1 (en) * 2011-04-29 2012-10-3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Filter
US20140182625A1 (en) * 2012-12-28 2014-07-03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142B1 (ko)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1758C1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US10548457B2 (en) Dishwasher utensil basket
EP3254601B1 (en) Dishwasher
CN102355843A (zh) 餐具清洗机
EP3888522A1 (en) Dishwasher with a dish rack and utensil caddy
EP3146884B1 (en) Dishwasher
EP3549509A1 (en) Dishwasher with moveable shelf
EP3357399A1 (en) Dish rack retaining clip
JP2017089100A (ja) 食洗機能付きシンク
US9687137B2 (en) Diverter for selective fluid flow in a dishwashing appliance
US11311169B2 (en) Dishwasher with spray system assembly
EP3666156B1 (en) Dish washer
KR20170036586A (ko) 식기세척기
EP3597095B1 (en) Dishwasher
EP4197418A1 (en) Dishwasher
KR20220005211A (ko) 식기 세척기
US20200146528A1 (en) Dishwasher wash basket
KR20140033693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바스켓
US11751749B2 (en) Dishwasher and silverware basket thereof
US20210330172A1 (en) Dishwasher wash basket
JP6312429B2 (ja) 洗浄機
KR101819503B1 (ko) 식기세척기의 랙
JP6681656B2 (ja) 洗浄機
JP2013052059A (ja) 食器洗い機
KR20120107222A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