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52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529A
KR20170034529A KR1020150132897A KR20150132897A KR20170034529A KR 20170034529 A KR20170034529 A KR 20170034529A KR 1020150132897 A KR1020150132897 A KR 1020150132897A KR 20150132897 A KR20150132897 A KR 20150132897A KR 20170034529 A KR20170034529 A KR 20170034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main frame
support plate
edge portion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가영
이태진
이희창
김기현
김준홍
박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2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4529A/ko
Publication of KR20170034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가로 및 세로로 바닥에 대해 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로 및 세로로 바닥에 대해 거치할 때 모두 바닥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거치할 수 있도록, 제1 모서리 및 상기 제1 모서리에 수직한 제2 모서리를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면에 상기 제1 모서리에 평행한 힌지 축을 회전축으로 결합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 축에 평행한 제1 지지 엣지부 및 상기 제1 지지 엣지부의 일단 및 상기 힌지 축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지지 엣지부와 제1각을 이루는 제2 지지 엣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각은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바닥에 특정 각도로 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형태는 메인 프레임과 키보드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노트북,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메인 프레임만 존재하거나 또는 분리형 키보드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태블릿,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비교적 작은 부피로 구성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만, 적용 영역의 확장 및 기능의 확장 등으로 인해 이러한 이동 단말기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러한 이동 단말기 중 사용자에게 화상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기기 일반을 가리킬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특히, 노트북 또는 태블릿의 영역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바닥 또는 특정 위치에 거치를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도록 하는 장치는 종래에 많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에 착탈 가능한 별도의 케이스를 결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시킬 수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에 거치 구조가 결합되어 있는 기술은 많지 않으며, 있다고 하더라도 거치의 씬(scene)이 다양하게 나오는 구조는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디스플레이부가 직사각형인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가로로만 거치가능하도록 하는 구조 또는 세로로만 거치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는 존재하나, 양자를 모두 가능하게 하는 구조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가로 및 세로로 모두 거치가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디스플레이부를 바닥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거치할 수 있는 구조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가로 및 세로로 거치가 모두 가능하되, 그 거치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방향 및 기울기로 거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모서리 및 상기 제1 모서리에 수직한 제2 모서리를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면에 상기 제1 모서리에 평행한 힌지 축을 회전축으로 결합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 축에 평행한 제1 지지 엣지부 및 상기 제1 지지 엣지부의 일단 및 상기 힌지 축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지지 엣지부와 제1각을 이루는 제2 지지 엣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각은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지지 엣지부의 타단 및 상기 힌지 축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지지 엣지부와 제2각을 이루는 제3 지지 엣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각은 수직 또는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제3 각을 이루는 경우,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제3 각보다 작은 제4 각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원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는 가이드 경사부,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경사부의 일 측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받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을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회전으로 변환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이 상기 프레임 후면 제1 영역에 맞닿은 경우, 상기 제1 지지 엣지부의 경계 및 상기 제1 모서리는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 후면의 상기 제1 영역의 타측 제2 영역에 결합하는 착탈식 키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후면 및 상기 착탈식 키 보드의 후면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에 구비된 전원공급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면에 노출되어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착탈식 키 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를 가로 및 세로로 바닥에 대해 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를 가로 및 세로로 바닥에 대해 거치할 때 바닥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착탈식 키 보드 디스플레이부를 가로 및 세로로 바닥에 대해 거치할 때 바닥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착탈식 키 보드를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프레임의 전원공급부와 착탈식 키 보드의 전원공급부가 동시에 충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키 보드 결합 전 디스플레이 장치 정면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키 보드 결합 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로로 거치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세로로 거치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a)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프론트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M 영역 정면도, 도 6(b)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M 영역 사시도이다.
도 7은 착탈식 키 보드가 프레임에 완전히 결합한 상태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키 보드 결합 전 디스플레이 장치(100) 정면 사시도 이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장치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1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와 윈도우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윈도우에는 제1 음향 출력부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110)는 직접적으로 정보가 표시 또는 출력되는 영역(1101)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화면 테두리를 감싸고 있는 베젤 영역(1102)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1:1 비율의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직사각형 중 긴 모서리 방향을 가로 방향, 짧은 모서리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긴 모서리 중 아래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모서리를 제1 모서리(111), 제1 모서리(111)에 수직한 일 측 모서리를 제2 모서리(112)로 정의할 수 있다. 또 제2 모서리(112)와 마주보는 타 측 모서리를 제3 모서리(113)로 정의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20)은 디스플레이부(11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2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20)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메인 프레임(120)은 전자 부품을 실장하는 메인 기판을 실장할 수 있고, 전원 공급부를 실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20)은 음향 출력부,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광 출력부, 카메라, 조작유닛,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에는 착탈식 키 보드(130)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키 보드 결합 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가로로 거치한 정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세로로 거치한 정면사시도이다.
지지 플레이트(140)는 메인 프레임(120)의 후면에 결합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40)는 특히 제1 모서리(111)에 평행한 힌지 축(144)을 회전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40)는 힌지 축(144)을 중심으로 각 C(도 5참조)만큼 회전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40)가 회전하여 접힌 경우에는 메인 프레임(120) 후면에 접하고, 회전하여 펼쳐진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거치를 지지하는 선 또는 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지지 플레이트(140)는 힌지 축(144)에 평행한 제1 지지 엣지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40)의 제1 지지 엣지부(141)의 경계 및 제1 모서리(111)는 일치 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엣지부(141)의 일단 및 힌지 축(144)의 일단을 연결하고, 제1 지지 엣지부(141)와 제1 각 A를 이루는 제2 지지 엣지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 엣지부(143)는 지지 플레이트(140)의 제2 지지 엣지부(142)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지지 엣지부(143)는 제1 지지 엣지부(141)의 타단 및 힌지 축(144)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가로로 거치한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제1 모서리(111) 및 제1 지지 엣지부(141)가 바닥에 접하게 되고, 세로로 거치한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제2 모서리(112) 및 제2 지지 엣지부(142)가 바닥에 접하거나, 제3 모서리(113) 및 제3 지지 엣지부(143)가 바닥에 접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지지 엣지부(141)와 제2 지지 엣지부(142)가 이루는 제1 각을 A로 정의하고, 제1 지지 엣지부(141)와 제3 지지 엣지부(143)가 이루는 제2 각을 B로 정의한다.
제1 각 A는 특히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각 A가 둔각을 이루는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모서리(112)를 바닥에 거치시키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10)가 바닥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거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로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거치시키고 작업을 원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110)가 바닥에 대해 적당한 각도가 기울어져 사용자가 용이하게 디스플레이부(110)를 바라볼 수 있다.
제2 각 B는 제1 각 A와 상이한 각도를 이룰 수도 있고, 또는 동일 각도을 이룰 수도 있다.
특히, 제1 각 A와 제2 각 B가 동일각을 형성하는 경우 지지 플레이트(140)의 제2 지지 엣지부(142)와 제3 지지 엣지부(143)는 지지 플레이트(140)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구비 될 수 있다. 제3 지지 엣지부(143)와 제2 지지 엣지부(142)가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10) 제2 모서리(112) 반대편의 제3 모서리(113)를 바닥에 지지하더라도 제2 모서리(112)를 바닥에 지지한 것과 동일한 각도로 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 각 B는 90도가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 제3 모서리(113)를 바닥에 맞닿도록 거치하면 디스플레이부(110)가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각 B가 90도가 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2 지지 엣지부(142)를 바닥에 닿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110)가 바닥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제3 지지 엣지부(143)를 바닥에 닿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110)가 바닥에 수직으로 서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어, 상황에 따라 거치 각도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40)의 힌지 축(144)은 메인 프레임(120)의 후면 중심 또는 중심 부근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40)의 힌지 축(144)이 메인 프레임(120)의 후면 중심이 아닌 일측으로 치우쳐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세로로 거치하는 경우 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쏠려 쓰러질 수 있으므로 중심 또는 중심 부근에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40)는 메인 프레임(120)의 후면에 결합하여 힌지 축(144)을 중심으로 각 C만큼 회전할 수 있다. 즉, 각 C는 힌지 축(144)을 중심으로 메인 프레임(120)과 지지 플레이트(140)가 이루는 각으로 정의될 수 있다.특히 각 C는 둔각이 될 수도 있다. 지지 플레이트(140)가 둔각으로 회전하여 펼쳐진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바닥 윗면을 향하도록 거치될 수 있다.
복원부(160)복원부(160)스프링(163)
도 6(a)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프론트 케이스(101)를 제거한 상태의 M영역 정면도, 도 6(b)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를 제거한 상태의 M 영역 사시도이다.
메인 프레임(120)은 디스플레이부(110)를 고정시키는 프론트 케이스(101) 및 프론트 케이스(101)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 공간은 전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복원부(160)는 지지 플레이트(140)가 메인 프레임(120)에 대해 제3 각을 이루는 경우, 지지 플레이트(140)를 제3 각보다 더 작은 제4 각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발생 시킬 수 있다. 복원부(160)는 메인 프레임(110)의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될 수 있다.
복원부(160)는 가이드 경사부(161), 슬라이드부(162), 스프링(163), 연결부(164), 안내 돌기(165), 가이드 홀(166) 및 힌지부(167)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167)는 메인 프레임(120)에 힌지 축(14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힌지부(167)는 지지 플레이트(140)를 고정하여 회전시 지지 플레이트(14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가이드 경사부(161)는 메인 프레임(120)의 리어 케이스(102)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경사부(161)는 힌지 축(144)에 수직한 방향에 대해 일정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162)는 스프링(163)을 구비하여 가이드 경사부(161)의 일 측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받을 수 있다.
연결부(164)는 슬라이드부(162) 및 힌지부(167)를 연결하여 슬라이드부(162)의 이동을 힌지부(167)의 회전으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힌지부(167)의 회전을 슬라이드부(162)의 이동으로 변환하여 결과적으로 지지 플레이트(140)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안내 돌기(165)는 가이드 경사부(161) 또는 메인 프레임에 고정 돌출되어 슬라이드부(162)의 가이드 홀(166)과의 결합을 구속할 수 있다. 가이드 홀(166)의 홀 방향을 따라 안내 돌기(165)가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162)가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경사부(161)는 스테이블 영역(1611), 바이-스테이블 영역(1612), 언스테이블 영역(161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블 영역(1611)은 사용자가 큰 힘으로 위치를 바꾸지 않는 한 안정적으로 위치를 고정하는 영역을 가리킬 수 있다. 스테이블 영역(1611)은 각 C가 스테이블 앵글 영역이 되는 경우에 대응될 수 있다.
바이-스테이블 영역(1612)은 사용자가 조그만 힘을 가하면 언스테이블 영역(1613)으로 슬라이드부(162)를 이동시키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바이-스테이블 영역(1612)은 각 C가 바이-스테이블 앵글 영역이 되는 경우에 대응될 수 있다.
특히 바이-스테이블 앵글은 일 영역이 될 수도 있고, 두 영역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언스테이블 영역(1613)은 지지 플레이트(140)에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스테이블 영역(1611) 또는 바이-스테이블 영역(1612)으로 복원되는 힘을 받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언스테이블 영역(1613)은 각 C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스테이블 앵글 영역 과 바이-스테이블 앵글 영역을 제외한 앵글 영역이 될 수 있다.
즉, 언스테이블 앵글 영역은 상기 제3 각이, 스테이블 앵글 영역 또는 바이-스테이블 앵글 영역은 상기 제4 각이 될 수 있다.
특히, 스테이블 앵글 영역은 0도 바이-스테이블 앵글 영역은 30도 및 90도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언스테이블 앵글 영역은 지지 플레이트(140)가 최대로 회전할 수 있는 각도 내에서 0도, 30도, 90도를 제외한 모든 영역이 된다.
상기의 경우, 사용자가 지지 플레이트(140)를 90도 이상의 각(즉, 제3 각)으로 회전 시켜 디스플레이부(110)를 가로로 거치시켜 사용하다가, 바닥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떼는 경우, 사용자의 추가적인 조작 없이 90도(즉, 제4 각)로 회전하는 복원력이 발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 곧바로 디스플레이부(110)를 세로로 바닥에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90도 상태에서 지지 플레이트(140)를 접는 방향으로 조그만 힘을 가하여 30도와 90도 사이 각(즉, 제3 각)의 상태로 두면, 추가적인 사용자의 조작 없이 30도(즉, 제4 각)의 각으로 접힐 수도 있다.
나아가, 30도의 각으로 지지 플레이트(140)가 회전한 상태에서 접는 방향으로 조그만 힘을 가하여 0도와 30도 사이 각(즉, 제3 각)의 상태로 두면, 0도(즉, 제4 각)로 지지 플레이트(140)가 완전히 메인 프레임(120)에 접힐 수 있다.가이드 경사부(161)는 스테이블 영역(1611)임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고 스테이블 영역(1611)을 더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하기 위한 돌출부(161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614)는 스테이블 영역(1611)과 언스테이블 영역(161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162)가 언스테이블 영역(1613)에서 스테이블 영역(1611)으로 이동 시 돌출부(1614)로 인해 추가적인 힘을 필요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지지 플레이트(140)가 스테이블 앵글 영역으로 가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는 슬라이드부(162)가 스테이블 영역(1611)에서 언스테이블 영역(1613)으로 이동 시 돌출부(1614)로 인해 추가적인 힘을 필요하게 하여 지지 플레이트(140)가 의도하지 않게 펼쳐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복원부(160)에는 슬라이드부(162)의 안정적인 움직임을 위해 가이드 경사부(161)의 슬라이드부(162)가 이동 방향에 대해 두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복원부(160)는 힌지 축(144)의 좌우 양쪽에 나누어 한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복원부(160)가 힌지 축(144)의 좌우 양쪽에 나누어 한 쌍으로 구비됨으로 인해 지지 플레이트(140)가 회전 시 힘의 균형이 한 쪽으로 치우쳐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착탈식 키 보드(130)는 메인 프레임(120) 후면의 제1 영역(210)의 반대편 제2 영역(220)에 결합할 수 있다.
제1 영역(210) 및 제2 영역(220) 사이 제3 영역(230)에는 힌지 축(144)을 따라 돌출된 돌출단(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단(150)은 힌지 축(144)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실장되고 후술할 착탈식 키 보드(130)의 전원공급단자(151) 및 전원공급단자(151)와 메인 프레임(120) 내부의 전원공급부를 연결하기 위한 기판 등의 적어도 일부가 실장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은 착탈식 키 보드(130)가 프레임(120)에 완전히 결합한 상태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지지 플레이트(140)가 접히고 착탈식 키 보드(13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결합한 경우, 지지 플레이트(140)의 후면, 착탈식 키 보드(130)의 후면 및 돌출단(150) 후면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공간을 최소화 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지지 플레이트(140)가 접힌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체에서 돌출된 영역을 최소화 하여 외력에 의한 손상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20)은 측면에 연결포트(121)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포트(121)를 통해 데이터를 유선으로 교환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전원공급부(151)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는 상기 연결포트(121)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착탈식 키 보드(130)는 메인 프레임(120)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무선 방식의 착탈식 키 보드(130)로 구비될 수 있다.
무선 방식의 키 보드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부재의 내부에 신호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추가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단자(151)는 메인 프레임(120)의 후면에 노출되어 전원공급부 및 착탈식 키 보드(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전원공급단자(151)는 특히 포고핀의 형태로 구비되어 착탈식 키 보드(130)가 메인 프레임(120) 후면에 결합한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단자(151)는 착탈식 키 보드(130)와 메인 프레임(120)의 중앙 단부 측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01: 프론트 케이스
102: 리어 케이스 110: 디스플레이부
111: 제1 모서리 112: 제2 모서리
113: 제3 모서리 120: 메인 프레임
121: 연결포트 130: 착탈식 키 보드
140: 지지 플레이트 141: 제1 지지 엣지부
142: 제2 지지 엣지부 143: 제3 지지 엣지부
144: 힌지 축 150: 돌출단
160: 복원부 161: 가이드 경사부
1611: 스테이블 영역 1612:바이-스테이블 영역
1613: 언스테이블 영역 1614: 돌출부
162: 슬라이드부 163: 스프링
164: 연결부 165: 안내 돌기
166: 가이드 홀 167: 힌지부
151: 전원공급단자 210: 제1 영역
220: 제2 영역 230: 제3 영역

Claims (7)

  1. 제1 모서리 및 상기 제1 모서리에 수직한 제2 모서리를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위치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면에 상기 제1 모서리에 평행한 힌지 축을 회전축으로 결합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 축에 평행한 제1 지지 엣지부; 및
    상기 제1 지지 엣지부의 일단 및 상기 힌지 축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지지 엣지부와 제1각을 이루는 제2 지지 엣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각은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지지 엣지부의 타단 및 상기 힌지 축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지지 엣지부와 제2각을 이루는 제3 지지 엣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각은 수직 또는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제3 각을 이루는 경우,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상기 제3 각보다 작은 제4 각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복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는 가이드 경사부;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경사부의 일 측으로 이동하는 복원력을 받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을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회전으로 변환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이 상기 프레임 후면 제1 영역에 맞닿은 경우,
    상기 제1 지지 엣지부의 경계 및 상기 제1 모서리는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후면의 상기 제1 영역의 타측 제2 영역에 결합하는 착탈식 키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후면 및 상기 착탈식 키 보드의 후면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에 구비된 전원공급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면에 노출되어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착탈식 키 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32897A 2015-09-21 2015-09-21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34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897A KR20170034529A (ko) 2015-09-21 2015-09-21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897A KR20170034529A (ko) 2015-09-21 2015-09-2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529A true KR20170034529A (ko) 2017-03-29

Family

ID=58498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897A KR20170034529A (ko) 2015-09-21 2015-09-2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45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4797A (zh) * 2019-06-24 2019-09-20 烟台工程职业技术学院(烟台市技师学院) 一种智能英语学习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4797A (zh) * 2019-06-24 2019-09-20 烟台工程职业技术学院(烟台市技师学院) 一种智能英语学习机
CN110264797B (zh) * 2019-06-24 2021-06-01 烟台工程职业技术学院(烟台市技师学院) 一种智能英语学习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6272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9668556B2 (en) Adjustable display housing assembly
US8628197B2 (en) Display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devices
US10402635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ing component
CN105103077B (zh) 双部件铰链组件
KR102111102B1 (ko) 모바일 단말
WO2018042602A1 (ja) 情報処理装置
US20040141284A1 (en) Rotatable display fixing module
KR20070101140A (ko) 전자 장치
KR102207039B1 (ko) 액세서리 장치
KR20130079978A (ko) 모바일 기기
EP2110733A1 (en) Connection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coupling system
TWI514952B (zh) 電子裝置
KR201700345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4740066B2 (ja) 情報入力装置
KR102053902B1 (ko) 모바일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힌지 모듈
CN107577276B (zh) 具有支撑结构的输入装置
CN110413045B (zh) 电子组件
JP2011082646A (ja) 携帯型電子機器
JPH05324123A (ja) ディスプレイ収納型パソコン
JP5466931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5094945B2 (ja) 携帯型電子機器
CN117628371A (zh) 电子设备
JP2011071867A (ja) 携帯型電子機器