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234A - 장비 관리 시스템 및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장비 관리 시스템 및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234A
KR20170035234A KR1020150134079A KR20150134079A KR20170035234A KR 20170035234 A KR20170035234 A KR 20170035234A KR 1020150134079 A KR1020150134079 A KR 1020150134079A KR 20150134079 A KR20150134079 A KR 20150134079A KR 20170035234 A KR20170035234 A KR 20170035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tatus information
guid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8829B1 (ko
Inventor
박강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134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8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장비로부터 장비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비를 위한 메인터넌스(maintenance)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을 기초로 상기 장비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상기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비 관리 시스템 및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OPERATION METHOD OF EQUIPMENT MANAGEMENT SYSTEM AND EQUIPMENT MANAGEMENT SYSTEM}
아래 실시예들은 장비 관리 시스템 및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작 기계는 기계를 만드는 장비로 제조 산업의 가장 기본이 될 수 있다. 최근 공작 기계는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전자, 전기, 또는 정보 통신 기술과 접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공작 기계는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통신 기능을 통해 생산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 한국공개번호 2013-0122464호(발명의 명칭: 원격 제어 시스템, 출원인: 주식회사 에스엠이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공작 기계, 상기 공작 기계를 촬영한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 임의의 공작 기계 제어 정보와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 단말기, 상기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공작 기계를 관리하면서 상기 카메라가 제공하는 상기 환경 정보를 전달하는 원격 제어용 통합 장치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실시예들은 사물 인터넷을 이용하여 툴 교체 사전 알림, 원격 프로그램 설정, 사전 정비 알림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장비의 정비 시간을 줄여 장비의 가동 시간을 높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장비로부터 장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비를 위한 메인터넌스(maintenance)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을 기초로 상기 장비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상기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장비 상태 정보는, 상기 장비의 가동 시간, 상기 장비의 공구축의 상태 정보, 상기 장비의 절삭유의 상태 정보, 장비 충격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장비에 포함된 툴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장비, 상기 장비에 포함된 툴, 상기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교체 시점, 예방 정비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예방 정비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터넌스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장비에 포함된 툴의 가동 시간 및 마모량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가동 시간 및 상기 마모량을 이용하여 상기 툴의 교체 시점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비는, 상기 교체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상기 장비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인터넌스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장비의 동작 환경 및 상기 장비의 가동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환경 및 상기 가동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장비에 포함된 툴 및 상기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한계 수명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마다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장비와 동일한 종류의 장비의 구매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구매 필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로부터 장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비를 위한 메인터넌스(maintenance)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을 기초로 상기 장비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상기 장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비 상태 정보는, 상기 장비의 가동 시간, 상기 장비의 공구축의 상태 정보, 상기 장비의 절삭유의 상태 정보, 장비 충격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장비에 포함된 툴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장비, 상기 장비에 포함된 툴, 상기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교체 시점, 예방 정비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예방 정비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장비에 포함된 툴의 가동 시간 및 마모량을 연산하고, 상기 가동 시간 및 상기 마모량을 이용하여 상기 툴의 교체 시점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장비는, 상기 교체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상기 장비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장비의 동작 환경 및 상기 장비의 가동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동작 환경 및 상기 가동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장비에 포함된 툴 및 상기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한계 수명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마다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비와 동일한 종류의 장비의 구매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구매 필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사물 인터넷을 이용하여 툴 교체 사전 알림, 원격 프로그램 설정, 사전 정비 알림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장비의 정비 시간을 줄여 장비의 가동 시간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제1 서버, 및 제2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로부터 장비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110). 장비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장비 상태 정보를 장비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WLAN, WCDMA, LTE, 또는 LTE-A 등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유선 LAN 등의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비는 공작 기계를 포함할 수 있고, 공작 기계는 터닝 머신, 밀링 머신, 연마기, 머시닝 센터(Machining Center), 또는 유연생산 시스템(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FMS)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장비는 동작을 시작할 때의 상태 정보를 장비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고, 지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태 정보를 장비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의 동작 시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장비가 동작하는 동안 미리 정해진 시간 마다 장비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장비 상태 정보는 장비의 가동 시간, 장비의 공구축의 상태 정보, 장비의 절삭유의 상태 정보, 장비 충격 여부에 대한 정보, 장비에 포함된 툴의 상태 정보, 및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절삭유는 장비가 타겟(예를 들어, 제료물 또는 공작물)을 절삭할 때 공급되는 윤활유의 일종이다. 예를 들어, 절삭유는 타겟과 절삭 툴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고, 마찰에 의한 마찰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절삭유는 타겟이 절삭되는 동안 발생하는 절삭 부스러기를 씻어낼 수 있고, 절삭의 마무리면을 평활하게 할 수 있다. 장비는 절삭유의 상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절삭유의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절삭유의 온도, 절삭유의 사용량, 및 남은 절삭유의 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장비 충격은 장비가 타겟를 가공하는 동안 잘못된 좌표 설정으로 인해 장비의 공구축이 타겟 또는 기타 물체에 부딪치는 상황을 나타낸다. 장비는 장비 충격이 발생한 경우, 장비 충격 발생 정보를 장비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 충격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 충격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 충격 발생 정보를 분석하여 공구축의 좌표를 정확히 설정할 수 있고, 공구축의 정확한 좌표를 장비로 전송할 수 있다.
소모 아이템은 장비의 타겟의 가공 작업으로 인해 마모 또는 소모되는 툴 또는 아이템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절삭유는 장비의 절삭 동작 동안 소모될 수 있으므로, 절삭유는 소모 아이템이다. 또한, 재료를 절삭하는데 사용되는 절삭 툴은 장비의 절삭 동안에 마모될 수 있으므로, 절삭 툴은 소모 아이템이다. 장비는 소모 아이템의 상태 정보를 센싱할 수 있고, 센싱된 소모 아이템의 상태 정보를 장비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장비는 절삭 온도 및 절삭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장비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장비는 절삭 툴을 타겟에 접촉하여 절삭 속도를 기준으로 타겟을 절삭할 수 있다. 이 때, 절삭에 의한 온도를 절삭 온도라 할 수 있다. 타겟이 절삭되는 동안 타겟 또는 절삭 툴의 절삭 온도는 타겟이 절삭되기 전의 온도보다 높게 유지된다. 절삭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장비 또는 절삭 툴의 수명을 짧게 할 수 있다. 절삭 온도 및 절삭 속도는 장비 또는 절삭 툴의 성능과 관련이 있고,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로부터 절삭 온도 및 절삭 속도를 전달받아 최적의 절삭 속도 및 절삭 온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장비는 장비 자신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장비의 종류, 시리얼 넘버), 장비에 포함된 툴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툴의 종류, 시리얼 넘버)를 장비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 상태 정보와 함께 장비의 식별 정보 또는 툴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교체 또는 예방 정비가 필요한 장비 및/또는 툴을 확인할 수 있다.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장비를 위한 메인터넌스(maintenance)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다(120).
예를 들어,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에 포함된 툴의 가동 시간 및 마모량을 연산할 수 있다. 장비 관리 시스템은 가동 시간 및 마모량을 이용하여 툴의 교체 시점을 추정할 수 있다. 추정되는 교체 시점은 추정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또는 미래일 수 있다. 추정되는 교체 시점이 과거인 경우, 장비에 포함된 툴의 가동 시간이 많고, 마모량이 많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장비 관리 시스템은 툴을 즉시 교체하라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추정되는 교체 시점이 미래인 경우, 장비 관리 시스템은 툴의 교체 시점을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의 동작 환경 및 장비의 가동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장비 관리 시스템은 동작 환경 및 가동 시간에 기초하여, 장비에 포함된 툴 및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한계 수명을 확인할 수 있다.
장비 관리 시스템은 단계(120)에서의 확인을 기초로 장비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생성한다(130).
장비를 위한 메인터넌스가 필요한 경우, 장비 관리 시스템은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가이드 정보는 장비의 교체 시점, 예방 정비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예방 정비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정보는 장비에 포함된 툴 및/또는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의 교체 시점, 예방 정비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예방 정비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삭유의 메인터넌스가 필요한 경우, 장비 관리 시스템은 절삭유를 공급하라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절삭 툴의 메인터넌스가 필요한 경우, 절삭 툴의 교체 시점 또는 한계 수명을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절삭 온도 및 절삭 속도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장비 관리 시스템은 절삭 온도 및 절삭 속도 각각이 기준 온도 및 기준 속도에 부합되게 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장비 충격이 발생한 경우, 장비 관리 시스템은 공구축의 좌표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고, 정확한 좌표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장비, 장비에 포함된 툴, 및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의 예방 정비가 필요한 경우, 장비 관리 시스템은 예방 정비 시점을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방 정비가 필요한 경우, 장비 관리 시스템은 예방 정비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정비 시스템에게 알릴 수 있고, 정비 시스템과 연동하여 예방 정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와 동일한 종류의 장비의 구매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구매 필요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의 교체가 필요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장비 관리 시스템은 구매 필요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매 필요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는 판매 시스템으로 전달될 수 있고, 판매 시스템은 추천 장비를 포함하는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구매 필요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는 장비로 전송될 수 있고, 장비의 관리자 단말은 구매 필요 정보를 기초로 장비를 구매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관리자 단말은 판매 시스템으로부터 추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고, 추천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할 장비를 결정할 수 있다.
장비 관리 시스템은 가이드 정보를 장비로 전송한다(140). 장비는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가이드 정보를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정보가 툴 및/또는 소모 아이템의 교체 시점을 포함하는 경우, 장비는 교체 시점을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정보가 툴 및/또는 소모 아이템을 즉시 교체하라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경우, 장비는 관리자 단말에 가이드 정보가 출력되도록 가이드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의 사용자는 가이드 정보를 통해 교체가 필요한 툴 및/또는 소모 아이템을 교체할 수 있다.
장비 관리 시스템은 가이드 정보를 정비 시스템 및 판매 시스템 중 적어도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정비 시스템은 장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장비, 툴, 또는 소모 아이템의 예방 정비 시점을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정비 시스템은 장비의 예방 정비 시점을 확인할 수 있고, 장비 등이 고장나기 전에 예방 정비가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판매 시스템은 장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노후 장비 교체 타이밍을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판매 시스템은 장비 판매를 위해 가이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로부터 장비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210).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의 운전 환경, 장비의 가동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220). 또한,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의 운전 환경, 가동 시간을 이용하여 장비에 포함된 툴의 교체 시점을 추정할 수 있다(221). 또한, 장비 관리 시스템은 교체 시점을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222), 가이드 정보를 장비로 전송할 수 있다. 장비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장비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가이드 정보를 기초로 툴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의 운전 환경, 소모 아이템의 한계 수명을 확인할 수 있다(230). 장비 관리 시스템은 한계 수명 등을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231), 가이드 정보를 장비와 정비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232). 여기서, 정비 시스템은 장비를 AS하는 AS 센터에 대응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AS 센터는 가이드 정보를 기초로 예방 정비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의 운전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240).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의 구매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241). 예를 들어, 장비 관리 시스템은 장비가 노후 되었거나 정비가 불가능한 경우, 장비의 구매가 필요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장비 관리 시스템은 노후 장비 교체 타이밍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장비 관리 시스템은 구매 필요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242), 가이드 정보를 판매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243). 여기서, 판매 시스템은 마케팅 센터 또는 영업 센터에 대응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마케팅 센터는 가이드 정보를 장비 판매를 위해 이용할 수 있다.
도 1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2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제1 서버, 및 제2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장비(310), 제1 서버(320), 및 제2 서버(330)가 연동하여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버(320)는 이동 통신사의 서버일 수 있고, 제2 서버(330)는 장비(310)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업체의 서버일 수 있다.
장비(310)는 유무선 네트워크 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제1 서버(320)로 장비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서버(320)는 장비(310)로부터 장비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장비 상태 정보를 제2 서버(3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서버는(330)는 장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장비(310)를 위한 메인터넌스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서버(330)는 메인터넌스가 필요한 경우, 장비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서버(330)는 가이드 정보를 제1 서버(330)로 전송할 수 있고, 제1 서버(330)는 이동 통신망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장비(310)에게 가이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장비(310)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장비(310)는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서버(330)는 가이드 정보를 정비 시스템 및 판매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정비 시스템은 장비를 AS하는 AS 센터에 대응할 수 있고, AS 센터는 가이드 정보를 기초로 예방 정비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판매 시스템은 마케팅 센터 또는 영업 센터에 대응하는 시스템일 수 있고, 마케팅 센터 또는 영업 센터는 장비 판매를 위해 가이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에는 제2 서버(330)가 장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장비를 위한 메인터넌스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기초로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사항일 뿐, 제1 서버(320)가 장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장비를 위한 메인터넌스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기초로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서버는(330)는 제1 서버(320)로부터 가이드 정보만을 전달받는다.
도 1 및 도 2를 통해 기술된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1 서버(320) 및 제2 서버(330)가 서로 연동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통해 기술된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1 서버(320) 또는 제2 서버(3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3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 관리 시스템(400)은 수신부(410), 제어부(420), 및 전송부(430)를 포함한다.
수신부(410)는 장비로부터 장비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부(410)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마다 장비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장비 상태 정보는 장비의 가동 시간, 장비의 공구축의 상태 정보, 장비의 절삭유의 상태 정보, 장비 충격 여부에 대한 정보, 장비에 포함된 툴의 상태 정보, 및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장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장비를 위한 메인터넌스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을 기초로 장비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생성한다. 가이드 정보는 가이드 정보는 장비, 장비에 포함된 툴,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교체 시점, 예방 정비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예방 정비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420)는 장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에 포함된 툴의 가동 시간 및 마모량을 연산할 수 있고, 가동 시간 및 마모량을 이용하여 툴의 교체 시점을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추정된 교체 시점을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장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의 동작 환경 및 장비의 가동 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동작 환경 및 가동 시간에 기초하여, 장비에 포함된 툴 및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한계 수명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한계 수명을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장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의 예방 정비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예방 정비가 필요한 경우,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정비 시스템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420)는 장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와 동일한 종류의 장비의 구매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구매 필요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20)는 구매 필요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가 판매 시스템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전송부(430)는 가이드 정보를 장비로 전송한다. 장비는 가이드 정보를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방식으로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4를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장비로부터 장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비를 위한 메인터넌스(maintenance)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을 기초로 상기 장비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상기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상태 정보는,
    상기 장비의 가동 시간, 상기 장비의 공구축의 상태 정보, 상기 장비의 절삭유의 상태 정보, 장비 충격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장비에 포함된 툴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장비, 상기 장비에 포함된 툴, 상기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교체 시점, 예방 정비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예방 정비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장비에 포함된 툴의 가동 시간 및 마모량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가동 시간 및 상기 마모량을 이용하여 상기 툴의 교체 시점을 추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는,
    상기 교체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상기 장비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장비의 동작 환경 및 상기 장비의 가동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환경 및 상기 가동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장비에 포함된 툴 및 상기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한계 수명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마다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장비와 동일한 종류의 장비의 구매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구매 필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9. 장비로부터 장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비를 위한 메인터넌스(maintenance)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을 기초로 상기 장비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상기 장비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상태 정보는,
    상기 장비의 가동 시간, 상기 장비의 공구축의 상태 정보, 상기 장비의 절삭유의 상태 정보, 장비 충격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장비에 포함된 툴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장비, 상기 장비에 포함된 툴, 상기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교체 시점, 예방 정비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예방 정비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장비에 포함된 툴의 가동 시간 및 마모량을 연산하고, 상기 가동 시간 및 상기 마모량을 이용하여 상기 툴의 교체 시점을 추정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는,
    상기 교체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상기 장비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장비의 동작 환경 및 상기 장비의 가동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동작 환경 및 상기 가동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장비에 포함된 툴 및 상기 장비를 위한 소모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한계 수명을 확인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마다 상기 장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비와 동일한 종류의 장비의 구매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구매 필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장비 관리 시스템.
KR1020150134079A 2015-09-22 2015-09-22 장비 관리 시스템 및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438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079A KR102438829B1 (ko) 2015-09-22 2015-09-22 장비 관리 시스템 및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079A KR102438829B1 (ko) 2015-09-22 2015-09-22 장비 관리 시스템 및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234A true KR20170035234A (ko) 2017-03-30
KR102438829B1 KR102438829B1 (ko) 2022-09-01

Family

ID=5850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079A KR102438829B1 (ko) 2015-09-22 2015-09-22 장비 관리 시스템 및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8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8316A (ja) * 2007-08-16 2009-03-05 Nec Fielding Ltd 部品管理システム
KR20130095817A (ko) * 2010-11-30 2013-08-28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제 3 자 지원 장비에 대한 예측적인 유지보수
JP2014132400A (ja) * 2013-01-07 2014-07-17 Nec Fielding Ltd 管理サーバ、管理システム、部品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8316A (ja) * 2007-08-16 2009-03-05 Nec Fielding Ltd 部品管理システム
KR20130095817A (ko) * 2010-11-30 2013-08-28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제 3 자 지원 장비에 대한 예측적인 유지보수
JP2014132400A (ja) * 2013-01-07 2014-07-17 Nec Fielding Ltd 管理サーバ、管理システム、部品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829B1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49737A1 (en) Manufacturing efficiency optimization platform and tool condition monitoring and prediction method
US7353120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monitoring and manufacturing process control system
EP3163517A1 (en) Nuclear power plant digital platform
KR101056478B1 (ko) 정전기 방전 감시 및 제조 공정 제어 시스템
US11610218B2 (en) Methods for developing customer loyalty programs and related systems and devices
JP2018005852A5 (ko)
WO2020081652A1 (en) Augmented reality in a material processing system
WO2021005887A1 (ja) 機械加工管理方法及び機械加工管理システム
KR20190066714A (ko) 부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035234A (ko) 장비 관리 시스템 및 장비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CN110719181A (zh) 设备异常告警系统、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954190A (zh) 应用服务器故障检测方法及装置
EP354977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 printer apparatus
JP2017027449A (ja) 工具状態のモニタリングおよび予測により製造効率を最適化するためのプラットフォームならびに方法
TW201713456A (zh) 製造效率最佳化平台及刀具狀態監測及預測方法
CN110447018B (zh) 操作管理服务器、开发操作支持系统及其方法以及存储其程序的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US202401521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mage generation device
JP2020149346A (ja) 不具合対応システム、その対応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335209A (zh) 一种虚拟机调度方法、电子设备及服务器
CN101794407A (zh) 管理设备、管理系统和管理方法
JP6376891B2 (ja) プラント監視システム、プラント監視装置、およびプラント監視方法
US90318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on and display of a failure copula for a consumable
KR101959241B1 (ko) 지능형 cnc 공작기계 오류 제어 장치 및 방법
EP3805881B1 (en) Unifie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achining of parts
JP7120958B2 (ja) ドレッシング推定装置、及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